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626B1 -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626B1
KR101323626B1 KR1020110043993A KR20110043993A KR101323626B1 KR 101323626 B1 KR101323626 B1 KR 101323626B1 KR 1020110043993 A KR1020110043993 A KR 1020110043993A KR 20110043993 A KR20110043993 A KR 20110043993A KR 101323626 B1 KR101323626 B1 KR 101323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ancreatitis
white
extrac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7913A (ko
Inventor
최수임
김화진
권재원
최승민
안형균
이민석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주) 와이디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와이디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 와이디생명과학
Priority to PCT/KR2011/00376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081776A1/en
Publication of KR2012006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6Phellodendron, e.g. cork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룰레인에 의해서 유발되는 급성 췌장염에 대하여 염증 유발 관련 효소를 억제하고 항염증 작용을 하는 효과적인 치료 효능이 있어, 급성 췌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s comprising an extract of Phellodendri Cortex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pancreatitis}
본 발명은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Bank, P. A., Am. J. gastroenterol., 89, pp151-152, 1994.
[문헌 2] Bradley, E. L.., Arch. Surg., 128, pp586-590, 1993.
[문헌 3] 김창덕, 대한소화기학회지, 46, pp321-332, 2005
[문헌 4] 김창덕, 대한소화기학회지, 42, pp1-11, 2003
[문헌 5] 박성주 외, 본초학회지, 20(3), pp93-100, 2005
[문헌 6] 이홍식, HANYANG MEDICAL REVIEWS Vol. 27, No.1 , 2007
[문헌 7] 박성주 외, 본초학회지, 20(3), pp59-65, 2005.
[문헌 8] Nakamoto K, et al., J Prosthet Dent. 64, pp691-694, 1990.
[문헌 9] Mitani N et al., Cancer Lett. 165, pp35-42, 2001.
[문헌 10] Kong LD et al., Zhongguo Zhong Yao Za Zhi. 26, pp245-248, 2001
[문헌 11] Uchiyama T et al., Yakugaku Zasshi. 109, pp672-676, 1989
[문헌 12] Kulkarni SK and Dhir A, Phytother. Res. 24, pp317-324, 2009
[문헌 13] Jung WS et al., World J. Gastroenterol. 14, pp6188-6194, 2008
[문헌 14] Braunwald, Eugene et al.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5th ed. New York:McGraw-Hill, pp 1788-1791, 2001
[문헌 15] Ethridge RT, et al., Gastroenterol. 123, pp1311-22, 2002
[문헌 16] Exley AR, et al., Gut. 33, pp1126-1128, 1992
[문헌 17] Greaves P. Histopathology of preclinical toxicity studies; Interpretation and relevance in drug safety evaluation. Elsevier, 2007
[문헌 18] Jung WC et al. Lab. Anim. Res. 25, pp 355~362, 2009
[문헌 19] Boorman GA et al., Pathology of the Fischer Rat. Academic Press. 1994
췌장은 길쭉하고 편평한 모양을 하는 장기로서 그 길이가 13cm, 중량은 100g 내외이다. 췌장은 배꼽 위쪽의 뱃속 깊이 위치하는데 위장 아래쪽의 후복강 내에 있다. 췌장의 중요한 역할은 두 가지인데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에 필요한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외분비 기능과 당을 조절하는 인슐린과 같이 체내 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 분비의 내분비 기능이다.
췌장염(pancreatitis)은 췌장(pancreas)에 염증이 발생하여 생기는 질병으로 급성 췌장염(acute pancreatitis) 및 만성 췌장염(chronic pancreatitis)을 포함한다. 이자액(pancreatic juice)은 아밀라아제(amylase, 탄수화물을 가수분해함), 트립신(trypsin, 단백질 가수분해에 작용), 리파아제(lipase, 지방 가수분해에 작용)와 같은 소화 효소를 포함한다. 췌장염은 과음(alcohol abuse), 담석(gallstones) 등에 의해서 이자액이 원활하게 흐르지 않아 상기 효소들이 췌장의 자가분해를 유발하여 발생한다. 췌장염은 크게 두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간질성 부종(interstitial edema)과 췌장주변의 지방성 괴사(peripancreatic fat necrosis)가 발견되는 경증(mild type)의 췌장염, 췌장주변(peripancreatic) 및 췌장 내부(intrapancreatic)의 광범위한 지방성 괴사, 췌장의 유조직 궤사(pancreatic parenchymal necrosis), 출혈을 동반하는 중증(severe type)의 췌장염이 있다 (Bank PA., Am. J. gastroenterol., 89, pp151-152, 1994.; Bradley EL.., Arch. Surg., 128, pp586-590, 1993.; 김창덕, 대한소화기학회지, 46, pp321-332, 2005).
급성 췌장염은 담즙 질병 혹은 음주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이 질환의 발생과 원인의 역학관계는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며 급성 췌장염의 발생기전에 대한 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최근 췌장염에 대한 치료 방법들이 일부 보고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췌장염의 치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김창덕, 대한소화기학회지, 42, pp1-11, 2003.; 박성주 외, 본초학회지, 20(3), pp93-100, 2005).
