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051A - 중부하 운송수단용 회전반경 축소장치 - Google Patents

중부하 운송수단용 회전반경 축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051A
KR20150049051A KR1020130129065A KR20130129065A KR20150049051A KR 20150049051 A KR20150049051 A KR 20150049051A KR 1020130129065 A KR1020130129065 A KR 1020130129065A KR 20130129065 A KR20130129065 A KR 20130129065A KR 20150049051 A KR20150049051 A KR 20150049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ing radius
cargo
transportation
road
radi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선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9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9051A/ko
Publication of KR20150049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4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long loads, e.g. with separate wheeled load suppor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5/00Wheels or wheel attachments designed for increasing traction
    • B60B15/26Auxiliary wheels or rings with traction-increasing surface attachable to the main wheel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운송수단인 화물운반대의 차축 간의 거리를 짧게하여 회전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화물운반대가 회전반경이 작은 도로에 위치하였을 때 그 화물운반대의 전방 측에 장착되는 보조대차에 의해 후방 측을 들어올려 회전반경이 작은 상태로 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중부하 운송수단용 회전반경 축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에 따라 운송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도로 확장이나 별도의 토목공사 또는 우회하는 방법을 생략함으로 인한 경제성도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중부하 운송수단용 회전반경 축소장치{Reduced turning radius for heavy loads transport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운송수단에 적용되는 회전반경 축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운송수단인 화물운반대의 차축 간의 거리를 짧게하여 회전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중부하 운송수단용 회전반경 축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기는 로터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발전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풍력발전기는 양질의 풍력자원이 있고, 풍력설비 보다 높은 풍속에 방해되는 건물 및 나무 등이 없으며, 풍력 타워의 넘어짐에 의해 양향을 받지 않도록 민가 또는 축사 등의 시설과 충분히 떨어진 장소에 설치된다.
그에 따라 풍력발전기는 주거지와 떨어진 산간 또는 바다 등에 설치되며, 풍력발전기의 로터 블레이드는 풍력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수 내지 수십 미터의 길이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로터 블레이드는 설치 장소에 직접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설치 장소와는 거리 먼 별도의 시설물에서 제작된 후 제작 장소로부터 특수 차량에 의해 설치 장소로 운송되어 조립된다.
이렇게, 로터 블레이드를 운송하기 위해서는 도로 상황, 경사, 회전반경, 도로 주변의 시설물, 교량 및 터널 등의 주변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의 통과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운송 중 도로의 회전반경이 작고, 곡선 구간이 반복되는 도로에서는 운행되지 못하는 관계로, 도로확장이나 별도의 토목공사 또는 우회하는 방법을 선택하여 운행되어야 하는 단점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통상의 특장차 등과 같은 차량인 견인부와 상기 견인부의 후방에 장착되어 견인되는 공지의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로터 블레이드를 운송시에는 상기 로터 블레이드의 길이에 비례하여 로터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지지대는 화물운반대의 후방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운송수단의 회전반경이 커지게 된다.
즉, 상기 회전반경은 견인부에 장착되는 화물운송대의 선단에서부터 그 화물운송대의 후방 바퀴까지 비교적 긴 길이의 회전반경을 가지게 됨으로써, 전술한 도로 확장이나 별도의 토목공사 또는 우회하는 방법을 선택하여 운송되어야 하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로 풍력발전기 터빈의 로터 블레이드를 위한 운송 차량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1590호(이하 '선행특허문헌 1'이라 합니다)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견인차와 트레일러가 로터 블레이드의 운송 중 로터 블레이드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고 각각 로터 블레이드에 대한 홀딩장치 및/또는 수용장치를 보유하며, 상기 홀딩 장치 및/또는 수용장치가 경축을 중심으로 로터 블레이드의 회전이 가능하고 로터 블레이드의 회전을 위한 구동 수단이 견인차 및/또는 트레일러에 구비된 상기 견인차와 트레일러를 갖는 풍력 발전설비의 로터 블레이드에 대한 운송 차량을 제공한다.
