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574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574A
KR20150049574A KR1020130130303A KR20130130303A KR20150049574A KR 20150049574 A KR20150049574 A KR 20150049574A KR 1020130130303 A KR1020130130303 A KR 1020130130303A KR 20130130303 A KR20130130303 A KR 20130130303A KR 20150049574 A KR20150049574 A KR 20150049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nput module
rear input
guid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7114B1 (ko
Inventor
이병화
김창재
신충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0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114B1/ko
Priority to US15/030,847 priority patent/US9762714B2/en
Priority to PCT/KR2014/006220 priority patent/WO2015064887A1/ko
Publication of KR20150049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에 의하여 구성된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마련되고, 사용자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마련된 후면입력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후면입력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후면입력모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후면입력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본 발명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후면입력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에 의하여 구성된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마련되고, 사용자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마련된 후면입력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후면입력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에 의하여 차폐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후면 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이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에는, 상기 카메라모듈의 적어도 일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면입력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돔스위치가 마련된 모듈기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돔스위치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입력모듈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기 발광유닛의 빛이 전달되도록 하는 광확산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에는, 상기 가이드를 따라 전달된 빛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가이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 통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면입력모듈은, 상기 가이드의 외측에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의 결합위치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돔스위치에 대응된 위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중심으로 상기 후면입력모듈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리브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리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리브의 일 끝단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외력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리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가이드에 접촉하며 탄성변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리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에 외력이 가해질 때, 다른 하나의 케이스에 접촉하며 탄성변형할 수 있다.
상기 탄성리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 중 중앙에 위치한 접촉돌기를 중심으로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돔스위치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에 대응된 돔스위치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리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에 인서트사출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의 표면에는, 촉각에 의하여 요철(凹凸)을 감지할 수 있는 요철 영역이 마련되되, 상기 후면입력모듈에 대응된 영역은 상기 요철을 감지할 수 없는 비요철 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요철 영역과 상기 비요철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열전도율이 높은 열전도시트가 상기 후면입력모듈에 대응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는, 상기 열전도시트의 부착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의 두께가 상기 열전도시트의 미부착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의 두께와 다를 수 있다.
상기 부착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의 두께는, 상기 미부착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는, 배터리 케이스일 수 있다.
상기 후면입력모듈은, 상기 단말기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돔스위치는,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 개의 돔스위치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된 단말기의 전면측을 구성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되며, 배터리 수용부와 사용자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마련된 후면입력모듈이 마련된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기의 후면측을 차폐하는 제3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케이스는, 상기 제2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후면입력모듈을 차폐하되, 상기 차폐된 후면입력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통한 제어명령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로부터 가해진 외력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후면입력모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 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 이동 단말기 배터리 커버의 배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 이동 단말기 후면입력모듈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 은 도 3 이동 단말기 후면입력모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3 이동 단말기 배터리 커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3 이동 단말기 배터리 커버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 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최적의 입력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도면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단말기 본체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 리어 케이스(102) 및 배터리 커버(103)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소자가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도 4의 10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티타늄(Ti),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모듈(152), 근접센서(141), 카메라 모듈(121)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에는 마이크(122), 측면 입력부(13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의 상당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어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모듈(152), 근접센서(141), 카메라 모듈(121)이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전면 입력부(131)가 배치될 수 있다.