급성 췌장염의 진행은 3단계로 구분해 볼 수 있다. 국소적 염증반응, 일개 혹은 다발성 장기부전을 초래하는 전신적 염증반응, 그리고 최종적으로 장내 세균의 췌장 내로 이동에 의한 감염에 의한 것이다. 췌장염의 초기 병태생리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췌장 선방세포의 손상 후 대식세포가 유입되어 조직 손상에 대한 반응으로 IL-1(interleukin-1), IL-6, TNF-α(tumor necrosis factor-α)를 분리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이들 사이토카인은 염증세포의 순환, 췌장부종 및 췌장실질파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급성 췌장염 환자의 혈청에서 사이토카인의 증가가 보이며, 이러한 증가는 췌장염이 경한 경우 보다는 췌장괴사, 전신적 염증반응, 다발성 장기부전 등과 같은 합병증이 동반되는 경우에 현저하게 높다. 이들 사이토카인의 작용을 억제하는 길항제 또는 대식세포로부터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항사이토카인 항체를 투여하면 췌장 및 폐 등의 장기손상이 억제되고 사망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급성 췌장염의 기전에 있어서 사이토카인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이해 및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한편, 급성 췌장염에 대한 약물치료는 아직까지 병의 원인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주로 증상에 중점을 두고 시행한다. 치료에 도움을 주는 약제로는 대부분 면역 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는 약물, 진통, 소염제(Naproxen, Ibuprofen, Methylprednisolone)가 사용되는데 효과 못지않게 그에 따른 부작용도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심혈관계 위험(심혈관계 혈전 반응, 심근경색증, 뇌졸중)이나 위장관계 위험(위 또는 장관의 출혈, 궤양 및 천공을 포함한 중대한 위장관계 이상반응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을 해결하고 급성 췌장염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홍식, HANYANG MEDICAL REVIEWS. 27, 2007; 박성주 외, 본초학회지, 20(3), pp59-65, 2005).
한편, 황백(黃柏; Phellodendri Cortex)은 황벽나무(황경피나무; Phellodendron amurense Rupr.(운향과)) 또는 그 밖의 동속식물의 주피를 벗겨낸 줄기껍질로서, 황백의 유효성분으로는 껍질 성분으로서 베르베린(berberine), 팔마틴(palmatine), 구아니딘(guanidine), 자트로리진(jatrorr-hizine), 펠로덴드린(phyellodendrine), 칸디신(candicine), 메니스페린(me-nisperine) 등의 알칼로이드계 성분, 오바쿠논(obakunone), 오바쿠락톤(obakulactone) 등의 고미성 물질, 스테로이드계 물질 등이 있다. 황백은 항균작용(Nakamoto K, et al., J Prosthet Dent. 64, pp691-694, 1990), 혈압강하작용, 중추신경 억제작용(Kulkarni SK & Dhir A, Phytother. Res. 24, pp317-324, 2009), 아세틸콜린 증강작용 및 항염작용 (Uchiyama T et al., Yakugaku Zasshi. 109, pp672-676, 1989)을 가지고 있으며 더불어 종양세포에도 작용하여 그 생활기능을 저지(Mitani N et al., Cancer Lett. 165, pp35-42, 2001) 시키며 항산화와 노화예방 효과(Kong LD et al., Zhongguo Zhong Yao Za Zhi. 26, pp245-248, 2001) 도 있으며 피부 면역력을 강화시키는 효능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황백의 주요 지표물질인 베르베린은 수용성으로 살균작용이 있을 뿐 아니라, 내복에 의할 때 미각 반사의 항진에 의해 위액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식욕의 항진도 가져오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일반 알칼로이드가 지니는 전신작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다량으로 투여해도 부작용이 없으므로 정장제뿐 아니라 건위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의 어디에도 황백 추출물의 췌장염에 대한 치료 및 예방효과에 대하여 개시 또는 교시된 바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췌장염 치료 약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백종의 천연물을 검색한 결과, 황백 추출물이 급성췌장염을 유도한 C57BL/6 마우스 혈중 아밀라제 및 리파제 농도에 대한 억제효과, 췌장조직에 대한 효과실험, 췌장염 유도후 혈중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영향 실험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들이 농도의존적으로 췌장염을 치료 및 개선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백 추출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췌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황백의 조추출물 및 정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조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에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정제 추출물은 충진제로서 시판중인 디아니온(Dianion), SP207, HP20SS 또는 HP20, 바람직하게는 디아니온(Dianion)을 이용한 이온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 법을 수행하여 얻어진 정제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 추출물을 HP20충진제로 충진시키고 이동상으로 극성이 가장 큰 물로부터 시작하여 물:주정, 바람직하게는 1:1-3(v/v) 혼합용매 및 극성이 낮은 에탄올을 순차적으로 유출시켜 각각의 유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각각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통하여 수득 가능한 정제 추출물, 구체적으로는, 베르베린 (berberine chloride) 함량은 3-10(w/w)%, 바람직하게는 4-7(w/w)%이고, 팔마틴(palmatine chloride) 함량은 3-10(w/w)%, 바람직하게는 4-6(w/w)%이고, 야트로리진 (jatrorrhizine) 함량은 0.01-5(w/w)%, 바람직하게는 0.1-2(w/w)%인 정제추출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췌장염”은 만성 췌장염 및 급성 췌장염, 바람직하게는 급성췌장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황백 추출물을 0.0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황백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 황백 시료 중량의 약 1 내지 50배,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5배 분량의 물, 에탄올, 메탄올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에탄올 혼합용매로, 1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약 0.5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시간 동안 교반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상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상온 추출법으로 추출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건조하여 본 발명의 황백 조추출물(PA-C)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제 추출물은 상기 조추출물을 