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552B1 -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552B1
KR101682552B1 KR1020140190402A KR20140190402A KR101682552B1 KR 101682552 B1 KR101682552 B1 KR 101682552B1 KR 1020140190402 A KR1020140190402 A KR 1020140190402A KR 20140190402 A KR20140190402 A KR 20140190402A KR 101682552 B1 KR101682552 B1 KR 101682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extract
concentrate
berr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9272A (ko
Inventor
장윤혁
장영상
원주인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증평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증평군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90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552B1/ko
Publication of KR20160079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55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농축액과 베리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홍삼 농축액과 베리 혼합물에 기능성물질을 포함함으로써 항산화 활성이 증진되고 기호도가 향상된 항산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Antioxidant composition comprising red ginseng extracts and berrylike mixtures}
본 발명은 홍삼 농축액과 베리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홍삼 농축액과 베리 혼합물에 기능성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항산화 활성이 증진되고 기호도가 향상된 항산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인삼속(Panax ginseng C.A. Meyer)에 속하는 다년생 반음지성 식물로서 한국, 중국 등에서 고귀한 약재로 이용된 약용식물이다. 인삼의 중요한 약리 성분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는 현재까지 약 40여 종이 분리되었으며, 사포닌 외에 산성다당체, 아미노당, 폴리아세틸렌, 페놀산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인삼에 함유되어 있다. 주요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Rb1, Rb2, Rc, Rd, Re 및 Rg1을 포함한 6종의 사포닌이 총 사포닌의 약 90 %를 차지하는데, 주요 사포닌이 가수분해되어 생성된 소량의 희귀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g3, Rh2, 화합물 K는 마우스에서 암세포 전이 저해, in vitro 암세포 침투 저해, 암세포 아폽토시스 유발, 혈관 확장을 통한 혈압 강하, 카테콜라민 분비 억제를 통한 신경안정 효과 및 진통제 활성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인삼의 약리효능으로는 기억력 및 학습 효능 개선작용, 항암 활성 및 면역 기능 조절작용, 항당뇨작용, 간 기능 항진 작용 및 독성물질 해독작용, 심혈관 장해개선 및 항동맥 경화작용, 콜레스테롤 개선작용, 항스트레스 및 항피로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홍삼(red ginseng)은 인삼을 껍질을 벗기지 않은 상태로 장시간 증기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말하는데 이러한 가공 과정을 거치면서 인삼의 생리활성 물질인 사포닌(saponin)의 함량이 증가하고 인삼에 없는 새로운 생리활성 성분인 ginsenoside- Rg2, Rg3, Rh1, Rh2가 생성된다. 또한 홍삼에는 백삼에는 존재하지 않는 -Rh2, -Rs1, -Rs2, -Rs1등의 진세노사이드와 사포닌, maltol, glycerogalacto lipid, glycosyldiglyceride 등의 홍삼 고유의 생리활성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홍삼은 그 특유의 쓴맛으로 인하여, 섭취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홍삼의 효능을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쳐 섭취하여야 하나 그 특유의 맛과 향으로 인하여 섭취를 중단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였다.
따라서, 홍삼의 기능성뿐만 아니라 기호적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성 제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054044호에 발효홍삼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발효홍삼농축물에 나노 분쇄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된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을 조합함으로써, 다량의 사포닌을 함유하고 사포닌 성분의 체내 흡수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본 발명과는 기술적 구성 및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이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는 홍삼의 5대 기능성 효과인 항산화 효능의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1 : 1~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홍삼 농축액은, 홍삼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80~85℃에서 10~15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홍삼 추출물을 10~15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추출액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60~75㎝/Hg의 진공도 및 50~70℃의 온도에서 고형분 함량이 60~70 Brix가 되도록 진공농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홍삼 농축액은 상기 진공농축 단계 이후에 70~75℃의 온도에서 2~5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홍삼은 홍삼근과 홍미삼을 1 : 0.3~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정제수는 홍삼 중량의 5~10배를 혼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베리 혼합물은 아로니아(aronia), 석류(Pomegranate), 아사이베리(Acai berry), 라즈베리(Raspberry), 블랙베리(Blackberry), 크랜베리(Cranberry), 블루베리(blue berry) 및 진생베리(ginseng berr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베리 혼합물은 아로니아(aronia), 블루베리(blue berry) 및 진생베리(ginseng berry)를 30~60 : 30~50 : 2~4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당귀, 클로렐라, 아연, 매실, 홍경천, 은행잎, 영지버섯, 녹차, 코엔자임Q10, 복분자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최적의 배합비로 포함하여 기호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장기 복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용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 건강보조식품 등에 적용할 경우 항산화제로서 건강 증진 및 노화 방지에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삼 농축액의 진세노사이드를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용 조성물의 유변학적 특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용 조성물의 Polyphenol 함량 분석시 사용한 표준물질 gallic acid의 표준 곡선(Standard curve)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용 조성물의 Flavonoid 함량 분석시 사용한 표준물질 Quercetin의 표준 곡선(Standard curve)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용 조성물의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측정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Ascorbic acid의 표준 곡선(Standard curve)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용 조성물의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 측정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Ascorbic acid의 표준 곡선(Standard curve)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용 조성물의 Nitrite radical 소거작용 측정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Ascorbic acid의 표준 곡선(Standard curve)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홍삼 농축액은, 홍삼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80~85℃에서 10~15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홍삼 추출물을 10~15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추출액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60~75㎝/Hg의 진공도 및 50~70℃의 온도에서 고형분 함량이 60~70 Brix가 되도록 진공농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원료삼>
선별한 인삼을 수증기를 이용해 2시간 동안 증숙한 후,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50℃에서 수분함량이 15%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한 후 3~5회 반복 증포하여 홍삼을 제조한다.
