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1319A - 인력 중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력 중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1319A
KR20150051319A KR1020130113981A KR20130113981A KR20150051319A KR 20150051319 A KR20150051319 A KR 20150051319A KR 1020130113981 A KR1020130113981 A KR 1020130113981A KR 20130113981 A KR20130113981 A KR 20130113981A KR 20150051319 A KR20150051319 A KR 20150051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power
information
personnel
operating means
requ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용식
Original Assignee
문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용식 filed Critical 문용식
Priority to KR1020130113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1319A/ko
Publication of KR20150051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차 산업의 운영상에 있어 인력투입시기를 상세히 예측 가능하고 미리 수급 가능 인력을 확보하여 적재적시에 공급할 수 있는 인력 중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1차 산업에 있어 인력을 중개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관/군 인력, 자원봉사 인력, 품앗이 인력 및 용역 인력을 포함한 인력 자원을 지원 및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고 인증된 인력 자원을 복수의 요청자에게 공급하도록 인력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운영 수단은, 복수의 요청자를 1차 산업 종류에 따라 계층별로 분류하며 각 계층별 요청자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인력 자원을 분배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인력 중개 방법 및 시스템{Job market agencing method and system }
본 발명은 1차 산업의 운영상에 있어 인력투입시기를 상세히 예측 가능하고 미리 수급 가능 인력을 확보하여 적재적시에 공급할 수 있는 인력 중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의 65세 이상 인구는 2010년 11%에서 2026년에는 20.8%로 초고령화 사회에 도달할 전망이며 특히, 농촌지역은 농가인구 중 65세 이상 비율이 이미 65%를 넘어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다.
이에 더하여 산업의 고도화 및 도시로의 인구 이동 등으로 농촌인구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인력수급 불일치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은 물론, 매년 인건비가 상승함으로써 1차산업, 특히 농업 발전에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 농촌의 부족 인력은 소규모 민간 인력시장을 통해 공급하고 있으나 과도한 알선 수수료의 부담과 작업 시 발생하는 상해에 대한 보장대책이 없어 농촌인력공급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생산자 입장에서는 저렴한 인건비 지출을 꾀하나 노동자 또는 노동력을 공급하는 인력 회사는 가급적 많은 비용을 받으려 하는 상반된 견해 차이로 갈등은 물론, 일부 악덕회사들로 인한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생산자에게는 저렴한 인건비를 노동의 주체인 인력 당사들에게는 그만큼의 현실적인 대가를 지불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며 민, 관의 체계적인 교류가 미비하여 생산자 간 네트워크 교류 형성이 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95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1차 산업의 운영상에 있어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생산자 간 인력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전지역에 걸쳐 인력수급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인력 중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인력 중개 시스템은, 1차 산업에 있어 인력을 중개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관/군 인력, 자원봉사 인력, 품앗이 인력 및 용역 인력을 포함한 인력 자원을 지원 및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고 인증된 인력 자원을 복수의 요청자에게 공급하도록 인력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운영 수단은, 복수의 요청자를 1차 산업 종류에 따라 계층별로 분류하며 각 계층별 요청자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인력 자원을 분배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운영 수단은, 상기 인력 자원의 정보가 저장된 신청자 데이터베이스; 인력을 요청한 요청자 정보가 저장된 요청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요청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요청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력 자원을 요청자에게 배정하고 상기 계층별 요청자 간에 품앗이 순위를 결정하며 배정된 인력에 대한 과금을 청구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요청자 정보는, 요청자 신상 정보, 요청 인원 정보, 요청 기간 정보, 지역 정보, 1차 산업 종류 정보, 보유 시설 정보, 시기별 업무 정보 및 품앗이 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인력 자원을 관/군 인력, 자원봉사 인력, 품앗이 인력 및 용역 인력으로 계층별로 분류하는 인력분류부; 상기 인력분류부에서 분류된 계층별 인력 자원을 기설정된 공급 비율에 따른 인원으로 배정하는 인력배정부; 및 상기 인력배정부에서 배정된 인력 자원에 대한 과금을 청구하는 과금청구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인력분류부는 상기 인력 자원을 권역별로 분류하며, 상기 인력배정부에서는 권역별로 분류된 인력 자원 중 요청자의 지역과 인접한 권역에 해당되는 인력 자원을 우선으로 배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인력 요청자에게는 인력 요청 정보 및 인력 배정 정보, 과금 청구 정보 및 품앗이 정보를, 인력 신청자에게는 인력 배정 정보, 위치 정보, 업무 내용 정보, 근무 기간 정보, 임금 정보를 공개하는 정보공개부; 및 상기 인력 신청자가 해당 인력 배정에 대한 거절 또는 수락 의사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며, 거절 시 인력을 재배정하는 의사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은 퍼스널 컴퓨터 또는 모바일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운영 수단은 인력 중개 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는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인력 중개 방법은, a) 