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362B1 -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 Google Patents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362B1
KR102322362B1 KR1020210035294A KR20210035294A KR102322362B1 KR 102322362 B1 KR102322362 B1 KR 102322362B1 KR 1020210035294 A KR1020210035294 A KR 1020210035294A KR 20210035294 A KR20210035294 A KR 20210035294A KR 102322362 B1 KR102322362 B1 KR 102322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exhaust
casing
air
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국빈
Original Assignee
임국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국빈 filed Critical 임국빈
Priority to KR1020210035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3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driven by a common gearing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후,좌,우,상,하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판에 각각 복수개의 구멍들이 구비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전,후측판 거리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여 케이싱 내부공간을 좌,우측공간으로 구획하는 전열소자; 상기 전열소자의 수평 방향 좌측 모서리부분과 케이싱의 좌측판 사이에 구비되어 좌측공간을 상,하측공간으로 구획하는 좌측구획프레임; 상기 전열소자의 수평 방향 우측 모서리부분과 케이싱의 우측판 사이에 구비되어 우측공간을 상,하측공간으로 구획하는 우측구획프레임; 상기 좌측공간의 하측공간에 구비되어 하측공간을 전,후측급기공간으로 구획하는 급기구획판; 상기 우측공간의 하측공간에 구비되어 하측공간을 전,후측배기공간으로 구획하는 배기구획판; 상기 좌측공간의 하측공간에 위치하여 전,후측급기공간에 각각 급기유동을 발생시키는 급기용 듀얼송풍기; 상기 우측공간의 하측공간에 위치하여 전,후측배기공간에 각각 배기유동을 발생시키는 배기용 듀얼송풍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공간을 작게 하면서 실내를 환기시키는 풍량을 극대화시킨다.

Description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AIR CIRCULATOR HAVING DUAL FAN MOTOR}
본 발명은 듀얼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가 외부와 통풍이 잘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에서 사람이 장시간 활동하게 되면 실내 공기의 오염 및 CO2 증가로 인하여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실내를 환기시켜주어야 한다.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게 되면 오염물질이 유입될 뿐만 아니라 내부 열 손실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로, 실내 공기의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장치(일명, 전열교환기라고도 함)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23367호(2018.11.16. 공개일)(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24081호(2019.03.08. 공개일)(이하, 선행기술 2라 함)에는 각각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키면서 동시에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시켜 실내를 환기시키는 전열교환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들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키는 배기송풍기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는 급기송풍기가 각각 한 개의 팬으로 구성되어 실내 공기를 배기시키고 실외 공기를 급기시키는 풍량이 크지 않아 작은 실내 공간을 환기시키기에는 적합하나, 실내 공간이 큰 경우 복수 개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이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공간을 작게 하면서 실내를 환기시키는 풍량을 극대화하는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를 환기시키는 동안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는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후,좌,우,상,하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판에 각각 복수개의 구멍들이 구비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전,후측판 거리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 양측면이 전,후측판에 각각 위치하고 상하 모서리가 각각 상,하측판에 향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여 케이싱 내부공간을 좌,우측공간으로 구획하는 전열소자; 상기 전열소자의 수평 방향 좌측 모서리부분과 케이싱의 좌측판 사이에 구비되어 좌측공간을 상,하측공간으로 구획하는 좌측구획프레임; 상기 전열소자의 수평 방향 우측 모서리부분과 케이싱의 우측판 사이에 구비되어 우측공간을 상,하측공간으로 구획하는 우측구획프레임; 상기 좌측공간의 하측공간에 구비되어 하측공간을 전,후측급기공간으로 구획하는 급기구획판; 상기 우측공간의 하측공간에 구비되어 하측공간을 전,후측배기공간으로 구획하는 배기구획판; 상기 좌측공간의 하측공간에 위치하여 전,후측급기공간에 각각 급기유동을 발생시키는 급기용 듀얼송풍기; 상기 우측공간의 하측공간에 위치하여 전,후측배기공간에 각각 배기유동을 발생시키는 배기용 듀얼송풍기를 포함하는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가 제공된다.
