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347A - 광학 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347A
KR20150045347A KR20130125550A KR20130125550A KR20150045347A KR 20150045347 A KR20150045347 A KR 20150045347A KR 20130125550 A KR20130125550 A KR 20130125550A KR 20130125550 A KR20130125550 A KR 20130125550A KR 20150045347 A KR20150045347 A KR 20150045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preventing member
deformation preven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현
이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307,885 priority Critical patent/US9296221B2/en
Priority to PCT/KR2014/005776 priority patent/WO2015056865A1/en
Priority to EP14180311.4A priority patent/EP2862721B1/en
Priority to CN201410554038.3A priority patent/CN104570656B/zh
Publication of KR20150045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347A/ko
Priority to US15/045,856 priority patent/US946531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B41J2/47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 B41J2/47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using multiple light beams, wavelengths or colou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4Arrangements for exposing and producing an image
    • G03G2215/0402Exposure devices
    • G03G2215/0421Plurality of devices for producing the image (excluding dedicated eras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Abstract

광학 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 형성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광학 주사 장치는 화상신호에 따라 광빔을 출사하는 광원부; 광원부에서 출사된 광빔을 편향하여 주사하는 광 편향기; 측부에 광원부가 설치되고, 베이스 면에 광 편향기가 설치되는 하우징; 및 베이스 면의 상부를 가로 지르며 하우징의 양측을 연결하는 연결하는 변형 방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학 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 형성 장치{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 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속을 광 편향기로 반사 편향시켜 피주사면상에 결상시키는 광학 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프린터나 디지털 복사기, MFP(다기능 프린터) 등과 같은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는 광학 주사 장치를 통해 감광체에 광을 주사(scanning)함으로써 정전잠상을 형성하며, 형성된 정전잠상은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이용하여 현상화상으로 현상되고, 현상화상은 인쇄매체 상에 전사되는 구조를 지닌다.
이러한 광학 주사 장치는 광원이나 광 편향기 등의 광부품을 실장하는 하우징으로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플라스틱 수지 재료의 하우징은 주변 및 내부 온도변화에 의하여 부품의 열변형이 발생하여 광빔이 피노광체에 결상되는 위치가 틀어질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열변형에 의한 피노광체에서의 결상위치 변화 경향은 컬러 화상 형성 장치와 같은 복수의 광빔을 주사하는 광학 주사 장치에서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 종래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 복수의 광속을 1개의 광광 편향기를 이용해서 주사하는 경우에, 주사후의 광속을 상이한 색에 대응한 각각의 감광체에 인도하기 위해 복수의 광속을 편향수단의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경사입사 시킨 후 광속을 분리하는 방법이 도입되어 있다. 경사 입사 방식의 광학 주사 장치는 콤팩트한 광경로 레이아웃과 부품수를 적게하여 재료비를 줄이는데 유리한 구조로 알려져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 광학 주사 장치는 이러한 열변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광원들이 조립되는 플랜지들을 하우징에 탄성부재들로 고정하면서, 탄성부재들의 조립방향을 플랜지별로 달리 하면서 광원의 발열 및 주변 온도환경 변화로 발생되는 피노광체에서의 결상위치 변화 경향을 일치시키는 방향으로 설계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설계적으로 복수의 광원간의 거리(예를 들어, 12mm이하)가 작은 광학 주사 장치의 경우에는 광원의 홀더(플랜지)를 별도로 구성이 어렵고 또한 탄성부재를 홀더(플랜지)에 조립하기 위한 공간를 구성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광원별로 탄성부재를 조립하면서 부품수 및 조립공수가 증가하여 재료비와 공정 측면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열변형 및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도출 된 것으로서, 온도환경 변화에 따른 복수의 광원 결상 위치 변화를 억제한 광학 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학 주사 장치는 화상신호에 따라 광빔을 출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출사된 광빔을 편향하여 주사하는 광 편향기; 측부에 상기 광원부가 설치되고, 베이스 면에 상기 광 편향기가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 면의 상부를 가로 지르며 상기 하우징의 양측을 연결하는 연결하는 변형 방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변형 방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재질보다 열팽창계수가 작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변형 방지 부재는 예를 들어 금속 혹은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원부가 설치되는 제1 측벽과, 상기 광 편향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측벽에 대향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변형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형 방지 부재의 상기 제1 측벽에 연결되는 지점은 상기 광원부가 설치되는 영역이거나 상기 광원부가 설치되는 영역에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변형 방지 부재는 길다란 바 형상 혹은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변형 방지 부재는 하나 또는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 면을 기준으로, 상기 변형 방지 부재는 상기 광원부의 광원의 설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변형 방지 부재는 강성 보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강성 보강 구조는 상기 변형 방지 부재의 횡단면상의 꺽임부, 상기 변형 방지 부재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엠보싱, 및 상기 변형 방지 부재의 표면에 마련되는 리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변형 방지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변형 방지 부재가 위치한 곳에 인접하게 마련된 방열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복수의 광원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광원들은 상기 하우징의 동일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일체형 광원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광원 홀더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이 실장되는 하나의 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편향기에 입사하는 광빔들은 부주사 방향에 대해 경사 입사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제1 내지 제4 광빔들을 출사하는 제1 내지 제4 광원들을 포함하며, 상기 광 편향기는 상기 제1 내지 제4 광원들에서 출사된 제1 내지 제4 광빔들 중 제1 및 제2 광빔들을 일 편향면에서 편향 주사시키며, 나머지 제3 및 제4 광빔들은 상기 일 편향면과 다른 편향면에서 편향 주사시킬 수 있다.
