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993B1 - 체내 접근용 도구 - Google Patents

체내 접근용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993B1
KR100963993B1 KR1020090112411A KR20090112411A KR100963993B1 KR 100963993 B1 KR100963993 B1 KR 100963993B1 KR 1020090112411 A KR1020090112411 A KR 1020090112411A KR 20090112411 A KR20090112411 A KR 20090112411A KR 100963993 B1 KR100963993 B1 KR 100963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handle
coupling
rod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화
박부규
정옥희
Original Assignee
(주)비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엠코리아 filed Critical (주)비엠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112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1Puncturing needles for the peridural or subarachnoid space or the plexus, e.g. for anaesth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for taking bone, bone marrow or cartilag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 A61B2017/004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for insertion of instruments, e.g. guide wire, optical fibre

Abstract

본 발명은 체내 접근용 도구에 관한 것으로, 체내로 접근하는 시술 또는 수술에 필요한 체내 접근용 도구가 결합함에 있어서, 기존의 복잡한 핸들 구조를 단순하게 하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신뢰성 있는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체내 접근용 도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만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구성이 단순화되어 사출성형이 쉽고, 이로 인한 생산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 반경만큼만 회전하여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분리된 제2도구가 필요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투관, 막대, 걸림턱, 결합구, 타격부

Description

체내 접근용 도구{INSTRUMENTS THAT ACCESS INTERIOR BODY REGIONS}
본 발명은 체내 접근용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 내부에 접근하여 어떤 물질을 주입하거나, 인체 내부의 특정 부위에 접근하여 생체 검사를 위한 조직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할 때에 인체 내부로의 접근이 용이하며, 안정감 있게 시술 또는 수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인체 내부로 접근하기에 용이한 수술도구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인체 내부로 접근하기에 용이한 수술도구는 인체의 어느 부분에 이용되는지와 인체 내부로 접근하여 어떤 용도로 쓰이는지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종류를 이루게 된다. 예를 들면, 밀도가 높고 단단한 뼈와 같은 조직이나 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피부조직에 사용되거나 척추와 같이 신경이 집중되어 고도의 정밀함이 요구되는 경우 등이 있다.
이처럼 인체 내부로 접근하기 위한 수술도구에 대한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28436호(뼈 치료용 장치)에서는 표피에서 뼈로의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뼈 치료용 장치로써, 도관의 단부에 수용홈을 갖는 손잡이가 배치되는 케뉼러 도구와 도관의 내부로 삽입되는 확장도관을 가지며, 확장도관의 단부에 배치 되고 결합수단을 매개로 수용홈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헤드를 갖는 확장관 도구의 기술을 제시한다.
이는 의사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케뉼러 도구와 확장관 도구를 이용하여 표피에서 뼈로의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힘을 가할 때 핸들의 기계적인 장점이 향상된 상태로 신뢰성 있는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결합수단으로 수용홈의 내주면에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와 헤드의 저면에 형성되고 가이드 돌기와 결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 돌기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이 더 구비되도록 하기 때문에 그 구성이 복잡하다.
또한, 가이드 수단은 수용홈의 측면 부위에 형성되어, 케뉼러 도구와 확장관 도구 사이에서 결합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필요 이상의 회전 반경을 갖도록 하기 때문에 힘을 가하는 등의 수술 또는 시술에서 케뉼러 도구와 확장관 도구 사이에 불안정하게 작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체내에 삽입하기 위해 헤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된 상태의 뼈 치료용 장치에 힘을 가하는 경우, 케뉼러 도구와 확장관 도구가 그러한 힘의 작용에 의해 결합이 분리되거나 분리된 상태에서 확장관 도구의 헤드가 회전하는 등의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체내로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기기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신뢰성 있는 전달을 가능하게 하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직접 받아들이는 부분이 보다 견고하게 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체내로 접근하는 시술 또는 수술에 필요한 체내 접근용 도구가 결합함에 있어서, 기존의 복잡한 핸들 구조를 단순하게 하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신뢰성 있는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체내 접근용 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체내 접근용 도구는 속이 빈 형태의 관(管)과, 상기 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손잡이를 가지는 제1도구; 및 상기 제1도구의 관 내부에 수용 가능한 막대를 일측에 가지며, 상기 제1손잡이에 수용되어 상기 제1도구와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제2도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구의 제1손잡이 및 제2도구의 제2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도구의 제1손잡이 및 제2도구의 제2손잡이 중 다른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도구와 제2도구가 결합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턱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턱은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구에 결합되기 위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도구의 제1손잡이 및 제2도구의 제2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턱에서 절곡된 형상의 끝단부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결 합구에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일정 