상기 케이싱의 좌측판 구멍들은 상기 케이싱의 좌측공간의 상측공간과 연통되는 내기유입구와, 상기 좌측공간의 전,후측급기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제1,2 외기급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우측판 구멍들은 상기 케이싱의 우측공간의 상측공간과 연통되는 외기유입구와, 상기 우측공간의 전,후배기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제1,2 내기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열소자의 외기 유입측에 구비되어 외기를 여과시키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측구획프레임은 상기 전열소자의 수평 방향 좌측 모서리부분과 케이싱의 좌측판 사이에 위치하여 좌측공간을 상,하측공간으로 구획하되, 좌측판의 제1,2 외기급기구가 하측공간과 연통되도록 구획하는 메인구획판부와, 상기 케이싱 좌측판의 내기유입구측에 위치하도록 메인구획판부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의 테두리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좌측판 내기유입구로 유입되는 내기를 좌측공간의 상측공간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판부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측구획프레임은 상기 전열소자의 수평 방향 우측 모서리부분과 케이싱의 우측판 사이에 위치하여 우측공간을 상,하측공간으로 구획하되, 우측판의 제1,2 내기배기구가 하측공간과 연통되도록 구획하는 메인구획판부와, 상기 케이싱 우측판의 외기유입구측에 위치하도록 메인구획판부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의 테두리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우측판 외기유입구로 유입되는 외기를 우측공간의 상측공간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기구획판은 상기 케이싱의 좌측판 제1,2 외기급기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좌측판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급기용 듀얼송풍기가 관통 결합되어 급기용 듀얼송풍기를 양쪽으로 구획하는 장착구획판부와, 상기 장착구획판부의 한쪽단에 내기유입구쪽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1 절곡구획판부와, 상기 제1 절곡구획판부에 절곡 연장되어 상면이 상기 전열소자의 면에 접면되는 제2 절곡구획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구획판은 상기 케이싱의 우측판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배기용 듀얼송풍기가 관통 결합되어 배기용 듀얼송풍기를 구획하는 장착구획판부와, 상기 장착구획판부의 한쪽단에 외기유입구쪽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1 절곡구획판부와, 상기 제1 절곡구획판부에 절곡 연장되어 상면이 상기 전열소자의 면에 접면되는 제2 절곡구획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기용 듀얼송풍기는, 모터본체와, 상기 모터본체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모터축들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본체가 상기 급기구획판에 관통 삽입되는 양축회전모터; 상기 전측급기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양축회전모터의 한쪽 모터축에 결합되어 급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 임펠러; 상기 제1 임펠러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팬하우징; 상기 후측급기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양축회전모터의 다른 한쪽 모터축에 결합되어 급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 임펠러; 상기 제2 임펠러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2 팬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용 듀얼송풍기는, 모터본체와, 상기 모터본체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모터축들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본체가 상기 배기구획판에 관통 삽입되는 양축회전모터; 상기 전측배기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양축회전모터의 한쪽 모터축에 결합되어 배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 임펠러; 상기 제1 임펠러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팬하우징; 상기 후측배기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양축회전모터의 다른 한쪽 모터축에 결합되어 배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 임펠러; 상기 제2 임펠러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2 팬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케이싱, 전열소자, 좌측구획프레임, 우측구획프레임, 급기구획판, 배기구획판, 급기용 듀얼송풍기, 배기용 듀얼송풍기를 포함하고, 급기용 듀얼송풍기와 배기용 듀얼송풍기가 각각 양축회전모터에 두 개의 임펠러가 연결되어 두 개의 임펠러에서 각각 유동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구성이 컴팩트할 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키는 풍량과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는 풍량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넓은 실내 공간을 환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의 내부에 전,후측급기공간과 전,후측배기공간이 구비되고 전,후측급기공간에서 각각 급기유동을 발생시켜 실내로 실외 공기가 급기됨과 동시에 전,후측배기공간에서 각각 배기유동을 발생시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키게 되므로 유동저항을 최소화하게 되므로 소음 발생을 감소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일실시예의 내측 상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일실시예의 내측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급기용 듀얼송풍기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일실시예의 내측 상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일실시예의 내측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2,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의 일실시예는, 케이싱(100), 전열소자(200), 좌측구획프레임(300), 우측구획프레임(400), 급기구획판(500), 배기구획판(600), 급기용 듀얼송풍기(700), 배기용 듀얼송풍기(800)를 포함한다.