전면 입력부(131)는 사용자 입력부(130, 도 1 참조)의 일 예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전면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 입력부(131)는 터치키로 구성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면 입력부(131)에 푸시키(push key)가 추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30)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단말기 전면에 전면 입력부(131)가 없는 구성도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본체에 대한 입력조작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후술할 후면입력모듈(200)를 통하여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의 또 다른 일 예로서 구성되는 측면 입력부(132)는 음향출력모듈(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설계상 필요에 의하여 측면 입력부(132)가 제거될 수 있다. 즉, 후면입력모듈(20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는 경우, 측면 입력부(132)가 생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측면 입력부(132)가 생략되면, 베젤(bezel)의 폭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1)를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 모듈(121')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전면의 카메라 모듈(121, 도 2 참조)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전면의 카메라 모듈(121)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의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후면의 카메라 모듈(121')은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모듈들(121, 121')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본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시(123)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3)는 카메라 모듈(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음향출력모듈(15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후면의 음향출력모듈(152')은 전면의 음향출력모듈(152, 도 2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91)가 장착된다. 배터리(191)는 전원공급부(190)의 일 예로서 구성된다. 배터리(191)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후면입력모듈(200)이 배치될 수 있다. 후면입력모듈(200)은 사용자 입력부(130, 도 1 참조)의 또 다른 일 예로서 구성된다. 후면입력모듈(200)은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121')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후면입력모듈(200)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입력모듈(200)을 통한 조작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음향출력모듈(152, 2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후면입력모듈(200)은, 푸시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푸쉬동작에 의하여 동작하는 물리적인 버튼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후면입력모듈(200)은,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커버(103)에 의하여 후면입력모듈(200)이 차폐된 상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후면입력모듈(200)이 차폐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배터리 커버(103)에 의하여 차폐된 상태에서도 후면입력모듈(200)을 이용한 사용자로터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배터리 커버(103)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 방향으로 일정정도 탄성변형할 수 있다. 탄성변형되는 배터리 커버(103)를 통해서, 후면입력모듈(200)에 포함된 버튼이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배터리 커버(103)에 의하여 차폐되어 시각을 통해 직접 관측되지는 않지만, 촉각 등 다른 수단을 통하여 감지되는 후면입력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배터리 커버(103)에 의하여 차폐되어 있으나, 사용자로부터 정확한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후면입력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입력모듈(200)은, 사용자 손가락을 통한 촉감 등에 의하여 그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입력모듈(200) 부분이 배터리 커버(103)의 다른 부분보다 미세하게 돌출 및/또는 함몰되어 있거나, 후면입력모듈(200)이 위치한 지점의 거칠기가 다른 부분과 다름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촉감으로 감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는 도 3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단말기 본체에는 회로기판(PCB, 181)이 내장된다. 회로기판(181)은 프론트 케이스(101) 또는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되거나, 별도의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구조물은 프레임(104)이 될 수 있다. 이하,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가 별도로 구비되는 구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케이스들(101, 102)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회로기판(181)은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180, 도 1 참조)의 일 예로서 구성된다. 제어부(180)로서의 기능 수행을 위하여 회로기판(181)에는 각종 전자소자가 장착된다. 회로기판(181)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의 조합에 의하여 제어부(18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로기판(181)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 회로기판과 서브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이들의 적어도 일부가 단말기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공간적으로 확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배터리(191)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192)가 형성되며, 배터리 커버(103)는 배터리 수용부(192)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배터리(191)가 착탈 가능한 상기 구조와 달리, 배터리(191)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착탈이 불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회로기판(18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배치되어 후면 상의 외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이루어진다. 카메라 모듈(121‘)은, 배터리 커버(103)에 마련된 관통홀(103a)을 통해 단말기 본체의 후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제어명령을 입력받도록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후면입력모듈(200)이 구비된다. 후면입력모듈(200)은 상기 단말기 본체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를 한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입력모듈(200)은 단말기 본체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입력모듈(20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후면입력모듈(200)이 구비됨으로써,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후면입력모듈(200)이 전면 입력부(131)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전면에 전면 입력부(131)가 미배치되는 경우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면입력모듈(200)은, 모듈기판(210)과, 접착테잎(220)과, 가이드(23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기판(210)은, 후면입력모듈(200)에 대한 사용자의 푸쉬조작을 전기신호로 바꾸는 적어도 하나의 돔스위치(2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3 돔스위치(214a, 214b, 214c)가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3 돔스위치(214a, 214b, 214c)는, 볼륨조절,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의 기능에 대응될 수 있다.
