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296A - 물티슈 용기 - Google Patents

물티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296A
KR20150047296A KR1020130127211A KR20130127211A KR20150047296A KR 20150047296 A KR20150047296 A KR 20150047296A KR 1020130127211 A KR1020130127211 A KR 1020130127211A KR 20130127211 A KR20130127211 A KR 20130127211A KR 20150047296 A KR20150047296 A KR 20150047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adhesive sheet
sheet member
attached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중
Original Assignee
김소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중 filed Critical 김소중
Priority to KR1020130127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7296A/ko
Publication of KR20150047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38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combined with separate fixed tearing means, e.g. ta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with means for re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3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티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물티슈가 보관되며 인출구(17)가 형성되는 용기본체(11)와, 상기 용기본체(11)에 부착되며 상기 인출구(17)를 개폐하는 점착시트부재(21)와, 상기 용기본체(11)와 상기 점착시트부재(21)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점착시트부재(21)의 최초 개봉시 원상복구 불가능하게 부분 분리되어 상기 점착시트부재(21)의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개봉확인부재(31,41,51,6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최초 개봉시 원상복구 불가능하게 개봉 흔적이 남으므로 물티슈의 무단인출 및 이물질 투입을 방지할 수 있어 소비자로부터 개봉된 사실이 없는 새로운 제품으로서 제품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물티슈 용기{WET TISSUE STORAGE CASE}
본 발명은 물티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초 구매하여 개봉하기전까지는 물티슈의 무단인출은 물론 이물질 등의 투입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개봉 흔적을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물티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티슈는 합성섬유, 비스코스 섬유, 면 섬유, 셀룰로즈 섬유 및 천연 식물성 섬유 등을 얇은 조직화하여 티슈(tissue)로 만들고, 여기에 물을 첨가하고 살균한 것이다.
물티슈는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손과 얼굴을 닦을 수 있고, 근래에 영유아의 기저귀 교체 시 영유아의 피부를 닦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티슈는 수분 증발을 방지하고 휴대하기 용이하게 비닐팩과 같은 물티슈 용기 내에 보관되어 판매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티슈 용기는 다수의 물티슈가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며, 물티슈가 인출되는 인출구가 형성된 용기본체(1)와, 용기본체(1)의 상부면에 부착되며 인출구를 개폐하는 커버부(2)를 포함한다.
커버부(2)에는 인출구를 막는 점착시트부재(3)가 부착되어 있어 최초 개봉시까지 인출구를 막아 용기본체(1)의 내부를 밀폐시키고 있다.
그리고, 점착시트부재(3)의 일부분과 용기본체(1)의 표면 일부분에 걸쳐 미개봉표식 라벨(4)을 접착 또는 점착하여 물티슈 용기가 미개봉 제품인 것을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물티슈 용기는 미개봉표식 라벨(4)이 부착되지 않은 반대쪽 점착시트부재(3)의 일부분을 개봉하였다가 다시 밀봉할 수 있기 때문에 구매자에게 판매되기 전까지는 물티슈 용기의 개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0453680호(등록일자:2011.05.13, 명칭:물티슈용기 개봉용 스티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물티슈 용기를 구매할 때 구매한 물티슈 용기가 새로운 제품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물티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티슈의 무단인출은 물론 이물질 등의 투입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개봉 흔적을 즉시에 확인할 수 있는 물티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음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물티슈가 보관되며 상기 물티슈가 인출되는 인출구가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점착되며 상기 인출구를 개폐하는 점착시트부재와,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점착시트부재의 사이에 부착되고 상기 점착시트부재의 최초 개봉시 원상복구 불가능하게 부분 분리되어 상기 점착시트부재의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개봉확인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점착시트부재는 점착층이 형성된 부착부와 점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개봉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봉확인부재는 상하면에 접착층이 형성되며, 상면의 접착층이 상기 용기본체에 부착되고 하면의 접착층이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상기 점착시트부재의 최초 개봉시 접착 강도에 의해 두 층으로 분리된다.
상기 개봉확인부재는 복수의 절단선으로 구획되고 상기 절단선을 기준으로 상하면에 교대로 접착층이 형성되며, 상면의 접착층이 상기 용기본체에 부착되고 하면의 접착층이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상기 점착시트부재의 최초 개봉시 상기 절단선을 따라 개별적으로 상기 부착부 또는 상기 용기본체에 부착되어 분리된다.
