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400A -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400A
KR20150039400A KR20130117928A KR20130117928A KR20150039400A KR 20150039400 A KR20150039400 A KR 20150039400A KR 20130117928 A KR20130117928 A KR 20130117928A KR 20130117928 A KR20130117928 A KR 20130117928A KR 20150039400 A KR20150039400 A KR 20150039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unit
space
unit
suspec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7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2696B1 (ko
Inventor
문용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일전자
문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일전자, 문용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일전자
Priority to KR1020130117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696B1/ko
Publication of KR20150039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5/00Handcuffs ; Finger cuffs; Leg irons; Handcuff holsters; Means for locking prisoners in automobi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용의자가 착용하는 수갑부와;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비된 조사실를 둘러싸는 제1 벽체와, 상기 조사실을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 벽체와, 제2 벽체에 설치되며 제2 공간과 제1 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도어와, 제1 벽체에 설치되며 제2 공간과 실외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도어를 가지는 조사실에 설치된 작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갑부는 용의자의 손목에 채워지는 수갑과, 수갑에 구비된 발신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부는 제어부와, 제1 공간에 위치하고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발신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경고수단과,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도어를 잠금하는 잠금수단과, 해제버튼으로 이루어져; 제1 수신부에서 발신부의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로부터의 제어명령에 의해서 잠금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은 수갑찬 용의자가 조사실을 몰래 빠져나가려고 할 때 수갑에 있는 발신부에서 신호를 전송하고 이 신호를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수신부에 감지되면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의해제1 경고수단이 작동하여 수갑찬 용의자가 조사실을 몰래 빠져나가기 전에 체포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escape of suspect shackled}
본 발명은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갑찬 용의자가 도주를 하려고 할 때 보다 빠른 시간내에 효율적으로 현장에서 체포할 수 있는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용의자들은 경찰서에서 조사를 받는다. 경찰서에는 용의자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무가 있는 사람들이 왕래한다. 이렇듯, 경찰서에 많은 사람들이 있다 보면 용의자가 도주할 수 있는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경찰서의 조서실에서 용의자가 도주하는 경우는 용의자가 수갑을 해지하고 도주하는 경우와 수갑을 차고 도주하여 이후에 수갑을 해지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최근 수갑의 안전장치의 발달에 따라 수갑의 안전장치에 대한 허점이 많이 보완되었고, 수갑을 해지하기 위한 도구를 경찰서에서 쉽게 구할 수 없어, 수갑을 해지하고 도주하는 경우는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반면 수갑을 차고 도주하는 용의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경찰은 수갑을 차고 도주하는 용의자를 빠른 시간내에 효율적으로 체포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출원된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04-0098608호(2004.11.20)에는 수갑의 위치정보제공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위치정보제공장치가 구비된 수갑에 대한 평면도이다.
종래의 위치정보장치가 구비된 수갑은 고정고리(10)와, 이동고리(20)와, 기구틀(30)과, 걸음편(40)과, 판스프링(50)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고리(10)는 반원호형으로써 상호 대칭되게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한쌍의 일단 사이에는 이동고리(20)가 조립되어 그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용의자의 손목을 구속하거나 해제시키도록 하고, 타단에는 장방형의 몸체(11)가 일체로 구비되며, 키구멍(12)과 보조구멍(13)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이동고리(20)는 반원호형으로써 일단은 고정고리(10)에 조립되며, 타단의 바깥둘레면에 톱니이빨로 이루어진 래치트부(21)로 구비되어, 원호상으로 회동하면서 고정고리(10)의 몸체(11)로 출입되도록 한다.
