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6909A -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 - Google Patents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6909A
KR20150046909A KR1020130126476A KR20130126476A KR20150046909A KR 20150046909 A KR20150046909 A KR 20150046909A KR 1020130126476 A KR1020130126476 A KR 1020130126476A KR 20130126476 A KR20130126476 A KR 20130126476A KR 20150046909 A KR20150046909 A KR 20150046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ue
billiard
uni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이브애프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이브애프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이브애프터
Priority to KR1020130126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6909A/ko
Publication of KR20150046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는 촬영부,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을 영상처리 하는 영상 처리부,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을 보정하는 영상 보정부, 유저의 스트록에 의해, 당구 큐에 의해 공에 전달되는 힘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동작인식 모듈, 및 동작인식 모듈이 감지한 정보를 수치화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고점자의 경우 카메라를 통해 취득된 영상과 영상을 기반으로 분석된 당점의 좌표를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여 영상을 직접 재생하거나, 취득된 영상좌표를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재생하여, 하점자와 함께 보면서 하점자에게 교육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고점자 본인의 미스큐를 확인하고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하점자의 경우 본인이 의도한 대로 당점을 쳤는지를 분석하여 미스큐를 확인함으로써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BILLIARD CUE FOR POSE CORRECTION}
본 발명은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당구 큐에 탑재되어 당구게임 중 스트록 과정에서의 당점과 큐꺽임, 그리고 그립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구게임 중, 유저(USER)가 당구 큐로 당구공을 타격할 때 본인이 의도한 당점(회전타격점)을 타구하지 못하고 의도한 바와 다른 당점을 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다른 당점을 타격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유저가 대부분이고 이는 실력이 낮은 경우에 더욱 많이 발생한다.
또한, 당구게임 중, 고점자의 경우 하점자에게 교육을 해주고자 할 경우 당점에 대해 설명은 가능하지만 이를 도식화하여 보여주기에는 한계가 있다.
당구게임 중 유저가 당구공을 타격할 때 당구 큐는 직선운동을 해야하지만, 상당수의 사용자가 당구공을 타격할 때, 큐꺽임이 발생되거나 필요한 만큼 큐를 깊게 밀어넣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하지만 이를 수치화하거나 도식화하여 안내해 줄 수가 없어서 고점자가 하점자에게 정확한 교육을 해주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당구게임 중 유저가 당구공을 타격할 때 큐를 잡고 있는 그립의 움직임에 따라 타구 후 당구공의 움직임에 물리적인 영향을 주어 유저가 원하는 타구결과에 영향을 주게된다.
하지만, 당구의 긴 역사에 비해서 체계적으로 분석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다행스럽게도,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해 당구계에서는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단순하게 고점자의 시합 중, 스트록하는 과정을 방송용 영상카메라 등으로 대회 시 뒤에서 촬영하여주는 것 정도로 영상을 제시해주고 있는 것이 전부다.
이마저도, 단순하게 선수의 뒤에서 후면 그립 영상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하점자의 경우 영상만을 보고 쉽게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별도로 본인의 그립형태에 대해 보고 분석해야 잘못된 부분을 찾아내어 교정하려고 하는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7908(2013.05.21)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당구게임 중 스트록 과정에서의 당점과 큐꺽임, 그리고 그립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큐의 움직임, 큐의 스피드, 타격시점 분석, 큐꺽임의 이미지화, 당점의 이미지화 등을 처리하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는 촬영부,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을 영상처리 하는 영상 처리부,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을 보정하는 영상 보정부, 상기 유저의 스트록시 큐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동작인식 모듈, 동작인식 모듈이 감지한 정보를 수치화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는 고점자의 경우 카메라를 통해 취득된 영상과 영상을 기반으로 분석된 당점(회전타격점)의 좌표를 외부의 PC로 전송하여 영상을 직접 재생하거나, 취득된 영상좌표를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재생하여, 하점자와 함께 보면서 하점자에게 교육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고점자 본인의 미스큐를 확인하고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하점자의 경우 본인이 의도한 대로 당점을 쳤는지를 분석하여 미스큐를 확인함으로써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여 당구실력 향상에 도움을 주며, 스트록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는 비틀림이 발생되는 정도를 수치화, 데이터화 하여 디스플레이해줌으로써 올바른 스트록을 통해, 실력이 상승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는 다양한 스트록에 따라 큐를 쥐고 있는 손의 상이한 그립모양을 상세히 촬영하여,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밑바탕을 제공하고, 추후 당구교육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가 당점 촬영을 위해 전방으로 설치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가 공이 위치한 전방과 손목 전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큐에 탑재된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가 당점 촬영, 손목 전후방 촬영을 위해 당구 큐에 장착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의 블록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20)는 촬영부(21), 주제어부(22) 영상 처리부(23), 영상 보정부(24), 동작인식 모듈(25), 무선 송·수신부(26), 메모리부(27)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부(21)는 렌즈 등이 구비된 구성으로서 직접 사물을 촬영하고, 상기 주제어부(22)는 상기 촬영부(21)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상기 영상 처리부(23)에 전달하면, 상기 영상 처리부(23)는 상기 큐에 의해 타격된 당구공의 당점 또는 회전방향, 스트록 시 손목의 비틀림, 및 스트록 시 큐를 유저가 잡는 그립의 손 움직임 영상 즉, 유저가 스트록을 실시하는 시점과 해당 시점의 전후 영상만을 집중적으로 취득하는 영상처리를 한다.
