KR20150053574A - 산사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소화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사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소화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574A
KR20150053574A KR1020130135692A KR20130135692A KR20150053574A KR 20150053574 A KR20150053574 A KR 20150053574A KR 1020130135692 A KR1020130135692 A KR 1020130135692A KR 20130135692 A KR20130135692 A KR 20130135692A KR 20150053574 A KR20150053574 A KR 20150053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fermented
fermentation broth
fermentation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한림성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성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성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35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3574A/ko
Publication of KR20150053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사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소화액에 대한 기술로, 본 발명의 천연 소화액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 및 뛰어난 단백 분해능을 발휘한다.

Description

산사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소화제 및 그 제조방법{Natural digestive fluid with fermented Crataegi fructus extract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산사 열매를 자연 발효시켜 수득된 산사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화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영양 편중과 불균형 현상이 일어나 위의 소화 작용에 상당한 부담을 주고 있어 소화불량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소화불량은 다양한 위 관련 질병을 가져와 성인병 발병률을 높이기 때문에 위험하다. 한국인들의 식생활 연구결과를 보면 1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이 20년 전에 비해 2~3배 증가했고, 짧은 식사시간과 저녁 식사 때의 폭식 경향, 외식횟수의 증가, 잦은 간식 섭취 등도 위에 부담을 줘 소화에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에 따른 소화제 사용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하지만 피부발진, 설사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다른 약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긴 하지만 소화제 역시 오·남용했을 경우 부작용이 생기는 것은 여느 약물과 같다. 특히, 마그네슘성분이 든 소화제는 장기복용 시 설사를, 알루미늄성분이 든 소화제는 변비와 소화불량을 일으킬 수 있다. 게다가, 소화제의 장기복용은 암 등의 심각한 질환을 조기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시기를 놓치게 할 수 있다. 또한, 소화제 없이는 음식섭취를 두려워하는 등 정신적ㆍ신체적으로 소화제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산사는 장미과에 속하는 산리홍 (Crataegus pinnatifida Bunge)의 성숙한 과실인 산사의 추출물을 사용하는 생약으로, 시트릭산 (citric acid), 산사산(crataegolic acid) 외에 당류와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산사 추출물의 약리작용으로는 일시적 국부 뇌허혈 모델에서 항산화 효능을 바탕으로 한 신경보호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 의하면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증가시켜 혈압을 낮추는 작용이 보고되어 있으며 지질 및 체지방의 증가 억제, 고지혈증의 개선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산사 발효액의 단백질 소화 분해 효과에 대하여 개시 또는 교시된 바가 없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2-0017827호는 "산사자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의 저해활성이 뛰어나며 항산화 활성이 높고 미백효과 및 고혈압 예방 효과가 뛰어난 산사자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015210호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석창포 4.0 중량부 : 원지 2.0 중량부 : 백복신 4.0 중량부 : 산사육 2.0 중량부 : 파극천 2.0 중량부의 혼합물로부터 수득되는 추출물로서 종래 것보다 항산화 작용이 우수한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뛰어난 단백분해능을 보이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산사 발효액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천연 소화액으로 개발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산사 열매에 설탕을 첨가하여 자연발효시켜 수득한 산사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화액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발효액'은 발효 과정을 거친 것으로, 후 가공에 의해 액체상, 농축액, 혼합액 또는 고형상, 분말상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하기 본 발명의 실험에 의할 경우, 산사 열매에 설탕을 첨가하여 자연 발효시켜 수득한 산사 발효액에 단백질 분해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천연 소화액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산사 발효액은 인체에 유용한 폴리페놀 등의 생리활성물질들을 함유하며, 건강기능성이 확보된 소화액으로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시중의 판크레아틴과 유사한 단백질 소화효과를 가지며, 판크레아틴보다 훨씬 뛰어난 단백질 소화 효과를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소화액은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산사 발효액을 함유하는 것 외에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에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 향미제로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소화액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소화액의 투여량은 그 제제 형태,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및 이것에 적용되는 환자의 연령, 체중, 증상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고, 일정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제제 중에 함유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성인 1일당 예컨대 10 mg~ 2000 mg/kg이다. 