케이싱(100)의 일예로, 케이싱(100)은 전,후,좌,우,상,하측판(10)(20)(30)(40)(50)(60)을 포함하며, 좌,우측판(30)(40)에 각각 복수개의 구멍들이 구비된다. 즉, 케이싱(100)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케이싱(100)의 전,후,좌,우,상,하측판에 대한 명칭은 도 2를 기준으로 방향을 설정한 것이며, 케이싱(100)을 보는 위치에 따라 명칭이 변경될 수 있다. 좌측판(30)의 구멍들은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내기유입구(31)와, 실외 공기가 실내로 각각 급기되는 1,2 외기급기구(32)(33)를 포함한다. 좌측판(3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내기유입구(31)는 후측판(20)쪽에 위치하고 제1,2 외기급기구(32)(33)는 전측판(10)쪽에 위치한다. 우측판(40)의 구멍들은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41)와, 실내 공기가 실외로 각각 배기되는 제1,2 내기배기구(42)(43)를 포함한다. 우측판(4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외기유입구(41)는 후측판(20)쪽에 위치하고 제1,2 내기배기구(42)(43)는 전측판(10)쪽에 위치한다. 좌측판(30)의 내기유입구(31)와 우측판(40)의 외기유입구(41)는 서로 대면되게 위치하고, 좌측판(30)의 제1,2 외기급기구(32)(33)는 각각 우측판(40)의 제1,2 내기배기구(42)(43)와 대면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열소자(200)는 케이싱(100)의 전,후측판(10)(20) 거리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 양측면이 전,후측판(10)(20)에 각각 위치하고 상하 모서리가 각각 상,하측판(50)(60)쪽을 향하도록 케이싱(100) 내부에 위치하여 케이싱(100) 내부공간을 좌,우측공간(S1)(S2)으로 구획한다. 전열소자(200)의 네 개의 모서리들 중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모서리들이 상,하측판(50)(60)에 각각 위치하되, 두 개의 모서리들이 케이싱(100) 내부공간을 좌,우측공간(S1)(S2)으로 구획하도록 상,하측판(50)(60)에 접촉되게 위치하고, 나머지 두 개의 모서리들은 각각 좌,우측판(30)(40)과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전열소자(200)의 길이 방향 양쪽면을 제외한 네 개의 면을 제1,2,3,4면이라 하되, 좌측공간(S1)에 위치하는 두 개의 면들 중 위쪽에 위치하는 제1면, 아래쪽에 위치하는 면을 제2면이라하고, 우측공간(S2)에 위치하는 두 개의 면들 중 위쪽에 위치하는 면을 제3면 아래쪽에 위치하는 면을 제4면이라 한다. 제1,4면을 통해 공기가 유동하고, 제2,3면을 통해 공기가 유동한다.
전열소자(200)의 외기 유입측에 구비되어 외기를 여과시키는 필터부재(2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필터부재(210)는 전열소자(200)의 제3면을 복개하도록 구비된다.
좌측구획프레임(300)은 전열소자(200)의 수평 방향 좌측 모서리부분과 케이싱(100)의 좌측판(30) 사이에 구비되어 좌측공간(S1)을 상,하측공간(1)(2)으로 구획한다.
좌측구획프레임(300)의 일예로, 좌측구획프레임(300)은 전열소자(200)의 수평 방향 좌측 모서리부분과 케이싱(100)의 좌측판(30) 사이에 위치하여 좌측공간(S1)을 상,하측공간(1)(2)으로 구획하되 좌측판(30)의 제1,2 외기급기구(32)(33)가 하측공간(2)과 연통되도록 구획는 메인구획판부(310)와, 케이싱(100) 좌측판(30)의 내기유입구(31)측에 위치하도록 메인구획판부(31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그 관통구멍의 테두리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좌측판(30)의 내기유입구(31)측과 제1,2 외기급기구(32)(33)을 구획함과 아울러 케이싱(100)의 좌측판 내기유입구(31)로 유입되는 내기를 좌측공간(S1)의 상측공간(1)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판부(320)를 포함한다. 가이드판부(320)는 아래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판부(320)의 끝은 하측판(60)에 접촉 지지된다.
