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971B1 -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 - Google Patents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971B1
KR102527971B1 KR1020230032688A KR20230032688A KR102527971B1 KR 102527971 B1 KR102527971 B1 KR 102527971B1 KR 1020230032688 A KR1020230032688 A KR 1020230032688A KR 20230032688 A KR20230032688 A KR 20230032688A KR 102527971 B1 KR102527971 B1 KR 102527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plate
casing
air
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2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만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피아
Priority to KR1020230032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이며, 서로 마주보는 좌,우측판에 각각 두 개의 흡입구멍들과 두 개의 토출구멍들이 구비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좌측판의 두 개 토출구멍들과 각각 연통되도록 좌측판에 결합되며 급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 상기 케이싱의 우측판의 두 개 토출구멍들과 각각 연통되도록 우측판에 결합되며 배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전,후측 공간으로 구획하는 전후구획판; 상기 케이싱의 전측 공간에 위치하여 실,내외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측 전열교환소자; 상기 케이싱의 후측 공간에 위치하여 실,내외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후측 전열교환소자; 상기 케이싱의 전측 공간의 좌측 공간을 상,하 공간으로 구획하는 전좌측 상하구획판; 상기 케이싱의 전측 공간의 우측 공간을 상,하 공간으로 구획하는 전우측 상하구획판; 상기 케이싱의 후측 공간의 좌측 공간을 상,하 공간으로 구획하는 후좌측 상하구획판; 및 상기 케이싱의 후측 공간의 우측 공간을 상,하 공간으로 구획하는 후우측 상하구획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공간을 작게 하면서 실내를 환기시키는 풍량을 극대화하며, 실내 공기 유동과 실외 공기 유동 손실을 방지하여 열교환 효율을 높인다.

Description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HIGH-EFFICIENCY AIR CIRCULATOR HAVE DUAL FANS}
본 발명은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가 외부와 통풍이 잘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에서 사람이 장시간 활동하게 되면 실내 공기의 파티클, CO2, 라돈 등의 오염 물질 증가로 인하여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실내를 환기시켜주어야 한다.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게 되면 오염물질이 유입될 뿐만 아니라 내부 열 손실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로, 실내 공기의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환기시키는 공기순환기(일명, 전열교환기라고도 함)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24081호(2019.03.08. 공개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키면서 동시에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시켜 실내를 환기시키는 전열교환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키는 배기공기순환기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는 급기공기순환기가 각각 한 개의 팬과 한 개의 모터로 구성되어 실내 공기를 배기시키고 실외 공기를 급기시키는 풍량이 크지 않아 작은 실내 공간을 환기시키기에는 적합하나, 실내 공간이 큰 경우 복수 개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공간을 작게 하면서 실내를 환기시키는 풍량을 극대화하며, 실내 공기 유동과 실외 공기 유동 손실을 방지하여 열교환 효율을 높이는,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육면체 형상이며, 서로 마주보는 좌,우측판에 각각 두 개의 흡입구멍들과 두 개의 토출구멍들이 구비되되, 두 개의 토출구멍들은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두 개의 흡입구멍들은 두 개의 토출구멍 양쪽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좌측판의 두 개 토출구멍들과 각각 연통되도록 좌측판에 결합되는 제1,2 팬과, 상기 제1,2 팬 사이에 위치하여 제1,2 팬에 각각 연결되는 양축을 갖는 모터를 포함하는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 상기 케이싱의 우측판의 두 개 토출구멍들과 각각 연통되도록 우측판에 결합되는 제1,2 팬과, 상기 제1,2 팬 사이에 위치하여 제1,2 팬에 각각 연결되는 양축을 갖는 모터를 포함하는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 상기 케이싱의 전측판과 후측판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의 제1,2 팬 사이 및 상기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의 제1,2 팬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전,후측 공간으로 구획하는 전후구획판; 상기 케이싱의 전측 공간에 위치하되, 상기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의 제1 팬과 상기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의 제1 팬 사이에 위치하여 전측 공간을 좌,우측 공간으로 구획하며 