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1560A - 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1560A
KR20150051560A KR1020130133158A KR20130133158A KR20150051560A KR 20150051560 A KR20150051560 A KR 20150051560A KR 1020130133158 A KR1020130133158 A KR 1020130133158A KR 20130133158 A KR20130133158 A KR 20130133158A KR 20150051560 A KR20150051560 A KR 20150051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battery
present
connector
terminal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8051B1 (ko
Inventor
양태석
김건아
김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3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051B1/ko
Priority to US14/154,898 priority patent/US9484767B2/en
Priority to CN201410046254.7A priority patent/CN104617607A/zh
Publication of KR20150051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06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on insulating boards, e.g. wiring harnesses
    • H05K7/08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on insulating boards, e.g. wiring harnesses on perforated bo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7/025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회로 배선이 구비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에 실장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단자핀; 및 상기 기판의 타면에 구비되고 상기 단자핀과 결합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Board assembly and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기판의 일면에는 기판을 관통하는 단자핀을 구비한 커넥터가 실장되는 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Secondary Battery)가 배터리로서 장착된다.
이러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가정용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별도의 충전 장치가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충전 장치와 배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서, 두 접촉 단자를 서로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충전 장치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접촉 단자가 외부에 돌출되면, 미관상 좋지 않고 접촉 단자가 외부의 이물질에 오염되어 접촉 상태가 쉽게 불량해지기도 한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로 배터리에 단락이 발생하거나 습기에 노출되면, 충전에너지가 쉽게 소실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식 충전 방식의 대안으로서, 충전 장치와 배터리 각각의 접촉 단자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는 방식으로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전력 전달이 무선으로 이루어지는 무선 충전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충전 방식은 무선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갖는 휴대용 전자 기기로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을 지칭한다.
이러한 무선 충전 장치와, 휴대용 전자 기기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전력을 송수신하게 된다.
한편, 현재 기술 추세는 이러한 무선 충전 장치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종래의 무선 충전 장치의 무선 전력 송신기의 경우 기판에 전자부품과 배터리가 동일면상에 실장됨으로써 기판의 면적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배터리를 기판의 하면에 결합하여 기판의 면적을 최소화하는 기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판을 관통하는 단자핀을 구비하는 커넥터와 상기 단자핀과 결합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기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어셈블리는 회로 배선이 구비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에 실장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단자핀; 및 상기 기판의 타면에 구비되고 상기 단자핀과 결합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어셈블리에서 상기 단자핀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어셈블리에서 상기 배터리와 결합하는 단자핀의 일단은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어셈블리에서 상기 단자 핀의 일단은 더미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어셈블리에서 상기 배터리와 상기 기판은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어셈블리에서 상기 커넥터의 일측에는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단자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어셈블리에서 상기 연결 단자부와 상기 기판은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어셈블리에서 상기 기판은 코일 패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및 하부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회로 배선을 구비하는 기판;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단자핀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의 일면에 실장되는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의 타면에 구비되고 상기 단자핀과 결합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상기 기판을 내부에 수용하는 중간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상기 기판과 상기 중간 커버는 나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상기 기판은 코일 패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판 어셈블리에서 커넥터는 기판의 일면에 실장되며 기판을 관통하는 단자핀을 구비한다. 또한, 배터리는 기판의 타면에서 상기 단자핀과 결합하게 됨으로써 전자 부품과 배터리는 기판의 다른 평면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기판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전력 송신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의 (b)는 도 2의 A부분에 배터리가 결합된 형상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부분에 배터리가 결합된 형상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부분에 배터리가 결합된 형상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무선 전력 송신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기판을 구비하고 있는 다양한 전자장치에 적용가능하나,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써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전력 송신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a) 및 3(b)는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기판 어셈블리(110) 및 하우징(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호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상부커버(41)와 하부커버(42)를 포함하는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기판 어셈블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어셈블리(110)는 기판(10), 코일패턴부(20) 및 배터리(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기판(10)은 회로배선(14), 커넥터(11) 및 전원 입력부(1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기판(10)은 강성을 갖는 절연 기판으로,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세라믹 기판, 프리-몰딩(pre-molded)기판, 또는 DBC(direct bonded copper) 기판이거나, 절연된 금속 기판(insulated metal substrate, IMS)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필름이나 박형의 인쇄 회로 기판 등 두께가 얇고 배선 패턴이 형성된 유연성 기판(Flexible PCB)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기판(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부품(13)이 실장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실장용 전극(미도시) 및 실장용 전극들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 전극 및 회로 배선(14)이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기판(10)은 상면에 형성되는 실장용 전극과 기판(10)에 형성되는 회로 배선(14), 그리고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비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내부에 전자 부품을 실장할 수 있는 캐비티(cavity)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10) 에는 유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 패턴부(20)와 전자부품(13)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코일 패턴부(20)는 상기 기판(10)의 일면에 코일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화된 금속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일 패턴부(20)는 금속층과 패턴 공정(Patterning Process)에 의해 상기 금속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코일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코일 패턴부(20)는 상기 기판(10)의 일면에 실장될 수 있다.