우측구획프레임(400)은 전열소자(200)의 수평 방향 우측 모서리부분과 케이싱(100)의 우측판(40) 사이에 구비되어 우측공간(S2)을 상,하측공간(3)(4)으로 구획한다. 우측구획프레임(400)의 일예로, 우측구획프레임(400)은 전열소자(200)의 수평 방향 우측 모서리부분과 케이싱(100)의 우측판(40) 사이에 위치하여 우측공간(S2)을 상,하측공간(3)(4)으로 구획하되 우측판(40)의 제1,2 내기배기구(42)(43)가 하측공간(4)과 연통되도록 구획하는 메인구획판부(410)와, 케이싱 우측판(40)의 외기유입구(41)측에 위치하도록 메인구획판부(41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그 관통구멍의 테두리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우측판(40)의 외기유입구(41)측과 제1,2 내기배기구(42)(43)을 구획함과 아울러 케이싱(100)의 우측판 외기유입구(41)로 유입되는 외기를 우측공간(S2)의 상측공간(3)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판부(420)를 포함한다. 가이드판부(420)는 아래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판부(420)의 끝은 하측판(60)에 접촉 지지된다.
케이싱(100) 내부에 구비되는 전열소자(200), 좌측구획프레임(300), 우측구획프레임(400)에 의해 케이싱(100)의 내부공간이 좌,우측공간(S1)(S2)으로 구획됨과 아울러 좌측공간(S1)이 상,하측공간(1)(2)으로 구획되고 우측공간(S2)이 상,하측공간(3)(4)으로 구획되며, 우측판(40)의 외기유입구(41)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우측공간(S2)의 상측공간(3) - 전열소자(200)의 제3,2면 - 좌측공간(S1)의 하측공간(2)으로 유동하는 외부공기유입유로를 형성하고, 좌측판(30)의 내기유입구(31)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가 좌측공간(S1)의 상측공간(1) - 전열소자(200)의 제1,4면 - 우측공간(S2)의 하측공간(4)으로 유동하는 실내공기유출유로를 형성한다.
급기구획판(500)은 좌측공간(S1)의 하측공간(2)에 구비되어 하측공간(2)을 전,후측급기공간(2a)(2b)으로 구획한다. 급기구획판(500)의 일예로, 급기구획판(500)은 케이싱(100)의 좌측판(30)의 제1,2 외기급기구(32)(33) 사이에 위치하도록 좌측판(30)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급기용 듀얼송풍기(700)가 관통 결합되어 급기용 듀얼송풍기(700)를 양쪽으로 구획하는 장착구획판부(510)와, 그 장착구획판부(510)의 한쪽단에 내기유입구(31)쪽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1 절곡구획판부(520)와, 그 제1 절곡구획판부(520)에 절곡 연장되어 상면이 전열소자(200)의 면에 접면되는 제2 절곡구획판부(530)를 포함한다. 하측공간(2)에서 전측판(10)쪽에 위치하는 공간이 전측급기공간(2a)이며 후측판(200쪽에 위치하는 공간이 후측급기공간(2b)이며, 전측급기공간(2a)이 제1 외기급기구(32)와 연통되고 후측급기공간(2b)이 제2 외기급기구(33)와 연통된다. 제2 절곡구획판부(530)의 상면에 경사면이 구비되어 그 경사면이 전열소자(200)의 제2면에 접촉되어 전열소자(200)의 제2면을 두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며 그 제2면의 두 개 영역은 전,후측급기공간(2a)(2b)에 각각 연통된다.
급기구획판(500)에 의해 좌측공간(S1)의 하측공간(2)이 전,후측급기공간(2a)(2b)으로 구획되어 우측판(40)의 외기유입구(41)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 공기가 우측공간(S2)의 상측공간(3)과 전열소자(200)의 제3,2면을 통해 전,후측급기공간(2a)(2b)으로 각각 유입된다.
