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1871A - 선체의 시일구조 - Google Patents

선체의 시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1871A
KR20150041871A KR20130120367A KR20130120367A KR20150041871A KR 20150041871 A KR20150041871 A KR 20150041871A KR 20130120367 A KR20130120367 A KR 20130120367A KR 20130120367 A KR20130120367 A KR 20130120367A KR 20150041871 A KR20150041871 A KR 20150041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nel
floor deck
tile
gap
sea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0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세린
손재훈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0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1871A/ko
Publication of KR20150041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68Panellings; Lin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선체의 시일구조를 개시한다.
선체의 시일구조는 벽체 패널과 플로어 데크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한 선체의 시일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데크의 상면에 수직으로 코밍 부가 형성되어 상기 벽체 패널과 상기 플로어 데크 사이의 틈새를 메우고 상기 벽체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코밍 부와 상기 플로어 데크의 표면을 커버링하는 위치에 "L"형상의 라이트 시멘트가 형성되며, 상기 라이트 시멘트에서 수직 부분의 표면에는 제1 타일이 상기 벽체 패널보다 더 돌출되지 않게 부착되고, 수평 부분의 표면에는 배수를 위한 경사를 갖는 제2 타일이 부착됨으로써, 실리콘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실리콘 표면에 물때가 쉽게 끼이지 않게 되어 청소가 용이하며, 라이트 시멘트와 벽체 패널 틈새로 물이 스며들지 않으며, 플로어 데크 상에 다른 장비를 올려놓기 쉬워서 공간활용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Description

선체의 시일구조{SEAL STRUCTURE OF SHIP BODY}
본 발명은 선체의 시일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마감재인 실리콘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실리콘 표면에 물때가 쉽게 끼이지 않게 되어 청소가 용이하며, 라이트 시멘트와 벽체 패널 틈새로 물이 스며들지 않고, 플로어 데크 상에 다른 장비를 올려놓기 쉬워서 공간활용 측면에서 유리한 선체의 시일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체에는 선원 거주공간 및 기관실 등이 구비되는데, 화장실, 체인지 룸, 주방과 같이 수밀(水密)을 필요로 하는 wet space 구역과, 복도, 캐빈, 침실과 같이 수밀(水密)을 필요로 하지 않는 dry space 구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wet space 구역의 구조를 살펴보면, 내부에 실링 플레이트와 플로어 데크 사이에 벽체 패널이 설치되며, 상기 벽체 패널과 플로어 데크 사이에는 시일구조물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선체의 시일구조의 일 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선체 시일구조의 일 예에서는, 벽체 패널(13)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모두 wet space 구역이 형성되는 경우이다.
벽체 패널(13)의 하부와 플로어 데크(11)와의 틈새를 메우기 위하여 좌우측 에 각각 라이트 시멘트(14)가 형성된다.
코밍 부(12)는 플로어 데크(11)의 상면에서 용접된다. 상기 코밍 부(12)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이 동일 형상으로 시일링 된다.
상기 라이트 시멘트(14)의 상면 일 측에는 상기 벽체 패널(13)의 하단 면이 지지되는 지지 면(14a)이 형성되고, 상기 라이트 시멘트(14)의 상면 타 측에는 상기 벽체 패널(13)의 전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급경사면(14b)과 완경사면(14c)이 형성된다.
상기 급경사면(14b)과 상기 완경사면(14c)의 표면에는 타일(15)이 부착되고, 상기 타일(15)과 상기 벽체 패널(13)과의 틈새는 실리콘(16)으로 메워진다.
도 2는 종래 선체 시일구조의 다른 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선체의 시일구조에서는, 벽체 패널(23)을 기준으로 좌측에는 wet space 구역이 형성되고 우측에는 dry space 구역이 형성되는 경우이다.
플로어 데크(21)의 상면에 코밍 부(22)가 수직으로 용접된다. 상기 코밍 부(22)는 상기 벽체 패널(23)의 하측에 밀착되고, 상기 벽체 패널(23)의 전면과 하부에는 라이트 시멘트(24)가 형성된다.