한편, 미국공개특허 제2010-0168960호(이하 '선행특허문헌 2'라 합니다)에는 터빈 블레이드를 운송하는 운송수단이 개시되어 있는 바, 상기 운송수단은 블레이드의 일단을 운송수단에 연결하기 위해 틸팅수단을 구비하는 블레이드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의 끝단은 운송수단의 전면을 향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1590호 미국공개특허 제2010-0168960호
그러나, 선행특허문헌 1은 교량 등의 하부를 통과하도록 로터 블레이드의 몸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종래 문제점인 회전반경이 좁은 도로나 곡선 구간이 반복되는 구간에서의 회전반경으로 인한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선행특허문헌 2는 설치 장소까지 운송이 완료되었을 때 로터 블레이드를 틸팅하는 기술이므로, 운행 중 회전반경이 좁은 구간에서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운송수단인 화물운반대의 차축 간의 거리를 짧게하여 회전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중부하 운송수단용 회전반경 축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운송수단으로도 착탈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송수단인 견인부에 의해 견인되는 화물운반대를 이용하여 로터 블레이드를 운송하는 과정에서 회전 반경이 작은 도로에서 상기 화물운반대의 회전반경을 축소시켜 운송하는 축소장치로서, 상기 축소장치는 화물운반대가 회전반경이 작은 도로에 위치하였을 때 그 화물운반대의 전방 측에 장착되는 보조대차에 의해 후방 측을 들어올려 회전반경이 작은 상태로 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조대차는 화물운반대의 상부에서 로터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전방에 설치된다.
상기 보조대차는 화물운반대에 장착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측 전후에 도로 측으로 승,하강되는 승하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프레임은 클램핑부에 의해 화물운반대로부터 착탈되게 형성된다.
상기 승하강부재는 본체 프레임에 장착된 승강하부, 상기 승하강부의 밑면에 도로 상에서 구름되는 이송바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운송수단인 화물운반대의 차축 간의 거리를 짧게하여 회전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전반경이 작은 도로에서도 로터 블레이드 운송이 차질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운송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도로 확장이나 별도의 토목공사 또는 우회하는 방법을 생략함으로 인한 경제성도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또한, 기존의 운송수단으로도 착탈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설계가 요구되지 않고 기존의 어떠한 운송수단으로도 적용이 가능하여 높은 호환성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운송수단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는 화물운반대의 후방이 상승되기 전의 측면도,
도 3은 화물운반대의 후방이 상승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화물운반대가 작은 회전반경으로 운송되는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화물운반대가 작은 회전반경으로 회전이 완료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운송수단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운송수단(10)인 특장차 등과 같은 차량인 견인부(110)에 의해 견인되는 통상의 트레일러 등과 같은 화물운반대(120)를 이용하여 풍력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대략 수 내지 수십 미터에 이르는 로터 블레이드(B)를 운송하는 과정에서 회전 반경이 작은 도로에서 상기 화물운반대(120)의 회전반경을 축소시켜 운송하는 축소장치(1)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운송수단의 로터 블레이드가 올려진 화물운반대의 차축 간의 거리를 짧게하여 회전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축소장치(1)는 화물운반대(120)가 회전반경이 작은 도로에 위치하였을 때 그 화물운반대(120)의 전방 측에 장착되는 보조대차(10)에 의해 후방 측을 들어올려 회전반경이 작은 상태로 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조대차(10)는 화물운반대(120)의 상부에서 로터 블레이드(B)를 지지하는 지지대(10)의 전방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는 화물운반대의 상부 거치된 로터 블레이드의 중간 부분의 후방 측에 위치하여 운송에 따른 유동성 없도록 원활하게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로터 블레이드는 대략 수 내지 수십 미터 이상이며, 상기 운송수단인 견인부는 대략 6~8m 정도이고, 상기 화물운반대는 견인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대략 25m 이상이다.