인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요청자 정보를 입력하며 필요 인력을 요청하는 단계; b) 운영 수단에서 요청자에 대한 우선순위와 품앗이 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운영 수단에서 관/군 인력, 자원봉사 인력, 품앗이 인력 및 용역 인력을 포함한 인력 지원을 신청한 인력 자원을 계층별로 분류하고, 상기 요청자 정보를 기초로 인력을 구성하여 배정하는 단계; d) 상기 운영 수단에서 신청자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요청자 정보를 공개하고 배정된 인력을 상기 요청자에게 공급하는 단계; 및 e) 상기 운영 수단에서 요청자가 요청한 인력 인원에 따른 과금을 청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운영 수단은 계층별로 분류된 인력 자원을 기설정된 비율에 따라 인원을 구성하여 배정하는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인력을 요청한 요청자는 상기 운영 수단에서 설정된 품앗이 순위에 따라 타 요청자의 품앗이 인력으로 편성되며, 상기 운영 수단은 순위에 따라 품앗이 인력으로 배정 시 상기 요청자에게 통보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d) 단계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인력 요청자에게는 인력 요청 정보 및 인력 배정 정보, 과금 청구 정보 및 품앗이 정보를, 인력 신청자에게는 인력 배정 정보, 위치 정보, 업무 내용 정보, 근무 기간 정보, 임금 정보를 공개하는 단계; 상기 인력 신청자가 해당 인력 배정에 대한 거절 또는 수락 의사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인력 신청자가 거절 의사를 통보하면 상기 운영 수단에서 인력을 재구성하여 재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력 중개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안정적인 일력 공급을 통해 1차 산업 전반에 걸친 인력난 문제를 해결하고, 무분별한 봉사 활동과 필요 이상의 봉사 인원을 배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품앗이 문화를 되살려 농가 인력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농번 시기가 대조적인 지역대 지역 간 농가 인력 품앗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력 중개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력 중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영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층별 인력 비율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력 중개 서비스의 메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력 중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력 중개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력 중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영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층별 인력 비율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1차 산업에 있어 인력을 원활하게 수급하며 이를 필요로 하는 요청자에게 적재적시에 공급하기 위한 인력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과 운영 수단(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관/군의 대민지원 인력, 자원봉사 인력, 품앗이 인력 및 용역 인력을 포함한 인력 자원을 지원 신청하거나 요청하기 위한 것으로, 퍼스널 컴퓨터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 수단(100)은 인력 중개 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는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App)을 상기 퍼스널 컴퓨터 또는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는 인력을 요청하는 요청자, 자원 봉사 단체, 품앗이 신청자, 용역 구직 신청자 및 관/군 단체를 포함한 개인 또는 단체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운영 수단(100)에서 제공되는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력 지원 또는 인력 요청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 내지 명령들을 입력하게 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알람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통보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수단(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을 인증한다. 즉, 상기 운영 수단(100)은 기 가입된 사용자에 한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때의 인증 방식은 공지 기술 등을 통하여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운영 수단(100)은 인증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인력 요청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인증된 인력 자원을 복수의 요청자에게 배정 및 공급하도록 인력 중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운영 수단(100)은 복수의 요청자를 1차 산업 종류에 따라 계층별로 분류하며, 각 계층별 요청자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인력 자원을 분배하여 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영 수단(100)은 신청자 데이터베이스(110), 요청자 데이터베이스(120) 및 운영 서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청자 데이터베이스(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입력된 상기 인력 자원의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인력 자원의 정보는 인력 지원을 신청한 관/군의 대민지원 인력, 자원봉사 인력, 품앗이 인력 및 용역 인력 등 각각의 단체명 및 개인의 이름, 나이, 성별, 희망 직종, 전화번호, 거주지 주소, 희망 기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청자 데이터베이스(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인력을 요청한 요청자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요청자 정보는 요청자의 이름, 성별, 나이, 주소, 전화번호를 포함한 개인 신상 정보, 요청 인원 정보, 요청 기간 정보, 지역 정보, 1차 산업 종류 정보, 보유 시설 정보, 시기별 업무 정보 및 품앗이 순위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신청자 및 요청자 데이터베이스(110, 120)의 정보들을 통해 상기 운영 수단(100)은 각종 통계를 산출하게 되며, 추후 권역별 세부적인 인력공급시기를 예측 및 결정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30)는 상기 요청자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요청자 정보를 기초로 즉, 각 요청자의 요청 인원, 지역, 1차 산업 종류, 시기별 업무 정보 등을 참조하여 그에 적합한 인력 자원을 선별하여 요청자에게 배정한다.