정도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도구의 제1손잡이 및 제2도구의 제2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구는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턱과 맞닿아 고정되도록 일정 정도 돌출되는 제1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도구의 상기 제2손잡이에는 상기 막대로부터 연장되어지는 상기 막대의 일단에 일정면적을 가지며, 상기 일정면적이 외부로 표출되는 타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체내 접근용 도구는 속이 빈 형태의 관(管)과, 상기 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손잡이를 가지는 제1도구; 및 상기 제1도구의 관 내부에 수용 가능한 막대를 일측에 가지며, 상기 제1손잡이에 수용되어 상기 제1도구와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제2도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구의 제1손잡이 및 제2도구의 제2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도구의 제1손잡이 및 제2도구의 제2손잡이 중 다른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도구와 제2도구가 결합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턱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도구는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구로 삽입되어 회전됨에 따라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도구의 제1손잡이 및 제2도구의 제2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턱은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구에 결합되기 위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도구의 제1손잡이 및 제2도구의 제2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턱에서 절곡된 형상의 끝단부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구에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일정 정도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도구의 제1손잡이 및 제2도구의 제2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구는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턱과 맞닿아 고정되도록 일정 정도 돌출되는 제1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도구의 상기 제2손잡이에는 상기 막대로부터 연장되어지는 상기 막대의 일단에 일정면적을 가지며, 상기 일정면적이 외부로 표출되는 타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간단한 구성만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구성이 단순화되어 사출성형이 쉽고, 이로 인한 생산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 반경만큼만 회전하여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분리된 제2도구가 필요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체내로 삽입하도록 힘을 가하기 위한 부분에 막대로부터 연장되는 일정 면적의 타격부를 구비하여 외부로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힘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 체내 접근용 도구가 삽입되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체내 접근용 도구(100)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구(110) 및 제2도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이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상태에서 사용되고, 시술 또는 수술의 조치가 필요한 인체의 내부로 조직을 관통하여 들어가 환부에 접근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따라서 시술 또는 수술이 요구되는 환부에 접근한 체내 접근용 도구(100)는 결합된 제1도구(110)와 제2도구(120)에서 제1도구(110)만을 인체에 남기고 제2도구(120)를 분리함으로써 제1도구(110)의 관을 이용하여 노즐, 깔때기 및 주사기 등의 기타 수술 도구를 연결하여 시술 또는 수술하거나, 환부에 필요한 약을 체내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구(110)와 제2도구(120)는 결합 및 분 리를 가능하게 하는 걸림턱(c)과 결합구(h)를 가지며, 제1도구(110)와 제2도구(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조직을 관통하기 위해 체내 접근용 도구(100)에 미치게 되는 여러 측면의 힘에 대하여 파손 없이 강도를 증가시켜 전달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이러한 결합수단으로 제1도구(110)의 제1손잡이(111)에는 결합구(h)를 형성하고, 제2도구(120)의 제2손잡이(121)에는 걸림턱(c)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결합상태에서 하나의 손잡이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며,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힘이 조직을 관통하는데 있어서 신뢰성 있는 힘의 전달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제1도구(110)와 제2도구(120)가 결합되는 동작은 제1도구(110)의 제1손잡이(111)에 형성되는 결합구(h)로 제2도구(120)의 제2손잡이(121)에 형성된 걸림턱(c)이 삽입되고 나서, 회전하는 과정을 통해 걸림턱(c)의 절곡된 형상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결합상태의 손잡이는 외부의 테두리 부분을 라운딩(Rounding)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안정되게 파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123)로부터 연장되는 일정 면적의 타격부(s)를 형성하여 외부로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해머 등으로 타격하여 체내에 접근할 시에 더욱 안정적으로 외부의 힘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타격부(s)가 외부로 표출됨으로 인해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 되는 구조의 손잡이 측으로 외부의 힘이 가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물론 막대(123)로부터 연장되는 정확한 타격지점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 게 외부의 힘을 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구(110)는 제1손잡이(111) 및 투관(11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둘레가 둥글고 속이 빈 형태의 관인 투관(113)이 제1손잡이(111)와 결합되는 구성을 가진다.
투관(113)은 원하는 깊이만큼 체내로 접근하기 위하여 길고 가늘게 구성되며, 둘레가 둥글고 속이 빈 형태를 가지도록 하여 제2도구(120)와 결합 시에 막대(123)를 수용하도록 한다.
이때, 제2도구(120)의 막대(123)이 수용되는 내부의 비어있는 공간을 이용해 시술 또는 수술이 진행되며, 인체 내부로의 접근을 위해 불필요하게 인체를 절개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어, 수술 시에 수술부위를 최소화하여 환자의 빠른 회복과 수술 후에 남는 흉터를 최소화한다.
