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298A -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 - Google Patents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298A
KR20150049298A KR1020130129654A KR20130129654A KR20150049298A KR 20150049298 A KR20150049298 A KR 20150049298A KR 1020130129654 A KR1020130129654 A KR 1020130129654A KR 20130129654 A KR20130129654 A KR 20130129654A KR 20150049298 A KR20150049298 A KR 20150049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hollow body
heat
hollow
mol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4276B1 (ko
Inventor
유영호
Original Assignee
유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호 filed Critical 유영호
Priority to KR1020130129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276B1/ko
Publication of KR20150049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2Barrels o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3Venting or dega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4Heating or cooling of the inject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76Venting, drying means; Dega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B29C48/80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at the plasticising zone, e.g. by heating cylinders
    • B29C48/83Heating or cooling the cylinders
    • B29C48/832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럴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전열히터의 외면 일부에 저면이 접하며, 상기 전열히터를 덮는 단열커버가 상부일부에 덮여 있고, 상기 전열히터 또는 배럴에서 발생한 열기가 유입되도록 중공된 중공바디부와, 상기 중공바디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중공바디부와 연통된 배기부와, 상기 중공바디부 상면 일부를 개폐하여 상기 중공바디부와 상기 배기부의 내부를 외기와 연통시켜 열을 방출하거나, 단열상태를 유지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전열히터 표면을 감싸는 단열커버를 분리하지 않고도, 배럴 내부에서 발생한 자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정확한 온도의 유지가 가능하여 성형품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배럴 내부 온도의 상승에 의한 생산 중단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Emmittig device for inner autogenous of molding machine barrel}
본 발명은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출성형기 또는 압출성형기의 배럴 내부에서 발생 되는 자열을 신속하게 방출시킬 수 있는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출가공 또는 압출가공의 일반적인 성형 절차는, 성형기를 통해 플라스틱 펠릿(Pellet)을 호퍼에 공급하여 용해로인 배럴 속으로 이동시키며, 배럴 입구쪽에서부터 출구인 노즐부까지 배럴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전열히터로 가열처리하여 액상으로 용융시키게 되며, 이를 금형속으로 가압 주입하여 정형화된 형상으로 제품을 만들고, 금형으로부터 제품을 탈착 및 배출하여 상온에서 냉각시킴으로써 제품을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출 및 압출가공에 사용되는 성형기는, 플라스틱 펠릿(Pellet)을 녹이는 용해로인 배럴의 내부에 용해된 액상의 플라스틱을 이송시키는 실린더 하우징 또는 스크류 타입의 하우징이 내장되어 있으며, 표면에는 배럴을 감싸고 있는 전열히터가 마련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배럴 내에서 플라스틱 펠릿을 스크류로 이송시키면서, 다수의 전열 히터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며, 노즐을 통해 배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성형기의 배럴 내부는 배럴 표면에 설치된 전열히터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기 때문에, 전열히터의 열효율과 전력소비를 고려하여 전열히터의 외측을 덮는 단열커버가 제안되었다.
