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748A - 침관 및 조립체 - Google Patents

침관 및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748A
KR20170105748A KR1020160028744A KR20160028744A KR20170105748A KR 20170105748 A KR20170105748 A KR 20170105748A KR 1020160028744 A KR1020160028744 A KR 1020160028744A KR 20160028744 A KR20160028744 A KR 20160028744A KR 20170105748 A KR20170105748 A KR 20170105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acupuncture
acupuncture tube
tub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0353B1 (ko
Inventor
김재수
이초인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8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353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3Needl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에서 도침 또는 원침 등을 이용한 침술시 사용되는 침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침관은, 관로 형상으로 이루어져 침관병, 침관체 및 침관도로 구성되고, 침관도의 단부는 뾰족한 형상의 니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침관도에는 상기 니들부로부터 상기 침관체 벽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둥근 형상의 어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관은, 침관도의 형상 및 구조를 개선하여 피부 삽입 기능이 부여되고, 선택적으로 침과 일체로 결합된 조립체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환자의 통증이 완화된 상태에서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도침 또는 원침을 이용하여 반복적인 침술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침은, 침관의 침관체에 눈금 또는 저항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시술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용이한 침술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침관 및 조립체{ACUPUNCTURE TUBE AND ASSEMBLY PROVID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한방에서 도침 또는 원침 등을 이용한 침술시 사용되는 침관에 관한 것이다.
도침(刀鍼)은, 끝단이 메스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침과 메스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도침은 통상적으로 진피, 피아, 균육, 관절, 인대 뼈의 유착을 박리하거나 절개 또는 절단하여 연부 조직의 손상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사용된다. 종래 이러한 도침을 이용한 시술의 경우, 침 중에서도 상당히 굵은 직경을 갖는 도침을 피부에 반복적으로 자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환자가 도침 시술 과정에서 과도한 고통을 겪은 문제가 있다.
또한 원침(圓鍼) 또는 원리침은, 끝단이 둥글고 뭉툭한 침으로서, 균육 사이에 있는 비증에 사용된다. 종래 이러한 원침을 이용한 시술의 경우, 날카로운 니들로 피부를 뚫은 후 원침을 구멍에 삽입하여 시술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 경우 구멍을 찾기 어려워 니들로 재차 피부를 뚫는 작업이 빈번하여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가 있고, 이 또한 니들 삽입과정에서 환자에게 반복적인 통증을 유발한다.
한편, 침관은 인체 표피 내로 침을 신속하게 삽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침술 보조용 기구지만, 종래 이러한 침관(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상 형태로 구성되어 단순히 침을 수용 안내하는 용도로 사용될 뿐이며 인체 표피에 직접 삽입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통증이 완화된 상태로 일종 이종 이상의 도침 또는 원침을 이용하여 반복적인 침술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침관과, 침관과 침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일종 이상의 도침 또는 원침을 이용하여 반복적인 침술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종래 침관에 피부 삽입 기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침과 일체로 된 침관의 형상 및 구조에 대해 지견하고, 이를 더욱 구체화함으로써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이상의 해결과제에 대한 인식 및 이에 기초한 해결수단에 관한 본 발명의 요지는 아래와 같다.
(1) 관로 형상으로 이루어져 침관병, 침관체 및 침관도로 구성되고, 침관도의 단부는 뾰족한 형상의 니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관.
(2) 상기 침관도는 상기 니들부로부터 상기 침관체 벽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둥근 형상의 어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침관.
(3) 상기 침관병에는 파지부재가 구비되고, 침관병의 관로는 상기 파지부재 내부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침관.
(4) 상기 파지부재에 결합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침관.
(5) 상기 침관체에는 일정 단위로 눈금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침관.
(6) 상기 침관체에는 삽입 한계를 결정하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침관.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침관과, 상기 침관의 관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침을 포함하는 조립체.
(8) 상기 침은 도침 또는 원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의 조립체.
(9) 상기 침은 침도의 첨단에 홈이 형성된 도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의 조립체.
(10) 상기 침관의 침관병에는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침의 침병에는 제1 파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제1 파지부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의 조립체.
