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511A - 환풍기 - Google Patents

환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511A
KR20150042511A KR20130121245A KR20130121245A KR20150042511A KR 20150042511 A KR20150042511 A KR 20150042511A KR 20130121245 A KR20130121245 A KR 20130121245A KR 20130121245 A KR20130121245 A KR 20130121245A KR 20150042511 A KR20150042511 A KR 20150042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ventilator
mounting space
ai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1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성우
Original Assignee
하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성우 filed Critical 하성우
Priority to KR20130121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2511A/ko
Priority to MX2016004583A priority patent/MX2016004583A/es
Priority to EP14852357.4A priority patent/EP3081873A4/en
Priority to AU2014332671A priority patent/AU2014332671A1/en
Priority to JP2016521930A priority patent/JP6360167B2/ja
Priority to CN201480055920.1A priority patent/CN105659032A/zh
Priority to CA2926813A priority patent/CA2926813A1/en
Priority to RU2016117184A priority patent/RU2016117184A/ru
Priority to PCT/KR2014/009511 priority patent/WO2015053577A1/ko
Priority to US15/028,316 priority patent/US20160252097A1/en
Publication of KR20150042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511A/ko
Priority to IL244998A priority patent/IL244998A0/en
Priority to SA516370918A priority patent/SA516370918B1/ar
Priority to PH12016500659A priority patent/PH1201650065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환풍기는 틀 형태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마주보고 평형하게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실내 공기를 실외로 흐름시키는 회전부로 구성한다.

