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090A - 여주의 쓴맛을 감소시킨 여주 포접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여주 포접화합물 - Google Patents

여주의 쓴맛을 감소시킨 여주 포접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여주 포접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090A
KR20150049090A KR1020130129159A KR20130129159A KR20150049090A KR 20150049090 A KR20150049090 A KR 20150049090A KR 1020130129159 A KR1020130129159 A KR 1020130129159A KR 20130129159 A KR20130129159 A KR 20130129159A KR 20150049090 A KR20150049090 A KR 20150049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inclusion compound
cyclodextrin
yeoju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5234B1 (ko
Inventor
손미예
Original Assignee
손미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미예 filed Critical 손미예
Priority to KR1020130129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234B1/ko
Publication of KR20150049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2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주를 분말 혹은 농축액의 형태로 제조한 후 β-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포접함으로써, 여주 특유의 쓴맛을 감소시켜 여주의 풍미를 증진하고 더불어 기호성을 강화하여 섭취를 용이하게 한 여주 포접화합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여주 포접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주의 쓴맛을 감소시킨 여주 포접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여주 포접화합물{THE METHOD FOR MANUFACUTING MOMORDICA CHARANTIA INCLUSION COMPOUND REDUCING THE BITTERNESS OF RED GINSENG, AND THE INCLUSION COMPOUND MADE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여주를 분말 혹은 농축액의 형태로 제조한 후 β-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포접함으로써, 여주 특유의 쓴맛을 감소시켜 여주의 풍미를 증진하고 더불어 기호성을 강화하여 섭취를 용이하게 한 여주 포접화합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여주 포접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여주(Momordica charantia)는 박과(Cucurbitaceae)에 속하는 약용식물로, 성분은 베타-시토스테롤-베타-D-글루코사이드(β-sitosterol-β-D-glucoside)와 5, 25-스티그마타디엔-3 베타-D-글루코사이드(5, 25-stigmastadien-3 β-D-glucoside) 등의 분자 혼합물과, 5-하이드록시트립타민(5-hydroxytryptamine)과 각종 아미노산, 예를 들면 글루탐산(glutamic acid, alanine), 베타-알라닌(β-alan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프롤린(proline), 알파-아미노부틸릭산(α-aminobutyric acid), 시트룰린(citrulline), 갈락투로닉 산(galacturonic acid), 비타민 C(vitamin C), 베타-카로틴(β-carotin), 칼륨(potassium), 철(iron), 카란틴(charantin), 식물인슐린(p-insulin), CLA(conjugated linoleic acid, 컨쥬게이티드 리놀레익 산) 및 펙틴(pectin)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주는 상기와 같은 성분에 기인하여, 갈증해소, 식욕증진, 피부건강, 면역력 증진, 항암, 해열, 항산화 및 기관지 강화 등의 효능과, 비만, 심혈관 질환, 당뇨, 피부병, 야맹증, 기생충, 류머티스, 통풍, 신체 허약 등의 개선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상기에 나열한 여주의 성분에 따라, 주요 질환에 대한 효능에 관하여 간략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여주의 주 성분인 CLA는 1987년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의 Dr.Panza 연구팀에 의하여 밝혀진 항 돌연변이 물질로, fined ground beef에서 항암 활성을 검색하던 중 우연히 분리되어진 이래 꾸준히 연구되어져 온 물질로 반추동물이 섭취하는 inoleic acid로부터 반추 미생물에 의하여 합성되는 중간대사산출로서 천연식품에 극히 미량 존재하는 물질이다. 항산화, 항암, 항동맥경화, 면역증진, 체지방 감소 등에 대한 효과가 이미 입증되어진 바 있다.
CLA는 쥐에서 hormone sensitive loss와 camitne palmitoyl transferase의 활성을 증가시켜 체지방을 감소시키고 lean body mass(근육질)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CLA는 사람이 매일 1~3g섭취시 3개월 후 체중이 평균 2.5kg, 체지방이 15~20% 감소되는 효과도 있음을 실험으로 밝혀졌다.