본 발명에 따른 침관은, 침관도의 형상 및 구조를 개선하여 피부 삽입 기능이 부여되고, 선택적으로 침과 일체로 결합된 조립체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환자의 통증이 완화된 상태에서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도침 또는 원침을 이용하여 반복적인 침술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침은, 침관의 침관체에 눈금 또는 저항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시술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용이한 침술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침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관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3는 상기 도 2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관에 적용되는 도침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침관과 침의 조립체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도면에서 동일 또는 균등물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관의 구조 및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관(200)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A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상기 침관(200)은 관로(270)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침관(200) 의 각부는 침관병(210), 침관체(220) 및 침관도(230)로 구성된다. 관로(270)는 침관병(210), 침관체(220) 및 침관도(230)의 침관(200) 전체 길이를 따라 일체로 연통된다. 침관(20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금속 또는 투명 수지 재질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할 때, 상기 침관도(230)는 침관(200)의 머리 즉 인체 피부에 맞닿아 삽입된 부위이다. 침관도(230)의 단부는 니들부(232)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어깨부(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들부(232)는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인체 피부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한편 침관도(230)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어깨부(234)는 침관도(230)가 인체 표피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피하로 삽입될 수 있도록 니들부(232)로부터 상기 침관체(220)의 벽측으로 둥근 형상로 완만하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깨부(234)는 뭉친 근육결이나 유착이 심한 인대부에 침관도(230)가 맞닿은 상태에서 해당 근육결이나 인대 사이에 침이 수월하게 삽입될 수 있는 틈을 제공한다. 예컨대, 원침과 같이 끝이 뭉툭하여 단단한 근육, 인대 등의 뭉친 조직에 용이하게 삽입되지 않는 침을 이용하여 시술하는 과정에서도, 이러한 ?Z부(234)가 구비된 침관(200)은 단순히 니들부(232)가 있는 경우보다 원활한 침 삽입 및 시술을 가능케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침관(200)은 도 1에 따른 종래 침관(20)과는 달리 피부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침관(200)을 인체 피부에 삽입 고정한 상태에서 일종 이상의 도침 또는 원침을 이용하여 상기 관로(270)를 통해 각각의 침이 갖는 기능에 따라 일종 이상의 시술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기 침관병(210)은 침관도(230)의 반대편 단부를 이루어 시술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이다. 시술자에 의한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침관병(210)에는 판형의 파지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지부재(240)는 그립력을 확보하기 위해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이 바람직하며, 침관병(210) 측의 관로(270)는 상기 파지부재를 관통하여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지부재(240)의 단부측으로는 외부로 노출되는 관로(270)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개(250)가 구비될 수 있다. 마개(250)는 밀봉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탄성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관체(220)는 침관(200)의 몸체를 구성하며, 그 길이는 침관(200)과 함께 사용되는 도침 또는 원침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되 도침 또는 원침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침관체(220)의 외벽에는 일정 단위로 표시된 눈금(222)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눈금(222)은 시술자가 침관(200)의 삽입 깊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 및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침관체(220)의 소정 부위에는 침관(200)의 삽입 한계를 결정하는 돌기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22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 눈금(222)에 간섭되지 않도록 침관체(220)의 둘레 방향 일부에 대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침관체(220) 둘레 방향 전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침관(200)과 도 4에 예시된 다종의 도침을 이용한 도침 시술 과정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에 예시된 도침(100; 100a, 100b, 100c)들 모두는 공통적으로 시술자에 의해 파지되는 침병(110), 몸체에 해당되는 침체(120) 및 연부조직을 절개 내지 절단하기 위한 침도(130)의 각부로 구성되며, 침도(130)는 테이퍼져 그 첨단(130a)은 절개 내지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칼 또는 끌과 같은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어 침과 메스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도침(100)의 외경은 0.5 ~ 3.0mm, 도침(100)의 길이는 40 ~ 150 mm가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침병(110)의 단부에는 도침의 용이한 파지를 위해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의 제1 파지부재(14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a)는 진피, 피하, 균육, 관절, 인대, 뼈 등의 유착을 끊는 용도의 종래 일반적인 도침(100a)을 나타낸다. 도 4의 (b)는 침도(130)의 첨단(130a)이 둥근 형상을 가져 주위의 신경 혈관이나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고 유착을 끊는 용도의 도침(100b)을 나타낸다. 도 4의 (c)는 환부 조직의 특정 부위를 더욱 과감히 끊을 용도로 침도 첨단(130)에 홈(134)이 형성된 고리 모양을 갖는 것이 특징이며, 이러한 홈(134)에 실 또는 약실(도면 미도시) 걸어 삽입하는 매선 시술도 가능한 구조이다. 매선은 유침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PDO라는 실을 넣어 주는 것으로 주로 피부미용, 비만치료 및 근골격계질환 치료에 모두 응용될 수 있다.