제1손잡이(111)는 투관(113)과 결합되어 구성되며, 제2손잡이(121)를 수용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구(h)가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구(h)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손잡이(111)와 제2손잡이(121)가 맞닿는 일측에 막대(123)가 삽입되는 한 점에 대하여 점대칭 되도록 구성되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정도의 회전만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1손잡이(111)와 제2손잡이(121)의 결합 및 분리 시에 필요 이상의 회전이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h)가 제2손잡이(121)의 걸림턱(c)과 맞닿아 고정되도록 하부로 일정 정도 돌출되는 제1돌출부(a1)를 마련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결합구(h)가 막대(123)가 삽입되는 한 점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하나의 결합구(h)를 이용하여 구성되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다른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구(120)는 제1도구(110)의 투관(113) 내부에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막대(123)이 제2손잡이(121)와 결합되는 형태이며, 막대(123) 및 제2손잡이(121)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막대(123)는 제1도구(110)의 투관(113) 내부에 수용되며, 투관(113)보다 약간 길게 구성되어 제1도구(110)와 제2도구(120)의 결합이 이루어진 경우에 일정 정도로 돌출되는 구성을 갖도록 한다.
즉, 제1도구(110)와 제2도구(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인체의 내부로 조직을 뚫고 들어갈 수 있는 힘이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돕고, 체내의 환부로 접근하고 나서는 제1도구(110)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막대(123)는 조직을 뚫고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그 끝단이 뾰족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손잡이(121)는 제1도구(110)의 제1손잡이(111)에 수용되어 결합되도록 구 성되며, 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한 걸림턱(c)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도구(110)의 결합구(h)에 수용되어 결합구(h)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회전을 통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걸림턱(c)은 제1손잡이(111)의 결합구(h) 내부에 수용되어 일정 정도 회전하면서 고정되기 위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형상의 끝단부를 상부로 일정 정도 돌출되게 하는 제2돌출부(a2)를 마련하여 줌으로써, 제1도구(110)와 제2도구(120)가 결합된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2손잡이(121)에는 타격부(s)가 형성되며, 타격부(s)는 막대(123)로부터 연장되는 일단에 일정면적을 가지는 막대(123)의 일부가 제2손잡이(121)의 외부로 표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확한 힘을 가해 주변조직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는 제2손잡이(121) 측으로 외부의 힘이 가해져 손상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도구(110)의 제1손잡이(111)에 결합구(h)가 형성되고, 제2도구(120)의 제2손잡이(121)에 걸림턱(c)이 형성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손잡이(111)에 걸림턱(c)이 형성되고 제2손잡이(121)에 결합구(h)가 형성되는 구성을 가져도 무방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 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체내 접근용 도구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체내 접근용 도구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3은 제1 및 제2손잡이가 분리 또는 결합되기 위해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4는 제1손잡이에 형성되는 결합구에 대하여 도시한다.
도5의 (a)는 도1의 A-A'의 단면을, (b)는 도2의 B-B'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체내 접근용 도구
110 : 제1도구
111 : 제1손잡이 113 : 투관
h : 결합구 a1 : 제1돌출부
120 : 제2도구
121 : 제2손잡이 123 : 막대
c : 걸림턱 s : 타격부
a2 : 제2돌출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속이 빈 형태의 관(管)과, 상기 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손잡이를 가지는 제1도구; 및
    상기 제1도구의 관 내부에 수용 가능한 막대를 일측에 가지고, 상기 제1손잡이에 수용되는 제2손잡이를 가지며, 상기 제1도구와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제2도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구의 제1손잡이 및 제2도구의 제2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도구의 제1손잡이 및 제2도구의 제2손잡이 중 다른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도구와 제2도구가 결합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턱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턱 및 결합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도구의 막대와 접하는 상기 제2손잡이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도구의 제1손잡이 및 제2도구의 제2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턱은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구에 결합되기 위한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구는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통과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일정 이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접근용 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구의 제1손잡이 및 제2도구의 제2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턱에서 절곡된 형상의 끝단부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구에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일정 정도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접근용 도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구의 제1손잡이 및 제2도구의 제2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구는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턱과 맞닿아 고정되도록 일정 정도 돌출되는 제1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접근용 도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구의 상기 제2손잡이에는 상기 막대로부터 연장되어지는 상기 막대의 일단에 일정면적을 가지며, 상기 일정면적이 외부로 표출되는 타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접근용 도구.
KR1020090112411A 2009-11-20 2009-11-20 체내 접근용 도구 KR100963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411A KR100963993B1 (ko) 2009-11-20 2009-11-20 체내 접근용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411A KR100963993B1 (ko) 2009-11-20 2009-11-20 체내 접근용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3993B1 true KR100963993B1 (ko) 2010-06-15