정지상으로 사용한 충진제로서 시판중인 S 디아니온(Dianion), P207, HP20SS 또는 HP20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디아니온(Dianion)을 이용한 이온컬럼 크로마토그래피 (chromatography) 법을 수행하여 얻어진 정제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추출물을 HP20충진제로 충진시키고 이동상으로 극성이 가장 큰 물로부터 시작하여 물:에탄올, 바람직하게는 1:1-3(v/v) 혼합비의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및 극성이 낮은 에탄올을 순차적으로 유출시켜 각각의 유출물을 각각의 유출물, 즉, 1번째 분획물인 정제추출물 (1) (이하, PA-P0이라 함), 2번째 분획물인 정제추출물 (2) (이하, PA-P1이라 함), 3-5번째 분획물인 정제추출물 (3) (이하, PA-P2이라 함), 6-7번째 분획물인 정제추출물 (4) (이하, PA-P3이라 함)을 각각 회수하여 감압 농축한 후, 각각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통하여 수득 가능하며, 상기 제조공정으로 제조된 정제 추출물(PA-P2)은, 구체적으로는, 그 지표성분으로서, 베르베린(berberine chloride) 함량은 3-10(w/w)%, 바람직하게는 4-7(w/w)%이고, 팔마틴(palmatine chloride) 함량은 3-10(w/w)%, 바람직하게는 4-6(w/w)%이고, 야트로리진(jatrorrhizine) 함량은 0.01-5(w/w)%, 바람직하게는 0.1-2(w/w)%인 정제추출물; 및 상기 조추출물을 10-100배(v/w),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배(v/w) 부피의 물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1-10배(v/v),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배 부피(v/v)의 수포화 부탄올을 가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부탄올 가용분획을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으로 수득가능한 부탄올 가용분획 정제물(PA-CM)로서, 상기 제조공정으로 제조된 정제 추출물(PA-CB)은 구체적으로는, 그 지표성분으로서, 베르베린(berberine chloride) 함량은 3-10(w/w)%, 바람직하게는 4-7(w/w)%이고, 팔마틴(palmatine chloride) 함량은 3-10(w/w)%, 바람직하게는 4-6(w/w)%이고, 야트로리진(jatrorrhizine) 함량은 0.01-5(w/w)%, 바람직하게는 0.1-2(w/w)%인 정제추출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조 황백 시료 중량의 약 1 내지 50배,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5배 분량의 물, 에탄올, 메탄올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에탄올 혼합용매로, 1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약 0.5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시간 동안 교반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상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상온 추출법으로 추출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건조하여 황백 조추출물을 수득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의 조추출물을 HP20충진제로 충진시키고 이동상으로 극성이 가장 큰 물로부터 시작하여 물:에탄올, 바람직하게는 1:1-3(v/v) 혼합용매을 이용하여 극성이 낮은 에탄올을 순차적으로 유출시켜 각각의 유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각각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공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황백 정제물(PA-P2)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건조 황백 시료 중량의 약 1 내지 50배,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5배 부피의 물, 에탄올, 메탄올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에탄올 혼합용매로, 1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약 0.5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시간 동안 교반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상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상온 추출법으로 추출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건조하여 황백 조추출물을 수득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의 조추출물을 10-100배(v/w),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배(v/w) 부피의 물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1-10배(v/v),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배 부피(v/v)의 수포화 부탄올을 가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부탄올 가용분획을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으로 수득가능한 부탄올 가용분획 정제물(PA-CB)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공정으로 수득된 베르베린(berberine chloride) 함량은 3-10(w/w)%, 바람직하게는 4-7(w/w)%이고, 팔마틴(palmatine chloride) 함량은 3-10(w/w)%, 바람직하게는 4-6(w/w)%이고, 야트로리진(jatrorrhizine) 함량은 0.01-5(w/w)%, 바람직하게는 0.1-2(w/w)% 성분상을 갖는 상기 황백 정제 추출물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의 함량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추출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약 95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생약은 통상적인 건조 방법에 따라 생약 자체를 건조시켜 건조물 상태 또는 상기 건조물을 세절 또는 분말 형태로 하여, 통상적인 추출 방법, 예를 들면 열수 추출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이미 상품으로 시판되는 추출물 분말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생약은 건조한 것, 건조하지 않은 것 또는 이들을 서로 혼합한 상태의 것을 추출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췌장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황백 추출물은 급성췌장염을 유도한 C57BL/6 마우스 혈중 아밀라제 및 리파제 농도에 대한 억제효과(실험예 1, 4); 췌장조직에 대한 효과실험(실험예 2); 췌정염 유도후 혈중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영향실험(실험예 3); 단회 및 반복 경구투여 독성실험(실험예 5, 6)을 통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들이 농도의존적으로 췌장염을 치료 및 개선함을 확인하여 췌장염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재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5g/kg 내지 5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g/kg 내지 3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따라서, 또한, 본 발명은 췌장염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갖는 