실,내외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측 전열교환소자; 상기 케이싱의 후측 공간에 위치하되, 상기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의 제2 팬과 상기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의 제2 팬 사이에 위치하여 후측 공간을 좌,우측 공간으로 구획하며 실,내외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후측 전열교환소자; 상기 케이싱의 전측 공간의 좌측 공간에 위치하여 좌측 공간을 상,하 공간으로 구획하되, 좌측판의 흡입구멍이 상측 공간에 연통되도록 구획하는 전좌측 상하구획판; 상기 케이싱의 전측 공간의 우측 공간에 위치하여 우측 공간을 상,하 공간으로 구획하되, 우측판의 흡입구멍이 상측 공간에 연통되도록 구획하는 전우측 상하구획판; 상기 케이싱의 후측 공간의 좌측 공간에 위치하여 좌측 공간을 상,하 공간으로 구획하되, 좌측판의 흡입구멍이 상측 공간에 연통되도록 구획하는 후좌측 상하구획판; 및 상기 케이싱의 후측 공간의 우측 공간에 위치하여 우측 공간을 상,하 공간으로 구획하되, 우측판의 흡입구멍이 상측 공간에 연통되도록 구획하는 후우측 상하구획판을 포함하는,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케이싱,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 전후구획판, 전측 전열교환소자, 후측 전열교환소자, 전좌측 상하구획판, 전우측 상하구획판, 후좌측 상하구획판, 후우측 상하구획판을 포함하고,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와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가 각각 양축 모터에 두 개의 팬들이 연결되어 두 개의 팬들에서 각각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구성이 컴팩트할 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키는 풍량과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는 풍량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한 대의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로 넓은 실내 공간을 환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 제1,2 팬의 동시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제1 팬의 의한 외부 공기 급기 유로와 제2 팬에 의한 외부 공기 급기 유로가 서로 분리되어 외부 공기의 혼합 및 충돌로 인한 유동 저항 손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 제1,2 팬의 동시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제1 팬의 의한 실내 공기 배기 유로와 제2 팬에 의한 실내 공기 배기 유로가 서로 분리되어 실내 공기의 혼합 및 충돌로 인한 유동 저항 손실을 방지하게 되어 실내 공기의 환기 효율을 높이게 될 뿐만 아니라 열교환 효율을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의 우측판에 실외 공기가 급기되는 흡입구멍이 두 개이고 실내 공기가 배기되는 토출구멍이 두 개이며 그 두 개의 흡입구멍들과 두 개의 토출구멍들에 각각 덕트를 연결하여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게 되어 공기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덕트들의 외경을 작게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실내에 설치시 덕트에 의한 수직 방향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설치 장소의 제한이 적어 설치가 자유롭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의 양축 모터와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의 양축 모터가 각각 링형 방진부재와 원통형 연결고정부재로 구성되는 모터수평지지유닛을 구비하게 되어 양축 모터의 모터축의 수평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시켜 모터축의 수평 편차로 인한 제1,2 팬의 언밸런스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소음을 방지하여 운전이 쾌적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의 일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열교환소자 커버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연결덕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6. 7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의 일실시예는,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00),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200),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300), 전후구획판(400), 전측 전열교환소자(510), 후측 전열교환소자(520), 전좌측 상하구획판(610), 전우측 상하구획판(620), 후좌측 상하구획판(630), 후우측 상하구획판(640)을 포함한다.
전,후,좌,우,상,하에 대한 명칭은 도 1, 2를 기준으로 방향을 설정한 것이며, 보는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도, 전,후,좌,우,상,하에 대한 명칭은 도 1, 2를 기준으로 방향을 설정한 것이며 보는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케이싱(100)의 일예로, 케이싱(100)은 서로 연결되는 전,후,좌,우측판(110)(120)(130)(140)과, 그 전,후,좌,우측판의 상하단을 복개하는 상,하측판(150)(160)을 포함한다. 즉, 케이싱(100)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좌측판(130)에 실내 공기가 배기되는 두 개의 흡입구멍들(31)(32)과, 실외 공기가 실내로 각각 급기되는 두 개의 토출구멍들(33)(34)이 구비되되, 두 개의 토출구멍들(33)(34)은 좌측판(130)의 길이 방향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두 개의 흡입구멍들(31)(32)은 토출구멍들(33)(34)의 양쪽 옆에 위치한다.