모듈기판(210)은, 발광유닛인 적어도 하나의 LED(211)를 포함할 수 있다. LED(211)는,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후면입력모듈(200)을 사용하는 도중에 LED(211)가 동작할 수 있다. 또는, 후면입력모듈(200)을 사용한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입력모듈(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103)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LED(211)가 발광하면, 후면입력모듈(200)의 위치를 사용자가 보다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접착테잎(220)은, 모듈기판(210)과 가이드(2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접착테잎은(220)은, 접착테잎(220)의 양면 모두에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접착테잎(220)을 통해 가이드(230)를 모듈기판(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가이드(230)는, 돔스위치(214)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230)는, 제1 내지 3 돔스위치(214a, 214b, 214c)의 외주를 따라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이드(230)는, 돔스위치(214)의 외주를 따라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230)는, 후면입력모듈(200)에 대한 사용자의 푸쉬가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푸쉬한 특정 돔스위치(214)만이 푸쉬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가이드(230)가 제1 내지 3 돔스위치(214a, 214b, 214c) 각각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됨으로 인하여, 특정 돔스위치(214)가 눌려질 때 다른 돔스위치(214)가 함께 눌려지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이드(230)는, LED(211)에서 발생된 빛을 전달하는 광확산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211)에서 발생된 빛은, 광확산부재를 따라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LED(211)가 발광하면, 가이드(230)의 형상을 따라 원형으로 빛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배터리 커버(103)에서 가이드(230)에 대응된 지점에는, 미세한 통공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직접 관찰되거나 느껴지지는 않을 수 있지만, 빛이 전달될 수 있는 통공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이드(230)의 형상을 따라 전달된 빛은, 배터리 커버(130)의 미세통공을 통해 사용자에게 관측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후면입력모듈(200)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3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는, 가이드(230)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212)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가이드돌기(212a, 212b)가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가이드돌기(212a, 212b)는, 가이드(230)의 외측에서 가이드(230)에 접촉될 수 있다. 제1,2 가이드돌기(212a, 212b)가 존재함으로 인하여, 가이드(230)를 설계된 정위치에 정확히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푸쉬동작이 반복에 의하여 가이드(230)가 최초 위치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3 이동 단말기 배터리 커버의 배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 커버(103)의 배면(背面)에는, 입력가이드부(240)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의도한 키가 정확하게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가이드부(240)는 배터리 커버(103)의 배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입력가이드부(240)의 위치는, 후면입력모듈(200)의 위치에 대응된 지점일 수 있다. 입력가이드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리브(244)와,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24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b) 및 (c)는, I-I 방향 입력가이드부(240)의 단면도이다.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탄성리브(244)는 입력가이드부(240)에서 돌출되어 복수 회 굽혀진 형태일 수 있다.
탄성리브(244)는, 일정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리브(244)는 스테인레스스틸(STS)과 같이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을 가짐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배터리 커버(103)를 가압하면 형상이 변하고 사용자의 가압이 제거되면 최초의 형상으로 되돌아 올 수 있다.
탄성리브(244)는, 배터리 커버(103)에 인서트(insert) 사출될 수 있다. 즉, 별도의 공정을 통해 탄성리브(244)의 형상을 구성하였으나, 인서트 사출을 통해 배터리 커버(103)와 실질적으로 하나가 되는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접촉돌기(246)은, 배터리 커버(103)에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접촉돌기(246)의 위치 및 개수는 돔스위치(도 5의 214)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3 돔스위치(도 5의 214a, 214b, 214c)가 존재하는 경우, 접촉돌기(246)도 제1 내지 3 접촉돌기(246a, 246b, 246c)가 대응된 위치에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접촉돌기(246)는, 배터리 커버(240)의 몸체(242)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배터리 커버(240)를 사출할 때 접촉돌기(246)도 함께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접촉돌기(246)는, 배터리 커버(240)에 대한 사용자의 푸쉬동작이 있는 경우에, 푸쉬동작에 대응된 특정 돔스위치(도 5의 214)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된 특정 돔스위치(도 5의 214)는 전기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특정 돔스위치(도 5의 214)의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돌기(246)는 배터리 커버(240)의 