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629B1 -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629B1
KR102211629B1 KR1020190112622A KR20190112622A KR102211629B1 KR 102211629 B1 KR102211629 B1 KR 102211629B1 KR 1020190112622 A KR1020190112622 A KR 1020190112622A KR 20190112622 A KR20190112622 A KR 20190112622A KR 102211629 B1 KR102211629 B1 KR 102211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member
guide
induction
self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수
김근식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12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629B1/ko
Priority to PCT/KR2020/009781 priority patent/WO2021049754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3Needl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5Guid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2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desensitising skin, for protruding skin to facilitate piercing, or for 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는 삽입부재 단부(110)가 둥근 형태로 구비된 삽입부재(100); 중공 구조로서, 내부 통로부(210)에 상기 삽입부재(100)가 전진 및 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자입되는 단부(220) 측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230)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재(100)가 노출되는 자입 유도부(200); 몸체부(310)의 내부를 관통하는 내부 통로부(320)에 상기 자입 유도부(200)가 결합되며, 몸체부(310) 앞 측에는 밴딩 동작이 가능하도록 돌출된 밴딩부(330) 및 상기 밴딩부(330)의 단부에서 절곡 구비된 지지부(340)를 갖는 내부 가이드부(300); 및 내부 공간(410)에 상기 내부 가이드부(300)가 안착되며, 상기 삽입부재(100) 및 상기 자입 유도부(200)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통공(420) 및 상기 지지부(340)의 외측 이동이 가능한 이동 공간(430)이 구비된 커버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Guidance Device of insertion member having insertion-guider}
본 발명은 삽입부재를 자입하는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삽입부재인 침(acupuncture)이나 니들(needle) 등은 날카롭기 때문에 그냥 찌르면 피부 등의 인체에 삽입이 된다. 그러나 실제로 인체에 삽입되는 삽입부재는 침, 니들 외에 매선(embdeding thread) 등 다양한 형태로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삽입부재의 끝 부분인 단부가 삽입될 정도로 날카롭지 않은 형태, 예를 들어 둥근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침이나 캐뉼라(cannula)와 같은 니들은 끝이 둥글게 때문에 자체로 표피를 ?돛뻤?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뾰족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인체에 삽입되는 용도이나, 실제로는 뾰족한 정도에 따라 삽입이 용이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다른 니들이나 삽입부재를 이용하여, 1차로 구멍을 뚫고 다시 그 구멍을 이용하여 원하는 삽입부재를 자입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자입 유도를 하는 경우, 여러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첫째, 뚫어 놓은 구멍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되어, 다시 구멍을 뚫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둘째, 치료행위가 두 개로 나누어지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셋째, 감염 우려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다, 그래서 전술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삽입부재 유도장치를 만들었다. 삽입부재 유도장치는 둥근 삽입부재이나 니들 끝에 부착하여 표피로 자입하기 위한 기구로 삽입부재유도장치의 니들이 표피를 뚫고 들어가면 이어서 둥근 삽입부재나 니들이 나오는 구조이다.
(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5744호(2017.11.16) (문헌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6527호(2007.05.02)
본 발명에 따른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자입이 곤란한 형태의 삽입부재를 용이하게 자입시키고자 한다.