우측판(140)에 실외 공기가 급기되는 두 개의 흡입구멍들(41)(42)과, 실내 공기가 실외로 각각 배기되는 두 개의 토출구멍들(43)(44)이 구비되되, 두 개의 토출구멍들(43)(44)은 우측판(140)의 길이 방향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두 개의 흡입구멍들(41)(42)은 토출구멍들(43)(44)의 양쪽 옆에 위치한다.
우측판(140)과 좌측판(130)은 서로 대면되게 위치하며, 우측판(140)의 두 개 흡입구멍들(41)(42) 및 두 개의 토출구멍들(43)(44)은 각각 좌측판(130)의 두 개 흡입구멍들(31)(32) 및 두 개의 토출구멍들(33)(34)과 대칭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200)는 케이싱(100)의 좌측판(130)의 두 개 토출구멍들(33)(34)과 각각 연통되도록 좌측판(130)에 결합되는 제1,2 팬(210)(220)과, 그 제1,2 팬(210)(220) 사이에 위치하여 제1,2 팬(210)(220)에 각각 연결되는 양축을 갖는 모터(230)를 포함한다.
즉,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200)의 일예로,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200)는 양축 모터(230)와, 그 양축 모터(230)의 한쪽 모터축에 결합되는 제1 팬(210)과, 양축 모터(230)의 다른 한쪽 모터축에 결합되는 제2 팬(220)을 포함한다. 제1 팬(210)은 모터축에 결합되는 제1 임펠러(211)와, 그 제1 임펠러(211)가 회전 가능하게 감싸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제1 팬하우징(212)을 포함한다. 제2 팬(220)은 모터축에 결합되는 제2 임펠러(221)와, 그 제2 임펠러(221)가 회전 가능하게 감싸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제2 팬하우징(222)을 포함한다. 양축 모터(230)는 모터하우징과, 그 모터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자와, 그 고정자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자와, 그 회전자의 중심에 관통 결합되어 모터하우징의 양쪽으로 돌출되는 모터축을 포함한다. 모터하우징의 양쪽으로 돌출된 모터축의 양쪽에 제1,2 임펠러(211)(221)가 결합된다. 양축 모터(230)의 한쪽과 제1 팬(210)사이와 양축 모터(230)의 다른 한쪽과 제2 팬(220) 사이에 각각 모터수평지지유닛이 구비된다. 모터수평지지유닛은 모터하우징의 일측에 모터축과 동심축으로 결합되는 링형 방진부재와 그 링형 방진부재에 결합되는 원통형 연결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원통형 연결고정부재는 케이싱에 결합된 팬하우징에 연결되거나 별도의 지지판에 연결된다. 모터수평지지유닛에 의해 양축 모터(230)의 모터축의 수평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시켜 모터축의 수평 편차로 인한 팬의 언밸런스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소음을 방지한다.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200)의 제1,2 팬(210)(220)은 각각 상측이 팬커버(240)에 의해 커버되며 그 팬커버(240)들의 전측은 각각 좌측판(130)에 결합되며, 팬커버(240)들의 후측은 각각 전측 전열교환소자(510)와 후측 전열교환소자(520)의 모서리에 접촉 지지된다.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300)는 케이싱(100)의 우측판(140)의 두 개 토출구멍들(43)(44)과 각각 연통되도록 우측판(140)에 결합되는 제1,2 팬(310)(320)과, 그 제1,2 팬(310)(320) 사이에 위치하여 제1,2 팬(310)(320)에 각각 연결되는 양축을 갖는 모터(330)를 포함한다.