몸체(242)와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커버(240)의 몸체(242)는 PC 재질이나 접촉돌기(246)는 러버(rubber) 재질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접촉돌기(246)가 러버 재질로 구성되면, 배터리 커버(240)에 대한 푸쉬동작 시에 사용자가 다른 촉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러버 재질의 접촉돌기(246)는, 배터리 커버(240)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도 7은 도 3 이동 단말기 후면입력모듈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푸쉬한 위치에 대응된 돔스위치(214)에서만 전기신호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103) 측의 접촉돌기(246)와 리어 케이스(102) 측의 돔스위치(214)는 상호 대향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의 가압이 없는 경우에, 접촉돌기(246)와 돔스위치(214)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탄성리브(244)도 가이드(23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배터리 커버(103)의 특정 위치를 일정한 가압력(F)으로 푸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촉돌기(214b)의 상단을 가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압력(F)을 받으면, 배터리 커버(103)는 그 부분을 중심으로 탄성변형 할 수 있다. 배터리 커버(103)가 탄성변형되면, 그에 따라 제2 접촉돌기(214b)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2 돔스위치(214b)와 접촉하며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가압된 제2 돔스위치(214b)는, 일정한 전기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가압력(F)에 의하여 배터리 커버(103)가 탄성변형됨과 함께, 배터리 커버(103) 측의 탄성리브(244)는 리어 케이스(102) 측의 가이드(230)에 접촉될 수 있다. 가이드(230)에 접촉된 탄성리브(244)는 탄성변형할 수 있다. 탄성변형이 계속되면, 탄성리브(244)의 끝단부는 배터리 커버(103)에 접촉될 수 있다. 탄성리브(244)의 끝단부가 배터리 커버(103)에 접촉되면, 탄성리브(244)는 더 이상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변형되지 않는 탄성리브(244)는 배터리 커버(103)의 탄성변형이 진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가압력(F)에 의하여 탄성변형되는 영역이 제2 접촉돌기(214b)의 외부로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가압력(F)이 다소 과도한 경우에도, 의도치 않게 제1,3 접촉돌기(246a, 246c)가 제1,3 돔스위치(214a, 214c)에 접촉되는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탄성리브(244)는, 제2 접촉돌기(246b)를 중심으로 한 쌍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2 돔스위치(214b)를 중심으로 양 측에 탄성리브(244)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접촉돌기(246b)를 중심으로 한 쌍의 탄성리브(244)가 위치함으로 인하여, 제1 내지 3 접촉돌기(246a, 246b, 246c) 중 어느 것을 가압하여도, 가압된 접촉돌기(246)만이 대응된 돔스위치(214)에 접촉될 수 있다.
가이드(230)는, 탄성리브(244)에 접촉되는 상단 부분이 라운드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 가이드(230)의 상단 부분이 라운드 형태로 가공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가이드(230)와의 접촉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 은 도 3 이동 단말기 후면입력모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탄성리브(244)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리브(244)는 한쌍이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탄성리브(244)의 끝단이 제2 접촉돌기(246b) 방향을 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103)에 제1,2 가압력(F1, F2)이 가해지는 경우에, 제2 접촉돌기(246b) 방향을 향한 형태의 탄성리브(244)는 제2 접촉돌기(246b)가 위치한 배터리 커버(103)가 변형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가이드(230)에 접촉된 탄성리브(244)가 배터리 커버(103)의 배면에 접촉하여 배터리 커버(103)의 추가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리브(244)는 한 쌍이 반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 형상의 탄성리브(244)는, 가압력(F)이 가해지면 리어 케이스(102)에 직접 접촉되며 탄성변형 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접촉된 탄성리브(244)는, 탄성리브(244)의 끝단이 배터리 커버(103)에 접촉될 때까지 탄성변형될 수 있다.
가이드(230)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반원 형상의 탄성리브(244)가 가이드(230)가 아닌 배터리 커버(103)에 직접 접촉함으로 인하여, 가이드(230)의 단면 형상을 단순한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이드(230)를 보다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반원 형상의 탄성리브(244)는, 탄성리브(244)의 끝단이 제2 접촉돌기(246b)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접촉돌기(246b)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 반원 형상의 탄성리브(244)는, 제1,2 가압력(F1, F2) 등에 의하여 원치 않는 부분이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3 이동 단말기 배터리 커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 커버(103)는, 영역에 따라서 사용자가 느끼는 촉감이 다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103)에는 요철영역(CA)과 비요철영역(BA)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요철영역(CA)은, 손가락 및/또는 손바닥 등을 통한 촉감을 통하여 배터리 커버(103)에 미세한 요철(凹凸)이 존재함을 느낄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비요철영역(BA)은, 손가락 및/또는 손바닥 등을 통한 사용자의 접촉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요철을 느낄 수 없는 영역일 수 있다.
비요철영역(B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입력모듈(200)에 대응된 영역일 수 있다. 즉, 후면입력모듈(2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비요철영역(BA)이 위치함을 의미한다.