Family

ID=42370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411A KR100963993B1 (ko) 2009-11-20 2009-11-20 체내 접근용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9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0679A1 (ko) * 2013-10-24 2015-04-30 안용철 뼈 치료용 장치
WO2021095901A1 (ko) * 2019-11-12 2021-05-2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뼈 파쇄가 가능한 의료용 가이드 유닛
WO2021095900A1 (ko) * 2019-11-12 2021-05-2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쇄된 뼈의 회수가 가능한 의료용 골정 유닛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1122B1 (en) * 1999-10-19 2006-07-25 Kyphon Inc. Hand-held instruments that access interior body regions
KR20090006621A (ko) * 2007-07-12 2009-01-15 주식회사 메디라바텍 약물 투입이 가능한 척추 시술용 니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1122B1 (en) * 1999-10-19 2006-07-25 Kyphon Inc. Hand-held instruments that access interior body regions
KR20090006621A (ko) * 2007-07-12 2009-01-15 주식회사 메디라바텍 약물 투입이 가능한 척추 시술용 니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0679A1 (ko) * 2013-10-24 2015-04-30 안용철 뼈 치료용 장치
WO2021095901A1 (ko) * 2019-11-12 2021-05-2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뼈 파쇄가 가능한 의료용 가이드 유닛
WO2021095900A1 (ko) * 2019-11-12 2021-05-2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쇄된 뼈의 회수가 가능한 의료용 골정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8367B2 (en) Anchor delivery system
US20170252521A1 (en) System For Positioning A Distal End Of A Surgical Device Within A Patient For Surgery And To Administer A Fluid To The Surgery Site
US8480676B2 (en) Bone tamp apparatus and method
KR20180096616A (ko) 척추 수술 절차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가지는 외과 툴 및 사용 방법
KR20090028436A (ko) 뼈 치료용 장치
US20100100046A1 (en) Cannulated apertured grooved director
KR20150089022A (ko) 조직을 흡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208892703U (zh) 一种方便注射的环锯保护套及截骨装置
EP3205297B1 (en) Surgical instrument for making incisions
AU2013212648B2 (en) Microfracture pick
KR100963993B1 (ko) 체내 접근용 도구
JP2019063582A (ja) マイクロフラクチャーピック
KR20170105748A (ko) 침관 및 조립체
JP4137622B2 (ja) 超音波トロッカーシステム
WO2012149534A1 (en) Puncture device
CA2896953C (en) Fixation implant devices, systems, kits, and methods
US9131924B2 (en) Surgical device
JP6426032B2 (ja) 内視鏡用穿刺デバイス
JP6151617B2 (ja) 骨治療システム
US10524816B2 (en) Tunnel tool for soft tissue
CN208989059U (zh) 一种留置管引导超细针蛛网膜下腔阻滞的穿刺装置
KR20090110983A (ko) 골시멘트 주입키트
RU11095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уннелизации субхондральной кости
KR20150047340A (ko) 뼈 치료용 장치
WO2023173470A1 (zh) 一种插管式组织扩张骨科微创手术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