상기 라이트 시멘트(24)의 측면에는 상기 코밍 부(22)가 지지하는 지지 면(24a)이 형성되고, 상기 라이트 시멘트(24)의 상면 타 측에는 상기 벽체 패널(23)의 전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급경사면(24b)과 완경사면(24c)이 형성된다.
상기 급경사면(24b)과 상기 완경사면(24c)의 표면에는 타일(25)이 부착되고, 상기 타일(25)과 상기 벽체 패널(23)과의 틈새는 실리콘(26)으로 메워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선체의 시일구조에서는 벽체 패널 표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급경사면과 완경사면에 의하여 상기 타일의 표면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배수되는데, 실리콘이 외부로 노출되어 실리콘 표면에 물때가 쉽게 끼이게 되어 실리콘 청소에 어려움이 있으며, 라이트 시멘트와 벽체 패널 틈새로 물이 스며들어 누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선체의 시일구조에서는, 급경사면이 형성된 부분 때문에 그 부분에 다른 장비를 올려놓기 어려운 구조로서 공간활용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면과 완경사면에 의하여 파일의 표면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배수되는데, 실리콘이 외부로 노출되어 실리콘 표면에 물때가 쉽게 끼이지 않아 청소가 용이하며, 라이트 시멘트와 벽체 패널 틈새로 물이 스며들지 않는 선체의 시일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로어 데크 상에 다른 장비를 올려놓기 쉬워서 공간활용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선체의 시일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체의 시일구조는 벽체 패널과 플로어 데크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한 선체의 시일구조로서, 상기 플로어 데크의 상면에 수직으로 코밍 부가 형성되어 상기 벽체 패널과 상기 플로어 데크 사이의 틈새를 메우고 상기 벽체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코밍 부와 상기 플로어 데크의 표면을 커버링하는 위치에 "L"형상의 라이트 시멘트가 형성되며, 상기 라이트 시멘트에서 수직 부분의 표면에는 제1 타일이 상기 벽체 패널보다 더 돌출되지 않게 부착되고, 수평 부분의 표면에는 배수를 위한 경사를 갖는 제2 타일이 부착된다.
상기 코밍 부의 상단부는 상기 벽체 패널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 홈에 삽입된다.
상기 벽체 패널의 하단부와 상기 제1 타일의 틈새에는 실리콘이 충전된다.
상기 벽체 패널의 표면과 상기 제1 타일의 표면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벽체 패널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타일과 상기 벽체 패널과의 틈새로 스며들지 않는 구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로어 데크의 상면에 수직으로 코밍 부가 형성되어 벽체 패널과 플로어 데크 사이의 틈새를 메우고 벽체 패널을 지지하며, 코밍 부와 플로어 데크의 표면을 커버링하는 위치에 "L"형상의 라이트 시멘트가 형성되며, 라이트 시멘트에서 수직 부분의 표면에 제1 타일이 상기 벽체 패널보다 더 돌출되지 않게 부착됨으로써, 실리콘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실리콘 표면에 물때가 쉽게 끼이지 않게 되어 청소가 용이하며, 라이트 시멘트와 벽체 패널 틈새로 물이 스며들지 않으며, 플로어 데크 상에 다른 장비를 올려놓기 쉬워서 공간활용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도 1은 종래 선체의 시일구조의 일 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선체 시일구조의 다른 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체의 시일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선체의 시일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체의 시일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체의 시일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체의 시일구조는 벽체 패널(130)과 플로어 데크(110)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한 선체의 시일구조로서, 좌측과 우측에 wet space 구역이 형성되는 경우이다.
상기 플로어 데크(110)의 상면에 수직으로 코밍 부(120)가 형성되어 상기 벽체 패널(130)과 상기 플로어 데크(110) 사이의 틈새를 메우고 상기 벽체 패널(130)을 지지한다.
