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040A -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조성물 - Google Patents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040A
KR20150047040A KR1020130126777A KR20130126777A KR20150047040A KR 20150047040 A KR20150047040 A KR 20150047040A KR 1020130126777 A KR1020130126777 A KR 1020130126777A KR 20130126777 A KR20130126777 A KR 20130126777A KR 20150047040 A KR20150047040 A KR 20150047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iontophoresis
antioxida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훈
신동규
Original Assignee
제너럴바이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바이오(주) filed Critical 제너럴바이오(주)
Priority to KR1020130126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7040A/ko
Priority to PCT/KR2013/009524 priority patent/WO2015060476A1/ko
Publication of KR20150047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1Crassulaceae (Stonecrop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0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 A61K9/0009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involving or responsive to electricity, magnetism or acoustic waves; Galenical aspects of sonophoresis, iontophoresis, electroporation or electroos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시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Ascorbic Acid에 칼란코에 추출물이 포함되고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Ascorbic Acid 20.00중량% ~ 62.70중량%, Magnesium Ascorbylphosphate 0.10중량% ~ 15.00중량%, 알부틴 5.00중량%, 칼란코에 추출물 0.10중량% ~ 10.00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5.00중량% ~ 40.00중량%, 알파-비사볼올 0.05중량% ~ 0.01중량% , 구연산나트륨 27.00중량% ~ 9.99중량%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면역계통을 강화시키며, 적혈구 활동과 면역세포의 생성을 도와주며, 강력한 항산화제 성분으로 외상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여러 가지 색소성 질환의 원인 물질인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하고 진피층의 콜라겐 합성을 도와주는 물질인 칼란코에 추출물과 비타민 C, 알부틴 등의 침투를 위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면역계통을 강화시키며, 적혈구 활동과 면역세포의 생성을 도와주며, 강력한 항산화제 성분으로 외상치료에 효능 등을 가지는 항산화 물질을 제공하며, 또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항산화도가 기존 비교대상에 비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있는 항산화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시술용 조성물{Composition including kalanchoe Gastonis-Bonnieri Extract using Iontophoresis}
본 발명은 항산화제의 효능 및 피부흡수력을 가지는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시술용 조성물에 관한 기술이다.
이온영동법 LeDuc(1908년), 그보다 빠르게는 US 222,276 (1879) 및 US 486,902 (1892)에 의해 최초 기술되었다. 그 이후로, 이온영동법은 필로카핀, 리도카인, 덱사메타손, 리도카인 및 펜타닐과 같은 이온성으로 하전된 치료적 약물 분자의 전달에서 상업적 용도를 발견하였다.
일반적으로, 이온영동(이온토포레시스)은 아마도 피부막을 통한 약물의 투과성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서, 전류의 인가가 외부에너지를 제공함으로써 약물 이온의 경피적 통과를 가능하게 하거나 증진시킬 수 있다는 기본 원리에 기반한 전달 방법이다.
양전하를 갖는 이온(예를 들어 양이온성 활성제)이 이온영동 시스템의 양극 내로 또는 양극 하에 놓여질 때, 이들 이온은 그 이후 - 전류의 인가 후에- 양극으로부터, 전기장 방향을 따라서, 인접한 피부 영역상에 위치한 음극 쪽으로 강제이동될 것이다. 이러한 프로세스 중에, 피부를 통한 양이온성 약물의 수송이 향상되거나 용이하게 된다. 이온영동은 다른 형태의 활성 약학적 성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기장 내의 장벽(예를 들어 피부)을 가로질러 직접적으로 이동되는 전기 전하를 갖는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확산-제어 경피 전달과는 다르게, 이온영동에서는 장치의 피부 접촉 영역과 장치 내의 활성 성분 농도가 활성 성분의 피부 유동 수준에 비해 덜 중요하다. 피부를 통한 활성 성분의 전달은 활성 성분이 피부 내로 강제이동될 수 있는 인가 전류에 주로 의존한다.