상기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및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췌장염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또는 음료에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으로 복용할 수 있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 분말, 과립제, 정제, 환제, 캅셀제, 연질캅셀제 또는 액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육류, 차 등의 음료수, 스낵류, 과자류, 라면류, 기타 면류, 캔디, 초콜릿, 아이스크림류, 껌,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췌장염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췌장염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1 내지 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독성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급성 췌장염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또는 음료에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으로 복용할 수 있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 분말, 과립제, 정제, 환제, 캅셀제, 연질캅셀제 또는 액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육류, 차 등의 음료수, 스낵류, 과자류, 라면류, 기타 면류, 캔디, 초콜릿, 아이스크림류, 껌,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 또는 음료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으로 가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은 100㎖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세룰레인에 의해서 유발되는 급성 췌장염에 대하여 췌장조직 및 선세포(acinar cell) 괴사 유발 관련 효소인 아밀라제와 리파아제를 억제하며 췌장조직에 대한 부종 억제 및 항염증 등에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 효능이 있으며, 인체 내 부작용이 없어 급성 췌장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약품 및 급성 췌장염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1과 2를 통해 얻어진 마우스 췌장 조직의 검경사진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G1은 정상군(Normal); G2는 대조군(0.5% CMC); G3은 Methylprednisolone(20mg/kg) 투여군; G4는 황백 조추출물(PA-C) 투여군(200mg/kg); 황백 분획물(PA-P2) 투여군(200mg/kg).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황백 조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황백을 구입하여 100g을 마쇄한 후 각각 30% 에탄올 수용액에 넣고 2시간 동안 상온 추출을 실시하였다. 이들 추출물은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동결 건조하여 최종 에탄올 조추출물 각각 22.7g(이하, PA-C라 함)을 얻었다. 건조추출물은 -4℃에 보관하고 필요한 농도로 녹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황백 정제 추출물의 제조
황백 조추출물에 대한 분획물을 얻기 위해 디아니온(Dianion) 크로파토그래피(chromatography)법을 이용하였다. 즉,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황백 조추출물 30g에 HP20충진제(Mitsubishi chemical Cor. DiaionRHP20)로 충진시키고 이동상으로 극성이 가장 큰 물로부터 시작하여 물과 에탄올 혼합용매, 에탄올을 순차적으로 시료의 20배 용량(w/w)으로 유출시켰고, 최종 7개의 정제분획물을 획득하였다. 각각의 유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각각 1번째 분획물인 정제추출물 (1) 8.3g (이하, PA-P0이라 함), 2번째 분획물인 정제추출물 (2) 6.9g (이하, PA-P1이라 함), 3-5번째 분획물인 정제추출물 (3) 11.4g (이하, PA-P2이라 함), 6-7번째 분획물인 정제추출물 (4) 6.5g (이하, PA-P3이라 함)
실시예 3: 황백 용매 정제 추출물의 제조
황백 조추출물에 대하여 용매분획을 실시하였다. 즉,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황백 조추출물 30g을 물 500ml에 용해시킨 후 수포화 n-부틸알콜(butanol)를 2L가하여 완전히 분리시키는 과정을 총 3회 실시하였다. 분리된 n-부틸알콜 가용층만을 모아 거름종이로 여과한 후,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였다. n-부틸알콜과 물이 거의 증발된 상태에서 200ml의 물을 가해 공비 농축한 후 다시 2회 반복감압 농축하고, 최종적으로 동량의 증류수를 가해 현탁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황백분획물 23g (이하, PA-CB)을 얻었다.
실시예 4: 성분 및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추출물 및 정제물들을 대상으로 그 성분상 및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한 바와 같은 조건의 HPLC 컬럼크로마토그래피법을 수행하였다.
HPLC 조건
-컬럼 종류: YMC ODS A(5um, 250mm x 4.6mm)
-이동상 : ACN : H2O(contained20mMOctanesulfonicacidsodiumsaltand30mM
KH2PO4)=6:4
-유출속도: 1ml/min
-분석량: 10㎕
-컬럼온도: 40℃
상기 실험 결과, 상기 분획물 PA-P2의 베르베린(berberine chloride) 함량은 6.3%(w/w) 였고, 팔마틴(palmatine chloride) 함량은 5.4%(w/w), 야트로리진 (jatrorrhizine) 함량은 0.65%(w/w) 로 확인되었다
상기 실험 결과, 실시예 2로부터 얻은 상기 컬럼분획물 PA-P2와 실시예 3으로부터 얻은 상기 부탄올 용매분획물PA-CB의 분석 패턴은 거의 동일하였다. 실시예 2로부터 얻은 상기 컬럼분획물 PA-P2의 베르베린(berberine chloride) 함량은 6.8%(w/w)였고, 팔마틴(palmatine chloride) 함량은 5.8%(w/w), 야트로리진 (jatrorrhizine) 함량은 0.7%(w/w) 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으로부터 얻은 상기 분획물 PA-CB의 베르베린 함량은 6.3%(w/w)였고, 팔마틴 함량은 5.4%(w/w), 야트로리진 함량은 0.6%(w/w) 로 확인되었다.
참고예 1: 급성췌장염에 대한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동물실험 설계
실험동물 준비 및 시료처치
실험동물은 생후 7주된 C57BL/6 마우스 수컷(체중 18±2g)을 구입(오리엔트바이오)하여 사육실(실내온도 23±2℃, 명암주기 12시간)에서 표준 사료와 물을 완전 자유급식(adlibitum)으로 7일간 공급하여 환경에 적응시킨 후, 임의로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었고 각 군의 개체는 6마리로 하였다. G1군은 정상군으로 급성 췌장염을 유발하지 않고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았고, G2군은 음성대조군으로 황백추출물 대신 0.5% CMC 용액을, G3군은 양성대조약물 투여군으로 스테로이드계 소염제인 메틸프레드니솔론(methylprednisolone, KunHwa Pharm. Co., Ltd. Methylon Tab.) 20mg/kg을 급성췌장염 유발 1일 전에 1회 경구투여하였다. G4군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백 조추출물 PA-C를 각각100~400 mg/kg으로, G5군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황백 조추출물의 분획물 PA-P0~P3를 각각 100~400mg/kg씩 경구투여하였다. G2~G5군은 급성췌장염 유발 전에 6일 동안 정해진 농도로 1일 1회 경구투여하였다.