상기 광원부와 상기 광 편향기 사이에 배치되는 입사 광학계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입사 광학계는 상기 광원부에서 출사된 광빔을 평행 광속으로 정형하는 콜리메이터 렌즈와 상기 광원부에서 출사된 광빔을 광광 편향기의 편향면에 부주사 방향으로 집속시키는 실린드리컬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편향기에서 편향 주사되는 광빔을 피주사면에 결상시키는 결상 광학계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상 광학계는 광속을 등속 결상하는 하나 혹은 복수의 주사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담지체; 상기 상담지체의 피주사면에 광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학 주사 장치; 및 상기 상담지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 주사 장치는 화상신호에 따라 광빔을 출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출사된 광빔을 편향하여 주사하는 광 편향기; 측부에 상기 광원부가 설치되고, 베이스 면에 상기 광 편향기가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 면의 상부를 가로 지르며 상기 하우징의 양측을 연결하는 연결하는 변형 방지 부재;를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의한 광학 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 형성 장치는 온도환경 변화에 따른 복수의 광원 결상 위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광학 주사 장치에서 열팽창계수가 하우징 재질 보다 작은 부재를 이용한 단순 구성으로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면서 광빔의 결상 위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의한 광학 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광빔들을 주사함에 있어서 하나의 광 편향기를 사용하면서 광원 각각의 홀더를 별도 구성하지 않고 일체화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경사 입사 컬러 광학 주사 장치에서 장치내 온도 상승에 따른 4개 컬러 광빔의 결상위치 변화를 억제하여 고품질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Color Registration)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주사 장치를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학 주사 장치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광학 주사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광학 주사 장치의 광원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광 편향기와 광원부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광학 주사 장치에 사용된 변형 방지 부재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의 광학 주사 장치의 광학적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은 비교예의 광학 주사 장치의 열 변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비교예의 광학 주사 장치의 열 변형을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의 열 변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광학 주사 장치의 열 변형에 따른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비교예의 광학 주사 장치의 온도에 따른 열 변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의 온도에 따른 열 변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주사 장치를 커버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광학 주사 장치에 사용된 변형 방지 부재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4의 광학 주사 장치를 커버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주사 장치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주사 장치(100)를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100)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100)을 A-A' 단면에서 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광 주사 장치(100)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 내에 실장되는 광원부(120) 및 광 편향기(150)와, 하우징(110)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변형 방지 부재(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플라스틱 수지로 성형된 몰드 구조물일 수 있다.