전형적인 이온영동 약물 전달 시스템은, 환자의 상이한 -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피부 영역에 부착된 음극 및 양극을 포함하는 전해질 전기 시스템을 포함하고, 각 전극은 와이어에 의해 리모트 파워 서플라이, 통상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제어 전기 장치에 연결된다. 그러한 타입의 장치로는, 얇은 구조(lean construction)를 갖는 시스템 (예를 들어 US 5,685,837 또는 US 6,745,071) 뿐만 아니라 기본적으로 전문가에게 알려진, 보다 정교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리도카인 및 펜타닐용 이온영동 경피 시스템이 미국에 시판되고 있다.
약물의 적용을 위해, 액체 또는 겔형 수성 제형(gelled aqueous formulation)이 이미 이온영동 장치에 도입되었다(예를 들어 US 5,558,633).
그러나, 그러한 장치에서, 약학적 활성제의 이온영동 전달은, 예를 들어 "백-그라운드" 전해질의 존재에 기인하여 손상될 수 있다(예를 들어, Luzardo-Alvarez, A., 등,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ntrolled Release of Bioactive Materials (2000), 27th Ed., pp. 159-160을 참조한다).
이온영동 장치의 구성에 관해서, 기여(contributing) "백그라운드" 카운터 이온이 없는 약학적 겔 또는 액체는 결여되어 있다.
또한, 일부 폴리머 구조의 부정적 특성에 기인하여, 이온영동 장치에서 폴리머의 사용은 종종 약물 전달의 손상 된 항상성(constancy)을 초래한다. US 5,993,849에 아미노기-포함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및 디카르복시산 또는 트리카르복시산을 포함하는 접착제가 피부 또는 경피 치료 시스템에 기재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온영동 조성물에서 그러한 혼합물의 적합성은 이러한 종래 기술 문헌에서는 인식되지 않았다.
다양한 약학적 활성 물질은, 이들 약물이 경구로 투여되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부작용 - 예컨대 신장 또는 간 기능의 손상 - 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에, 비경구적 투여가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이러한 투여경로가 상기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적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많은 질환 또는 병증의 치료용으로, 예를 들면 통증 경감과 같은 신속한 치료적 효과를 얻기 위하여, 신속한 작용의 개시를 생성하는 것이 결정적인 중요성을 가진다.
그러나, 이온영동은, 특히 전류 강도가 증가될 때나, 또는 이온영동이 연장된 시간 간격에 걸쳐서 지속될 때, 피부 자극, 홍반, 작열감 또는 심지어 피부 괴사와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고유의 리스크를 갖는다. 다른 한편, 고용량의 치료제의 투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증가된 전류 강도가 바람직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온영동으로 수송되는 약물 이온의 양이 인가된 전류의 시간 및 양에 직접적으로 비례하기 때문이다.
이온영동에 의한 경피 약물 수송은 다양한 파라미터, 예컨대 전해질의 농도, [이온 강도, 전극 재료의 타입, 조성 및 점도, 이온영동의 내구성, 피부 저항, 또는 전극의 영역 크기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는 복잡한 프로세스이다.
일반적으로 이온영동 프로세스에서 이들 파라미터의 다양한 영향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또한, 엄격한 생약 요구조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및 일정한 속도로 피부 내로 활성 물질이 수송되는것을 확보하기 위하여, 경피적으로 투여된 용량이 안전하고 또한 치료적으로 유효한 것 양자를 확보하기 위하여, 경피 이온영동 장치는 규정된 이온 강도를 갖는 규정된 전해질 농도를 포함해야 한다.
이들 요구조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이온영동 장치는 용해된 활성 물질(약물) 및 추가적인 전해질(예를 들어, NaCl과 같은 염, 및 버퍼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전극 저장소(electrode reservoir)가 통상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충분히 높은 전해질 농도 및 이온 강도를 얻는 것은 적어도 원칙적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그들의 작은 크기 및 운동성 때문에, 이들 이온성 첨가제는 전극 컴파트먼트로부터 피부로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수송된다.