후면입력모듈(200)은 배터리 커버(103)에 의하여 차폐되어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시각적으로 명확히 후면입력모듈(200)이 인지되지 못할 수 있다. 다만, 요철영역(CA)과 비요철영역(BA)의 존재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파지한 사용자는 촉각을 통해 후면입력모듈(200)의 위치를 직감할 수 있다. 따라서 미려한 외형의 디자인을 달성하면서도 후면입력모듈(200)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요철영역(CA)과 비요철영역(BA)은 상호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배터리 커버(103)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미세한 통공이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후면입력모듈(200)에 대응된 지점에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통공이 구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후면입력모듈(200)은,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 발광할 수 있다. 발광된 ?은 미세한 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는 시각을 통해서도 후면입력모듈(200)의 위치를 직감할 수 있다.
배터리 커버(103)의 후면입력모듈(200)에 대응되는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하여 두께가 얇게 구성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미세한 통공이 없는 경우에도 후면입력모듈(200)에서 발생된 빛이 비쳐 외부에서 관찰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철영역(CA) 및/또는 비요철영역(BA)은, 배터리 커버(103)에 대한 일정한 가공공정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103)의 기층(基層,S)에 제1 레이어(L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레이어(L1)는 일정한 패턴일 수 있다. 패턴은, 일정한 높이 내지 간격으로 배터리 커버(103)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레이어(L1)의 상측에 제2 레이어(L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레이어(L2)는 베이스 컬러일 수 있다. 즉, 제2 레이어(L2)는 공정이 완료된 이후에 나타날 색상을 결정하는 레이어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레이어(L2)의 상측에 제3 레이어(L3)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레이어(L3)는 베이스 UV일 수 있다. 즉, 제3 레이어(L3)는 자외선에 반응하는 물질일 수 있다. 제3 레이어(L3)을 형성한 이후에, UV를 가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레이어(L3)의 상측에 제4 레이어(L4)를 형성할 수 있다. 제4 레이어(L4)는 최상위 코팅레이어 일 수 있다. 제4 레이어(L4)가 형성된 영역은 매끄러운 촉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비요철영역(BA)에는 제4 레이어(L4)까지 공정을 진행하여, 요철영역(CA)과 다른 촉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도 3 이동 단말기 배터리 커버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영역에 따라 배터리 커버(103)의 온도가 다르도록 하여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특정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103)의 내측에는 열전달율이 높은 열전도시트(TS)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열전도시트(TS)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중 각종 전자기기에서 발생한 열을 집열 및/또는 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커버(103)에서 열전도시트(TS)가 부착된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하여 온도가 높을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영역을 터치한 사용자는 온도의 차이를 느낄 수 있다.
열전도시트(TS)는, 입력가이드부(240)가 마련된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즉, 후면입력모듈(200)이 위치한 지점에 대응된 배터리 커버(103) 영역에 열전도시트(TS)가 부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열전도시트(TS)로 인하여, 입력가이드부(240)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하여 온도가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 손가락 내지 손바닥으로 배티러 커버(103)를 터치하는 동작만으로도 입력가이드부(240) 지점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커버(103)의 배면인 내측면에는 열전도시트(TS)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배터리커버(103)에서, 접촉돌기(246)가 마련된 제1 영역(A1)은, 제2 및/또는 3 영역(A2, A3)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A1)의 두께가 t1일 때, 제3영역(A3)의 두께는 t1보다 얇은 t2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영역(A1)이 다른 영역보다 얇음으로 인하여, 열전도시트(TS)로부터 전달된 열은, 제1 영역(A1)에서 보다 뚜렷하게 감지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A1)의 온도가 다른 부분보다 높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명확히 입력가이드부(24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Claims (22)

  1.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에 의하여 구성된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마련되고, 사용자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마련된 후면입력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후면입력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에 의하여 차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후면 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이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에는,
    상기 카메라모듈의 적어도 일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입력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돔스위치가 마련된 모듈기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돔스위치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입력모듈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기 발광유닛의 빛이 전달되도록 하는 광확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에는,
    상기 가이드를 따라 전달된 빛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가이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 통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입력모듈은,
    상기 가이드의 외측에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의 결합위치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돔스위치에 대응된 위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중심으로 상기 후면입력모듈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리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리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리브의 일 끝단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외력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리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가이드에 접촉하며 탄성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리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에 외력이 가해질 때, 다른 하나의 케이스에 접촉하며 탄성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리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 중 중앙에 위치한 접촉돌기를 중심으로 한 쌍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돔스위치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에 대응된 돔스위치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리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에 인서트사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의 표면에는,
