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627B1 - 전자 수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수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627B1
KR102025627B1 KR1020180001003A KR20180001003A KR102025627B1 KR 102025627 B1 KR102025627 B1 KR 102025627B1 KR 1020180001003 A KR1020180001003 A KR 1020180001003A KR 20180001003 A KR20180001003 A KR 20180001003A KR 102025627 B1 KR102025627 B1 KR 102025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electronic
handcuff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3399A (ko
Inventor
안태영
Original Assignee
안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영 filed Critical 안태영
Priority to KR1020180001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6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5/00Handcuffs ; Finger cuffs; Leg irons; Handcuff holsters; Means for locking prisoners in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H13/0012Electrical discharge weapons, e.g. for stun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전자 수갑 장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수갑부, 상기 수갑부 및 상기 수갑부 주변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변화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정보로부터 착용자의 안전자세 또는 위협자세를 판단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착용자의 위협자세로 판단될 경우 제압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안전자세로 판단될 경우 제압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제1 송수신부 및 상기 전송된 제압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착용자를 제압할 수 있도록 구동되는 제압부를 포함한다.
전자 수갑 시스템은 상기 전자 수갑 장치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수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ELECTRONIC HANDCUFF DEVICE AND ELECTRONIC HANDCUFF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수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적으로 수갑의 기능을 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수갑의 기능을 개선하고, 돌발 상황을 예방하기 위한 제압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수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갑은 착용자의 행동을 제한하는 도구로서 두 개의 금속 원형 기구와 상기 두 개의 금속 원형 기구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며 착용시에는 자동으로 잠기고 잠금 해제에는 별도의 열쇠가 필요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수갑은 통상적으로 착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므로 비교적 수갑 착용자의 팔 및 양손의 움직임이 자유로워 수갑 착용자가 팔을 이용하여 타인을 위협하는 행동을 하거나 양손을 이용하여 수갑을 해제하고 도주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이를 개선하기 위한 수갑 잠금 장치의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수갑 착용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도주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제안된 기술도 수갑 착용자가 수갑을 착용한 팔 및 신체를 이용하여 타인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한편, 수갑 착용자가 전술한 일반적인 형태의 수갑을 착용한 경우, 이를 바라보는 타인에게 좋지 않은 시각을 제공한다. 또한, 수갑 착용자의 인권 침해의 문제점도 존재하여, 미디어에서 상기 수갑 착용자의 영상을 내보낼 경우, 모자이크 처리를 하거나, 또는 헝겊 등으로 수갑이 채워진 손목 등을 감싸기도 한다.
결국, 이러한 종전 일반적인 수갑 착용상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수갑 장치 관련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2696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갑의 형태 자유도를 높여 수갑 착용자의 인권을 보장할 수 있고, 수갑 착용자의 행동을 부분적으로 제한하여 안전자세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수갑 착용자를 효과적으로 제압할 수 있는 제압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수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자 수갑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여 수갑 착용자의 도주를 예방하며, 도주 중인 수갑 착용자를 제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하여,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수갑부; 상기 수갑부 및 상기 수갑부 주변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변화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정보로부터 착용자의 안전자세 또는 위협자세를 판단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착용자의 위협자세로 판단될 경우 제압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안전자세로 판단될 경우 제압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제1 송수신부; 및 상기 전송된 제압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착용자를 제압할 수 있도록 구동되는 제압부를 포함하는 전자 수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이고, 중력 센서, 회전 센서, 지자기 센서, 힘 센서, 온도 센서, 전자기 센서, 충격 센서, 광 센서 및 소리 센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압부는 상기 제압 명령에 따라 고온의 열이 발생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제압 명령이 해제 될 때까지 히터의 온도, 빈도 또는 온도 유지 시간이 누적되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압부는 상기 제압 명령에 따라 전기 충격이 발생되는 전기 충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충격부는 상기 제압 명령이 해제 될 때까지 전기 충격의 강도, 빈도 또는 유지 시간이 누적되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압부는 상기 제압 명령에 따른 시각적, 청각적 또는 진동의 알람이 발생되는 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갑 장치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시스템은 전자 수갑 장치 및 상기 전자 수갑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 수갑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전자 수갑 장치 제어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제1 송수신부에 상기 전자 수갑 장치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기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어기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전자 수갑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기 표시부 및 상기 제압 명령 및 상기 전자 수갑 장치 제어 정보에 따른 시각적, 청각적 또는 진동의 알람이 발생되는 제어기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상기 변화 정보, 상기 제압 명령 및 상기 제압 해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변화 정보, 상기 제압 명령 및 상기 제압 해제 명령으로부터 상기 제어기의 안전상태 또는 위험상태를 판단하는 제어기 연산부 및 상기 제어기 연산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제어기의 위험상태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어기 전송부에 상기 제어기 제압 명령을 전송하고, 안전상태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어기 전송부에 상기 제어기 제압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제2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 주변의 변화 정보를 측정하는 제어기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연산부는 상기 제어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변화 정보를 제어기 변화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제어기 변화 정보로부터 상기 제어기의 안전상태 또는 위험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이고, 중력 센서, 회전 센서, 지자기 센서, 온도 센서, 전자기 센서, 충격 센서, 광 센서 및 소리 센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어기의 모션 정보 및 그에 따른 전자 수갑 장치 제어 정보가 입력되는 모션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연산부는 상기 제어기의 모션 정보와 상기 제어기 변화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어기의 모션 정보에 따른 전자 수갑 장치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상기 잠금 장치는 물리적으로 동작되는 물리 잠금 장치 및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전자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의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전자 잠금 장치의 제어 정보가 입력되는 전자 잠금 장치 제어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제1 송수신부의 전파 출력 세기의 유효 범위를 지정하고, 상기 유효 범위내로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전파울타리를 생성하는 전파울타리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파울타리는 상기 전파 출력 세기의 최소값을 설정하고, 이보다 큰 범위로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제1 전파울타리 및 상기 전파 출력 세기의 최대값을 설정하고, 이보다 작은 범위로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제2 전파울타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전자 수갑 장치를 연동하여 수갑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수갑 그룹을 제어하는 페어링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페어링 모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페어링 모드는 페어링 모드 제어 정보,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손상 여부, 상기 안전자세, 상기 위협자세, 상기 제어기의 손상 여부, 상기 안전상태, 상기 위험상태, 상기 전파울타리 범위 이탈 또는 진입 여부에 따라 동작 또는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갑 그룹은 제1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그룹인 제1 수갑 그룹 및 제2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그룹인 제2 수갑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페어링 모드부는 상기 수갑 그룹별, 상기 제1 수갑 그룹별 또는 상기 제2 수갑 그룹별로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동작을 연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갑 시스템은, 상기 전자 수갑 장치가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자동 모드, 상기 전자 수갑 장치 및 상기 제어기가 연동되어 동작되는 반자동 모드 및 상기 제어기의 조작에 의해서만 상기 전자 수갑 장치가 동작되는 수동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수갑 장치는 수갑부, 센서부, 안전자세 또는 위협자세 판단 연산부, 제1 송수신부 및 제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자 수갑 장치는 수갑 착용자에게 안전 자세를 유도하며, 수갑 착용자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압할 수 있고, 수갑의 형태, 재질 및 수갑 착용자의 행동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수갑 시스템은 상기 전자 수갑 장치 및 상기 전자 수갑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전파울타리를 생성한다. 따라서, 상기 전자 수갑 장치는 제어자에 의하여 설정 및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전자 수갑 장치 착용자의 도주 및 위협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장치의 수갑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장치의 제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시스템의 제어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시스템의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시스템의 입력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시스템의 전파울타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시스템의 수갑 그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시스템의 제1 수갑 그룹 및 제2 수갑 그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시스템의 제1 전파울타리 및 제2 전파울타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장치의 안전자세 및 위협자세 판단 기준값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장치의 센서부의 측정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자 수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장치의 수갑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장치의 제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장치의 안전자세 및 위협자세 판단 기준값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장치의 센서부의 측정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장치는 수갑부(100), 센서부(200), 연산부(300), 제1 송수신부(400) 및 제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갑부(100)는 잠금 장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장치(110)는 착용시에 자동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잠금 장치(110)는 물리적으로 구현되거나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잠금 장치(110)는 일반적인 수갑에서 사용되는 잠금 장치(110)이거나, 고리 체결형 또는 벨트형의 열쇠를 이용하여 잠금이 해제되는 장치 일 수 있다.