그 결과, 전극 컴파트먼트는 전해질이 제거될 것이고, 이온 강도는 감소할 것이다. 이는 결국 전기장을 붕괴시키게 될 것이고, 이는 이온영동 장치를 믿을 수 없게 하고, 제어하기 어렵게 한다. 이는 높은 특이적 활성(specific activity) 또는 협소한 치료적 인덱스(therapeutic index)를 갖는 활성 물질(즉, 약물 물질)의 경우가 특히 중요한데, 그 이유는 환자가 심각한 안전 리스크에 노출될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으로서, 이온토포레시스 시술을 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 색소성 질환의 원인 물질인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하고 진피층의 콜라겐 합성을 도와주는 물질인 칼란코에 추출물과 비타민 C, 알부틴 등의 침투를 위해 사용된다. 칼란코에 추출물, 비타민 C와 그의 유도체는 외용으로는 거의 진피내에 도달하지 않는데, 따라서 이의 물질을 효율적으로 피부의 표피와 진피내로 침투 시키기 위해서는 적정한 이온토포레시스만이 할 수 있다.
생체 내에서 에너지 생산을 위한 산화 과정 중에 상당량의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들이 생성된다. 이러한 활성산소종은 생체 내 제거기전에 의해 대부분 소멸되지만 순간적으로 활성산소종이 다량으로 발생되거나 만성적으로 활성산소종이 발생되어 항산화 방어계와의 균형이 깨지면서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된다.
활성산소종에는 산소(oxygen), 과산화(superoxide), 수산기라디칼(hydroxyl),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 등이 있는데, 이들은 피부 세포 및 조직의 손상은 물론이며 항산화 효소와 비효소적 항산화제로 구성된 산화제와 항산화제의 균형을 파괴하고 지질과산화, 단백질산화,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사슬절단 및 멜라닌 생성반응의 촉진, DNA의 산화와 같은 생체 구성 성분의 손상을 야기한다.
이에 따라 피부는 탄력감소, 주름살, 기미 및 주근깨 등의 피부 노화가 가속화된다. 따라서 피부노화를 지연시키고 억제하기 위해서는 생체 내 뿐만 아니라 피부에서의 과잉 활성산소종을 억제하고 또한 활성산소종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항산화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염증은 외부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생리적인 방어반응의 하나로 임상적으로는 발적, 발열, 종창, 동통, 기능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해로운 주위환경, 즉 세균과 같은 외부 이물질의 침입과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려는 생리기전이다.
다양한 염증성 매개물질들은 산화제 생성을 활성화하여 조직 항산화 능력을 감소시키므로 조직의 기본적인 대사구조적 인자에 대한 손상을 주어 독성을 유발하고, 이러한 다양한 세포와 조직에서의 산화작용은 독특한 산화물질을 생성하게 되며 복잡한 활성산소종의 이차적인 조직반응이 시작된다.
활성산소종과 활성질소종(reactive nitrogen species: RNS)은 생체 내 여러 가지 세포의 작용을 조절하는 염증반응과 관련되어 있다. 염증의 경우 활성산소종에 의해 세포막의 지질이 과산화되고 단백질이 분해되면, 세포막의 구조를 유지하지 못하여 세포막의 칼슘이온 채널의 변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세포내 칼슘 유입이 증가하면 칼슘이온의 촉매로 포스포리파아제 A2(PLA2)가 활성화 된다. 활성산소종은 비만세포에서 PLA2를 활성화시키는데 이것에 의해 생성된 아라키돈산은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xygenase: COX)와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의 작용으로 염증매개물질인 프로스타그란딘과 류코트리엔을 생성시킨다.
따라서, 리폭시게나제와 시클로옥시게나제의 저해제는 염증매개물질의 생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염증 시 생성되는 활성산소종에 의한 세포막 파괴와 과산화반응을 억제하는 물질로서 항염증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과다 염증에 의해 생성되는 단백질 및 지질분해효소를 억제함으로써 그로 인해 손상되는 세포들을 보호하여 피부 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여 활성산소종과 염증에 의한 피부 트러블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한 기능성물질의 개발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하였으며, 칼란코에 추출물(학명 : kalanchoe gastonis-bonnieri extract)은 장미목 돌나물과에 속한 다육 식물로서, 크기가 30~50센티미터 정도로 두꺼운 잎이 자주 나고, 겨울에서 봄에 걸쳐 적색 또는 황색 꽃이 핀다. 마다가스카르, 인도, 동남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는데,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된다. 이는 다육식물로 이루어지며, 통상 집 안에서 쉽게 기를 수 있어 많이 기르고 있다. 브리오필룸속(Bryophyllum)과 키트킹기아속(Kitchingia)은 보통 칼란코에 속에 포함시킨다. 대부분의 식물을 간단히 칼란코에라고 부르며, 독특한 잎 때문에 주목을 받는 가장 흔한 종(種)에는 마다가스카르바위솔(K. tomentosa), 칼란코에 마르모라타(K. marmorata), 만손초(K. pinnata), 선녀무(K. beharensis), 화호접 또는 천손초(K. daigremontiana), 칼란코에 페드츠켄코이(K. fedtschenkoi) 등이 있다.