상기 홍삼은 뿌리(미삼)에 사포닌이 2~3배 많음을 고려하여 홍삼근과 홍미삼을 1 : 0.3~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홍삼근 : 홍삼미를 7 : 3의 비율로서 사용한다.
<홍삼 추출>
본 발명의 홍삼 추출은 다양한 추출 방법, 예컨대 열수 추출, 유기 용매 추출, 초임계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 종래 알려진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홍삼 중량의 5~10배의 정제수를 혼합한 후 80~85℃에서 10~15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다.
본 공정은 상기 온도범위를 유지하면서 저온추출하는데, 이는 홍삼을 고온에서 가공할수록 극성 사포닌인 Ginsenosaid RB 1 , RB 2 , Rc, Rd, Re, Rf 등의 함량이 감소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85℃ 이하의 저온에서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추출은 원료삼의 잔존 사포닌량에 따라 3∼5회 반복하여 추출할 수 있다.
<홍삼 추출액 분리>
상기 홍삼 추출물을 10~15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1,000~10,000rpm으로 원심분리하거나, 여과기(포)로 여과하여 홍삼 추출액을 분리한다.
<농축>
상기 홍삼 추출액을 진공도(60~75㎝/Hg), 50~70℃의 vacuum rotary evaporator에서, 60~70 Brix가 되도록 진공농축하여 홍삼 농축액을 제조한다.
<숙성>
상기 홍삼 농축액은 70~75℃의 온도에서 100rpm 내외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2~5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실시할 수 있고, 상기 숙성 공정에 의해 인삼냄새, 흙냄새를 감소시키고 인삼의 쓴맛이 순화(mild)된 숙성된 홍삼 농축액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베리 혼합물은 아로니아(aronia), 석류(Pomegranate), 아사이베리(Acai berry), 라즈베리(Raspberry), 블랙베리(Blackberry), 크랜베리(Cranberry), 블루베리(blue berry) 및 진생베리(ginseng berr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과실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과실들을 압착, 착즙, 여과, 살균, 농축하여 농축액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로니아(aronia)는 블랙 초크 베리(black choke berry)라고 불리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베리류의 식물열매로 안토시아닌이라는 강력한 항산화물질과 그 외 다양한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어 슈퍼푸드로 각광받고 있으며 천연색소나 주스, 잼, 와인 등에 이용되고 있다.
상기 아사이베리(Acai berry)는 브라질 원주민들이 '생명의 나무 열매'라고 부를 정도로 유명한 웰빙 식품으로서,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항산화, 혈류개선, 시력 회복, 신장 및 간 기능 향상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상기 블루베리(blue berry)는 10대 건강식품의 하나로서, 2002년 타임지에서 10가지의 슈퍼푸드 중 블루베리의 안토시아닌이라는 항산화 물질의 가능성에 주목하였고, 블루베리는 맛(산미, 새콤달콤한 맛), 편리성, 그리고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가공된 상품으로 판매하거나 다른 상품의 첨가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진생베리(ginseng berry)는 가장 젊은 시기의 4년생 인삼에게서 7월 중순경 일주인간만 열리는 희귀한 열매이며, 미국, 일본, 한국 등 의학계의 임상실험 및 연구 결과를 통해 인삼 뿌리보다 뛰어난 혈류개선, 자양강장, 면역력증진, 항산화성 등의 효능을 지닌 것이 밝혀졌다.
진생베리는 인삼의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가 30% 가량이나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e 성분은 인삼뿌리에 비해 2~3배 많은 함량을 가지고 있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시 홍삼의 기능성을 상승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에서 베리 혼합물은 상기 과실들의 농축액을 제조한 후 품질특성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최적 배합비를 설정하였고, 그 결과 베리류 농축액은 블루베리 농축액>아로니아 농축액>아사이베리 농축액>진생베리 농축액의 순으로 블루베리 농축액의 품질특성과 기호도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표 1).
종 류 품질 특성 관능검사(5점기호척도법)
고형분 (Brix) pH 맛과 색깔 특성 색깔 향미
(맛+향)
종합적
기호도
Aronia
extract
65.5 3.60 - 맛: 떫은맛. 새콤한
신맛 뒤에 단맛
-색깔:맑고밝은 붉은색
4.2 3.5 3.8
Bluberry
extract
65.8 2.42 - 맛: 새콤달콤한 단맛
-색깔: 붉은 연두색
4.0 3.8 4.0
Ginsengberry extract 46.2 4.81 -맛: 씁쓸한 떫은맛
-색깔:진한 검정색
2.0 1.5 2.2
Aceiberry
extract
44.5 3.8 -맛: 무미건조한 맛
-색깔: 어두운 갈색
2.5 1.3 2.6
* 5점 기호척도법 : 가장좋다 5점, 좋다 4점, 보통이다 3점, 나쁘다 2점, 가장 나쁘다 1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리 혼합물은 아로니아(aronia), 블루베리(blue berry) 및 진생베리(ginseng berry)를 30~60 : 30~50 : 2~4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표 2), 상기 범위에서 베리 혼합물의 품질특성 및 관능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표 3).