둘째, 자입 유도부와 삽입부재의 삽입이 순차적으로 함께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로서, 인체에 삽입되는 삽입부재; 중공 구조로서, 내부 통로부에 상기 삽입부재가 전진 및 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자입되는 단부 측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재가 노출되는 자입 유도부; 몸체부의 내부를 관통하는 내부 통로부에 상기 자입 유도부가 결합되며, 몸체부 앞 측에는 밴딩 동작이 가능하도록 돌출된 밴딩부 및 상기 밴딩부의 단부에서 절곡 구비된 지지부를 갖는 내부 가이드부; 및 내부 공간에 상기 내부 가이드부가 안착되며, 상기 삽입부재 및 상기 자입 유도부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통공 및 상기 지지부의 외측 이동이 가능한 이동 공간이 구비된 커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가 자입 유도부의 내부 통로부에서 전진 이동되면, 상기 삽입부재 단부는 상기 내부 가이드부의 지지부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접촉된 삽입부재가 계속 전진 이동되면서 지지부를 밀게 되면,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결합된 상기 내부가이드부의 몸체부 및 자입 유도부도 함께 전진 이동되어, 상기 자입 유도부의 자입 단부가 자입 부위에 자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상기 커버부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가 상호 접촉되면, 삽입부재, 자입 유도부 및 몸체부의 전진 이동이 정지되며, 상기 자입 유도부는 자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지된 삽입부재를 계속해서 전진 이동시키면, 삽입부재 선단은 상기 지지부를 밀어 올리면서 전진하며, 자입 유도부가 생성한 자입 부위에 자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가 밴딩되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커버부 내부의 이동 공간에서 외측으로 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의 몸체부 중 상기 자입 유도부의 내부 통로부에 삽입되지 않는 부분에 돌출된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자입 유도부와 접촉되면, 삽입부재의 전진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타 단부에 손잡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탄성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는 굽힘 동작이 가능한 탄성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는 절곡 구조 또는 주름 구조인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삽입부재 단부와 접촉가능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하단이 상기 삽입부재 단부의 전진 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자입 유도부를 이용하여, 자입이 곤란한 형태의 삽입부재를 용이하게 자입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 자입 유도부가 내부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사용자는 삽입부재를 삽입하는 동작을 취하면, 자입유도와 실제 삽입부재의 삽입이 순차적으로 함께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 유도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100), 자입 유도부(200), 내부 가이드부(300) 및 커버부(400)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가이드부(300)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100)와 자입 유도부(200)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가이드부(300)에 삽입부재(100)와 자입 유도부(20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서 내부 가이드부(300)에 삽입부재(100)와 자입 유도부(20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삽입부재의 단부(110)가 내부가이드부의 지지부(340)를 밀어서 상향이동 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 유도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 유도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은 본 발명의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 실시예를 표현하는 것이다. 참고로, 도면은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과장되게 표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의 전 취지에 비추어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 유도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100), 자입 유도부(200), 내부 가이드부(300) 및 커버부(400)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는 삽입부재(100), 자입 유도부(200), 내부 가이드부(300) 및 커버부(40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100)와 자입 유도부(200)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100)는 인체에 삽입되는 다양한 형태의 삽입부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침(acupuncture), 니들(needle), 캐뉼라(canula). 매선(embdeding thread) 등 다양한 삽입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삽입되는 부분의 단부가 뾰족하지 않고, 예로, 둥근 형상이나 다각 형상 등으로 구비되어, 자입이 곤란한 삽입부재를 포함한다. 나아가, 삽입되는 부분의 단부가 뾰족한 형상이나, 자입이 잘 되지 않아서, 더욱 용이하게 자입을 하고자 하는 삽입부재도 포함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삽입부재의 단부가 둥글게 형성된 실시예를 도면으로 제시하면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입 유도부(200)는 중공 구조로서, 내부 통로부(210)에 삽입부재(100)가 전진 및 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며(도 6 참조), 자입되는 단부(220) 측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230)가 형성되어, 삽입부재(100)가 노출될 수 있다.