화려한 꽃을 보기 위해 화분에 심는 식물들은 칼란코에 블로스펠디아나(K. blossfeldiana)의 변종으로, 이들의 꽃은 6주간이나 피어 있어 겨울에도 널리 팔리고 있다.
다육식물인 칼란코에속 식물은 세심한 주위를 기울이지 않아도 비교적 잘 자라는데, 간접적인 빛에서도 살 수 있지만 많은 양의 직사광선이 필요하며 식물 전체가 완전히 말랐을 때만 물을 주어야 한다. 모든 종은 잎 꺾꽂이 또는 줄기 꺾꽂이로 쉽게 번식시킬 수 있다.
칼란코에 효능은 면역계통을 강화시키며, 적혈구 활동과 면역세포의 생성을 도와준다고 알려져 있으며, 강력한 항산화제 성분으로 외상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수술 후 회복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 이에 대한 신뢰성 있고 체계적인 연구 활동이 초기에 해당되는 정도로 앞으로 많은 실험과 이에 따른 효능이 밝혀져야 하는 과제가 있다.
(KR) 공개특허 제10-2001-70045호 (KR) 공개특허 제10-2012-57744호 (KR) 공개특허 제10-2010-10209호
본 발명은 주위에 흔히 사용되거나, 가격이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식물종 중에서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작용, 멜라닌 생성억제, 콜라겐 합성 촉진, 색소 침착 방지 효과, 재생효능을 가지는 칼란코에 추출분말과 비타민 C, 피부 미백에 효능이 있는 물질을 활용하여, 이를 이온토포레시스 시술전문을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Ascorbic Acid에 칼란코에 추출물이 포함된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시술용 조성물을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시술용 조성물은 면역계통을 강화시키며, 적혈구 활동과 면역세포의 생성을 도와주며, 강력한 항산화제 성분으로 외상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여러 가지 색소성 질환의 원인 물질인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하고 진피층의 콜라겐 합성을 도와주는 물질인 칼란코에 추출물과 비타민 C, 알부틴 등의 침투를 위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칼란코에 추출물, 비타민 C와 그의 유도체는 외용으로는 거의 진피내에 도달하지 않는데, 따라서 이의 물질을 효율적으로 피부의 표피와 진피내로 침투 시키기 위해서는 적정한 이온토포레시스만이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상의 이온토포레시스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 또한, 간단함으로써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어 소비자들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3가지 조성물인 본 발명과 비교예와의 항산화도 실험값 비교를 나타낸 것.
도 2는 3가지 조성물인 본 발명과 비교예와의 수분잔류량 실험값 비교를 나타낸 것.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 및 "제 3(third)"과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색소성 질환의 원인 물질인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하고 진피층의 콜라겐 합성을 도와주는 물질인 칼란코에 추출물과 비타민 C, 알부틴 등의 침투를 위한 효과를 가지며, 칼란코에 추출물, 비타민 C와 그의 유도체는 외용으로는 거의 진피내에 도달하지 않는데, 따라서 이의 물질을 효율적으로 피부의 표피와 진피내로 침투 시키기 위해서는 적정한 이온토포레시스만이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상의 이온토포레시스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상세하게는,
Ascorbic Acid에 칼란코에 추출물이 포함된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시술용 조성물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Ascorbic Acid 20.00중량% ~ 62.70중량%, Magnesium Ascorbylphosphate 0.10중량% ~ 15.00중량%, 알부틴 5.00중량%, 칼란코에 추출물 0.10중량% ~ 10.00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5.00중량% ~ 40.00중량%, 알파-비사볼올 0.05중량% ~ 0.01중량% , 구연산나트륨 27.00중량% ~ 9.99중량%으로 이루어지는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시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칼란코에 추출물은 분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험방법과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인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조성물을 이해한다.