Description

환풍기{VENTILATOR}
본 발명은 환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를 갖는 회전부를 한 쌍으로 마련하여 상호 마주보게 설치하여 한 쌍의 회전부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공기를 흐름시켜 실내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환풍기란,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환기시키는 장치로서 공장이나 식당, 빌딩, 주차장, 목욕탕, 축사 등에 광범위하게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환풍기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수용공간 11,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유도하는 안내면 12 및 배출구 13를 구비하는 케이싱 스크롤 10, 케이싱 스크롤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모터 20, 구동모터의 회전축 21에 장착되고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실내 공기를 유입시켜 배출하는 회전부재 30, 회전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덮개 40 및 케이싱 스크롤 10의 저면에 장착되며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 51가 형성된 그릴 50을 포함하였다.
특히, 종래의 환풍기는 회전부재 30의 날개 31로, 구동모터 20로 인한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을 향해 꺾여서 형성되는 전향깃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회전부재 30는 실내의 공기를 유입시켜 감싸 안으며 배출구 13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환풍기는 회전부재 30의 전향깃 31이 바람을 회전만 시키게 되므로 효율이 떨어지고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향깃 31의 회전으로 인한 풍량 및 풍압 구조가 현실에 맞지 않아 구동모터 20의 동력 또한 소형의 저용량으로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형깃을 사용하는 경우 풍압은 증가하는 반면 풍압에 따른 효율이 떨어지므로 일정량의 풍량을 발생시키기 위하여는 회전부재를 고속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소음이 증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전향깃 31이 흡입한 실내의 공기를 감싸 안으며 배출구 13로 이동시킴으로 인해 전향깃이 회전할 때 양력 저항이 발생하고, 전향력에서 양력저항이 빠진 풍동력이 외부로 배출되므로 풍량과 풍압이 떨어져 기기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고속으로 회전시에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환풍기는 길이를 갖는 회전부를 한 쌍으로 마련하여 상호 마주보게 설치하여 한 쌍의 회전부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공기를 흐름시켜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환풍기는 틀 형태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마주보고 평형하게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실내 공기를 실외로 흐름시키는 회전부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공간을 하나 이상으로 구획시켜 회전부가 설치되는 장착공간을 상호 마주보게 형성한 격벽이 마련되되, 상기 격벽 사이에 개구공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간에 설치되는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실내공기를 장착공간으로 유입시켜 상기 장착공간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개구공으로 오염공기를 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격벽은 장착공간 상부에 유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공간 하부에 배출공을 형성하여 실내공기가 유입공과 장착공간을 거쳐 배출공으로 흐름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가림막을 설치하여 상기 가림막을 통해 개구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환풍기는 틀 형태로 중앙에 개구공을 형성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마주보고 평형하게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실내 공기를 실외로 흐름시키는 회전부로 구성하여 한 쌍의 회전부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공기를 흐름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공기 흐름의 유속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풍기를 통해 많은 공기순환을 위해 기존 복수개로 설치되는 환풍기을 대신하여 길이방향으로 두 개의 회전부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설치 및 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림막을 통해 환풍기 사용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구공을 밀폐 또는 개방시킬 수 있어 설치된 환풍기를 통해 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환풍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환풍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b는 본 발명의 환풍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환풍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b는 본 발명의 환풍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3a,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풍기 100는 케이스 110, 회전부 120로 구성한다.
상기 케이스 110는 직사각형 형상의 틀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공간 11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 110는 상기 공간 111을 하나 이상으로 구획시켜 회전부 120가 설치되는 장착공간 114을 상호 마주보게 형성한 격벽 112이 마련되되, 상기 격벽 112 사이에 개구공 116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간 114에 설치되는 회전부 120의 회전에 의해 실내공기를 장착공간 114으로 유입시켜 개구공 116으로 오염공기를 배출한다.
상기 케이스 11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와 같다.
먼저,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직사각형 형상의 케이스 11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 111에는 2개의 격벽 112이 각각 장착된다. 상기 격벽 112은 공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공간 111을 3개로 분할시킨다.
여기서, 상기 격벽 112은 일측에 원 형상의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된 장착공간 114을 갖는다.
이때, 장착공간 114 상부에는 유입공 113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공간 114 하부에는 배출공 115을 형성하여 실내공기가 유입공 113과 장착공간 114을 거쳐 배출공 115으로 흐름되어 최종적으로 개구공 116을 통해 외부로 오염공기가 배출토록 한다.
또한, 공기를 유동시켜 흐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부 120는 상기 장착공간 111에 설치된다.
즉, 상기 회전부 120는 상기 케이스 110의 장착공간 114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마주보고 평형하게 설치되어 모터 141의 구동력에 의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기를 유동시킨다.
이를 통해 실내 공기는 유입공을 거쳐 배출공으로 흐름되어 개구공을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되면 배출공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케이스 전면측의 공기를 개구공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어 공기 배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 120는 원통형의 길이를 갖는 중심축 121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날개 122를 방사형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 110의 개방된 후면에 가림막 140이 설치되어 환풍기 100 사용 여부에 따라 모터를 통해 가림막 140을 회전시켜 개구공 116을 선택적으로 밀폐시키거나 개방시킨다.
즉, 환풍기 100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가림막 140을 회전시켜 개구공 116이 개방된 상태로 실내 공기를 실외로 흐름시킨다.
또는, 상기 환풍기 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가림막 14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개구공 116을 밀폐시키도록 하여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실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환풍기 100의 작용은 아래와 같다.
먼저, 건물 안의 탁한 공기를 밖의 맑은 공기와 바꾸기 위해 환풍기 100를 온(on) 시키면, 모터 141의 구동력을 통해 회전하는 가림막 140을 통해 개구공 116을 개방시킨다.
다음으로 모터 141를 통해 한 쌍의 회전부 120가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실내공기는 유입공 113과 장착공간 114을 거쳐 배출공 115으로 흐름되면서 최종적으로 개구공 116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결국, 본 발명은 한 쌍의 회전부 120를 상호 마주보게 배치한 다음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공기 흐름의 유속을 향상 시킴으로서 공기 순환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보다 많은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림막 140을 통해 환풍기의 사용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구공을 밀폐 또는 개방시킬 수 있어 설치된 환풍기를 통해 실내 디자인의 미감을 떨어뜨리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환풍기 110 : 케이스
111 : 공간 112 : 격벽
113 : 유입공 114 : 장착공간
115 : 배출공 116 : 개구공
120 : 회전부 121 : 중심축
122 : 날개 140 : 가림막
141 : 모터