종 류 BB-1 BB-2 BB-3 BB-4
아로니아 농축액 50 60 48 33
블루베리 농축액 48 38 48 33
진생베리 농축액 2 2 4 2
아사이베리 농축액 - - - 32
혼합베이스 계 (%) 100 100 100 100
고형분(Brix)/pH 64.8 / 3.78
65.8 / 3.76
66.7 / 3.78 64.23 / 3.82
* BB : Berry Base의 실시예 임
종류 색깔(Color) 맛(Taste) 향(Flavor) 종합적기호도 (Overall liking) 선호순위
BB-1 4.4 4.5 3.8 4.3
BB-2 4.6 4.1 3.6 3.8
BB-3 4.2 3.7 3.5 3.7
BB-4 3.8 3.4 3.2 3.0
본 발명의 항산화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 외에 기능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물질은 당귀, 클로렐라, 아연, 매실, 홍경천, 은행잎, 영지버섯, 녹차, 코엔자임Q10, 복분자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성 물질의 첨가로 인해 홍삼의 기능성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당귀, 클로렐라, 아연은 홍삼의 면역력 증진 효과를 증진시키고, 상기 매실, 홍경천 추출물은 홍삼의 피로 개선효과를 증진시키며, 상기 은행잎, 영지버섯자실체 추출물은 홍삼의 혈행개선 효과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녹차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은 홍삼의 기억력 개선효과를 증진시키며, 상기 녹차 추출물, 코엔자임Q10, 복분자 추출물은 홍삼의 항산화성 활성을 증진시킨다.
본 발명의 항산화용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 (Rb1, Rg1 및 Rg3)의 합이 2.5~34㎎/g함유하도록 홍삼 농축액의 함량을 결정한 후, 기능성 및 관능성이 우수한 조성물의 배합비를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산화용 조성물은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1 : 1~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범위에서 관능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산화 효능의 기능성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성 물질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조성물의 관능 특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용 조성물은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산화 효능이 상승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산화용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액상, 정제, 분말, 과립, 캡슐, 페이스트 또는 음료 등으로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도 필요에 따라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당류, 향료, 색소, 유지류, 단백질 등을 적의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홍삼 농축액의 제조
인삼은 충북인삼농협에서 6년근을 구입하여 홍삼을 제조하였고, 홍삼은 홍삼근 : 홍미삼 = 70% : 30%의 비율로서 사용하였으며, 정제수는 홍삼 : 정제수 = 1 : 9 비율로 사용하였다.
홍삼을 추출기에 넣고 정제수를 주입 후 80~85℃에서 12시간 동안 bioreactor에서 저온추출 후 12시간 휴동(숙성)한 다음 1차 추출액을 분리하고, 남은 홍삼에 다시 1:9 비율의 정제수를 넣고 상기 동일조건으로 추출하여 2차 추출액을 얻었다. 1차 추출액과 2차 추출액을 합하여 홍삼 추출액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홍삼 추출액을 vacuum rotary evaporator에서, 진공도(60~75cm/Hg) 및 60℃의 조건에서 65 Brix까지 진공 농축하여 홍삼 농축액을 제조한 다음 70~75℃에서 100rpm 내외로 교반하면서 48시간 숙성(aging)하여 숙성된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홍삼 농축액의 진세노사이드를 초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UPL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진세노사이드 분석에 사용한 초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UPLC)는 Waters ACQUITY UPLC System (Milford, MA, USA)이고, 칼럼은 Symmetry C18 Column (particle size 100, inner diameter 3.5 , 4.6 ㎜ X 75 ㎜; Waters, Milford, MA, USA), 칼럼온도는 35℃이며 검출기는 자외부흡광광도계 (측정파장 203 ㎚)를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18% acetonitrile(ACN)와 100% acetonitrile을 gradient로 하였으며 유속은 1.0 ㎖/min으로 하였다. 분석 중 이동상의 비율은 표 4에 나타내었다.
분석에서 사용한 진세노사이드 표준물질은 총 3종(Rg1, Rb1, Rg3)을 사용하였고, 표준물질에 메탄올을 가하여 초음파 분산장치로 완전히 녹인 후 0.45 ㎛ syringe filter로 여과하여 표준액으로 하였다. 홍삼 농축액 시료는 1 g을 정밀히 달아 70% 메탄올 50 ㎖을 가하여 70~80℃의 수욕상에서 1시간 환류냉각 추출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3,000 rpm에서 원심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취하였으며 잔류물에 대하여 위의 조작을 1회 더 반복하여 상등액을 합한 후 60℃ 미만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하였다. 농축물을 증류수 2 ㎖에 용해한 다음 0.45 ㎛ syringe filter로 여과하여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UPLC 주입량은 5 ㎕로 하였다.