실시예 1
전체 조성물인 수용액 중량 대비하여 Ascorbic Acid에 칼란코에 추출물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3가지 종류의 조성물에 대하여, 항산화물질 Ascorbic Acid 100%에 대하여 항산화도를 비교하여 실험한 값을 제공한다.
또한, Ascorbic Acid 20.00중량% ~ 62.70중량%, 칼란코에 추출물 0.10중량% ~ 10.00중량%에 나이아신아마이드 5.00중량% ~ 40.00중량%, 알파-비사볼올 0.05중량% ~ 0.01중량% , 구연산나트륨 27.00중량% ~ 9.99중량%, Magnesium Ascorbylphosphate 0.10중량% ~ 15.00중량%, 알부틴 5.00중량% 첨가하여 혼합물을 만든다.
성분명 조성물 함량(%)
조성물 1
조성물 함량(%)
조성물 2
조성물함량(%)
조성물 3
Ascorbic Acid 20.00 40.00 62.70
Magnesium Ascorbylphosphate 15.00 7.50 0.10
알부틴 5.00 5.00 5.00
칼란코에 추출물(powder) 10.00 5.00 0.10
나이아신아마이드 40.00 20.00 5.00
알파-비사볼올 0.01 0.05 0.10
구연산나트륨 9.99 22.45 27.00
합계 100100 100100 100100
상기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3가지 조성물 함량에 관한 것이다.(상기 수치는 중량% 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주요 원료인 칼란코에(Kalanchoe Gastonis-Bonnieri Leaf Extract) 분말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추출 -> 필터 -> 40℃ Evaporating -> 40℃ 진공건조 -> 분말 회수
항산화물질의 가장 큰 특징적인 기작은 유리기와 반응하는 것으로 유리기 소거작용은 활성라디칼(free radical)에 전자를 공여하여 식물 중의 항산화 효과나 인체에서의 노화를 억제하는 척도로 사용된다.
본 실험에서는 칼란코에 추출물이 가지는 항산화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 DPPH법을 이용하여 항산화할성을 측정한다.
각 조성물 40㎕를 300μM DPPH/EtOH 760㎕에 첨가한 후 30분간 37℃에서 방치한 후 UV/Vis spectrophotometer(GENESYS 10S Vis Spectrophotometer)을 이용하여 518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항산화 활성도출을 위한 실험식은 다음과 같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조성물에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각의 항산화도를 도출하는 것이다.
항산화도={1-(항산화물질 첨가구의 흡광도)/(항산화물질 무 첨가구의 흡광도)}×100 각각의 조성물에 대하여 대략 1주일 간격으로 4번의 기간에 걸친 평균값을 비교대상과 함께 동일한 조건으로 실험측정한 결과는 표2에 제공한다.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항산화도, %)
농도(㎍/㎖) Ascorbic acid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0.5 2.12 3.34 2.81 1.41
1.5 8.61 11.21 9.84 7.21
6 33.51 40.85 37.12 34.21
50 52.39 63.35 59.47 54.11
200 63.25 78.25 80.21 66.51
상기 표 2는 실험식에 근거한 Ascorbic Acid대비 결과값에 관한 것이다.
상기 표 2 및 도 1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교예인 Ascorbic Acid 대비하여, 최대 125% 항산화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3가지 조성물인 본 발명과 비교예와의 항산화도 실험값 비교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살펴보면, 본 발명인 조성물들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동일한 항산화도를 보이며, 점점 증가하여 최대 125%의 항산화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수 있다.
이는 값비싼 Ascorbic Acid 100%중량의 비교예에 비하여 저렴한 가격과 흔히 보이는 칼란코를 이용한 조성물인 것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인 경우에는 비교예에 비하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매우 우수한 항산화도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사용량의 증가에 따른 항산화 효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척도인 것이다.