상기 종래의 수갑의 위치정보장치는 수갑을 차고 몰래 경찰서의 조사실을 도주하는 용의자를 현장에서 체포하는 것이 힘들고, 또한 도주하는 용의자가 위치정보장치를 손상시키거나 해체하고 도주하는 경우 체포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04-009860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갑을 차고 조사실을 몰래 빠져나와 도주하려는 용의자를 현장인 조사실이나 경찰서 내부에서 빠른 시간내에 체포하기 위한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의자가 착용하는 수갑부와;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비된 조사실를 둘러싸는 제1 벽체와, 상기 조사실을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 벽체와, 제2 벽체에 설치되며 제2 공간과 제1 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도어와, 제1 벽체에 설치되며 제2 공간과 실외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도어를 가지는 조사실에 설치된 작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갑부는 용의자의 손목에 채워지는 수갑과, 수갑에 구비된 발신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부는 제어부와, 제1 공간에 위치하고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발신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경고수단과,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도어를 잠금하는 잠금수단과, 해제버튼으로 이루어져; 제1 수신부에서 발신부의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로부터의 제어명령에 의해서 잠금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1 수신부로부터 제2 도어로 가는 경로상에 제1 수신부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제2 수신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수신부와 제2 수신부가 모두 감지되고, 그 중 제1 수신부가 먼저 감지되면, 제어부로부터의 제어명령에 의해서 잠금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수신부와 제2 수신부가 모두 감지되고, 그 중 제1 수신부가 먼저 감지되며, 상기 제1 수신부에서 감지된 후 설정시간(T) 이후에 제2 수신부에서 감지되면, 제어부로부터 제어명령에 의해서 잠금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수신부와 제2 수신부가 순차로 감지되고, 해제버튼이 작동되지 않았다면, 잠금수단 작동이 표시부에 표시되고, 경고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은 수갑찬 용의자가 조사실을 몰래 빠져나가려고 할 때 수갑에 있는 발신부에서 신호를 전송하고 이 신호를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신부에 감지되면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의해 경고수단이 작동하여 수갑찬 용의자가 조사실을 몰래 빠져나가기 전에 체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위치정보제공장치가 구비된 수갑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발신부가 착용된 수갑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수갑찬 용의작 도주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설치된 조사실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제1 수신부와 제2 수신부가 모두 구비된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시스템이 작동하는 순서도이고,
도 6은 제1 수신부로부터 제2 수신부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시스템이 작동하는 경우 설정시간을 첨부한 순서도이고,
도 8은 수갑찬 용의자가 복수인 경우 방지 시스템이 작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9는 정문에 구비된 제2 경고수단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경찰서 건물 1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발신부가 착용된 수갑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수갑찬 용의작 도주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설치된 조사실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제1 수신부와 제2 수신부가 모두 구비된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시스템이 작동하는 순서도이고, 도 6은 제1 수신부로부터 제2 수신부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시스템이 작동하는 경우 설정시간을 첨부한 순서도이고, 도 8은 수갑찬 용의자가 복수인 경우 방지 시스템이 작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9는 정문에 구비된 제2 경고수단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경찰서 건물 1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4의 제1 수신부로부터 제2 도어로 가는 경로상에 제2 수신부가 설치되어 있고, 제1 수신부를 기준으로 제1 도어 방향을 "외측 방향으로" 한다. 제2 도어를 기준으로 왼쪽을 "좌측 방향으로" 한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100)은 용의자가 착용하는 수갑부(110)와; 제1 공간(154)과 제2 공간(152)으로 구비된 조사실(150)를 둘러싸는 제1 벽체(151)와, 상기 조사실(150)을 상기 제1 공간(154)과 제2 공간(152)으로 구획하는 제2 벽체(153)와, 제2 벽체(153)에 설치되며 제2 공간(152)과 제1 공간(154)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도어(157)와, 제1 벽체(151)에 설치되며 제2 공간(152)과 실외(156)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도어(155)를 가지는 조사실(150)에 설치된 작동부(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갑부(110)는 용의자의 손목에 채워지는 수갑(111)과, 수갑(111)에 구비된 발신부(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부(120)는 제어부(121)와, 제1 공간(154)에 위치하고 제어부(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발신부(113)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127)와, 상기 제어부(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경고수단(129)과, 제어부(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도어(155)를 잠금하는 잠금수단(125)과, 해제버튼(131)으로 이루어져; 제1 수신부(127)에서 발신부(113)의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21)로부터의 제어명령에 의해서 잠금수단(125)이 작동된다.