하우징(110)은 베이스 면(111)과 베이스 면(111)을 둘러싸는 측벽들(112, 1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광학 주사 장치의 광원부(120)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광원부(120)의 배치를 광 편향기(150)와의 관계에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광원부(120)는 제1 내지 제4 광원(121a, 121b, 121c, 121d)와, 제1 내지 제4 광원(121a, 121b, 121c, 121d)을 하우징(110)에 고정시키는 광원홀더(125)를 포함한다. . 제1 내지 제4 광원(121a, 121b, 121c, 121d)으로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채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광원(121a, 121b, 121c, 121d)은, 예를 들어,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화상신호에 따라 변조되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을 출사한다.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110)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 편향기(150)의 동일 측으로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을 향하게 하므로, 제1 내지 제4 광원(121a, 121b, 121c, 121d)은 하우징(110)의 동일 측벽(이하, 제1 측벽)(112)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1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사 광학계를 채용하므로, 제1 내지 제4 광원(121a, 121b, 121c, 121d)은 2*2의 행렬 배열로 조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홀더(125)는 제1 내지 제4 광원(121a, 121b, 121c, 121d)에 대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광원 홀더(125)에는 4개의 고정 구멍(125a, 125b, 125c, 125d)이 마련되어, 광원 홀더(125)의 후면에서 제1 내지 제4 광원(121a, 121b, 121c, 121d)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광원 홀더(125)의 전면에서 볼 때, 4개의 고정 구멍(125a, 125b, 125c, 125d)(결과적으로, 제1 내지 제4 광원(121a, 121b, 121c, 121d))은 광 편향기(150)의 회전축(159)에 대해 2개씩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광원(121a, 121b)과 제3 및 제4 광원(121c, 121d)은 주주사 방향(X 방향)으로 광 편향기(150)의 회전축(159)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제1 및 제2 광원(121a, 121b)은 부주사 방향(Y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제3 및 제4 광원(121c, 121d) 역시 부주사 방향(Y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 홀더(125)는 하우징(110)의 제1 측벽(112)과 일체로 플라스틱 수지 몰드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광원 홀더(125)는 하우징(110)과 별개로 제조되어 하우징(110)에 부착될 수도 있다. 광원부(120)는 제1 내지 제4 광원(121a, 121b, 121c, 121d)이 실장되는 하나의 회로기판(1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광원(121a, 121b, 121c, 121d)에서 출사된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은 하나의 광 편향기(150)에 의해 편향되어 주사된다. 광 편향기(150)는 예를 들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반사면, 즉 편향면을 가지는 회전 다면경(151)과, 회전 다면경(15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광 편향기(150)는 기판(158)상에 장착되어 하우징(110)의 베이스 면(110)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설치된다. 광 편향기(150)는 다른 예로 멤스(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미러일 수도 있다.
도 6은 도 1의 광학 주사 장치(100)에 사용된 변형 방지 부재(140)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110)는 하우징(110)의 베이스 면(111)의 상부를 가로 지르며 하우징(110)의 제1 및 제2 측벽(112, 113)을 연결하는 연결하는 변형 방지 부재(140)를 더 포함한다. 변형 방지 부재(140)의 제1 측벽(112)에 연결되는 지점은 광원부(120)가 설치되는 영역 혹은 이에 인접한 영역(도 3의 R 영역)일 수 있다. 제2 측벽(113)은 광 편향기(150)를 사이에 두고 제1 측벽(112)에 대향되는 측벽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변형 방지 부재(140)는 광 편향기(150)의 상부 내지 상부의 인접한 영역을 가로지르게 된다.
광학 주사 장치(100)에서 광원부(120)의 제1 내지 제4 광원(121a, 121b, 121c, 121d)이나 광 편향기(150)의 구동모터는 작동중에 열이 발생된다. 한편, 광학 주사 장치(100)는 화상 형성 장치 내에서 비산되는 먼지들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우징(110) 내에 실장되는 광원부(120) 및 광 편향기(150)나 그밖의 주변환경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하우징(110)은 열변형이 될 수 있는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변형 방지 부재(140)에 의해 하우징(110)의 열변형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변형 방지 부재(140)는 하우징(110)의 재질보다 열팽창계수가 작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 방지 부재(140)는 예를 들어 금속 혹은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 방지 부재(140)는 길다란 바(bar) 구조물(141)의 양단이 하우징(110)의 제1 및 제2 측벽(112, 113)에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수단(145)으로 4점 고정될 수 있다. 변형 방지 부재(140)는, 하우징(110)의 베이스 면(111)을 기준으로, 광원부(120)의 제1 내지 제4 광원(121a, 121b, 121c, 121d)의 설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변형 방지 부재(140)는 강성 보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강성 보강 구조는 하우징(110)의 열변형에 대해 변형 방지 부재(140)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으로서, 공지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성 보강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다란 바(bar) 구조물(141)의 횡단면상에 꺽임부(142)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강성 보강 구조는 변형 방지 부재(140)의 길다란 바(bar) 구조물(141)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엠보싱이나 리브(lib)와 같은 구조일 수 있으며, 이들 구조가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방지 부재(140)가 광원부(120)가 설치되는 영역 혹은 이에 인접한 영역(R 영역) 내에서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변형 방지 부재(140)는 광 편향기(150)의 바로 상부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100)는 변형 방지 부재(140)가 하나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광원부(120)가 설치되는 영역 혹은 이에 인접한 영역(R 영역) 내에서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변형 방지 부재(140)는 광원부(120)가 설치되는 영역 혹은 이에 인접한 영역(R 영역) 바깥에 추가적으로 마련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도 1의 광학 주사 장치의 광학적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100)의 광학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내지 제4 광원(121a, 121b, 121c, 121d)과 광 편향기(150) 사이의 광경로 상에는 입사 광학계(130)가 마련될 수 있다. 