상기 개봉확인부재는 상기 인출구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된다.
상기 개봉확인부재는 띠 형상, 원 형상, 사각 형상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다.
상기 개봉확인부재는 종이, 한지, 부직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상기 개봉확인부재는 상기 점착시트부재의 개봉시 원상복구 불가능하게 파괴되는 식별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식별층은 상기 개봉확인부재의 상면에 형성한 그림, 색상, 무늬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인출구를 막도록 위치되며 상기 점착시트부재의 개봉시 상기 용기본체에서 분리되어 상기 점착시트부재의 저면에 부착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는 용기본체와 점착시트부재의 사이에 점착시트부재의 최초 개봉시 원상복구 불가능하게 부분 분리되어 점착시트부재의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개봉확인부재가 구비된다.
개봉확인부재는 최초 개봉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개봉 흔적을 남게 하므로 구매한 물티슈 용기가 새로운 제품임을 확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물티슈의 무단인출은 물론 이물질 투입을 미연에 방지하여 소비자로부터 개봉된 사실이 없는 새로운 제품으로서 제품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개선과 개봉확인부재가 물티슈 용기의 개봉을 미연에 방지하게 하는 역할을 하므로 종래의 미개봉표식 라벨을 부착할 필요가 없어 외관이 미려하고 제조원가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물티슈 용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티슈 용기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티슈 용기를 개방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물티슈 용기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의한 물티슈 용기를 개방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물티슈 용기를 보인 도면.
도 8은 도 7의 물티슈 용기를 개방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9는 도 7의 물티슈 용기를 개방시 개방확인부재가 절단선을 따라 개별적으로 분리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 실시예]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물티슈가 보관되는 용기본체(11)와, 용기본체(11)에서 분리되어 물티슈가 인출되는 인출구(17)를 형성하는 커버부(13)와, 용기본체(11)에 점착되며 인출구(17)를 개폐하는 점착시트부재(21)와, 용기본체(11)와 점착시트부재(21)의 사이에 부착되어 점착시트부재(21)의 최초 개봉시 원상복구 불가능하게 부분 분리되어 점착시트부재(21)의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개봉확인부재(31)를 포함한다.
용기본체(11)는 비닐팩 또는 합성수지필름 포대형으로 제작되며 상면에 인출구(17)가 형성된다. 인출구(17)는 용기본체(11)의 상면 중앙에 튜브형상으로 형성되며 용기본체(11)에서 분리되는 커버부(13)에 의해 외부로 개방된다.
구체적으로, 커버부(13)는 상면에 점착된 점착시트부재(21)와 절개선(15)에 의해 용기본체(11)와 분리되어 용기본체(11)에 인출구(17)를 형성한다.
점착시트부재(21)는 저면에 점착층(23a)이 형성되어 있어 인출구(17)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11)의 상면에 점착된다. 점착시트부재(21)는 물티슈 용기 내부를 밀폐시켜 외부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한 물티슈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점착시트부재(21)는 저면에 점착층(23a)이 형성된 부착부(23)와 점착층(23a)이 형성되지 않은 개봉부(25)로 구분할 수 있다. 부착부(23)는 커버부(13)와 그 주변을 덮어 인출구(17)를 밀폐하도록 용기본체(11)의 상면에 부착되고, 개봉부(25)는 점착시트부재(21)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물티슈 용기의 개봉시 점착시트부재(21)가 용기본체(11)에 점착된 상태를 분리 용이하게 한다.
점착시트부재(21)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점착시트부재(21)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면 점착시트부재(21)의 개봉 흔적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다.
점착시트부재(21)에 뜯김선(27)이 형성된다. 뜯김선(27)은 개봉부(25)의 반대쪽 점착시트부재(21)에 형성되어 반대쪽 점착시트부재(21)의 일부분을 개봉하였을 경우 점착시트부재(21)가 뜯김선을 따라 찢어지거나 뜯어지도록 하여 개봉부(25)의 반대쪽을 통한 물티슈 용기의 개봉을 미연에 방지한다.