상기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100)은 제1 수신부(127)로부터 제2 도어(157)로 가는 경로상에 제1 수신부(127)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제2 수신부(13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갑부(110)는 용의자의 손목에 채워지는 수갑(111)과, 수갑(111)에 구비된 발신부(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신부(113)에는 감응테이프나 RFID 태그 등이 사용되어 제1 수신부(127)와 제2 수신부(135)에 구비된 RFID 판독기나 감응안테나에 신호를 송신한다. 이 신호는 태그가 부착된 대상을 식별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발신부(113)는 수갑찬 용의자가 인지할 수 없도록 수갑의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는 수갑찬 용의자가 발신부(113)를 손상시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동부(120)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작동부(120)는 제어부(121)와, 상기 제어부(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해제버튼(131)과, 입력부(123)와, 잠금수단(125)과, 제1 수신부(127)와, 제2 수신부(135)와, 제1 경고수단(129)과, 제2 경고수단(141)과, 표시부(137)와, 전원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은 모두 제어부(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21)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제어부(121)로부터 제어명령을 받아 작동된다.
상기 전원부(139)는 제어부(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2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수신부(127)와 제2 수신부(135)는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100)에서 발신부(113)에서 전송된 신호가 수신되는 장치이다. 발신부(113)에서 발신된 신호는 제1 수신부(127)와 제2 수신부(135)에서 수신된다. 주로 RFID 판독기나, 감응안테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3)를 통하여 사용자는 전원을 On/Off 할 수 있다. 또한 설정시간(T)을 설정해주는 장치가 부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잠금수단(125)은 제1 도어(155)에 장착되어 제1 도어(155)의 개폐를 조정할 수 있다. 잠금수단(125)의 내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어부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받아 작동되어 제1 도어(155)를 열고 닫을 수 있게 한다.
상기 해제버튼(131)은 제2 도어(157)의 좌측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해제버튼(131)은 제1 수신부(127)와 제2 수신부(135)가 모두 감지되는 경우라도 제1 경고수단(129)과, 제2 경고수단(141)과, 잠금수단(125)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이다. 해제버튼(131)이 눌려지면 눌림 신호가 제어부(121)가 전달되고, 제어부(121)에서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제1 경고수단(129)과, 제2 경고수단(141)과, 잠금수단(125)이 작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잠금수단(125)이 작동되어 제1 도어(155)가 잠겨진 경우, 해제버튼(131)이 눌려지면 잠금이 해제된다.
이는 수갑찬 용의자가 경찰과 함께 대동하거나 정당하게 제1 도어(155)나 제2 도어(157)를 드나들어 수갑(111)의 발신부(113)에서 전송되는 신호가 제1 수신부(127)와 제2 수신부(135)에서 감지되는 경우에도 제1 경고수단(129)과, 제2 경고수단(141)과, 잠금수단(125)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표시부(137)는 조사실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수갑찬 용의자가 도주하려고 하여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100)이 작동하는 경우 제1 경고수단(129)과, 제2 경고수단(141)과 함께 표시부(137)에 도주 상황을 표시하여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갑찬 용의자가 도주하려는 상황을 알리는 장치이다. 이는 LCD 패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의자는 수갑을 차고 제1 공간(154)에서 조사를 받게된다. 조사를 받는 중에 제1 공간(154)에 있는 수갑찬 용의자가 도주하려고 제1 수신부(127)를 지나가면 수갑(111)에 장착된 발신부(113)에서 전송되는 신호가 제1 수신부(127)에서 감지된다. 제1 수신부(127)에서 감지 신호가 제어부(121)로 전달되어, 제1 수신부(127)에서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경고수단(129)과 제1 도어(155)에 연결된 잠금수단(125)이 제어부(121)로부터 제어명령을 받아 작동하게 된다. 상기 제1 도어(155)가 작동하면 제1 도어(155)가 닫히게 된다.