입사 광학계(130)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 각각의 광경로 상에 마련되는 콜리메이터 렌즈들(131a, 131b, 131c, 131d) 및 실린드리컬 렌즈들(135ab, 135cd)를 포함할 수 있다. 콜리메이터 렌즈들(131a, 131b, 131c, 131d)은 제1 내지 제4 광원(121a, 121b, 121c, 121d)에서 출사된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을 평행광 혹은 수렴광으로 만들어 주는 집광 렌즈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리메이터 렌즈(131a, 131b, 131c, 131d)는 광원 홀더(125)의 4개의 고정 구멍(125a, 125b, 125c, 125d)의 전면에 설치되어, 콜리메이터 렌즈(131a, 131b, 131c, 131d)의 렌즈 홀더는 상기 광원 홀더(125)와 일체를 이룰 수 있다. 실린드리컬 렌즈들(135ab, 135cd)은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을 부주사방향(Y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집속시킴으로써, 광 편향기(150)의 편향면에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을 거의 선형으로 결상시키는 아나모픽 렌즈(anamorphic lens)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듯이, 제1 및 제2 광원(121a, 121b)은 부주사 방향(Y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3 및 제4 광원(121c, 121d)은 부주사 방향(Y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광빔(L1, L2)에 대하여 하나의 실린드리컬 렌즈(125ab)가 공용될 수 있으며, 제3 및 제4 광빔(L3, L4)에 대하여 다른 하나의 실린드리컬 렌즈(125cd)가 공용될 수 있다. 물론 실린드리컬 렌즈들(135ab, 135cd)은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콜리메이터 렌즈들(131a, 131b, 131c, 131d)과 실린드리컬 렌즈들(135ab, 135cd)은 각 광경로마다 하나의 광학부품으로 그 기능이 대체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 각각의 광경로 상에는 개구 스톱(aperture stop)(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개구 스톱은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의 광속 단면(즉, 직경과 형상)을 정형한다.
상기와 같은 입사 광학계(130)는 제1 내지 제4 광원(121a, 121b, 121c, 121d)에서 출사된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이 광 편향기(150)의 편향면(131, 132)에 경사지게 입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령, 제1 광원(121a)는 제2 광원(121b)에 대해 부주사 방향(Y 방향)으로 상방에 위치하여 제1 광빔(L1)이 상방에서 소정의 입사각(θ)으로 광편향기(150)의 일 편향면에 경사 입사되고, 제2 광원(121b)는 제1 광원(121a)에 대해 부주사 방향(Y 방향)으로 하방에 위치하여 제2 광빔(L2)은 하방에서 소정의 입사각(θ)으로 광편향기(150)의 동일 편향면에 경사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 2광빔(L1, L2)의 입사각(θ)은 예를 들어 2도 내지 4도의 범위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사 광학계를 경사 광학계로 설계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실린드리컬 렌즈들(135ab, 135cd)이나 후술하는 1차 결상 렌즈(140ab, 140cd)를 공용함으로써 광학부품의 개수를 줄여 재료비를 절감시키고, 광 주사 장치(100)를 좀 더 소형화할 수 있다.
광 편향기(150)와 제1 내지 제4 감광드럼(310) 사이의 광경로 상에는 결상 광학계(160)가 마련될 수 있다. 결상 광학계(160)는 광 편향기(150)에서 편향 주사되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을 제1 내지 제4 감광드럼(310)의 외주면, 즉 피주사면에 각각 결상시킨다.
이러한 결상 광학계(160)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이 제1 내지 제4 감광드럼(310)에 등속 주사되도록 보정하는 fθ 특성을 갖는 렌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결상 광학계(160)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 각각의 광경로 상에 마련되는 1차 주사 렌즈(161ab, 161cd)와 2차 주사 렌즈(165a, 165b, 165c, 165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1차 주사 렌즈(161ab, 161cd)는 부주사 방향으로의 굴절력이 거의 영(0)이 되고 2차 주사 렌즈(165a, 165b, 165c, 165d)가 부주사 방향으로 요구되는 굴절력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한편, 피주사면에 최인접한 2차 주사 렌즈(165a, 165b, 165c, 165d)는 렌즈 정점에 대해 부주사 방향으로 광빔이 편향되어 통과되도록 편심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1차 주사 렌즈(161ab)는 부주사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편향 주사되는 제1 및 제2 광빔(L1, L2)에 대해 공용될 수 있으며, 다른 1차 주사 렌즈(161cd)는 부주사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편향 주사되는 제3 및 제4 광빔(L3, L4)에 대해 공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 주사 렌즈(161ab, 161cd)가 공용됨으로써 광학부품의 수를 줄이고 광 주사 장치(100)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물론,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1차 주사 렌즈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결상 광학계(100)가 각 광경로마다 2개의 주사 렌즈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각 광경로마다 1개의 주사 렌즈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3개 이상의 주사 렌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의 광경로 상에는 경경로 변환부재(170)가 마련될 수 있다. 경경로 변환부재(170)는 예시적으로 1차 주사 렌즈(161ab, 161cd)와 2차 주사 렌즈(165a, 165b, 165c, 165d)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반사미러(171a, 171b, 171c, 171d)와 2차 주사 렌즈(165a, 165b, 165c, 165d) 이후에 배치되는 제2 반사미러(175a, 175b, 175c, 175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경로 변환부재(170)는 광학 주사 장치(100)를 컴팩트하게 하면서, 소정 방향으로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을 출사할 수 있도록 한다.