즉,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300)의 일예로,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300)는 양축 모터(330)와, 그 양축 모터(330)의 한쪽 모터축에 결합되는 제1 팬(310)과, 양축 모터의 다른 한쪽 모터축에 결합되는 제2 팬(320)을 포함한다. 제1 팬(310)은 모터축에 결합되는 제1 임펠러(310)와, 그 제1 임펠러(311)가 회전 가능하게 감싸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제1 팬하우징(312)를 포함한다. 제2 팬(320)은 다른 한쪽 모터축에 결합되는 제2 임펠러(321)와, 그 제2 임펠러(321)가 회전 가능하게 감싸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제2 팬하우징(322)을 포함한다.
양축 모터(330)의 한쪽과 제1 팬(310)사이와 양축 모터(330)의 다른 한쪽과 제2 팬(320) 사이에 각각 모터수평지지유닛이 구비된다. 모터수평지지유닛은 모터하우징의 일측에 모터축과 동심축으로 결합되는 링형 방진부재와 그 링형 방진부재에 결합되는 원통형 연결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원통형 연결고정부재는 케이싱에 결합된 팬하우징에 연결되거나 별도의 지지판에 연결된다. 모터수평지지유닛에 의해 양축 모터(330)의 모터축의 수평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시켜 모터축의 수평 편차로 인한 팬의 언밸런스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소음을 방지한다.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300)의 제1,2 팬(310)(320)은 각각 상측이 팬커버(340)에 의해 커버되며 그 팬커버(340)들의 전측은 각각 우측판(140)에 결합되며, 팬커버(340)들의 후측은 각각 전측 전열교환소자(510)와 후측 전열교환소자(520)의 모서리에 접촉 지지된다.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300)와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200)의 구성은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후구획판(400)은 케이싱(100)의 전측판(110)과 후측판(120) 사이에 위치하되,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200)의 제1,2 팬(210)(220)사이 및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300)의 제1,2 팬(310)(320)사이에 위치하여 케이싱(100)의 내부공간을 전,후측 공간으로 구획한다. 이로 인하여, 케이싱(100)의 좌측판(130)에 구비된 두 개의 토출구멍들(33)(34)과 두 개의 흡입구멍들(31)(32) 중 전측판(110)측에 위치하는 한 개의 토출구멍(이하, 좌전 토출구멍이라 함)(33)과 한 개의 흡입구멍(좌전 흡입구멍이라 함)(31)은 각각 전측 공간에 연통되고, 다른 한 개의 토출구멍(이하, 좌후 토출구멍이라 함)(34)과 다른 한 개의 흡입구멍(이하, 좌후 흡입구멍이라 함)(32)은 각각 후측 공간에 연통된다. 또한, 케이싱(100)의 우측판(140)에 구비된 두 개의 토출구멍들(43)(44)과 두 개의 흡입구멍들(41)(42) 중 전측판(110)측에 위치하는 한 개의 토출구멍(이하, 우전 토출구멍이라 함)(43)과 한 개의 흡입구멍(이하, 우전 흡입구멍이라 함)(41)은 각각 전측 공간에 연통되고, 다른 한 개의 토출구멍(이하, 우후 토출구멍이라 함)(44)과 다른 한 개의 흡입구멍(이하, 우후 흡입구멍이라 함)(42)은 각각 후측 공간에 연통된다.
전후구획판(400)의 일예로, 전후구획판(400)은 케이싱(100)의 내부공간을 전,후측 공간으로 구획하며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메인구획판부(410)와, 그 메인구획판부(410)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홈(420)과,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200)의 제1,2 팬(210)(220)사이를 구획하며 메인구획판부(410)의 결합홈(420)에 결합되는 급기측 팬구획판부(430)와,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300)의 제1,2 팬(310)(320)사이를 구획하며 메인구획판부(410)의 결합홈(420)에 결합되는 배기측 팬구획판부(440)를 포함한다.
메인구획판부(410)는 좌,우측판(140)의 사이의 직선 길이와 상응하는 길이와 좌,우측판(140)의 높이와 상응하는 높이를 갖는 사각판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그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사각 형상의 결합홈(420)이 구비된다. 급,배기측 팬구획판부(430)(440)는 각각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크기는 결합홈(420)의 크기와 같거나 약간 크다.