Time
(min)
Composition of mobile phase(%)
18% ACN 100% ACN
0 100 0
32 100 0
65 79 21
70 79 21
73 25 75
76 25 75
79 100 0
85 100 0
상기 홍삼 농축액은 진세노사이드(Rb1,Rg1 및 Rg3) 합이 10.52 ㎎/g으로서 (표 5, 도 1), 식약처에서 고시한 건강기능식품규격 중 Rg1 , Rb1 , Rg3(S)의 합 0.8~34 ㎎/g 규격에 적합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사용하였다.
Rg1
(㎎/g)
Rb1
(㎎/g)
Rg3
(㎎/g)
Total content
(㎎/g)
홍삼 농축액 1.08 7.40 2.04 10.52
< 제조예 2> 아로니아 농축액의 제조
아로니아(Aronia mela nocarpa .) 생과를 선별하여 세척→분쇄하고, 미지근한 물(40℃전후) 2배(1:2)를 주입하여 압착→착즙하여 1차 여과한 다음, 자외선 살균하여 아로니아 추출액(12~15 Brix)으로 한다. 상기 착즙한 추출액을 vacuum rotary evaporator 1~1.5시간, 45~50℃ (50℃이하 엄수)에서 65 Brix까지 진공 농축하여 아로니아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3> 블루베리 농축액의 제조
블루베리(Vaccinium spp .) 생과를 선별하여 세척 후, 생과와 물을 1대 2 비율로 추출기에 넣은 다음 50℃이하 저온에서 1~3시간 추출하여 여과한다. 여과한 추출액을 진공 rotary evaporator 45~50℃(50℃이하 엄수)에서 65 Brix까지 진공 농축하여 블루베리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4> 진생베리 농축액의 제조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의 붉은 열매를 수확하여 농축액으로 제조하는 것으로서 먼저 생과(인삼열매)를 탈피기로 탈피하여 씨(seed)를 분리한다. 분리된 외피와 과즙은 decanter를 이용하여 박(cake)과 즙액을 분리한다. 박은 일정량의 물을 넣고 저온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고 즙액+추출액을 혼합하여 진생베리 추출액(고형분0.5 Brix)을 제조하고 60℃ 진공 농축하여 Ginseng berry 농축액(40 Brix)으로 하였다.
< 제조예 5> 아사이베리 농축액의 제조
수입산 아사이베리 과즙액(고형분 1.8 Brix) 100%를 진공 rotary evaporator 45~50℃ (50℃이하 엄수)에서 30 Brix까지 진공 농축하여 아사이베리 농축액으로 제조하였다.
< 제조예 6> 베리 혼합물의 제조
제조예 2~5에서 제조한 베리 농축액을 혼합하여 베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베리 혼합물은 품질특성 및 관능 특성이 가장 우수한 아로니아 농축액 : 블루베리 농축액 : 진생베리 농축액 = 50 : 48 : 2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 실시예 1~3> 항산화용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홍삼 농축액과 제조예 6에서 제조한 베리 혼합물을 사용하여 표 6의 배합비에 따라 본 발명의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 명 원료 백합비율
(100%)
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홍삼농축액
(제조예 1)
3 3 3 6
베리 혼합물
(제조예 6)
0 6
6 6
기능성원료 매실추출물 0 0 0.01 0.02
은행잎추출물 0 0 0.01 0.02
녹차추출물 0 0 0.01 0.02
복분자농축액 0 0 1 1
기타첨가물 적포도농축액 8 8 8 8
프락토
올리고당
12 12 12 14
비타민 C 0.5 0.5 0.5 0.5
GS-100 0.05 0.05 0.05 0.5
정제수 76.45 70.45 69.42 63.94
합계
%
100% 100% 100% 100%
※ 은행잎추출물 : 지용성 분말이므로 소량 유기용매( 주정 )에 녹여서 사용.
※ GS-100 (보존료) : 자몽추출물 50%, 구연산 34%, (사과산+비타민C) 1%, 증류수로 배합
< 실험예 1> 항산화용 조성물의 pH 측정
대조군, 실시예 1~3의 상층액 5 ㎖에 증류수 45 ㎖를 가하여 magnetic stirrer를 이용하여 균질화시키고, 실온에서 30분 방치한 후 pH Meter를 사용하여 pH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각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실험 결과는 SAS 9.2(SAS Institute, Cary, NC, USA)를 이용하여 ANOVA의 Fisher's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LSD)로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결과는 평균 및 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각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p<0.05에서 검증하였다.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시예의 pH는 베리와 기능성 원료(매실, 복분자 추출액)의 첨가에 의해 유의적으로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pH 3.57±0.01a1 ) 3.56±0.01b 3.53±0.01c 3.48±0.01d
1) 같은 행(row) 안의 다른 철자 값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냄
< 실험예 2> 항산화용 조성물의 산도 측정
대조군, 실시예 1~3의 상층액 5 ㎖에 증류수 45 ㎖를 가하여 magnetic stirrer를 이용하여 균질화 시키고, 실온에서 30분 방치한 후 0.1 N NaOH로 pH 8.3이 될 때 까지 적정하여 사용된 0.1 N NaOH의 양을 환산하여 산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각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의 산도(2.48%)는 실시예 1 (3.21%), 실시예 2 (3.89%), 실시예 3 (4.47%)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산도의 증가는 첨가된 베리와 기능성 원료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산도(%) 2.48±0.38d 3.21±0.03c 3.89±0.06b 4.47±0.13a
1) 같은 행(row) 안의 다른 철자 값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냄
< 실험예 3> 항산화용 조성물의 색도 측정
대조군, 실시예 1~3의 색도는 색차계를 이용해 측정하여 L(Lightness, 명도), a(Redness, 적색도), b(Yellowness, 황색도) 값을 15회 반복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실시예 1~3의 L(lightness) 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a(redness)값과 b(yellow)값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Color 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L 15.86±2.65a1 ) 11.84±2.55b 8.53±2.05c 7.58±2.03d
a 10.85±3.44c 25.45±2.50b 30.06±4.20a 35.17±1.95a
b -26.51±4.00b -29.52±0.65b -34.49±4.56a -36.66±1.32a
1) a~e : 같은 행(row) 안의 다른 철자 값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냄
< 실험예 4> 항산화용 조성물의 유변학적 특성 평가
본 발명 조성물의 정상유동 특성은 rheometer(Physica MCR 102, Anton Paar, Graz, Austria)의 plate-plate system 직경:50 ㎜, 간격:0.5 ㎜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정상유동특성 데이터는 25℃에서 0.01-1000 s-1의 범위의 전단속도(
Figure 112014126261210-pat00001
)에서 점도를 측정하였다. RC(대조군), RB, RBF, RBF-1의 정상유동 특성은 power law 모델 식에 적용되어 계산된 σ는 전단응력(shear stress), K는 점조도 지수(consistency index),
Figure 112014126261210-pat00002
는 전단속도(shear rate), n는 유동성지수(flow behavior index)이다.
