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340A - 뼈 치료용 장치 - Google Patents

뼈 치료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340A
KR20150047340A KR1020130127309A KR20130127309A KR20150047340A KR 20150047340 A KR20150047340 A KR 20150047340A KR 1020130127309 A KR1020130127309 A KR 1020130127309A KR 20130127309 A KR20130127309 A KR 20130127309A KR 20150047340 A KR20150047340 A KR 20150047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trocar
needle
cannula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용철
Original Assignee
안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철 filed Critical 안용철
Priority to KR1020130127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7340A/ko
Priority to PCT/KR2014/010059 priority patent/WO2015060679A1/ko
Publication of KR20150047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2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bones, e.g. intraosseus in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들(trocar needle, 10)을 구비한 제1 도구(2A), 내부에 제1 도구(2A)의 니들(10)이 삽입되는 투관침 도관(trocar pipe, 30)을 구비한 제2 도구(2B), 제2 도구(2B)의 투관침 도관(30)이 삽입되는 캐뉼러 도관(cannula pipe, 50)을 구비한 캐뉼러 도구(4)를 포함하는, 표피로부터 뼈에 이르는 시술용 접근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뼈 치료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뼈 치료용 장치 {Apparatus for Treating Bone}
본 발명은, 뼈의 치료를 위하여 표피로부터 뼈(척추골일 수 있다.)에 이르는 시술용 접근통로를 형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뼈를 치료하기 위한 경피적 수술(percutaneous surgery)에는 표피로부터 뼈에 이르는 시술용 접근통로의 형성이 요구된다. 경피적 척추후굴풍선복원술(kyphoplasty)에서는 니들 도구(needle instrument), 다이레이터 도구(dilator instrument), 캐뉼러 도구(cannula instrument) 등을 이용하여 손상된 척추골에 이르는 시술용 접근통로를 형성한 후, 시술용 접근통로를 통하여 풍선(balloon)을 삽입하여 손상된 척추골을 복원하고 골 시멘트(bone cement)를 주입하여 복원된 척추골을 고정시킨다.
시술용 접근통로의 형성과정을 살펴본다. 니들 도구는 중공 니들 및 중공 니들에 삽입된 스타일릿(stylet)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니들 도구를 표피로부터 뼈로 진입시킨다. 니들 도구의 진입이 완료되면, 중공 니들로부터 스타일릿을 분리하고, 중공 니들에 가이드 핀(guide pin)을 삽입한 후, 시술부로부터 중공 니들을 빼내어 제거한다. 이후, 시술부에 각각 도관으로 구성된 다이레이터 도구와 캐뉼러 도구를 가이드 핀을 따라 차례로 삽입하여 시술부를 확장시킨 다음, 가이드 핀과 다이레이터 도구를 캐뉼러 도구로부터 분리하여 시술부로부터 제거한다. 그러면, 캐뉼러 도구의 내부공간(루멘, lumen)에 의하여 유지되는 시술용 접근통로가 형성된다. 뼈에 니들 도구를 침투시키기가 비원활한 경우, 중공 니들에 삽입된 가이드 핀을 이용하여 뼈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안내홈을 형성한 후, 가이드 핀을 분리하고, 중공 니들에 다시 스타일릿을 삽입한 다음,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니들 도구를 진입시켜 뼈에 니들 도구를 원하는 깊이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술용 접근통로의 형성에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복수의 도구가 이용된다. 서로 다른 복수의 도구를 취급하여야만 하는 과정은 수술에 소요되는 비용, 시간, 인력의 절감 면에서 매우 불리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술용 접근통로를 보다 신속하고 쉽게 형성할 수 있는 뼈 치료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위 과제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들은 통상의 기술자(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투관침 도구(trocar instrument) 및 캐뉼러 도구(cannula instrument)를 포함하고, 상기 투관침 도구는 니들(trocar needle)을 구비한 제1 도구 및 내부에 상기 제1 도구의 니들이 삽입되는 투관침 도관(trocar pipe)을 구비한 제2 도구로 구성되며, 상기 캐뉼러 도구는 내부에 상기 제2 도구의 투관침 도관이 삽입되는 캐뉼러 도관(cannula pipe)을 구비한, 표피로부터 뼈에 이르는 시술용 접근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뼈 치료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투관침 도관은 상기 캐뉼러 도관의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에 상기 투관침 도관의 원단부(distal end portion)가 노출되는 길이를 갖고, 상기 니들은 상기 투관침 도관의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에 상기 니들의 원단부가 노출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투관침 도관의 원단부 및 상기 캐뉼러 도관의 원단부는 각각 끝 쪽으로 갈수록 외주가 축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구는 양쪽에 각각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마련되며 상기 제1 부분에 상기 투관침 도관의 근단부(proximal end portion)가 결합된 제2 핸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캐뉼러 도구는 상기 캐뉼러 도관의 근단부에 결합되고 제1 결합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2 핸들의 제1 부분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도구는 상기 니들의 근단부에 결합되며 제2 결합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2 핸들의 제2 부분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핸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수단은 