다만, 도면의 도시는 생략하나, 상기 코일 패턴부(20)는 별도의 금속층을 구비하지 않고 코일 패턴이 직접 상기 기판(10)의 일면에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도면의 도시는 생략하나, 상기 코일 패턴부(20)는 상기 기판(10)의 일면에 배선 패턴의 형태로 직접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층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 패턴부(20)는 상기 기판(10)의 내부에 권선 코일을 매립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코일 패턴부(20)는 상기 기판(10)의 일면에 원 형의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의 도시에서는, 상기 코일 패턴부(20)가 전체적으로 원 형의 소용돌이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각형 형상의 소용돌이 형태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여기서, 상기 기판(10) 에는 회로배선(14)이 형성될 수 있고, 전자부품(13)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회로 배선(14)도 상기 코일 패턴부(20)와 마찬가지로 패턴 공정(Patterning Process)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에는 상기 코일 패턴부(20)와 상기 회로배선(14)이 모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코일 패턴부(20)와 상기 회로 배선(14)이 각각 다른 층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의 일면에는 상기 코일 패턴부(20)가 패턴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기판(10)의 타면에는 상기 회로배선(14)이 패턴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의 일단에는 전원 입력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입력부(12)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배터리(30)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 입력부(12)는 USB(Universal Serial Bus)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배터리(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전원 입력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외부 전원을 통해, 배터리(30)에 전력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외부 전원과 연결된 상태에서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30)의 전력을 통하여 외부 전원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커넥터(11)는 단자핀(11a) 및 연결 단자부(1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를 참조하면, 배터리(30)는 상기 커넥터(11)가 실장된 기판의 반대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1)는 상기 배터리(30)와 무선 전력 송신기(100) 내부의 전자부품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필요에 따라 커넥터가 한 개 또는 복수 개 구비된 기판을 제안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커넥터(11)는 상기 기판(1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11)의 일단에 구비된 연결 단자부(11b)에 의해 상기 기판(10)에 솔더링(soldering)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단자부(11b)는 상기 기판(10)의 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11)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 단자부(11b)는 상기 기판(10)에 용이하게 솔더링(soldering)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11)의 일측에는 상기 커넥터(11)와 상기 배터리(3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단자핀(11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자핀(11a)의 일단은 상기 커넥터(11)와 접해있으며, 타단은 상기 기판(10)을 관통하여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3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1)와 상기 배터리(30)가 기판(10)의 다른 면에 위치하더라도 기판(10)을 관통하는 상기 단자핀(11a)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는 단자핀(11a)에 의해서, 상기 커넥터(11)와 상기 배터리(30)는 상기 기판(10)의 각각 다른 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11)가 구비된 상기 기판(10)의 일면에는 전자부품(13)을 실장 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판(1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무선 전력 송신기를 박형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핀(11a)은 필요에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단자핀의 일단에는 더미부(도 4, 11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더미부(11c)의 기판(10)과 접해있는 일면에는 본드가 도포되어 상기 기판(10)과 본딩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1)와 기판(10)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핀(11a)의 일단에는 절곡부(도 5, 11d)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곡부(11d)에 의해 상기 단자핀(11a)는 기판(10)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단자핀(11a)이 기존의 위치에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자핀(11a)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할 수 있으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배터리(30)는 일면에 커넥터(11)를 구비한 기판(10)의 타면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커넥터(11)가 위치한 기판(10)일면의 반대면에 구비되어, 상기 단자핀(11a)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30)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전원 입력부(12)에 연결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30)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외부전원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전자기기에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30)는 상기 기판(10)의 타면에 본딩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30)는 상기 하우징(40), 더욱 상세히는, 상기 배터리(30)가 배치되는 방향의 커버(도면의 도시에서는 하부 커버(42))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40)에 본딩 또는 나사 결합되거나 기타 다른 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40)은 상부 커버(41)와 하부 커버(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41)에는하부 커버(42)와 결합가능하도록 제 1결합 홈(41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42)의 일측에는 전원 입력부(12)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 1홈부(42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42) 에는 상기 상부 커버(41) 결합 가능하도록 제 1결합 돌기(42a)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결합 돌기(42a)는 상기 제 1결합 홈(41a)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다만, 상기 상부 커버(41) 및 하부 커버(42)의 결합방법은 전술한 결합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딩 결합, 나사 결합 등으로 다양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상부 커버(41)와 하부 커버(42)는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40)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기판 어셈블리(11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무선 전력 송신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기판 어셈블리(110) 및 하우징(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와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고 상기 하우징(40)의 구성만이 차별될 수 있다.
