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648A -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zvzcs 스위칭 컨버터 - Google Patents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zvzcs 스위칭 컨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47648A KR20150047648A KR1020130126239A KR20130126239A KR20150047648A KR 20150047648 A KR20150047648 A KR 20150047648A KR 1020130126239 A KR1020130126239 A KR 1020130126239A KR 20130126239 A KR20130126239 A KR 20130126239A KR 20150047648 A KR20150047648 A KR 201500476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e
- diode
- switching
- equation
- switching conver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H02M1/0054—Transistor switching losses
- H02M1/0058—Transistor switching losses by employing soft switching techniques, i.e. commutation of transistors when applied voltage is zero or when current flow is zero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1차권선 및 상기 1차권선에 직렬연결된 2차권선을 포함하는 주권선과, 상기 1차권선 및 상기 2차권선 사이의 접점에 탭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권선의 일단에 입력전원의 일단이 연결되는 단권변압기; 상기 탭 연결부와 상기 입력전원의 타단 사이에 연결된 능동 스위치; 상기 능동 스위치에 병렬 연결된 스너버회로; 상기 스너버회로의 출력에 일단이 연결된 링크 다이오드; 상기 링크 다이오드의 타단과 상기 변환출력의 일단 사이에 위치하는 클램프 다이오드; 상기 링크 다이오드와 클램프 다이오드 사이의 접점과 상기 주권선의 타단 사이에 연결된 회복 커패시터; 및 상기 변환출력의 일단과 상기 주권선의 타단 사이에 연결된 출력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스위칭 컨버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ZVZCS 스위칭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수십 년 동안 지속되고 있는 전력 전자의 큰 트렌드 중 하나는 변환기와 필터의 크기와 무게를 줄이기 위한 높은 스위칭 주파수가 될 수 있다. 최근, 전기 자동차, 신 재생 에너지 시스템, 발광 다이오드 드라이버에서 고주파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 다른 일반적인 큰 트렌드는 에너지 손실을 줄이기 위한 높은 전력 효율과 열 발생 문제이다. 이러한 큰 트렌드와 관련하여, 영 전압 스위칭(ZVS: Zero Voltage Switching) 및/또는 영 전류 스위칭(ZCS: Zero Current Switching) 컨버터를 제공하는 많은 소프트 스위칭 기법이 지난 40 년 동안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하드 스위칭에 비해 소프트 스위칭 기법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의사 공진 컨버터와 클래스 E 공진 컨버터와 같은 일부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제외하고 대부분 FET, BJT, SCR 및 IGBT와 같은 추가적 능동 스위치 및 소프트 스위칭을 필요로 한다.
2) 능동 스위치와 다이오드 스위치의 전압 및/또는 전류 스트레스가 의사 공진 컨버터 등의 일부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에 대해서는 더 커지게 된다.
3) 스위칭 조건 및 부하변동에도 ZVS 혹은 ZCS 동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부가적인 전압/전류 센싱이 불가피하다.
4) 컨버터의 듀티사이클 및 부하전류와 같은 동작범위가 제한된다.
5) 부하전류 및 스위칭 주파수 등에 의해 DC 전압이득이 영향을 받으므로 비선형적인 제어특성을 갖는다.
6) ZCS 턴오프 직후 혹은 컨버터가 전류 불연속 모드(DCM)에서 동작할 때, 스위치의 기생 커패시턴스, 도선 인덕턴스 등으로 고주파의 링잉(Ringing) 현상이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능동 스위치가 켜지고 꺼질 때 ZCS 또는 ZVS 동작을 하여 소자의 전류 및 전압 스트레스를 작게 하고자 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입력전원을 컨버팅하여 변환출력을 생성하는 스위칭 컨버터에 있어서, 1차권선 및 상기 1차권선에 직렬연결된 2차권선을 포함하는 주권선과, 상기 1차권선 및 상기 2차권선 사이의 접점에 탭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권선의 일단에 상기 입력전원의 일단이 연결되는 단권변압기; 상기 탭 연결부와 상기 입력전원의 타단 사이에 연결된 능동 스위치; 상기 능동 스위치에 병렬 연결된 스너버회로; 상기 스너버회로의 출력에 일단이 연결된 링크 다이오드; 상기 링크 다이오드의 타단과 상기 변환출력의 일단 사이에 위치하는 클램프 다이오드; 상기 링크 다이오드와 클램프 다이오드 사이의 접점과 상기 주권선의 타단 사이에 연결된 회복 커패시터; 및 상기 변환출력의 일단과 상기 주권선의 타단 사이에 연결된 출력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컨버터를 제공한다.
상기 스너버회로는, 상기 탭 연결부와 일단이 연결된 스너버 다이오드; 및 상기 스너버 다이오드의 타단과 상기 입력전원의 타단 사이에 연결된 스너버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너버 다이오드의 타단이 상기 링크 다이오드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탭연결부와 상기 능동 스위치 사이, 및 상기 주권선의 타단과 상기 출력 다이오드의 사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는 인덕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위칭 컨버터는 능동 스위치가 켜질 때 탭인덕터의 누설인덕턴스를 이용하여 ZCS 동작을 하며, 능동 스위치가 꺼질 때는 누설 인덕턴스의 에너지가 다이오드를 통해 스너버 커패시터로 전달되어 ZVS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전의 하드스위칭 회로의 장점처럼 ZVZCS 소프트 스위칭 범위가 출력 조건에 따라 제한되지 않으며, 출력 다이오드를 제외한 모든 소자의 전압 스트레스가 출력전압보다 작다.
그리고, 능동 스위치는 입출력 전압, 부하조건 등과 무관하게 켜지고 꺼질 수 있으며, 주요 스위치들(스위치 Q, 출력다이오드 D0)을 제외한 모든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는 스너버 회로의 일종이므로 rms 전류 스트레스가 낮다.