1-1.급성췌장염의 유도
상기 각 군의 마우스들을 급성 췌장염이 유도하기 전 12시간 동안 절식시켰다. 급성췌장염을 유발시키기 위해 콜레시스토키닌(cholecystokinin, CCK)의 유사체인 세룰레인(ceruleinl; 시그마-알드리치) (50μg/kg) 수용액을 상기에 준비한 G2~G5군의 마우스에 6시간 동안 매 시간마다 총 6회 복강주사하였다 (Jung WS et al., World J. Gastroenterol., 14, pp6188-6194, 2008). 급성 췌장염을 유발시키고 6시간이 경과한 후에 CO2가스로 질식시켜 췌장과 폐 조직을 각각 분리하였다. 또한 각 개체로부터 혈액을 심장 채혈한 후 원심 분리하여 혈청(serum)만 분리하여 -70℃에서 보관한 후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혈중 아밀라제와 리파아제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얻는 추출물들의 혈중 아밀라제 및 리파제 농도에 대한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급성 췌장염 유발 후 분리한 마우스 혈청 중 아밀라제와 리파아제 함량을 분석하였다. 혈장 아밀라아제는 ADIVA 1650(Bayer,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혈장 리파아제는 Cobas-mira(Roche,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중 아밀라제와 리파아제는 급성 췌장염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표지로 알려져 있다. 급성 췌장염 발병으로 이들 효소는 혈중으로 유리되고 췌장 조직 내에서 자가소화 활성에 의해 췌장선방세포(acinar cell)가 파괴된다. 혈중 아밀라제는 급성췌장염에서 급속도로 상승하여 발병 후 3-6시간 내에 상승하기 시작하여 1-2일 만에 최고치에 달하고 곧 하강하여 2-6일 만에 정상치로 되돌아온다. 한편, 혈중에 유출된 리파아제 활동의 변동은 간접적으로 췌장의 병적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혈중 리파아제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점이 많으나 췌장 질환에서는 특이성, 예민성, 혈중에의 지속성 등에서 아밀라제 보다 우수한 바이오마커(biomarker)이고 급성췌장염에서는 정상 활성상 한치의 15-20배로 혈청 리파아제 활성 증가를 나타내고 장기간 지속하는 증례도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Braunwald, Eugene et al. Harrison's Principles ofInternalMedicine, 15th ed. New York:McGraw-Hill, pp 1788-1791, 2001).
본 실험 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인 0.5% CMC를 투여한 마우스에 비해 실시예 2의 PA-P2 및 PA-P3(각 200mg/kg) 투여 마우스군에서 아밀라아제 및 리파아제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고(p<0.01), 두 분획에서 활성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메틸프레드니솔론(20mg/kg, 45.6%)보다는 약간 낮게 나타내었다.
효소 수치
군구성 경구투여량
혈청 아밀라제 (U/L) 혈청 리파아제 (U/L)
정상군 1000.4±13.5 70.3±5.1
0.5% CMC 투여군 3221.3±67.4 358.2±54.5
메틸프레드니솔론 투여군 20mg/kg 2489.5±309.9*** 180.8±37.1**
PA-C 투여군 200mg/kg 3128.3±139.1 252.1±11.1*
PA-P0 투여군 200mg/kg 3115.7±255.2 302.4±86.8
PA-P1 투여군 200mg/kg 2779.8±258** 224.5±33.7**
PA-P2 투여군 200mg/kg 2979.6±219.8 270.2±58.0
PA-P3투여군 200mg/kg 2793.6±126.7*** 225.5±10.8**
P<0.05: * , P<0.01: ** , P<0.001: *** (N=6마리/군)
실험예 2: 조직학적 검사
상기 실시예에서 얻는 추출물들의 췌장조직에 대한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Ethridge RT et al. Gastroenterol. 123, pp1311-22, 2002).
상기 참고예에서 급성췌장염이 유발된 각각의 군 개체로부터 분리된 췌장조직을 10% 포르말린용액에 고정한 후 바로 파라핀에 넣었다. 4μm의 칼로 조직을 자른 후 헤마톡시린-에오신 (H&E)염색하고 병리학자에 의해 판독하였다 (blind test). 손상의 정도는 췌장 선방세포위축, 췌간질부종, 염증세포침윤, 췌간주위 섬유화 등을 판정하였다. 급성 췌장염의 검경항목으로 ① 부종(Edema), ② 염증(Inflammation), ③ 공포 형성(Vacuolation), ④ 괴사(Necrosis)를 아래 기준에 따라 0(normal), 1(minimal), 2(slight), 3(moderate), 4(marked), 5(severe) 등 총 6 단계의 등급으로 나누어 그 정도를 평가하였다. 조직병리 검경의 점수화 결과는 평균 및 표준편차로 나타내며, 그 결과는 비모수 통계법인 Kruskal-Wallis test 및 Mann Whitney 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고 유의수준(p value) 을 표기하였다.
본 실험 결과, 표 2는 각각의 시료를 투여한 그룹에서의 급성췌장염 유발 마우스로부터 분리된 췌장조직의 유발 정도를 검경한 결과이다. 각각의 항목별로 대조약물인 메틸프레드니솔론과 비교하여 급성췌장염이 유발된 마우스의 췌장조직에서의 염증(inflammatory) 및 부종(edema)에서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p<0.01), 공포 형성(vacuolation) 및 괴사(necrosis) 항목에서도 대등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인 급성췌장염 유발 정도를 점수화한 결과, 음성대조군(0.5% CMC 투여군)은 약 9점, 양성대조약물인 메틸프레드니솔론 투여군은 7.4점, PA-C투여군은 7.3점, PA-P2 투여군은 5.1점으로 세룰레인 유도 급성췌장염 마우스에서 우수한 치료효능을 나타내었다.