상기 영상 보정부(24)는 상기 영상 처리부(23)에서 영상처리된 영상에서 당점이 잘못된 경우, 바람직한 당점을 표시하거나, 또는 스트록시 손목의 비틀림 및 그립의 손 움직임이 잘못된 경우, 바람직한 손목의 비틀림과 큐를 유저가 잡은 그립의 손 움직임을 표시하여 자세교정을 유도한다.
상기 동작인식 모듈(25)은 내부에 이동하는 물체의 가속도, 충격의 세기, 기울기 등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가 내장되고, 유저가 스트록을 실시할 때, 각속도 센서가 측정한 기울기를 통해 큐꺽임, 큐의 움직임, 수평면과 이루는 큐의 각도를 측정하고, 가속도 센서가 측정한 가속도를 통해 큐의 스피드, 타구시점, 타구시 큐의 멈춤정도, 큐의 속도, 전·후방으로 이동한 큐의 이동거리, 큐의 기타 움직임을 감지한다.
참고로, 상기 동작인식 모듈(15)은 회전관성 및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를 비롯한 다른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무선 송/수신부(26)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RF, 지그비통신 등 무선 송수신장치로, 상기 촬영부(21)가 촬영한 영상을 무선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부(30)나 주변에 구비된 다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부(27)는 상기 촬영부(21)가 촬영한 영상, 동작인식 모듈(25)가 감지한 큐의 속도, 큐의 이동거리, 큐의 각도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27)은 바람직한 자세에서의 큐에 의해 타격된 당구공의 당점 또는 회전방향, 스트록 시 손목의 비틀림, 및 스트록 시 큐를 유저가 잡는 그립의 손 움직임 영상 등을 저장하고 있는데, 이는 상기 영상 보정부(24)에 의한 보정시 비교자료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이 위치한 전방을 향해 설치된다.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가 당점 촬영을 위해 전방으로 설치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20)는 전방의 당구공을 향하도록 당구 큐(10)에 장착되어, 스트록이 이루어질 때 상기 당규 큐(10)의 상대(Shaft) 말단에 구비된 팁(Tip)이 타격하는 당구공의 위치를 촬영한다.
한편, 상기 당구 큐(10) 또는 상기 카메라(20)에는 디스플레이부(3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조작이 가능하며, 조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20)가 촬영한 영상을 바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조작 가능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터치를 통해 승점과 감점을 바로 등록시킬 수도 있다.
참고로, 도 2에서 하부에 도시된 도면이 상기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 전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당구 큐에 탑재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가 공이 위치한 전방과 손목 전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큐에 탑재된 도면이다.
손목 전방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20)는 당점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20)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당규 큐(10)에 장착되어 유저가 손으로 상기 당구 큐(10)의 하대(Butt)를 그립한 상태를 전방에서 촬영한다.
마찬 가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조작에 따라 손목 전방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20)가 촬영한 영상을 도 3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는 손목 후방을 촬영하기 위해 당구 큐에 더 탑재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가 당점 촬영, 손목 전후방 촬영을 위해 당구 큐에 장착된 도면이다.
손목 후방을 촬영하기 휘한 카메라(20)는 손목 전방 촬영을 위한 카메라(20)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당규 큐(10)에 장착되어, 유저가 손으로 상기 당구 큐를 그립한 상태를 후방에서 촬영한다.