우선 시술자는 침관병(210)의 단부측에 구비된 파지부재(240)를 견고히 파지한 상태에서, 도침 시술을 시행할 대상 환부 조직으로 침관(200)을 삽입한다. 이 경우, 침관도(230)의 니들부(232)에 의해 삽입이 개시되고 삽입 과정에서 둥근 형상의 어깨부(234)에 의해 피부 손상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시술자는 침관체(220)에 구비된 눈금(222)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소정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또는 돌기부(224)에 의한 삽입 한계에 도달할 때까지 침관(200)을 삽입한 후, 파지부재(240)의 단부측에 결합된 마개(250)을 제거하여 침관(200) 삽입 과정을 완료한다.
침관(200) 삽입 과정이 완료된 후, 도 4에 도시된 다종의 도침(100)을 이용하여 치료 목적에 따른 도침 시술을 시행한다. 예컨대 복부 비만 치료시, 침관(200)의 관로(270)를 통해 도 4의 (a)에 따른 도침(100a)이나 도 4의 (b)에 따른 도침(100b)을 삽입하여 지방 유착을 끊어 주고, 계속하여 침관(200)의 삽입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도침 100a 또는 100b는 제거한 후 도 4의 (c)에 따른 도침(100c)을 이용하여 매선을 삽입하면 침관(200)이 삽입된 특정 위치에 대해 집중된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또한 허리 근방에서의 근골격계 치료하는 경우, 도 4의 (a)에 따른 도침(100a)을 이용하여 척추 주의의 횡돌기(tranverse process)나 극돌기(spinous process)를 끊어줄 수 있지만, 추간공(spinal foramen)은 척수신경이 나오는 부분이어서 도 4의 (a)에 따른 도침(100a)을 이용하여 시술하기에는 위험부담이 있기 때문에 도 4의 (b)에 따른 도침(100b)로 교체하여 구멍을 확장하는 시술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침관과 침의 조립체에 대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에 따른 침관(200)은, 도 2와 마찬가지로, 관로(270)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도침(100)의 각부는 침관병(210), 침관체(220) 및 침관도(230)로 구성된다. 관로(270)는 침관병(210), 침관체(220) 및 침관도(230)의 침관(200) 전체 길이를 따라 일체로 연통된다. 도 5에 따른 침관(200)의 침관병(230) 단부측에는 연결부재(260)이 구비되며, 이러한 연결부재(260)는 침(100)과의 연결 요소로 기능함과 동시에 침관(200)에 대한 파지 요소로 기능한다.
도 5에 도시된 침은, 끝이 둥글고 뭉툭하여 인체 피부를 직접 뚫기에 부적합한 원침(100')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원침(100')은 침병(110), 침체(120) 및 침도(130)로 구성되고 침병(110)의 단부 측에는 상기 도 4와 마찬가지로, 제1 파지부재(140)가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침관(200)과 원침(100')의 결합은 원침(100')에 구비된 제1 파지부재(140)가 침관(200)에 구비된 연결부재(260)의 내측 홈으로 억지끼워 맞춰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분리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도 2의 침관(200) 및 원침(100')을 이용한 시술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침관(200)과 원침(100') 각각의 연결부재(260) 및 제1 파지부재(140) 사이의 결합상태를 해제하여 원침(100')의 침도(130)가 침관(200)의 침관도(230) 내측으로 은폐될 수 있도록 원침(100')을 침관(200)의 관로(270)를 통해 충분히 후퇴시킨다. 이 상태에서, 침관(200)의 연결부재(260)를 견고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원침 시술을 시행할 대상 환부 조직으로 침관(200)을 삽입한다. 이 경우, 도 2와 마찬가지로 시술자는 침관체(220)에 구비된 눈금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정확한 깊이로 십입할 수 있다. 침관(200) 삽입 과정이 완료된 후, 원침(100')을 전진시켜 피하 유착을 끊는다. 다음으로, 원침(100')을 후퇴시켜 침도(130)가 침관도(230) 내측으로 은폐시킨 상태에서 침관(200)과 원침(100')을 일체로 하여 침관도(230)를 피하 근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방향을 달리하여 침관(200)을 피하 안쪽으로 재차 삽입하고, 원침(100')을 이용하여 주변 조직에서의 유착 절단 등과 같은 필요한 시술을 계속한다. 이에 따라 원침(100')을 이용한 각각의 반복적인 시술 과정에서 종래 니들 등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피부를 뚫는 과정은 불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관(200)은 피부 삽입이 가능하고 침관(200)을 삽입한 상태에서 반복적인 시술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종 또는 다종의 침을 이용한 반복적인 시술에 불구하고 환자의 통증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며, 시술자의 숙련도에 불구하고 대상 부위에 대한 정확하고도 안전한 시술이 가능하여 치료의 신뢰성이 크게 증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상기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개시된 사항이나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아니하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도 5의 실시예에서 침관(200)에 결합되는 침이 원침(100')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도 4의 도침(100)이 침관(200)에 결합되어 조립체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범위 또는 이들의 균등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100; 100a, 100b, 100c: 도침
100': 원침
110: 침병 120: 침체
130: 침도 130a: 침도 첨단
134: 홈 140: 제1 파지부재
200: 침관
210: 침관병 220: 침관체
222: 눈금 224: 돌기부
230: 침관도 232: 니들부
234: 어깨부 240: 파지부재
250: 마개 260: 연결부재
270: 관로

Claims (10)