상기 제2 핸들과 어댑터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암나사부 및 상기 제2 핸들과 어댑터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암나사부와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 수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외주에 논슬립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투관침 도구(trocar instrument) 및 캐뉼러 도구(cannula instrument)를 포함하고, 상기 투관침 도구는, 니들(trocar needle)을 구비한 제1 도구와; 상기 제1 도구의 니들이 근단부(proximal end portion) 측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되는 투관침 도관(trocar pipe)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도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도구로 구성되며, 상기 캐뉼러 도구는 상기 제2 도구의 투관침 도관이 근단부 측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되는 캐뉼러 도관(cannula pipe)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도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투관침 도관은 상기 캐뉼러 도관의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에 상기 투관침 도관의 원단부(distal end portion)가 노출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니들은 상기 투관침 도관의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에 상기 니들의 원단부가 노출되는 길이를 갖는 뼈 치료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위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나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서는 위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의 해결 수단 이외에도 다양한 과제의 해결 수단이 이하에서 추가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시술자 및 피시술자 모두에게 한층 향상된 만족도를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치료용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관침 도구의 제1 도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투관침 도구의 제2 도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캐뉼러 도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 핸들과 제2 핸들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치료용 장치를 이용한 시술용 접근통로의 형성과정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척추골의 치료에 적용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뼈의 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치료용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표피로부터 뼈에 이르는 시술용 접근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치료용 장치는 투관침 도구(trocar instrument, 2)와 캐뉼러 도구(cannula instrument, 4)를 포함한다.
투관침 도구(2)는 제1 도구(2A)와 제2 도구(2B)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도구(2A)는 니들(trocar needle, 10)과 제1 핸들(20)을 포함하고, 제2 도구(2B)는 투관침 도관(trocar pipe, 30)과 제2 핸들(40)을 포함한다. 캐뉼러 도구(4)는 캐뉼러 도관(cannula pipe, 50)과 어댑터(60)를 포함한다.
도 1, 2를 참조하면, 니들(10)은 원단부(distal end portion, 12) 및 근단부(proximal end portion, 14)를 갖는다. 니들(10)의 원단부(12)에는 팁(tip)이 마련되어, 니들(10)의 원단부(12)는 끝이 뾰족하게 형성된다. 제1 핸들(20)은 니들(10)의 근단부(14)에 결합된다.
도 1, 3을 참조하면, 투관침 도관(30)은 원단부(32), 근단부(34) 및 이들 사이의 내부공간인 루멘(lumen)을 갖는다. 제2 핸들(40)은 손으로 파지 시 손가락 측이 위치하는 제1 부분(42)과 손바닥 측이 위치하는 제2 부분(44)이 양쪽으로 마련된다. 제2 핸들(40)은 투관침 도관(30)의 근단부(34)에 제1 부분(42)의 중앙부가 결합된다. 제2 핸들(40)의 제2 부분(44)에는 제1 핸들(20)을 수용하는 오목한 수용부(420)가 마련되고, 수용부(420)의 바닥에는 투관침 도관(30)의 내부공간(루멘)과 연통하는 니들 삽입구(410) 및 니들 삽입구(410)와 연통하는 중공축부가 마련된다. 중공축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수용부(420)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 삽입구(410)를 통하여 투관침 도관(30)에 니들(10)을 삽입하면, 수용부(420)에 제1 핸들(20)이 수용된다. 제1 핸들(20)은 이렇게 수용부(4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2 핸들(40)의 중공축부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홈부가 마련된다.
도 1 내지 도 3, 도 5를 참조하면, 제2 핸들(40)과 수용부(420)에 수용된 제1 핸들(20)은 제2 결합수단(104, 404)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결합수단(104, 404)에 의하여 결합된 제1 핸들(20)과 제2 핸들(40)은 투관침 핸들을 구성한다. 수용부(420)는 전후가 개방되도록 터진 구조를 갖는다. 제1 핸들(20)은 수용부(420)에 수용된 상태에서 홈부에 삽입된 제2 핸들(40)의 중공축부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크기 및 형상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2 결합수단(104, 404)은 결합돌기(104)와 결합홈부(404)로 구성된다. 결합돌기(104)는 제1 핸들(20)의 양옆에 각각 마련된다. 결합홈부(404)는 수용부(420)에 마련된다. 결합홈부(404)는 수용부(420)에 수용된 제1 핸들(20)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하여 결합돌기(104)가 각각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된다.