상기 전자적으로 구현된 잠금 장치(110)는 전자 열쇠로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열쇠는 상기 전자적으로 구현된 잠금 장치(110)의 잠금 장치(110) 해제 권한을 갖는 ID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적으로 구현된 잠금 장치(110)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열쇠는 상기 전자적으로 구현된 잠금 장치(110)의 잠금 장치(110) 해제 권한 정보를 가진 근거리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장치이고, 상기 전자적으로 구현된 잠금 장치(110)는 상기 잠금 장치(110) 해제 권한 정보에 따라 동작되는 근거리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잠금 장치(110)일 수 있다.
상기 잠금 장치(110)는 센서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잠금 장치(110)에 상기 센서부(200)의 가속도 센서가 부착되어 상기 잠금 장치(110)의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급격한 가속도 변화가 발생한 경우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위협, 도주 또는 이상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잠금 장치(110)에 상기 센서부(200)의 온도 센서가 부착되어 상기 잠금 장치(110)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고, 급격한 온도 변화가 발생한 경우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위협자세, 위협, 도주, 이상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수갑부(100)는 신체에 착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갑부(100)는 착용자의 양쪽 팔목, 팔, 발목, 다리 등에 착용될 수 있다. 상기 수갑부(100)는 자석, 전극, 금속, 플라스틱 또는 합성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갑부(100)는 벨트형일 수 있다. 상기 수갑부(100)는 상기 수갑부(100)에 상기 센서부(200)가 둘러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갑부(100)는 일반적인 수갑의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수갑부(100)가 착용자의 팔목, 팔, 발목, 다리 등에 착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일 수 있다.
상기 수갑부(100)는 하나 이상의 상기 센서부(200), 상기 연산부(300), 상기 제압부(500), 상기 제1 송수신부(400) 및 상기 전력원(600)과 다양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갑부(100)는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200), 상기 수갑부(100)의 외측면에 연결되는 광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200), 착용자의 신체에 닿는 방향의 상기 수갑부(100)에 부착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200), 상기 수갑부(100)를 둘러서 부착되는 충격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200), 메인 전력원(600) 및 보조 전력원(600)을 포함하는 전자 수갑 장치 일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수갑부(100) 및 상기 수갑부(100) 주변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갑부(100)의 온도 변화, 압력 변화, 전자기 변화, 속도 변화, 상기 수갑부(100) 주변의 광도 변화, 소리 변화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정보는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정보는 상기 수갑부(100) 및 상기 제어기(1200)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서버에 저장되어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는 상기 수갑부(100)의 속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는 6축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속도 센서는 상하 방향,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방향 및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방향 등의 가속도를 측정하거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자이로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는 상기 수갑부(100)의 각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갑부(100)의 각도 변화로부터 주먹의 뒤틀림, 팔의 각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힘 센서, 온도 센서, 중력 센서, 회전 센서, 지자기 센서, 전자기 센서, 충격 센서, 광 센서 및 소리 센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중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력 센서는 상기 센서부의 절대값 X, Y, Z축의 중력 방향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력 센서는 상기 센서부의 방향 기준값인 중력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의 Z축 방향은 상기 중력 센서와 같은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중력 센서는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와 하나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회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센서는 상기 수갑부의 절대값 X, Y, Z축의 회전량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 센서는 -90도 에서 +90도까지의 회전량값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자기 센서는 지구의 자기장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자기 센서는 상기 수갑부의 이동에 따른 방향을 측정하는 나침반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힘 센서는 근육의 강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갑부(100)가 착용된 손목, 또는 발목의 근육이 급격히 수축되거나 이완되는 것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수갑부(100) 착용자의 체온 변화를 측정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갑 착용자의 감정 변화에 따라 체온이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수갑부(100)의 온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갑부(100)를 해제하기 위하여 가하는 반복적인 문지름, 또는 용접기의 사용으로 인한 수갑부(100)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제압부(500)의 온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압부(500)는 히터(50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히터(501)는 고온의 열을 순간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히터(501)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히터(501)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상기 히터(501)의 제어 정보와 일치되지 않는 히터(501)의 온도 변화 또는 온도 유지 시간의 변화가 감지될 경우 상기 히터(501)를 온 또는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히터(501) 사용의 안정성 및 상기 수갑 착용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전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 센서는 자기 센서 및 전자기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 센서는 상기 수갑부(100)의 전자기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정상 동작을 방해 또는 상기 전자 수갑의 전자적 잠금 장치(110)의 해제를 위한 금속, 전도체, 유도체 또는 자성체의 근접으로 인한 전자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1200) 또는 상기 전파울타리와의 거리에 의한 전자기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충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 센서는 상기 수갑부(100)의 충격 정도 및 충격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갑부(100)의 파괴를 위한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충격 센서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수갑부(100)의 압력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갑부(100)의 파괴를 위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 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센서는 상기 수갑부(100)의 광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갑부(100)를 해제하기 위한 고열 발생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광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소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리 센서는 마이크 일 수 있다. 