  1. 관로 형상으로 이루어져 침관병, 침관체 및 침관도로 구성되고, 침관도의 단부는 뾰족한 형상의 니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관도는 상기 니들부로부터 상기 침관체 벽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둥근 형상의 어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관병에는 파지부재가 구비되고, 침관병의 관로는 상기 파지부재 내부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에 결합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관체에는 일정 단위로 눈금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관체에는 삽입 한계를 결정하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침관과, 상기 침관의 관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침을 포함하는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침은 도침 또는 원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침은 침도의 첨단에 홈이 형성된 도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침관의 침관병에는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침의 침병에는 제1 파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제1 파지부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KR1020160028744A 2016-03-10 2016-03-10 침관 및 조립체 KR101800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744A KR101800353B1 (ko) 2016-03-10 2016-03-10 침관 및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744A KR101800353B1 (ko) 2016-03-10 2016-03-10 침관 및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748A true KR20170105748A (ko) 2017-09-20
KR101800353B1 KR101800353B1 (ko) 2017-11-22

Family

ID=60034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744A KR101800353B1 (ko) 2016-03-10 2016-03-10 침관 및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3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13910A1 (de) 2017-08-21 2019-02-21 Hyundai Mobis Co.,Ltd Thermoplastische Harzzusammensetzung mit ausgezeichneter thermischer Stabilität und geringer Doppelbrechung und daraus hergestelltes Formteil
KR102211629B1 (ko) * 2019-09-11 2021-02-03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KR102212053B1 (ko) * 2019-09-11 2021-02-04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스프링부와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WO2021049754A3 (ko) * 2019-09-11 2021-05-06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KR20220032196A (ko) * 2020-09-07 2022-03-15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수납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868B1 (ko) * 2008-02-05 2010-05-27 송태성 손잡이에 락장치가 장착된 레이저 시술용 천자침의 구조
KR101040039B1 (ko) * 2009-06-19 2011-06-10 류상욱 실 자입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13910A1 (de) 2017-08-21 2019-02-21 Hyundai Mobis Co.,Ltd Thermoplastische Harzzusammensetzung mit ausgezeichneter thermischer Stabilität und geringer Doppelbrechung und daraus hergestelltes Formteil
DE102018213910B4 (de) 2017-08-21 2023-08-31 Hyundai Mobis Co.,Ltd Thermoplastische Harzzusammensetzung mit ausgezeichneter thermischer Stabilität und geringer Doppelbrechung und daraus hergestelltes Formteil
KR102211629B1 (ko) * 2019-09-11 2021-02-03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KR102212053B1 (ko) * 2019-09-11 2021-02-04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스프링부와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WO2021049754A3 (ko) * 2019-09-11 2021-05-06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KR20220032196A (ko) * 2020-09-07 2022-03-15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수납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0353B1 (ko)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1253B2 (en) Subcutaneous delivery tool
KR101800353B1 (ko) 침관 및 조립체
KR101631107B1 (ko)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KR101434976B1 (ko)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US10383609B2 (en) Surgical instrument for making incisions
KR101805763B1 (ko) 도침
CN106714890B (zh) 用于将钝头套管插入到患者皮肤以下的装置
CN203852417U (zh) 椎弓根螺钉套管
CN210844267U (zh) 一种埋线针穿线装置
JP5804428B2 (ja) 切開用手術器械
US11801068B2 (en) Sheathed cutting device
CN111973449A (zh) 一种埋线针穿线装置
KR20190000205U (ko) 일회용 내시경 주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