Figure 112014126261210-pat00003
그 결과, 시료(대조군, 실시예 1~3)의 전단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단응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대조군, 실시예 1~3의 조성물은 뉴톤성 거동(Newtonian)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2).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조성물(실시예 1~3)의 유동성지수(n)는 대조군과 비슷한 1.00~1.05으로 나타나 베리 및 기능성 물질의 첨가에 의해 조성물의 유동성은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료 Flow behavior index n (-)
대조군 1.01±0.05ab
실시예 1 1.05±0.02a
실시예 2 1.00±0.02b
실시예 3 1.03±0.01ab
1) 같은 열(column) 안의 다른 철자 값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냄
< 실험예 5> 항산화용 조성물의 관능적 품질 특성 평가
기호도 평가를 위해 패널 요원으로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대학원생 7명을 선발하였다. 개인용 물, 스푼을 각각 준비하였고, 평가항목은 색(color), 향(flavor), 질감(texture), 맛(taste),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preference)를 9점법으로 하여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preference)에 대한 항목을 9점 척도법(1=대단히 싫어함, 5= 보통, 9=대단히 좋아함)으로 평가하였다. 기호도 검사 실험 순서는 시료와 시료번호(sample code)를 확인하고, 제시된 시료를 왼쪽에서 오른쪽 순서로 검사 하였다. 시료 간 잔향 또는 잔미가 느껴지지 않도록 충분한(약 1-3분) 시간 간격을 두고 검사하며, 시료가 바뀔 때마다 물을 이용하여 입안을 헹구었다. 1개의 시료에 대한 평가를 마칠 때마다 물로 입가심하도록 하였으며, 조용하고 쾌적한 곳에서 검사가 수행되었다.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색깔은 대조군(3.53)보다 실시예 1(6.10), 실시예 2(6.70), 실시예 3(4.88)에서 유의적으로 높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2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5).
맛은 대조군(3.53)보다 실시예 1(5.43), 실시예 2(6.95), 실시예 3(5.08)에서 유의적으로 높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2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5).
향미는 대조군(3.53)보다 실시예 1(5.72), 실시예 2(6.46), 실시예 3(4.95)에서 유의적으로 높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2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5).
전체적 기호도는 대조군(3.48)보다 실시예 1(5.97), 실시예 2(6.92), 실시예 3(5.28)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시예 2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5).
따라서, 전반적으로 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3보다는 실시예 2가 색깔, 향미, 식감, 전체적인 기호도 면에서 선호도가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색깔
(Color)

(Taste)

(Odor)
종합적기호도 (Overall liking)
대조군 3.53±0.01d1 ) 3.53±0.01c 3.53±0.01d 3.48±0.01d
실시예 1 6.10±1.10b 5.43±0.84b 5.72±1.10b 5.97±0.87b
실시예 2 6.70±1.20a 6.95±1.21a 6.46±1.14a 6.92±0.98a
실시예 3 4.88±1.38c 5.08±1.11b 4.95±1.41c 5.28±1.38c
1) 같은 열(column) 안의 다른 철자 값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냄
< 실험예 6> 항산화용 조성물의 Polyphenol 함량 분석
본 발명 조성물의 총 페놀 함량 측정은 페놀성 물질인 phosphomolybdic acid와 반응하여 청색을 나타내는 원리를 이용한 Folin-Denis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의 시료 1 ㎖에 증류수 99 ㎖를 가하여 희석하였다. 희석한 시료 1 ㎖를 취해 Folin-Denis 시약 1 ㎖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3분간 방치하여 반응시킨 다음 7.5% Na2CO3 용액 1 ㎖를 가하였다. 이어 실온에서 다시 1시간 방치하여 반응시킨 후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 76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용액으로는 gallic acid를 이용하였다 (도 3).