여주의 효능 중에서도 특히 널리 알려져 있는 당뇨 개선 효능은 여주에 함유되어 있는 식물 인슐린, 카란틴 및 CLA에 기인한다. 식물 인슐린은 체내에서 분비되는 인슐린과 동일하게, 간에서 포도당의 연소를 촉진하고 포도당이 체내에서 재합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당뇨병 환자의 혈당치를 낮추는 작용을 하며, 카란틴은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기능을 촉진한다.
여주에 당뇨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은 여러 연구에서 밝혀졌다. 일 예로 일본 도쿄의과대학 연구진은 선천적으로 혈당치가 높은 쥐들에게 일정한 농도의 여주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1주일 만에 쥐의 혈당치가 내려간 결과를 도출한바 있다.
CLA가 지방조직에서 PPARy를 활성화하여 글루코스에 대한 내성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며, 인슐린의 수준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 여주는 의료 현장에서 사용하는 혈당 강하제와 달리 부작용도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여주의 심혈관 질환(망막증, 신증, 심근경색 및 뇌졸증 등) 개선 효능은 여주의 과육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C 및 베타-카로틴 등의 항산화 성분에 기인하는데, 비타민 C 및 베타-카로틴은 산화 스트레스와 관련된 혈관 기능 장애를 회복시키며, 혈관 이완 및 혈소판 응집 억제 역할을 하는 혈관 내피 세포의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을 증가시킨다.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과산화 물질과 반응성 산소화합물(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제거한다.
여주의 과육에는 수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여주의 비타민 C는 가열시에도 거의 파괴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주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C의 함량은 여주 100g 중 120mg을 차지한다. 이는 딸기의 80mg, 양배추의 40mg, 레몬의 90mg을 크게 웃도는 양이다.
강진군에서는 위와 같은 효능을 보유한 여주에 높은 시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여주를 수출 품목 중 하나로써 선정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여주의 효능에도 불구하고, 여주 특유의 쓴맛으로 인하여 젊은층 및 외국인의 기호도에 있어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함에 따라 여주 제품의 고부가가치 창출 및 해외시장 진출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여주의 성분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여주의 쓴맛을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의 모색이 필요하다 하겠다.
기존의 여주 쓴맛 제거 방법을 살펴보면, 여주를 소금에 절이는 방법, 또는 라임 즙, 카레가루 등의 향이 강한 식품을 혼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물, 소금 또는 기타 첨가물을 여주에 혼합하는 것으로,상기 방법 실행시 여주의 성분 및 효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여주의 쓴맛이 제거되면서도 효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과 여주를 반응시켜 포접화합물을 생성하는 방법을 안출하였다. 사이클로덱스트린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전분을 원료로 효소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고리 모양의 올리고당이다. 사이클로덱스트린 분자의 내부는 수소와 산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는 하이드록실기로 구성되어 있다. 흰색의 결정 또는 결정성 가루로 냄새가 없고 약간의 단맛이 나며, 각종 산, 알칼리에 대해 내열성을 가지며 가열이나 습도에도 강한 편이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의 가장 큰 특성은 포접(inclusion) 작용을 하는 것이다. 포접이란 2종의 분자가 짝을 이룰 때, 상대적으로 더 큰 분자가 통 모양, 층 모양 또는 그물 모양으로 벌어져, 그 틈새에 더 작은 분자가 끼어 두 분자가 결합되는 현상을 말한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의 분자 구조는 고리 모양이므로 다른 분자를 감쌀 수 있는 구조이며, 사이클로덱스트린 분자의 내부는 소수성으로써 수소와 산소로 이루어지고 외부는 친수성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작용이 가능하다.