이에 동일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 커버(41), 하부 커버(42) 및 중간 커버(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커버(43)는 상기 상부 커버(41)의 하단 및 상기 하부 커버(42)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커버(43) 상단에는 상기 상부 커버(41)와의 결합을 위한 제 2결합돌기(43a)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 커버(43)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 커버(42)와의 결합을 위한 제 2결합 홈(43b)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결합 돌기(43a) 및 제 2결합 홈(43b)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커버(41) 및 상기 하부 커버(42)에는 제 1결합 홈(41a) 및 제 1결합 돌기(42a)가 구비 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상부 커버(41), 중간 커버(43) 및 하부 커버(42)의 결합 방법은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딩 결합, 나사 결합 등으로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커버(43)는 배터리(30)가 수용되는 내부공간(43c)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공간(43c)은 배터리(30)의 형상 및 개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중간 커버(43)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커버(43)의 일면에는 기판(10)이 배치 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 커버(43)와 상기 기판(10)은 나사 결합, 또는 본딩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중간 커버에는 전원 입력부(12)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홈부(43d)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 커버(43)에 의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기판(10)과 배터리(30)는 분리되지 않고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무선 전력 송신기
110: 기판 어셈블리
10: 기판
11: 커넥터
20: 코일 패턴부
30: 배터리
40: 하우징

Claims (12)

  1. 회로 배선이 구비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에 실장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단자핀; 및
    상기 기판의 타면에 구비되고 상기 단자핀과 결합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기판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핀은 복수개 구비되는 기판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와 결합하는 단자핀의 일단은 절곡되어 있는 기판 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핀의 일단은 더미부를 구비하는 기판 어셈블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와 상기 기판은 접착제에 의해 결합하는 기판 어셈블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일측에는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단자부가 구비되는 기판 어셈블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부와 상기 기판은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결합되는 기판 어셈블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코일 패턴부를 구비하는 기판 어셈블리
  9.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및 하부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회로 배선을 구비하는 기판;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단자핀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의 일면에 실장되는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의 타면에 구비되고 상기 단자핀과 결합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내부에 수용하는 중간커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중간커버는 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전자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코일 패턴부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KR1020130133158A 2013-11-04 2013-11-04 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KR101558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158A KR101558051B1 (ko) 2013-11-04 2013-11-04 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US14/154,898 US9484767B2 (en) 2013-11-04 2014-01-14 Board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410046254.7A CN104617607A (zh) 2013-11-04 2014-02-10 板组件和包括该板组件的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158A KR101558051B1 (ko) 2013-11-04 2013-11-04 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560A true KR20150051560A (ko) 2015-05-13
KR101558051B1 KR101558051B1 (ko) 2015-10-06

Family

ID=53006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158A KR101558051B1 (ko) 2013-11-04 2013-11-04 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84767B2 (ko)
KR (1) KR101558051B1 (ko)
CN (1) CN10461760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4846A (ko) * 2015-12-02 2017-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분 차단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무선충전유닛