그리고 상기 운영 서버(120)는 계층별로 그룹화된 복수의 요청자에 대하여 각 그룹별 요청자 간에 품앗이 순위를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품앗이 순위는 농업 그룹으로 분류된 각각의 요청자에게 순위를 부여함에 있어 수확 농작물에 따라 인력이 많이 필요한 시기를 파악하여 그에 적합한 품앗이 순위를 결정하게 되며, 요청자들은 정해진 순위에 따라 선행 순위의 요청자에게 품앗이 인력으로 배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품앗이 인력은 권고 사항이 아닌 회원 가입된 복수의 요청자들에게 의무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통보한다.
또한, 상기 운영 서버(130)는 인력을 요청한 요청자에게 배정된 인력에 대한 과금을 청구한다. 이때, 상기 과금은 각각의 인력 인원에 대한 인건비, 식대 및 중개 수수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운영 서버(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력분류부(131)와 인력배정부(132) 및 과금청구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력분류부(131)는 인력 지원을 신청한 복수의 인력 자원을 관/군 인력, 자원봉사 인력, 품앗이 인력 및 용역 인력으로 계층별로 분류한다.
상기 인력배정부(132)는 상기 인력분류부에서 분류된 계층별 인력 자원을 기설정된 공급 비율에 따른 인원으로 구성하여 각각 배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역 인력 60%, 품앗이 인력 20%, 관/군 인력 10%, 자원봉사 인력 10%의 비율로 계층별 인력 인원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적인 일자리의 창출과 무분별한 봉사 활동을 예방하고 필요 이상의 봉사 인원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인력분류부(131)는 상기 인력 자원을 권역별로 분류하며, 상기 인력배정부(132)에서는 권역별로 분류된 인력 자원 중 요청자의 지역과 인접한 권역에 해당되는 인력 자원을 우선으로 배정할 수 있다.
상기 과금청구부(133)는 상기 인력배정부(132)에서 배정된 인력 자원에 대한 과금을 청구하는 것으로, 계층별 인력에 관계없이 배정된 인원수에 따른 과금을 상기 요청자의 사용자 단말(200)로 청구한다.
그리고 상기 과금청구부(133)는 입금된 비용에 대하여 용역 인원에게 합당한 임금을 지불한다.
여기서, 상기 과금청구부(133)의 과금 청구 및 계층별 인력에 대한 비용 지급 방법 등은 운영상 중개 관리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운영 서버(130)는 정보공개부(134) 및 의사결정부(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공개부(134)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인력 요청자에게는 인력 요청 정보 및 인력 배정 정보, 과금 청구 정보 및 품앗이 정보를, 인력 신청자에게는 인력 배정 정보, 위치 정보, 업무 내용 정보, 근무 기간 정보, 임금 정보를 공개하여 상기 요청자 및 신청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의사결정부(135)는 상기 인력 신청자가 해당 인력 배정에 대한 거절 또는 수락 의사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며, 거절 시 인력을 재배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력 중개 서비스의 메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사용자 단말(200)이 모바일일 경우 모바일에서 서비스가 구현되도록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며, 기가입된 사용자는 회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그리고 품앗이 또는 자원봉사의 인력 지원을 신청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희망지역을 선택하도록 하는 지역설정 화면이 표출되며, 신청자의 지역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운영 수단(100)은 해당 지역에서 우선순위에 있는 인력 요청자에게 인력을 배정하도록 처리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력 중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력 중개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인증된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력을 필요로 하는 요청자 정보와 인력을 지원하는 관/군 인력, 자원봉사 인력, 품앗이 인력 및 용역 인력을 포함한 인력 자원 정보를 입력한다.