광 편향기(150)에서 편향 주사되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기 검출 광학계(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100)에서 변형 방지 부재(140)의 기능에 대해 비교예의 광학 주사 장치(100')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비교예의 광학 주사 장치(100')의 열 변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도 9는 비교예의 광학 주사 장치(100')의 열 변형을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한편, 도 10은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100)의 열 변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비교예의 광학 주사 장치(100')는 변형 방지 부재(140)가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1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비교예의 광학 주사 장치(100')가 작동중에 발생하는 열은 광원부(120)에 주로 집중하며, 그밖에 광 편향기(150) 등에서 발생되는 바, 이러한 열에 의해 하우징(110)의 베이스 면(111)은 중앙부분이 기준 베이스 면(즉, 열변형 전의 베이스 면)(118)에 대해 상방으로 휘고, 제1 및 제2 측벽(112, 113)이 기준 측면(즉, 열변형 전의 측벽)(119)에 대해 바깥으로 휘는 방향으로 휘는 변형(140')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열 변형은, 제1 내지 제4 광원(121a, 121b, 121c, 121d)이 2*2의 행렬 배열로 조밀하게 배치됨에 따라, 제1 내지 제4 광원(121a, 121b, 121c, 121d)이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광경로적 특성에 의해 광 편향기(150)의 회전축(159)을 기준으로 좌편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광원(121a, 121b)에서 주사된 제1 및 제2 광빔(L1, L2)과 우편에 위치하는 제3 및 제4 광원(121c, 121d)에서 주사된 제3 및 제4 광빔(L3, L4)의 결상 위치의 변화되는 경향은 반대로 나타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100)는 하우징(110)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변형 방지 부재(140)를 채용함으로써, 하우징(110)의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방지 부재(140)가 없는 경우, 열변형에 의한 하우징(110)의 변형(140')은 주로 베이스 면(111)은 중앙부분이 기준면(즉, 열변형 전의 면)에 대해 상방으로 휘고, 제1 및 제2 측벽(112, 113)이 바깥으로 휘는 방향으로 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변형 방지 부재(140)가 하우징(110)의 상부를 가로지르며, 특히,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스트레스가 가장 크게 발생하는 제1 측벽(112)의 광원부(120)가 설치되는 영역 혹은 이에 인접한 영역(도 3의 R 영역)과 이에 대향되는 제2 측벽(113)을 연결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하우징(110)의 변형(140')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1은 광학 주사 장치의 열 변형에 따른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2는 비교예의 광학 주사 장치(100')의 온도 상승에 따른 열 변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3은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100)의 온도 상승에 따른 열 변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없는 경우,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의 색상에 대응되는 4개의 광빔들은 정확한 위치에 주사되는데,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열변형에 의한 휨(140')은 광원부(120)를 포함하는 광부품들의 배치를 어긋나게 하여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의 색상에 대응되는 4개의 광빔들이 피주사면에 어긋나게 주사되어, 이들에 의해 형성된 인쇄매체(P)의 컬러 이미지의 화질 저하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에 의한 화질 저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의 광학 주사 장치(100')의 경우 온도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크게 발생되는데 반하여,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100)의 경우 온도가 점차 증가하더라도 상대적으로 작게 발생된다. 예를 들어, 도 12 및 도 13에서 굵은 실선(Y_Var)은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에 의한 에러를 합산한 것인데, 상온(25°)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없는 상태에서, 6°가 증가한 경우, 비교예의 광학 주사 장치(100')에서의 변형량은 대략 230μm인데 반하여,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100)에서의 변형량은 대략 110μm정도에 불가하므로, 변형 방지 부재(140)에 의해 열변형에 의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50%이하로 줄일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주사 장치(200)를 커버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200)에 사용된 변형 방지 부재(240)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200)에 있어서 변형 방지 부재(2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변형 방지 부재(240)는 폭이 넓은 플레이트 형상(241)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변형 방지 부재(240)는 광원부(120)가 설치된 제1 측벽(112)과 광 편향기(150)를 사이에 두고 제1 측벽(112)에 대향되는 제2 측벽(113)을 연결할 수 있다. 