상기 코밍 부(120)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의 시일구조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밍 부(120)와 상기 플로어 데크(110)의 표면을 커버링하는 위치에 "L"형상의 라이트 시멘트(140)가 형성된다. 상기 라이트 시멘트(140)는 좌측과 우측의 wet space 구역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라이트 시멘트(140)에서 수직 부분(141)의 표면에는 제1 타일(151)이 상기 벽체 패널(130)보다 더 돌출되지 않게 부착되고, 수평 부분(142)의 표면에는 배수를 위한 경사를 갖는 제2 타일(152)이 부착된다.
상기 코밍 부(120)의 상단부는 상기 벽체 패널(130)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 홈(131)에 삽입되므로, 상기 벽체 패널(130)과 상기 플로어 데크(110) 사이의 틈새를 메우고 상기 벽체 패널(130)을 지지한다.
상기 벽체 패널(130)의 하단부와 상기 제1 타일(151)의 틈새에는 실리콘(160)이 충전된다.
상기 벽체 패널(130)의 표면과 상기 제1 타일(151)의 표면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벽체 패널(130)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제1 타일(151)과 상기 벽체 패널(130)과의 틈새로 스며들지 않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체의 시일구조에서는, 플로어 데크(110)의 상면에 수직으로 코밍 부(120)가 형성되어 벽체 패널(130)과 플로어 데크(110) 사이의 틈새를 메우고 벽체 패널(130)을 지지하며, 코밍 부(120)와 플로어 데크(110)의 표면을 커버링하는 위치에 "L"형상의 라이트 시멘트(140)가 형성되며, 라이트 시멘트(140)에서 수직 부분(141)의 표면에 제1 타일(151)이 상기 벽체 패널(130)보다 더 돌출되지 않게 부착됨으로써, 실리콘(16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실리콘 표면에 물때가 쉽게 끼이지 않게 되어 청소가 용이하며, 라이트 시멘트와 벽체 패널 틈새로 물이 스며들지 않으며, 플로어 데크 상에 다른 장비를 올려놓기 쉬워서 공간활용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선체의 시일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선체의 시일구조는 벽체 패널(230)과 플로어 데크(210)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한 선체의 시일구조로서, 좌측에 wet space 구역이 형성되고 우측에 dry space 구역이 형성되는 경우이다.
상기 플로어 데크(210)의 상면에 수직으로 코밍 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벽체 패널(230)과 상기 플로어 데크(2110) 사이의 틈새를 메우고 상기 벽체 패널(230)을 지지한다. 상기 코밍 부(220)를 기준으로 좌측의 시일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코밍 부(220)와 상기 플로어 데크(210)의 표면을 커버링하는 위치에 "L"형상의 라이트 시멘트(240)가 형성된다.
상기 라이트 시멘트(240)에서 수직 부분(241)의 표면에는 제1 타일(251)이 상기 벽체 패널(230)보다 더 돌출되지 않게 부착되고, 수평 부분(242)의 표면에는 배수를 위한 경사를 갖는 제2 타일(252)이 부착된다.
상기 코밍 부(220)의 상단부는 상기 벽체 패널(230)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 홈(231)에 삽입되므로, 상기 벽체 패널(230)과 상기 플로어 데크(210) 사이의 틈새를 메우고 상기 벽체 패널(230)을 지지한다.
상기 벽체 패널(230)의 하단부와 상기 제1 타일(251)의 틈새에는 실리콘(260)이 충전된다.