운영 수단(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들을 신청자 데이터베이스(110) 및 요청자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인력을 요청한 요청자는 상기 운영 수단(100)에서 설정된 품앗이 순위에 따라 타 요청자의 품앗이 인력으로 편성되며, 상기 운영 수단(100)은 순위에 따라 품앗이 인력으로 배정 시 상기 요청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상기 과정 이후, 상기 요청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필요 인력을 요청한다.(S100)
상기 운영 수단(100)에서는 상기 요청자의 인력 요청 정보를 입력받고, 해당 요청자의 정보를 통해 우선순위와 품앗이 순위를 설정한다.(S200)
이후, 상기 운영 수단(100)에서 관/군 인력, 자원봉사 인력, 품앗이 인력 및 용역 인력을 포함한 인력 지원을 신청한 인력 자원을 계층별로 분류하고, 상기 요청자 정보를 기초로 인력을 구성하여 배정한다.(S300)
이때, 상기 운영 수단(100)은 계층별로 분류된 인력 자원을 기설정된 비율에 따라 인원을 구성하여 배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예를 들면 상기 인력 자원의 비율을 용역 인력 60%, 품앗이 인력 20%, 관/군 인력 10%, 자원봉사 인력 10%로 구성하여 고정적인 일자리의 창출과 무분별한 봉사 활동을 예방하고 필요 이상의 봉사 인원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운영 수단(100)에서는 신청자의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요청자 정보를 공개하여 인력 지원을 신청한 신청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과정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인력 요청자에게는 인력 요청 정보 및 인력 배정 정보, 과금 청구 정보 및 품앗이 정보를, 인력 신청자에게는 인력 배정 정보, 위치 정보, 업무 내용 정보, 근무 기간 정보, 임금 정보를 공개한다.(S400)
그리고 상기 인력 신청자가 해당 인력 배정에 대한 거절 또는 수락 의사를 결정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인력 신청자가 거절 의사를 통보하면 상기 운영 수단(100)에서는 인력을 재구성하여 재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S500)
이렇게 인력의 구성 및 배정이 확정되면 상기 운영 수단(100)은 배정된 인력을 상기 요청자에게 공급하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신청자들에게 통보하게 된다.(S600)
이후, 상기 운영 수단(100)에서는 요청자가 요청한 인력 인원에 따른 과금을 청구하게 되고, 상기 요청자는 청구된 과금을 결제한다.(S700)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 운영 수단 200 : 사용자 단말
110 : 신청자 데이터베이스 120 : 요청자 데이터베이스
130 : 운영 서버 131 : 인력분류부
132 : 인력배정부 132 : 과금청구부
134 : 정보공개부 135 : 의사결정부

Claims (11)

1차 산업에 있어 인력을 중개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관/군 인력, 자원봉사 인력, 품앗이 인력 및 용역 인력을 포함한 인력 자원을 지원 및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고 인증된 인력 자원을 복수의 요청자에게 공급하도록 인력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운영 수단은, 복수의 요청자를 1차 산업 종류에 따라 계층별로 분류하며 각 계층별 요청자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인력 자원을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 중개 시스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수단은
상기 인력 자원의 정보가 저장된 신청자 데이터베이스;
인력을 요청한 요청자 정보가 저장된 요청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요청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요청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력 자원을 요청자에게 배정하고 상기 계층별 요청자 간에 품앗이 순위를 결정하며 배정된 인력에 대한 과금을 청구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 중개 시스템.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자 정보는,
요청자 신상 정보, 요청 인원 정보, 요청 기간 정보, 지역 정보, 1차 산업 종류 정보, 보유 시설 정보, 시기별 업무 정보 및 품앗이 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 중개 시스템.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인력 자원을 관/군 인력, 자원봉사 인력, 품앗이 인력 및 용역 인력으로 계층별로 분류하는 인력분류부;
상기 인력분류부에서 분류된 계층별 인력 자원을 기설정된 공급 비율에 따른 인원으로 배정하는 인력배정부; 및
상기 인력배정부에서 배정된 인력 자원에 대한 과금을 청구하는 과금청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중개 시스템.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력분류부는 상기 인력 자원을 권역별로 분류하며, 상기 인력배정부에서는 권역별로 분류된 인력 자원 중 요청자의 지역과 인접한 권역에 해당되는 인력 자원을 우선으로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 중개 시스템.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인력 요청자에게는 인력 요청 정보 및 인력 배정 정보, 과금 청구 정보 및 품앗이 정보를, 인력 신청자에게는 인력 배정 정보, 위치 정보, 업무 내용 정보, 근무 기간 정보, 임금 정보를 공개하는 정보공개부; 및
상기 인력 신청자가 해당 인력 배정에 대한 거절 또는 수락 의사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며, 거절 시 인력을 재배정하는 의사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 중개 시스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퍼스널 컴퓨터 또는 모바일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운영 수단은 인력 중개 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는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 중개 시스템.
a) 인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요청자 정보를 입력하며 필요 인력을 요청하는 단계;
b) 운영 수단에서 요청자에 대한 우선순위와 품앗이 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운영 수단에서 관/군 인력, 자원봉사 인력, 품앗이 인력 및 용역 인력을 포함한 인력 지원을 신청한 인력 자원을 계층별로 분류하고, 상기 요청자 정보를 기초로 인력을 구성하여 배정하는 단계;
d) 상기 운영 수단에서 신청자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요청자 정보를 공개하고 배정된 인력을 상기 요청자에게 공급하는 단계; 및
e) 상기 운영 수단에서 요청자가 요청한 인력 인원에 따른 과금을 청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 중개 방법.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운영 수단은 계층별로 분류된 인력 자원을 기설정된 비율에 따라 인원을 구성하여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 중개 방법.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력을 요청한 요청자는 상기 운영 수단에서 설정된 품앗이 순위에 따라 타 요청자의 품앗이 인력으로 편성되며, 상기 운영 수단은 순위에 따라 품앗이 인력으로 배정 시 상기 요청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 중개 방법.