등록특허 10-0824338호(성형기용 단열커버, 2008년 4월 16일 등록)에는 단열 섬유사를 직조한 직물 하우징의 중공부에, 섬유 웹 형태의 단열 부재를 충진한 구조의 유연성을 가지는 띠형 몸체로 구성되고, 띠형 몸체가 성형기 배럴의 표면을 감싸 성형기 배럴의 안정된 단열을 시킬 수 있는 단열커버의 구성이 기재되어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20-0459988호(사출기 배럴용 단열커버, 2012년 4월 17일 등록)에는 개구부를 가진 링 형태로 사출기의 배럴 둘레를 둘러싸며, 내부에 유연하게 구부려질 수 있는 충진재가 충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상단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결합 되는 날개와, 상기 몸체의 외면상에 장축방향으로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외면상에 결합 되며, 상기 몸체의 장축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 조임띠와, 상기 몸체의 일측단부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배럴의 둘레를 둘러싸는 경우 상기 몸체의 타측단부를 덮는 보조덮개와, 상기 몸체에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되, 상단 및 하단이 결합 되어 상단 및 하단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조임띠가 통과되게 하는 띠 덮개와, 상기 조임띠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조임띠의 타단이 삽입 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고리를 포함하여, 역시 배럴을 단열시켜 배럴의 표면을 통해 열에너지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해당제품의 품질을 보장함은 물론, 전기에너지 절감에 따른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이처럼 전열히터의 외측에 단열커버를 적용하여, 성형기의 배럴에 설치되는 전열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의 손실을 줄일 수 있어, 용융물의 온도유지가 용이하며, 전력의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압출 성형기는 스크류가 계속 돌아가면서 투입된 플라스틱을 녹여서, 그 용융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것이며, 사출 성형기는 스크류가 돌면서 투입된 플라스틱 펠릿을 스크류 앞으로 사출할 양만큼 채워놓고, 그 전에 사출하였던 제품이 식어서 금형에서 빠지는 동안 대기하게 되며, 제품이 빠지고 금형이 닫히면 사출기 배럴 안에 있는 플라스틱 용융물이 금형내로 주입되는 것이며, 이때의 주입은 인젝션(Injection)이 용융물을 밀어서 금형 내로 가압 주입하게 된다.
일반적인 경우, 성형기의 배럴 표면에 부착된 전열히터의 바깥표면에는 단열커버로 둘러싸여 있으며, 배럴의 전열히터를 둘러싸고 있는 단열커버는, 배럴의 입구 측(호퍼 쪽)에서부터 배럴의 출구 측(노즐 쪽)까지 다수의 링 모양의 단열커버가 배치된다.
호퍼에서 배럴 내부로 주입된 소재가, 배럴의 입구 측에서 시작하여 배럴의 출구 측까지, 배럴 내부에서 회전하는 스크류에 의하여 소재가 앞(배럴 노즐 쪽)으로 나아가면서, 배럴 표면에 부착된 전열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소재는 점점 용융된다.
이때 상기 배럴 표면의 중간 중간에는 현재 작동 온도를 감지하여, 성형기의 제품생산 작업자가 관리하는 작동판(Operating Panel)에 온도를 표시할 수 있는 온도센서 및 케이블이 다수로 설치되어 있다.
배럴 입구에서 배럴 출구까지 온도 센서가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며, 노즐에도 온도 센서가 부착되어, 현재 각 위치에서의 측정 온도가 작동판에 표시되는 것이며, 특히 전열히터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배럴 내부 온도는,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온도 케이블을 통해 작동판의 표시부에 표시된다.
또한 배럴의 표면 상부에는, 성형을 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펠릿(Pellet)을 담아서 배럴의 입구 측 내부로 내려보내는 호퍼가 있으며, 호퍼에 담겨져 있는 펠릿이 정상적으로 이동하고 있는지, 호퍼에 적정한 양의 펠릿이 들어오고 나가는지를 점검해야 할 때 및 배럴 상부에 설치되어있는 성형기의 작동 보조 장치와 주변기기의 정상적인 작동 점검을 위하여, 성형기 제품생산 작업 관리자가 밟고 올라서서, 제반 점검 업무를 수행 할 수 있도록 배럴상부표면에서 약 5~10cm정도 간격을 둔 상층에 3~5mm정도의 두께인 스틸 박판으로 만들어진 스틸 커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틸 커버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기 위한 스틸 커버 고정용 볼트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있다.
성형기의 단열커버는, 배럴의 전체 길이와 똑같은 1개의 통 자루 모양의 파이프(pipe)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온도센서와 스틸 커버 고정용 볼트를 분리 경계선으로 하여, 그 경계선을 기준으로 몇 개의 링 모양으로 나누어서 제작되어, 배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맞대어 설치한다.
따라서, 각각의 링 모양의 단열커버의 길이를 합한 전체의 길이가, 단열커버를 설치한 성형기의 배럴의 길이와 같게 된다.