상기 소리 센서는 상기 수갑부(100)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여 소리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명 소리, 고함 소리 및 금속이 크게 부딪히는 소리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저주파 센서 또는 바이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주파 센서는 상기 수갑 착용자의 근육 동작을 피드백할 수 있다. 상기 바이오 센서는 상기 수갑 착용자의 생체 신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압부(500)에 의해 제압된 상태의 수갑 착용자의 근육 동작 변화 및 생체 신호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수갑 착용자의 안전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압부(500)의 기능을 오프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센서부(200)에서 측정된 변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300)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측정된 변화 정보로부터 착용자의 안전자세 또는 위협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측정된 변화 정보 또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변화 정보를 조합하여 착용자의 안전자세 또는 위협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산부(300)는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저장된 센서부(200) 정보의 반복적이며 유사한 변화가 있고 상기 센서부(200)의 정보에 같은 변화가 감지된 경우 상기 위협자세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안전자세는 두 손을 배위에 겹쳐서 올린 자세, 팔짱을 낀 자세, 두 발을 모은 자세, 상기 수갑부(100)의 움직임이 몸통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자세, 두 손을 엉덩이 또는 등에 붙인 자세, 다리를 구부리고 유지되는 자세, 다리가 등에 닿은 자세, 손을 발목에 겹친 자세 또는 두 손을 전파울타리의 호스트 기둥에 겹친 자세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안전자세는 상기 수갑부(100)의 해체가 어렵고 타인을 위협할 수 없는 다양한 자세 및 움직임일 수 있다. 상기 안전자세는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일정한 방향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전자세는 상기 일정한 방향을 가지고 배치된 상기 센서부(200)의 정보를 조합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목, 팔, 다리 또는 발목에 착용된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상기 센서부(200)에서 측정된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두 손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안전자세 중 상기 두 손을 배위에 겹쳐서 올린 자세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중력 방향 및 가속도 방향, 회전 방향을 조합하여 유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이로 센서에서 측정된 변화량이 적으면서 상기 자기 센서에서 측정된 두 손에 착용된 전자 수갑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양쪽 손의 센서의 X축, Z축의 방향은 같고, y방향은 반대가 되는 경우 상기 두 손을 배위에 겹쳐서 올린 자세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수갑 장치를 착용한 착용자가 선자세인 것을 판단하는 판단 기준값은 좌측에 착용한 전자 수갑 장치의 각도가 X축 -180도, Y축 0도, Z축 0도이고, 우측에 착용한 전자 수갑 장치의 각도가 X축 0도, Y축 0도, Z축 0도이며 중력은 +Z방향인 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자세에 따른 자세 판단 기준값은 도 13에 표기한 기준값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설정하는 다양한 판단 기준값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상기 위협자세는 상기 도 14의 상측 그림과 같이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의 급격한 변화에 의하여 감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의 중앙 좌측 그림과 같은 X축, Y축, Z축의 변화 패턴으로부터 상기 전자 수갑 장치를 착용한 오른손으로 가격하는 움직임을 감지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의 중앙 우측 그림과 같은 X축, Y축, Z축의 변화 패턴으로부터 상기 전자 수갑 장치를 착용한 왼손으로 가격하는 움직임을 감지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의 하측 그림과 같이 상기 전자 수갑 장치를 착용한 손의 연속적인 동작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안전자세 및 위협자세는 인공지능 모듈에 의해 학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자세 자체 학습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센서부(200)에서 측정된 상기 속도 변화, 상기 각도 변화, 상기 근육의 강도 변화, 상기 온도 변화, 상기 전자기 변화, 상기 충격 변화, 상기 광도 변화, 상기 소리 변화, 상기 근육 동작 변화 또는 상기 생체 신호 변화로부터 위협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된 가속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위협자세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된 가속도 변화 및 자이로 센서에서 측정된 각도 변화로부터 2축이상의 과도한 변화, 상하 방향의 과도한 변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과도한 변화 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과도한 변화가 발생하면 상기 연산부(300)는 위협자세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힘 센서에서 측정된 착용자의 근육의 강도가 급격히 증가되면 위협자세라고 판단하여 제압부(500)에 제압 명령을 전송하고, 근육의 강도가 급격히 감소하면 안전자세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수갑부(100)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되는 경우에는 위협자세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전자기 센서에서 측정된 전자기가 급격히 변화되는 경우 또는 지속적으로 유사한 변화가 반복되는 경우 위협자세라고 판단하여 제압부(500)에 제압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 센서는 상기 제어기(1200) 또는 상기 전파울타리와의 전자기 변화로부터 상기 제어기 또는 상기 전파울타리와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이면 위협자세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의 변화량이 크면 상기 센서부(200)에서 측정된 다른 데이터를 참조하여 분석하여 상기 위협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충격 센서에서 측정된 충격 정도가 일정 범위 이상 급격히 변화 되는 경우 위협자세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소리 센서에서 측정된 소리가 일상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크기를 넘어서는 경우 위협자세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소리는 비명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소리는 금속이 부딪히는 소리, 톱날이 돌아가는 소리 또는 모터가 돌아가는 소리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센서부(200)에서 측정된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상기 안전자세 또는 상기 위협자세 판단의 다양한 기준을 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안전자세의 판단 기준값 및 상기 위협자세 판단 기준값은 외부에서 입력받거나 제어기(1200)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협자세는 상기 안전자세가 아닌 자세 일 수 있다.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제1 송수신부(400)에서 주기적인 신호를 받을 수 있다. 상기 주기적인 신호가 변화되는 경우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위협자세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송수신부(400)는 상기 연산부(300)의 판단에 따라 상기 착용자의 위협자세로 판단될 경우 제압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안전자세로 판단될 경우 제압 해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압 명령은 상기 착용자가 안전자세로 판단될때까지 지속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압 명령은 1초, 3초, 5초 단위로 지속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에를 들면, 상기 제압 해제 명령은 상기 착용자가 안전자세를 유지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압 명령 및 제압 해제 명령은 트리거형, 신호 유지형 또는 일회성 동작형 등 다양한 방법으로 동작 될 수 있다.