두 결합돌기(104)를 잇는 가상의 직선과 두 결합홈부(404)를 잇는 가상의 직선이 교차하도록 수용부(420)에 제1 핸들(20)을 수용한 상태(도 5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제1 핸들(20)의 상태 참고)에서, 제2 핸들(40)의 중공축부를 중심으로 제1 핸들(20)을 회전시키면, 결합홈부(404)에 결합돌기(104)가 각각 끼워지면서 제1 핸들(20)과 제2 핸들(40)이 결합된다.
결합홈부(404)는 제2 핸들(40)의 중공축부를 중심으로 한 제1 핸들(20)의 회전방향을 결합돌기(104)와의 걸림작용에 의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제한하여 결합돌기(104)와의 결합상태가 의도하지 않게 해제(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가질 수 있다. 제2 핸들(40)의 중공축부는 그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중공축부가 삽입되는 제1 핸들(20)의 홈부는 그 내주에 중공축부의 수나사와 짝을 이루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4를 참조하면, 캐뉼러 도관(50)은 원단부(52), 근단부(54) 및 이들 사이의 내부공간인 루멘을 갖는다. 어댑터(60)는 관형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고 캐뉼러 도관(50)의 근단부(14)에 결합된다.
도 1, 3 및 4를 참조하면, 투관침 도관(30)은 캐뉼러 도관(50)의 근단부(54) 측으로부터 캐뉼러 도관(50)의 내부로 삽입되고, 어댑터(60)는 제1 결합수단(402, 602)에 의하여 제2 핸들(40)의 제2 부분(42)에 결합된다.
제1 결합수단(402, 602)은 암나사부(402) 및 암나사부(402)와 결합되는 수나사부(602)로 구성된다. 암나사부(402)는 제2 핸들(40)의 제2 부분(42)에 마련되고, 수나사부(602)는 어댑터(60)에 마련된다. 암나사부(402)와 수나사부(602)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어댑터(60)의 외주에는 손으로 어댑터(60)를 잡고 회전시켜 암나사부(402)와 수나사부(602)를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하는 과정에서 손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논슬립부(610)가 마련된다. 어댑터(60)의 외주를 다각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논슬립부(61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관침 도관(30)은 캐뉼러 도관(50)의 내부를 통과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캐뉼러 도관(50)에 삽입된 투관침 도관(30)은 원단부(32)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니들(10)은 투관침 도관(30)의 내부를 통과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투관침 도관(30)에 삽입된 니들(10)은 원단부(12)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투관침 도관(30)의 원단부(32) 및 캐뉼러 도관(50)의 원단부(52)는 각각 끝 쪽으로 갈수록 외주가 점차적으로 축소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투관침 도관(30)의 원단부(32) 및 캐뉼러 도관(50)의 원단부(52)에는 각각 테이퍼부(310, 510)가 마련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치료용 장치를 이용한 시술용 접근통로의 형성과정을 설명한다.
니들 삽입구(410)에 니들(10)의 원단부(12)부터 진입시켜 투관침 도관(30)의 내부로 니들(10)을 삽입하고, 제2 결합수단(104, 404)에 의하여 제1 핸들(20)과 제2 핸들(40)을 결합시킨다. 또한, 캐뉼러 도관(50)의 근단부(54) 측으로부터 캐뉼러 도관(50)의 내부로 투관침 도관(30)을 삽입하고, 제1 결합수단(402, 602)에 의하여 제2 핸들(40)과 어댑터(60)를 결합시킨다. 이 때, 도 1과 같이, 투관침 도관(30)의 원단부(32)는 캐뉼러 도관(50)의 원단부(52)로부터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니들(10)의 원단부(12)는 투관침 도관(30)의 원단부(32)로부터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치료용 장치를 표피로부터 뼈(척추골)로 진입시킨다.(도 6 참조) 시술자(의사)는 투관침 핸들(20, 40)을 파지하고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치료용 장치를 밀거나 비트는 동작, 또는 투관침 핸들(20, 40)의 제2 부분(44) 측에 타격을 가하는 동작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치료용 장치를 진입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치료용 장치는 니들(10)이 가장 먼저 진입되고, 다음으로는 니들(10)에 비하여 큰 외주를 갖는 투관침 도관(30)이 진입되며, 다음으로는 투관침 도관(30)에 비하여 큰 외주를 갖는 캐뉼러 도관(50)이 진입되므로, 시술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치료용 장치를 진입시키는 과정에서 투관침 도관(30)에 의하여 1차 확장된 후 캐뉼러 도관(50)에 의하여 2차 확장되는 식으로 서서히 단계적으로 확장된다. 그리고, 이러한 시술부의 확장과정은 투관침 도관(30)의 원단부(32) 및 캐뉼러 도관(50)의 원단부(52)에 각각 마련된 테이퍼부(310, 510)에 의하여 보다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시술자는 보다 간편하고 쉽게 시술할 수 있다. 그리고, 시술과정 중에 피시술자의 뼈를 포함한 시술부에 가해질 수 있는 무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치료용 장치를 뼈로 진입시키는 과정에는 가이드 핀(800)이 이용될 수 있다.