상기 제1 경고수단(129)은 알람음을 내는 장치이거나, '경고', '주의' 등의 소리를 내는 장치일 수 있다. 제1 경고수단(129)은 조사실 내부에 사람들이 잘 볼 수 있는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조사실을 몰래 빠져나와 도주하려는 용의자를 현장인 조사실이나 경찰서 내부에서 빠른 시간 내에 체포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신부(127)와 제2 수신부(135)가 모두 구비된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100)이 작동하는 순서도로서 제1 수신부(127)와 제2 수신부(135)가 모두 감지되고, 그 중 제1 수신부(127)가 먼저 감지되면, 제어부(121)로부터의 제어명령에 의해서 잠금수단(125)이 작동된다.
상기 제1 수신부(127)에 제2 수신부(135)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공간(154)에 있는 수갑찬 용의자가 몰래 도주하려고 제1 수신부(127)를 지나가면, 수갑(111)에 장착된 발신부(113)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제1 수신부(127)에서 감지하고, 제1 수신부(127)로부터 제2 도어(157)로 가는 경로상에 제1 수신부(127)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제2 수신부(135)에서 신호가 감지된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경고수단(129)과 제1 도어(155)에 연결된 잠금수단(125)은 제어부(121)로부터 제어명령을 받아 작동된다.
다만, 수갑에 장착된 발신부(113)에서 전송하는 신호가 제1 수신부(127)에만 감지되고 제2 수신부(135)에 감지되지 않으면 수갑찬 용의자가 도주하려는 것이 아니므로 제1 경고수단(129)과 잠금수단(125)이 작동되지 않는다. 이렇듯 제1 수신부(127)와 제2 수신부(135)를 설치함으로써 도주와 체포되어 들어오는 경우가 구분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수신부(127)와 제2 수신부(135)는 서로 거리(S)만큼 이격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이 거리(S)는 3미터 정도이다. 발신부(113)에서 전송하는 신호가 상기 제1 수신부(127)와 제2 수신부(135)에 모두 감지되고, 그 중 제1 수신부(127)가 먼저 감지되며, 상기 제1 수신부(127)에서 감지된 후 설정시간(T) 이후에 제2 수신부(135)에서 감지되면, 제어부(121)로부터 제어명령에 의해서 잠금수단(125)이 작동된다.
상기 설정시간(T)은 제1 수신부(127)와 제2 수신부(135)까지 거리가 3 미터인 경우 용의자가 100 미터를 달리는데 10초 이상은 소요되므로 3 미터를 가는데 0.3초 이상이 소요된다. 따라서 설정시간(T초)을 0.3초로 설정한 경우 0.3초 이내에 제1 수신부(127)와 제2 수신부(135)가 연속하여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2인 이상의 복수의 용의자가 제1 수신부(127)와 제2 수신부(135)를 통과하는 경우일 것이다.
이렇듯 수갑찬 용의자 1인이 도주하려는 경우는 제1 수신부(127)에서 제2 수신부(135)까지 가는데 걸리는 시간은 0.3초 이내이기는 어렵다. 따라서, 제1 수신부(127)와 제2 수신부(135)가 연속하여 감지되는 시간간격이 0.3초 이내이면 수갑찬 용의자 1인이 도주하려는 경우가 아닌 2인 이상의 복수의 용의자가 제1 수신부(127)와 제2 수신부를(135)를 드나드는 경우일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제l 경고수단(129)과 잠금수단(125)이 작동하지 않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100)은 제1 수신부(127)와 제2 수신부(135)가 순차로 감지되면, 제어부(121)로부터 제어명령에 의해서 잠금수단(125)이 작동된다.
이는 2인 이상의 용의자가 있을 때 제2 수신부(135) 외측에 위치한 용의자("이하 A" 라고 한다)와 제1 수신부(127) 내측에 위치한 용의자("이하 B" 라고 한다)중에 A가 먼저 제2 수신부(135)를 지나고 그 후 B가 제1 수신부(127)를 지난다.