물론 복용량은, 각종 조건에 의해서 변동하기 때문에, 상기 투여량보다 적은 양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고, 또는 범위를 초과하여 필요한 경우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산사 열매에 설탕을 첨가한 후, 20~30℃에서 100~150일간 숙성시키는 단계 (a); 및 상기 숙성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고, 20~30℃에서 100~150일간 자연 발효시키는 단계 (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화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천연 소화액 제조방법에 대하여 각 단계별로 설명하고자 한다.
<단계(a): 산사에 설탕을 첨가한 후, 숙성시키는 단계>
본 단계는 산사에 설탕을 첨가한 후, 20~30℃에서 100~150일간 숙성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숙성은 대상을 자연상태에 그대로 두어 스스로 분자구조를 작게 분해하는 과정을 지칭한다. 또한, 식품 속의 단백질이나 탄수화물 따위가 효소나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부패하지 않고 알맞게 분해되어 특유한 맛과 향기를 생성하는 것을 포괄하는 의미이기도 하다. 또한, 식품에서 제조 직후의 향기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화학적·물리적으로 변하여 색깔과 같이 총체적으로 조화되는 현상을 의미하기도 하다.
본 단계에서는, 숙성의 재료로 산사 열매를 사용하고, 설탕을 첨가한다. 설탕의 첨가로 말미암은 삼투압의 발생은 잡균의 생육을 막아 우수한 숙성 효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
본 단계의 숙성시, 가스가 발생하여 거품이 생길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용기에 여유를 두고 재료를 담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용기는 밀폐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단계에서, 숙성은 20~30℃에서 100~150일간 수행한다.
<단계(b): 여과액을 자연발효시키는 단계>
본 단계는 상기 단계(a)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한 후, 20~30℃에서 100~150일간 자연 발효시키는 단계이다.
발효는 넓은 의미에서 미생물이 자신의 효소로 유기물을 분해 또는 변화시켜 각기 특유의 최종산물을 만들어내는 현상을 지칭하는데, 본 단계에서는 종균을 인위적으로 접종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종균 접종 없이 자연발효시킨다.
자연발효는 20~30℃에서 100~150일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산사 발효액은 우수한 단백분해능을 나타냄이 확인된바, 천연소재로서 보다 안전한 소화제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산사 발효액의 단백분해능을 비교 측정한 그래프이다('FCFE'는 산사 추출물을 의미하고, 'Pan'은 판크레아틴을 의미한다.)
도 2는 산사 발효액의 농도(0.2, 0.4, 0.6, 0.8 및 1.0 mg/mL)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산사 발효액의 농도(0.2, 0.4, 0.6, 0.8 및 1.0 mg/mL)에 따른 FRAP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산사 발효액의 농도(0.2, 0.4, 0.6, 0.8 및 1.0 mg/mL)에 따른 환원력(Reducing power)을 측정하여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산사 발효액의 농도(0.2, 0.4, 0.6, 0.8 및 1.0 mg/mL)에 따른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BHT'는 Butylated Hydroxy Toluene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 산사 발효액의 제조]
산사를 깨끗하게 세척한 후, 산사 5 kg을 항아리에 담은 뒤, 설탕 5 kg을 첨가하여 30℃에서 100일간 숙성시킨 후 여과액을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다시 30℃에서 100일간 자연 발효시켜 산사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산사 발효액의 품질특성]
본 실험예 1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산사 발효액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산사 발효액의 성분 분석은 AOAC법에 준하여 실시하였고, 수분정량은 105℃ 상압가열건조법을 이용하였다. 조지방 정량은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로 추출하는 속슬렛(Soxhlet)추출법, 조단백질은 세미마이크로 킬달법(semi-micro Kjeldahl), 조회분은 550℃ 회화로를 이용한 건식회화법으로 각각 분석하였다. 모든 측정은 3회 반복하여 실시하였으며, 평균값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또한, 총 폴리페놀 함량은 폴린-시오칼토(Folin-Ciocalteau)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산사 발효액을 1 mg/mL의 농도로 제조한 뒤, 2% 탄산나트륨(Na₂CO3) 용액 1 mL와 10% 폴린-시오칼토 용액(Folin-Ciocalteu's reagent) 1 mL를 혼합하여 1시간 방치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 로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갈릭산(gallic acid)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y = 15.851x + 0.0492, R= 0.9992)으로부터 구하였다.
또한, 산사 발효액의 색도는 미놀타(Minolta, CR-400, Co. Ltd, Osaka, Japan)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색차값은 Hunter's value인 L값(명도), a값(적색도), b값(황색도)으로 나타내었다. 이때 사용한 표준백색판의 명도, 적색도, 황색도는 각각 97.75, 0.49, 1.96이었다. 측정값은 시료를 3번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산사 발효액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sample