(도 7 참조)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치료용 장치를 진입시키는 중에 니들(10)을 이용을 일시 중단하고 니들(10)에 비하여 가느다란 가이드 핀(800)을 진입시켜 뼈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니들(10)에 의하여 형성되는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안내홈을 형성한 다음, 다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치료용 장치를 진입시킬 수 있다. 가이드 핀(800)은 니들(10)을 이용한 진입과정이 비원활한 경우에 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핀(80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진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치료용 장치로부터 니들(10) 및 제1 핸들(20)을 분리하여 시술부로부터 제거한 다음, 니들 삽입구(410)를 통하여 투관침 도관(30)에 가이드 핀(800)을 삽입하여 뼈에 침투시킨다. 이 때, 가이드 핀(800)은 캐뉼러 도관(50)에 비하여 작은 루멘을 제공하는 투관침 도관(30)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시술자는 가이드 핀(800)을 뼈에 큰 흔들거림 없이(투관침 도관(30)의 루멘이 가이드 핀(800)을 지지함) 안정적으로 침투시켜 안내홈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핀(800)에 의한 안내홈의 형성이 완료되면, 가이드 핀(800)을 제거한 후, 투관침 도관(30)에 니들(10)을 다시 삽입하고, 제1 핸들(20)과 제2 핸들(40)을 다시 결합시킨 다음,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치료용 장치를 진입시켜 원하는 깊이로 침투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치료용 장치가 원하는 깊이로 진입됨에 따라 시술용 접근통로의 형성과정이 완료되면, 캐뉼러 도구(4)만 남겨 두고 니들(10)과 투관침 도관(30)을 비롯한 투관침 도구(2)를 분리하여 시술부로부터 제거한다.(도 8 참조) 이 때, 시술부에는 투관침 도관(30)에 비하여 큰 루멘을 제공하는 캐뉼러 도관(50)의 내부에 의하여 시술용 접근통로가 형성된다.
이후, 시술자는 시술용 접근통로를 통하여 풍선(balloon)을 삽입하여 손상된 뼈를 복원하고 골 시멘트(bone cement)를 주입하여 복원된 뼈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풍선을 삽입하는 과정 전에 시술용 접근통로를 통하여 드릴 도구(drill instrument)를 진입시켜 시술용 접근통로를 뼈 측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2 : 투관침 도구
2A : 제1 도구
2B : 제2 도구
4 : 캐뉼러 도구
10 : 니들
20 : 제1 핸들
30 : 투관침 도관
40 : 제2 핸들
50 : 캐뉼러 도관
60 : 어댑터

Claims (6)

  1. 투관침 도구(trocar instrument) 및 캐뉼러 도구(cannula instrument)를 포함하고,
    상기 투관침 도구는, 니들(trocar needle)을 구비한 제1 도구와; 내부에 상기 제1 도구의 니들이 삽입되는 투관침 도관(trocar pipe)을 구비한 제2 도구로 구성되며,
    상기 캐뉼러 도구는 내부에 상기 제2 도구의 투관침 도관이 삽입되는 캐뉼러 도관(cannula pipe)을 구비한,
    표피로부터 뼈에 이르는 시술용 접근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뼈 치료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관침 도관은 상기 캐뉼러 도관의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에 상기 투관침 도관의 원단부(distal end portion)가 노출되는 길이를 갖고,
    상기 니들은 상기 투관침 도관의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에 상기 니들의 원단부가 노출되는 길이를 갖는 뼈 치료용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투관침 도관의 원단부 및 상기 캐뉼러 도관의 원단부는 각각 끝 쪽으로 갈수록 외주가 축소되도록 형성된 뼈 치료용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구는, 양쪽에 각각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마련되며 상기 제1 부분에 상기 투관침 도관의 근단부(proximal end portion)가 결합된 제2 핸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캐뉼러 도구는, 상기 캐뉼러 도관의 근단부에 결합되고 제1 결합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2 핸들의 제1 부분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도구는 상기 니들의 근단부에 결합되며 제2 결합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2 핸들의 제2 부분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핸들을 더 구비한 뼈 치료용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수단은, 상기 제2 핸들과 어댑터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암나사부와; 상기 제2 핸들과 어댑터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암나사부와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 수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외주에 논슬립부가 마련된 뼈 치료용 장치.
