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173A -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전이로 인한 폐의 침투성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전이로 인한 폐의 침투성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47173A KR20150047173A KR1020130126897A KR20130126897A KR20150047173A KR 20150047173 A KR20150047173 A KR 20150047173A KR 1020130126897 A KR1020130126897 A KR 1020130126897A KR 20130126897 A KR20130126897 A KR 20130126897A KR 20150047173 A KR20150047173 A KR 201500471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pression
- acute pancreatitis
- composition
- extract
- administr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7
- 206010033645 Pancreatitis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06010033647 Pancreatitis acute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01000003229 acute pancreatitis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8
- 210000004923 pancreatic tissu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108020004999 messenger RNA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102000004127 Cytokines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108090000695 Cytokines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0770 pro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06010030113 Oedema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4382 Amylas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102000013142 Amylases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108010065511 Amylases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5000019418 amylas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102000043136 MAP kinase family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108091054455 MAP kinase family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102000004142 Trypsin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108090000631 Trypsin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2588 tryp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102000004882 Lipase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108090001060 Lipase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4367 Lipas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19421 lipas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108700010013 HMGB1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102000055207 HMGB1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0000000762 glandula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10000000496 pancrea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228212 Aspergill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1100001083 no cytotoxicity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1
- 230000002363 herbicid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41001071917 Lithospermum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10000004879 pulmonary tissu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101150021904 HMGB1 gene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101100339431 Arabidopsis thaliana HMGB2 gene Proteins 0.000 abstract 1
- 231100000956 nontoxicity Toxicity 0.000 abstract 1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61
- 102000004889 Interleukin-6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7
- 108090001005 Interleukin-6 Proteins 0.000 description 47
- 102100040247 Tumor necrosis facto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4
- 108060008682 Tumor Necrosis Fac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39
- MZOFCQQQCNRIBI-VMXHOPILSA-N (3s)-4-[[(2s)-1-[[(2s)-1-[[(1s)-1-carboxy-2-hydroxyethyl]amino]-4-methyl-1-oxopentan-2-yl]amino]-5-(diaminomethylideneamino)-1-oxopentan-2-yl]amino]-3-[[2-[[(2s)-2,6-diaminohexanoyl]amino]acetyl]amino]-4-oxobu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C(O)=O)NC(=O)[C@H](CC(C)C)NC(=O)[C@H](CCCN=C(N)N)NC(=O)[C@H](CC(O)=O)NC(=O)CNC(=O)[C@@H](N)CCCCN MZOFCQQQCNRIBI-VMXHOPILSA-N 0.000 description 3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5
- MTCFGRXMJLQNBG-UHFFFAOYSA-N Serine Natural products OCC(N)C(O)=O MTCFGRXMJLQN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41000208822 Lactuca Species 0.000 description 22
- 235000003228 Lactuc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2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10000001703 glandular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3757 reverse transcription PCR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2965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12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41000699666 Mus <mouse,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108010010737 Cerulet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10
- 102000000589 Interleukin-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0
- 108010002352 Interleukin-1 Protein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YRALAIOMGQZKOW-HYAOXDFASA-N ceruletide Chemical compound C([C@@H](C(=O)N[C@H](C(=O)NCC(=O)N[C@@H](CC=1C2=CC=CC=C2NC=1)C(=O)N[C@@H](CCSC)C(=O)N[C@@H](CC(O)=O)C(=O)N[C@@H](CC=1C=CC=CC=1)C(N)=O)[C@@H](C)O)NC(=O)[C@H](CC(O)=O)NC(=O)[C@H](CCC(N)=O)NC(=O)[C@H]1NC(=O)CC1)C1=CC=C(OS(O)(=O)=O)C=C1 YRALAIOMGQZKOW-HYAOXDFASA-N 0.000 description 10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YRALAIOMGQZKOW-UHFFFAOYSA-N sulfated caerulein Natural products C=1C=CC=CC=1CC(C(N)=O)NC(=O)C(CC(O)=O)NC(=O)C(CCSC)NC(=O)C(CC=1C2=CC=CC=C2NC=1)NC(=O)CNC(=O)C(C(C)O)NC(=O)C(NC(=O)C(CC(O)=O)NC(=O)C(CCC(N)=O)NC(=O)C1NC(=O)CC1)CC1=CC=C(OS(O)(=O)=O)C=C1 YRALAIOMGQZK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102000002574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9
- 108010068338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NEZONWMXZKDMKF-JTQLQIEISA-N Alkannin Chemical compound C1=CC(O)=C2C(=O)C([C@@H](O)CC=C(C)C)=CC(=O)C2=C1O NEZONWMXZKDMKF-JTQLQIEISA-N 0.000 description 8
- UNNKKUDWEASWDN-UHFFFAOYSA-N alkannin Natural products CC(=CCC(O)c1cc(O)c2C(=O)C=CC(=O)c2c1O)C UNNKKUDWEASWD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1100000135 cyt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013 cyto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619 statis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262 western blo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108010055717 JN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17074 necrotic cell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7
- 108091006146 Channels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994 act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907 apopto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8 intraperitoneal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26 lipase activ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440 neutrophil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YRNWIFYIFSBPAU-UHFFFAOYSA-N 4-[4-(dimethylamino)phenyl]-n,n-dimethylaniline Chemical compound C1=CC(N(C)C)=CC=C1C1=CC=C(N(C)C)C=C1 YRNWIFYIFSBP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6439 Aspergillus oryza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2247 Aspergillus oryza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108020004414 DNA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02000019149 MAP kinase activity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40008097 MAP kinase activity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TWRXJAOTZQYOKJ-UHFFFAOYSA-L Magne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Mg+2].[Cl-].[Cl-] TWRXJAOTZQYOK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102000003992 Perox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LOKCTEFSRHRXRJ-UHFFFAOYSA-I dipotassium trisodium dihydrogen phosphate hydrogen phosphate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P(=O)(O)(O)[O-].[K+].P(=O)(O)([O-])[O-].[Na+].[Na+].[Cl-].[K+].[Cl-].[Na+] LOKCTEFSRHRXRJ-UHFFFAOYSA-I 0.000 description 4
- 230000028709 inflammatory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 olive oil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08040007629 peroxidase activity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53 phosphate buffered s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LZZYPRNAOMGNLH-UHFFFAOYSA-M Cetrimonium bromide Chemical compound [Br-].CCCCCCCCCCCCCCCC[N+](C)(C)C LZZYPRNAOMGNL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2000007665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MAP Kin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07457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MAP Kin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000018251 Hypoxanthine Phosphoribosyltransfer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91358 Hypoxanthine Phosphoribosyltransfer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YQEZLKZALYSWHR-UHFFFAOYSA-N Ketamine Chemical compound C=1C=CC=C(Cl)C=1C1(NC)CCCCC1=O YQEZLKZALYSWH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002 MTT assay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134 MTT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DBMJMQXJHONAFJ-UHFFFAOYSA-M Sodium laurylsulph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S([O-])(=O)=O DBMJMQXJHONAF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3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71 anim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87 chromatography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55 immunohistochem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532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60003299 ketamine Drug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379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940 nucleu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2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064 sodium phosphate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29 supposito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BPICBUSOMSTKRF-UHFFFAOYSA-N xylazi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1NC1=NCCCS1 BPICBUSOMSTK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60001600 xylazine Drugs 0.000 description 3
- QKNYBSVHEMOAJP-UHFFFAOYSA-N 2-amino-2-(hydroxymethyl)propane-1,3-diol;hydron;chloride Chemical compound Cl.OCC(N)(CO)CO QKNYBSVHEMOAJ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ZCUIGLMMGPMLC-UHFFFAOYSA-N 5,8-dihydroxy-2-(4-methylpentyl)naphthalene-1,4-dione Chemical compound C1=CC(O)=C2C(=O)C(CCCC(C)C)=CC(=O)C2=C1O CZCUIGLMMGPML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7469 Act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85238 Act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2
- 244000296825 Amygdalus na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840 Amygdalus n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2
- 108010011485 Aspartam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91003079 Bovine Serum 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UXVMQQNJUSDDNG-UHFFFAOYSA-L Calc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a+2] UXVMQQNJUSDDN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29816 Collagen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60005980 Collage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2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102100037907 High mobility group protein B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2559 Inflammatory bowe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3777 Interleukin-1 bet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193 Interleukin-1 bet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2653 Intestinal haemorrhage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20 Nitro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681 Phellinus linteus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13 Polysorbate 20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432 Prun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UIIMBOGNXHQVGW-UHFFFAOYSA-M Sodium bi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OC([O-])=O UIIMBOGNXHQVG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4000299461 Theobroma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001727 Tropicoporus linte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05 asparta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7 aspart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IAOZJIPTCAWIRG-QWRGUYRKSA-N aspartame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O)OC)CC1=CC=CC=C1 IAOZJIPTCAWIRG-QWRGUYRK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438 aspartame Drugs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66 bio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110 calc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48 calc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628 calc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424 collagenas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2000038379 digestive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1007734 digestive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91 fetal bovine ser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08 freeze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510 functional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969 inflammatory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57 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265 leuk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629 magnes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VMGAPWLDMVPYIA-HIDZBRGKSA-N n'-amino-n-iminomethanimidamide Chemical compound N\N=C\N=N VMGAPWLDMVPYIA-HIDZBRGK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20 nitrocellulo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40124595 oriental medic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00 peritone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63 phosphate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5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321 prophylax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774 prun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HELXLJCILKEWJH-NCGAPWICSA-N rebaudioside A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H]([C@@H]1O[C@H]1[C@@H]([C@@H](O)[C@H](O)[C@@H](CO)O1)O)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HELXLJCILKEWJH-NCGAPWICSA-N 0.000 description 2