또한, 모든 다이오드가 ZCS 혹은 ZVS 턴오프 되므로, 다이오드들의 리버스 리커버리 현상을 무시할 수 있어 기생 순환현상(Parastic Ringing)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ZVZCS 스위칭 컨버터(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위칭 컨버터(100)에 대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1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2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3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4A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4B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5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6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7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8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9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스위칭 컨버터(100)의 스위칭에 따른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의 (a)는 im= Im1인 경우, 모드2에 대한 스위칭 컨버터(100)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의 (b)는 같이 모든 DC 소스와 단권변압기를 제거하고, 전압 및 전류 변화만 보기 위한 AC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의 (a)는 모드 3에 대하여 DC 성분과 AC 성분을 함께 나타낸 스위칭 컨버터(100)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의 (b)는 DC 성분을 제외하고 AC 성분만으로 나타낸 스위칭 컨버터(100)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모드 4B에 대한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모드 6에 대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의 (a)는 모드7에 대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의 (b)는 도 19의 (a)에 대한 테브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의 (a)는 모드 8에 대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의 (b)는 도 20의 (a)에 대한 테브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DCM 동작을 위한 제1모드 내지 제6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DCM 동작을 위한 제7모드 내지 제12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1 내지 도 22의 동작모드에 대응되는 ZCZVS 스위칭 컨버터(100)의 스위칭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DCM 동작에서의 동작모드의 상태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ZVZCS 스위칭 컨버터(2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위칭 컨버터(100)에 대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1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2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3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4A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4B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5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6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7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8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9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스위칭 컨버터(100)의 스위칭에 따른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의 (a)는 im= Im1인 경우, 모드2에 대한 스위칭 컨버터(100)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의 (b)는 같이 모든 DC 소스와 단권변압기를 제거하고, 전압 및 전류 변화만 보기 위한 AC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의 (a)는 모드 3에 대하여 DC 성분과 AC 성분을 함께 나타낸 스위칭 컨버터(100)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의 (b)는 DC 성분을 제외하고 AC 성분만으로 나타낸 스위칭 컨버터(100)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모드 4B에 대한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모드 6에 대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의 (a)는 모드7에 대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의 (b)는 도 19의 (a)에 대한 테브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의 (a)는 모드 8에 대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의 (b)는 도 20의 (a)에 대한 테브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DCM 동작을 위한 제1모드 내지 제6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DCM 동작을 위한 제7모드 내지 제12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1 내지 도 22의 동작모드에 대응되는 ZCZVS 스위칭 컨버터(100)의 스위칭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DCM 동작에서의 동작모드의 상태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ZVZCS 스위칭 컨버터(2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ZVZCS 스위칭 컨버터(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ZVZCS 스위칭 컨버터(100)는 탭인덕터(110), 능동 스위치(Q), 스너버 회로(120), 링크 다이오드(D2), 클램프 다이오드(D3), 회복 커패시터(Cr), 출력 다이오드(D0), 부하 커패시터(CL) 및 부하 저항(RL)을 포함한다. 여기서, ZVZCS 스위칭 컨버터(100)의 구성요소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되어 구현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탭인덕터(110)는 1차권선(111) 및 1차권선(111)에 직렬연결된 2차권선(112)을 포함하는 주권선(113)과, 1차권선(111) 및 2차권선(112) 사이의 접점에 탭 연결부(114)를 구비하고, 주권선(113)의 일단에 입력전원(101)의 일단이 연결된다.
능동 스위치(Q)는 탭 연결부(114)와 입력전원(101)의 타단 사이에 연결된다.
스너버 회로(120)는 능동 스위치(Q)에 병렬 연결되며, 스너버 회로(120)는 스너버 다이오드(D1) 및 스너버 커패시터(Cs)가 직렬 연결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링크 다이오드(D2)는 스너버회로(120)의 출력에 일단이 연결된다. 스너버회로(120)가 스너버 다이오드(D1) 및 스너버 커패시터(Cs)가 직렬 연결된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링크 다이오드(D2)는 스너버 다이오드(D1) 및 스너버 커패시터(Cs) 사이의 접점에 일단이 연결된다.
클램프 다이오드(D3)는 링크 다이오드(D2)의 타단과 스위칭 컨버터(100)의 변환출력의 일단 사이에 위치한다.
회복 커패시터(Cr)는 링크 다이오드(D2)와 클램프 다이오드(D3) 사이의 접점과 주권선(113)의 타단 사이에 연결된다.
출력 다이오드(D0)는 스위칭 컨버터(100)의 변환출력의 일단과 주권선(113)의 타단 사이에 연결된다.
부하 커패시터(CL)는 스위칭 컨버터(100)의 변환출력의 일단과 입력전원(101)의 타단 사이에 연결된다.
부하 저항(RL)은 부하 커패시터(CL)에 병렬로 연결된다.
도 1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ZVZCS 스위칭 컨버터(100)는, 소프트 스위칭 기술을 사용한 것으로서, 탭 부스트 컨버터를 위한 단일 스위치 기반 영전압 및/또는 영전류 스위칭(ZVZCS)을 수행한다. 스위칭 컨버터(100)는 ZVZCS 동작을 위해 세 개의 작은 크기의 다이오드(스너버 다이오드(D1), 링크 다이오드(D2), 클램프 다이오드(D3))와 두 개의 커패시터(스너버 커패시터(Cs) 및 회복 커패시터(Cr))가 일반 탭 부스트 컨버터에 추가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위칭 컨버터(100)는 무손실 스너버 회로를 갖는 탭 부스트 컨버터처럼 동작한다.
도 2는 도 1의 스위칭 컨버터(100)에 대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능동 스위치(Q)가 턴 온일 때, 능동 스위치(Q)는 탭인덕터(110)의 리키지(leakage) 인덕턴스(La)의 도움으로 영전류 스위칭(ZCS)을 한다. 능동 스위치(Q)가 턴 오프(Turn Off)일 때, 리키지 인덕턴스(La)의 에너지는 스너버 다이오드(D1)를 통해 스너버 커패시터(Cs)로 전송되며, 이는 능동 스위치(Q)의 영전압 스위칭(ZVS)을 발생한다. 그러면, 스너버 커패시터(Cs)의 에너지는 능동 스위치(Q)가 다시 턴 온(Turn On)될 때 탭인덕터(110)의 타단부에 연결된 출력 다이오드(D0)와 회복 커패시터(Cr)를 통해 추출된다.