배기구획판(600)은 우측공간(S2)의 하측공간(4)에 구비되어 하측공간(4)을 전,후측배기공간(4a)(4b)으로 구획한다. 배기구획판(600)의 일예로, 배기구획판(600)은 케이싱(100)의 우측판(40) 제1,2 내기배기구(42)(43) 사이에 위치하도록 우측판(40)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배기용 듀얼송풍기(800)가 관통 결합되어 배기용 듀얼송풍기(800)를 양쪽으로 구획하는 장착구획판부(610)와, 그 장착구획판부(610)의 한쪽단에 외기유입구(41)쪽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1 절곡구획판부(620)와, 그 제1 절곡구획판부(620)에 절곡 연장되어 상면이 전열소자(200)의 면에 접면되는 제2 절곡구획판부(630)를 포함한다. 하측공간(4)에서 전측판(10)쪽에 위치하는 공간이 전측배기공간(4a)이며 후측판(20)쪽에 위치하는 공간이 후측배기공간(4b)이며, 전측배기공간(4a)이 제1 내기배기구(42)와 연통되고 후측배기공간(4b)이 제2 내기배기구(43)와 연통된다. 제2 절곡구획판부(630)의 상면에 경사면이 구비되어 그 경사면이 전열소자(200)의 제4면에 접촉되어 전열소자(200)의 제4면을 두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며 그 제4면의 두 개 영역은 전,후측배기공간(4a)(4b)에 각각 연통된다.
배기구획판(600)에 의해 우측공간(S2)의 하측공간(4)이 전,후측배기공간(4a)(4b)으로 구획되어 좌측판(30)의 내기유입구(31)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 공기가 좌측공간(S1)의 상측공간(1)과 전열소자(200)의 제1,4면을 통해 전,후측배기공간(4a)(4b)으로 각각 유입된다.
급기용 듀얼송풍기(700)는 좌측공간(S1)의 하측공간에 위치하여 전,후측급기공간(2a)(2b)에 각각 급기유동을 발생시킨다. 급기용 듀얼송풍기(700)의 일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기용 듀얼송풍기(700)는 양축회전모터(710), 제1 임펠러(720), 제1 팬하우징(730), 제2 임펠러(740), 제2 팬하우징(750)을 포함한다.
양축회전모터(710)는 모터본체와, 그 모터본체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모터축들을 포함한다. 양축회전모터(710)의 모터본체가 급기구획판(500)에 관통 삽입되어 양쪽 모터축들이 하측공간(2)의 전,후측급기공간(2a)(2b)에 각각 위치한다. 급기구획판(500)의 장착구획판부(510) 양쪽에 제1,2 지지판(760)(770)이 각각 평행하게 위치하고 제1,2 지지판(760)(770)이 판연결유닛(780)에 의해 장착구획판부(510)와 연결되고 모터본체의 한쪽이 제1 모터고정유닛에 의해 제1 지지판(760)에 고정되고 모터본체의 다른 한쪽이 제2 모터고정유닛에 의해 제2 지지판(77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임펠러(720)는 전측급기공간(2a)에 위치하며 양축회전모터(710)의 한쪽 모터축에 결합되어 급기 유동을 발생시킨다. 제1 팬하우징(730)은 유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되며 제1 임펠러(720)가 내부에 위치한다. 제1 팬하우징(730)은 제1 지지판(76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임펠러(740)는 후측급기공간(2b)에 위치하며 양축회전모터(710)의 다른 한쪽 모터축에 결합되어 급기 유동을 발생시킨다. 제2 팬하우징(750)은 유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되며 제2 임펠러(740)가 내부에 위치하다. 제2 팬하우징(740)은 제2 지지판(77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임펠러(720)(740)는 시로코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급기용 듀얼송풍기(700)는 양축회전모터(710)가 작동하게 되면 양축회전모터(710)의 회전력이 두 개의 모터축들을 통해 제1,2 임펠러(720)(740)에 각각 전달되어 제1,2 임펠러(720)(740)가 각각 회전하게 된다. 제1,2 임펠러(720)(740)의 회전에 의해 전,후측급기공간(2a)(2b)에 각각 급기 유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배기용 듀얼송풍기(800)는 우측공간(S2)의 하측공간(4)에 위치하여 전,후측배기공간(4a)(4b)에 각각 배기유동을 발생시킨다. 배기용 듀얼송풍기(800)의 일예로, 배기용 듀얼송풍기(800)는 양축회전모터(810), 제1 임펠러(820), 제1 팬하우징(830), 제2 임펠러(840), 제2 팬하우징(850)을 포함한다(도 5 참조). 배기용 듀얼송풍기(800)는 양축회전모터(810), 제1 임펠러(820), 제1 팬하우징(830), 제2 임펠러(840), 제2 팬하우징(850)는 각각 급기용 듀얼송풍기(700)는 양축회전모터(710), 제1 임펠러(720), 제1 팬하우징(730), 제2 임펠러(740), 제2 팬하우징(750)와 같다.