상기 제1 송수신부(400)는 상기 센서부(200), 상기 연산부(300), 상기 제압부(500) 및 전력원(60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송수신부(400)는 상기 센서부(200), 상기 연산부(300), 상기 제압부(500) 및 상기 전력원(600)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정상 연결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산부(300)에 지속적인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지속적인 신호의 정상 수신에 대한 응답을 받으며, 상기 응답에 변화가 생기면 상기 제압부(500)에 제압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송수신부(400)는 다른 전자 수갑 장치의 제1 송수신부(400) 및 전자 수갑 시스템의 제어기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송수신부(40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WIFI, Bluetooth, Zigbee 네트워크, 3G, 4G, 5G, LTE, WCDMA, CDMA 또는 LORA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송수신부(400)가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1220) 또는 다른 전자 수갑 장치의 제1 송수신부(40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목적이 달성된다면 그 방법에 제한은 없다.
상기 제압부(500)는 상기 전송된 제압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착용자를 제압할 수 있도록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압부(500)는 일회성 방식으로 동작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압 명령이 수신될 때만 상기 제압부(500)가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압부(500)는 트리거 방식으로 동작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압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압 해제 명령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제압 명령이 수신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압 명령은 상기 제압 해제 명령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제압 명령 수행횟수를 누적할 수 있다.
상기 제압부(500)는 히터(501), 전기 충격부(502) 및 알람부(5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501)는 상기 제압 명령에 따라 고온의 열을 일정 시간동안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히터(501)는 상기 제압 명령을 받으면 3초 이내의 55℃의 열을 발생하거나 1초 이내의 60℃의 열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착용자를 제압할 수 있는 다양한 온도가 다양한 시간동안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히터(501)는 37℃에서 90℃ 이내의 범위에서 0.1초 이상 20초 이하의 시간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히터(501)는 55℃의 온도에서 3초 이내로 동작되거나, 55℃의 온도로 10초를 초과하여 유지되어 상기 센서부 착용자에게 2도 화상을 입힐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히터(501)는 60℃의 온도에서 1초 이내로 동작하거나, 60℃의 온도로 5초를 초과하여 유지되어 상기 센서부 착용자에게 2도 화상을 입힐 수 있다.
상기 히터(501)는 상기 제압 명령이 해제 될 때까지 히터(501)의 온도, 빈도 또는 온도 유지 시간이 누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용자가 팔을 들어 타인을 공격하는 움직임이 감지되면 즉시 55℃의 열이 1초간 발생되고, 계속하여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면 그로부터 5초후 55℃의 열이 2초간 발생되고, 그로부터 3초후 55℃의 열이 3초간 발생되고, 그로부터 1초후 60℃의 열이 0.5초간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착용자를 효과적으로 제압할 수 있는 다양한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충격부(502)는 상기 제압 명령에 따라 전기 충격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충격부(502)는 고압 발생기 일 수 있다. 상기 전기 충격부(502)에서 발생되는 전압의 크기, 전기 충격의 빈도 또는 주기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충격은 펄스형일 수 있다.
상기 전기 충격부(502)는 상기 제압 명령이 해제 될 때까지 전기 충격의 강도, 빈도 또는 유지 시간이 누적되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용자가 팔을 들어 타인을 공격하는 움직임이 감지되면 즉시 전기 충격 1레벨 1회가 발생되고, 계속하여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면 5초후 전기 충격 1레벨 2회, 3초후 전기 충격 2레벨 1회, 1초후 전기 충격 2레벨 2회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착용자를 효과적으로 제압할 수 있는 다양한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503)는 상기 제압 명령에 따른 시각적, 청각적 또는 진동의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503)는 스피커, 고주파 발생기, 음파 발생기, LED, LCD, 화상표시장치 또는 진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압 명령을 받으면 상기 알람부(503)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제압 명령 정보를 청각적으로 발생시키거나, 상기 LED, LCD 또는 화상표시장치에 제압 명령 정보를 문자, 숫자, 그림, 색상 또는 별도의 알림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503)는 상기 제압부(500)의 동작전에 경고 알람을 발생 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람부(503)는 상기 전기 충격부(502)가 동작하기전에 진동모터와 LED로 경고용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부(503)는 상기 제압 명령을 받으면 인간이 정상동작하기 어려운 큰 소리 또는 고주파를 발생시켜 착용자의 동작을 멈추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압 명령을 받으면 상기 알람부(503)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찰이 사용하는 사이렌 소리를 큰 소리로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알람부(503)는 상기 제압 명령이 해제 될 때까지 알람의 크기 또는 알람 시간이 누적 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503)의 소리는 변경될 수 있으며, 누적 시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장치는 전력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수갑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수갑 장치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원(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원(600)은 상기 수갑부(100), 상시 센서부(200), 상기 연산부(300), 상기 제1 송수신부(400) 및 상기 제압부(50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력원(600)은 배터리 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충전이 불가능한 1차전지 또는 충전이 가능한 2차전지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는 화학전지, 망가니즈전지, 알칼리망가니즈전지, 알카라인전지, 아연전지, 마그네슘전지, 수은전지, 태양전지, 납축전지, 이온전지, 리튬이온전지, 폴리머전지, 리튬폴리머전지, 리튬설파전지, 니켈카드뮴전지, 니켈수소전지, 수소전지, 리튬전지 또는 리튬-카드뮴전지일 수 있다.
상기 전력원(600)은 메인 전력원 및 보조 전력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전력원은 메인 전력원의 전력이 부족하면 상기 수갑부(100), 상시 센서부(200), 상기 연산부(300), 상기 제1 송수신부(400) 및 상기 제압부(5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503)는 상기 메인 전력원 또는 보조 전력원의 전력이 낮은 경우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전자 수갑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시스템의 제어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시스템의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시스템의 입력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시스템은 제어기(1200) 및 전자 수갑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기(1200)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 수갑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200)는 입력부(1210), 제어기 송수신부(1220), 제어기 표시부(1230), 제어기 알람부(1240), 제어기 연산부(1250), 제2 송수신부(1260), 제어기 센서부(1270), 전파울타리 생성부(1280) 및 페어링 모드부(129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210)는 전자 수갑 장치 제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전자 수갑 장치 제어 정보는 상기 센서부(200), 상기 제압부(500), 상기 제1 송수신부(400) 및 상기 전력원(600)를 제어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수갑 장치 제어 정보는 상기 연산부(300)의 안전자세 판단 기준값 또는 위협자세 판단 기준값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수갑 장치 제어 정보는 상기 센서부(200) 또는 상기 제압부(500)의 온오프값, 상기 센서부(200)의 감도 설정값, 상기 제압부(500)의 제압 설정값 또는 제압 패턴 설정값, 상기 제압부(500)의 제압 제한값 등일 수 있다.