Claims (4)

  1. 틀 형태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마주보고 평형하게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실내 공기를 실외로 흐름시키는 회전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공간을 하나 이상으로 구획시켜 회전부가 설치되는 장착공간을 상호 마주보게 형성한 격벽이 마련되되, 상기 격벽 사이에 개구공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간에 설치되는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실내공기를 장착공간으로 유입시켜 상기 장착공간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개구공으로 오염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장착공간 상부에 유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공간 하부에 배출공을 형성하여 실내공기가 유입공과 장착공간을 거쳐 배출공으로 흐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가림막을 설치하여 상기 가림막을 통해 개구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




KR20130121245A 2013-10-11 2013-10-11 환풍기 KR20150042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245A KR20150042511A (ko) 2013-10-11 2013-10-11 환풍기
CN201480055920.1A CN105659032A (zh) 2013-10-11 2014-10-10 家用气流产生装置
EP14852357.4A EP3081873A4 (en) 2013-10-11 2014-10-10 Air flow generation device for home use
AU2014332671A AU2014332671A1 (en) 2013-10-11 2014-10-10 Device for generating airflow
JP2016521930A JP6360167B2 (ja) 2013-10-11 2014-10-10 家庭用空気流発生装置
MX2016004583A MX2016004583A (es) 2013-10-11 2014-10-10 Dispositivo para generar flujo de aire.
CA2926813A CA2926813A1 (en) 2013-10-11 2014-10-10 Device for generating airflow
RU2016117184A RU2016117184A (ru) 2013-10-11 2014-10-10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воздушного потока
PCT/KR2014/009511 WO2015053577A1 (ko) 2013-10-11 2014-10-10 가정용 공기 흐름 발생장치
US15/028,316 US20160252097A1 (en) 2013-10-11 2014-10-10 Ceiling fan
IL244998A IL244998A0 (en) 2013-10-11 2016-04-10 Ceiling Fan
SA516370918A SA516370918B1 (ar) 2013-10-11 2016-04-11 جهاز لتوليد تدفق هواء
PH12016500659A PH12016500659A1 (en) 2013-10-11 2016-04-11 Air flow generation device for home 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245A KR20150042511A (ko) 2013-10-11 2013-10-11 환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511A true KR20150042511A (ko) 2015-04-21

Family

ID=53035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1245A KR20150042511A (ko) 2013-10-11 2013-10-11 환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25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785A (ko) 2016-07-01 2016-07-22 김태중 환풍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785A (ko) 2016-07-01 2016-07-22 김태중 환풍기
US11209179B2 (en) 2016-07-01 2021-12-28 Tae Joong Kim Ventil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01358A (ja) 空気清浄機
KR101658644B1 (ko) 바이패스터널을 구비한 전열교환기
KR101837621B1 (ko) 공기조화장치
KR20140105972A (ko) 주방용 레인지 후드
KR20140105083A (ko) 천정형 공기조화기
KR101856986B1 (ko) 공기조화장치
KR20170057028A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TW200530539A (en) Integral air conditioner
KR20150015741A (ko) 도어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136879B1 (ko) 터보팬 및 이를 사용한 천정형 공기조화기
KR20140125522A (ko) 터보팬
KR20150042511A (ko) 환풍기
KR100359997B1 (ko) 공기의 흡배출에 의한 공기정화 환풍기
JP5541811B2 (ja) デュアル扇風機
KR102322362B1 (ko)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KR20180128282A (ko) 무선 기류 증폭 장치
KR101662288B1 (ko) 덕트 환기장치
JP2014119126A (ja) 床置形空気調和装置
KR20080062890A (ko) 공기 조화기
KR102266906B1 (ko) 시스템 루버
JP6340694B2 (ja) 送風装置
JP2006022999A (ja) 換気装置
KR200205601Y1 (ko) 공기의 흡배출에 의한 공기정화 환풍기
JP2018141603A (ja) ダクト換気装置
CN220869679U (zh) 多风道排气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