그에 따라 운송하는 과정에서 회전반경이 작은 도로에서 최소한 상기 화물운반대의 길이만큼의 회전반경을 가져야 하는 데, 즉 견인부에 장착된 선단 부분부터 화물운반대의 후방에 위치한 바퀴까지의 거리인 대략 25m 내외의 회전반경을 가지고 운송되어야 하지만, 상기 본 발명의 화물운반대의 전방 측에 위치한 보조대차에 의해 최소한의 회전반경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견인부에 장착된 선단 부분부터 화물운반대로 장착된 보조대차까지의 거리로 인해 차축 간의 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화물운반대의 전체적인 회전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긴 길이를 가지는 로터 블레이드가 장착되는 운송수단인 화물운반대의 회전반경을 자축 간의 거리를 짧게 유지할 수 있는 보조대차에 의하여 작게 함으로써, 종래 도로확장이나 별도의 토목공사 또는 우회하지 않고도 운송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운송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보조대차(10)는 화물운반대(120)에 장착되는 본체 프레임(12)과, 상기 본체 프레임(12)의 양측 전후에 도로 측으로 승,하강되면서 상기 화물운반대의 후방을 상승시켜 후방 바퀴가 도로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거나 하강하여 후방 바퀴가 도로로 접촉되도록 하는 승하강부재(14)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보조대차는 평상시 승하강부재가 본체 프레임 측으로 상상된 상태로, 운송에는 지장을 초래하지 않은 상태로 운송되다가 회전반경이 작은 도로에 위치하였을 때 운전자의 수동적인 조작이나 또는 통상적인 제어방식 등에 의해 상기 승하강부재를 작동시킨다.
그에 따라 승하강부재가 하강하면서 도로로 지지되면서 그 승하강부재가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화물운반대의 후방 측이 상승됨에 따라 상기 화물운반대의 후방 바퀴가 도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화물운반대의 회전반경은 견인부의 후방 바퀴와 상기 보조대차의 승하강부재 사이의 차축 간의 짧은 거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화물운반대의 전체적인 회전반경은 작아지게 됨에 따라 회전반경이 좁은 도로에서도 원활하게 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체 프레임(12)은 통상적인 원터치 방식에 의해 작동되는 클램프에 의해 화물운반대로 장착되거나 통상의 볼트와 너트 또는 스크류 장착방식에 의한 브래킷 등과 같은 클램핑부(13)에 의해 화물운반대(120)로부터 착탈되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기존의 운송수단인 어떠한 화물운반대에도 간단하고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호환성도 뛰어난 조건을 가진다.
승하강부재(14)는 복잡한 구조가 아닌 본체 프레임()에 장착되는 통상의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승강하부(14a)와, 상기 승하강부(14a)의 밑면에 도로 상에서 구름되는 통상적인 이송바퀴(14b)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바퀴는 승하강부의 밑면에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를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송수단(100)인 견인부(110)에 의해 견인되는 화물운송대(120)에 운반하고자 하는 로터 블레이드(B)를 장착 고정한다. 이때, 상기 로터 블레이드(B)는 화물운송대(120)의 중간 후방 측에 위한 지지대(122)에 의해 유동성 없이 지지 고정된다. 상기 화물운송대(120)에 로터 블레이드(B)가 장착되면 운송수단(100)인 견인부(110)에 의해 필요로 하는 설치 장소로 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로터 블레이드를 운송하는 과정에서 회전반경이 작은 도로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화물운송대(120)의 전방 측으로 위치한 보조대차(10)의 승하강부재(14)를 작동시킨다.
그에 따라 승하강부재(14)의 승하강부(14a)는 하강하면서 도로에 지지됨과 아울러 그 승하강부(14a)를 기점으로 화물운송대(120)의 후방 측이 상승하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화물운송대(120)의 회전반경이 견인부(110)로 장착된 화물운송대(120)의 선단과 보조대차(10)인 승하강부(14a)의 이송바퀴(14b) 사이의 차축 간의 짧은 거리를 가짐으로써, 작은 회전반경을 가지는 조건을 가지게 되어, 회전반경이 작은 도로에서도 용이하게 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전반경이 작은 도로에서의 회전반경이 작은 상태로 운송된 후에는 상기 보조대차(10)인 승하강부재의 승하강부는 다시 본체프레임 측으로 다시 상승됨으로써, 견인부(110)에 의해 견인되는 화물운송대(120)의 운송에는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정상적인 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복잡한 구조가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인해 화물운송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기존의 화물 운송수단에도 단시간 내에 간단하고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인해 호환성 또한 뛰어난 조건도 가진다.