    촉각에 의하여 요철(凹凸)을 감지할 수 있는 요철 영역이 마련되되,
    상기 후면입력모듈에 대응된 영역은 상기 요철을 감지할 수 없는 비요철 영역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영역과 상기 비요철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가 적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열전도율이 높은 열전도시트가 상기 후면입력모듈에 대응된 위치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는,
    상기 열전도시트의 부착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의 두께가 상기 열전도시트의 미부착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의 두께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의 두께는,
    상기 미부착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는,
    배터리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입력모듈은,
    상기 단말기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돔스위치는,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 개의 돔스위치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2.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된 단말기의 전면측을 구성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되며, 배터리 수용부와 사용자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마련된 후면입력모듈이 마련된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기의 후면측을 차폐하는 제3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케이스는,
    상기 제2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후면입력모듈을 차폐하되, 상기 차폐된 후면입력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통한 제어명령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로부터 가해진 외력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30130303A 2013-10-30 2013-10-30 이동 단말기 KR102107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303A KR102107114B1 (ko) 2013-10-30 2013-10-30 이동 단말기
US15/030,847 US9762714B2 (en) 2013-10-30 2014-07-10 Mobile terminal
PCT/KR2014/006220 WO2015064887A1 (ko) 2013-10-30 2014-07-10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303A KR102107114B1 (ko) 2013-10-30 2013-10-30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574A true KR20150049574A (ko) 2015-05-08
KR102107114B1 KR102107114B1 (ko) 2020-05-06

Family

ID=53004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303A KR102107114B1 (ko) 2013-10-30 2013-10-30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62714B2 (ko)
KR (1) KR102107114B1 (ko)
WO (1) WO20150648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207A1 (ko) * 2015-06-04 2016-12-08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350B1 (ko) * 2015-01-15 2022-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 디스플레이 장치
US10270186B2 (en) * 2015-08-31 2019-04-23 Kabushiki Kaisha Toshiba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N111447309B (zh) 2017-03-07 2022-04-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6657485B (zh) * 2017-03-07 2020-05-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9587293A (zh) * 2017-09-28 2019-04-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0965A (ko) * 2012-02-07 201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3760A (ja) 1994-10-26 1996-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電子機器
KR101467513B1 (ko) * 2008-02-11 2014-1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27929A (ko) * 2009-05-27 2010-12-07 터치유아이(주) 배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1336709B1 (ko) * 2011-10-25 2013-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후면 커버 터치를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
KR101397084B1 (ko) * 2012-07-02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170659B2 (en) * 2013-05-23 2015-10-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9924007B2 (en) * 2013-07-08 2018-03-2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9912792B2 (en) * 2013-07-22 2018-03-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20160071262A (ko) * 2014-12-11 2016-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0965A (ko) * 2012-02-07 201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207A1 (ko) * 2015-06-04 2016-12-08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US10375227B2 (en) 2015-06-04 2019-08-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62714B2 (en) 2017-09-12
WO2015064887A1 (ko) 2015-05-07
KR102107114B1 (ko) 2020-05-06
US20160277555A1 (en)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919B1 (ko) 이동 단말기
KR101821286B1 (ko) 이동 단말기
KR101917684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105125A (ko) 이동단말기
KR101923472B1 (ko) 소켓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KR20150049574A (ko) 이동 단말기
KR101951416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94613A (ko) 이동 단말기
KR20150059470A (ko) 이동 단말기
KR10191707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66854A (ko) 케이스 제조 방법과 이동 단말기
KR20150017197A (ko) 이동 단말기
KR20150017195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39371A (ko) 버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30032568A (ko) 버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938663B1 (ko) 이동 단말기
KR101689692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81882A (ko) 이동 단말기
KR101793069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048649A (ko) 이동 단말기
KR20150060438A (ko) 이동 단말기
KR20150074743A (ko) 전자 디바이스
KR20150019345A (ko) 이동 단말기
KR102223716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634007B1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