뜯김선(27)의 형상은 대략 S자 형상이며 두 개가 나란히 이격되게 형성된다. S자 형상은 점착시트부재(21)를 개봉부 방향으로 개봉시 점착시트부재(21)가 개봉부 방향으로 찢어지거나 뜯어질 수 있도록 한다. 뜯김선(27)은 S자 형상 외에도 점착시트부재(21)를 개봉부(25) 반대쪽으로 개봉시 찢어지거나 뜯어질 수 있는 형상이면 다양한 형상으로 절개 형성할 수 있다.
개봉확인부재(31)는 상하면에 접착층(a,b)이 형성되며, 상면의 접착층(a)이 용기본체(11)에 부착되고 하면의 접착층(b)이 부착부(23)에 부착된다.
개봉확인부재(31)는 종이, 한지, 부직포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하고 이들의 상하면에 접착층(a,b)을 형성한 것이다. 종이, 한지, 부직포 등은 여러 겹이 적층되고 압축된 것으로 상하면에서 잡아당기는 힘이 압축된 힘보다 강하면 두 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분리된다. 또한, 접착층(a,b)은 점착층(23a)에 비해 부착강도가 강하다.
접착층(a,b)이 용기본체(11) 또는 부착부(23)에 부착되는 강도는 개봉확인부재(31)의 내부 층들이 서로 압축된 강도보다 더 강하다. 이는 점착시트부재(21)의 최초 개봉시 개봉확인부재(31)가 접착층(a,b)의 접착 강도에 의해 두 층으로 분리되게 한다.
개봉확인부재(31)는 부착부(23)와 개봉부(25)의 경계에 해당하는 부착부(23)와 용기본체(11)의 사이에 띠 형상으로 부착된다. 이 경우, 점착시트부재(21)의 미개봉시에는 부착부(23)와 용기본체(11)의 사이에 부착된 개봉확인부재(31)가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최초 개봉시에 개봉확인부재(31)가 두 층으로 분리되면서 한 층은 부착부(23)에 다른 한 층은 용기본체(11)에 부착되어 서로 분리된 상태가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개봉확인부재(31)는 점착시트부재(21)의 개봉시 원상복구 불가능하게 파괴되는 식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식별층은 개봉확인부재(31)의 상면에 형성한 그림, 색상, 무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식별층은 점착시트부재(21)를 개봉시 점착시트부재(21)의 저면에 부착되어 개봉확인부재(31)의 상면에서 분리되고, 점착시트부재(21)를 용기본체(11)에 다시 점착시키더라도 개봉확인부재(31)로부터 들뜨거나 색, 무늬가 부자연스러워져 개봉 흔적을 남기게 된다.
일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봉확인부재(31)는 물티슈 용기의 제조시 점착시트부재(21)의 저면 점착층(23a)에 상면의 접착층(a)이 부착된 후, 점착시트부재(21)를 용기본체(11)의 상면에 부착하면 하면의 접착층(b)이 용기본체(11)에 부착된다.
개봉확인부재(31)가 점착시트부재(21)와 용기본체(11)의 사이에 부착된 상태는 도 2의 확대도에서 확인된다. 개봉확인부재(31)는 부착부(23)와 개봉부(25)의 경계부위까지 위치되게 부착부(23)와 용기본체(11)의 사이에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봉부(25)를 잡고 개봉부(25)의 반대편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부착부(23)와 접착층(a)이 당기는 접착력과 접착층(b)와 용기본체(11)가 당기는 접착력이 개봉확인부재(31)가 압착된 힘보다 상대적으로 강함에 의해 개봉확인부재(31)가 두 층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개봉부(25)를 더 잡아당기면 인출구(17)가 개방된다.
인출구(17)가 개방된 상태에서 개봉확인부재(31)의 한 층(31a)은 부착부(23)에 부착되어 있고 다른 한 층(31b)은 용기본체(11)에 부착되어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점착시트부재(21)를 용기본체(11)에 다시 점착시키더라도 개봉확인부재(31)의 분리된 부분은 서로 부착되지 않고 들뜬상태가 되므로 개봉 흔적이 남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는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는 개봉확인부재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봉확인부재(41)는 원 형상, 사각 형상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며, 점착시트부재(21)의 부착부(23)와 용기본체(11)의 사이에서 상면이 부착부(23)에 부착되고 하면이 용기본체(11)에 부착된다.