Moisture(%)

Crude ash(%)

Crude protein(%)

Crude fat(%)
Total phenolic content
(GAE1 ) ㎍/g)

산사발효액
(Fermented Crataegi
fructus extracts )

39.3±0.062)

0.20±0.01

1.77±0.04

1.40±0.59

3.015±250
1)갈산 등가물(Gallic acid equivalent)
2)평균 ± 표준편차(Mean ±S.D)
일반성분 분석 결과, 산사 발효액의 수분함량(Moisture)은 39.3±0.06%이었으며, 조회분(Crude ash) 0.20±0.01%, 조단백질(Crude protein) 1.77±0.04%, 조지방(Crude fat) 1.40±0.59% 이었다. 그리고 산사 발효액의 총 페놀함량(Total phenolic content) 분석 결과 3,015±250(GAE ㎍/g)으로 측정되었다.
한편, 산사 발효액의 색도 분석은 표 2와 같다.
sample L1 ) a2 ) b3 )

산사발효액
(Fermented Crataegi fructus extracts)

79.24±0.14

1.58±0.19

31.28±0.27
1)Lightness (L), 2)Redness (a), 3)Yellowness (b)
표 2에서 명도(Lightness)를 나타내는 L값은 100에 가까울수록 흰색(white)을 나타내며, 적색도(Redness)를 나타내는 a값은 +값의 경우 빨간색(red)을 나타내고 -값을 나타낼수록 녹색(green)을 나타낸다. 한편, b값은 황색도(Yellowness)로 +값일 경우 노란색(yellow)을, -에 가까울수록 청색(blue)을 나타낸다. 색도 분석에서 L값은 79.24로 나타났으며, a값과 b값은 각각 1.58과 31.28로 측정되었다.
[ 실험예 2 :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산사 발효액의 단백분해능 측정]
본 실험예 2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산사 발효액의 단백분해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단백분해능 측정은 Kwon 등의 방법(Kwon SK, Park SW, Choi WY. 1998. Properties of the proteolytic enzymes from Mullberry tree bark(Morus alba Linne). Korean J Food Nutr 11:576-579)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을 위한 기질용액은 카제인(casein) 0.6 g을 0.1 N 수산화나트륨(NaOH) 10 mL에 넣고 중탕하여 가열 용해시킨 후, 0.1 N 인산(H3PO4)를 가하여 pH 6.0으로 조정한 용액에 0.1 M 인산완충액(pH 6.0) 20 mL을 가한 후, 100 mL까지 증류수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프로테이나제(Proteinase)의 활성은 0.6% 카제인 용액 0.2 mL에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산사 발효액 0.2 mL를 넣고, 37℃에서 10분간 두어 반응을 정시시켰다. 그 다음, 원심분리(10,000 × g, 10분) 한 후, 상등액 0.2 mL를 취하여 0.55 M 탄산나트륨(Na2CO3) 5 mL 및 폴린 용액 1 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시킨 다음, UV-Vis 분광광도계(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6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효소활성단위는 1분간에 1 g의 티로신(tyrosine)을 생성하는 효소의 양을 1 unit으로 하였으며, 효소역가는 (본반응 흡광도-Blank 흡광도) × 희석배수로 하였고, 시중의 " 판크레아틴(pancreatin, Sigma, USA)"을 대조물질로 사용하여 활성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본 발명 산사 발효액의 단백분해능은 294.24 unit/g로서써, 대조물질로 사용된 판크레아틴의 32.52 unit/g 보다 월등히 높은 단백분해능을 나타내었다(도 1).
[ 실험예 3: 산사 발효액의 항산화능 측정-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
본 실험예에서는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이용해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산사 발효액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였다.
DPPH법은 항산화물질의 전자 공여능으로 인해 방향족 화합물 및 방향족 아민류에 환원되어 생긴 자색이 탈색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척도가 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실험예의 DPPH 라디칼 소거능(radical scavenging activity)은 Kim(19)등이 사용한 방법( Kim JH, Park JH, Park SD, Choi SY, Seong JH, and Hoon KD. 2002.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lth drink with extract powders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Kor J Food Sci 34: 617-624)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에탄올에 용해시킨 4 mM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용액 0.8 mL에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산사 발효액을 농도별로(0.2, 0.4, 0.6, 0.8 및 1.0 mg/mL)첨가하여 볼텍스믹서(vortex mixer)로 5초간 진탕하고 암소에서 10분 동안 방치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해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실험 결과,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 있어 산사 발효액의 0.2, 0.4, 0.6, 0.8 및 1.0 mg/mL의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27.07%, 28.50%, 29.00%, 29.93%%, 32.30%%으로 측정되어, 산사 발효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효과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 실험예 4: 산사 발효액의 항산화능 측정 - FRAP 활성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Ferric ion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산사 발효액의 항산화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FRAP방법은 산화 및 환원 반응을 이용한 측정방법으로써, Benzie & Stranin (1996)의 방법을 변형한 방법이다. 