이하, 스위칭 컨버터(100)의 동작 원리 및 디자인 고려 사항은 100 kHz 스위칭 주파수의 SiC(Silicon Carbide) JFET(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기반의 프로토 타입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고 실험적으로 확인한다. 여기서 능동 스위치(Q)가 SiC JFET인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능동 스위치(Q)로 다양한 스위칭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서, 탭인덕터(110)는 큰 값의 자화 인덕턴스 Lm, 두 개의 작은 값의 리키지(leakage) 인덕턴스인 La 및 Lb, 그리고 n:1(n = N1/N2)의 턴 비(Turn Ratio)를 갖는 이상적인 단권변압기로 모델링될 수 있다.
한편, La 및 Lb는 탭인덕터(110)의 리키지 인덕턴스 성분일 수도 있으나, La 와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 또는 Lb 와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를 외부에서 추가로 연결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인덕터 및 제2 인덕터를 둘다 연결할 수도 있으나 그 중에서 어느 하나만 연결할 수도 있다.
탭인덕터(110)는 리키지 인덕턴스로 ZCS 스위칭 동안 전류 기울기를 제한하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스위칭 컨버터(100)는 CCM(Continuous Current Mode)에서 작동하며, 라인 인덕턴스, 스트레이 커패시턴스 및 내부 저항을 포함하는 기생 소자는 무시할만 하다. 여기에 사용된 모든 다이오드는 고속 회복 다이오드이며 그들의 스위칭 손실, 전도 손실 및 역 회복 스위칭 시간은 작으며, 능동 스위치(Q)의 턴 온 시간은 tr 및 턴 오프 시간은 tf로 각각 가정한다. 입력전원(101)의 소스 전압 Vi와 출력 전압 VL은 스위칭 주기 TS 동안에 리플 전압 없는 DC를 가지며, CL은 매우 큰 값의 커패시턴스를 갖는다.
도 3 내지 도 12는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1(Mode1) 내지 모드9(Mode9)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스위칭 컨버터(100)의 스위칭에 따른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드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2에서 보면 스위칭 주기 TS에 대해 스위칭 컨버터(100)의 동작 모드는 10 개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4에서 보면, 능동 스위치의 턴 오프 전환 모드는 모드1-4이고, 오프 모드는 모드 5, 반면 턴 온 전환 모드는 모드6-8, 온 모드는 모드9이다. 여기서, 턴-온 및 턴-오프 스위칭 시간은 스위칭 주기 TS에 비교해서 무시할 정도로 작다.
CCM에서 스위칭 컨버터(100)의 평균 정적 특성은 수학식 1 및 2와 같이 기존의 탭 인덕터 부스트 컨버터에서처럼 듀티 사이클 D의 평균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Gv는 입력전압(Vi) 대비 출력전압(VL)의 게인(Gain)이다.
이하, 턴 오프 프로세스로부터 시작하여 각 모드에 대한 세부 회로 분석을 한다.
도 3의 모드 1[t0, t1]은, 도 13의 t0에서, 스위치(Q)는 이제 막 턴 오프된 상태이다. 스위치(Q)의 턴 오프 시간을 무시하면, 리키지 전류 ia는 스너버 커패시터 CS를 따라 흐르고 CS의 전압 vs는 0으로부터 증가하여 스위치 Q의 ZVS 스위칭을 한다. 전압 vs가 증가함에 따라, 탭 인덕터(110) 타단의 전압 vt는 부스트 업(Boost up)되며, 추후 전압 vt는 복구 커패시터(Cr) 전압 Vr과 함께 결국 클램프 다이오드 D3를 턴 온 하게 된다. 따라서 D3가 턴 오프일 때, D3 양단의 전압 v3는 수학식 3과 같다.
여기서 Vrp는 이전 주기의 모드8(모드8에 대해서는 후술함)에서 결정된 회복 커패시터 Cr가 충전되어 있는 전압이고, 자화 전류 im이 모드1의 짧은 기간 동안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v3은 t=t1 에서 0이 된다. 이때, vs는 수학식 4와 같이 결정된다.
자화 전류는 모드 1에서 im = Im1으로서 변하지 않으므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vs의 전압 기울기가 직선이므로 스너버 커패시터를 0으로부터 수학식 4의 소정의 전압까지 충전하기 위한 시간 간격 t10 은 수학식 5와 같이 결정된다.
도 13에서 보듯이 Im1은 im의 최소값이고 Im2는 im의 최대값이다. 이것은 이상적인 탭 부스트 컨버터를 가정하면, 주어진 부하 전류 IL 또는 Im에 대하여 수학식 6 및 7로부터 대략 결정된다.
도 4의 모드 2[t1, t2]에서는 클램프 다이오드 D3가 턴 온 되면서, 도 13에서와 같이 스너버 커패시터 전압 vs가 증가하는 동안 회복 커패시터 전압 vr은 감소하기 시작한다.
도 15의 (a)는 im=Im1인 경우, 모드2에 대한 스위칭 컨버터(100)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의 (a)에서 회로의 4 차 미분 방정식을 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5의 (b)와 같이 모든 DC 소스와 단권변압기를 제거하고, 전압 및 전류 변화만 보기 위한 AC 등가 회로를 그렸다.
도 15의 (b)에서 전류들은 서로 상관 관계를 갖는다. 즉, 이다. 따라서, 이 회로의 동작은 두 개의 공진 주파수에 의해서가 아니라 수학식 8과 같은 공진 주파수에 의해 지배된다.
여기서 등가 인덕턴스와 등가 커패시턴스는 각각 수학식 9와 수학식 10와 같다.
도 15의 (a)의 등가 회로의 vs에 대한 일반적인 솔루션은 계수 {ak}를 사용하여 수학식 1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드 2는 ω1 의 공진 주기와 비교했을 때 매우 짧다는 사실과 im≒Im1라는 것을 고려하면, 일반해(General Solution)인 수학식 11은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수학식 12와 같이 크게 단순화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정현파 변화가 무시될 수 있으며, CS가 모드 1 이후 선형적으로 충전되기 때문이다.