개봉확인부재(41)는 상하면에 접착층(a,b)이 형성되며, 상면의 접착층(a)이 부착부(23)에 부착되고 하면의 접착층(b)이 용기본체(11)에 부착되어 점착시트부재(21)의 최초 개봉시 접착 강도에 의해 두 층으로 분리된다. 개봉확인부재(40)는 종이, 한지, 부직포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하고 이들의 상하면에 접착층(a,b)을 형성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봉확인부재(41)는 점착시트부재(21)의 개봉시 분리되어 한 층(41a)은 부착부(23)에 부착되어 있고 다른 한 층(41b)은 용기본체(11)에 부착되어 점착시트부재(21)를 용기본체(11)에 다시 점착시키더라 들뜸 현상 등으로 인해 개봉 흔적이 남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봉확인부재(41,51)는 원 형상, 사각 형상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며, 인출구(17)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개봉부(25)의 반대쪽에 뜯김선(27)이 있어 개봉부(25)의 반대쪽으로 점착시트부재(21)를 개봉할 경우 개봉 흔적이 남도록 하였으나, 점착시트부재(21)를 소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천천히 개봉할 경우에는 개봉 흔적이 남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비하여 개봉확인부재(41,51)를 인출구(17)의 길이방향 양측에 배치되게 부착부(23)와 용기본체(11)의 사이에 부착한다.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점착시트부재(21)의 최초 개봉시 개봉확인부재(31)가 두 층으로 분리되는 원리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 다른 실시예]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봉확인부재(61)는 복수의 절단선(c)으로 구획되고 절단선(c)을 기준으로 상하면에 교대로 접착층(a,b)이 형성된다. 개봉확인부재(61)는 상면의 접착층(a)이 부착부(23)에 부착되고 하면의 접착층(b)이 용기본체(11)에 부착되어 점착시트부재(21)의 최초 개봉시 절단선(c)을 따라 뜯어져 개별적으로 분리된다.
절단선(c)은 외력에 의해 뜯겨질 수 있도록 개봉확인부재(61)를 분리하는 점선형식의 절단선이다. 개봉확인부재(61)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부착부(23)와 개봉부(25)의 경계부위에서 부착부(23)와 용기본체(11)의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층(a,b)은 절단선(c)으로 구획된 상면, 하면, 상면, 하면에 교대로 형성된다. 이는 점착시트부재(21)의 최초 개봉시 개봉확인부재(61)가 접착층(a,b)의 부착강도의 의해 절단선(c)을 따라 분리되고 부착부(23) 또는 용기본체(11)에 분리 부착되게 한다.
또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봉확인부재(61)는 띠 형상이며 절단선(c)에 의해 여러 부분으로 구획되고 구획된 상면, 하면에 교대로 접착층(a,b)이 형성된다.
개봉확인부재(61)는 상면에 형성된 접착층(a)이 점착시트부재(21)의 점착층(23a)에 부착되고, 하면에 형성된 접착층(b)이 용기본체(11)에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봉부(25)를 잡고 반대편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부착부(23)와 접착층(a)이 당기는 접착력 및 접착층(b)과 용기본체(11)가 당기는 접착력이 개봉확인부재(61) 보다 상대적으로 강함에 의해 개봉확인부재(61)가 절단선(c)을 따라 분리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61a)는 상면의 접착층(a)을 매개로 부착부(23)에 부착되고 나머지(61b)는 하면의 접착층(b)을 매개로 용기본체(11)에 부착되게 된다. 그리고, 개봉부(25)를 반대편 방향으로 더 잡아당기면 점착시트부재(21)에 커버부(13)가 점착되어 용기본체(11)에서 분리되므로 인출구(17)가 개방되고 물티슈를 인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최초 개방된 점착시트부재(21)는 용기본체(11)에 다시 점착시켜도 개봉확인부재(61)가 절단선(c)을 따라 분리된 상태이므로 개봉 흔적이 남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시트부재(21)를 최초 개방하면 개봉확인부재(31,41,51,61)가 원상복구 불가능하게 되어 개봉 흔적이 남게 되므로 최초 구매하여 개봉하기전까지는 물티슈의 무단인출은 물론 이물질 등의 투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개봉 흔적을 즉시 확인할 수도 있다.