1 : 축소장치
10 : 보조대차 12 : 본체프레임
13 : 클램핑부 14 : 승하강부재
14a : 승하강부 14b : 이송바퀴
100 : 운송수단 110 : 견인부
120 : 화물운송대 122 : 지지대

Claims (5)

  1. 운송수단인 견인부에 의해 견인되는 화물운반대를 이용하여 로터 블레이드를 운송하는 과정에서 회전 반경이 작은 도로에서 상기 화물운반대의 회전반경을 축소시켜 운송하는 축소장치로서,
    상기 축소장치는 화물운반대가 회전반경이 작은 도로에 위치하였을 때 그 화물운반대의 전방 측에 장착되는 보조대차에 의해 후방 측을 들어올려 회전반경이 작은 상태로 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부하 운송수단용 회전반경 축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대차는 화물운반대의 상부에서 로터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부하 운송수단용 회전반경 축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대차는 화물운반대에 장착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측 전후에 도로 측으로 승,하강되는 승하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부하 운송수단용 회전반경 축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클램핑부에 의해 화물운반대로부터 착탈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부하 운송수단용 회전반경 축소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는 본체 프레임에 장착된 승강하부, 상기 승하강부의 밑면에 도로 상에서 구름되는 이송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부하 운송수단용 회전반경 축소장치.
KR1020130129065A 2013-10-29 2013-10-29 중부하 운송수단용 회전반경 축소장치 KR20150049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065A KR20150049051A (ko) 2013-10-29 2013-10-29 중부하 운송수단용 회전반경 축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065A KR20150049051A (ko) 2013-10-29 2013-10-29 중부하 운송수단용 회전반경 축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051A true KR20150049051A (ko) 2015-05-08

Family

ID=5338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065A KR20150049051A (ko) 2013-10-29 2013-10-29 중부하 운송수단용 회전반경 축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90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76658B2 (en) Nacelle and method of loading a wind turbine nacelle comprising one hub onto a vehicle arrangement
CN101880006B (zh) 固定式回转起重机用滚装装置及滚装方法
CN103437563B (zh) 一种用于大型钢结构厂房钢骨架的安装方法
CN104527691A (zh) 机车底架部件安装方法及其安装座
CN102494901A (zh) 多功能驻车制动试验台
CN110216434A (zh) 一种用于更换大型升船机安全卷筒轴的导向小车装置及方法
CN104210411A (zh) 重型设备装运的运输装置及方法
CN203126625U (zh) 汽车野外救援及维护一体化平台
CN102530582A (zh) 用于大型装船机整机上岸的方法
CN205044617U (zh) 风力发电机风叶山地自行走运输车
KR20150049051A (ko) 중부하 운송수단용 회전반경 축소장치
CN203126626U (zh) 汽车野外救援及维护平台
CN202744955U (zh) 一种钢桁梁桥梁运梁平车
CN216008539U (zh) 一种用于地铁隧道钢桁架支撑多功能台车
CN202317830U (zh) 一种翻转机
CN210161970U (zh) 一种移动变电车
CN201801812U (zh) 公铁两用多功能桥检高空作业车
CN108791581B (zh) 带有滑轮组的牵引式转运车
CN109458200B (zh) 盾构法施工隧道用管片运输小车及其使用方法
CN204055876U (zh) 一种电力设备多功能运载车
CN107604776B (zh) 铁路轨道施工用便梁横移吊
CN102747686A (zh) 一种钢桁梁桥梁运梁平车
CN113844555A (zh) 一种用于特大型货物的运输设备
CN101713613A (zh) 特大型烧结工程主抽风管道施工工艺
CN205686473U (zh) 一种移动破碎筛分站及其半挂车底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