자입 유도부(200)는 속이 빈 중공(hollow) 구조로서, 원통 형상, 다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다양한 형상의 삽입부재(100)를 수용하고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자입 유도부(200)는 삽입부재(100)가 내부에서 이동되므로, 상호 대응되는 형상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입되는 단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뾰족한 경사부가 자입 유도부(200)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경사지게 옆에서 자입하는 경우 등 다양한 각도로 자입되는 경우에도 적용되도록, 자입되는 단부(220)의 경사는 자입 유도부(200)의 좌측면, 우측면 등 여러 쪽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삽입부재의 단부(110)의 이동을 내부가이드부(300)의 지지부(340)가 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다양한 위치와 다양한 각도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개부(230)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자입 유도부 길이의 앞쪽 일부를 절개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며, 자입 유도부 전체 길이가 절개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자입 유도부(200)는 삽입부재(100)를 수용하고, 전진 및 후진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이러한 작용이 가능한 형상이면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절개부(230)의 절개 높이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가이드부(300)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가이드부(300)는 몸체부(310)의 내부를 관통하는 내부 통로부(320)에 자입 유도부(200)가 결합되며, 몸체부(310) 앞 측에는 밴딩 동작이 가능하도록 돌출된 밴딩부(330) 및 밴딩부(330)의 단부에서 절곡 구비된 지지부(340)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400)는 내부 공간(410)에 내부 가이드부(300)가 안착되며, 삽입부재(100) 및 자입 유도부(200)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통공(420) 및 지지부(340)의 외측 이동이 가능한 이동 공간(4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 유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 유도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100)가, 자입 유도부(200)의 내부 통로부(210)에서 전진 이동되면, 삽입부재 단부(110)는 먼저, 내부 가이드부(300)의 지지부(340)에 접촉될 것이다(도 8 참조). 참고로, 도 8의 상태가 기본 상태로 구비되어 준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8의 상태에서, 지지부(340)에 접촉된 삽입부재(100)가 계속 전진 이동되면서 지지부(340)를 밀게 되면(A 방향), 지지부(340)와 일체로 결합된 내부가이드부의 몸체부(310) 및 자입 유도부(200)도 함께 전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전진 이동 거리에 따라 돌출된 자입 유도부(200)의 자입 단부(220)가 자입 부위에 자입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삽입부재(100)를 손가락 등으로 집고 전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도 9 참조). 그리고, 자입 유도부(200)와 내부 가이드부(300)는 일체로 전진 및 후진 이동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310)의 일측과, 커버부(400)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440)가 상호 접촉되면, 삽입부재(100), 자입 유도부(200) 및 몸체부(310)의 전진 이동이 정지되며, 자입 유도부(200)는 자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도 9 참조).
몸체부(310)의 일측과 커버부(400) 내측의 스토퍼(440)는 자입 유도부(200)의 자입 깊이를 고려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표피 등에 설정된 깊이만큼 삽입된 자입 유도부(200)는 더 이상 자입되지는 못할 것이다. 또한 양 부분의 접촉은 면 접촉이 일반적으로 구현하기 용이하나, 암수 삽입결합 등 다양한 형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9 상태에서 정지된 삽입부재(100)를 계속해서 전진 이동시키면(도 9의 A방향 화살표 참조), 삽입부재 선단(110)은 지지부(340)를 밀어 올리면서 전진하게 된다(도 10의 도면부호 430 참조).
이는 지지부(340)를 지지하는 밴딩부(330)가 외측으로 밴딩(bending)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밴딩부(330)가 밴딩 즉 굽혀지면서, 지지부(340)는 커버부 내부의 이동 공간(430)에서 외측으로 밴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지지부(340)가 외측으로 이동한다는 의미는, 삽입부재의 단부(110)의 전진 이동을 저지하던 지지부(340)를 외측으로 밀어버린다는 의미이며, 상향, 좌향, 우향 등 여러 외측 방향으로 밴딩가능하다. 도 10에서는 일 예로서, 지지부(340)가 상향 외측으로 밴딩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삽입부재(100)의 단부(110)와 접촉되었던 지지부(340)가 밴딩으로 이동경로에서 없어졌기 때문에, 삽입부재(100)는 전진 이동을 할 수 있으며(도 11 참조), 자입 유도부(200)가 생성한 자입 부위로 전진 이동되어, 표피 내부에 자입되는 것이다.