WO2020009322A1 (ko) * 2018-07-04 2020-01-09 엘지이노텍(주) 무선 충전용 안테나 어셈블리 및 그것이 장착된 무선 전력 수신기
KR102342953B1 (ko) * 2021-08-19 2021-12-23 양황순 무선충전의 송,수신용 패드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510B1 (ko) * 2015-06-16 2017-01-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내구성 향상을 위한 무선충전장치
KR102484849B1 (ko) * 2015-12-18 2023-01-05 주식회사 위츠 코일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22277A1 (en) * 1992-11-30 2009-12-31 Broadcom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ized data communication device
JP2008103219A (ja) 2006-10-19 2008-05-01 Mitsumi Electric Co Ltd 回路モジュール
KR20090002296U (ko) 2007-09-03 2009-03-06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무선 단말기용 배터리 커넥터 플러그
WO2011091528A1 (en) * 2010-01-27 2011-08-04 Cynetic Designs Ltd. Modular pocket with inductive power and data
US20110050164A1 (en) * 2008-05-07 2011-03-03 Afshin Partovi System and methods for inductive charging, and improvements and uses thereof
KR101014992B1 (ko) * 2009-12-22 2011-02-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커넥터
CN102742122B (zh) 2010-01-29 2015-05-27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力受电装置及电力送电装置
US20110241607A1 (en) * 2010-04-06 2011-10-06 Garmin Ltd. Electronic device with integral inductive charging station
KR101806955B1 (ko) * 2010-05-19 201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무접점 충전 장치
JP2011243841A (ja) * 2010-05-20 2011-12-01 Asmo Co Ltd 電子部品
US10115520B2 (en) * 2011-01-18 2018-10-30 Mojo Mobility, Inc. Systems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
KR101198881B1 (ko) * 2011-01-26 2012-11-07 파나소닉 주식회사 비접촉 충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신측 및 송신측 비접촉 충전 기기
CN203366972U (zh) * 2011-01-26 2013-12-2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非接触充电模块以及使用该非接触充电模块的接收侧非接触充电设备及发送侧非接触充电设备
KR101332163B1 (ko) 2011-09-30 2013-11-21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30118413A (ko) 2012-04-20 201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무선 충전 장치 및 회로
CN102651464B (zh) * 2012-05-25 2016-01-27 深圳市万拓电子技术有限公司 可拆式触点电源
KR101204510B1 (ko) * 2012-07-09 2012-11-26 (주)에스피에스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US9035602B2 (en) * 2012-08-24 2015-05-19 Silicon Spread Corporation Wireless battery charger for mobile devices and method thereof
KR102007226B1 (ko) * 2013-01-08 2019-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4846A (ko) * 2015-12-02 2017-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분 차단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무선충전유닛
WO2020009322A1 (ko) * 2018-07-04 2020-01-09 엘지이노텍(주) 무선 충전용 안테나 어셈블리 및 그것이 장착된 무선 전력 수신기
KR102342953B1 (ko) * 2021-08-19 2021-12-23 양황순 무선충전의 송,수신용 패드 어셈블리
WO2023022437A1 (ko) * 2021-08-19 2023-02-23 양황순 무선충전의 송,수신용 패드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23603A1 (en) 2015-05-07
KR101558051B1 (ko) 2015-10-06
US9484767B2 (en) 2016-11-01
CN104617607A (zh)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051B1 (ko) 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TWI500204B (zh) 電池模組
KR102661196B1 (ko) 적층형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M475107U (zh) 無線充電背蓋
US20160322857A1 (en) Coil, non-contact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741364B1 (ko) 코일 타입 기반의 안테나 및 이의 형성 방법
US9538655B2 (en) Electronic assembly
TW201621531A (zh) 電子設備及其電池連接裝置
JP3206949U (ja) プラグ付き電子機器
JP2011210937A (ja) コイルモジュール、及び該コイルモジュールを備えた電子機器
JP2010080691A (ja) シールド構造及び電子機器
CN112956177A (zh) 包括基板的基板连接构件以及包括该基板连接构件的电子设备,该基板具有围绕其中形成直通导线的区域的开口部分和形成在开口部分的侧表面上的导电构件
TWI583069B (zh) 電連接器及具有該電連接器之電子裝置
TW201036249A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antenna
KR20180044562A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TWI540951B (zh) 電子裝置
TWI705628B (zh) 輸入連接裝置
KR101434106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WO2018168336A1 (ja) 信号伝送モジュール
TWI578863B (zh) 印刷電路板結構
TWI581512B (zh) 電連接器及電子裝置
TWM474269U (zh) 連接組件
TWM485525U (zh) 連接組件
JP5991355B2 (ja) コイルモジュール、及び該コイルモジュールを備えた電子機器
TW201351786A (zh) 電池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