메인구획판부(410)와 급,배기측 팬구획판부(430)(44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측 전열교환소자(510)는 케이싱(100)의 전측 공간에 위치하되,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200)의 제1 팬(210)과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300)의 제1 팬(210)사이에 위치하여 전측 공간을 좌,우측 공간으로 구획하며 실,내외 공기를 열교환시킨다.
전측 전열교환소자(510)는 케이싱(100)의 전측판(110)과 전후구획판(400)의 직선 거리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측 전열교환소자(510)는 서로 대칭으로 위치하는 두 개의 모서리들이 케이싱(100)의 상,하측판(150(160)에 각각 접촉되게 위치하되, 상측에 위치하는 모서리는 상측판(150)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모서리는 하측판(160)의 가운데에서 일정 거리 좌측판(130)쪽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측판(110)에 전측 전열교환소자(510)를 착탈시킬 수 있는 사각형의 삽입구멍이 구비되고 그 삽입구멍을 커버하는 커버판(530)이 전측판(1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측 전열교환소자(520)는 케이싱(100)의 후측 공간에 위치하되,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200)의 제2 팬(220)과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300)의 제2 팬(320)사이에 위치하여 후측 공간을 좌,우측 공간으로 구획하며 실,내외 공기를 열교환시킨다.
후측 전열교환소자(520)는 케이싱(100)의 후측판(120)과 전후구획판(400)의 직선 거리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측 전열교환소자(520)는 서로 대칭으로 위치하는 두 개의 모서리들이 케이싱(100)의 상,하측판(150)(160)에 각각 접촉되게 위치하되, 상측에 위치하는 모서리는 상측판(150)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모서리는 하측판(160)의 가운데에서 일정 거리 좌측판(130)쪽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측판(120)에 후측 전열교환소자(520)를 착탈시킬 수 있는 사각형의 삽입구멍이 구비되고 그 삽입구멍을 커버하는 커버판(530)이 후측판(12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후측 전열교환소자(520)는 전측 전열교환소자(510)의 크기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좌측 상하구획판(610)은 케이싱(100)의 전측 공간의 좌측 공간에 위치하여 좌측 공간을 상,하측 공간으로 구획하되, 좌측판(130)의 좌전 흡입구멍(31)이 상측 공간에 연통되도록 구획한다.
전좌측 상하구획판(610)의 일예로, 전좌측 상하구획판(610)은 한쪽단부가 좌측판(130)에 결합되어 좌측 공간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평판부(1)와, 그 평판부(1)의 다른 한쪽 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전측 전열교환소자(510)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경사절곡판부(2)를 포함한다.
전우측 상하구획판(620)은 케이싱(100)의 전측 공간의 우측 공간에 위치하여 우측 공간을 상,하측 공간으로 구획하되, 우측판(140)의 우전 흡입구멍(41)이 상측 공간에 연통되도록 구획한다.
전우측 상하구획판(620)의 일예로, 전우측 상하구획판(620)은 한쪽이 단부가 우측판(140)의 중간부분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단부가 전측 전열교환소자(510)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평판으로 형성된다.
후좌측 상하구획판(630)은 케이싱(100)의 후측 공간의 좌측 공간에 위치하여 그 좌측 공간을 상,하측 공간으로 구획하되, 좌측판(130)의 좌후 흡입구멍(32)이 상측 공간에 연통되도록 구획한다.
후좌측 상하구획판(630)의 일예로, 후좌측 상하구획판(630)은 한쪽단부가 좌측판(130)에 결합되어 좌측 공간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평판부(1)와, 그 평판부(1)의 다른 한쪽 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후측 전열교환소자(520)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경사절곡판부(2)를 포함한다.
후우측 상하구획판(640)은 케이싱(100)의 후측 공간의 우측 공간에 위치하여 우측 공간을 상,하측 공간으로 구획하되, 우측판(140)의 우후 흡입구멍(42)이 상측 공간에 연통되도록 구획한다.
후우측 상하구획판(640)의 일예로, 후우측 상하구획판(640)은 한쪽이 단부가 우측판(140)의 중간부분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단부가 후측 전열교환소자(520)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평판으로 형성된다.