전술한 자입 유도부(200)의 자입 깊이를 스토퍼(440)에 의한 걸림으로 제어한 것과 마찬가지로, 삽입부재(100)의 삽입 깊이도 제어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삽입부재(100)의 몸체부(120) 중 자입 유도부(200)의 내부 통로부(210)에 삽입되지 않는 부분에 돌출된 스토퍼(140)가 구비될 수 있다(도 11 참조). 삽입부재(100)가 전진 이동하면서, 스토퍼(140)가 자입 유도부(200)와 접촉되면, 삽입부재(100)의 전진 이동이 정지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입 유도부(200)에 미 삽입되는 삽입부재의 몸체부(120) 일측에 돌출된 스토퍼(140)를 구비시키면, 삽입부재(100)는 스토퍼(140)가 자입 유도부(200)와 접촉되는 지점까지만 삽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입 유도부(200)가 1차적으로 표피 등 자입 부위에 자입되어 통로를 확보한 후, 삽입부재(100)가 1차 자입부위에 그대로 2차 자입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1차 자입유도와 2차 자입이 분리되면, 2차 자입시 1차 자입 부위를 찾기 어려운 문제를 구조적으로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100)는 타 단부에 손잡이(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도 1 참조). 손잡이(130)는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130)의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도 1 참조)를 구비시켜 파지 및 전진이동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밴딩부(330)는 굽힘 동작이 가능한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실리콘이나, 용수철 등 탄성력이 부여되는 다양한 탄성 소재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밴딩부(330)는 탄성 소재 자체의 탄성으로 밴딩(굽힘)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절곡 구조(도 5,7 참조) 또는 주름 구조(미도시)로 구비되어 밴딩 동작을 더욱 용이하게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340)는 삽입부재 단부(110)와 접촉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삽입부재(100)의 이동 경로상의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삽입부재의 단부(100)와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지지부(340)는 삽입부재 단부(110)와 접촉되어, 삽입부재(100)의 전진시에 자입 유도부(200)와 내부 가이드부(300)를 함께 이동시키도록 지지하게 된다. 다만, 기 설정된 위치까지 이동하면, 지지부(340)는 삽입부재의 단부에 의해 외측으로 밴딩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용이하게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340)는 삽입부재 단부(110)와 접촉가능하도록 절곡되되, 지지부(340)는 하단이 삽입부재 단부(110)의 전진 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삽입된 자입 유도부와 내부 가이드부를 보다 용이하게 후진시키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삽입부재 단부(110)가 둥근 형태로 구비된 삽입부재(100); 중공 구조로서, 내부 통로부(210)에 상기 삽입부재(100)가 전진 및 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자입되는 단부(220) 측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230)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재(100)가 노출되는 자입 유도부(200); 몸체부(310)의 내부를 관통하는 내부 통로부(320)에 상기 자입 유도부(200)가 결합되며, 몸체부(310) 앞 측에는 밴딩 동작이 가능하도록 돌출된 밴딩부(330) 및 상기 밴딩부(330)의 단부에서 절곡 구비된 지지부(340)를 갖는 내부 가이드부(300); 및 내부 공간(410)에 상기 내부 가이드부(300)가 안착되며, 상기 삽입부재(100) 및 상기 자입 유도부(200)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통공(420) 및 상기 지지부(340)의 외측 이동이 가능한 이동 공간(430)이 구비된 커버부(400); 및 내부 공간에 상기 내부 가이드부(300)의 일 측이 결합되며, 상기 커버부(400)에 체결되어, 삽입부재(100)를 전진 이동시키면 수축 변형된 후, 다시 탄성 복원되는 스프링부(500)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프링부에 의한 탄성 복원 동작을 구현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부(500)는 내부 공간에 내부 가이드부(300)의 일 측이 결합되며, 커버부(400)에 체결되어, 삽입부재(100)를 전진 이동시키면 수축 변형된 후, 다시 탄성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축 변형된 상기 스프링부(500)가 탄성력으로 복원될 때, 일체로 결합된 자입 유도부(200)와 내부 가이드부(300)가 함께 후진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는, 스프링부(500)의 수축 변형 및 탄성 복원 동작에 따라, 스프링부(500)와 내부 가이드부(300)의 결합 위치가 변경되는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부(500)의 내부 일측에는 안착홈(510)이 구비되고, 이격된 타측에는 스토퍼(5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부의 미 가압상태에서는, 내부 가이드부(300)의 일측(311)이 안착홈(510)에 안착된다.
삽입부재(100)를 전진 이동 시키면, 내부 가이드부(300)도 함께 전진이동된다. 이때, 내부 가이드부(300)와 결합된 스프링부(500)도 가압될 것이다. 다만, 스프링부(500)와 체결된 커버부(400)는 일체로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프링부(500)는 이러한 가압에 의해 수축 변형이 될 수 있다.