상기 제압 설정값 및 패턴 설정값은 상기 전기 충격부(502)의 전압의 크기, 전기 충격의 빈도, 전기 충격의 주기, 전기 충격의 형태, 전기 충격의 강도, 전기 충격의 빈도, 전기 충격의 누적 패턴, 히터(501)의 온도, 히터(501)의 온도 유지 시간, 히터(501)의 누적 패턴, 알람부(503) 소리의 크기, 소리의 종류, 고주파 발생 주파수, 고주파의 크기, 알람부(503)의 누적 패턴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부(1210)는 스위치 형이고, 상기 센서부(200) 및 제압부(500)는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부(1210)는 전기 충격 온오프 스위치이고, 상기 스위치가 온 되면 상기 제압부(500)의 전기 충격부(502)가 동작하고, 상기 스위치가 오프되면 상기 제압부(500)의 전기 충격부(502)의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10)는 상기 제어기 센서부(1270) 또는 상기 제어기 알람부(1240)를 제어하는 제어기 제어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제어 정보는 상기 입력부(1210),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1220), 상기 제어기 표시부(1230), 상기 제어기 알람부(1240), 상기 제어기 연산부(1250), 상기 제2 송수신부(1260), 상기 제어기 센서부(1270), 상기 전파울타리 생성부(1280) 또는 상기 페어링 모드부(1290)를 제어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어기 연산부(1250)의 제어기 안전상태 판단 기준값 또는 상기 제어기 연산부(1250)의 제어기 위험상태 판단 기준값일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안전상태는 상기 입력부에서 온오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의 안전상태는 모션으로 온오프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어기 센서부(1270) 또는 상기 제어기 알람부(1240)의 온오프값, 상기 센서부(200)의 감도 설정값, 상기 제어기 알람부(1240)의 알람 설정값 또는 알람 패턴 설정값일 수 있다. 상기 알람 설정값 및 패턴 설정값은 상기 제어기 알람부(1240) 소리의 크기, 소리의 종류 또는 상기 제어기 알람부(1240)의 누적 패턴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부(1210)는 스위치 형이고, 상기 제어기 알람부(1240)의 알람은 스위치로 온오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10)는 스위치형, 키보드형, 화면표시장치 터치형, 또는 모션 감지형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수갑 장치 제어 정보 및 상기 제어기 제어 정보는 숫자, 그림으로 입력되거나 모션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부(1210)는 상기 상기 센서부(200)에서 측정되는 소리의 데시벨 단위의 최대값을 숫자로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그림은 사람의 형태이고, 상기 그림의 팔, 다리, 손 또는 신체를 선택하여 안전자세를 취하도록 이동시키거나 위협자세를 취하도록 이동시켜 상기 그림의 이동으로부터 계산된 상기 안전자세, 상기 위협자세, 상기 안전상태 및 상기 위험상태의 기준값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부(1210)는 화면표시장치, 이동통신장치 또는 정보처리장치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입력부(1210)는 상기 제어기(1200)에 포함되는 모션 감지형이고, 상기 제어기(1200)를 손목에 착용하고 위협자세의 모션을 취하면 제어기 센서부(1270)에서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위협자세 판단 기준값이 생성되고, 안전자세의 모션을 취하면 제어기 센서부(1270)에서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안전자세 판단 기준값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10)는 상기 제어기(1200)에 포함되거나 상기 제어기(1200)와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기(12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10)는 상기 입력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입력부(1210)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10)는 전자 잠금 장치(112) 제어 입력부(1211) 및 모션 입력부(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잠금 장치 제어 입력부(1211)는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의 제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는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잠금 장치(110)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는 전자 잠금 장치(112)의 제어 정보를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1220) 및 상기 수갑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는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의 제어 정보에 따라서 제어 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 입력부(1210)는 상기 전자 열쇠부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 입력부(1210)는 지문, ID 또는 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잠금 장치(110)를 해제하는 장치 일 수 있다.
상기 모션 입력부(1212)는 상기 제어기(1200)의 모션 정보 및 그에 따른 전자 수갑 장치 제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션 입력부(1212)는 상기 제어기(1200)를 특정 방향으로 흔들거나 순간적으로 위치를 옮기는 모션을 입력하고, 해당 모션은 상기 제압부(500)의 전기 충격을 발생시키는 모션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1220)는 상기 제1 송수신부(400)에 상기 전자 수갑 장치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1220)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변화 정보, 상기 제압 명령 및 상기 제압 해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1220)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와 상기 제어기(1200)가 생성, 저장, 이용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1220)는 제2 송수신부(126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1220)는 다른 제어기(1200)의 제어기 송수신부(122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122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WIFI, Bluetooth, Zigbee 네트워크, 3G, 4G, 5G, LTE, WCDMA, CDMA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1220)가 상기 제1 송수신부(400), 상기 다른 제어기(1200)의 제어기 송수신부(1220) 또는 전자 수갑 시스템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목적이 달성된다면 그 방법에 제한은 없다.