수학식 5와 비슷한 방법으로, vs(t2)=VL에 도달하는 시간 간격 t21은 수학식 13과 같이 직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의 모드 3[t2, t3]에서, 시간 t2일 때, vs가 VL까지 증가한 결과 링크 다이오드 D2는 턴 온이 된다. 그런 다음, ib는 증가하고, ia는 감소하고, Vr은 감소한다. 결국, 부하 조건에 따라 모드 4A에 해당하도록 ia가 0이 되거나 모드 4B에 해당하도록 Vr이 0이 된다.
ib가 im과 같아지는 경우, 수학식 14의 KCL 조건으로 인해 ia가 제로로 되기 때문에 다이오드 D1과 D2가 턴 오프된다.
도 16의 (a)는 모드 3에 대하여 DC 성분과 AC 성분을 함께 나타낸 스위칭 컨버터(100)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의 (b)는 DC 성분을 제외하고 AC 성분만으로 나타낸 스위칭 컨버터(100)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im≒Im1로서 여전히 자화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도 16과 같은 등가회로가 된다.
모드 2와는 약간 다르게, 도 16의 (b)에서 모드 3의 등가 회로의 동작 주파수는 수학식 15와 같다.
도 16의 (a)의 등가회로에 대한 vr 및 ib의 일반해는 계수 {bk}를 사용하여 수학식 16 및 1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16 (a) 회로의 특이해 및 초기 조건을 고려하여, 계수 {bk}는 수학식 18, 19, 20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수학식 18은 작은 저항 감쇠에 대한 정상 상태에서 회로의 vr(∞)에 해당한다.
ib가 수학식 21과 같이 Im1에 도달하면 t3A에서 모드3이 종료되고, 모드 4A가 시작된다.
여기서 시간 간격 t32A는 수학식 22와 같다.
수학식 21과 22에서 나타내듯이, Im1가 작을 때 모드 4A는 가벼운 부하 조건에 대해 존재한다. 무거운 부하 조건에 대해서는, 수학식 21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으며, 수학식 23과 같이 vr이 먼저 영이 되고 t3B에서 모드3이 끝나고 모드 4B가 시작된다.
여기서 시간 간격 t32B는 수학식 24와 같다.
수학식 22를 수학식 24와 비교하면, 부하조건에 따라 t32A 또는 t32B이 다른 것보다 작을 수 있다.
도 6의 모드 4A[t3A, t4]에서는, t3A일 때, 다이오드 D1과 D2는 막 턴 오프되고, 계속 일정하게 유지되는 자화전류 Im1은 Vr이 제로가 될 때까지 Cr로 흐른다. 따라서, 시간 간격 t43A은 직접적으로 수학식 25와 같이 선형 충전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t32A는 수학식 22에서 결정된다.
도 7의 모드 4B[t3B, t4]에서는, t3B일 때, 회복 커패시터 전압 vr은 제로가 되고 출력 다이오드 D0가 막 턴 온이 된다. 자화 전류 im이 최대값인 im1을 유지하는 동안, 전류 ia는 수학식 14를 사용하여 수학식 26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7은 모드 4B에 대한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과 같이, 모드 4B에서는 ia와 ib는 수학식 26을 고려하여 수학식 27과 같이 해결할 수 있다.
수학식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ia가 감소하는 동안 ib가 증가한다. ia가 0이 되는 시간 간격 t43B은 수학식 17, 수학식 24 및 수학식 26을 사용하여 수학식 27로부터 수학식 28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도 8의 모드 5[t4, t5]에서는, t4일 때, 스위치 Q의 모든 턴 오프 전환이 완료되고, 부하 측에 자화 전류 im을 전달하는 출력 다이오드 D0을 턴온으로 유지한다. 이전 전환 모드와 비교하여 모드 5의 기간은 상대적으로 매우 길다. 그러므로 도 13에서 보듯이, 수학식 29와 같이 im은 더 이상 일정하지 않지만 기존의 부스트 컨버터와 같이 선형으로 변화된다.
도 9의 모드 6[t5, t6]에서는, t5일 때, 스위치 Q에 외부(예컨대, 스위칭 컨버터(100)의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턴 온 명령에 따라 턴 온 된다.
도 18은 모드 6에 대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t5일 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전류 iQ는 영으로부터 증가하여 ZCS 턴 온을 야기하고, 그 동안에 출력 다이오드 전류 i0가 영을 향하여 감소하여 D0의 소프트 스위칭을 한다.
자화 전류 im이 Im2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동안, 전류 ia는 이제 수학식 14를 이용하여 수학식 30으로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30을 고려하면, 도 18로부터 ib는 수학식 3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ib가 Im2에서 0으로 감소하는 시간 간격 t65는 수학식 31로부터 수학식 32와 같이 결정된다.
도 10의 모드 7[t6, t7]에서, t6일 때, D0 출력 다이오드 전압이 역 바이어스되고 링크 다이오드 D2는 턴 온되어, 그 결과 리키지 인덕턴스 La, Lb 및 커패시터 Cs, Cr로 구성된 직렬 공진 회로가 형성된다.
도 19의 (a)는 모드7에 대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의 (b)는 도 19의 (a)에 대한 테브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의 (a), (b)로부터 모드 7의 등가 회로의 동작 주파수는 수학식 33과 같다.
모드7에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너버 커패시터 전압 vs는 VL로부터 감소하고 그 전류 ib는 정현파에서 0으로부터 증가하며 이는 수학식 34 및 35로 각각 나타낼 수 있다.
회복 커패시터 전압 vr은 수학식 34로부터 수학식 36과 같이 결정된다.
이 회로의 특이해 및 초기 조건을 고려하여, 계수{Ck}는 수학식 37 내지 40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α 및 β는 수학식 4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모드 7은 수학식 42와 같이 vs가 0에 도달할 때인 t7에 끝나고, 이때 D1이 턴 온 되고 모드 8이 시작한다.