스프링부(500)의 수축 변형시에는, 안착홈(510)에 안착되었던 내부 가이드부(300)의 일측(311)이 스토퍼(520)에 접촉되도록 이동된다. 그 후 탄성 복원시에는 내부 가이드부(300)의 일측(311)이 다시 안착홈(510)에 안착되도록 이동된다.
스프링부(500)의 스토퍼(520)에 안착되는 내부 가이드부(300)의 일측(311)의 경우, 도 12에서는 단부로 표현되었으나, 그 위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 유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2 내지 도 16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재 유도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특히, 스프링부와 내부 가이드부의 결합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100)가, 자입 유도부(200)의 내부 통로부(210)에서 전진 이동되면, 삽입부재 단부(110)는 먼저, 내부 가이드부(300)의 지지부(340)에 접촉될 것이다(도 12 참조). 참고로, 도 8의 상태가 기본 상태로 구비되어 준비될 수도 있다. 스프링부(500)는 커버부(400)와 체결되고, 또한, 내부 공간에서는 내부 가이드부(300)의 일측(311)이 안착홈(510)에 안착되어 있다.
이러한 도 12의 상태에서, 지지부(340)에 접촉된 삽입부재(100)가 계속 전진 이동되면서 지지부(340)를 밀게 되면(도 13의 A 방향 화살표 참조), 지지부(340)와 일체로 결합된 내부가이드부의 몸체부(310) 및 자입 유도부(200)도 함께 전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전진 이동 거리에 따라 돌출된 자입 유도부(200)의 자입 단부(220)가 자입 부위에 자입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삽입부재(100)를 손가락 등으로 집고 전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도 13 참조). 그리고, 자입 유도부(200)와 내부 가이드부(300)는 일체로 전진 및 후진 이동된다.
그리고 내부 가이드부(300)가 전진 이동되면, 스프링부(500)의 수축변형이 시작될 것이다(도 13의 B 방향 화살표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310)의 일측과, 커버부(400)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440)가 상호 접촉되면, 삽입부재(100), 자입 유도부(200) 및 몸체부(310)의 전진 이동이 정지되며, 자입 유도부(200)는 자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도 13 참조). 이때, 스프링부(500)의 수축 변형 상태도 유지될 것이다. 스프링부(500)의 수축변형 상태가 유지된다는 의미는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몸체부(310)의 일측과 커버부(400) 내측의 스토퍼(440)는 자입 유도부(200)의 자입 깊이를 고려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표피 등에 설정된 깊이만큼 삽입된 자입 유도부(200)는 더 이상 자입되지는 못할 것이다. 또한 양 부분의 접촉은 면 접촉이 일반적으로 구현하기 용이하나, 암수 삽입결합 등 다양한 형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3 상태에서 일단 정지된 삽입부재(100)를 계속해서 전진 이동시키면(도 13의 A방향 화살표 참조), 삽입부재 선단(110)은 지지부(340)를 밀어 올리면서 전진하게 된다(도 14의 도면부호 430 참조).
이는 지지부(340)를 지지하는 밴딩부(330)가 외측으로 밴딩(bending)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밴딩부(330)가 밴딩 즉 굽혀지면서, 지지부(340)는 커버부 내부의 이동 공간(430)에서 외측으로 밴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지지부(340)가 외측으로 이동한다는 의미는, 삽입부재의 단부(110)의 전진 이동을 저지하던 지지부(340)를 외측으로 밀어버린다는 의미이며, 상향, 좌향, 우향 등 여러 외측 방향으로 밴딩가능하다. 도 14에서는 일 예로서, 지지부(340)가 상향 외측으로 밴딩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한편, 지지부(340)의 외측 밴딩 동작을 살펴 볼 수 있도록, 커버부(400)에는 내부의 이동 공간(440)을 투시할 수 있는 투시부(45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도 12 참조). 나아가, 투시부(450)는 투시공간 뿐 아니라, 이동 공간(440)을 확보하도록 절개되어, 지지부(340)의 밴딩 동작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삽입부재(100)의 단부(110)와 접촉되었던 지지부(340)가 밴딩으로 이동경로에서 없어졌기 때문에, 삽입부재(100)는 전진 이동을 할 수 있으며(도 15 참조), 자입 유도부(200)가 생성한 자입 부위로 전진 이동되어, 표피 내부에 자입되는 것이다.