양축회전모터(810)는 모터본체와, 그 모터본체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모터축들을 포함한다. 양축회전모터(810)의 모터본체가 배기구획판(600)에 관통 삽입되어 양쪽 모터축들이 하측공간(4)의 전,후측배기공간(4a)(4b)에 각각 위치한다. 배기구획판(600)의 장착구획판부(610) 양쪽에 제1,2 지지판(860)(870)이 각각 평행하게 위치하고 제1,2 지지판(860)(870)이 판연결유닛(880)에 의해 장착구획판부(610)와 연결되고 모터본체의 한쪽이 제1 모터고정유닛에 의해 제1 지지판(860)에 고정되고 모터본체의 다른 한쪽이 제2 모터고정유닛에 의해 제2 지지판(87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임펠러(820)는 전측배기공간(4a)에 위치하며 양축회전모터(810)의 한쪽 모터축에 결합되어 배기 유동을 발생시킨다. 제1 팬하우징(830)은 유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되며 제1 임펠러(820)가 내부에 위치한다. 제1 팬하우징(830)은 제1 지지판(86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임펠러(840)는 후측배기공간(4b)에 위치하며 양축회전모터(810)의 다른 한쪽 모터축에 결합되어 배기 유동을 발생시킨다. 제2 팬하우징(850)은 유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되며 제2 임펠러(840)가 내부에 위치하다. 제2 팬하우징(850)은 제2 지지판(87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임펠러(820)(840)는 시로코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용 듀얼송풍기(800)는 양축회전모터(810)가 작동하게 되면 양축회전모터(810)의 회전력이 두 개의 모터축들을 통해 제1,2 임펠러(820)(840)에 각각 전달되어 제1,2 임펠러(820)(840)가 각각 회전하게 된다. 제1,2 임펠러(820)(840)의 회전에 의해 전,후측배기공간(4a)(4b)에 각각 배기 유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케이싱(100)의 좌측판 내기유입구(31)가 실내측에 연통되고 우측판 외기유입구(41)가 실외측에 연통되도록 건물에 설치한 상태에서, 급기용 듀얼송풍기(700)와 배기용 듀얼송풍기(800)를 각각 작동하게 되면 급기용 듀얼송풍기(700)의 제1,2 임펠러(720)(740)의 회전력에 의해 전,후측급기공간(2a)(2b)에서 각각 급기 유동이 발생되고 배기용 듀얼송풍기(800)의 제1,2 임펠러(820)(840)의 회전력에 의해 전,후측배기공간(4a)(4b)에서 각각 배기 유동이 발생된다.
전,후측급기공간(2a)(2b)에서 각각 발생되는 급기유동에 의해 실외 공기가 우측판(40)의 외기유입구(41)를 통해 유입되어 우측공간(S2)의 상측공간(3)과 전열소자(200)의 제3,2면을 통해 전,후측급기공간(2a)(2b)으로 각각 유입되고, 전,후측배기공간(4a)(4b)에서 각각 발생되는 배기유동에 의해 실내 공기가 좌측판(30)의 내기유입구(31)를 통해 유입되어 좌측공간(S1)의 상측공간(1)과 전열소자(200)의 제1,4면을 통해 전,후측배기공간(4a)(4b)으로 각각 유입된다.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동시에 전열소자(200)를 거치면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서로 열교환된다. 전,후측급기공간(2a)(2b)으로 각각 열교환되어 유입되는 실외 공기가 좌측판(30)의 제1,2 외기급기구(32)(33)을 통해 실내로 급기되고, 전,후측배기공간(4a)(4b)으로 각각 열교환되어 유입되는 실내 공기는 우측판(40)의 제1,2 내기배기구(42)(43)를 통해 실외로 배기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지속되면서 실내 공기를 실외 공기로 환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싱(100), 전열소자(200), 좌측구획프레임(300), 우측구획프레임(400), 급기구획판(500), 배기구획판(600), 급기용 듀얼송풍기(700), 배기용 듀얼송풍기(800)를 포함하고, 급기용 듀얼송풍기(700)와 배기용 듀얼송풍기(800)가 각각 양축회전모터에 두 개의 임펠러가 연결되어 두 개의 임펠러에서 각각 유동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구성이 컴팩트할 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키는 풍량과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는 풍량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넓은 실내 공간을 환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100)의 내부에 전,후측급기공간(2a)(2b)과 전,후측배기공간(4a)(4b)이 구비되고 전,후측급기공간(2a)(2b)에서 각각 급기유동을 발생시켜 실내로 실외 공기가 급기됨과 동시에 전,후측배기공간(4a)(4b)에서 각각 배기유동을 발생시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키게 되므로 유동저항을 최소화하게 되므로 소음 발생을 감소시키게 된다.