즉, 변형 방지 부재(240)의 양단이 하우징(110)의 제1 및 제2 측벽(112, 113)에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4점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변형 방지 부재(240)는 폭이 넓은 플레이트 형상이므로, 변형 방지 부재(240)의 일측이 제1 측벽(112)의 광원부(120)가 설치되는 영역 혹은 이에 인접한 영역(도 3의 R 영역)을 모두 커버하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변형 방지 부재(240)는 광 편향기(150)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변형 방지 부재(240)는 광 편향기(150)에 인접하여 편향 주사되는 제2 광빔(도 3의 L2) 및 제3 광빔(도 3의 L3)이 외부로 출사되는 영역까지 넓게 하우징(110)의 상부 영역을 포괄하여 가로지를 수 있으며, 이 경우, 변형 방지 부재(240)에는 제2 및 제3 광빔(L2, L3)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도록 창(242b, 242b)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변형 방지 부재(240)는 강성 보강 구조(243)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성 보강 구조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241)의 횡단면상에 꺽임부(243)가 형성된 구조나, 플레이트 형상(241)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엠보싱이나 리브(lib)와 같은 구조일 수 있으며, 이들 구조가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200)를 커버(220)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커버(220)는 하우징(110)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서,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이 외부로 출사되는 창들과 함께, 변형 방지 부재(240)에 인접한 위치에 방열구(221)이 마련될 수 있다. 방열구(221)의 개수나 형상은 본 실시예를 한정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제1 내지 제4 광원(121a, 121b, 121c, 121d)를 갖는 광원부(120)에 대해 하나의 광원 홀더(126)와 하나의 회로 기판(129)이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광원 홀더(126)와 회로 기판(129)은 제1 내지 제4 광원(121a, 121b, 121c, 121d)에 개별적으로 마련되거나 2개씩 분리되어 형성된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제1 및 제2 광원(121a, 121b)과 제3 및 제4 광원(121c, 121d)이 광 편향기(150)의 일측에 함께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및 제2 광원(121a, 121b)과 제3 및 제4 광원(121c, 121d)이 광 편향기(150)을 사이에 두고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제1 및 제2 광원(121a, 121b)은 하우징(110)의 제1 측벽(112)에 배치되고, 과 제3 및 제4 광원(121c, 121d)은 하우징(110)의 제2 측벽(113)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주사 장치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다. 도 17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는 건식 현상제(이하, 토너라 한다.)를 사용하여 컬러 화상을 인쇄하는 건식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광학 주사 장치(100, 200), 현상 장치(300), 중간 전사 벨트(400), 제1 및 제2 전사 롤러(410, 420) 및 정착 장치(500)를 구비하며, 이들은 캐비넷(600) 내에 수용된다.
광학 주사 장치(100, 200)는 복수의 광빔을 주사하는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의 광학 주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주사 장치(100, 200)는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의 색상에 대응되는 4개의 광빔들을 주사할 수 있다.
현상 장치(300)는 복수의 광빔에 대응되어 컬러별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상 장치(300)는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의 색상별로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현상장치(300)은 각 컬러별로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화상수용체인 감광 드럼(310)과 정전잠상을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320)를 각각 구비한다.
감광 드럼(310)은 상담지체의 일 예로서,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의 감광층이 형성된 것이다. 감광 드럼(310)의 외주면은 피주사면이 된다. 감광 드럼(310)은 현상 장치(300)의 외부로 노출되어, 부주사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감광 드럼(310)을 대신하여 벨트 형태의 감광 벨트가 상담지체로서 채용될 수도 있다.
감광 드럼(310)의 외주면에서 광학 주사 장치(100, 200)에 의해 노광되는 위치의 상류측에는 대전 롤러(330)가 마련된다. 대전 롤러(330)는 감광 드럼(310)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그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 롤러(330)에는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대전 롤러(330)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현상 롤러(320)는 그 외주에 토너를 부착시켜 감광 드럼(310)으로 공급한다. 현상 롤러(320)에는 토너를 감광 드럼(310)으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 장치(300) 각각에는 그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현상 롤러(320)로 부착시키는 공급 롤러, 현상 롤러(320)에 부착된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 그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공급 롤러 및/또는 현상 롤러(320) 쪽을 이송시키는 교반기(미도시) 등을 더 설치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400)는 현상 장치(300)의 외부로 노출된 감광 드럼(310)의 외주면과 대면된다. 중간 전사 벨트(400)는 감광 드럼(310)의 토너 화상을 용지(P)로 전달하는 중간 전사체의 일예이다. 중간 전사 벨트(400)를 대신하여, 중간 전사 드럼이 중간 전사체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중간 전사 벨트(400)는 감광드럼(520)과 접촉되어 순환주행된다. 4개의 제1 전사롤러(410)는 중간 전사 벨트(400)를 사이에 두고 각 감광드럼(310)과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 전사롤러(410)에는 제1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중간 전사 벨트(400)로 감광 드럼(310)의 토너화상이 전사되도록 한다.