즉,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이용하여 여주 쓴맛 성분을 포접시, 여주의 성분 및 효능에 변화를 일으킬 요소가 없으므로, 여주의 성분 및 효능을 변화시키지 않고 쓴맛이 제거될 수 있다 하겠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기술을 살펴 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2897호에는 여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건강 기능성 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6903호에는 여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여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식혜 및 제조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0386호에는 여주 열매, 잎, 줄기 및 뿌리를 이용한 여주차 제조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 기술들은 여주를 소재로 이용하였다는 점에서는 본 발명과 일면 일치하는 부분이 있으나, 여주 쓴맛 제거 공정시 건조, 로스팅, 또는 첨가물 첨가 등을 수행하였으므로, 상기 공정시 여주의 성분 및 효능이 변화되었을 확률이 높다고 하겠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2897호 (2013. 08. 2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6903호 (2011. 08. 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0386호 (2013. 08. 20)
이희주 외 6명. 여주의 유전자원별 과실특성과 Charantin 성분 함량.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1, no.4, pp.379-384, 2012
본 발명의 목적은, 여주를 분말 혹은 농축액의 형태로 제조한 후 β-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포접함으로써, 여주 특유의 쓴맛을 감소시켜 여주의 풍미를 증진하고 더불어 기호성을 강화한 포접화합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포접화합물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주 농축액 또는 분말 3~7g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 3~7g을 0.1N 아세트산(Acetic acid) 300~700ml에 용해시켜 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용액이 pH 10.0~12.0이 되도록 1.0N 수산화나트륨(NaOH)를 적가하는 단계; 상기 용액이 pH 6.0~8.0이 되도록 0.1N 염산(HCl)을 적가하는 단계; 상기 용액을 여과한 후에 동결건조 혹은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주 포접화합물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여주농축액 혹은 분말 3~7g을 40~60% 에탄올 용액 300~700ml에 넣고 교반하여 용해한 후, β-사이클로덱스트린 3~7g을 가하여 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용액을 70~90℃로 가온하여 2~5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가온을 중지하고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는 단계; 상기 용액을 감압여과한 후에 동결건조 혹은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주 포접화합물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증류수 200~600ml에 β-사이클로덱스트린 3~7g과 여주농축액 혹은 분말 3~7g을 넣고 30~40℃에서 교반하여 용해시켜 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용액을 동결건조 혹은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주 포접화합물을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여주 포접화합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여주 포접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한 건강기능식품은 기능성 음료, 건강보조식품, 차, 과자류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사용되기 위하여,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백질,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여 환, 과립, 음료, 타블렛, 캅셀 등의 제형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각 제형을 제조하기 위하여 첨가제가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이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되기 위하여는 약제학적 분야에서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자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등과 혼합하여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또는 주사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 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물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가축용 사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각 경우에 가축 사료에서 허용되는 첨가제 또는 추가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화장료의 유효성분으로 이용하기 위하여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여주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 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스핑고 지질, 고분자다당, 고분자 펩티드로 이뤄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L-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류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성분은 모두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여주 포접화합물 제조방법은, 심혈관 질환, 당뇨, 피부병, 야맹증, 기생충, 류머티스, 통풍 및 신체 허약 등의 개선 효능 등을 보유하고 있으나 특유의 쓴맛으로 인해 섭취가 용이하지 않은 여주를 β-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포접하여, 여주의 쓴맛을 감소시켜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참조예 및 도면에 기술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조예 1. 여주 포접화합물의 제조: 아세트산 용해 및 pH 조절
1. 여주농축액 제조
여주를 선별하여 세척하고, 여주 무게당 7~10배 가수하여 3회 추출한다. 추출한 여주추출액을 70~90℃ 이하의 온도에서 60~70 브릭스(brix)의 농축액으로 제조한 후 냉장고에 보관한다.
2. 여주분말 제조
여주의 물기를 제거하고 동결건조한 후, 90~110μm으로 미분쇄한다.
3. 아세트산에 용해시킨 여주 포접화합물 제조
1의 여주농축액 또는 2의 여주분말 3~7g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 3~7g을 0.1N 아세트산(Acetic acid) 300~700ml에 용해시킨다.
상기 용액이 pH 10.0~12.0이 되도록 1.0N 수산화나트륨(NaOH)를 서서히 적가한 후, 다시 이 용액이 pH 6.0~8.0이 되도록 0.1N 염산(HCl)을 서서히 적가하여 반응시킨다.