100; 케이싱 200; 전열소자
300; 좌측구획프레임 400; 우측구획프레임
500; 급기구획판 600; 배기구획판
700; 급기용 듀얼송풍기 800; 배기용 듀얼송풍기

Claims (6)

  1. 전,후,좌,우,상,하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판에 각각 복수개의 구멍들이 구비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전,후측판 거리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 양측면이 전,후측판에 각각 위치하고 상하 모서리가 각각 상,하측판에 향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여 케이싱 내부공간을 좌,우측공간으로 구획하며,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서로 열교환되는 전열소자;
    상기 전열소자의 수평 방향 좌측 모서리부분과 케이싱의 좌측판 사이에 구비되어 좌측공간을 상,하측공간으로 구획하는 좌측구획프레임;
    상기 전열소자의 수평 방향 우측 모서리부분과 케이싱의 우측판 사이에 구비되어 우측공간을 상,하측공간으로 구획하는 우측구획프레임;
    상기 좌측공간의 하측공간에 구비되어 하측공간을 전,후측급기공간으로 구획하는 급기구획판;
    상기 우측공간의 하측공간에 구비되어 하측공간을 전,후측배기공간으로 구획하는 배기구획판;
    상기 좌측공간의 하측공간에 위치하여 전,후측급기공간에 각각 급기유동을 발생시키는 급기용 듀얼송풍기;
    상기 우측공간의 하측공간에 위치하여 전,후측배기공간에 각각 배기유동을 발생시키는 배기용 듀얼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의 좌측판 구멍들은 상기 케이싱의 좌측공간의 상측공간과 연통되는 내기유입구와, 상기 좌측공간의 전,후측급기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제1,2 외기급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우측판 구멍들은 상기 케이싱의 우측공간의 상측공간과 연통되는 외기유입구와, 상기 우측공간의 전,후배기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제1,2 내기배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급기구획판은 상기 케이싱의 좌측판 제1,2 외기급기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좌측판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급기용 듀얼송풍기가 관통 결합되어 급기용 듀얼송풍기의 제1 임펠러가 내부에 구비된 제1 팬하우징과 제2 임펠러가 내부에 구비된 제2 팬하우징을 구획하는 장착구획판부와, 상기 장착구획판부의 한쪽단에 내기유입구쪽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1 절곡구획판부와, 상기 제1 절곡구획판부에 절곡 연장되어 상면이 상기 전열소자의 면에 접면되는 제2 절곡구획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구획판은 상기 케이싱의 우측판 제1,2 내기배기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우측판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배기용 듀얼송풍기가 관통 결합되어 배기용 듀얼송풍기의 제1 임펠러가 내부에 구비된 제1 팬하우징과 제2 임펠러가 내부에 구비된 제2 팬하우징을 구획하는 장착구획판부와, 상기 장착구획판부의 한쪽단에 외기유입구쪽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1 절곡구획판부와, 상기 제1 절곡구획판부에 절곡 연장되어 상면이 상기 전열소자의 면에 접면되는 제2 절곡구획판부를 포함하는,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소자의 외기 유입측에 구비되어 외기를 여과시키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구획프레임은 상기 전열소자의 수평 방향 좌측 모서리부분과 케이싱의 좌측판 사이에 위치하여 좌측공간을 상,하측공간으로 구획하되, 좌측판의 제1,2 외기급기구가 하측공간과 연통되도록 구획하는 메인구획판부와, 상기 케이싱 좌측판의 내기유입구측에 위치하도록 메인구획판부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의 테두리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좌측판 내기유입구로 유입되는 내기를 좌측공간의 상측공간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판부를 포함하는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구획프레임은 상기 전열소자의 수평 방향 우측 모서리부분과 케이싱의 우측판 사이에 위치하여 우측공간을 상,하측공간으로 구획하되, 우측판의 제1,2 내기배기구가 하측공간과 연통되도록 구획하는 메인구획판부와, 상기 케이싱 우측판의 외기유입구측에 위치하도록 메인구획판부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의 테두리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우측판 외기유입구로 유입되는 외기를 우측공간의 상측공간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판부를 포함하는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용 듀얼송풍기는,
    모터본체와, 상기 모터본체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모터축들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본체가 상기 급기구획판에 관통 삽입되는 양축회전모터;
    상기 전측급기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양축회전모터의 한쪽 모터축에 결합되어 급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 임펠러;
    상기 제1 임펠러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팬하우징;