- BOLDJAUMGUJJKM-LSDHHAIUSA-N renifolin D Natural products CC(=C)[C@@H]1Cc2c(O)c(O)ccc2[C@H]1CC(=O)c3ccc(O)cc3O BOLDJAUMGUJJKM-LSDHHAIUSA-N 0.000 description 2
- DAEPDZWVDSPTHF-UHFFFAOYSA-M sodium pyruvate Chemical compound [Na+].CC(=O)C([O-])=O DAEPDZWVDSPTH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920 sorb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86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256 steam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222 talc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18 transcri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97 transcri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DGVVWUTYPXICAM-UHFFFAOYSA-N β‐Mercaptoethanol Chemical compound OCCS DGVVWUTYPXICA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MTCFGRXMJLQNBG-REOHCLBHSA-N (2S)-2-Amino-3-hydroxypropansäure Chemical compound OC[C@H](N)C(O)=O MTCFGRXMJLQNBG-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LOGFVTREOLYCPF-KXNHARMFSA-N (2s,3r)-2-[[(2r)-1-[(2s)-2,6-diaminohexanoyl]pyrrolidine-2-carbonyl]amino]-3-hydroxybu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H](O)[C@@H](C(O)=O)NC(=O)[C@H]1CCCN1C(=O)[C@@H](N)CCCCN LOGFVTREOLYCPF-KXNHARMFSA-N 0.000 description 1
- 108091032973 (ribonucleotides)n+m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WYHEGBHZPUZEE-UHFFFAOYSA-N 2,3-dihydroxy-4-methyl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CC1=CC=C(C(O)=O)C(O)=C1O UWYHEGBHZPUZE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KMHFZQWWAIEOD-UHFFFAOYSA-N 2-[4-(2-hydroxyethyl)piperazin-1-yl]ethane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C[NH+]1CCN(CCS([O-])(=O)=O)CC1 JKMHFZQWWAIEO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AIUNKRWKOVEES-UHFFFAOYSA-N 3,3',5,5'-tetramethylbenzidine Chemical compound CC1=C(N)C(C)=CC(C=2C=C(C)C(N)=C(C)C=2)=C1 UAIUNKRWKOVE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WSONZCNXUSTKW-UHFFFAOYSA-N 4,5-Dimethylthiazole Chemical compound CC=1N=CSC=1C UWSONZCNXUSTK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HVDTGUDJYJELY-UHFFFAOYSA-N 6-{[2-carboxy-4,5-dihydroxy-6-(phosphanyloxy)oxan-3-yl]oxy}-4,5-dihydroxy-3-phosphanyl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1C(C(O)=O)C(P)C(O)C(O)C1OC1C(C(O)=O)OC(OP)C(O)C1O FHVDTGUDJYJEL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998 Abdomin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874 Acne Vulgar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1100178203 Arabidopsis thaliana HMGB3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283 Bile Duc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1100098985 Caenorhabditis elegans cct-3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707 Cap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7544 Chrom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UHFFFAOYSA-N Elaidinsaeure-aethylester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10911 Enzyme Precurs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2466 Enzyme Precurs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UHFFFAOYSA-N Erythr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 UNXHWFMMPAWV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12 FEMA 460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06 Fillers/Extende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034 Frostbit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26 G1 to G0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0891 General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8 Glycyrrhiz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6677 Gonadotrop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6771 Gonadotrop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95 HEPES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1150091750 HMG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10168537 High mobility group protein B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1050288 Homo sapiens Transcription factor Ju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953 Hypo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4343 Integr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BVRYLTBIGIAADD-MRXNPFEDSA-N Isobutylshikonin Chemical compound C1=CC(O)=C2C(=O)C([C@@H](CC=C(C)C)OC(=O)C(C)C)=CC(=O)C2=C1O BVRYLTBIGIAADD-MRXNPFED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36 KH2PO4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39 Krebs-Henseleit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472 Leucaena leucocepha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43 Leucaena leuco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505 Measl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68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896 Myeloperox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235 Myeloperox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2419 NF-KappaB Inhibitor alph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7466 NF-kappa B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945 NF-kappa B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9337 NF-kappa-B inhibitor alph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47956 Nucleoso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3159 Organ failur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26 P38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627 Pancreatic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902 Pancreatic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30 Pe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5195 Pept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5804 Pept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7249 Phagocyt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0080 Phosphotransfer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92799 RNA-directed DNA polymer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HELXLJCILKEWJH-SEAGSNCFSA-N Rebaudioside A Natural products O=C(O[C@H]1[C@@H](O)[C@@H](O)[C@H](O)[C@@H](CO)O1)[C@@]1(C)[C@@H]2[C@](C)([C@H]3[C@@]4(CC(=C)[C@@](O[C@H]5[C@H](O[C@H]6[C@H](O)[C@@H](O)[C@H](O)[C@@H](CO)O6)[C@@H](O[C@H]6[C@H](O)[C@@H](O)[C@H](O)[C@@H](CO)O6)[C@H](O)[C@@H](CO)O5)(C4)CC3)CC2)CCC1 HELXLJCILKEWJH-SEAGSNCF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756 Respiratory Insufficienc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2278 Ribosomal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0605 Ribosomal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6019 Secre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7505 Secret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40739 Secretory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58545 Secretory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047 Sep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4000228451 Stevia rebau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871 Tachycard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OHRCEQTZXISPOL-UHFFFAOYSA-N Teracryl-shikonin Natural products C1=CC(O)=C2C(=O)C(C(OC(=O)CC(C)=C(C)C)CC=C(C)C)=CC(=O)C2=C1O OHRCEQTZXISPO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4 Theobroma cacao ssp. caca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7 Theobroma cacao ssp. sphaerocarp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100023132 Transcription factor Ju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8690 Trypsino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7252 Trypsino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700 Vomit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NFXUXZJJKTDOZ-HNNXBMFYSA-N [(1s)-1-(5,8-dihydroxy-1,4-dioxonaphthalen-2-yl)-4-methylpent-3-e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1=CC(O)=C2C(=O)C([C@@H](OC(C)=O)CC=C(C)C)=CC(=O)C2=C1O WNFXUXZJJKTDOZ-HNNXBMF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83 abdomin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0496 acn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056 alg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72 aller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40 analysis of vari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91 ana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42 antagnos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66 anti-aller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7 anti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6639 antige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7433 antige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107 ascorb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23 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8 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668 atopic ecz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01 blood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58 brai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99 c-terminal regi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46 cacaoter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6 calc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89 calc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10 calc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41 calc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YACROKNLOSFPA-UHFFFAOYSA-N calcium;dioxido(oxo)silane Chemical compound [Ca+2].[O-][Si]([O-])=O OYACROKNLOSFP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71 carbona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15 cel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92 cell lys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54 cellular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0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5 chemical reaction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83 chromat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349 chromosom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4 colloidal syste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20 cytopath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4 cytotoxicity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63 cytotoxicity tes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1 dext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QLDLKMNUJERMK-UHFFFAOYSA-L di(octadecanoyloxy)lead Chemical compound [Pb+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UQLDLKMNUJERMK-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05 diagnos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16 d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84 disinteg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9 elution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89 endo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ELXLJCILKEWJH-UHFFFAOYSA-N entered according to Sigma 01432 Natural products C1CC2C3(C)CCCC(C)(C(=O)OC4C(C(O)C(O)C(CO)O4)O)C3CCC2(C2)CC(=C)C21OC(C1OC2C(C(O)C(O)C(CO)O2)O)OC(CO)C(O)C1OC1OC(CO)C(O)C(O)C1O HELXLJCILKEWJ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QXMHVHEDSA-N ethyl ole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QXMHVHED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471 ethyl ole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577 familial hyperlipid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85 fatty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05 fe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79 first pass effec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10 ginseng extra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52 gly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UHFFFAOYSA-N glycyrrhetinic acid glycoside Natural products