시간 간격 t76는 수학식 42로부터 수학식 43과 같이 결정된다.
근사화를 위한 α 및 β의 조건은 후술한다.
도 11의 모드 8[t7, t8]에서는, t7일 때, 스너버 다이오드 D1이 턴 온되고 스너버 커패시터 CS가 공진 루프에서 제외된다.
도 20의 (a)는 모드 8에 대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의 (b)는 도 20의 (a)에 대한 테브난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의 (a) 및 (b)에서, 복구 커패시터 전압 vr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그 전류 ir은 감소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전압 vr 및 전류 ir은 수학식 15와 동일한 동작 주파수를 사용하여 수학식 44 및 45와 같이 각각 결정할 수 있다.
모드 7과 유사한 방식으로, 계수 {dk}은, 회로의 특이해 및 초기 조건을 고려하여 수학식 46 및 47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iO의 전류 방향을 아는 것은 중요하며, 이는 도 20 및 수학식 30으로부터 수학식 48과 같이 결정된다.
수학식 48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Q가 반대로 도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바디 다이오드가 있는 경우, 바디 다이오드들은 도통하지 않고 부하 조건 및 스너버 설계에 관계없이 빠른 턴 오프 스위칭을 항상 보장한다.
회복 커패시터 전류 ir이 수학식 49와 같이 0이 될 때 모드 8을 종료한다.
여기서, 시간 간격 t87은 수학식 49로부터 수학식 50과 같이 결정된다.
이때, 시간 t8에서 수학식 51과 같이 복구 커패시터가 완전히 충전된다.
도 12의 모드 9[t8, t9]에서는, t8일 때, 공진 전류 ir이 0에 도달하고, ZCS는 D1과 D2에 대해 달성된다. 이제, Q는 전적으로 턴 온 되고 다른 모든 다이오드는 잠시 동안 완전히 오프가 된다. La << Lm인 경우, 자화 전류 im이 최종적으로 수학식 52와 같이 결정된다.
스위칭 컨버터(100)의 실용적인 응용에서, 각 구성 요소의 전압 및 전류 스트레스와 스위칭 시간은 합리적인 범위 내이어야 한다. 여기서, 100 kHz의 스위칭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공칭 100 V 입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A. 각 구성 요소의 전압 및 전류 스트레스
스위치,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의 rms(root mean square)값 뿐만 아니라 최대 정격 전압 및 전류를 구할 수 있다.
도 3 내지 12와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스위치 Q, 다이오드 D1, D2, D3 및 스너버 커패시터 CS의 최대 전압은 회로 구성에 의해 항상 부하 전압 VL에 제한된다. 이 낮은 전압 스트레스는 스위칭 컨버터(100)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이다. 한 가지 예외는 출력 다이오드 D0로서, D0는 수학식 51에 의해 결정되는 회복 커패시터 전압 Vrp의 추가에 의한 높은 전압 스트레스를 겪는다. 수학식 51은 수학식 49와 50을 이용하여 수학식 5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43을 수학식 47에 적용하면, d2는 수학식 54와 같이 근사화할 수 있다.
수학식 15, 33, 46, 47을 사용하여 수학식 54를 수학식 53에 적용하면 수학식 5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대 출력 다이오드의 전압 스트레스 Vo , max는 모드 8 동안에 수학식 55의 최대값인 Vrp , max을 이용하여 수학식 56와 같이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수학식 55 및 56으로부터 출력 다이오드 정격 전압은 항상 VL보다 높지만 α와 β가 적절하게 증가하여 완화될 수 있다.
도 12에서 나타내듯이, 링크 다이오드 D2의 최대 역 전압은 수학식 57과 같이 Vrp , max 보다 작은 값으로 구할 수 있다 :
어떤 구성 요소의 전류 스트레스는 일반적으로 피크 전류와 평균 전류로 분류할 수 있다. 도 3 내지 12와 도 13에 나타내듯이, 스위치 Q의 피크 전류는 모드 7의 IQP 또는 모드 9의 Im1에 의해 결정된다. 수학식 30과 35로부터, IQP는 수학식 58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Q의 최대 정격 전류는 최종적으로 수학식 59와 같이 결정된다.
수학식 58과 59에서 나타내듯이, IQ , max는 주어진 부하 조건에 대해 더 큰 n과 더 작은 CS에 의해 완화된다.
출력 다이오드 D0의 피크 정격 전류는 도 13으로부터 Im1으로 직접적으로 찾을 수 있다. 반면, 스너버 다이오드 및 링크 다이오드 D1과 D2의 피크 정격 전류는 턴 온 전환 모드(Turn-on Transition Mode)의 Im1이나 턴 오프 전환 모드(Turn-off Transition Mode)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수학식 45 및 53으로부터 수학식 60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D1과 D2의 최대 정격 전류는 수학식 60으로부터 최종적으로 수학식 61로 나타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내듯이, 클램프 다이오드 D3의 최대 정격 전류는 모드 2 내지 모드4(모드 4A, 모드 4B)에 관련된다. 하지만, 모드2 동안의 전류 i3은 작고 모드 4에서의 전류는 모드 3에서의 전류보다 낮다. 그래서 모드3만 수학식 62와 같이 나타낸다.
Q와 D0의 평균 정격 전류는, 작은 값을 갖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외하고, 기존의 탭 부스트 컨버터의 정격 전류와 거의 동일하다. 왜냐하면, 스위칭 컨버터(100)의 스위칭 전환 상태가 수학식 63 및 64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든 구성 요소에 대한 설계 마진 없이 최대 정격 전압과 최대 정격 전류는 표 1에 나열된다.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다이오드의 피크 정격 전류가 일반적으로 평균 전류 정격보다 몇 배 더 큰 것을 고려하면, 다이오드 D1, D2, 및 D3는 D0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전압과 전류의 정격은 주로 VL과 Im에 각각 지배되며, Vrp와 n이 스트레스를 저감하는 데 주된 고려 사항이다.