케이싱(100)이 천장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케이싱(100)의 좌측판(130)의 토출구멍들(33)(34)과 흡입구멍들(31)(32)에 각각 덕트를 연결하고, 우측판(140)의 토출구멍들(43)(44)과 흡입구멍들(41)(42)에 각각 덕트를 연결한다. 좌측판(130)에 연결되는 덕트들을 실내에 노출시키고 우측판(140)에 연결되는 덕트들을 실외에 노출시킨다. 반대로, 우측판(140)에 연결되는 덕트들을 실내에 노출시키고 좌측판(130)에 연결되는 덕트들을 실외에 노출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좌측판(130)에 연결되는 덕트들을 실내에 노출시키고 우측판(140)에 연결되는 덕트들을 실외에 노출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좌측판(130)의 두 개의 토출구멍들(33)(34)에 각각 토출 덕트를 연결하고 두 개의 흡입구멍들(31)(32)에 각각 흡입 덕트를 연결하여 그 토출 덕트들과 흡입 덕트들을 실내에 노출시키고, 우측판(140)의 두 개의 토출구멍들(43)(44)에 각각 토출 덕트를 연결하고 두 개의 흡입구멍들(41)(42)에 각각 흡입 덕트를 연결하여 그 토출 덕트들과 흡입 덕트들을 실외에 노출시킨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00)의 좌측판(130)(또는, 우측판)에 연결되어 두 개의 토출구멍들(33)(34)을 커버하는 커버케이스(170)와, 그 커버케이스(170)에 연결되는 연결덕트(18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토출구멍들(33)(34)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한 개의 연결덕트(180)를 통해 실외 또는 실외로 토출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케이싱(100)의 좌측판(130)의 토출구멍들(33)(34)과 흡입구멍들(31)(32)이 실내측과 연통되고 우측판(140)의 토출구멍들(43)(44)과 흡입구멍들(41)(42)이 실외측과 연통되도록 건물의 천장측에 설치한 상태에서,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200)의 양축 모터(230)와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300)의 양축 모터(330)가 각각 작동하게 되면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200)의 제1,2 팬(210)(220)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공기 유동을 발생시켜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고,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300)의 제1,2 팬(310)(320)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공기 유동을 발생시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키며, 이때,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전,후측 전열교환소자(510)(520)에 의해 열교환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6,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200)의 제1 팬(210)의 회전력에 의해 실외 공기가 우측판(140)의 우전 흡입구멍(41) - 전우측 상측 공간 - 전측 전열교환소자(510) - 전좌측 하측 공간 -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200)의 제1 팬(210) - 좌전 토출구멍(33)을 통해 실내로 급기되고, 동시에,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200)의 제2 팬(220)의 회전력에 의해 실외 공기가 우측판(140)의 우후 흡입구멍(42) - 후우측 상측 공간 - 후측 전열교환소자(520) - 후좌측 하측 공간 -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200)의 제2 팬(220) - 좌후 토출구멍(34)을 통해 실내로 급기된다. 이와 같이 제1 팬(210)에 의한 유로와 제2 팬(220)에 의한 유로를 통해 실외 공기가 실내로 급기되면서 전후구획판(400)에 의해 서로 섞이지 않고 유동하게 된다.
동시에,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300)의 제1 팬(310)의 회전력에 의해 실내 공기가 좌측판(130)의 좌전 흡입구멍(31) - 전좌측 상측 공간 - 전측 전열교환소자(510) - 전우측 하측 공간 -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300)의 제1 팬(310) - 우전 토출구멍(43)을 통해 실외로 배기되고, 동시에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300)의 제2 팬(320)의 회전력에 의해 실내 공기가 좌측판(130)의 좌후 흡입구멍(32) - 후좌측 상측 공간 - 후측 전열교환소자(520) - 후우측 하측 공간 -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300)의 제2 팬(320) - 우후 토출구멍(44)을 통해 실외로 배기된다. 이와 같이 제1 팬(310)에 의한 유로와 제2 팬(320)에 의한 유로를 통해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기되면서 전후구획판(400)에 의해 서로 섞이지 않고 유동하게 된다.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전측 전열교환소자(510)를 통과하면서 서로 열교환되고, 또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후측 전열교환소자(520)를 통과하면서 서로 열교환된다.