제 8항에 있어서,
d) 단계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인력 요청자에게는 인력 요청 정보 및 인력 배정 정보, 과금 청구 정보 및 품앗이 정보를, 인력 신청자에게는 인력 배정 정보, 위치 정보, 업무 내용 정보, 근무 기간 정보, 임금 정보를 공개하는 단계;
상기 인력 신청자가 해당 인력 배정에 대한 거절 또는 수락 의사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인력 신청자가 거절 의사를 통보하면 상기 운영 수단에서 인력을 재구성하여 재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 중개 방법.
KR1020130113981A 2013-09-25 2013-09-25 인력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51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981A KR20150051319A (ko) 2013-09-25 2013-09-25 인력 중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981A KR20150051319A (ko) 2013-09-25 2013-09-25 인력 중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319A true KR20150051319A (ko) 2015-05-13

Family

ID=5338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981A KR20150051319A (ko) 2013-09-25 2013-09-25 인력 중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131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156A (ko) * 2017-09-13 2019-03-21 김동필 직업 소개소간 인력 중개 방법
KR101988832B1 (ko) 2018-10-16 2019-06-12 기준수 인적 경험 커뮤니티 중개 방법
KR20190129324A (ko) * 2018-05-10 2019-11-20 주식회사 제이케이시스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도농 상생 일자리 및 정보서비스 시스템
KR20210071259A (ko) * 2019-12-06 2021-06-16 김수완 촌락 노동 여행 운영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20169218A (ko) 2021-06-18 2022-12-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농작업 대행업체 매칭 시스템 및 매칭 방법
KR20240062364A (ko) 2022-10-31 2024-05-09 정혁 농가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지원 플랫폼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156A (ko) * 2017-09-13 2019-03-21 김동필 직업 소개소간 인력 중개 방법
KR20190129324A (ko) * 2018-05-10 2019-11-20 주식회사 제이케이시스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도농 상생 일자리 및 정보서비스 시스템
KR101988832B1 (ko) 2018-10-16 2019-06-12 기준수 인적 경험 커뮤니티 중개 방법
KR20210071259A (ko) * 2019-12-06 2021-06-16 김수완 촌락 노동 여행 운영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20169218A (ko) 2021-06-18 2022-12-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농작업 대행업체 매칭 시스템 및 매칭 방법
KR20240062364A (ko) 2022-10-31 2024-05-09 정혁 농가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지원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4192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workflow management
KR20150051319A (ko) 인력 중개 방법 및 시스템
Zheng et al. SmartHS: An AI platform for improving government service provision
Lakshmi et al. Application of queueing theory in health care: A literature review
US69858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gning human resources to provide services
Moore et al. Taking worker productivity to a new level? Electronic Monitoring in homecare—the (re) production of unpaid labour
KR101348915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구인, 구직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678123B1 (ko) 실시간 일용직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8650091B1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sending notifications to property managers regarding vacancies
JP6082656B2 (ja) サービス提供者割当システム及び割当管理装置
WO2019200767A1 (zh) 坐席任务分配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EP3905162A2 (en)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CN110570570B (zh) 一种工位分配的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101959791B1 (ko) 업무 관리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266173B1 (ko) 유비쿼터스 온라인 작업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및 작업 중계 방법
US20100094679A1 (en) Establishing and managing mentor-protege relationships
JP5465746B2 (ja) 募集支援システム、募集支援方法及び募集支援プログラム
Nguyen et al. Scheduling rules to achieve lead-time targets in outpatient appointment systems
Rollston et al. Collaborative, patient-centred care model that provides tech-enabled treatment of opioid use disorder via telehealth
KR20190036045A (ko) 품앗이 인력 중개 방법 및 시스템
CN113313433B (zh) 基于知识图谱的会议资源分配方法及相关设备
JP6983424B2 (ja) スタッフシフト調整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Rowe Predictors of Texas police chiefs’ satisfaction with Police–Prosecutor relationships
KR20210101715A (ko) 진학 전문가 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6503003B2 (ja) サービス提供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