성형기의 배럴표면에 부착된 전열히터에서 생성된 열은, 배럴내부에서 스크류에 의해 움직이는 소재에 전달되어, 고체상태의 소재를 액체 상태의 용융물로 변환시키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일부분은 전열히터 바깥표면을 통하여 대기 중으로 방출되며,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열을 최대한으로 줄여 전력손실을 막기 위해 상기 구조의 단열커버를 부착한 것이며, 단열커버에 의해 전력의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과 아울러 용융물의 적정한 온도 유지가 용이하게 된다.
현재의 각각 위치의 온도센서의 측정 온도가 초기의 설정 온도보다 높으면, 전열히터의 스위치가 오프 되어 전열히터에 열이 발생 되지 않으며, 측정치 온도가 설정치 온도보다 낮으면, 전열히터의 스위치가 온 되어 전열히터에 열이 발생 되며, 발생 된 열로 인하여, 배럴 내부의 소재를 용융시키는데 최적의 조건이 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실제의 작업온도는 설정온도보다 약 0℃~±5℃정도의 하한치온도와 상한치온도를 유지하도록 설정하는데, 입구 쪽에서 흡수한 열이 누적되어 노즐 쪽에 가까울수록 측정치 온도는 설정치 온도보다 높아져, 노즐 위치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측정치 온도가 설정치 온도보다 높게 된다.
만약 단열커버가 설치되지 않으면 열이 외부로 방출되기 때문에, 온도센서의 측정치 온도가 설정치 온도보다 낮아지고, 이 경우에 전열히터 스위치가 온이 되어 전기가 들어감으로써 전력소비가 커지지만, 단열커버가 설치되면 앞과 같이 외부로 방출될 열을 단열시켜 열이 누적되어 측정치 온도가 설정치 온도보다 높아져, 부착된 전열히터의 스위치가 오프 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전력소비가 없어진다.
그러나 설치된 온도센서 중 배럴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온도센서에서 검출되는 온도는 배럴의 입구 쪽(호퍼쪽)에서 이동되여 온 소재가 갖고 있던 열과 전열히터에서 발생한 열이 합쳐진 누적열로 인하여, 평상시에도 측정치 온도가 설정치 온도보다 높으며 또한, 배럴의 내부에서도 소재가 스크류에 의해 노즐 쪽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소재와 스크류의 마찰에 의해 자열(Autogenous)이 발생하고, 발생된 열이 배럴 내부에서 외부로 전도되는데, 배럴 내부의 스크류의 구조 및 형태상 온도센서 중 배럴의 중앙부분에서 열이 가장 많이 전도된다.
그 배럴의 중앙 부분은 외부에 설치된 단열커버에 의해 설정치 온도보다 약간 높아진 측정치 온도에다, 배럴 내부의 소재와 스크류의 마찰열이 외부로 전도되어, 이 위치에는 측정치 온도가 설정치 온도보다 20℃이상의 높은 온도 편차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처음의 성형제작을 위하여 설정한 최적조건의 상한치 온도를 훨씬 초과하는 온도로 인하여, 배럴 내부의 소재가 열 변형을 초래하여 소재의 탄화 현상 등을 발생시켜 소재가 정상적인 물성치를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소재로 제작된 성형제품은 전량불량으로 처리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베럴의 중앙부에 설치된 단열커버를 분리해야 정상적인 온도가 된다.
이 경우에는 단열커버의 역할이 없기 때문에 나머지 부분에 설치된 단열커버로는, “단열커버 설치의 최대 장점인 전력 소비 절감”이라는 본래의 목적을 최대한으로 가져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한 대의 기계에서 배럴 전체로 볼 때 한 부분의 단열커버가 벗겨져 있는 부분에서 작업자가 작업중이나 설비 점검중에 무의식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아울러, 일반적인 생각으로는 노즐과 인접한 위치의 온도센서가 누적 열 오차가 더 많을 것으로 생각되나, 배럴내부에서 스크류의 회전운동으로 인하여 소재와 스크류가 일으키는 마찰열은 배럴의 중앙부까지만 발생하며, 그 후단에서는 에서 배럴의 중앙까지 이동된 용융소재가 금형에 주입되기 위하여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며, 앞선 용융물이 금형에 주입되고 나면 곧이어 금형으로 주입될 것이며, 이때는 스크류의 회전운동에 의해 용융물이 금형으로 주입되는 것이 아니고, 인젝션(Injection)의 직선 운동으로 인해 용융물이 금형속으로 주입되는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누적 열 오차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노즐에서 금형으로 용융물이 빠져나갈 때, 용융물의 온도가 외부 온도에 의해 떨어지는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그 노즐 주변위치의 온도는 단열커버를 씌어놓아도 측정치 온도가 설정치 온도보다 높은 경우가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인젝션의 직선운동에 의한 이동 공간이기 때문에 자열에 의한 영향은 거의 없다.