부종
(Edema)
염증
(Inflammatory)
공포화
(Vacuolation)
세포사멸
(Necrosis)
총점
정상군 0.5±0.18 0±0 0.5±0.28 0±0 0.25±0.12
0.5% CMC 투여군 3.30±0.22 2.60±0.16 2.05±0.09 1.45±0.22 9.46±0.41
메틸프레드니솔론
(20mg/kg)
2.91±0.26 2.40±0.19 1.35±0.15* 0.68±0.24 7.36±0.64
PA-C
(200mg/kg)
2.29±0.21* 1.80±0.21 1.65±0.16 1.21±0.18 7.04±0.57*
PA-P2
(200mg/kg)
1.90±0.27* 1.15±0.25** 1.50±0.18 0.83±0.14 5.42±0.8*
P<0.05: * , P<0.01: ** , P<0.001: *** (N=6마리/군)
도 1은실험예 1과 2에서 얻은 실험군에 대한 조직 사진이다. 도 3을 통해 왼쪽 위 조직사진(G1)에서 생리식염수만 투여한 정상 조직에서는 조직상태가 건강하고 사진 내에 선방세포들의 상태가 일정한 모양과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데에 비해 세룰레인으로 췌장염을 유발시킨 오른쪽 위 조직사진(G2)에서는 선방세포들의 모양이 일정치 않고 간격이 벌어져 있음을 통해 조직의 부종이 심각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췌장의 소엽 내 부종의 정도가 중증도로 관찰되었으며, 호중구 및 단핵구 침윤으로 특징되는 췌장 내 염증세포 침윤과 췌장 공포화 소견 역시 약한 정도 또는 중증도 정도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췌장 괴사 소견은 미약하거나 약한 정도로 관찰되었다. 반면에 가운데 왼쪽의 메틸프레드니솔론을 투여한 군(G3)과 황백 조추출물PA-C(G4) 및 황백 조추출물의 분획물(PA-P2)(G5)을 투여한 그룹에서는 세룰레인으로 급성 췌장염을 유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조직의 선방세포들의 모양과 간격이 일정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정도가 개선되어 관찰되었다. 따라서 상기의 결과를 통해, 세룰레인으로 유도한 마우스 급성 췌장염 모델에서 PA-C 및 PA-P2은 음성대조군(0.5% CMC 투여군) 대비 췌장염에 의한 조직의 손상 정도가 낮게 관찰되었고, 200mg/kg 용량으로 6일간 처치한 상기 조건에서 조직병리학적 평가 결과 췌장염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췌장염 유도 후 혈중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정량
상기 실시예에서 얻는 추출물들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 염증성 싸이토카인, 예를 들어 TNF-α, IL-1β 및 IL-6의 혈장으로의 분비는 세룰레인 유도된 급성 췌장염동안 증가된다 (Exley AR, et al., Gut. 33, pp1126-1128, 1992).
TNF-α 및 IL-1β(R&D systems, USA)에 대한 ELISA는 프로토콜(R&D systems)에 따라 실시하였다. 즉 TNF-α 및 IL-1β 1차 항체가 붙혀진 플레이트에 각각 개체로부터 얻은 혈청 시료와 표준물질을 첨가한 후 37℃에서 2시간 동안 놓아두었다. 상기 웰을 세척한 다음, 효소-처리된 항체를 첨가한 후 플레이트를 37℃에서 2시간 놓아두었다. 웰을 다시 세척한 다음 기질을 첨가하였다. 이때 나타나는 발색 정도를 자동화 마이크로플레이트 ELISA 측정기로 405nm에서 측정하였다. 표준 곡선은 각각의 플레이트에 재조합 TNF-α 및 IL-1β를 순차적으로 희석하는 방법으로 작성하였다.
본 실험 결과, 표 3에 나타냈듯이, 황백 조추출물의 분획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와 IL-1β를 면역학적 반응 정량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감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사이토카인 수치
군구성 경구투여량
(mg/kg)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량
IL-1β (pg/ml) TNF-α (pg/ml)
정상군 1.0±0.2 3±0.5
0.5% CMC 투여군 6.6±2.1 44.3±3.5
메틸프레드니솔론 투여군 20 4.92±1.0 17.3±8.4*
PA-P2 투여군 100 3.1±1.0* 26.2±7.8
200 2.4±0.6** 18.7±4.9**
400 2.2±0.8** 12.9±4.9**
P<0.05: * , P<0.01: ** , P<0.001: *** (N=6마리/군)
실험예 4. PA - CB 의 급성 췌장염 유도 후 혈중 아밀라제와 리파아제 측정
상기 실시예 2와 3에서 얻는 용매분획물 PA-CB의 급성췌장염 유도후 혈중 아밀라제 및 리파아제 농도 감소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혈장 아밀라아제는 ADIVA 1650(Bayer,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장 리파아제는 Cobas-mira(Roche,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제조공정에 따른 분획물에 대하여, 상기 참고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급성 췌장염을 유도하였다. G1군은 정상군으로 급성 췌장염을 유발하지 않고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았고, G2군은 음성대조군으로 황백추출물 대신 0.5% CMC 용액을, G3군은 양성대조약물 투여군으로 메틸프레드니솔론(20mg/kg), G4-G6군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황백 조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PA-CB)을 100, 200, 400mg/kg 경구투여하였다. G4-G9군은 급성췌장염 유발 전에 6일 동안 정해진 농도로 1일 1회 경구투여하였다.