실험을 위해서, 300 mM 아세테이트 버퍼(Acetate buffer, pH 3.6): 10 mM TPTZ(2,4,6-tripyridyl-s-triazine): 20 mM 염화제이철육수화물(FeCl36H2O)을 10:1:1의 비율로 섞어 실험 직전에 만들어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산사 발효액을 농도별(0.2 mL, 0.4 mL, 0.6 mL, 0.8 mL, 1mL)로 혼합하고 10분간 상온에서 보관 후 5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산사 발효액 0.2, 0.4, 0.6, 0.8 및 1.0 mg/mL의 농도에서 FRAP 활성은 각각 0.058, 0.057, 0.058, 0.054, 0.060 값으로 측정되어, 산사 발효액의 항산화 효과가 확인되었다(도 3).
[ 실험예 5: 산사 발효액의 항산화능 측정-환원력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Oyaizu (1986)의 방법을 변형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산사 발효액의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예에서는 700 nm 페릭-페릭시아나이드ferric-ferricyanide(Fe3+)혼합물이 수소를 공여해 ferrous(Fe2+)로 전환하는 환원력을 흡광도 값으로 나타내는 것을 통해 산사 발효액의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산사발효액(각 0.2, 0.4, 0.6, 0.8 및 1.0 mg/mL의 농도)에 pH 6.6의 200 mM 인산 완충액 및 1%의 페리시안화 칼륨(Potassium ferricyanide)을 각 1 mL씩 차례로 가하여 교반한 후, 50℃의 수욕상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여기에 10% TCA (trichloroacetic acid) 용액을 1 mL 가하여 13,500×g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 1 mL에 증류수 및 염화제이철(ferric chloride)을 각 1 mL씩 혼합하여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환원력은 산사 발효액 첨가군과 대조군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의 흡광도 비를 %값으로 환산하였다.
실험 결과, 산사 발효액 0.2, 0.4, 0.6, 0.8 및 1.0 mg/mL의 농도에서, 환원력은 0.19, 0.20, 0.20, 0.20, 0.20의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산사 발효액은 저농도에서도 우수한 환원력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4).
[ 실험예 6: 산사 발효액의 항산화능 측정-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ABTS(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라디칼 소거능을 이용해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산사 발효액의 항산화 정도를 비교 측정해보고자 하였다.
ABTS법은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ABTS·+라디칼이 시료 중의 항산화성 물질에 의해 제거되어 라디칼 특유의 청록색이 탈색되는 것을 이용하여 항산화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DPPH법의 경우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는 반면 ABTS는 양이온 라디칼을 소거하는 차이를 가지며, 두 기질과 반응물과의 결합정도가 달라져 라디칼 제거 능력의 차이를 보인다.
본 실험예의 ABTS(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라디칼 소거능은 Re 등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7.4 mM의 ABTS에 2.6 mM의 과황산칼륨을 첨가하여 암조건에서 24시간 반응시켜 양이온(ABTS+)를 형성시킨 다음, 734 nm에서 흡광도의 값이 1.5 이하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이후, 희석된 ABTS·+ 용액 1 ml에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산사 발효액을 각 농도별로(0.2, 0.4, 0.6, 0.8 및 1.0 mg/mL)를 가하여 흡광도의 변화를 정확히 30분 후에 측정하였다. 항산화능은 시료를 녹인 용매인 DMSO(Dimethyl sulfoxide)를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에 대한 라디칼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라디칼 소거활성은 하기 수학식 2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분석한 결과, 산사 발효액 0.2, 0.4, 0.6, 0.8, 1.0 mg/ml의 농도에서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0.10%, 2.58%, 2.60%, 3.02%, 5.07%로 측정되어, 산사 발효액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효과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Claims (4)