이처럼, 배럴의 중앙부분에서의 누적 열 오차의 발생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단열커버를 탈착해놓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본래의 단열커버의 설치 목적에도 반하는 것이며, 또한 가열된 전열히터와 고온의 배럴 주변에서 성형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외관상 배럴 전체에 설치된 단열커버에서 자열이 발생하는 부분의 단열커버를 탈착함으로써 미관상 좋지 않으며, 이러한 이유로 단열커버 전체를 탈착하는 경우가 있어 현장에서 단열커버를 적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출성형기 및 압출성형기를 포함하는 성형기의 전열히터 표면을 감싸는 단열커버를 분리하지 않고도, 배럴 내부에서 발생한 자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는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는, 배럴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전열히터의 외면 일부에 저면이 접하며, 상기 전열히터를 덮는 단열커버가 상부일부에 덮여 있고, 상기 전열히터 또는 배럴에서 발생한 열기가 유입되도록 중공된 중공바디부와, 상기 중공바디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중공바디부와 연통된 배기부와, 상기 중공바디부 상면 일부를 개폐하여 상기 중공바디부와 상기 배기부의 내부를 외기와 연통시켜 열을 방출하거나, 단열상태를 유지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 및 압출성형기를 포함하는 성형기의 전열히터 표면을 감싸는 단열커버를 분리하지 않고도, 배럴 내부에서 발생한 자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정확한 온도의 유지가 가능하여 성형품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배럴 내부 온도의 상승에 의한 생산 중단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배럴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의 투영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의 투영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배럴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의 투영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2의 저면도 및 A-A 방향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는, 저면이 베럴(1)의 외면을 감싸는 전열히터(2)의 일부에 접하며, 상부일부가 단열커버(3)로 덮여, 상기 전열히터(2)의 방출열과 베럴(1)의 내부 자열에 따른 기류를 수용하는 중공바디부(100)와, 상기 중공바디부(100)의 내측과 연통 되며, 상기 중공바디부(100)의 상부 일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부가 외기에 노출되는 배기부(200)와, 상기 배기부(200)의 상면에 결합되며, 자열의 방출시 탈착되어 상기 중공바디부(100) 및 배기부(200)의 내측과 외기가 연통되도록 하는 덮개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 방출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성형기의 배럴(1)의 외면에는 다수의 전열히터(2)가 그 배럴(1)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전열히터(2)에서 발생한 열을 단열시켜 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단열커버(3)가 전열히터(2) 및 배럴(1)의 표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배럴(1)의 외면을 전열히터(2)가 감싸고, 그 전열히터(2)의 외면을 단열커버(3)가 감싸는 부분의 단면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전열히터(2)들의 사이에 해당하는 배럴(1)의 외면에는 단열커버(3)가 직접 배럴(1)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배럴(1), 전열히터(2) 및 단열커버(3)의 구체적인 형상에 무관하게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 중공바디부(100)의 형상은 저면이 전열히터(2)의 외면 일부에 접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원호형으로 굽은 형상이며, 그 저면에는 다수의 공기유입구(110)가 마련되어 상기 전열히터(2)의 방출열과 배럴(1) 내부의 자열인 배출열에 의한 기류가 상기 중공바디부(100)의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공바디부(100)의 저면 상기 공기유입구(110)가 마련되지 않은 면에서 돌출되는 스페이서(120)가 마련되어 상기 중공바디부(100)의 저면과 전열히터(2)의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 기류가 상기 공기유입구(110)를 통해 중공바디부(100)의 내로 유입되기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중공바디부(100)는 그 측면과 상부일부가 단열커버(3)로 덮여 있기 때문에 전열히터(2)로 배럴(1)을 가열하는 조건에서 열의 방출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단열커버(3)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열효율의 상승과 전력소모의 절감효과를 그대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중공바디부(100)의 상부 일부에는 배기부(200)가 그 중공바디부(100)의 내부와 연통 되어 있으며, 그 배기부(200)는 중공바디부(100)의 