전술한 자입 유도부(200)의 자입 깊이를 스토퍼(440)에 의한 걸림으로 제어한 것과 마찬가지로, 삽입부재(100)의 삽입 깊이도 제어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삽입부재(200)의 몸체부(120) 중 자입 유도부(200)의 내부 통로부(210)에 삽입되지 않는 부분에 돌출된 스토퍼(140)가 구비될 수 있다(도 15 참조). 삽입부재(100)가 전진 이동하면서, 스토퍼(140)가 자입 유도부(200)와 접촉되면, 삽입부재(200)의 전진 이동이 정지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입 유도부(200)에 미 삽입되는 삽입부재의 몸체부(120) 일측에 돌출된 스토퍼(140)를 구비시키면, 삽입부재(100)는 스토퍼(140)가 자입 유도부(200)와 접촉되는 지점까지만 삽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입 유도부(200)가 1차적으로 표피 등 자입 부위에 자입되어 통로를 확보한 후, 삽입부재(100)가 1차 자입부위에 그대로 2차 자입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1차 자입유도와 2차 자입이 분리되면, 2차 자입시 1차 자입 부위를 찾기 어려운 문제를 구조적으로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100)는 타 단부에 손잡이(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도 1 참조). 손잡이(130)는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130)의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도 1 참조)를 구비시켜 파지 및 전진이동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밴딩부(330)는 굽힘 동작이 가능한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실리콘이나, 용수철 등 탄성력이 부여되는 다양한 탄성 소재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밴딩부(330)는 탄성 소재 자체의 탄성으로 밴딩(굽힘)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절곡 구조(도 5,7 참조) 또는 주름 구조(미도시)로 구비되어 밴딩 동작을 더욱 용이하게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340)는 삽입부재 단부(110)와 접촉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삽입부재(100)의 이동 경로상의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삽입부재의 단부(100)와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지지부(340)는 삽입부재 단부(110)와 접촉되어, 삽입부재(100)의 전진시에 자입 유도부(200)와 내부 가이드부(300)를 함께 이동시키도록 지지하게 된다. 다만, 기 설정된 위치까지 이동하면, 지지부(340)는 삽입부재의 단부에 의해 외측으로 밴딩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용이하게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340)는 삽입부재 단부(110)와 접촉가능하도록 절곡되되, 지지부(340)는 하단이 삽입부재 단부(110)의 전진 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삽입부재 110 : 삽입부재 단부
120 : 몸체부 130 : 손잡이부
200 : 자입 유도부 210 : 내부 통로부
220 : 자입 단부 230 : 절개부
300 : 내부 가이드부 310 : 몸체부
320 : 내부 통로부 330 : 밴딩부
340 : 지지부
400 : 커버부 410 : 내부 공간
420 : 통공 430 : 이동 공간
440 : 스토퍼 450 : 투시부

Claims (14)

  1. 인체에 삽입되는 삽입부재;
    중공 구조로서, 내부 통로부에 상기 삽입부재가 전진 및 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자입되는 단부 측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재가 노출되는 자입 유도부;
    몸체부의 내부를 관통하는 내부 통로부에 상기 자입 유도부가 결합되며, 몸체부 앞 측에는 밴딩 동작이 가능하도록 돌출된 밴딩부 및 상기 밴딩부의 단부에서 절곡 구비된 지지부를 갖는 내부 가이드부; 및
    내부 공간에 상기 내부 가이드부가 안착되며, 상기 삽입부재 및 상기 자입 유도부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통공 및 상기 지지부의 외측 이동이 가능한 이동 공간이 구비된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가 자입 유도부의 내부 통로부에서 전진 이동되면, 상기 삽입부재 단부는 상기 내부 가이드부의 지지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접촉된 삽입부재가 계속 전진 이동되면서 지지부를 밀게 되면,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결합된 상기 내부가이드부의 몸체부 및 자입 유도부도 함께 전진 이동되어,
    상기 자입 유도부의 자입 단부가 자입 부위에 자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상기 커버부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가 상호 접촉되면, 삽입부재, 자입 유도부 및 몸체부의 전진 이동이 정지되며, 상기 자입 유도부는 자입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지된 삽입부재를 계속해서 전진 이동시키면,
    삽입부재 선단은 상기 지지부를 밀어 올리면서 전진하며,