B. 턴 온 및 턴 오프 전환 시간(Turn-on and Turn-off Transition Times)
스위칭 전환 시간은 소프트 스위치 Q의 스위칭 손실, 듀티 사이클의 동작 범위 및 스위칭 주파수 fS에 영향을 미친다. 전술한 각 모드의 회로 분석을 바탕으로, 턴-오프 전환 시간 Tf 및 턴-온 전환 시간 Tr은 각각 수학식 65 및 66에 의해 결정된다.
스위칭 주기에 ZVZCS 동작을 확실히 하기 위해, 온/오프 최소 및 최대 시간, 즉, 최소 및 최대 듀티 사이클이 고려되어야 하며, 수학식 65, 66 및 도 13으로부터 수학식 67 및 68에서 각각 구할 수 있다.
도 13에서 보듯이, 지연 스위칭 시간 때문에 i0와 관련된 유효 듀티 사이클은 수학식 69와 같이 정의된다.
수학식 1, 2, 6, 7, 41 및 63, 64와 같은 DC의 특성을 위하여 Deff를 D로 교체하는 것이 훨씬 더 정확한 결과를 낼 수 있다.
수학식 67, 68을 수학식 69에 적용하면 수학식 70 및 71과 같이 최소 및 최대 유효 듀티 사이클이 계산된다.
이 유효 듀티 사이클을 스위칭 컨버터(100)의 작동 범위의 설계에 고려한다.
수학식 72 및 73과 같이 소프트 스위칭 전력 손실을 완화하기 위하여, 스위치 Q의 턴 온 및 턴 오프 스위칭 시간 tr과 tf은 수학식 56의 스너버 회로의 턴 온 및 턴 오프 전환 시간보다 적어도 몇 배 작아야 한다(즉, kr = 20, kf = 5).
여기서 스너버 회로 매개 변수는 주어진 스위칭 시간과 부하 조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C. 회복 커패시터 및 탭인덕터의 턴 비(Recovery Capacitor and Tapped Inductor Turn Ratio)
수학식 1에서 73까지 나타낸 바와 같이, 탭 인덕터의 턴 비 n과, 회복 커패시턴스와 스너버 커패시턴스의 비 Cr/CS는 대부분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계 요소이다. 많은 설계 변수들 중에서, 수학식 56의 출력 다이오드 정격 전압, 수학식 59의 스위치 정격 전류 및 수학식 65 및 66의 스위칭 전환 시간은 여기에서 평가한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이 작을수록 성능은 더 나아진다. 하지만, 주어진 설계에서 그들 모두가 작은 값을 가질 수는 없으므로 그들 사이의 트레이드 오프가 필요하다.
비 조명(Non-light) 부하 조건과 낮은 전류 리플(즉, Im1≒Im2≒Im=IL/(1-D))을 가정하고, 수학식 1, 2, 41, 63, 64와 같은 근사화된 이상적인 DC 특성을 활용하고, 수학식 72, 73과 같은 설계 조건 및 tr = tf = ts의 경우에 대해 RL = VL/IL 인 것을 결합하면, 선택한 설계 매개 변수는 수학식 74 내지 79와 같이 정규화할 수 있다.
수학식 74 내지 79에서 나타내듯이, 그들은 주어진 회로 매개 변수에 대해 무차원(dimensionless) 변수인 α(= Cr / CS), n 및 D의 함수이다. n과 관련하여, 모든 파라미터는 n<1에 대하여 심각해지며, 더 큰 n에 대하여 이루어진 성능 향상은 n>3인 경우에는 성능 향상이 오히려 악화된다. 따라서, 최적의 값은 1<n<3에 존재하며, 바람직하게는 n = 2이다. 이와 유사하게, α가 1 미만인 경우 전압 스트레스는 높으며, α > 3 인 경우 γTr, γTf는 작다. 따라서, 최적의 값은 1 <α< 3에서 존재하며 바람직하게는 α = 2이다. 이 최적값들은 디자인 상의 선호 사항뿐만 아니라 다른 동작 듀티 사이클 및 스위칭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능동 스위치 컨버터를 구현하는 것은 단순히 비용 절감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게이트 드라이버의 데드 타임과 부동 그라운드를 확실히 하는 멀티 스위칭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소프트 스위칭 기술의 과도한 전압 및/또는 전류 스트레스의 단점은 고전력 응용에서의 사용을 막는 요인이 된다. 종래의 컨버터는 하드 스위칭 특성이라는 가장 큰 단점을 제외하고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큰 전압 및/또는 전류 스트레스 없이 기존의 하드 스위칭 컨버터와 동일한 동작 특성을 갖는 능동 스위치의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100)는 새로운 스위칭 기술이다.
이상의 설명을 정리하면 스위칭 컨버터(100)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1. 스위칭 컨버터(100)는 능동 스위치가 켜질 때 탭인덕터의 누설인덕턴스를 이용하여 ZCS 동작을 하며, 능동 스위치가 꺼질 때는 누설 인덕턴스의 에너지가 다이오드를 통해 스너버 커패시터로 전달되어 ZVS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2. 스너버 커패시터에 저장된 에너지는 탭인덕터의 끝단에 연결된 리커버리 커패시터로 전달된 후 출력단으로 방전된다.
3. 이전의 하드스위칭 회로의 장점처럼 스위칭 컨버터(100)는 ZVZCS 소프트 스위칭 범위가 출력 조건에 따라 제한되지 않는다.
4. 출력 다이오드를 제외한 모든 소자의 전압 스트레스가 출력전압보다 작다.
5. 능동 스위치는 입출력 전압, 부하조건 등과 무관하게 켜지고 꺼질 수 있다.
6. 주요 스위치들(스위치 Q, 출력다이오드 D0)을 제외한 모든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는 스너버 회로의 일종이므로 rms 전류 스트레스가 낮다.