    상기 후측급기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양축회전모터의 다른 한쪽 모터축에 결합되어 급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 임펠러;
    상기 제2 임펠러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2 팬하우징을 포함하는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용 듀얼송풍기는,
    모터본체와, 상기 모터본체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모터축들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본체가 상기 배기구획판에 관통 삽입되는 양축회전모터;
    상기 전측배기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양축회전모터의 한쪽 모터축에 결합되어 배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 임펠러;
    상기 제1 임펠러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팬하우징;
    상기 후측배기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양축회전모터의 다른 한쪽 모터축에 결합되어 배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 임펠러;
    상기 제2 임펠러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2 팬하우징을 포함하는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KR1020210035294A 2021-03-18 2021-03-18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KR102322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294A KR102322362B1 (ko) 2021-03-18 2021-03-18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294A KR102322362B1 (ko) 2021-03-18 2021-03-18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362B1 true KR102322362B1 (ko) 2021-11-04

Family

ID=78521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294A KR102322362B1 (ko) 2021-03-18 2021-03-18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3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971B1 (ko) * 2023-03-13 2023-05-02 주식회사 이피아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7015A (ja) * 2005-05-31 2006-12-14 Lg Electronics Inc 全熱交換器及びこれを用いた換気システム
KR20090115256A (ko) * 2008-05-01 200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KR102193840B1 (ko) * 2020-05-22 2020-12-22 임수경 천장형 공기순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7015A (ja) * 2005-05-31 2006-12-14 Lg Electronics Inc 全熱交換器及びこれを用いた換気システム
KR20090115256A (ko) * 2008-05-01 200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KR102193840B1 (ko) * 2020-05-22 2020-12-22 임수경 천장형 공기순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971B1 (ko) * 2023-03-13 2023-05-02 주식회사 이피아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999B1 (ko) 환기겸용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2322362B1 (ko)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KR101156295B1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실외기 설치 시스템
JP2015103045A (ja) 発熱機器を収容した室の空調システム
KR100662343B1 (ko) 환기 시스템
KR101784135B1 (ko) 화재 피해를 줄이기 위한 환풍 시스템
JP2005283071A (ja) 調湿装置
KR102527971B1 (ko)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
CN214199148U (zh) 过滤网机构及具有其的空调器
JP2012229901A (ja) 冷凍空調装置及び冷凍空調システム
JP5247610B2 (ja) 熱交換換気装置
JP3165013B2 (ja) 熱交換形換気扇
JP3978984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698910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1028950B1 (ko) 환기장치
WO2018003543A1 (ja) 換気装置
JP4715205B2 (ja) 熱交換機器
EP4350231A1 (en) Ventilation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ventilation device
JP7415182B2 (ja) 換気装置
JP3660954B2 (ja) 熱交換換気装置
KR20040015872A (ko) 액자형 공기조화기
JP3452091B2 (ja) 熱交換換気装置
JP2621720B2 (ja) 熱交換型換気装置
JP3660955B2 (ja) 熱交換換気装置
KR20230114416A (ko)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에너지절감형 스탠드 공기순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