페놀성 화합물은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2차 대사산물의 하나로 다양한 분자량을 가진다. 이들은 phenolhydroxyl을 가지기 때문에 단백질 및 거대분자들과 결합하는 성질을 가지며, 항산화효과 및 항균활성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은 페놀 화합물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산화 활성이 증가함에 따라 총 페놀 함량도 증가한다.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 (3.03㎍/㎖)과 비교하여 실시예 1 (5.08㎍/㎖), 실시예 2 (5.73㎍/㎖), 실시예 3 (6.08㎍/㎖)의 폴리페놀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본 발명의 항산화용 조성물은 상승된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료 Total polyphenol (㎍/㎖, GAE1 ))
대조군 3.03±0.05d2 )
실시예 1 5.08±0.07C
실시예 2 5.73±0.08b
실시예 3 6.08±0.04a
1) Gallic acid equivalent
2) 같은 열(column) 안의 다른 철자 값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냄
< 실험예 7> 항산화용 조성물의 Flavonoid 함량 분석
Flavonoid에 알칼리를 작용시키면 hesperidin과 naringin 등의 flavan, 또는 수용성 flavonol 배당체가 황색을 나타낸다. 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의 시료 1 ㎖에 증류수 99 ㎖를 가하여 희석하였다. 희석한 시료 0.5 ㎖에 ethanol 4.3 ㎖와 10% aluminum nitrate 0.1 ㎖ 그리고 1M potassium acetate 0.1 ㎖를 가하여 40분간 정치한 다음 41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용액으로는 Quercetin을 이용하였다 (도 4).
폴리페놀의 성분 중 하나인 플라보이드는 C6-C3-C6의 benzopyrone의 기본 골격을 지니며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flavonones, flavonols, flavanonones, isoflavones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식물의 품종, 재배 및 가공에 따라 종류와 그의 함량은 다르게 나타나며, 플라보노이드에 알칼리를 작용시키면 hesperidin과 naringin 등의 flavan, 또는 수용성 flavonol 배당체가 황색을 나타낸다.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 (0.89㎍/㎖)과 비교하여 실시예 1 (0.92㎍/㎖), 실시예 2 (1.03㎍/㎖), 실시예 3 (1.12㎍/㎖)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시료 Flavonoid content (㎍/㎖, QE1 ))
대조군 0.89±0.00d2 )
실시예 1 0.92±0.00C
실시예 2 1.03±0.00b
실시예 3 1.12±0.00a
1) Quercetin equivalent
2) 같은 열(column) 안의 다른 철자 값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냄
< 실험예 8> 항산화용 조성물의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측정
항산화활성은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Sigma)를 이용하여 시료의 라디칼 소거활성(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하는 Blois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의 시료 1 ㎖에 증류수 99 ㎖를 가하여 희석하였다. 희석한 시료 0.5 ㎖에 0.4 mM DPPH 용액 1 ㎖를 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 51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대신 ethanol을 사용하였고, 양성대조군은 L-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도 5).
DPPH scavenging ability (%) = 1 - (시료 처리구 흡광도 / 무처리구 흡광도) × 100
DPPH는 짙은 보라색을 띠는 비교적 안정한 free radical로서 cysteine, glutathione, ascorbic acid, aromatic amine등 항산화 활성을 갖는 물질로부터 전자나 수소를 제공받으면 환원되면서 노란색으로 탈색되므로 항산화능 측정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 (24.00%)과 비교하여 실시예 1 (34.32%), 실시예 2 (36.59%), 실시예 3 (41.88%)의 DPPH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나타내어, 베리 혼합물과 기능성 물질(매실추출물, 녹차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등)의 첨가에 의해 항산화 활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시료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대조군 24.00±0.26d1 )
실시예 1 34.32±0.15c
실시예 2 36.59±0.24b
실시예 3 41.88±0.06a
1) 같은 열(column) 안의 다른 철자 값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냄
< 실험예 9> 항산화용 조성물의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Roberta 등(1999)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이 방법은 ABTS의 색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다. ABTS는 potassium persulfate에 의해 전자를 잃어 짙은 청녹색을 띄지만, 항산화 물질의 전자공여능으로 색이 옅어지는 과정을 보고 항산화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7 mM ABTS와 2.45 mM potassium persulfate를 14:1로 혼합(v/v)하여 실온의 어두운 곳에 20시간 동안 방치하여 ABTS 양이온(ABTS+)을 형성시킨다. 그 후, ethanol을 가하여 734 ㎚에서 흡광도의 값이 0.70 내외가 되도록 희석하여 시험용액으로 제조하였다. 앞서 만든 ABTS+ 용액 1 ㎖에 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의 시료 50㎕를 가하고 실온에서 30초간 섞은 후 2.5분간 방치하여 734 ㎚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여 시료용액 첨가군과 무첨가군 간의 흡광도 비(%)로 나타내었다.
ABTS scavenging ability (%) = 1 - (시료 처리구 흡광도 / 무처리구 흡광도) × 100
ABTS법은 potassium persulfate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ABTS+이 시료 내의 항산화 물질에 의해 제거되어 탈색되는 것을 이용한 항산화능 측정 방법으로 DPPH assay의 경우 자유라디칼을 소거하는 반면, ABTS는 양이온라디칼을 제거하는 차이를 가지고 두 기질과 반응물과의 결합 정도가 달라져 라디칼 제거 능력의 차이를 보인다.