실시예 2
전체 조성물인 수용액 중량 대비하여 Ascorbic Acid에 칼란코에 추출물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3가지 종류의 조성물에 대하여, 피부의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로 수분 함량의 정도에 따라 피부의 상태 측정값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1
(aram HUVIS회사( 회사 도메인 http://www.aramhuvis.com/ )에 판매하고 있는 ASG(AramoSG)제품을 사용하였음)
상기 기기의 사용설명서에 의하여, 측정 부위에 수분 측정기를 1~2초 정도 접촉하면 '삐이~'소리가 나면서 피부의 수분량이 0~100의 단위로 측정되어 본체 전면의 LCD창에 수치를 표시하게 되고 이 값은 컴퓨터에서 동작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자동 반영되는 것이다.
수분잔류량(%)
시간(day) Ascorbic acid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1 34 39 38 36
2 35 40 39 38
3 36 41 40 39
4 38 43 42 41
5 39 45 43 42
6 39 45 43 42
상기 표 3은 Ascorbic Acid대비 조성물의 결과값에 관한 것이다.
상기 표 3 및 도 2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비교예인 Ascorbic Acid 대비하여 평균111% 수분 잔류량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3가지 조성물인 본 발명과 비교예 Ascorbic Acid 와의 수분 잔류량 실험값 비교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살펴보면, 본 발명인 조성물들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비교예 Ascorbic Acid 에 비하여 최대 115%의 수분잔류량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비교예인 값비싼 Ascorbic Acid 100%중량의 비교예에 비하여 저렴한 가격과 흔히 보이는 칼란코에를 이용한 조성물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

  1. Ascorbic Acid에 칼란코에 추출물이 포함된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시술용 조성물.
  2. Ascorbic Acid 20.00중량% ~ 62.70중량%, Magnesium Ascorbylphosphate 0.10중량% ~ 15.00중량%, 알부틴 5.00중량%, 칼란코에 추출물 0.10중량% ~ 10.00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5.00중량% ~ 40.00중량%, 알파-비사볼올 0.05중량% ~ 0.01중량%, 구연산나트륨 27.00중량% ~ 9.99중량%으로 이루어지는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시술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란코에 추출물은 분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시술용 조성물.
KR1020130126777A 2013-10-23 2013-10-23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조성물 KR20150047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777A KR20150047040A (ko) 2013-10-23 2013-10-23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조성물
PCT/KR2013/009524 WO2015060476A1 (ko) 2013-10-23 2013-10-24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시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777A KR20150047040A (ko) 2013-10-23 2013-10-23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040A true KR20150047040A (ko) 2015-05-04

Family

ID=52993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777A KR20150047040A (ko) 2013-10-23 2013-10-23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47040A (ko)
WO (1) WO2015060476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0816B2 (ja) * 2000-12-15 2012-02-22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皮膚老化防止剤
KR101030327B1 (ko) * 2008-05-14 2011-04-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이온 도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0476A1 (ko)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38976T3 (es) Composición cosmética que contiene producto de baya de ginseng con Pleurotus ferulae fermentado
KR101972071B1 (ko) 피부톤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BRPI1000320B1 (p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skin aging signs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6979B1 (ko) 오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82112B1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20003178A (ko)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조성물
Dimaki et al. Diabetic skin and UV light: Protection by antioxidants
KR101220903B1 (ko)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CN108578325A (zh) 一种保湿防晒组合物及其用途
Nino et al. Carnosine and N-acetylcarnosine induce inhibition of UVB erythema in human skin
KR20100021755A (ko)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468579B1 (ko) 약물 또는 활성물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속용성 필름조성물, 속용성 필름 제제 및 이를 이용한이온영동패취세트
KR101370990B1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KR101809545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73863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47040A (ko)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조성물
KR20070103173A (ko) 코엔자임 q10을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
KR102135551B1 (ko) 포름오노네틴을 지표성분으로 포함하는 레드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티에이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1514A (ko) 마디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67375B1 (ko) 복합 조직배양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74850B1 (ko)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50089234A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355892B1 (ko) 레티놀과 테트라디부틸 펜타에리스리틸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