상기 용액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하여 여주 포접화합물을 제조한다.
여주농축액 또는 분말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중량비는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중량비가 1:3이 되도록 설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은 β-사이클로덱스트린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2. 여주 포접화합물의 제조: 에탄올 용해
1. 여주농축액 제조
제조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제조한다.
2. 여주분말 제조
제조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제조한다.
3. 에탄올에 용해시킨 여주 포접화합물 제조
여주농축액 또는 분말 3~7g을 40~60% 에탄올 용액 300~700ml에 넣고 교반하여 녹인 후, β-사이클로덱스트린 3~7g을 가한다. 혼합물을 70~90℃로 가온하여 2~5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가온을 중지하고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계속 교반한다. 교반을 멈춘 후 반응액을 감압여과하여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하여 여주 포접화합물을 제조한다.
여주농축액 또는 분말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중량비는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중량비가 1:3이 되도록 설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은 β-사이클로덱스트린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3. 여주 포접화합물의 제조: 물 용해
1. 여주농축액 제조
제조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한다.
2. 여주분말 제조
제조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한다.
3. 물에 용해시킨 여주 포접화합물 제조
물 300~700ml에 β-사이클로덱스트린 3~7g과 여주농축액 또는 분말 3~7g을 넣고 35~40℃에서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하여 여주 포접화합물을 제조한다.
여주농축액 또는 분말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중량비는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중량비가 1:3이 되도록 설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은 β-사이클로덱스트린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참조예 1. 여주 포접화합물의 관능 평가
1. 실험 과정
여주의 쓴맛을 제거하기 위해 제조공정을 달리하여 제조한 분말들의 관능평가를 연구소 내의 연구원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평가내용은 분말의 색(color), 향(flavor), 쓴맛(bitterness), 맛(taste) 및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 5가지 항목을 평가하였으며, 5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5점으로 갈수록 쓴맛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으로 측정하였다.
제조예 1 내지 3의 과정으로 제조된 여주 포접화합물을 실험 소재로 사용하였다.
2. 실험 결과
하기의 [표 1]은 β-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포접하여 쓴맛을 제거한 여주분말 샘플들의 관능 평가를 나타낸 표이다.
특성
(Characteristics)

시료
대조군(control) 제조방법 1/
여주 포접화합물 1군
(pH 조절)
제조방법 2/
여주 포접화합물 2군
(에탄올 첨가)
제조방법 3/
여주 포접화합물 3군
(물 첨가)
24h 24h 24h

(Color)
3.01±0.67 2.23±1.07 2.81±0.75 2.99±1.42
쓴맛
(Bitterness)
1.32±0.66 2.72±0.74 2.76±1.20 3.07±0.92

(Flavor)
2.25±1.32 2.08±1.71 3.15±1.09 3.11±1.10

(Taste)
2.66±1.70 2.13±1.31 3.02±0.92 3.50±1.81
전반적인 기호도
(Overall
acceptance)
2.80±1.22 3.00±0.90 3.10±0.82 3.23±0.71
색 항목에서는 어떤 처리도 하지 않은 대조군의 선호도가 3.01±0.67로 가장 높았으며, pH 조절법을 이용한 제조방법 1로 제조한 여주 포접화합물 1군의 선호도가 2.23±1.07로 가장 낮았다.
쓴맛 항목에서는 여주 포접화합물 3군의 선호도가 3.07±0.92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군의 선호도가 1.32±0.66로 가장 낮았다.
향 항목에서는 에탄올을 첨가한 제조방법 2로 제조한 여주 포접화합물 2군의 선호도가 3.15±1.09로 가장 높았으며, 여주 포접화합물 1군의 선호도가 2.08±1.71로 가장 낮았다.
맛 항목에서는 여주 포접화합물 3군의 선호도가 3.50±1.81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군의 선호도가 2.66±1.70로 가장 낮았다.