이는 물티슈 용기가 소비자로부터 개봉된 사실이 없는 새로운 제품으로서 제품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용기본체 13: 커버부
15: 절개선 17: 인출구
21: 점착시트부재 23: 부착부
23a: 점착층 25: 개봉부
27: 뜯김선 31,41,51,61: 개봉확인부재
a,b: 접착층 c: 절단선

Claims (10)

  1. 내부에 물티슈가 보관되며 상기 물티슈가 인출되는 인출구가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점착되며 상기 인출구를 개폐하는 점착시트부재와;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점착시트부재의 사이에 부착되고 상기 점착시트부재의 최초 개봉시 원상복구 불가능하게 분리되어 상기 점착시트부재의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개봉확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부재는 점착층이 형성된 부착부와 점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개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봉확인부재는 상하면에 접착층이 형성되며,
    상면의 접착층이 상기 용기본체에 부착되고 하면의 접착층이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상기 점착시트부재의 최초 개봉시 접착 강도에 의해 두 층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용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봉확인부재는 복수의 절단선으로 구획되고 상기 절단선을 기준으로 상하면에 교대로 접착층이 형성되며,
    상면의 접착층이 상기 용기본체에 부착되고 하면의 접착층이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어 상기 점착시트부재의 최초 개봉시 상기 절단선을 따라 개별적으로 상기 부착부 또는 상기 용기본체에 부착되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봉확인부재는 상기 인출구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봉확인부재는 띠 형상, 원 형상, 사각 형상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봉확인부재는 종이, 한지, 부직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봉확인부재는 상기 점착시트부재의 개봉시 원상복구 불가능하게 파괴되는 식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용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식별층은 상기 개봉확인부재의 상면에 형성한 그림, 색상, 무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용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를 막도록 위치되고 상기 점착시트부재의 개봉시 상기 용기본체에서 분리되어 상기 점착시트부재의 저면에 부착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용기.
KR1020130127211A 2013-10-24 2013-10-24 물티슈 용기 KR20150047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211A KR20150047296A (ko) 2013-10-24 2013-10-24 물티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211A KR20150047296A (ko) 2013-10-24 2013-10-24 물티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296A true KR20150047296A (ko) 2015-05-04

Family

ID=5338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211A KR20150047296A (ko) 2013-10-24 2013-10-24 물티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72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633B1 (ko) 2021-10-12 2023-03-02 이승현 적층 단차 조절을 통하여 선택적 점착 블로킹 영역을 구획하는 라벨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633B1 (ko) 2021-10-12 2023-03-02 이승현 적층 단차 조절을 통하여 선택적 점착 블로킹 영역을 구획하는 라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2844A (en) Selectively closeable plastic film bag
US20090273179A1 (en) Resealable label flap having multiple separable layers for displaying information
WO2017038255A1 (ja) 吸収性物品包装体
JP6044442B2 (ja) 再封可能な包装袋
US20120033903A1 (en) Paper bag
US10285877B2 (en) Packaging unit having improved sealing and a user prompting device, and a method for forming such a packaging unit
JP2013256299A (ja) 蓋材、保形シート付き蓋材、及び包装体
JP2005514280A (ja) 再閉鎖可能な包装袋
KR101035418B1 (ko) 물티슈 포장대
EP2832659B1 (en) Container, container package
JP5352825B2 (ja) 包装体
KR20150047296A (ko) 물티슈 용기
JP7335037B2 (ja) 体液吸収性着用物品を収納する袋
JP2004026197A (ja) 密閉容器用ラベルとその製造方法
JP2007055656A (ja) 包装用容器
JP4169588B2 (ja) リシールラベル
JP2010265010A (ja) 包装容器
JP2018127271A (ja) ウェットシート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612056B2 (ja) 包装容器および包装シート
JP5739227B2 (ja) 包装用紙箱
JP2016204033A (ja) 飲料容器の蓋材用ラベル
JP3195341U (ja) 吸収性物品の包装体
KR20190044728A (ko) 봉인라벨
KR102520780B1 (ko) 선택적 절취를 통한 오프닝 영역을 구비하는 중첩 라벨 시스템
WO2022255457A1 (ja) 衛生物品の収容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