  1. 산사 열매에 설탕을 첨가하여 자연발효시켜 수득한 산사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화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소화액은,
    단백질에 대한 소화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화액.
  3. 산사 열매에 설탕을 첨가한 후, 20~30℃에서 100~150일간 숙성시키는 단계 (a);
    상기 숙성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고, 20~30℃에서 100~150일간 자연 발효시키는 단계 (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화액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소화액은,
    단백질에 대한 소화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화액의 제조방법.
KR1020130135692A 2013-11-08 2013-11-08 산사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소화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35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692A KR20150053574A (ko) 2013-11-08 2013-11-08 산사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소화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692A KR20150053574A (ko) 2013-11-08 2013-11-08 산사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소화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574A true KR20150053574A (ko) 2015-05-18

Family

ID=5339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692A KR20150053574A (ko) 2013-11-08 2013-11-08 산사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소화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35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701B1 (ko) 2017-03-10 2018-09-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배에서 추출된 효소를 포함하는 천연 소화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701B1 (ko) 2017-03-10 2018-09-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배에서 추출된 효소를 포함하는 천연 소화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88486A (ja) 体脂肪蓄積抑制または低減剤
KR101682552B1 (ko)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936294B1 (ko) 애기수영 또는 산수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060702B1 (ko) 맥문동, 오미자 및 황기를 이용하여 발효한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16091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83981B1 (ko)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음료 조성물
KR20180040534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092841B1 (ko) 냉면 육수의 제조방법
KR20140105657A (ko)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20200053016A (ko)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034986B1 (ko)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570959B1 (ko)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및 항만성천식 효과를 지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10051543A (ko) 블루베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3574A (ko) 산사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소화제 및 그 제조방법
JP3819413B1 (ja) 苦味または渋味を有する食品原料を含有する食品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668447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 식품
KR20170077980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0690071B1 (ko) 숙취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KR100628534B1 (ko) 가열취가 제거된 다시마 농축 소재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생산된 농축 소재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1404457B1 (ko) 미나리 열수 추출물 및 매생이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능이 증진된 혼합음료의 제조방법
KR20110081435A (ko) 원적외선 건조로 항염증 활성이 증진된 감국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87459B1 (ko) 발효하수오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건강식품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항산화 기능성 건강식품
KR102590758B1 (ko) 안토시아니딘 성분인 시아니딘, 델피니딘, 페튜니딘등을 함유한 빌베리 추출물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889856B1 (ko) 가압증숙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산수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