C1CC(C2C(C3(CCC4(C)CCC(C)(CC4C3=CC2=O)C(O)=O)C)(C)CC2)(C)C2C(C)(C)C1OC1OC(C(O)=O)C(O)C(O)C1OC1OC(C(O)=O)C(O)C(O)C1O LPLVUJXQOOQH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YRUBYNTXSDKQT-UHFFFAOYSA-N glycyrrhizic acid Natural products CC1(C)C(CCC2(C)C1CCC3(C)C2C(=O)C=C4C5CC(C)(CCC5(C)CCC34C)C(=O)O)OC6OC(C(O)C(O)C6OC7OC(O)C(O)C(O)C7C(=O)O)C(=O)O UYRUBYNTXSDK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949 glycyrrhiz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0 glycyrrhiz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QWBHMCJMSA-N glycyrrhiz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1O[C@@H]1C([C@H]2[C@]([C@@H]3[C@@]([C@@]4(CC[C@@]5(C)CC[C@@](C)(C[C@H]5C4=CC3=O)C(O)=O)C)(C)CC2)(C)CC1)(C)C)C(O)=O)[C@@H]1O[C@H](C(O)=O)[C@@H](O)[C@H](O)[C@H]1O LPLVUJXQOOQHMX-QWBHMCJM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22 gonadotrop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0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4 hepat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31 histologic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GCNASOHLSPBMP-UHFFFAOYSA-N hydroxyacetaldehyde Natural products OCC=O WGCNASOHLSPB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3 hypoten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018 immuno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866 inflammato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0601 interleukin-6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34 intra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85 intracerebroventri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8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BVRYLTBIGIAADD-UHFFFAOYSA-N isobutyryl shikonin Natural products C1=CC(O)=C2C(=O)C(C(CC=C(C)C)OC(=O)C(C)C)=CC(=O)C2=C1O BVRYLTBIGIAAD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MPHSYLJUKZBJJ-UHFFFAOYSA-N lauric acid triglycerid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O)OCC(OC(=O)CCCCCCCCCCC)COC(=O)CCCCCCCCCCC VMPHSYLJUKZBJ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65 lymph nod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11 macrog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486 malignant pancreatic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13 microcrystalline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8 microcrystalline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6286 microcrystalline 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247 mild fe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02 monopotass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96 monopotass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57 nonaqueous medi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623 nucleosom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02 pH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2528 pancreatic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443 pancreatic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1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75 path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91 patho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CLHHZYHLXDRQG-ZNKJPWOQSA-N pect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O[C@H](C(O)=O)[C@@H]1OC1[C@H](O)[C@@H](O)[C@@H](OC2[C@@H]([C@@H](O)[C@@H](O)[C@H](O2)C(O)=O)O)[C@@H](C(O)=O)O1 LCLHHZYHLXDRQG-ZNKJPWOQ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25 perc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82 phagocyt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25 pharmaceutical prepar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20233 phosphotransfer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318 polygalacturo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6 polysorb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NSKLFRGEWLPPA-UHFFFAOYSA-M 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 Chemical compound [K+].OP(O)([O-])=O GNSKLFRGEWLPPA-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28 prem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ELSKZZBTMNZEB-UHFFFAOYSA-N propylparaben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O)C=C1 QELSKZZBTMNZ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15 propylparab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3 rebaudioside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193 respiratory failur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39 reverse transcri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HFHDHCJBZVLPGP-UHFFFAOYSA-N schardinger α-dextrin Chemical compound O1C(C(C2O)O)C(CO)OC2OC(C(C2O)O)C(CO)OC2OC(C(C2O)O)C(CO)OC2OC(C(O)C2O)C(CO)OC2OC(C(C2O)O)C(CO)OC2OC2C(O)C(O)C1OC2CO HFHDHCJBZVLP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101 secre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OWMZNFCDEHGFEP-NFBCVYDUSA-N secretin human Chemical compound C([C@@H](C(=O)N[C@H](C(=O)N[C@@H](CO)C(=O)N[C@@H](CCC(O)=O)C(=O)N[C@@H](CC(C)C)C(=O)N[C@@H](CO)C(=O)N[C@@H](CCCNC(N)=N)C(=O)N[C@@H](CC(C)C)C(=O)N[C@@H](CCCNC(N)=N)C(=O)N[C@@H](CCC(O)=O)C(=O)NCC(=O)N[C@@H](C)C(=O)N[C@@H](CCCNC(N)=N)C(=O)N[C@@H](CC(C)C)C(=O)N[C@@H](CCC(N)=O)C(=O)N[C@@H](CCCNC(N)=N)C(=O)N[C@@H](CC(C)C)C(=O)N[C@@H](CC(C)C)C(=O)N[C@@H](CCC(N)=O)C(=O)NCC(=O)N[C@@H](CC(C)C)C(=O)N[C@@H](C(C)C)C(N)=O)[C@@H](C)O)NC(=O)[C@@H](NC(=O)CNC(=O)[C@H](CC(O)=O)NC(=O)[C@H](CO)NC(=O)[C@@H](N)CC=1NC=NC=1)[C@@H](C)O)C1=CC=CC=C1 OWMZNFCDEHGFEP-NFBCVYDU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64 semi-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3223 septic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207 serial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NFXUXZJJKTDOZ-UHFFFAOYSA-N shikonin acetate Natural products C1=CC(O)=C2C(=O)C(C(OC(C)=O)CC=C(C)C)=CC(=O)C2=C1O WNFXUXZJJKTDO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491 signal trans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IZTQOLKUZKXIRV-YRVFCXMDSA-N sincalide Chemical class C([C@@H](C(=O)N[C@@H](CCSC)C(=O)NCC(=O)N[C@@H](CC=1C2=CC=CC=C2NC=1)C(=O)N[C@@H](CCSC)C(=O)N[C@@H](CC(O)=O)C(=O)N[C@@H](CC=1C=CC=CC=1)C(N)=O)NC(=O)[C@@H](N)CC(O)=O)C1=CC=C(OS(O)(=O)=O)C=C1 IZTQOLKUZKXIRV-YRVFCXMD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3 skimmed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520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13 small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557 sodium bicarb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30 sodium bi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15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4269 sodium pyruv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89 splee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30 stem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20 subcutane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94 supercritical-fluid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5 suspe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85 syste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94 tachycardi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50 test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41 thymus gl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816 tissue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QORWJWZARLRLPR-UHFFFAOYSA-H tricalcium bis(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P([O-])([O-])=O.[O-]P([O-])([O-])=O QORWJWZARLRLPR-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53 trypsin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2 two-way ANOVA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0—Boraginaceae (Borage family), e.g. comfrey, lungwort or forget-me-no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췌장 조직 및 샘꽈리세포에서의 급성 췌장염 발병을 저해하는 효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췌장 조직에서의 부종 및 염증, 췌장 조직에서의 혈청 아밀라제, 리파제 및 트립신의 활성, 췌장 조직에서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의 발현과, 췌장 조직에서의 MPO 침윤을 저해시키는 효능 및 췌장 중량/체중의 비율(P.W/B.W)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샘꽈리세포에서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의 발현과, 샘꽈리세포에서의 MAPKs 통로의 활성, 샘꽈리세포에서의 HMGB1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시키는 효능 및, 샘꽈리세포에서의 세포독성이 없으며, 추가적으로 폐 조직의 부종 및 염증 정도와, 폐 조직의 MPO 침윤을 저해시키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췌장 조직에서의 부종 및 염증, 췌장 조직에서의 혈청 아밀라제, 리파제 및 트립신의 활성, 췌장 조직에서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의 발현과, 췌장 조직에서의 MPO 침윤을 저해시키는 효능 및 췌장 중량/체중의 비율(P.W/B.W)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샘꽈리세포에서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의 발현과, 샘꽈리세포에서의 MAPKs 통로의 활성, 샘꽈리세포에서의 HMGB1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시키는 효능 및, 샘꽈리세포에서의 세포독성이 없으며, 추가적으로 폐 조직의 부종 및 염증 정도와, 폐 조직의 MPO 침윤을 저해시키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췌장 조직 및 샘꽈리세포에서 급성 췌장염 발병을 저해하는 효능을 보유하여 급성 췌장염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췌장 조직에서의 부종 및 염증의 정도, 췌장 조직에서의 혈청 아밀라제, 리파제 및 트립신의 활성, 췌장 조직에서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의 발현과, 췌장 조직에서의 MPO 침윤을 저해시키는 효능 및, 췌장 중량/체중의 비율(P.W/B.W)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샘꽈리세포에서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의 발현과, 샘꽈리세포에서의 MAPKs 통로의 활성과, 샘꽈리세포에서의 HMGB1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시키는 효능 및, 샘꽈리세포에서의 세포독성이 없으며, 추가적으로 폐 조직의 부종 및 염증 정도와, 폐 조직의 MPO 침윤을 저해시키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자초 추출물의 농도는 6~8주령 마우스 기준으로 복강 내에 1회 투여시 100~500 mg/kg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보유하고 있다.
급성 췌장염(Acute pancreatitis)은 단백분해효소 전구물이 췌장 내에서 조기 활성화됨으로써 일어나는 자가소화의 과정을 통해, 췌장에 부종 또는 종창 등을 동반하는 염증성 질환으로서, 많은 경우에 담관 질환, 알콜의 과잉 섭취 또는 고지혈증 등으로 인하여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병리-생리학적 소견이 모두 밝혀지지 않은 질환이다.
급성 췌장염의 임상적 증상은 복통, 구역, 구토 등이 있으며, 신체 검사로 확인할 수 있는 증상에는 빈맥(100회 이상의 맥박)과 경미한 발열 등이 있다. 중증급성 췌장염의 경우 저혈압 및 쇼크에 가까운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급성 췌장염에 대하여 지금까지 밝혀진 기전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어떠한 트리거링 이벤트(triggering event)가 췌장 내에 있는 소화 전구효소들(digestive proenzymes)을 활성 상태로 변환시키고, 결국 막 파괴, 부종(edema), 장 출혈(intestinal hemorrhage) 및 괴사(necrosis)에 이르게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염증 반응이 수반되는데, 투과성 백혈구들은 결국 국부적인 췌장 손상은 물론 전신 징후에까지 이르게 한다. 염증 반응 과정에서는, 인터루킨-1β(interleukin-1β, IL-1β), 인터루킨-6(IL-6) 및 TNF-α(Tumor necrosis factor-α)와 같은 염증반응 촉진 사이토카인(cytokines), 즉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염증 반응의 매개체이며, 선상 세포의 괴사를 유발하고 국부적인 췌장 손상을 심화시킨다. 급성 췌장염 발병 환자의 약 25%가 위중한 상태에 이르며, 그 중 30~50%가 사망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비교적 높은 사망률에도 불구하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급성 췌장염에 대한 병리-생리학적 소견이 모두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유효적절한 치료법은 매우 부족하며, 위장관을 완전히 휴식시키고 정맥 주사를 이용하여 영양을 공급하는 것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급성 췌장염의 기전을 최대한 밝혀냄과 동시에 그에 따른 치료법 및 치료물질의 개발이 시급하다 하겠다.
한편, 본 출원인은 이전 연구에서, HMGB1의 발현을 저해하면 HMGB1의 활동에 따른 TNF 또는 ILs와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유발한 패혈증 또는 다기관 장기 부전 등의 침투성 염증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밝혔다. 침투성 염증 반응은 급성 췌장염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MGB1(고이동성 1군 단백질)은 핵 인자 및 분비 단백질로, 암포테린(amphoterin) 또는 HMG1이라고도 한다. 세포핵 내에서 HMGB1은 DNA에 결합하고 특정 DNA 표적에서 단백질 조립을 촉진하는 구조 염색질-결합 인자로서 기능하며, 세포 외부에서 HMGB1은 RAGE(최종 당화 산물)에 대한 수용체에 높은 친화성으로 결합하는 강력한 염증 매개물질로 작용한다.
HMGB1 유전자는 염색체 13q12에 위치하며, 21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HMGB1 단백질을 생산한다. HMGB1 단백질은 세 개의 도메인(domain)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A box와 B box는 DNA에 결합하는 부위이고, 음전하를 가진 C 터미너스(terminus)가 있다. HMGB1은 인체 내에서 흉선, 림프절, 고환, 태아의 간 등에서 높은 농도로 존재하며, 간세포와 뇌세포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세포에서는 주로 핵 내에 존재한다. HMGB1은 핵 내에서 뉴클레오솜(nucleosome)을 안정화시키고, 전사작용을 활성화시키며,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본 출원인은, 위와 같이 급성 췌장염의 기전을 일부 밝혀내었으며, 자초 추출물이 상기 급성 췌장염의 기전인 HMGB1의 발현을 저해하는 효과 및 급성 췌장염의 조직 단위 증상인 부종, 염증, 췌장 조직 손상 및 소화 효소 과분비로 인한 자가소화 등을 저해하는 효과를 규명한바, 자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사용된 천연물인 자초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자초(Lithospermi radix)는 지치과(Borraginaceae)에 속하는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의 근, 즉 뿌리로, 맛이 쓰고 성질이 차다.
자초의 성분은 acetylshikonin(아세틸시코닌), shikonin(시코닌), alkannan(알카난), isobutyryl-shikonin(이소부티릴-시코닌), β-dimethyl acryloylshikonin(베타-디메틸 아크리로일시코닌), β-hycroxy isovaloryl shikonin(베타-하이크록시 이소바로릴 시코닌), teracryl shikonin(테라크릴 시코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초는 항균, 해독 및 항종양 등의 작용을 하며, 홍역, 변비, 화상, 동상 및 여드름을 포함한 피부질환 등의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00832호에는 자초를 소재로 사용하여 제조한 피부 미용제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5740호에는 자초를 소재 중의 일부로 사용하여 제조한 관절염 치료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4659호에는 자초를 소재 중의 일부로 사용하여 제조한 염증성 장질환 치료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 기술의 소재는 자초로 본 발명과 동일한 점이 있으나, 상기 선행 기술의 목적은 피부 미용, 관절염 및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로, 본 발명의 목적인 췌장염의 치료와는 매우 상이하다 하겠다.