이후 A가 제2 수신부(135)를 지나고 그 후 B가 제1 수신부(127)를 지나게 되는 경우에 용의자의 숫자에 관계없이 수갑(111)에 구비된 발신부(113)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제1 수신부(127)와 제2 수신부(135)에서 순차로 감지되면, 제어부(121)로부터 제어명령에 의해서 제1 경고수단(129)과 잠금수단(125)이 작동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경우, 즉 A와 B의 수갑(111)에 구비된 발신부(113)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시간의 순서에 따라 제2 수신부(135)에 감지되고, 제1 수신부(127)에 감지되고, 제2 수신부(135)에 감지되고, 제1 수신부(127)에 감지되는 경우, 수갑찬 용의자 B가 도주하는 경우이다. 다만, 도 5에 의하면 2인의 용의자 A,B가 모두 제2 수신부(135) 외측에서 제1 수신부(127) 내측으로 들어오는 경우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경고수단(129)과 잠금수단(125)이 작동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도주하려는 수갑찬 용의자 B를 체포하기 위해서는 수갑찬 용의자의 발신부(113)에서 전송하는 신호가 제2 수신부(135)부터 감지되는 경우는 그 후 상기 신호가 제1 수신부(127)에서와 제2 수신부(135)에서 순차로 감지되면, 제어부(121)로부터 제어명령에 의해서 제1 경고수단(139)과 잠금수단(125)이 작동되게한다. 이는 수갑찬 복수의 용의자가 도주하는 경우 효율적으로 체포하기 위함이다.
도 4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고수단은 조사실 내부에 제1 경고수단(139)이 구비되고, 경찰서 정문에 제2 경고수단(14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수갑찬 용의자가 도주하려는 경우 제1 경고수단(139) 뿐만 아니라, 정문에 있는 제2 경고수단(141)을 통해 경찰서 내부에 즉각적으로 용의자가 도주한다는 사실을 알리기 위함이다. 이는 빠른 대응조치를 효율적으로 하여 용의자를 체포하기 위함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찰서 건물 1층은 제1 계 사무실(180)과, 제2 계 사무실(190)과, 조사계(160) 사무실과, 형사계(170) 사무실과, 안내데스크(145)와, 현관(147)과, 제3 경고수단(14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사계 사무실(160)과 형사계 사무실(170)의 내부는 도면 4와 같이 조사실(150)의 구조와 같다.
상기 안내데스크(145)는 제1 계 사무실(180)과, 제2 계 사무실(190)과, 형사계 사무실(170)과, 조사계 사무실(160)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내데스크(145)는 현관(147)과 마주하며 경찰서 1층 내부에 위치한다. 안내데스크(145)에 있는 사람은 경찰서를 방문한 사람에게 위치를 안내하거나, 긴급한 상황시 상황을 보고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상기 제3 경고수단(143)은 제1 계 사무실(180)과, 제2 계 사무실(190)의 외부인 실외(156)에 위치하며, 제3 경고수단(143)은 안내데스크(145)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이는 안내데스크(145)에서 제3 경고수단(143)의 경고음 등이 잘 들려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찰서 1층에 위치한 형사계(170)와 조사계(160) 내부에서 수갑찬 용의자가 도주하려는 경우 안내데스크(145)에 있는 사람이 즉각적으로 알게 되어 빠르고 효율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
110 : 수갑부 111 : 수갑
113 : 발신부 120 : 작동부
121 : 제어부 123 : 입력부
125 : 잠금수단 127 : 제1 수신부
129 : 제1 경고수단 131 : 해제버튼
135 : 제2 수신부
137 : 표시부 139 : 전원부
141 : 제2 경고수단 143 : 제3 경고수단
145 : 안내데스크 147 : 현관
150 : 조사실
151 : 제1 벽체 152 : 제2 공간
153 : 제2 벽체 154 : 제1 공간
155 : 제1 도어 156: 실외
157: 제2 도어 160 : 조사계 사무실
170 : 형사계 사무실 180 : 제1 계 사무실
190 : 제2 계 사무실

Claims (5)

  1. 용의자가 착용하는 수갑부(110)와; 제1 공간(154)과 제2 공간(152)으로 구비된 조사실(150)을 둘러싸는 제1 벽체(151)와, 상기 조사실(150)을 상기 제1 공간(154)과 제2 공간(152)으로 구획하는 제2 벽체(153)와, 제2 벽체(153)에 설치되며 제2 공간(152)과 제1 공간(154)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도어(157)와, 제1 벽체(151)에 설치되며 제2 공간(152)과 실외(156)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도어를 가지는 조사실(150)에 설치된 작동부(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갑부(110)는 용의자의 손목에 채워지는 수갑(111)과, 수갑(111)에 구비된 발신부(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부(120)는 제어부(121)와, 제1 공간(154)에 위치하고 제어부(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발신부(113)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127)와, 상기 제어부(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경고수단(129)과, 제어부(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도어를 잠금하는 잠금수단(125)과, 해제버튼(131)으로 이루어져; 제1 수신부(127)에서 발신부(113)의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21)로부터의 제어명령에 의해서 잠금수단(125)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127)로부터 제2 도어(157)로 가는 경로상에 제1 수신부(127)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제2 수신부(135)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100).