본 실험 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약물 투여군에서 0.5% CMC만 투여한 대조군에 대하여 PA-CB 투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통계 유의적인(P<0.001)효소 수치 감소 효능을 나타내었다. PA-CB 100mg/kg 농도에서도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300mg/kg 투여시 메틸프레드니솔론 투여군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췌장무게에 대한 마우스 개체의 체중에 대한 비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은 6.87로 정상군과 비교하여 매우 높았으며, 다른 약물투여군에서는 5정도의 유사한 비수치가 확인되었다. 표4는 n-부탄올 분획물 PA-CB의 마우스의 혈중 아밀라제 및 리파아제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표이다.
효소 수치
 군구성 경구투여량
(mg/kg)
췌장/체중비
(ratio)
혈청 아밀라제
(U/L)
혈청 리파아제 (U/L)
정상군 4.38±0.16 956.7±64.0 32.2±2.7
0.5% CMC 투여군(대조군) 6.87±1.04 4642.2±151.8 468.1±82.4
메틸프레드니솔론 투여군 20 5.05±0.43** 3113.7±225.4*** 290.5±38.5***
PA-CB 투여군 100 5.30±0.34** 3233.9±47.0*** 347.4±49.5***
200 5.26±0.29* 3192.7±112.9*** 321.8±63.2***
400 5.11±0.42** 2841.0±157.1*** 245.5±30.2***
P<0.05: * , P<0.01: ** , P<0.001: *** (N=6마리/군)
실험예 5. 지표성분에 대한 급성 췌장염 유도 후 혈중 아밀라제와 리파아제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얻는 추출물 및 지표성분(베르베린 및 팔마틴)의 급성췌장염 유도후 혈중 아밀라제 및 리파아제 농도에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Jung WS et al., World J. Gastroenterol. 14, pp6188-6194, 2008).
혈장 아밀라아제는 ADIVA 1650(Bayer,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장 리파아제는 Cobas-mira(Roche,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지표성분 베르베린과 팔마틴의 효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참고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급성 췌장염을 유도하였다. G1군은 정상군으로 급성 췌장염을 유발하지 않고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았고, G2군은 음성대조군으로 황백추출물 대신 0.5% CMC 용액을, G3군은 양성대조약물 투여군으로 메틸프레드니솔론(20mg/kg), G4군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황백 조추출물의 분획물(PA-P2)을 200mg/kg 경구투여하였다. G5군과 G6은 각각 베르베린 염화물(berberine chloride, Cat. No. B0450)과 팔마틴염 화합물(palmatine chloride, Cat. No. ASB00016049)를 티씨아이(TCI Co., Ltd.)와 크로마덱스(Chromadex Co.)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각각 30mg/kg을 경구투여하였다. G4-G6군은 급성췌장염 유발 전에 6일 동안 정해진 농도로 1일 1회 경구투여하였다.
본 실험 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약물 투여군에서 0.5% CMC만 투여한 대조군에 대하여 통계 유의적인(P<0.01) 효소 수치 감소 효능을 나타내었다. 황백조추출물의 분획물인 PA-P2의 경우 200mg/kg에서 43%의 감소, 베르베린 및 팔마틴의 경우 30mg/kg 투여 농도에서 45% 이상의 감소 효능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양성대조군 메틸프레드니솔론 20mg/kg 투여 효과와 유사한 수치였다. 베르베린의 경우 10-20mg/kg 경구 투여시 각각 25.3 및 34.5%의 효능을 나타내었다 (결과 제시 생략). 상기 결과로 PA-P2의 경우 200mg/kg 농도에서 메틸프레드니솔론과 유사한 아밀라제 및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낼 것으로 확인되었다.
효소 수치
 군구성 경구투여량
(mg/kg)
혈청 아밀라제 (U/L) 혈청 리파아제 (U/L)
정상군 878.3±68.0 31.6±3.3
0.5% CMC 투여군(대조군) 3240.9±61.0 350.9±64.2
메틸프레드니솔론 투여군 20 2460.2±303.0** 188.6±55.5**
PA-P2 투여군 200 2638.8±236.8** 215.9±29.9*
베르베린 투여군 30 2507.2±299.9** 186.1±24.7**
팔마틴 투여군 30 2417.6±127.4*** 189.6 ±24.9**
P<0.05: * , P<0.01: ** , P<0.001: *** (N=6마리/군)
실험예 6. 랫트 단회 경구투여 독성 시험
상기 실시예에서 얻는 추출물들의 단회 경구투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Greaves P. Histopathology of preclinical toxicity studies; Interpretation and relevance in drug safety evaluation. Elsevier, 2007).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황백 조추출물의 분획물(PA-P2)에 대하여S.D 계통 랫드에 Up & Down법으로 단회 경구투여하여 독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최대 경구 투여양인 2g/kg을 3마리에 각각 1회 투여한 후 최장 48시간까지 개체 폐사 유무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은 부형제(0.5% CMC-Na: sodium carboxy methyl cellulose)만은 투여하였다.