표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 (39.76%)과 비교하여 실시예 1 (91.62%), 실시예 2 (92.09%), 실시예 3 (92.16%)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나타내어, 베리 혼합물과 기능성 물질(매실추출물, 녹차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등)의 첨가에 의해 항산화 활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시료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대조군 39.76±0.00c1 )
실시예 1 91.62±0.12b
실시예 2 92.09±0.00a
실시예 3 92.16±0.12a
1) 같은 열(column) 안의 다른 철자 값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냄
< 실험예 10> 항산화용 조성물의 Superoxide dismutase ( SOD ) 유사활성 측정
SOD 유사활성 반응에서 pyrogallol은 물에 존재하는 superoxide radical에 의해 자동 산화가 일어나 갈색물질을 형성하여 이를 분광광도계로 분석하고, superoxide 포착활성이 있는 물질이 존재 시 pyrogallol의 산화속도가 낮아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superoxide 포착활성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SOD 유사활성은 Markund14) 등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의 시료 0.5㎖에 pH 8.5로 보정한 Tris-HCl buffer(50mM trisamino-methane과 10mM EDTA) 2.6㎖과 7.2mM 0.2㎖을 첨가하여 25℃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1N HCl을 6 0.1㎖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액 중 산화된 pyrogallol의 양은 42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양성대조군은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도 6).
SOD - like activity (%) = {1-(시료 처리구 흡광도 / 무처리구 흡광도)} × 100
표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리 혼합물과 기능성 물질(매실추출물, 녹차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등)의 첨가에 의해 항산화 활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시료 Scavenging activity (%)
대조군 66.30±0.22d1 )
실시예 1 67.14±0.23c
실시예 2 69.60±0.44b
실시예 3 70.48±0.44a
1) 같은 열(column) 안의 다른 철자 값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냄
< 실험예 11> 항산화용 조성물의 Nitrite radical 소거작용 측정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Griess 시약인 sulfanilamide와 N-1-naph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가 NO2와 반응하여 azo 화합물을 형성하고 이 azo화합물의 흡광도가 520㎚에서 최대값을 나타내므로 이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각 시료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Kato 등의 방법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의 시료 1㎖에 1mM NaNO2용액 1㎖ 그리고 0.1N HCl(pH 1.2) 0. 4㎖를 가하였다. 이 용액을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반응액을 1㎖를 취하여 2% acetic acid 2㎖와 Griess 시약(30% HCl로 제조한 1% naphthylamine과 1% sulfanilic acid의 1 : 1혼액) 0.4㎖를 가하여 잘 혼합한 후 실온에서 15분간 방치시킨 후 생성되는 azo화합물의 흡광도를 520㎚에서 microplatereader로 측정하여 잔존하는 아질산염량을 비교하였다. 대조구로는 Griess 시약 대신 증류수를 0.4㎖가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화합물을 첨가한 경우와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흡광도 차이에 의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은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도 7).
Nitrite scavenging ability (%) = [1-{(A-C)/B}] × 100
A : NaNO2 용액에 시료와 Griess를 첨가한 흡광도
B : NaNO2 용액에 Griess를 첨가한 흡광도
C : NaNO2 용액에 시료와 증류수를 첨가한 흡광도
아질산염은 식육제품 및 수산물의 가공, 저장과정 중에 독소생성억제, 발색 및 산패방지를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과량 섭취 시 독성을 나타내어 methemoglobin증과 같은 각종 중독증상을 유발한다. 아질산염 소거능 또한 시료의 항산화력과 연관된 실험법으로, 라디칼류 중 하나인 nitrite는 griss reagent와 반응하여 보라색의 아조염을 형성한다. 이는 nitrite의 농도에 따라 비례하므로 시료의 nitrite의 제거능을 비색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으며, 결과를 하기 표 에 나타내었다.