상기 벽체 패널(230)의 표면과 상기 제1 타일(251)의 표면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벽체 패널(230)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제1 타일(251)과 상기 벽체 패널(230)과의 틈새로 스며들지 않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선체의 시일구조에서는, 플로어 데크(210)의 상면에 수직으로 코밍 부(220)가 형성되어 벽체 패널(230)과 플로어 데크(210) 사이의 틈새를 메우고 벽체 패널(230)을 지지하며, 코밍 부(220)와 플로어 데크(210)의 표면을 커버링하는 위치에 "L"형상의 라이트 시멘트(240)가 형성되며, 라이트 시멘트(240)에서 수직 부분(241)의 표면에 제1 타일(251)이 상기 벽체 패널(230)보다 더 돌출되지 않게 부착됨으로써, 실리콘(26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실리콘 표면에 물때가 쉽게 끼이지 않게 되어 청소가 용이하며, 라이트 시멘트와 벽체 패널 틈새로 물이 스며들지 않으며, 플로어 데크 상에 다른 장비를 올려놓기 쉬워서 공간활용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10: 플로어 데크
120: 코밍 부
130: 벽체 패널
131: 결합 홈
140: 라이트 시멘트
141: 라이트 시멘트의 수직 부분
142: 라이트 시멘트의 수평 부분
151: 제1 타일
152: 제2 타일
160: 실리콘

Claims (4)

  1. 벽체 패널과 플로어 데크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한 선체의 시일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데크의 상면에 수직으로 코밍 부가 형성되어 상기 벽체 패널과 상기 플로어 데크 사이의 틈새를 메우고 상기 벽체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코밍 부와 상기 플로어 데크의 표면을 커버링하는 위치에 "L"형상의 라이트 시멘트가 형성되며, 상기 라이트 시멘트에서 수직 부분의 표면에는 제1 타일이 상기 벽체 패널보다 더 돌출되지 않게 부착되고, 수평 부분의 표면에는 배수를 위한 경사를 갖는 제2 타일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시일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밍 부의 상단부는 상기 벽체 패널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시일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체 패널의 하단부와 상기 제1 타일의 틈새에는 실리콘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시일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체 패널의 표면과 상기 제1 타일의 표면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벽체 패널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타일과 상기 벽체 패널과의 틈새로 스며들지 않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시일구조.
KR20130120367A 2013-10-10 2013-10-10 선체의 시일구조 KR20150041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0367A KR20150041871A (ko) 2013-10-10 2013-10-10 선체의 시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0367A KR20150041871A (ko) 2013-10-10 2013-10-10 선체의 시일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871A true KR20150041871A (ko) 2015-04-20

Family

ID=5303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0367A KR20150041871A (ko) 2013-10-10 2013-10-10 선체의 시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18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9730A (zh) * 2020-06-11 2020-09-04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壁板件和钢甲板的连接结构、厨房及船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9730A (zh) * 2020-06-11 2020-09-04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壁板件和钢甲板的连接结构、厨房及船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129957A (ja) 建物の開口部構造
US20150252561A1 (en) Waterproofing system for wet areas
KR20150041871A (ko) 선체의 시일구조
KR20140070094A (ko) 커튼월 배수 시스템
JP2014047567A (ja) 建物の外壁構造
JP6862226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JP2015169035A (ja) 分割床パンの製造方法及びこの分割床パンの防水構造
KR20160000688U (ko)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
KR101592254B1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공조기용 케이싱 구조체
JP2014114660A (ja) 建物の排水構造及び建物
CN215106135U (zh) 卫生间防渗水结构
JP5877176B2 (ja) 建物の防水構造
CN210563184U (zh) 卫生间防渗水结构
JP5738544B2 (ja) 目地構造
KR101709268B1 (ko) 누수방지용 신축이음 시스템
JP6259260B2 (ja) 目地排水部材および外壁の排水構造
JP4415687B2 (ja) バルコニー等の外部床の壁際の排水構造
CN214461298U (zh) 一种土木工程伸缩缝防水结构
KR102097060B1 (ko) 도어씰
JPS6111363Y2 (ko)
JP6496207B2 (ja) 止水部材、見切りカバーおよび横目地止水構造体
JP3782417B2 (ja) ガラス壁の結露水の排水構造
KR20160003608U (ko) 거주구의 연기 또는 유해가스 차단구조체
KR100650952B1 (ko) 건축구조물 옥상 방수구조
JP2008156816A (ja) 浴室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