케이싱(100)의 전측 공간을 유동하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는 전좌측 상하구획판(610)과 전우측 상하구획판(620)에 의해 서로 섞이지 않고 유동하게 되며, 또한 케이싱(100)의 후측 공간을 유동하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는 후좌측 상하구획판(630)과 후우측 상하구획판(640)에 의해 서로 섞이지 않고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싱(100),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200),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300), 전후구획판(400), 전측 전열교환소자(510), 후측 전열교환소자(520), 전좌측 상하구획판(610), 전우측 상하구획판(620), 후좌측 상하구획판(630), 후우측 상하구획판(640)을 포함하고,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200)와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300)가 각각 양축 모터에 두 개의 팬들이 연결되어 두 개의 팬들에서 각각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구성이 컴팩트할 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키는 풍량과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는 풍량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한 대의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로 넓은 실내 공간을 환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 제1,2 팬(210)(220)의 동시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제1 팬(210)의 의한 외부 공기 급기 유로와 제2 팬(220)에 의한 외부 공기 급기 유로가 서로 분리되어 외부 공기의 혼합 및 충돌로 인한 유동 저항 손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 제1,2 팬(310)(320)의 동시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제1 팬(310)의 의한 실내 공기 배기 유로와 제2 팬(320)에 의한 실내 공기 배기 유로가 서로 분리되어 실내 공기의 혼합 및 충돌로 인한 유동 저항 손실을 방지하게 되어 실내 공기의 환기 효율을 높이게 될 뿐만 아니라 열교환 효율을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100)의 우측판(140)에 실외 공기가 급기되는 흡입구멍(41)(42)이 두 개이고 실내 공기가 배기되는 토출구멍(43)(44)이 두 개이며 그 두 개의 흡입구멍들(41)(42)과 두 개의 토출구멍들(43)(44)에 각각 덕트를 연결하여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게 되어 공기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덕트들의 외경을 작게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실내에 설치시 덕트에 의한 수직 방향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설치 장소의 제한이 적어 설치가 자유롭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200)의 양축 모터(230)와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300)의 양축 모터(330)가 각각 링형 방진부재와 원통형 연결고정부재로 구성되는 모터수평지지유닛을 구비하게 되어 양축 모터의 모터축의 수평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시켜 모터축의 수평 편차로 인한 제1,2 팬의 언밸런스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소음을 방지하여 운전이 쾌적하게 된다.
100; 케이싱 200;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
300;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 400; 전후구획판
510; 전측 전열교환소자 520; 후측 전열교환소자
610; 전좌측 상하구획판 620; 전우측 상하구획판
630; 후좌측 상하구획판 640; 후우측 상하구획판

Claims (5)

  1. 육면체 형상이며, 서로 마주보는 좌,우측판에 각각 두 개의 흡입구멍들과 두 개의 토출구멍들이 구비되되, 두 개의 토출구멍들은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두 개의 흡입구멍들은 두 개의 토출구멍 양쪽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좌측판의 두 개 토출구멍들과 각각 연통되도록 좌측판에 결합되는 제1,2 팬과, 상기 제1,2 팬 사이에 위치하여 제1,2 팬에 각각 연결되는 양축을 갖는 모터를 포함하는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
    상기 케이싱의 우측판의 두 개 토출구멍들과 각각 연통되도록 우측판에 결합되는 제1,2 팬과, 상기 제1,2 팬 사이에 위치하여 제1,2 팬에 각각 연결되는 양축을 갖는 모터를 포함하는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
    상기 케이싱의 전측판과 후측판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의 제1,2 팬 사이 및 상기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의 제1,2 팬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전,후측 공간으로 구획하는 전후구획판;
    상기 케이싱의 전측 공간에 위치하되, 상기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의 제1 팬과 상기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의 제1 팬 사이에 위치하여 전측 공간을 좌,우측 공간으로 구획하며 실,내외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측 전열교환소자;
    상기 케이싱의 후측 공간에 위치하되, 상기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의 제2 팬과 상기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의 제2 팬 사이에 위치하여 후측 공간을 좌,우측 공간으로 구획하며 실,내외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후측 전열교환소자;