상기 제어기 표시부(1230)는 상기 제어기(1200)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전자 수갑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LED, LCD 및 별도의 화상표시장치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소리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표시부(1230)는 상기 제어기(1200)의 제압 명령 및 상기 제압 해제 명령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표시부(1230)는 상기 제어기 센서부(1270)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표시부(1230)는 상기 입력부(1210)에서 입력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표시부(1230)는 상기 입력부(1210) 및 상기 제어기 알람부(1240)와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표시부(1230)는 상기 전력원(600)의 전력 잔량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력원(600)은 배터리이고, 상기 제어기 표시부(1230)는 상기 배터리의 전력 잔량을 퍼센트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알람부(1240)는 상기 제압 명령 및 상기 전자 수갑 장치 제어 정보에 따른 시각적, 청각적 또는 진동의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알람부(1240)는 상기 제어기 제압 명령 및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제압 명령에 따라 알람을 발생 시킬 수 있다. 상기 알람부(503)는 스피커, LED, LCD, 화상표시장치 또는 진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압 명령을 받으면 상기 알람부(503)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어기 제압 명령 또는 상기 알람부(503)의 알람을 청각적으로 발생시키거나, 상기 LED, LCD 또는 화상표시장치에 제압 명령 정보를 문자, 숫자, 그림, 색상 또는 별도의 알림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 알람부(1240)의 알람은 경찰 사이렌 소리 일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연산부(1250)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상기 센서부(200)에서 측정된 변화 정보, 상기 제압 명령 및 상기 제압 해제 명령으로부터 상기 제어기(1200)의 안전상태 또는 위험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상기 센서부(200)에서 측정된 변화 정보로부터 상기 연산부(300)에서 위협자세로 판단되고 상기 제압 명령이 수행되면 상기 제어기(1200)는 상기 제1 송수신부(400)로부터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1220)를 통해 상기 정보들을 전송 받아 상기 제어기(1200)의 위험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연산부(1250)는 상기 제어기 센서부(1270)에서 측정된 변화 정보, 상기 제어기 연산부(1250)의 판단 정보 또는 상기 제어기 연산부(1250)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제어기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연산부(1250)는 상기 제어기 센서부(1270)에서 측정된 변화 정보를 제어기 변화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제어기 변화 정보로부터 상기 제어기(1200)의 안전상태 또는 위험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 변화 정보 및 상기 저장된 제어기 변화 정보로부터 상기 제어기(1200)의 안전상태 또는 위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 연산부(1250)는 일정 시간내에 상기 저장된 제어기 변화 정보의 반복적이며 유사한 변화가 있고 상기 제어기 센서부(1270)에서 측정된 제어기 변화 정보에 같은 변화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기 위험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연산부(1250)는 상기 제어기 센서부(1270)에서 측정된 제어기 가속도 변화, 제어기 각도 변화, 제어기 전자기 변화, 제어기 충격 변화, 제어기 광도 변화, 또는 제어기 소리 변화로부터 상기 제어기 안전상태, 상기 제어기 위험상태 및 상기 제어기(1200) 소지자를 위협하는 상기 수갑부(100) 착용자의 위협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 연산부(1250)는 상기 제어기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된 제어기 가속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 위험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된 제어기 가속도 변화 및 제어기 자이로 센서에서 측정된 제어기 각도 변화로부터 2축 이상의 과도한 변화, 상하 방향의 과도한 변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과도한 변화 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과도한 변화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기 연산부(1250)는 상기 제어기 위험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 연산부(1250)는 상기 제어기 전자기 센서에서 측정된 전자기가 급격히 변화되는 경우 또는 지속적으로 유사한 변화가 반복되는 경우 위협자세라고 판단하여 제압부(500)에 제압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 전자기 센서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전자기 변화로부터 상기 제어기(1200)와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이거나 일정거리 이하이면 상기 제어기 위험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 연산부(1250)는 상기 제어기 충격 센서에서 측정된 충격 변화가 일정 범위 이상 급격히 변화 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 위험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 연산부(1250)는 상기 제어기 광센서에서 측정된 광도 변화가 일상에서 발생되는 광도의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상기 제어기 위험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 연산부(1250)는 상기 제어기 소리 센서에서 측정된 소리가 일상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크기를 넘어서는 경우 상기 제어기 위험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소리는 비명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소리는 금속이 부딪히는 소리, 톱날이 돌아가는 소리 또는 모터가 돌아가는 소리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어기 센서부(1270)에서 측정된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위협자세 판단의 다양한 기준을 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 소리 센서에서 금속이 부딪히는 소리가 측정되면서 상기 제어기 전자기 센서에서 전자기 변화가 동시에 감지되면 상기 제어기 위험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 안전상태 및 제어기 위험상태의 판단 기준값은 외부에서 입력받거나 제어기(1200)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연산부(1250)는 상기 제어기(1200)의 모션 정보와 상기 제어기 변화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어기(1200)의 모션 정보에 따른 전자 수갑 장치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연산부(1250)는 상기 제어기 센서부(1270)에서 측정된 상기 제어기(1200)의 움직임이 상기 모션 입력부(1212)에서 입력된 상기 제어기(1200)의 모션 정보와 유사하면 그에 따른 상기 전자 수갑 장치 제어 정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1200)를 빠르게 상하로 두번 움직이면 상기 제어기 위험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모션이 입력되고 그에 따른 상기 전자 수갑 장치 제어 정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송수신부(1260)는 상기 제어기 연산부(1250)의 판단에 따라 상기 제어기(1200)의 위험상태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어기 전송부에 상기 제어기 제압 명령을 전송하고, 안전상태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어기 전송부에 상기 제어기 제압 해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제압 명령은 상기 제어기 안전상태로 판단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 제압 명령은 1초, 3초, 5초 단위로 지속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2 송수신부(1260)는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1220)와 일체형 또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센서부(1270)는 상기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 주변의 변화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1200)의 온도 변화, 압력 변화, 충격 변화, 전자기 변화, 속도 변화, 상기 수갑부(100) 주변의 광도 변화, 소리 변화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정보는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정보는 상기 수갑부(100) 및 상기 제어기(1200)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서버에 저장되어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센서부(1270)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200)의 가속도 센서는 6축 제어기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1200)의 가속도 센서는 상하 방향,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방향 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방향 등의 가속도를 측정하거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1200)의 가속도 센서는 방어 동작을 위한 제어기(1200)의 가속도 및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센서부(1270)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200)의 자이로 센서는 상기 제어기(1200)의 각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1200)의 각도 변화로부터 주먹의 뒤틀림, 팔의 각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200)의 자이로 센서는 상기 제어기(1200)의 가속도 센서와 일체형일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센서부(1270)는 중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력 센서는 상기 제어기의 절대값 X, Y, Z축의 중력 방향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력 센서는 상기 제어기의 방향 기준값인 중력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의 Z축 방향은 