최선복 외 9명. LPS로 유도한 RAW 264.7 세포의 염증반응에서 자초(紫草)의 항염증 효과. 대한본초학회지 : 大韓本草學會. Vol.28, No.2, pp 67-73, 2013
권미화 외 2명. 紫草가 항알러지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 대한한의학회. Vol.26, No.3, pp 110-123, 2005
김선형 외 2명. 상엽(桑葉) 우방자(牛蒡子) 자초(紫草)가 항알러지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慶熙醫學 : 경희대학교 경희의료원. Vol.21, No.1, pp 71-79, 2005
본 발명의 목적은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췌장 조직 및 샘꽈리세포에서 급성 췌장염 발병을 저해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췌장 조직에서의 부종 및 염증, 췌장 조직에서의 혈청 아밀라제, 리파제 및 트립신의 활성, 췌장 조직에서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의 발현과, 췌장 조직에서의 MPO 침윤을 저해시키는 효능 및, 췌장 중량/체중의 비율(P.W/B.W)을 감소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샘꽈리세포에서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의 발현과, 샘꽈리세포에서의 MAPKs 통로의 활성과, 샘꽈리세포에서의 HMGB1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시키는 효능 및, 샘꽈리세포에서의 세포독성이 없으며, 추가적으로 폐 조직의 부종 및 염증 정도와, 폐 조직의 MPO 침윤을 저해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6~8주령 마우스 기준으로 복강 내에 1회 투여시 농도 100~500 mg/kg인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췌장 조직 및 샘꽈리세포에서 급성 췌장염 발병을 저해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췌장 조직에서의 부종 및 염증, 췌장 조직에서의 혈청 아밀라제, 리파제 및 트립신의 활성, 췌장 조직에서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의 발현과, 췌장 조직에서의 MPO 침윤을 저해시키는 효능 및, 췌장 중량/체중의 비율(P.W/B.W)을 감소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샘꽈리세포에서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의 발현과, 샘꽈리세포에서의 MAPKs 통로의 활성과, 샘꽈리세포에서의 HMGB1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시키는 효능 및, 샘꽈리세포에서의 세포독성이 없으며, 추가적으로 폐 조직의 부종 및 염증 정도와, 폐 조직의 MPO 침윤을 저해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6~8주령 마우스 기준으로 복강 내에 1회 투여시 농도 100~500 mg/kg인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인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은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한 건강기능식품은, 기능성 음료, 건강보조식품, 차, 과자류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여 환, 과립, 음료, 타블렛, 캅셀 등의 제형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각 제형을 제조하기 위하여 첨가제가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이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되기 위하여는 약제학적 분야에서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자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등과 혼합하여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또는 주사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 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부,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복강내 주사의 경우에는 자초 추출물의 양이 100~500 mg/kg이 되도록 한다. 또한 경구 투여의 경우에는 자초 추출물 양이 복강내 주사 양의 최소 10배 이상이 되도록 조절하여 투여하도록 한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물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가축용 사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각 경우에 가축 사료에서 허용되는 첨가제 또는 추가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은 췌장 조직 및 샘꽈리세포에서 급성 췌장염 발병을 저해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은 췌장 조직에서의 부종 및 염증, 췌장 조직에서의 혈청 아밀라제, 리파제 및 트립신의 활성, 췌장 조직에서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의 발현과, 췌장 조직에서의 MPO 침윤을 저해시키는 효능 및, 췌장 중량/체중의 비율(P.W/B.W)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은 샘꽈리세포에서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의 발현과, 샘꽈리세포에서의 MAPKs 통로의 활성과, 샘꽈리세포에서의 HMGB1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시키는 효능 및, 샘꽈리세포에서의 세포독성이 없으며, 추가적으로 폐 조직의 부종 및 염증 정도와, 폐 조직의 MPO 침윤을 저해시키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자초 추출물의 농도를 6~8주령 마우스 기준으로 복강 내에 1회 투여시 농도 100~500 mg/kg로 설정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자초 추출물을 농도별로 투여시 췌장 조직의 변화 양상을 400배율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자초 추출물을 농도별로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부종 발현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자초 추출물을 농도별로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염증 발현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폐 조직의 변화 양상을 400배율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5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폐 조직에서의 부종 발현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폐 조직에서의 염증 발현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MPO 침윤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폐 조직에서의 MPO 침윤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중량/체중의 비(P.W/B.W)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혈청에서의 아밀라제 활성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혈청에서의 리파제 활성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혈청에서의 트립신 활성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TNF-α의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IL-6의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췌장 조직에서의 IL-1β의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TNF-α의 발현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IL-6의 발현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IL-1β의 발현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HMGB1 발현의 변화 양상을 400배율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20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HMGB1 발현의 상대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HMGB1 발현의 변화 양상을 웨스턴 블롯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22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세포 독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3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TNF-α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RT-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4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6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RT-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5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1β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RT-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6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TNF-α 발현의 변화 양상을 RT-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7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6 발현의 변화 양상을 ELISA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8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1β 발현의 변화 양상을 ELISA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9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MAPKs 통로 활성 변화 양상을 웨스턴 블롯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30은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세포 독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1은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TNF-α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RT-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2는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6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RT-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3은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1β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RT-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4는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TNF-α 발현의 변화 양상을 ELISA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5는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6 발현의 변화 양상을 ELISA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6은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1β 발현의 변화 양상을 ELISA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7은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HMGB1 발현의 변화 양상을 웨스턴 블롯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38은 자초 추출물 및 시코닌을 HPLC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자초 추출물을 농도별로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부종 발현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자초 추출물을 농도별로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염증 발현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폐 조직의 변화 양상을 400배율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5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폐 조직에서의 부종 발현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폐 조직에서의 염증 발현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MPO 침윤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폐 조직에서의 MPO 침윤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중량/체중의 비(P.W/B.W)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혈청에서의 아밀라제 활성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혈청에서의 리파제 활성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혈청에서의 트립신 활성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TNF-α의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IL-6의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췌장 조직에서의 IL-1β의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TNF-α의 발현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IL-6의 발현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IL-1β의 발현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HMGB1 발현의 변화 양상을 400배율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20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HMGB1 발현의 상대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HMGB1 발현의 변화 양상을 웨스턴 블롯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22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세포 독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3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TNF-α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RT-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4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6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RT-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5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1β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RT-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6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TNF-α 발현의 변화 양상을 RT-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7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6 발현의 변화 양상을 ELISA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8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1β 발현의 변화 양상을 ELISA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9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MAPKs 통로 활성 변화 양상을 웨스턴 블롯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30은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세포 독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1은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TNF-α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RT-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2는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6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RT-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3은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1β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RT-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4는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TNF-α 발현의 변화 양상을 ELISA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5는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6 발현의 변화 양상을 ELISA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6은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1β 발현의 변화 양상을 ELISA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7은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HMGB1 발현의 변화 양상을 웨스턴 블롯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38은 자초 추출물 및 시코닌을 HPLC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참조예 및 도면에 기술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조예
1.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급성 췌장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것으로서, 유효성분으로 자초(Lithospermi radix) 추출물을 함유하도록 한다.
자초의 추출 방법에는 용매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마이크로 웨이브 공정 추출법, 퍼콜레이션 추출법 등의 다양한 추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추출 시간 역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2가지 이상의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2차 이상 추출할 수 있다.
추출 용매 역시 다양한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추출 가능한 용매에는 물, 에탄올, 메탄올, 지방유, 글리세린, 마유, 플로필렌글리콜, 에테르, 클로르포름, 석유에테르, 헥산, 벤젠,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분배계수가 다른 2가지 이상의 용매를 동시에 사용하여 추출할 수도 있으며, 2가지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2차 이상 추출할 수 있다.
설계 조건에 따라, 자초를 추출한 후 추출액을 건조하여 분쇄하고 용매와 혼합할 수 있으며, 추출, 건조 및 분쇄 등 공정의 전후를 변경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농축 등의 과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농축 방법에는 증발 농축, 건조 농축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건조 방법에는 양건조법, 음건조법, 동결건조법, 열풍건조법 등의 다양한 건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설계 조건에 따라, 자초 분말과 용매의 중량비는 임의로 조정될 수 있으며, 자초를 건조하는 방법 및 자초 분말을 용해할 용매 또한 임의로 조정될 수 있다. 용해 용매의 종류는 상기 추출 용매와 동일할 수 있다.
제조예
2.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제제
설계 조건에 따라, 제조예 1을 이용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들과 혼합하여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되기 위하여는 약제학적 분야에서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자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체, 희석제 등과 혼합하여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또는 주사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물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제조예
3.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제조예 1 또는 제조예 2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성물에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첨가하여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건강 기능식품의 제조시 추가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은, 기능성 음료, 각종 식품류, 건강보조식품, 차, 과자류,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급성 췌장염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1 내지 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의 필수 성분으로서 자초를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통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일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채소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험예
1.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의 조직학적 분석
실험예를 기재하기에 앞서, 이하 모든 실험예에 사용된 자초 추출물은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2에 기재된 사항으로 제조한 것임을 밝혀둔다.
1. 실험 준비 및 전처리
1) 실험동물
모든 실험은 원광대학교 동물실험위원회에 의해 승인된 규정을 준수하여 수행되었다.
C57BL/6 6~8주령 마우스(mouse)의 암컷(몸무게 15~20g의 건강한 상태)을 (주)오리엔트바이오(성남, 경기도,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마우스는 온도 23±2℃(mean±SD) 및 조명시간 12시간(오전 6시~오후 6시)의 환경 조절 사육 상자에서 7일간 사육되었으며, 이 적응기간 동안은 실험동물용 고형사료와 정수시스템을 이용한 물(tap water)을 자유 섭취하도록 하였다.
마우스는 인수시 및 적응기간 동안 일반증상의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급성 췌장염을 유도하기 전 18시간 동안 단식하였다.
2) 실험 시약
아비딘-퍼옥시다제(Avidin-peroxidase), 세루레인, 트리스(Tris)-HCl, NaCl, 헥사데실트리메틸 암모늄 브로마이드(hexadecyltrimethyl ammonium bromide) 및 TMB(tetramethylbenzidine, 테트라메틸벤지딘)는 시그마(세인트 루이스, MO, 미국)에서 구입하였다.
TRIzol 약물 및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키트는 인비트로젠(칼스버드, CA, 미국)에서 구입하였다.
Iκ-Bα(inhibitory kappa B alpha), β-액틴(actin) 항체는 산타 크루즈 바이오테크놀로지(산타 크루즈, CA, 미국)에서 구입하였다.
안티 HMGB-1 및 포스포-스페시픽(phospho-specific) MAPK 항체는 셀 시그널링 테크놀로지(비벌리, MA, 미국)에서 구입하였다.
3) 급성 췌장염 유발
① 급성 췌장염을 유발시키기 위하여 세루레인 50 ug/kg을 1시간 단위로 6번 복강 주사하였다. 정상군은 세린(saline)만을 1시간 단위로 6번 주사하였다.
② 자초 투여군에는 첫 번째 세루레인 주사 1시간 전에 자초 추출물 100, 250 및 500 mg/kg을 피하 주사하였다.
③ 혈청 아밀라제, 리파제 및 사이토카인 레벨을 고려하여 혈액 샘플을 선정하였다.
④ 세루레인을 마지막으로 주사한 지 6시간 후에 마우스의 복강을 개복하여 혈액을 채취하고 췌장 및 폐를 적출하였다.
⑤ 적출된 췌장 및 폐는 포르말린으로 고정되어 -70 ℃에서 보관되었다.