전반적인 기호도 항목에서는 여주 포접화합물 3군의 선호도가 3.23±0.71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군의 선호도가 2.80±1.22로 가장 낮았다.
정리하여 보면, 여주 포접화합물 1 내지 3군 모두 쓴맛이 모두 감소되었으며, 특히 여주 포접화합물 3군은 쓴맛, 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이로써, 여주농축액에 β-사이클로덱스트린을 반응시키면 여주 특유의 쓴맛을 일정량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물을 첨가하여 반응시킬시 쓴맛의 제거 효율성이 가장 높아진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Claims (5)

  1. 여주농축액 또는 분말 3~7g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 3~7g을 0.1N 아세트산(Acetic acid) 300~700ml에 용해시켜 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용액이 pH 10.0~12.0이 되도록 1.0N 수산화나트륨(NaOH)를 적가하는 단계;
    상기 용액이 pH 6.0~8.0이 되도록 0.1N 염산(HCl)을 적가하는 단계;
    상기 용액을 여과한 후에 동결건조 혹은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삼 포접화합물 제조방법.
  2. 여주농축액 혹은 분말 3~7g을 40~60% 에탄올 용액 300~700ml에 넣고 교반하여 용해한 후, β-사이클로덱스트린 3~7g 을 가하여 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용액을 70~90℃로 가온하여 2~5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가온을 중지하고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는 단계;
    상기 용액을 감압여과한 후에 동결건조 혹은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삼 포접화합물 제조방법.
  3. 증류수 200~600ml에 β-사이클로덱스트린 3~7g과 여주농축액 혹은 분말 3~7g을 넣고 30~40℃에서 교반하여 용해시켜 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용액을 동결건조 혹은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주 포접화합물제조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여주 포접화합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여주 포접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20130129159A 2013-10-29 2013-10-29 여주의 쓴맛을 감소시킨 여주 포접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여주 포접화합물 KR101555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159A KR101555234B1 (ko) 2013-10-29 2013-10-29 여주의 쓴맛을 감소시킨 여주 포접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여주 포접화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159A KR101555234B1 (ko) 2013-10-29 2013-10-29 여주의 쓴맛을 감소시킨 여주 포접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여주 포접화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090A true KR20150049090A (ko) 2015-05-08
KR101555234B1 KR101555234B1 (ko) 2015-09-24

Family

ID=53387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159A KR101555234B1 (ko) 2013-10-29 2013-10-29 여주의 쓴맛을 감소시킨 여주 포접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여주 포접화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2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785A (ko) 2015-08-26 2017-03-08 철원친환경영농조합법인 유기농 여주 효소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785A (ko) 2015-08-26 2017-03-08 철원친환경영농조합법인 유기농 여주 효소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234B1 (ko)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235B1 (ko)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JP3966922B2 (ja)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US20100323044A1 (en) Abnormal protein removing method
JP5479891B2 (ja) 新規ローヤルゼリー分画物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KR20090035180A (ko) 엽산이 혼입된 대두 발효 고분자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조성물
KR102358623B1 (ko)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636429B1 (ko) 보툴리눔 독소 유래 펩타이드 단편,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3550B1 (ko) 난용성 물질인 커큐민을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복합체
KR101555234B1 (ko) 여주의 쓴맛을 감소시킨 여주 포접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여주 포접화합물
WO2022169066A1 (ko) 금화규 유래 콜라겐아미노산을 이용한 기능성 콜라겐 조성물
KR100987518B1 (ko) 엽산이 혼입된 대두 발효 고분자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2012067082A (ja) 経口組成物
JP2019182863A (ja) 肌のハリ又はうるおいの改善用組成物
KR102461868B1 (ko) 발모촉진효과를 갖는 매생이 추출물의 보관안정성을 개선하는 방법
KR100987517B1 (ko) 엽산이 혼입된 대두 발효 고분자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70036640A (ko)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1208A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5798289B2 (ja) 異常蛋白質除去用組成物
KR20200039388A (ko) 녹용으로부터 유래한 고미네랄 소재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