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127)와 제2 수신부(135)가 모두 감지되고, 그 중 제1 수신부(127)가 먼저 감지되면, 제어부(121)로부터의 제어명령에 의해서 잠금수단(125)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100)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127)와 제2 수신부(135)가 모두 감지되고, 그 중 제1 수신부(127)가 먼저 감지되며, 상기 제1 수신부(127)에서 감지된 후 설정시간(T) 이후에 제2 수신부(135)에서 감지되면, 제어부(121)로부터 제어명령에 의해서 잠금수단(125)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100).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127)와 제2 수신부(135)가 순차로 감지되면, 제어부(121)로부터 제어명령에 의해서 잠금수단(125)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100).
KR1020130117928A 2013-10-02 2013-10-02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 KR101532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928A KR101532696B1 (ko) 2013-10-02 2013-10-02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928A KR101532696B1 (ko) 2013-10-02 2013-10-02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400A true KR20150039400A (ko) 2015-04-10
KR101532696B1 KR101532696B1 (ko) 2015-07-02

Family

ID=5302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928A KR101532696B1 (ko) 2013-10-02 2013-10-02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6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3834A (zh) * 2016-08-29 2016-12-07 无锡卓信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滤波电控手铐
KR102025627B1 (ko) 2018-01-04 2019-09-26 안태영 전자 수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663A (ko) * 2009-04-01 2010-10-11 최기남 도주방지용 결속장치
KR101386437B1 (ko) * 2012-08-02 2014-04-21 이수중 피의자 도주를 알려주는 전자수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696B1 (ko)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3895A (en) Intrusion alarm with indication of prior activation
US4853692A (en) Infant security system
US20150087259A1 (en) Person and property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EP3580732A1 (en) Building lockdown system
US5821855A (en) Recognition responsive security system
PT1068599E (pt) Sistema de controlo automatico para um aparelho de seguranca
KR101532696B1 (ko)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
CN106530566A (zh) 基于ble位置的系统装备通知
JP2016142110A (ja) ドアの衝突防止装置
US7612667B2 (en) Secured and alarmed window and entry way
JPWO2007132519A1 (ja) 防犯方法、防犯装置及び防犯装置付設備
KR100651009B1 (ko) 휴대용 도난방지 알림장치
KR100855125B1 (ko) 도주 방지용 방범 기능이 내장된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보안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3147837B2 (ja) 緊急監視装置
KR200406864Y1 (ko) 휴대용 도난방지 알림장치
JP2009191420A (ja) 人体通信を用いた装着物の着脱検知によるセーフティシステム
KR101138399B1 (ko) 무인 경비 시스템
KR200406861Y1 (ko) 휴대용 도난방지 알림장치
KR200406860Y1 (ko) 휴대용 도난방지 알림장치
CN217420830U (zh) 一种智能锁系统及采用该系统的应急门
KR100739093B1 (ko)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
KR200209444Y1 (ko) 침입자 감지 및 경보장치
JP3200966U7 (ko)
JP3008418B2 (ja) 防犯監視装置
JP2006039796A (ja) セキュリティ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