    자입 유도부가 생성한 자입 부위에 자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가 밴딩되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커버부 내부의 이동 공간에서 외측으로 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의 몸체부 중 상기 자입 유도부의 내부 통로부에 삽입되지 않는 부분에 돌출된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자입 유도부와 접촉되면, 삽입부재의 전진 이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타 단부에 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는 굽힘 동작이 가능한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는 절곡 구조 또는 주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삽입부재 단부와 접촉가능하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하단이 상기 삽입부재 단부의 전진 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KR1020190112622A 2019-09-11 2019-09-11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KR102211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622A KR102211629B1 (ko) 2019-09-11 2019-09-11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PCT/KR2020/009781 WO2021049754A2 (ko) 2019-09-11 2020-07-24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622A KR102211629B1 (ko) 2019-09-11 2019-09-11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629B1 true KR102211629B1 (ko) 2021-02-03

Family

ID=7457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622A KR102211629B1 (ko) 2019-09-11 2019-09-11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62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8522A (ja) * 2008-10-03 2010-04-22 Nipro Corp 針先保護用プロテクタ及び留置針組立体
US20130079720A1 (en) * 2011-09-26 2013-03-28 Tyco Healthcare Group Lp Safety catheter
KR20130086928A (ko) * 2010-04-13 2013-08-05 비그메드 아베 폴리머 카테터 바늘 끝 차폐 장치
KR20170046527A (ko) 2015-10-21 2017-05-0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도침
KR20170105744A (ko) 2016-03-10 2017-09-20 김종만 수직형 기판 현상장치
KR20170105748A (ko) * 2016-03-10 2017-09-20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침관 및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8522A (ja) * 2008-10-03 2010-04-22 Nipro Corp 針先保護用プロテクタ及び留置針組立体
KR20130086928A (ko) * 2010-04-13 2013-08-05 비그메드 아베 폴리머 카테터 바늘 끝 차폐 장치
US20130079720A1 (en) * 2011-09-26 2013-03-28 Tyco Healthcare Group Lp Safety catheter
KR20170046527A (ko) 2015-10-21 2017-05-0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도침
KR20170105744A (ko) 2016-03-10 2017-09-20 김종만 수직형 기판 현상장치
KR20170105748A (ko) * 2016-03-10 2017-09-20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침관 및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154B1 (ko) 사전 충전된 주사기용 안전 디바이스 및 주사 디바이스
KR102212053B1 (ko) 스프링부와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US10238815B2 (en) Puncture assisting device and puncture device set
US7879059B2 (en) Lancet assembly
US5201779A (en) Disposable implant injector
US20180271702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cannula insertion
KR20090033140A (ko) 봉합 장치
KR20070011514A (ko) 란셋 어셈블리
KR20130041159A (ko) 사전 충전된 주사기 및 주사 디바이스용 안전 디바이스
US7931622B2 (en) Tip protector for cannula, trocar and/or cannula trocar combination
US9713695B2 (en) Devices for creation of multiple vascular access sites
KR101439228B1 (ko) 부작용과 통증을 예방할 수 있는 정밀 필러 주입 장치
JP2018089070A (ja) 針組立体
KR102211629B1 (ko) 자입 유도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US9468723B2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CN109310857B (zh) 插管装置
KR102441875B1 (ko) 수납부가 구비된 삽입부재 유도장치
WO2019103615A3 (en) Suture device
KR20220007133A (ko) 내시경용 주사구
RU2017107115A (ru) Инъе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200010846A (ko) 내시경치료용 치료기구의 조작정밀성 향상을 위한 이중튜브 및 이를 구비한 치료기구
KR100915838B1 (ko) 주사기의 바늘구조
KR200493306Y1 (ko) 실 삽입 기구
JP3548300B2 (ja) 内視鏡用注射具
KR101444748B1 (ko) 걸림홈이 형성된 매선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