여기에서, 세루레인으로 유도한 급성 췌장염 모델은 인간의 급성 췌장염에서 볼 수 있는 병리 조직학적 소견에 대한 재현성이 뛰어나고 경제적이어서, 급성 췌장염의 세포 병리 현상 및 소화효소의 자가 활성화 과정을 연구하는데 적합한 모델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세루레인을 1시간 간격으로 6번 투여하는 이유는, 세루레인이 콜레시스토키닌 아날로그(cholecystokinin analogue)로서 췌장의 수용체(receptor)를 통해 염증을 발생시키는 기전에 근거하고, 또한 세루레인의 반감기가 굉장히 짧기 때문이다.
또한 복강 내 주사를 통하여 약물을 주입하는 이유는, 경구 투여의 경우 위 및 소장에서 흡수된 약물이 문맥을 통하여 간으로 가서 일단 대사(First-Pass Metabolism)되므로 그만큼 약물작용이 약하게 되고 흡수가 일정치 않기 때문이다.
즉 간에서의 대사로 인한 생체이용률을 감안할 때, 경구투여는 보다 많은 용량을 사용하여야 하며, 작용 출현 시간이 늦어진다.
반면 복강 내 주사는 복막의 흡수 면적이 넓어 약물을 주사하면 흡수가 빠르고 작용이 빨리 나타난다. 또한 주사한 양이 모두 흡수되기 때문에 경구 투여 때보다 약리 작용의 정확성이 있고 주사된 약물은 내피 세포의 천공(pore)을 통해서 자유롭게 혈관 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 즉 복강 내 주사는 반응 발현의 신속도와 용량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선택되었다.
이하 실험예(2~10)에서, 실험 준비 및 전처리 과정은 본 실험예 1에 기재된 사항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됨을 밝혀둔다.
2. 실험 과정
급성 췌장염 발병시 췌장에는 부종 및 염증이 발생하므로 췌장의 부종 및 염증의 발생 정도가 급성 췌장염을 진단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조직학적 분석시, 조직 사이의 간격 증가의 여부를 척도로 하여 부종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조직 사이의 염증성 세포들의 침윤으로 염증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세루레인으로 급성 췌장염을 유발한 마우스에 자초 추출물을 처리한 후, 실험동물의 전체 췌장을 검사하되, 부종 및 염증(edema) 정도에 대해서는 반정량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정상군은 세린만을 처리한 마우스로 설정하였다.
각 샘플에 대하여 최소 100필드(fields) 이상을 포함하는 단면을 분석하고, 췌장 조직의 부종 및 염증의 존재에 기초하여 0~3(0: 정상, 3: 중증)의 범위에서 점수화하였다.
3. 실험 결과
도 1은 자초 추출물을 농도별로 투여시 췌장 조직의 변화 양상을 400배율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자초 추출물을 농도별로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부종 발현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자초 추출물을 농도별로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염증 발현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2 및 3을 토대로 췌장 조직의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 세린만 투여한 정상군에서는 부종 및 염증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세루레인 투여군에서는 부종 및 염증이 확연히 진행되었다.
또한 자초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자초 추출물의 처리 농도를 증가시킬 수록 부종 및 염증의 진행이 저해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자초 추출물 500 mg/kg 투여군에서는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조직학적으로 정상군과 유사한 정도로 부종 및 염증의 진행이 저해되었으며, 질병 중증도9Severity score0 그래프로 비교시 부종은 약 1/2, 염증은 약 7/30으로 감소하였다.
즉, 자초 추출물 100, 250 및 500 mg/kg 투여군에서는 급성 췌장염 저해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자초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급성 췌장염을 저해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실험예
2. 자초 추출물 투여시 폐 조직의 조직학적 분석
1. 실험 과정
급성 췌장염이 진행되면 폐와 같은 기타 장기에도 전이가 되어 호흡 부전과 같은 합병증을 야기한다. 따라서 폐 조직의 부종 및 염증의 발생 정도도 급성 췌장염을 진단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폐의 조직학적 분석 과정은 실험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되었다.
2. 실험 결과
도 4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폐 조직의 변화 양상을 400배율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5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폐 조직에서의 부종 발현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폐 조직에서의 염증 발현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5 및 6을 토대로 폐 조직의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 세린만 투여한 정상군에서는 부종 및 염증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세루레인 투여군에서는 부종 및 염증이 확연히 진행되었다.
또한 자초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자초 추출물의 처리 농도를 증가시킬 수록 폐 조직에서의 부종 및 염증의 진행이 저해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자초 추출물 500 mg/kg 투여군에서는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조직학적으로 정상군과 유사한 정도로 부종 및 염증의 진행이 저해되었으며, 질병 중증도(Severity score) 그래프로 비교시 부종은 약 1/6, 염증 역시 약 1/6으로 감소하였다.
즉, 자초 추출물 100, 250 및 500 mg/kg 투여군에서는 급성 췌장염 저해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자초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급성 췌장염을 저해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실험예
3.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MPO
침윤 저해 효능
1. 실험 과정
호중구는 순환하는 백혈구의 50~70%를 차지하며 염증 발현시 제일 먼저 도착하는 혈구로서 기본 기능은 탐식 작용이다. 이러한 호중구의 침윤(neutrophil infiltration)은 염증의 지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조직의 MPO 활성을 측정하여 검사할 수 있다.
또한, 호중구의 침윤은 샘꽈리세포의 괴사(necrosis)를 증가시키고 세포자멸사(apoptosis)를 감소시킴으로서 급성 췌장염의 악화에 영향을 미쳐 호중구를 감소시킨 후 급성 췌장염을 유발한 실험동물에서는 급성 췌장염의 중등도가 감소한다.
1) MPO 분석
췌장 조직의 MPO(myeloperoxidase, 미엘로퍼옥시다제) 활성도를 측정하여 췌장에서 호중구 침윤을 검사하였다.
① pH 7.4의 20 mmol/L 포스페이트 버퍼(phosphate buffer)에 췌장 조직을 녹이고 균질화하여, 4 ℃에서 10분간 10,000 rpm으로 원심분리한다.
② 10분간 원심분리된 췌장 조직을 0.5% HTAB(hexadecyl trimethyl ammonium bromide, 헥사데실 트리메틸 암모늄 브로마이드)용액이 섞인 pH 6.0의 50 mmol/L 포스페이트 버퍼에 담가 4 ℃에서 5분간 10,000 rpm 원심분리하였다.
③ 5분간 원심분리된 췌장 조직을 1.6 mmol/L 테트라메틸벤지딘(tetramethylbenzidine), pH 5.4의 80 mmol/L 소듐 포스페이트 버퍼(sodium phosphate buffer), 그리고 0.3 mmol/L의 하이드로즌 퍼옥시다제(peroxidase)에 주입하여 재반응한다.
④ 췌장 조직이 담긴 테트라메틸벤지딘, 소듐 포스페이트 버퍼, 하이드로즌 퍼옥시다제의 혼합물을 110초간 37 ℃에서 배양한다.
⑤ 췌장 조직이 담긴 테트라메틸벤지딘, 소듐 포스페이트 버퍼, 하이드로즌 퍼옥시다제의 혼합물에 2 mol/L의 황산을 처리하고, 리더(reader)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 통계 분석
정상군과 실험군의 차이를 ANOVA(two-way analysis of variance) 방법으로 검정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Mean±SE로 표시하였다.
2. 실험 결과
도 7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MPO 침윤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측정 결과, 세린만 투여한 정상군과 세루레인 투여군을 비교했을시 세루레인 투여군에서의 MPO 침윤이 확연히 증가하였다.
자초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MPO 침윤이 점점 저해되었으며, 자초 추출물의 투여 농도를 100, 250 및 500 mg/kg로 증가시킬 수록 저해 효과는 증가하였다. 특히 자초 추출물 500 mg/kg 투여군에서는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MPO 활성 그래프로 비교시 췌장의 MPO 활성은 약 6/11, 폐의 MPO 활성 역시 약 6/11로 감소하였다.
즉, 자초 추출물 100, 250 및 500 mg/kg 투여군에서는 급성 췌장염 저해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자초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급성 췌장염을 저해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실험예
4.
자초 추출물 투여시 폐 조직에서의
MPO
침윤 저해 효능
1. 실험 과정
실험예 3과 동일한 과정으로 시행되었다. 단, 실험 대상은 폐 조직으로 대체되었다.
2. 실험 결과
도 8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폐 조직에서의 MPO 침윤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측정 결과, 세린만 투여한 정상군과 세루레인 투여군을 비교했을시 세루레인 투여군에서의 MPO 침윤이 확연히 증가하였다.
자초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MPO 침윤이 점점 저해되었으며, 자초 추출물의 투여 농도를 100, 250 및 500 mg/kg로 증가시킬 수록 저해 효과는 증가하였다. 특히 자초 추출물 500 mg/kg 투여군에서는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MPO 활성 그래프로 비교시 폐의 MPO 활성은 약 6/11로 감소하였다.
즉, 자초 추출물 100, 250 및 500 mg/kg 투여군에서는 급성 췌장염 저해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자초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급성 췌장염을 저해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실험예
5.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중량/체중 비율 감소 효능
1. 실험 과정
급성 췌장염 발병시 췌장은 염증으로 인해 부종이 발생하여 췌장의 중량이 증가하는 한편, 체중은 감소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췌장 중량/체중의 비율(P.W/B.W)는 증가하게 되며, 췌장 중량과 체중의 비율은 급성 췌장염 발병 검진시 중요한 판단 지표가 된다.
1) 췌장 중량/체중 비율 측정
세루레인을 최초로 투여한 지 11시간 후에 췌장을 적출한 뒤, P.W/B.W(Pancreatic weight/Body weight, 췌장 중량/체중) 계산식을 통하여 체중에 대한 췌장의 중량 비율을 측정하였다.
2) 통계 분석
실험예 3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하였다.
2. 실험 결과
도 9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중량/체중의 비(P.W/B.W)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측정 결과, 세루레인 투여군은 세린만 투여한 정상군과 비교하여, P.W/B.W가 약 2배 가량 증가하였다.
자초 추출물 투여군의 P.W/B.W는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자초 추출물 100, 250 및 500 mg/kg으로 용량을 증가시킬 수록 P.W/B.W의 감소 효과 또한 증가하였다. 특히 자초 추출물 500 mg/kg 투여군에서는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그래프로 비교시 P.W/B.W가 약 2/3으로 감소하였다.
즉, 자초 추출물 100, 250 및 500 mg/kg 투여군에서는 급성 췌장염 저해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자초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급성 췌장염을 저해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실험예
6. 자초 추출물 투여시 혈청 내 아밀라제 활성 저해 효능
1. 실험 과정
급성 췌장염이 발생하면 검사실 소견상으로 혈청 아밀라제(amylase) 혹은 리파제(lipase)가 정상치의 3배 이상 증가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는 임상에서의 실제적인 초기 진단에 있어 아주 중요한 지표로서 두 가지 검사를 동시에 시행할 경우에 민감도와 특이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두 가지를 병행 측정하였다.