제2 전사 롤러(420)는 중간 전사 벨트(400)에 대면되면서 그 사이에 용지(P)가 지나가도록 배치된다. 제2 전사 롤러(420)에는 중간 전사 벨트(400)의 토너 화상이 용지(P)로 전사되도록 제2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컬러 화상 형성 과정을 설명한다.
각 현상 장치(300)의 감광 드럼(310)은 대전 롤러(330)에 인가된 대전 바이어스에 의하여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광학 주사 장치(100, 200)는 감광 드럼(310)의 피주사면을 길이방향, 즉 주주사 방향으로 노광시킨다. 감광 드럼(310)의 회전에 따라 피주사면이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4개의 감광 드럼(310) 각각의 피주사면에는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2차원의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여기서, 부주사 방향은 주주사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다. 4개의 현상 장치(300)는 각각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의 색상의 토너를 감광드럼(310)에 공급하여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의 색상의 토너화상을 형성시킨다.
감광드럼(310)에 각각 형성된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의 색상의 토너화상들은 제1 전사 롤러(410)에 인가되는 제1 전사 바이어스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400)로 서로 겹쳐지면 전사되어 컬러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토너를 최종적으로 수용하는 매체, 예를 들면 용지(P)는 픽업 롤러(610) 및 이송 롤러(620)에 의하여 이송되어 중간 전사 벨트(400) 및 제2 전사 롤러(420)의 사이로 인입된다. 중간 전사 벨트(400)에 전사된 컬러 토너 화상은, 제2 전사 롤러(420)에 인가되는 제2 전사 바이어스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400) 상의 토너 화상은 용지(P)로 전사된다. 용지(P)에 전사된 컬러 토너 화상은 정전기적인 힘에 의하여 용지(P)의 표면에 유지된다. 컬러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P)는 정착 장치(500)로 보내어진다. 용지(P)로 전사된 컬러 토너 화상이 정착 장치(500)의 정착닙에서 열과 압력을 받아 용지(P)에 정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용지(P)는 배출 롤러(630)에 의하여 화상 형성 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컬러화상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흑백의 단색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광학 주사 장치(100, 200)는 하나의 광빔을 주사하며, 현상 장치(320)는 하나의 광빔에 대해서만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광학 주사 장치(100, 2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 즉 현상 장치(300), 중간 전사 벨트(400), 제1 및 제2 전사 롤러(410, 420), 정착 장치(500) 등은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해 인쇄 매체에 토너 화상을 전사시키는 인쇄 유닛의 일 예로 설명한 것이고, 공지의 인쇄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는 레이저빔 프린터나 디지털 복사기, MFP(다기능 프린터) 등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인 광학 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 형성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 광학 주사 장치 110 : 하우징
111 : 베이스 면 112, 113 : 측벽
120 : 광원부 121a, 121b, 121c, 121d : 광원
125 : 광원 홀더 129 : 회로기판
130 : 입사 광하계 131 : 콜리메이터 렌즈
135 : 실린드리컬 렌즈 140, 240 : 변형 방지 부재
141, 242 : 꺽임부 150 : 광 편향기
160 : 결상 광학게 161, 162 : 주사 렌즈
170 : 광경로 변환부재 220 : 커버
221 : 방열구 300 : 현상 장치
310 : 감광드럼 400 : 중간 전사 벨트
410, 420 : 전사 롤러 500 : 정착 장치
600 : 캐비넷 L1, L2, L3, L4 : 광빔

Claims (22)

  1. 화상신호에 따라 광빔을 출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출사된 광빔을 편향하여 주사하는 광 편향기;
    측부에 상기 광원부가 설치되고, 베이스 면에 상기 광 편향기가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 면의 상부를 가로 지르며 상기 하우징의 양측을 연결하는 연결하는 변형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광학 주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방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재질보다 열팽창계수가 작은 재질로 형성된 광학 주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변형 방지 부재는 금속 혹은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되는 광학 주사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원부가 설치되는 제1 측벽과, 상기 광 편향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측벽에 대향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변형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을 연결하는 광학 주사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방지 부재의 상기 제1 측벽에 연결되는 지점은 상기 광원부가 설치되는 영역이거나 상기 광원부가 설치되는 영역에 인접한 영역인 광학 주사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방지 부재는 길다란 바 형상 혹은 플레이트 형상인 광학 주사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방지 부재는 하나 또는 복수개 마련되는 광학 주사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 면을 기준으로, 상기 변형 방지 부재는 상기 광원부의 광원의 설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광학 주사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방지 부재는 강성 보강 구조를 갖는 광학 주사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강 구조는 상기 변형 방지 부재의 횡단면상의 꺽임부, 상기 변형 방지 부재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엠보싱, 및 상기 변형 방지 부재의 표면에 마련되는 리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학 주사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변형 방지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변형 방지 부재가 위치한 곳에 인접하게 마련된 방열구를 포함하는 광학 주사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복수의 광원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광원들은 상기 하우징의 동일 측벽에 배치되는 광학 주사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일체형 광원홀더를 더 포함하는 광학 주사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홀더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광학 주사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이 실장되는 하나의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광학 주사 장치.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편향기에 입사하는 광빔들은 부주사 방향에 대해 경사 입사하는 광학 주사 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제1 내지 제4 광빔들을 출사하는 제1 내지 제4 광원들을 포함하며,