시험물질을 2,000mg/kg으로 투여 시 실험기간 7일 동안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고, 투여 당일과 투여 후 1일째, 실험 종료 기간까지 설사 등 이상 증상 관찰되지 않았다. 체중 측정 결과, 체중변화의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또한, 부검소견 관찰결과,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아 황백분획물의 최소 치사량(MLD)은 2,000mg/kg을 상회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예 7. 랫트 4주 반복 경구투여 DRF 독성 시험
상기 실시예에서 얻는 추출물들의 반복 경구투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Jung WC et al. Lab. Anim. Res., 25, pp355~362. 2009; Boorman GA et al., Pathology of the Fischer Rat. Academic Press. 1994).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황백 조추출물의 분획물(PA-P2)에 대하여 S.D 계통 랫드의 경구로 1일 1회, 28일간 반복투여하여 나타나는 시험물질의 전신적인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각 군당 각각 3마리씩 시험군으로 250, 500, 1,000mg/kg으로 투여하였으며, 대조군은 부형제(0.5% CMC-Na: sodium carboxy methyl cellulose)만은 투여하였다. 시험기간 중 사망여부와 임상증상 관찰, 체중 및 사료섭취량 측정을 실시하였고, 부검일에 혈액 및 혈액생화학적 검사, 육안부검소견 관찰 및 장기중량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YD-301의 랫드의 경구투여 시험물질을 2,000mg/kg으로 투여 시 실험기간동안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고, 투여 당일과 투여 후 1일째, 실험 종료 기간까지 설사 등 이상 증상 관찰되지 않았다. 체중 측정 결과, 체중변화의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또한, 부검소견 관찰결과,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아 황백분획물의 최소 치사량(MLD)은 2,000mg/kg을 상회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Claims (12)

  1.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추출물 또는 정제 추출물인 약학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약학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추출물은 상기 조추출물을 HP20충진제로 충진시키고 이동상으로 극성이 가장 큰 물로부터 시작하여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극성이 낮은 에탄올을 순차적으로 유출시켜 각각의 유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각각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통하여 수득한 정제 추출물(PA-P2); 또는 상기 조추출물을 10-100배(v/w) 부피의 물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1-10배(v/v) 부피의 수포화 부탄올을 가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부탄올 가용분획을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으로 수득가능한 부탄올 가용분획 정제물(PA-CB)인 약학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췌장염은 만성 췌장염 또는 급성 췌장염인 약학 조성물.
  6. 황백 추출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췌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7.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또는 건강보조 식품 형태인 건강 기능식품.
  9. 췌장염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갖는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첨가제.
  10. 건조 황백 시료 중량의 1 내지 50배 분량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10 내지 110℃에서 0.5 내지 48시간 동안 교반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상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건조하여 황백 조추출물을 수득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의 조추출물을 HP20 충진제로 충진시키고 이동상으로 극성이 가장 큰 물로부터 시작하여 물:에탄올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극성이 낮은 에탄올을 순차적으로 유출시켜 각각의 유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각각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공정을 포함하는 황백 정제물(PA-P2)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11. 건조 황백 시료 중량의 1 내지 50배 분량의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10 내지 110℃에서 0.5 내지 48시간동안 교반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상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건조하여 황백 조추출물을 수득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의 조추출물을 10-100배(v/w) 부피의 물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1-10배 부피(v/v)의 수포화 부탄올을 가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부탄올 가용분획을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탄올 가용분획 정제물(PA-CB)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베르베린(berberine chloride) 함량은 3-10(w/w)%이고, 팔마틴(palmatine chloride) 함량은 3-10(w/w)%이고, 야트로리진(jatrorrhizine) 함량은 0.01-5(w/w)% 성분상을 갖는 황백 정제 추출물.

KR1020110043993A 2010-12-16 2011-05-11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23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3761 WO2012081776A1 (en) 2010-12-16 2011-05-23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phellodendri cortex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pancreatit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9007 2010-12-16
KR1020100129007 2010-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913A KR20120067913A (ko) 2012-06-26
KR101323626B1 true KR101323626B1 (ko) 2013-11-13

Family

ID=4668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993A KR101323626B1 (ko) 2010-12-16 2011-05-11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6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550A (ko) * 2014-10-24 2016-05-04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황백 유효 성분 추출 방법 및 이에 의해 추출된 황백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성 위생 용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i-On Chan et al. Analytica Chimica Acta. 2007년. Vol. 592, pp121-13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550A (ko) * 2014-10-24 2016-05-04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황백 유효 성분 추출 방법 및 이에 의해 추출된 황백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성 위생 용품
KR101654521B1 (ko) 2014-10-24 2016-09-07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황백 유효 성분 추출 방법 및 이에 의해 추출된 황백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성 위생 용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913A (ko) 201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839B1 (ko)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역류성 식도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0970739B1 (ko)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64337B1 (ko)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0860080B1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꼬리풀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2064651B1 (ko) 여주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17698B1 (ko) 붉가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및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38775A (ko)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841092B1 (ko) 진통에 유효한 초피 잎 추출물의 분획물
KR100953813B1 (ko) 지질억제활성을 갖는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22503B1 (ko) 맥문동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090046425A (ko) 천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염 또는 위궤양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1323626B1 (ko)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37316A (ko)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론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1466308B1 (ko) 지모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9895421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preventative or treatment effect on inflammatory bowel diseases
KR101193558B1 (ko) 다시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약학조성물
CN106715452B (zh) 化合物ks513,包含该化合物的组合物及它们的用途
KR101895969B1 (ko)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WO2005074963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abetic complication
KR101373653B1 (ko) 해당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420268B1 (ko) 오배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32824B1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117501A (ko) 신경세포 손상 개선 또는 신경세포 사멸 억제용 조성물
EP3698805A1 (en) Fraction ofzanthoxylum piperitum
KR102451200B1 (ko) 향청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또는 정신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