1) 혈청 내 아밀라제의 정량 및 활성 측정
① 세루레인을 마지막으로 주사한 지 6시간 후에 마우스를 마취시켰다.
② 마취된 마우스에 케타민(ketamine)을 80 mg/kg, 자일라진(xylazine)을 4 mg/kg 복강 주사하였다.
③ 시린지(Syringe)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아밀라제(amylase)를 분리된 혈청에서 정량하였다. 혈청 아밀라제의 측정은 바이오어세이 시스템(CA, 미국)의 측정 키트로 하였다.
2) 통계 분석
실험예 3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하였다.
2. 실험 결과
도 10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혈청에서의 아밀라제 활성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험 결과, 세루레인 투여군에서는 세린만 투여한 정상군과 비교하여 혈청 아밀라제의 활성이 약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자초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하여, 혈청 아밀라제의 활성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자초 추출물의 투여 농도를 100, 250 및 500 mg/kg로 증가시킬 수록 혈청 아밀라제 활성의 저해 효과 또한 증가하였다. 특히 자초 추출물 500 mg/kg 투여군에서는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그래프로 비교시 아밀라제 활성이 약 1/2로 감소하였다.
즉, 자초 추출물 100, 250 및 500 mg/kg 투여군에서는 급성 췌장염 저해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자초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급성 췌장염을 저해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실험예
7. 자초 추출물 투여시 혈청 내
리파제
활성 저해 효능
1. 실험 과정
1) 혈청 내 리파제 정량 및 활성 측정
① 세루레인을 마지막으로 주사한 지 6시간 후에 마우스를 마취시켰다.
② 마취된 마우스에 케타민(ketamine)을 80 mg/kg, 자일라진(xylazine)을 4 mg/kg 복강 주사하였다.
③ 시린지(Syringe)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리파 제(lipase)를 분리된 혈청에서 정량하였다. 혈청 리파제의 측정은 바이오어세이 시스템(CA, 미국)의 측정 키트로 하였다.
2) 통계 분석
실험예 3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하였다.
2. 실험 결과
도 11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혈청에서의 리파제 활성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측정 결과, 세루레인 투여군은 세린만 투여한 정상군과 비교하여 혈청 리파제 활성이 약 3배 가량 증가하였다.
자초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하여, 혈청 리파제의 활성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자초 추출물의 투여 농도를 100, 250 및 500 mg/kg로 증가시킬 수록 혈청 리파제 활성의 저해 효과 또한 증가하였다. 특히 자초 추출물 500 mg/kg 투여군에서는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그래프로 비교시 리파제 활성이 약 3/5로 감소하였다.
즉, 자초 추출물 100, 250 및 500 mg/kg 투여군에서는 급성 췌장염 저해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자초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급성 췌장염을 저해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실험예
8. 자초 추출물 투여시
혈청 내 트립신 활성 저해 효능
1. 실험 과정
1) 혈청 내 트립신 정량 및 활성 측정
① 세루레인을 마지막으로 주사한 지 6시간 후에 마우스를 마취시켰다.
② 마취된 마우스에 케타민(ketamine)을 80 mg/kg, 자일라진(xylazine)을 4 mg/kg 복강 주사하였다.
③ 시린지(Syringe)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혈청 트립신을 정량하였다.
혈청 트립신의 정량 및 활성 측정은 Boc-Glu(OBzl)-Ala-Arg-AMC-HCl(바헴, 하이델베르그, 독일)을 이용하여 기질에 따라 형광분석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정제된 트립신을 이용하여 생성한 표준 곡선의 기울기를 토대로 정량되었다.
2) 통계 분석
실험예 3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하였다.
2. 실험 결과
도 12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혈청에서의 트립신 활성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측정 결과, 세루레인 투여군은 세린만 투여한 정상군과 비교하여 혈청 트립신 활성이 약 3배 가량 증가하였다.
자초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하여, 혈청 트립신의 활성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자초 추출물의 투여 농도를 100, 250 및 500 mg/kg로 증가시킬 수록 혈청 트립신 활성의 저해 효과 또한 증가하였다. 특히 자초 추출물 500 mg/kg 투여군에서는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그래프로 비교시 트립신 활성은 약 1/5로 감소하였다.
즉, 자초 추출물 100, 250 및 500 mg/kg 투여군에서는 급성 췌장염 저해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자초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급성 췌장염을 저해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실험예
9.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TNF
-α,
IL
-6 및
IL
-1β mRNA의 발현 저해 효능
1. 실험 과정
급성 췌장염에서 염증 세포의 활성화 기전에는 TNF-α, IL-6 및 IL-1β가 대표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들은 조직에서 염증을 매개하는데, 선상 세포의 괴사를 유발하고 국부적인 췌장 손상을 심화시킨다고 보고되어 있다.
1) 췌장 내 TNF-α, IL-6 및 IL-1β의 mRNA 발현 측정
마우스 췌장 조직에서 mRNA의 전사는 역전사-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으로 분석하였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 RNeasy 키트(퀴아젠, 발렌시아, CA, 미국)를 이용하여 췌장으로부터 총 RNA를 분리한 후, 슈퍼스크립트(SuperScript) II RT (인비트로젠, 칼스버드, CA, 미국)를 이용하여 역전사 반응을 수행하였다.
② 7700 시퀀스 디텍션 시스템(Sequence Detection System)(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스, 포스터 시티, CA, 미국)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설명서에 따라 택맨(TaqMan) 정량 RT-PCR을 수행하였다.
③ 각 샘플에 대하여, 관심있는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하기 위하여 테스트 반응 및 역전사 효소가 없는 대조 반응을 세 번 반복하였다.
④ 대조 반응은 '하우스 키핑' HPRT(hypoxanthine-guanine phosphoribosyltransferase, 하이폭산틴-구아닌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레이즈) mRNA로 정규화하였다. 임의의 발현 유닛은 관심 유전자의 발현량을 리보좀 단백질 HPRT mRNA 발현량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다중 실시간 택맨 PCR을 위한 전방향, 역방향 및 프로브 프라이머는 다음과 같다.
TNF-α :
전방향 : 5′-TCT CTT CAA GGG ACA AGG CTG-3′
역방향 : 5′-ATA GCA AAT CGG CTG ACG GT-3′;
프로브 : 5′-CCC GAC TAC GTG CTC CTC ACC CA-3′
IL-6 :
전방향 : 5' -TTC ATT CTC TTT GCT CTT GAA TTA GA-3′
역방향 : 5' -GTC TGA CCT TTA GCT TCA AAT CCT-3′
유니버설 프로브, M20572.1-Roche Applied Science,
IL-1β :
전방향 : 5′-TTG ACG GAC CCC AAA AGA T-3′
역방향 : 5′-GAA GCT GGA TGC TCT CAT CTG-3′
유니버설 프로브, M15131.1-Roche Applied Science,
2) 통계 분석
실험예 3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하였다.
2. 실험 결과
도 13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TNF-α의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IL-6의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췌장 조직에서의 IL-1β의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측정 결과, 세루레인 투여군은 세린만 투여한 정상군과 비교하여 TNF-α, IL-6 및 IL-1β의 mRNA 발현이 약 8배 가량 증가하였다.
자초 추출물 투여군의 TNF-α, IL-6 및 IL-1β mRNA 발현은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자초 추출물 100, 250 및 500 mg/kg으로 용량을 증가시킬 수록 TNF-α, IL-6 및 IL-1β mRNA 발현의 저해 효과 또한 증가하였다. 특히 자초 추출물 500 mg/kg 투여군에서는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TNF-α mRNA 발현은 약 1/4, IL-6 mRNA 발현은 약 2/9, IL-1β mRNA 발현은 약 3/8로 감소하였다.
즉, 자초 추출물 100, 250 및 500 mg/kg 투여군에서는 급성 췌장염 저해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자초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급성 췌장염을 저해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실험예
10.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TNF
-α,
IL
-6 및
IL
-1β 발현 저해 효능
1. 실험 과정
1) ELISA 수행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엔자임-링크드 이뮤노솔번트 어세이)는 효소면역분석법의 총칭이며, 효소를 표식자로 한 항원항체반응을 이용하여 항원량 또는 항체량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급성 췌장염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이용된다.
① 안티-마우스 TNF-α, IL-6 및 IL-1β 단클론 항체(1.0 ㎍/mL)를 4℃에서 오버나이트(overnight) 배양한 후 pH 7.4의 PBS(phosphate-buffered saline)를 주입하였다.
②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인큐베이트된 안티-마우스(anti-mouse) TNF-α, IL-6 및 IL-1β 단클론 항체를 100 uL씩 분배하였다.
③ 100uL씩 분배한 TNF-α, IL-6 및 IL-1β 단클론 항체가 담긴 플레이트를 0.05% 트윈(Tween)-20이 들어간 PBS와 10% FBS(fetal bovine serum)가 들어간 PBS로 2시간 동안 세척하였다.
④ 추가 세척 후, 단클론 항체 TNF-α, IL-6 및 IL-1β, 혈청 및 샘꽈리세포 상청액을 플레이트에 추가하고 3시간 동안 상온에서 배양하였다.
⑤ 배양 후, 플레이트를 세척하여 바이오티닐레이트(biotinylate)된 단클론 항체 TNF-α, IL-6 및 IL-1β 0.2 ㎍/mL 항체를 주입하였다.
⑥ 주입된 단클론 항체 TNF-α, IL-6 및 IL-1β를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배양하였다.
⑦ 플레이트를 세척하고, TMB 기질을 추가한 후 재세척하기 전에 아비딘-퍼옥시다제(Avidin-peroxidase)를 더하여 30분간 상온에서 배양하였다.
⑧ 자동 마이크로플레이트(microplate)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표준 곡선은 재조합 IL-1β 및 TNF-α의 연속 희석을 이용함으로써 각 분석 플레이트에서 수득하였다.
2) 통계 분석
실험예 3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하였다.
2. 실험 결과
도 16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TNF-α의 발현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IL-6의 발현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IL-1β의 발현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측정 결과, 세루레인 투여군은 세린만 투여한 정상군과 비교하여 TNF-α의 약 2.5배, IL-6의 발현이 약 2배, IL-1β의 발현 역시 약 2배 가량 증가하였다.
자초 추출물 투여군의 TNF-α, IL-6 및 IL-1β 발현은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자초 추출물 100, 250 및 500 mg/kg으로 용량을 증가시킬 수록 TNF-α, IL-6 및 IL-1β 발현의 저해 효과 또한 증가하였다. 특히 자초 추출물 500 mg/kg 투여군에서는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TNF-α 발현은 약 2/3, IL-6 발현은 약 2/3, IL-1β 발현은 약 7/11로 감소하였다.