상기 중력 센서와 같은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중력 센서는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와 하나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센서부(1270)는 회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센서는 상기 제어기의 절대값 X, Y, Z축의 회전량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 센서는 -90도 에서 +90도까지의 회전량값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센서부(1270)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자기 센서는 지구의 자기장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자기 센서는 상기 제어기의 이동에 따른 방향을 측정하는 나침반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센서부(1270)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온도 센서는 상기 제어기(1200)의 온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1200)를 파괴하기 위하여 가하는 반복적인 문지름 또는 용접기의 사용으로 인한 상기 제어기(1200)의 온도 변화를 감지 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센서부(1270)는 전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200)의 전자기 센서는 자기 센서 및 전자기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200)의 전자기 센서는 상기 제어기(1200)의 전자기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1200)의 정상 동작을 방해하기 위한 또는 상기 제어기(1200)를 파괴하기 위한 금속, 전도체, 유도체 또는 자성체의 근접으로 인한 전자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수갑 장치와의 거리에 의한 전자기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센서부(1270)는 충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200)의 충격 센서는 상기 제어기(1200)의 충격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1200)의 파괴를 위한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200)의 충격 센서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200)의 압력 센서는 상기 수갑부(100)의 압력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1200)의 파괴를 위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 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센서부(1270)는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200)의 광 센서는 상기 제어기(1200)의 광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1200)를 해제하기 위한 고열 발생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광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센서부(1270)는 소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리 센서는 마이크 일 수 있다. 상기 제어기(1200)의 소리 센서는 상기 제어기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여 소리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명 소리, 고함 소리 및 금속이 크게 부딪히는 소리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전파울타리 생성부(1280)는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1220)에서 측정되는 상기 제1 송수신부(400)의 전파 출력 세기의 유효 범위를 지정하고, 상기 유효 범위내로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전파울타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파울타리는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1220)에서 방출하는 전파의 유효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전파울타리 생성부(1280)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제1 송수신부(400)에서 측정되는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1220)의 전파 출력 세기, 즉 수신세기의 유효 범위를 지정하여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제1 송수신부(400)에 전송하고, 상기 전자 수갑 장치는 상기 수신 세기를 지속적으로 측정하며 상기 수신 세기가 유효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제압부(500)가 동작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효 범위는 상기 제1 송수신부(400)의 전파 출력 세기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이거나 두 값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송수신부(400)의 전파 출력 세기가 상기 최대값보다 크거나, 상기 제1 송수신부(400)의 전파 출력 세기가 최소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파울타리 생성부(1280)는 상기 전파울타리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페어링 모드부(1290)에 전파울타리 범위 이탈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503)는 상기 전파울타리 범위 이탈 정보를 알람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전파울타리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파울타리 내의 상기 전자 수갑 장치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파울타리 생성부(1280)는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1220)에서 측정되는 상기 수갑 송수신부의 전파 출력 세기로부터 상기 제어기(1200)와 상기 전자 수갑 장치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수갑 거리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수갑 거리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갑 거리 정보는 상기 제어기 연산부(1250)에서 상기 제어기 안전상태, 상기 제어기 위험상태 또는 상기 위협자세의 판단을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모드부(1290)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전자 수갑 장치를 연동하여 수갑 그룹(1110)을 형성하고, 상기 수갑 그룹(11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갑 그룹(1110)은 착용자의 양 손목에 착용되는 두개의 전자 수갑 장치로 이루어진 수갑 그룹(1110)이거나, 착용자의 양 손목 및 양 발목에 착용되는 네 개의 전자 수갑 장치, 또는 착용자의 양 손목, 양 발목, 양 팔, 양 다리에 착용되는 여덟 개의 전자 수갑 장치로 이루어진 수갑 그룹(1110)일 수 있다.
상기 페어링 모드는 페어링 모드 제어 정보,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손상 여부, 상기 안전자세, 상기 위협자세, 상기 제어기(1200)의 손상 여부, 상기 안전상태, 상기 위험상태, 상기 전파울타리 범위 이탈 또는 진입 여부에 따라 동작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모드는 상기 제어기 알람부(1240)에서 알람으로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모드는 상기 수갑 그룹(1110)에 속하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들 중 하나라도 상기 동작조건을 만족하면 동작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모드가 동작된 상기 수갑 그룹(1110)은 상기 수갑 그룹(1110)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전자 수갑 장치가 위협자세라고 판단되거나 상기 제어기(1200)가 위험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수갑 그룹(1110)에 속하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들 중 안전자세로 판단되지 않은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상기 제압부(500)를 동작 시킬 수 있다. 상기 페어링 모드는 상기 입력부(1210)에서 온오프로 수동 조작 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10)는 상기 페어링 모드부(1290)의 페어링 모드 설정값 및 페어링 모드 제어값을 포함하는 상기 페어링 모드 제어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페어링 모드부(129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페어링 모드 제어 정보는 페어링 모드 온오프, 페어링 모드 동작 조건 및 페어링 모드별 전자 수갑 장치의 구성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페어링 모드 제어 정보는 상기 수갑 그룹(1110)에 속한 상기 전자 수갑 장치별 동작 제어값 및 수갑 그룹(1110)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잠금 장치(110)는 물리 잠금 장치(111) 및 전자 잠금 장치(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리 잠금 장치(111)는 물리적으로 동작되는 잠금 장치(110) 일 수 있다. 물리적으로 잠금 장치(110)를 해제할 수 있는 열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잠금 장치(110)는 일반적인 수갑에 사용되는 잠금 장치(110) 일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잠금 장치(110)는 고리 체결형 또는 벨트형의 열쇠부를 포함하는 장치 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는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잠금 장치(110)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는 상기 센서부(200)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는 상기 수갑부(100)를 둘러서 연결되는 전자기 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적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잠금 장치(110)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는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 제어 입력부(1211)에서 입력된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 제어 정보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 제어 입력부(1211)에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의 해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1220), 상기 제2 송수신부(1260)를 통해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의 해제 정보가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로 전송되고,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는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는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를 