  6. 투관침 도구(trocar instrument) 및 캐뉼러 도구(cannula instrument)를 포함하고,
    상기 투관침 도구는, 니들(trocar needle)을 구비한 제1 도구와; 상기 제1 도구의 니들이 근단부(proximal end portion) 측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되는 투관침 도관(trocar pipe)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도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도구로 구성되며,
    상기 캐뉼러 도구는 상기 제2 도구의 투관침 도관이 근단부 측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되는 캐뉼러 도관(cannula pipe)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도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투관침 도관은 상기 캐뉼러 도관의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에 상기 투관침 도관의 원단부(distal end portion)가 노출되는 길이를 갖고,
    상기 니들은 상기 투관침 도관의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에 상기 니들의 원단부가 노출되는 길이를 갖는,
    표피로부터 뼈에 이르는 시술용 접근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뼈 치료용 장치.
KR1020130127309A 2013-10-24 2013-10-24 뼈 치료용 장치 KR20150047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309A KR20150047340A (ko) 2013-10-24 2013-10-24 뼈 치료용 장치
PCT/KR2014/010059 WO2015060679A1 (ko) 2013-10-24 2014-10-24 뼈 치료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309A KR20150047340A (ko) 2013-10-24 2013-10-24 뼈 치료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340A true KR20150047340A (ko) 2015-05-04

Family

ID=52993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309A KR20150047340A (ko) 2013-10-24 2013-10-24 뼈 치료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47340A (ko)
WO (1) WO201506067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293A (ko) * 2018-03-08 2019-09-18 (주)메디쎄이 척추성형용 니들어셈블리
KR20190133384A (ko) * 2018-05-23 2019-12-03 주식회사 우진아이디 의료용 니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902A (ja) * 2001-03-30 2002-10-08 Clinical Supply:Kk 医療用具導入具
US7643884B2 (en) * 2005-01-31 2010-01-05 Warsaw Orthopedic, Inc. Electrically insulated surgical needle assembly
KR100950990B1 (ko) * 2007-09-14 2010-04-02 최길운 뼈 치료용 장치
KR100963993B1 (ko) * 2009-11-20 2010-06-15 (주)비엠코리아 체내 접근용 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293A (ko) * 2018-03-08 2019-09-18 (주)메디쎄이 척추성형용 니들어셈블리
KR20190133384A (ko) * 2018-05-23 2019-12-03 주식회사 우진아이디 의료용 니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0679A1 (ko)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8780B2 (en) Method for using retractable stylet and cannula combination to form an opening in bone
US8167899B2 (en) Retractable stylet and cannula combination
EP2098180B1 (en) Radially expandable access system including trocar seal
US10314612B2 (en) Surgical tool introducer
US10398416B2 (en) Bone marrow lesion drill
CN105592809A (zh) 交换器外科手术进入端口组件及使用方法
US20140277022A1 (en) Suture tracking dilators and related methods
US201100041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aosseous infusion
JP2015509006A (ja) 体腔に穿刺するための取り外し可能なカニューレを有するカテーテル、およびカニューレ内を移動可能なカテーテルと併せて使用するためのカニューレ
CA2941501C (en) Separable guide instrument for anatomical implant
JP2013536735A (ja) 双方向トンネル形成を行うためのトンネラ
WO2020048193A1 (zh) 用于脊柱后路融合微创手术的通道建立装置
JP5883117B2 (ja) 最低侵襲外科手術システム
EP2853209B1 (en) Flexible cannula and obturator
KR20170105748A (ko) 침관 및 조립체
KR20150047340A (ko) 뼈 치료용 장치
JP6638909B2 (ja) 患者の椎間板に案内管を留置するための手術セット
US11547424B2 (en) Instrument set for spinal operations
KR102032510B1 (ko) 의료용 트로카
KR100963993B1 (ko) 체내 접근용 도구
KR102226728B1 (ko) 튜브를 포함하는 올리브 형상의 터널링 기기
KR100919623B1 (ko) 체내 접근용 도구
US20220061883A1 (en) Locking Trocar Assembly
CN105476709A (zh) 一种直肠外翻辅助器械及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