즉, 자초 추출물 100, 250 및 500 mg/kg 투여군에서는 급성 췌장염 저해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자초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급성 췌장염을 저해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실험예
11.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HMGB1
발현 저해 효능
1. 실험 과정
본 실험에서는 IHC 염색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IHC 염색 방법은 특히 HMGB-1 발현의 양상을 DAB 발색(췌장 조직 세포가 갈변하는 반응)으로 판단할 수 있어 발현의 시각적 표현화에 있어 장점을 가지고 있다.
1) 조직학적 관찰 및 분석
① 세린만 투여한 정상군, 세루레인 투여군 및 자초 추출물 500 mg/kg 투여군의 췌장 조직을 적출하고 파라핀 용액을 사용하여 고정시킨 후, 직경 4 mm로 잘랐다.
② 잘린 췌장 조직에 일반적인 조직 표본 제작 방법으로 헤마톡시린(Hematoxylin) 및 에오신(Eosin) 염색, 즉 IHC(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수행하였다. IHC 염색은 DAB IHC 키트(DAKO 시토메이션, 덴마크)로 수행되었다.
③ 상대 강도(relative intensity)는 레이카 마이크로스코프 소프트웨어(Leica microscope software)(웨츨러, 독일)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2)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① 일반적인 방법으로 세린만 투여한 정상군, 세루레인 투여군 및 자초 추출물 500 mg/kg 투여군에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였다.
2. 실험 결과
도 19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HMGB1 발현의 변화 양상을 400배율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20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HMGB1 발현의 상대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췌장 조직에서의 HMGB1 발현의 변화 양상을 웨스턴 블롯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사진 및 그래프를 토대로 HMGB1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세린만 투여한 정상군은 췌장 조직 내 폐포 사이의 HMGB1의 발현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세루레인 만 투여한 세루레인 투여군에서는 HMGB1의 발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세루레인 투여군은 조직학적으로 관찰시 정상군과 비교하여 췌장 조직 세포의 색이 갈변하였으며, 상대 강도 그래프 측정시 HMGB1의 발현이 약 10배 가량 증가하였다.
자초 추출물 투여군의 HMGB1 발현은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자초 추출물 100, 250 및 500 mg/kg으로 투여 농도를 증가시킬 수록 HMGB1 발현의 저해 효과 또한 증가하였다.
특히 자초 추출물 500 mg/kg 투여군에서는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조직학적으로 정상군과 유사한 정도로 HMGB1 발현이 저해되어, 췌장 조직 세포 색이 본래 H&G 염색시의 췌장 조직 세포 색인 보라색인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상대 강도 그래프 측정시 HMGB1의 발현은 세루레인 투여군의 약 1/5로 감소하였다
즉, 자초 추출물 100, 250 및 500 mg/kg 투여군에서는 급성 췌장염 저해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자초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급성 췌장염을 저해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실험예
12.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세포 독성
1. 실험 준비
이하 실험예(12~16)에서, 실험 준비 및 전처리 과정은 본 실험예 11에 기재된 사항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됨을 밝혀둔다.
1) 샘꽈리세포 분리
① 췌장 조직을 가위로 잘게 잘라 용해제(조성: 120 mM NaCl, 20 mM HEPES, 5 mM KCl, 1 mM MgCl2, 1 mM CaCl2, 10 mM sodium pyruvate, 10 mM ascorbate, 10 mM glucose, 0.1% BSA, 0.01% soybean trypsinogen inhibitor 및 150 U collagenase)에 주입하여 15분간 정치하였다.
② 췌장 조직을 지속적으로 흔들고 37℃의 항온 수조 안에서 100% O2를 투여한 후 신선한 분리배지 안에서 세척하였다.
③ 콜라게네이즈(collaganase) 다이제스쳔(digestion) 후 샘꽈리세포를 파이페팅(pipetting)하였다.
④ 분산된 샘꽈리세포를 150 um의 나일론 망에 거르고, 90분간 720 rpm에서 3번 원심분리하였다.
⑤ 웨이마우스 배지(인비트로젠)를 이용하여 원심분리된 샘꽈리세포를 재부유시켰다.
⑥ 재부유시킨 샘꽈리세포를 95% O2 및 5% CO2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 실험 과정
1) MTT 어세이 수행
① 세포 독성 측정은 자주색 포르마잔 결정 안에서 전환될 생존한 세포를 기반으로 하여 색으로 값을 수치화하는 칼라러메트릭(colorimetric) 테크닉 기법을 사용하는 MTT 어세이(assay)로 수행되었다. MTT 어세이에서는 MTT{tetrazolium compound 3-(4,5-dimethylthiazo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약물을 사용하였다.
② MTT 5 mg/mL를 크렙스 헨제레이트 버퍼(Kreb's-Henseleit buffer, 115 mM NaCl, 3.6 mM KCl, 1.3 mM KH2PO4, 25 mM NaHCO3, 1 M CaCl2 및 1 M MgCl2)에 용해하고, 세린, 세루레인, 자초 추출물 100, 250 및 500 mg/ml을 투여한 각 군에 MTT를 각각 50 μl씩 첨가하였다.
③ 30분간 37 ℃에서 배양한 후, 현탁액을 제거하고 포르마잔 결정을 200L 디메틸 설폭사이드에 용해하였다.
④ 각각의 부분 표본을 2벌의 96-웰 플레이트(well-plate)의 웰에서 배양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ELISA 리더(microplate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분석하였다.
⑤ 분석 결과 독자 생존 가능한 세포의 비율을 %로 나타내었다.
2) 통계 분석
실험예 3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하였다.
2. 실험 결과
도 22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세포 독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험 결과, 세린만 투여한 정상군에서는 샘꽈리세포의 생존율이 100%였으나, 세루레인 투여군에서는 60%까지 감소하였다.
자초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샘꽈리세포의 생존율이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자초 추출물의 투여 농도를 증가시킬 수록 샘꽈리세포의 생존율 또한 증가하며, 특히 자초 추출물 500 mg/kg 투여군에서는 생존율이 100%에 육박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자초 추출물 100, 250 및 500 mg/kg 투여군에서는 급성 췌장염 저해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자초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급성 췌장염을 저해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실험예
13.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TNF
-α,
IL
-6 및
IL
-1β mRNA 발현 저해 효능
1. 실험 과정
실험예 9에 기재된 사항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되었다. 단, 실험 대상은 샘
꽈리세포로 대체되었다.
2. 실험 결과
도 23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TNF-α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RT-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4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6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RT-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5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1β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RT-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측정 결과, 세루레인 투여군에서는 세린만 투여한 정상군과 비교하여, 샘꽈리세포 TNF-α mRNA의 발현은 약 6배 가량, IL-6 mRNA의 발현은 약 6.5배 가량, IL-1β mRNA의 발현은 약 8.5배 가량 증가하였다.
자초 추출물 투여군의 샘꽈리세포 TNF-α, IL-6 및 IL-1β mRNA의 발현은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자초 추출물 100, 250 및 500 mg/kg으로 용량을 증가시킬 수록 TNF-α, IL-6 및 IL-1β mRNA 발현의 저해 효과 또한 증가하였다.
특히 자초 추출물 500 mg/kg 투여군에서는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TNF-α mRNA 발현은 약 1/2, IL-6 mRNA 발현은 약 2/3, IL-1β mRNA 발현은 약 1/2로 감소하였다.
즉, 자초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급성 췌장염 저해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자초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급성 췌장염을 저해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실험예
14.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TNF
-α,
IL
-6 및
IL
-1β 발현 저해 효능
1. 실험 과정
실험예 10에 기재된 사항과 동일하게 수행되었다. 단, 실험 대상은 샘꽈리세포로 대체되었다.
2. 실험 결과
도 26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TNF-α 발현의 변화 양상을 RT-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7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6 발현의 변화 양상을 ELISA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8은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1β 발현의 변화 양상을 ELISA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측정 결과, 세루레인 투여군에서는 세린만 투여한 정상군과 비교하여, TNF-α의 발현은 약 3배 가량, IL-6의 발현은 약 6.5배 가량, IL-1β의 발현은 약 7배 가량 증가하였다.
자초 추출물 투여군의 샘꽈리세포 TNF-α, IL-6 및 IL-1β의 발현은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자초 추출물 100, 250 및 500 mg/kg으로 용량을 증가시킬 수록 샘꽈리세포 TNF-α, IL-6 및 IL-1β 발현의 저해 효과 또한 증가하였다.
특히 자초 추출물 500 mg/kg 투여군에서는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TNF-α 발현은 약 1/4, IL-6 발현은 약 2/3, IL-1β 발현은 약 1/4로 감소하였다.
즉, 자초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샘꽈리세포 TNF-α, IL-6 및 IL-1β 발현 저해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자초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급성 췌장염을 저해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실험예
15.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MAPKs
통로 활성 저해 효능
1. 실험 과정
MAPKs(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통로는 선천 면역과 획득 면역에서 모두 중요한 조절 인자로 작용하고, 세포 안팎의 변화에 대해 폭넓게 반응하여, 다른 신호 전달 통로와 상호 작용하여 세포내 유전자 발현과 세포 기능 조절에 기여한다.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조절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NF-kB를 저해하는 기능을 하는 Iκ-Ba(inhibitory kappa-Ba)와도 연관이 있다.
포유류에는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JNK(c-jun NH2-terminal kinase), p38의 3가지 유형의 MAPKs 통로가 있다.
또한, 염증 반응이 끝난 후에는 세포가 사멸하는데, 세포가 사멸하는 방식에 따라 급성 췌장염의 중등도가 달라진다. 급성 췌장염의 중등도는 세포의 괴사 정도에 비례하고 세포자멸사의 정도에 반비례한다. 그러므로 급성 췌장염 발병시 세포의 괴사를 감소시키거나 세포자멸사를 증가시킨다면 급성 췌장염의 중등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ERK, JNK 및 p38은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단백이기도 하며, 이들은 길항 작용을 하므로 세포자멸사가 원활히 수행되지 않을 때에는 증가한다.
① 췌장 조직을 균질화한 후, 62.5 mM 트리스(Tris)-HCl, pH 6.8의 2% SDS(Sodium dodecyl sulfate,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20% 글리세롤, 10% 2-메르캅토에탄올(mercaptoethanol)로 만든 버퍼에 췌장 조직을 주입하여 끓였다.
② 세포 용해물 내의 단백질을 10% SDS-PAGE로 분리하여 니트로셀룰로스 막(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옮겼다.
③ 단백질을 니트로셀룰로스 막으로 옮긴 후, 막은 상온에서 PBST(PBS-트윈-20) 내의 5% 스킴 밀크(skim milk)로 2시간 동안 차단하였으며, 인산화 p38(pp38), p38, 인산화 JNK(pJNK), JNK, 인산화 ERK1/2(pERK1/2), ERK1/2, Iκ-Ba 및 β-액틴에 대한 항체를 오버나이트 배양하였다.