7. 컨버터가 연속전류모드(CCM)에서 동작할 때, DC 입출력 이득은 출력전류 및 스위칭 주파수와 같은 동작조건에 둔감하며, 듀티 사이클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8. 모든 다이오드가 ZCS 혹은 ZVS 턴오프 되므로, 다이오드들의 리버스 리커버리 현상을 무시할 수 있어 기생 순환현상(Parastic Ringing)이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스위칭 컨버터(100)가 CCM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DCM(Discontinuous Current Mode)에서도 작동 가능하다.
도 21은 DCM 동작을 위한 제1모드 내지 제6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DCM 동작을 위한 제7모드 내지 제12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에서, 제1모드(mode1) 내지 제5모드(mode5)는 각각 도 3 내지 도 5의 모드1 내지 모드 3과 도 7 내지 도 8의 모드4B 및 모드5와 각각 유사하게 동작하고, 도 22에서, 제10모드(mode10) 내지 제12모드(mode12)는 각각 도 10 내지 도 12의 모드7 내지 모드9와 유사한 동작을 한다.
도 23은 도 21 내지 도 22의 동작모드에 대응되는 ZVZCS 스위칭 컨버터(100)의 스위칭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4는 DCM 동작에서의 동작모드의 상태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하듯이, DCM 동작에서, 제1모드 내지 제4모드는 능동 스위치가 오프 전환하기 위한 것이며, 제5모드는 능동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모드이고, 제10모드 내지 제11모드는 능동 스위치가 온 전환하기 위한 모드이고, 제12모드는 능동 스위치가 온 상태인 모드이다. 한편, 도 24에 도시하듯이, 도 14의 CCM에서의 상태변화와 비교할 때 DCM에서는 제6모드 내지 제9모드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능동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모드에서 온 전환하는 모드 사이에, 자화전류 im이 0이 된 후에 몇몇의 반복적인 L-C 공명과 함께 DCM 천이(DCM Transient)가 일어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100)의 DCM 동작에 따른 평균 정적 특성은, 기존의 일반적인 탭-인덕터 부스트 컨버터에서와 같이 수학식 80에 의해 평균 듀티 사이클 D에 의해 단순히 결정된다. 여기서 Doff는 출력 다이오드 D0가 도통하는 시간 비율에 의해 수학식 81과 같이 정의된다.
이하, DCM 동작에서의 제1모드 내지 제12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제1모드[t0, t1]: Q 스위치가 막 오프가 되었을 때, 누설 전류 ia가 스너버 커패시터 Cs로 흐르고, Cs의 전압 vs가 0으로부터 증가하여 Q의 ZVS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제2모드[t1, t2]: 클램프 다이오드 D3가 턴 온 되는 경우, 회복 커패시터 전압 vr은 감소하기 시작하며 스너버 커패시터 전압 vs는 증가한다.
제3모드[t2, t3]: t2에서, vs가 VL까지 증가함에 따라 링크 다이오드 D2는 턴 온 된다. 결국, 부하 조건에 따라서, 모드 4A에 대응되어 ia가 제로가 되거나 또는 모드 4B에 대응되어 vr이 제로가 된다.
제4모드[t3, t4]: 모드4A 동안에, 다이오드 D1과 D2는 이제 막 턴 오프되고 일정한 Im1으로 유지되는 자화 전류 im은 vr이 0이 될 때까지 Cr로 흐른다. 회복 커패시터 전압 vr은 0이 되고, 출력 다이오드 D0는 모드 4B에 대해 이제 막 턴 온 된다.
제5모드[t4, t5]: t4에서, 모드 턴 오프 전환은 완료되고, 출력 다이오드 D0는 턴 온 상태를 유지하여 자화전류 im을 부하단으로 전달한다.
제6모드[t5, t6]: t5에서, 출력 다이오드 전류 i0는 0에 다다른다. 링크 다이오드 D2는 턴 온이 되어 인덕턴스 Lm, Lb와 커패시터 Cs, Cr로 이루어진 직렬 공진회로가 초래한다.
제7모드[t6, t7]: t6에서, 공진 전류는 0으로 감소하고 스너버 커패시터 전압 vs는 다시 증가한다.
제8모드[t7, t8]: t7에서, 클램프 다이오드 D3가 턴온 됨에 따라 회복 커패시터 전압 vr은 감소하기 시작한다.
제9모드[t8, t9]: t8에서, 제6모드 내지 제8모드는 종료된다. 모드 다이오드와 스위치는 잠시동안 완전히 턴 오프된다.
제10모드[t9, t10]: t9에서, 외부 턴 온 명령에 의해 스위치 Q는 턴 온 된다. 스위치 전류 iQ는 0으로 감소하여 ZCS 턴온을 야기한다. 링크 다이오드 D2는 턴 온 되어 누설 인덕턴스 La, Lb와 커패시터 Cs, Cr로 구성된 직렬 공진회로를 초래한다.
제11모드[t10, t11]: t10에서, 스너버 다이오드 D1은 턴 온되고 스너버 커패시터 Cs는 공진 루프부터 제외된다.
제12모드[t11, t12]: t11에서, 공진전류 ir은 0에 도달하고, D1 및 D2에 대하여 ZCS가 달성된다. 이때 Q는 혼자 턴온 되고 다른 모든 다이오드들은 잠시동안 완전히 턴 오프 된다.
표 2는 DCM에서 스위칭 컨버터(100)의 모든 구성 요소에 대한 최대 정격 전압과 최대 정격 전류를 나열한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ZVZCS 스위칭 컨버터(2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1 및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부스트 타입 컨버터 이외에도 도 25와 같은 벅 부스트 타입의 컨버터에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컨버터에 확장되어 적용 가능하다.