상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배기부(200)의 상면 일부는 배기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배기구는 덮개부(210)에 의해 가열 운전 조건에서는 막혀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배기부(200)의 상면의 높이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커버(3)의 외면과 동일한 수준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단열커버(3)의 외면에 비하여 더 낮은 높이로 하여, 그 상면의 일부가 단열커버(3)에 의해 덮이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기구에 결합된 덮개부(210)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임의로 덮개부(210)를 탈부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배기부(200)는 상기 중공바디부(100)와 연통되어 있으며, 적어도 배기부(200)의 측면은 단열커버(3)에 접해 있기 때문에 상기 덮개부(210)가 배기구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는 중공바디부(100) 및 배기부(200) 내의 공기가 외기로 배기되지 않기 때문에 단열커버(3)를 적용한 효과를 그대로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럴(1)의 자열과 누적열에 의해 호퍼측에 비하여 베럴(1)의 중앙부 온도가 과도하게 높게 검출되면, 작업자는 종래와 같이 단열커버(3)를 탈착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덮개부(210)를 탈착하여 해당 위치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즉, 상기 덮개부(210)를 탈착하면 상기 중공바디부(100)의 공기유입구(110), 중공바디부(100)의 내부 공간, 상기 배기부(200)의 내부 공간이 외기와 연통 되어 가열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상기 배럴(1)의 자열과 전열히터(2)의 열 및 용융 소재의 누적열에 의한 과도한 온도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단열커버(3)는 탈착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전열히터(2)에 접촉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관이 보기 좋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중공바디부(100)가 전열히터(2)의 전체를 감싸도록 구성하지 않고, 원호형상으로 전열히터(2)의 일부에만 접하게 구성한 이유는 본 발명의 설치와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자열의 방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덮개부(210)를 열어 본 발명이 외측에 접해 있는 전열히터(2)의 열을 외기로 방출할 수 있게 되어, 해당 부분에서 용융물의 탄화 현상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A-A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는, 앞서 도 2 내지 도 4를 각각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의 구성에서 비하여 보다 대용량의 자열을 방출할 수 있는 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
중공바디부(100)의 내부는 격벽부(130)에 의해 균등하게 분할되어 있다. 즉, 중공바디부(100)의 내부를 제1중공부(101)와 제2중공부(102)로 분할하고, 그 제1중공부(101)와 제2중공부(102) 각각에 연통되는 두 배기부(200,200')가 마련되어 제1중공부(101)와 제2중공부(102)의 내측으로 유입된 열기를 외기로 배기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배기부(200,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덮개부(210,210')가 마련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덮개부(210,210')는 설치상태에서 단열커버(3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두 덮개부(210,210')를 선택적으로 탈부착시켜 자열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격벽부(130)에는 통공부(131)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1중공부(101)와 제2중공부(102)의 사이에는 가열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 이는 덮개부(210,210') 중 하나를 열었을 때에도 제1중공부(101)와 제2중공부(102) 내의 열기를 포함한 공기가 외기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중공바디부(100)의 내부를 하나의 격벽부(130)를 설치하여 제1중공부(101)와 제2중공부(102)로 분할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중공바디부(100)의 내부 공간을 셋 이상으로 분할하여, 그 분할된 공간 각각에 연통되는 배기부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분할된 공간은 각각 체적이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배럴 2:전열히터
3:단열커버 100:중공바디부
101:제1중공부 102:제2중공부
110:공기유입구 120:스페이서
130:격벽부 131:통공부
200,200':배기부 210,210':덮개부

Claims (4)

  1. 배럴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전열히터의 외면 일부에 저면이 접하며, 상기 전열히터를 덮는 단열커버가 상부일부에 덮여 있고, 상기 전열히터 또는 배럴에서 발생한 열기가 유입되도록 중공된 중공바디부;