이 때 p38, JNK, ERK 1/2 및 β-액틴은 각각 인산화 p38, 인산화 JNK, 인산화 ERK1/2 및 Iκ-Ba에 대한 대조군으로써 배양되었다.
④ 배양한 항체를 3번 세척한 후, 각 블롯은 퍼옥시다제로 컨쥬게이트(conjugate)된 2차 항체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화학발광적 발견 시스템을 증가시켜 발색된 항체-특이 단백질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2. 실험 결과
도 29는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MAPKs 통로 활성 변화 양상을 웨스턴 블롯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실험 결과, 세루레인 투여군에서는 MAPKs가 인산화되어 인산화 p38, 인산화 JNK, 인산화 ERK1/2 및 Iκ-Ba의 발현이 나타났으며, 특히 인산화 JNK, 인산화 p38의 발현이 뚜렷이 나타났다.
자초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하여, 인산화 p38 및 Iκ-Ba의 발현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즉, 자초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MAPKs 통로 저해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자초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급성 췌장염을 저해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실험예
16.
P38
저해제 투여시 및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MAPKs 통로 활성 저해 효능 비교
1. 실험 과정
실험예 13 내지 15에 기재된 사항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되었다. 단, 사전 투여 약물은 세린에서 p38 저해제인 SB203580로 대체되었다.
2. 실험 결과
도 30은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세포 독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험 결과, 세린만 투여한 정상군에서는 샘꽈리세포의 생존율이 100%였으나, 세루레인 투여군에서는 55%까지 감소하였다.
SB203580 투여군에서는 샘꽈리세포의 생존율이 점점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31은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TNF-α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RT-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2는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6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RT-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3은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1β mRNA 발현의 변화 양상을 RT-PCR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측정 결과, 세루레인 투여군에서는 세린만 투여한 정상군과 비교하여, TNF-α, IL-6 및 IL-1β mRNA의 발현이 약 3.2배 가량 증가하였다.
자초 추출물 투여군 및 SB203580 투여군의 샘꽈리세포 TNF-α, IL-6 및 IL-1β mRNA의 발현은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자초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TNF-α, IL-6 및 IL-1β mRNA의 발현은 모두 약 1/2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자초 추출물 투여군의 발현 감소율이 SB203580 투여군보다 더욱 높았으며, SB203580 투여군보다 모두 약 0.5 ng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즉, 자초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SB203580 투여군에서보다 더 현저한 샘꽈리세포 TNF-α, IL-6 및 IL-1β mRNA 발현 저해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자초 추출물은 SB203580보다 더 효과적으로 급성 췌장염을 저해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도 34는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TNF-α 발현의 변화 양상을 ELISA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5는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6 발현의 변화 양상을 ELISA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6은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IL-1β 발현의 변화 양상을 ELISA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7은 SB203580 투여 후 자초 추출물 투여시 샘꽈리세포에서의 HMGB1 발현의 변화 양상을 웨스턴 블롯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측정 결과, 세루레인 투여군에서는 세린만 투여한 정상군과 비교하여, TNF-α의 발현은 약 3.2배, IL-6의 발현은 약 3.8배, IL-1β의 발현은 약 7.5배 가량 증가하였다.
자초 추출물 투여군 및 SB203580 투여군의 샘꽈리세포 TNF-α, IL-6 및 IL-1β의 발현은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자초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세루레인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TNF-α 및 IL-6의 발현은 약 1/2로 감소하였으며, IL-1β의 발현은 약 7/25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자초 추출물 투여군의 발현 감소율이 SB203580 투여군보다 더욱 높았으며, SB203580 투여군보다 모두 약 10 pg/ml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즉, 자초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SB203580 투여군에서보다 더 현저한 샘꽈리세포 TNF-α, IL-6 및 IL-1β 발현 저해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자초 추출물은 SB203580보다 더 효과적으로 급성 췌장염을 저해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실험예
17. 자초 추출물의
HPLC
분석
1. 실험 과정
기존의 연구에서 자초 추출물의 주 성분은 시코닌으로 알려져 왔으므로, 본 실험에서는 시코닌과 자초 추출물의 HPLC 크로마토그래피의 모양 및 피크(peak)의 위치 등의 유사도를 비교함으로써 자초 추출물의 성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① 시코닌 0.1 mg과 자초 추출물 분말 2.5mg을 메탄올 1mL에 용해한 후 0.45 μm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에 걸렀다.
② HPLC 실험은 샘플 인젝터와 다이오드-어레이 UV/비스 디텍터(diode-array UV/Vis detector, DAD)가 부착된 HPLC 장비(YL9100 시리즈)로 수행되었다. 20 μl의 자초 추출물 메탄올 혼합물을 HPLC 샘플 인젝터(sample injector)에 주입하였다.
③ YMC-트리아트 C18 아날리티칼 컬럼(YMC-triart C18 analytical column)(4.6×150 mm; 5 ㎛)을 이용해서 수행한 모든 실험은 고정상(stationary phase)로 이용되었으며, 주입양(injection volume)은 각각 20 μl로 설정되었다.
④ 이동상은 물(A) 및 메탄올(B)을 이용하여 60분 동안 기울기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0~50분: 20~100% 메탄올(B) ; 50~60분: 100% 메탄올(B))
⑤ 컬럼은 20% 메탄올(B)로 20분간 세척되었으며, 시스템은 20분간 개시 상태로 평형화되었다.
⑥ 유량(flow rate)은 0.7 ml/min이며, 검출 파장은 254 nm로 조정되었다.
2. 실험 결과
도 38은 자초 추출물 및 시코닌을 HPLC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HPLC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UV 등으로 감지된 물질의 세기, 즉 양을 나타낸다. 동일한 조건(용출 버퍼의 농도나 속도, 컬럼 등)에서 같은 물질은 같은 시간대에서 피크가 나타난다. 피크를 이루는 부분은 감지되는 물질이 나오는 시간 및 양을 말하며, 피크가 없는 부분은 감지되는 물질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피크가 좌우대칭일 수록, 피크의 끝(edge)이 날카로울 수록 HPLC의 여러 조건이 잘 맞아 분석이 잘 되었으며, 분석물의 성분 함량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초 추출물 및 시코닌의 HPLC 크로마토그래피를 비교하여 보면, 자초 추출물의 크로마토그래피는 측정 후 0~10분 사이에 약 50mV의 피크가 1번 나타났으며, 30~40분 사이에 약 35mV의 피크가 1번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시코닌의 HPLC 크로마토그래피는 측정 후 40~50분 사이에 약 550mV의 피크가 1번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즉 자초 추출물과 시코닌의 HPLC 크로마토그래피의 모양 및 피크의 위치 등의 유사도는 현저히 적으며, 자초 추출물에는 시코닌이 함유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6)
-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췌장 조직 및 샘꽈리세포에서의 급성 췌장염 발병을 저해하는 효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췌장 조직에서의 부종 및 염증의 정도, 췌장 조직에서의 혈청 아밀라제, 리파제 및 트립신의 활성, 췌장 조직에서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의 발현과, 췌장 조직에서의 MPO 침윤을 저해하는 효능, 췌장 중량/체중의 비율(P.W/B.W)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샘꽈리세포에서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의 발현과, 샘꽈리세포에서의 MAPKs 통로의 활성, 샘꽈리세포에서의 HMGB1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시키는 효능 및, 샘꽈리세포에서의 세포독성이 없으며, 추가적으로 폐 조직의 부종 및 염증 정도와, 폐 조직의 MPO 침윤을 저해시키는 효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자초 추출물의 농도는 6~8주령의 마우스 기준으로 복강 내에 1회 투여시 100 ~ 500 mg/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첨가한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6897A KR20150047173A (ko) | 2013-10-24 | 2013-10-24 |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전이로 인한 폐의 침투성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6897A KR20150047173A (ko) | 2013-10-24 | 2013-10-24 |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전이로 인한 폐의 침투성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7173A true KR20150047173A (ko) | 2015-05-04 |
Family
ID=5338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6897A KR20150047173A (ko) | 2013-10-24 | 2013-10-24 |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전이로 인한 폐의 침투성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47173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3623B1 (ko) * | 2017-09-28 | 2019-03-29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눈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US10517913B2 (en) | 2015-05-12 | 2019-12-31 |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Composition for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peripheral neuropathy comprising Lithospermi Radix extract as an effective component |
-
2013
- 2013-10-24 KR KR1020130126897A patent/KR2015004717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517913B2 (en) | 2015-05-12 | 2019-12-31 |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Composition for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peripheral neuropathy comprising Lithospermi Radix extract as an effective component |
KR101963623B1 (ko) * | 2017-09-28 | 2019-03-29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눈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Oakenfull et al. | Saponins | |
Moshfegh et al. | Crocus sativus (saffron) petals extract and its active ingredient, anthocyanin improves ovarian dysfunction, regulation of inflammatory genes and antioxidant factors in testosterone-induced PCOS mice | |
CA2555296A1 (en) | Composition of labdane diterpenes extracted from andrographis paniculata, useful for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and alzheimer disease by activation of ppr-gamma receptors | |
Kim et al. | In vitro and in vivo immunostimulatory effects of hot water extracts from the leave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cv. Sajabal | |
KR20080003931A (ko) |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치료 | |
Lee et al. | Germinated black soybean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entosus SC65 alleviates DNFB-induced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in C57BL/6N mice | |
KR20130094630A (ko) | 띠갈파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 | |
KR20150047173A (ko) |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전이로 인한 폐의 침투성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 |
US11202815B2 (en) |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prostate disease containing acanthopanax sessiliflorus, phragmites rhizome, and pinus densiflora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 | |
KR101863731B1 (ko) | 큰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40137655A (ko) | 오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전이로 인한 폐의 침투성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 |
KR100696647B1 (ko) | 플라티코딘 d 프로사포제닌 메틸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염증 질환 및 면역 질환 예방 및 치료제 | |
EP2762147B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puerariae flos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endometriosis | |
KR100547554B1 (ko) | 항염증 활성을 갖는 해동피, 갈화, 옻나무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 |
KR100547560B1 (ko) | 항염증 활성을 갖는 해동피, 갈화, 옻나무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 |
KR20070068837A (ko) | 영실로부터 얻은 지방세포분화 억제용 활성 분획 조성물 | |
Kim et al. | Evaluation o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mechanisms of microalga Phaeodactylum tricornutum | |
KR101472574B1 (ko) | 아파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 |
KR20110109558A (ko) | 우방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102490206B1 (ko) |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063321B1 (ko) | 와송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궁근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KR101323626B1 (ko) |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950199B1 (ko) | 오스모틴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 |
KR101918023B1 (ko) | 미국개기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JP2022007769A (ja) | 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5活性阻害または勃起機能改善用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