    상기 케이싱의 전측 공간의 좌측 공간에 위치하여 좌측 공간을 상,하 공간으로 구획하되, 좌측판의 흡입구멍이 상측 공간에 연통되도록 구획하는 전좌측 상하구획판;
    상기 케이싱의 전측 공간의 우측 공간에 위치하여 우측 공간을 상,하 공간으로 구획하되, 우측판의 흡입구멍이 상측 공간에 연통되도록 구획하는 전우측 상하구획판;
    상기 케이싱의 후측 공간의 좌측 공간에 위치하여 좌측 공간을 상,하 공간으로 구획하되, 좌측판의 흡입구멍이 상측 공간에 연통되도록 구획하는 후좌측 상하구획판; 및
    상기 케이싱의 후측 공간의 우측 공간에 위치하여 우측 공간을 상,하 공간으로 구획하되, 우측판의 흡입구멍이 상측 공간에 연통되도록 구획하는 후우측 상하구획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후구획판은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전,후측 공간으로 구획하며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평판인 메인구획판부와, 상기 메인구획판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홈과, 상기 급기용 듀얼공기순환기의 제1,2 팬 사이를 구획하며 상기 메인구획판부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급기측 팬구획판부와, 상기 배기용 듀얼공기순환기의 제1,2 팬 사이를 구획하며 상기 메인구획판부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배기측 팬구획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좌측 상하구획판과 후좌측 상하구획판은, 각각 한쪽 단부가 상기 좌측판에 결합되어 좌측 공간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다른 한쪽 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전열교환소자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경사절곡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우측 상하구획판과 후우측 상하구획판은, 각각 한쪽 단부가 상기 우측판의 중간부분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단부가 전열교환소자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평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좌측판 또는 우측판에 연결되어 두 개의 토출구멍들을 커버하는 커버케이스와, 상기 커버케이스에 연결되는 연결덕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판에 후측 전열교환소자를 착탈시킬 수 있는 사각형의 삽입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구멍을 커버하는 커버판이 상기 후측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
KR1020230032688A 2023-03-13 2023-03-13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 KR102527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688A KR102527971B1 (ko) 2023-03-13 2023-03-13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688A KR102527971B1 (ko) 2023-03-13 2023-03-13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971B1 true KR102527971B1 (ko) 2023-05-02

Family

ID=8638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688A KR102527971B1 (ko) 2023-03-13 2023-03-13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9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362B1 (ko) * 2021-03-18 2021-11-04 임국빈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362B1 (ko) * 2021-03-18 2021-11-04 임국빈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56816A1 (en) Air Conditioner
US5775125A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CN108662708B (zh) 具有旁路功能的风机以及换热器
KR101156295B1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실외기 설치 시스템
KR101189310B1 (ko) 열교환형 환기 장치
KR102527971B1 (ko) 듀얼팬을 적용한 고효율 공기순환기
KR102322362B1 (ko)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공기순환기
JP5206365B2 (ja) 送風装置
KR100662343B1 (ko) 환기 시스템
CN217421637U (zh) 风机组件、吹风装置
KR102356237B1 (ko) 입형 듀얼 환기장치
JPH1078245A (ja) 空気調和装置
JP3525624B2 (ja) 熱交換器付換気装置及び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枠体
JP3978984B2 (ja) 空気調和装置
CN101617174B (zh) 空调的室外单元以及室外单元的鼓风机
KR100672602B1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 열교환유닛
WO2011142094A1 (ja) 熱交換装置
KR100698910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KR20040061689A (ko)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송풍조절장치
JP3165013B2 (ja) 熱交換形換気扇
KR10079483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060125040A (ko) 공기조화기용 환기유닛
JP2012188935A (ja) 送風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109405081B (zh) 一种空调器室内机及空调器
JP4715205B2 (ja) 熱交換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