표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34.14%), 실시예 2 (48.36%), 실시예 3 (57.92%)은 대조군(24.12%)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베리 혼합물과 기능성 물질(매실추출물, 녹차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등)의 첨가에 의해 항산화 활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시료 Nitrite scavenging activity (%)
대조군 24.12±0.25d1 )
실시예 1 34.14±0.36c
실시예 2 48.36±0.31b
실시예 3 57.92±0.05a
1) 같은 열(column) 안의 다른 철자 값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냄
본 발명의 항산화용 조성물은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효과가 있어 통상의 음료, 건강보조식품 등에 적용할 경우 항산화제로서 건강 증진 및 노화 방지에 큰 효과를 나타내어 식품산업 및 보건산업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10)

  1. 홍삼 농축액, 베리 혼합물 및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되,
    (a) 상기 홍삼 농축액 3 중량%, 상기 베리 혼합물 6 중량%, 상기 기능성 물질 1.03~1.06 중량%, 적포도농축액 8 중량%, 프락토올리고당 12~14 중량%, 비타민 C 0.5 중량%, 보존료 0.05~0.5 중량%, 및 정제수 63.94 ~ 69.42 중량%를 포함하고,
    (b) 상기 베리 혼합물은 아로니아(aronia), 블루베리(blue berry) 및 진생베리(ginseng berry)를 50 : 48 : 2 의 중량비로 포함하며,
    (c) 상기 기능성 물질은 매실추출물, 은행잎추출물, 녹차추출물 및 복분자농축액을 1:1:1:50~10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농축액은
    홍삼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80~85℃에서 10~15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홍삼 추출물을 10~15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추출액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60~75㎝/Hg의 진공도 및 50~70℃의 온도에서 고형분 함량이 60~70 Brix가 되도록 진공농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농축액은 상기 진공농축 단계 이후에 70~75℃의 온도에서 2~5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은 홍삼근과 홍미삼을 1 : 0.3~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190402A 2014-12-26 2014-12-26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682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402A KR101682552B1 (ko) 2014-12-26 2014-12-26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402A KR101682552B1 (ko) 2014-12-26 2014-12-26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272A KR20160079272A (ko) 2016-07-06
KR101682552B1 true KR101682552B1 (ko) 2016-12-06

Family

ID=5650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402A KR101682552B1 (ko) 2014-12-26 2014-12-26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5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313B1 (ko) * 2018-05-14 2019-05-14 김태석 홍삼 캔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홍삼 캔디의 제조 방법
KR20190059536A (ko) * 2017-11-23 2019-05-31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활성형 진노세사이드 함유 아로니아 음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13927B1 (ko) * 2018-12-13 2020-05-21 지리산마천농업협동조합 항염증 활성이 강화된 아로니아 음료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094B1 (ko) * 2018-08-21 2019-05-13 최병진 고영양 음료 조성물
KR101958442B1 (ko) * 2018-11-19 2019-03-15 태웅식품 주식회사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2273764B1 (ko) * 2018-12-17 2021-07-05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식재료를 활용한 항산화 음료 조성물
KR102581972B1 (ko) 2023-07-10 2023-09-22 상아제약주식회사 홍삼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8379A (ko) * 2008-01-15 2009-07-20 송영숙 홍삼농축액 제조방법
KR20100029573A (ko) * 2008-09-08 2010-03-17 중앙인삼영농조합 홍삼 음료의 제조방법
KR20130091385A (ko) * 2012-02-08 2013-08-19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과실 농축액을 함유하는 홍삼 건강 음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536A (ko) * 2017-11-23 2019-05-31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활성형 진노세사이드 함유 아로니아 음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7576B1 (ko) * 2017-11-23 2019-08-0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활성형 진노세사이드 함유 아로니아 음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78313B1 (ko) * 2018-05-14 2019-05-14 김태석 홍삼 캔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홍삼 캔디의 제조 방법
KR102113927B1 (ko) * 2018-12-13 2020-05-21 지리산마천농업협동조합 항염증 활성이 강화된 아로니아 음료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272A (ko)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552B1 (ko)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Bhatt et al. Nutraceutical potential of selected wild edible fruits of the Indian Himalayan region
Lu et al. Toxicology and safety of anti-oxidant of bamboo leaves. Part 1: Acute and subchronic toxicity studies on anti-oxidant of bamboo leaves
Kubola et al. Phytochemicals, vitamin C and sugar content of Thai wild fruits
Cejudo-Bastante et al. Betalain profile, phenolic content, and color characterization of different parts and varieties of Opuntia ficus-indica
Uysal et al. Chemical and biological approaches on nine fruit tree leaves collected from the Mediterranean region of Turkey
Capanoglu et al. Procyanidins in fruit from Sour cherry (Prunus cerasus) differ strongly in chainlength from those in Laurel cherry (Prunus lauracerasus) and Cornelian cherry (Cornus mas)
KR101543569B1 (ko) 칼라만시를 이용한 안토시아닌 함유 천연 추출물의 안정화 방법
Mahmoud et al. Immunomodulator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omegranate juice incorporated with spirulina and echinacea extracts sweetened by stevioside
Conde et al. Extrac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plant foods
KR20180040534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Rizaldy et al. Lemon (Citrus limon L.): Antioxidative Activity and Its Marker Compound
KR102012872B1 (ko) 복분자, 차전자, 오미자, 구기자, 토사자 및 사상자로 이루어지는 음료용 고농축액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음료용 고농축액
Bhise et al. Antioxidant property and health benefits of grape byproducts
El-Hawary et al. Nutritional evaluation, chemical investigation of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erocactus glaucescens ripe fruits
KR20170077980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Imamoglu Total antioxidant capacity, phenolic compounds and sugar content of Turkey Ziziphus jujubes
CN105188419B (zh) 制备圆叶葡萄果渣提取物的方法
KR20160101578A (ko) 컬러푸드를 이용한 항산화 및 항염증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apunga Flory et al. Study on physico-chemic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blood fruit [Haematocarpus validus (Miers.) Bakh. f. ex Forman]
Kazmi et al. Natural Anthocyanins from Subtropical Fruits for Cardiac Disease Prevention
KR20110037020A (ko) 양잠산물과 한약재를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Srihanam et al.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sugarcane (Saccharum officinarum L.) bagasse extracts
Christabel et al. In vitro antioxidant studies and the scavenging potential of pulp and peel of Prunus persica i. fruit on different solvent systems
Khan et al.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s of extracts from pulp and peel of Malus domest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