도 25과 도 2를 비교하면, 부하 저항(RL, RL2) 및 부하 커패시터(CL , CL2)를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의 상호 연결은 동일하다. 즉, 도 25의 ZVZCS 스위칭 컨버터(2500)에서 탭인덕터(T), 능동 스위치(Q), 회복 커패시터(Cr), 출력 다이오드(D0), 스너버 다이오드(D1), 스너버 커패시터(Cs), 링크 다이오드(D2), 클램프 다이오드(D3) 및 입력전원(2501)의 연결관계는 도 1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도 2의 부하 저항(RL) 및 부하 커패시터(CL)의 위치와 달리 도 25의 회로에서 제2 부하 커패시터(CL2)는 출력 다이오드(D0)와 클램프 다이오드(D3)의 접점과 입력전원(2501)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고, 제2 부하 저항(RL2)은 제2 부하 커패시터(CL2)에 병렬로 연결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들은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3)
- 입력전원을 컨버팅하여 변환출력을 생성하는 스위칭 컨버터에 있어서,
1차권선 및 상기 1차권선에 직렬연결된 2차권선을 포함하는 주권선과, 상기 1차권선 및 상기 2차권선 사이의 접점에 탭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권선의 일단에 상기 입력전원의 일단이 연결되는 단권변압기;
상기 탭 연결부와 상기 입력전원의 타단 사이에 연결된 능동 스위치;
상기 능동 스위치에 병렬 연결된 스너버회로;
상기 스너버회로의 출력에 일단이 연결된 링크 다이오드;
상기 링크 다이오드의 타단과 상기 변환출력의 일단 사이에 위치하는 클램프 다이오드;
상기 링크 다이오드와 클램프 다이오드 사이의 접점과 상기 주권선의 타단 사이에 연결된 회복 커패시터; 및
상기 변환출력의 일단과 상기 주권선의 타단 사이에 연결된 출력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컨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너버회로는,
상기 탭 연결부와 일단이 연결된 스너버 다이오드; 및
상기 스너버 다이오드의 타단과 상기 입력전원의 타단 사이에 연결된 스너버 커패시터
를 포함하고, 상기 스너버 다이오드의 타단이 상기 링크 다이오드의 일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컨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컨버터는,
상기 탭연결부와 상기 능동 스위치 사이, 및 상기 주권선의 타단과 상기 출력 다이오드의 사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인덕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컨버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6239A KR20150047648A (ko) | 2013-10-22 | 2013-10-22 |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zvzcs 스위칭 컨버터 |
PCT/KR2014/009958 WO2015060644A1 (ko) | 2013-10-22 | 2014-10-22 |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zvzcs 스위칭 컨버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6239A KR20150047648A (ko) | 2013-10-22 | 2013-10-22 |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zvzcs 스위칭 컨버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7648A true KR20150047648A (ko) | 2015-05-06 |
Family
ID=52993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6239A KR20150047648A (ko) | 2013-10-22 | 2013-10-22 |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zvzcs 스위칭 컨버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47648A (ko) |
WO (1) | WO201506064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450033A (zh) * | 2016-01-06 | 2016-03-30 | 航天长峰朝阳电源有限公司 | 一种链式双桥自耦升压拓扑 |
CN105515394A (zh) * | 2016-01-06 | 2016-04-20 | 航天长峰朝阳电源有限公司 | 一种链式单桥自耦降压拓扑 |
CN105515393A (zh) * | 2016-01-06 | 2016-04-20 | 航天长峰朝阳电源有限公司 | 一种链式单桥自耦升压拓扑 |
CL2016002155A1 (es) * | 2016-08-25 | 2016-11-11 | Univ Tecnica Federico Santa Maria Utfsm | Un convertidor de potencia parcial (ppc) en un sistema de energía eléctrica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15963A (en) * | 1981-04-24 | 1983-11-15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FET commutated current-FED inverter |
US5047694A (en) * | 1989-06-30 | 1991-09-10 | Hubbell Incorporated | Lamp starting circuit |
JPH0638516A (ja) * | 1992-07-15 | 1994-02-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電源装置 |
JP5097609B2 (ja) * | 2008-04-29 | 2012-12-12 | 新日本無線株式会社 | 昇圧回路 |
KR101809099B1 (ko) * | 2010-12-27 | 2018-01-1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씨-디씨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
2013
- 2013-10-22 KR KR1020130126239A patent/KR2015004764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4
- 2014-10-22 WO PCT/KR2014/009958 patent/WO201506064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060644A1 (ko) | 2015-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11936B2 (en) | Single-stage transmitter for wireless power transfer | |
JP3861220B2 (ja) | Dc−dcコンバータ | |
JP2010516223A (ja) | スナバを有する電力コンバータ | |
CN106208698B (zh) | 设有软开关的四开关Buck-Boost变换器电路及其控制方法 | |
US8912768B1 (en) | Soft-switched voltage clamp tapped-inductor step-up boost converter | |
TWI513164B (zh) | 返馳式主動箝位電源轉換器 | |
US11973440B2 (en) | Isolated DC/DC converter with secondary-side full bridge diode rectifier and asymmetrical auxiliary capacitor | |
KR20180004675A (ko) | 보조 lc 공진 회로를 갖는 양방향 컨버터 및 그 구동 방법 | |
CN108933515A (zh) | 反激式转换器控制器、反激式转换器及其操作方法 | |
EP3324707B1 (en) | Isolated single-ended primary inductor converter with voltage clamp circuit | |
KR20150047648A (ko) |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zvzcs 스위칭 컨버터 | |
KR20090066954A (ko) | 무손실 역률 개선 회로 | |
TWI501527B (zh) | 單輔助開關之交錯式高升壓比柔切式轉換器 | |
Hwu et al. | Ultrahigh step-down converter with active clamp | |
KR101456654B1 (ko) | 공용코어 역률보정 공진 컨버터 | |
JP6393962B2 (ja) |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 |
TW201939868A (zh) | 具有快速暫態響應之經耦合電感器級聯降壓轉換器 | |
Khatua et al. | Closed-loop control of lcl-t resonant dc-dc converter operating as automotive led driver | |
CN115224969A (zh) | 零电压切换的ac-dc功率转换系统 | |
JP7329972B2 (ja) | コンバータ及び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 |
JP6829220B2 (ja) |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KR102144616B1 (ko) | 결합 인덕터를 갖는 절연형 컨버터 | |
KR102077825B1 (ko) | 부스트 컨버터 | |
KR100420962B1 (ko) | 고역률 하프 브리지형 컨버터 | |
KR20180000943A (ko) | 단상 트랜스 z 소스 ac-ac 컨버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