    상기 광 편향기는 상기 제1 내지 제4 광원들에서 출사된 제1 내지 제4 광빔들 중 제1 및 제2 광빔들을 일 편향면에서 편향 주사시키며, 나머지 제3 및 제4 광빔들은 상기 일 편향면과 다른 편향면에서 편향 주사시키는 광학 주사 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와 상기 광 편향기 사이에 배치되는 입사 광학계를 더 포함하는 광학 주사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 광학계는 상기 광원부에서 출사된 광빔을 평행 광속으로 정형하는 콜리메이터 렌즈와 상기 광원부에서 출사된 광빔을 광광 편향기의 편향면에 부주사 방향으로 집속시키는 실린드리컬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학 주사 장치.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편향기에서 편향 주사되는 광빔을 피주사면에 결상시키는 결상 광학계를 더 포함하는 광학 주사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 광학계는 광속을 등속 결상하는 하나 혹은 복수의 주사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주사 장치.
  22. 상담지체;
    상기 상담지체의 피주사면에 광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주사 장치; 및
    상기 상담지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KR20130125550A 2013-10-17 2013-10-21 광학 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 형성 장치 KR20150045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07,885 US9296221B2 (en) 2013-10-17 2014-06-18 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PCT/KR2014/005776 WO2015056865A1 (en) 2013-10-17 2014-06-30 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EP14180311.4A EP2862721B1 (en) 2013-10-17 2014-08-08 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CN201410554038.3A CN104570656B (zh) 2013-10-17 2014-10-17 光扫描单元以及使用该光扫描单元的成像装置
US15/045,856 US9465314B2 (en) 2013-10-17 2016-02-17 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92039P 2013-10-17 2013-10-17
US61/892,039 2013-10-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347A true KR20150045347A (ko) 2015-04-28

Family

ID=5303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5550A KR20150045347A (ko) 2013-10-17 2013-10-21 광학 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45347A (ko)
CN (1) CN1045706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5182B2 (ja) * 2017-06-16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プリントヘッ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4513B2 (ja) * 2008-04-07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271970B2 (ja) * 2010-06-04 2013-08-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走査光学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JP5637494B2 (ja) * 2010-08-20 2014-12-10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113956A (ja) * 2011-11-28 2013-06-10 Canon Inc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3186335A (ja) * 2012-03-08 2013-09-19 Ricoh Co Ltd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70656B (zh) 2019-09-06
CN104570656A (zh)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2721B1 (en) 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7450274B2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beam positioning method
US7271823B2 (en) Optical scan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436425B2 (en) Optical wri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031362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element
US10324396B2 (en) Light scann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housing
US20020036683A1 (en) Optical writing system directed to miniaturization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it
KR20120047367A (ko) 광주사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
US1183588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laser scanning components positioned for enhanced compactness
KR102006796B1 (ko) 광 주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
JP2010008760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50045347A (ko) 광학 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 형성 장치
KR20150058970A (ko) 멀티빔 광원장치, 이의 조정방법, 광학주사장치 및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
JP4765493B2 (ja) 画像形成装置
JP5168864B2 (ja) 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
JP4641547B2 (ja) 光学走査装置
US11726316B2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226497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108383A (ja) 光走査装置
US6618071B2 (en) Exposure device including pre-deflection optical system
JP2008020592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292377A (ja) 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
JP4617979B2 (ja) 光学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ホルダの製造方法
JP2020194052A (ja) 光走査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5208176A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