    상기 중공바디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중공바디부와 연통된 배기부; 및
    상기 중공바디부 상면 일부를 개폐하여 상기 중공바디부와 상기 배기부의 내부를 외기와 연통시켜 열을 방출하거나, 단열상태를 유지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바디부는,
    상기 열기가 유입되도록 저면에 마련된 공기유입구; 및
    상기 공기유입구로 상기 열기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중공바디부의 저면과 상기 전열히터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바디부의 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부가 마련되어 다수의 중공부로 분할되며, 다수의 중공부 각각에 연통되도록 상기 배기부가 다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통공부를 포함하여 상기 다수의 중공부 사이에 상기 열기가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
KR1020130129654A 2013-10-30 2013-10-30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 KR101544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654A KR101544276B1 (ko) 2013-10-30 2013-10-30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654A KR101544276B1 (ko) 2013-10-30 2013-10-30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298A true KR20150049298A (ko) 2015-05-08
KR101544276B1 KR101544276B1 (ko) 2015-08-12

Family

ID=53387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654A KR101544276B1 (ko) 2013-10-30 2013-10-30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2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519A (ko) * 2018-12-07 2020-06-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장치
KR20200108583A (ko) * 2019-03-11 2020-09-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용 온도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167A (ko) 2018-12-18 2019-01-23 (주)이노알앤씨 조립형 가열애자를 구비하는 사출용 히팅장치
KR20190008166A (ko) 2018-12-18 2019-01-23 (주)이노알앤씨 사출용 히팅장치의 열회수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338B1 (ko) 2006-11-29 2008-04-22 조대식 성형기용 단열커버
KR200459988Y1 (ko) 2011-12-07 2012-05-03 에너텍코리아(주) 사출기 배럴용 단열 커버
KR101293406B1 (ko) 2013-01-23 2013-08-05 에너텍코리아(주) 성형기 배럴용 전열히터의 냉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519A (ko) * 2018-12-07 2020-06-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장치
KR20200108583A (ko) * 2019-03-11 2020-09-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용 온도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276B1 (ko)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276B1 (ko)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
US10914523B2 (en) Plasma furnace having lateral discharge gates
WO2013191479A1 (ko) 진공 사출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 방법
KR200459988Y1 (ko) 사출기 배럴용 단열 커버
CN201483732U (zh) 注塑机料筒隔热保护套
KR101230188B1 (ko) 주조장치
KR101293406B1 (ko) 성형기 배럴용 전열히터의 냉각장치
WO2012161468A2 (e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JP2009137114A (ja) 射出成形機における加熱筒の排気装置
CN105689429A (zh) 一种改进的加热炉
KR101932173B1 (ko) 단열과 냉각기능을 겸비하는 사출용 히팅장치
CN215578438U (zh) 一种电控的超温安全保护装置
CN204658875U (zh) 用于成型机机筒的隔热罩
CN103901568B (zh) 一种光纤带套塑纤膏预填充装置
CN209993396U (zh) 一种电缆绝缘层挤塑生产线的节水型冷却装置
CN211059115U (zh) 一种钢包滑动水口油缸的保护装置
CN207963473U (zh) 一种真空感应炉
JP2013154635A (ja) 固定盤と可動側金型とを含む領域である型締断熱部を断熱構造部材で遮蔽した射出成形機
KR20100026973A (ko) 턴디쉬 폐열을 이용한 몰드 파우더 공급장치
CN207369382U (zh) 一种模具自动控温机
KR100650787B1 (ko) 산업용가열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08583A (ko) 사출성형기용 온도조절장치
CN220793830U (zh) 金属熔融加热组件
CN215517147U (zh) 一种镶嵌式高锆陶瓷流料嘴砖
CN208100950U (zh) 一种手机保护套模具热流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