이때도 역시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조작에 따라 손목 후방 촬영을 위한 카메라(20)가 촬영한 영상을 도 4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는 당점 촬영과, 손목 전방 촬영, 그리고 손목 후방 촬영을 위해 2개 이상이 동시에 상기 큐(10)에 탑재되어 구동될 수도 있고, 한 부분만을 촬영하기 위해 하나의 카메라만이 상기 큐(10)에 탑재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
복수의 카메라(20)가 동시에 구동되어 촬영한 영상은 특정 카메라의 촬영 영상만이 선택되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도 4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2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당구 큐(10)의 상부에만 장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측부 및 하부에 동시 설치가능하며, 카메라가 상부, 하부 및 측부에 동시에 설치하여 촬영한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여 완전한 그립의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하기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당구 큐
20 : 카메라
21 : 촬영부
22 : 색상 추출부(160)
23 : 송/수신부
24 : 데이터 베이스부
25 : 동작인식 모듈
26 : 유-무선 송/수신부
27 : 메모리부

Claims (13)

  1. 당구 큐(10)에 탑재되는 카메라(20)에 있어서,
    촬영부(21);
    상기 촬영부(21)가 촬영한 영상을 영상처리 하는 영상 처리부(23);
    유저의 스트록시 큐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동작인식 모듈(25); 및
    상기 동작인식 모듈(25)이 감지한 정보를 수치화하는 주제어부(22);
    를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22의 수치화된 데이터 또는 상기 촬영부(21)가 촬영한 영상을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유-무선 송/수신부(26);를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인식 모듈(25)이 감지하는 정보는 큐꺽임, 큐의 움직임, 큐스피드, 타구시점, 타구시 큐의 멈춤정도, 큐의 속도, 전·후방으로 이동한 큐의 이동거리, 수평면과 이루는 큐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23)에서 처리된 영상을 보정하는 영상 보정부(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부(24)는
    상기 영상에 왜곡이 발생하거나, 공 및 그립을 정면에서 보는 것과 최대한 가깝게 보여지도록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23)에 의한 상기 영상처리는 상기 당구 큐(10)에 의해 타격된 당구공의 당점, 유저가 스트록을 실시하는 시점과 해당 시점의 전후 영상만을 집중적으로 취득하는 영상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21)는
    스트록이 이루어질 때 상기 당규 큐(10)의 상대(Shaft) 말단에 구비된 팁(Tip)이 타격하는 당구공의 당점 위치,
    유저(user)가 손으로 상기 당구 큐(10)를 그립한 전방위치, 또는
    상기 유저가 손으로 상기 당구 큐(10)를 그립한 후방위치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22)는
    상기 촬영부(21)가 촬영한 당점 영상에서 해당 당점의 좌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21)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부(24)가 상기 주제어부(22)에 의해 추출된 좌표를 이용하여 영상을 이미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터치를 통해 승점과 감점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
  13. 제 1항 내지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당구 큐(10)의 상부, 하부 및 측부에 동시탑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
KR1020130126476A 2013-10-23 2013-10-23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 KR20150046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476A KR20150046909A (ko) 2013-10-23 2013-10-23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476A KR20150046909A (ko) 2013-10-23 2013-10-23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909A true KR20150046909A (ko) 2015-05-04

Family

ID=53386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476A KR20150046909A (ko) 2013-10-23 2013-10-23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69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46760A1 (en) Motion capture and analysis
JP6176673B2 (ja) 複数のカメラで運動する被写体を撮影し、その撮影イメージに基づいて被写体の実際の運動軌跡を取得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TW201501752A (zh) 運動解析方法及運動解析裝置
US10512833B2 (en) Presentation method, swing analysis apparatus, swing analysis system, swing analysi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O2007064726A2 (en) Position determin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JP5584961B2 (ja) ゴルフクラブの試打システムおよびゴルフクラブの試打方法
US20150111657A1 (en) Movement analysis method, movement analysis apparatus, and movement analysis program
JP6415842B2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システム
KR101495961B1 (ko)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US10286285B2 (en) Display method, display apparatus, motion analysis system, motion analysi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6380733B2 (ja) 運動解析装置、運動解析システム、運動解析方法、運動解析情報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106670A (ko) 운동 해석 방법, 운동 해석 장치, 운동 해석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1282319B1 (ko) 사용자의 골프 실력을 진단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CN113926172A (zh) 使用被配置为检查重叠状态下两个高尔夫图像和结果数据的应用程序的姿势比较和校正方法
CN107106900A (zh) 检测装置、检测系统、运动分析系统、记录介质以及分析方法
KR101624595B1 (ko) 골프 스윙 모니터링 시스템과 그에 연동되는 골프 클럽
KR102268954B1 (ko) 골프 공 타격을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스윙 모션 분석 장치
US10948978B2 (en) Virtual object operating system and virtual object operating method
JP2019187501A (ja) スイング解析システム、およびスイング解析方法
KR102097033B1 (ko) 보디 포인트 인터액션 센싱을 통한 모션 추정 시스템
KR20150046909A (ko) 당구 큐에 탑재되는 카메라
JP6438899B2 (ja) ゴルフ練習具
KR20150113800A (ko) 단말 장치, 프로그램 및 표시 방법
KR101767953B1 (ko) 골프 스윙 촬영 시각 검출 방법, 골프 스윙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
JP7248353B1 (ja) ヒッティング解析システム及びヒッティング解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