해제 할 수 있는 전자 열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열쇠부는 근거리이동통신을 이용해 전자적 잠금 장치(110)를 해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근거리 이동통신은 WIFI, 전자 tag, NFC, Bluetooth, Zigbee 또는 LORA 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는 전자 열쇠로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열쇠는 상기 전자적으로 구현된 잠금 장치(110)의 잠금 장치(110) 해제 권한을 갖는 ID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를 해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열쇠는 상기 전자 잠금 장치(112)의 잠금 장치(110) 해제 권한 정보를 가진 근거리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장치이고, 상기 전자적으로 구현된 잠금 장치(110)는 상기 잠금 장치(110) 해제 권한 정보에 따라 동작되는 근거리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잠금 장치(110)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시스템의 전파울타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시스템의 수갑 그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시스템의 제1 수갑 그룹 및 제2 수갑 그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시스템의 제1 전파울타리 및 제2 전파울타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갑 시스템은 제1 수갑 그룹(1111), 제2 수갑 그룹(1112), 제1 전파울타리(1281) 및 제2 전파울타리(1282)를 제외하고는 도 5 내지 도 8의 전자 수갑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 8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수갑 그룹(1110)은 상기 제1 수갑 그룹(1111) 및 제2 수갑 그룹(1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갑 그룹(1111)은 제1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그룹일 수 있다. 상기 제2 수갑 그룹(1112)은 제2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그룹일 수 있다. 상기 제1 수갑 그룹(1111) 및 상기 제2 수갑 그룹(1112)은 각각 동작 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모드부(1290)는 상기 수갑 그룹(1110)별, 상기 제1 수갑 그룹(1111)별 또는 상기 제2 수갑 그룹(1112)별로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동작을 연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페어링 모드부(1290)는 상기 제1 수갑 그룹(1111)의 페어링 모드 동작 조건과 상기 제2 수갑 그룹(1112)의 페어링 모드 동작 조건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수갑 그룹(1110)의 페어링 모드 동작 조건을 상기 제1 수갑 그룹(1111)의 페어링 모드 동작 조건 및 상기 제2 수갑 그룹(1112)의 페어링 모드 동작 조건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모드부(1290)는 상기 수갑 그룹(1110), 제1 수갑 그룹(1111) 및 제2 수갑 그룹(1112)에게 다른 제압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착용자에게 착용된 제1 수갑 그룹(1111)의 전자 수갑 장치 중 하나가 전파울타리를 벗어나면, 상기 페어링 모드부(1290)는 상기 제1 수갑 그룹(1111)의 모든 전자 수갑 장치에 제1 제압 명령을 전송하여 제1 수갑 그룹(1111)의 제압부(500)들이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수갑 그룹(1112)에는 상기 제2 수갑 그룹(1112)에 속한 전자 수갑 장치가 움직일 때만 상기 제2 수갑 그룹(1112)에 속한 상기 제2 수갑 그룹(1112)의 제압부(500)들이 동작되도록 하는 제2 제압 명령을 상기 제2 수갑 그룹(1112)의 제압부(5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모드부(1290)는 상기 수갑 그룹(1110)에 속하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들이 연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갑 그룹(1110)에 속하는 제1 전자 수갑 장치가 손상되면, 상기 제1 전자 수갑 장치의 제압부(500) 및 상기 수갑 그룹(1110)에 속하는 제2 전자 수갑 장치의 제압부(500)가 동작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모드부(1290)는 상기 수갑 그룹(1110)에 속하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들이 번갈아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갑 그룹(1110)에 속하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들 중 일부가 정상적인 상태로 오프되면 상기 페어링 모드 및 상기 수갑 그룹(1110)은 남은 상기 전자 수갑 장치들만으로 정상적으로 동작 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모드부(1290)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일부 기능만을 제공하는 슬립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페어링 모드부(1290)는 한명의 착용자가 양 팔목, 양팔, 양 발목, 양 다리에 착용한 8개의 상기 전자 수갑 장치를 양 팔목에 착용한 전자 수갑 장치들은 동작 시키고, 나머지 전자 수갑 장치들은 슬립모드로 제어하고, 양 팔목에 착용한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배터리가 일정 정도 이상 소진된 경우 상기 두 발목에 착용한 상기 전자 수갑 장치를 동작 시키고, 나머지 전자 수갑 장치들은 슬립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10)는 상기 수갑 그룹(1110)의 설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갑 그룹(1110)을 구성하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기(1200)의 전파울타리 범위내의 상기 전자 수갑 장치, 상기 전자 수갑 장치가 속한 수갑 그룹(1110) 및 전파울타리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파울타리는 상기 제1 전파울타리(1281) 및 제2 전파울타리(12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파울타리(1281)는 상기 전파 출력 세기의 최소값을 설정하고, 이보다 큰 범위로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동작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최소값은 제어기(1200) 주변으로 3m 거리에서 측정될 수 있는 가장 큰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상기 제1 송수신부(400)의 전파 출력 세기 이고,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1220)에서 측정한 상기 제1 송수신부(400)의 전파 출력 세기가 상기 최소값 이하로 측정되면 페어링 모드가 동작되며 안전자세를 유도 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파울타리(1282)는 상기 전파 출력 세기의 최대값을 설정하고, 이보다 작은 범위로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동작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최대값은 제어기(1200) 주변으로 1m 거리에서 측정될 수 있는 가장 작은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상기 제1 송수신부(400)의 전파 출력 세기 이고,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1220)에서 측정한 상기 제1 송수신부(400)의 전파 출력 세기가 상기 최대값 이상으로 측정되면 페어링 모드가 동작되며 안전자세를 유도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파울타리(1281) 및 상기 제2 전파울타리(1282)는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1200)로부터 3m 거리내 이면서 1m 거리 밖인 상기 제1 송수신부(400)의 전파 출력 세기 범위를 설정하여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동작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전파울타리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 착용자의 도주, 상기 제어기(1200) 소지자의 위협 및 상기 제어기(1200)의 파손을 위한 상기 전자 수갑 장치 착용자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수갑 장치는 상기 전파울타리에 속해 있으면서 상기 제1 송수신부(400)에서 상기 전자 수갑 장치가 속한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1220)의 전파를 수신받지 못하면 상기 연산부(300)에서 상기 위협자세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파울타리의 설정값 또는 제어값은 상기 입력부(1210)에서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전파울타리의 설정값 또는 제어값은 상기 전파울타리의 온오프값, 상기 수갑 거리 최소값, 상기 수갑 거리 최대값, 상기 전파울타리의 범위 이탈에 따른 페어링 모드 동작 설정값, 상기 전파울타리가 제한하는 상기 수갑 그룹(1110) 또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 정보, 제1 전파울타리(1281) 설정 및 제어 정보, 제2 전파울타리(1282) 설정 및 제어 정보등일 수 있다.
상기 전파울타리는 상기 전파울타리에 속하는 상기 수갑 그룹(1110)을 설정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파울타리는 상기 전파울타리 안에 속한 하나 이상의 상기 수갑 그룹(1110)들 중에서 일부만 선택하거나, 상기 수갑 그룹(1110)에 속한 상기 전자 수갑 장치를 추가 또는 제외 할 수 있다.
상기 수갑 그룹(1110) 또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전파울타리에 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1200)는 하나 이상이고, 서로 다른 사람에게 하나씩 소지되며, 상기 제어기(1200)는 각각의 전파울타리를 생성하고, 상기 전파울타리들은 동일한 상기 수갑 그룹(1110)에 각각 적용되거나 상기 전파울타리들의 조합에 의한 전파울타리 조합 범위가 상기 수갑 그룹(1110)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수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은 수갑 착용자에게 안전 자세를 유도하며, 수갑 착용자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압할 수 있고, 수갑의 형태, 재질 및 수갑 착용자의 행동의 자유도를 높이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고, 수갑 착용자의 도주 및 수갑 제어기 소지자의 위협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수갑부
200: 센서부
300: 연산부
400: 제1 송수신부
500: 제압부
600: 전력원
1110: 수갑 그룹
1200: 제어기
1281: 제1 전파울타리
1282: 제2 전파울타리

Claims (19)

  1. 전자 수갑 장치; 및
    상기 전자 수갑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 수갑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수갑 장치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각각 분리되어 착용자의 양 손목, 양 발목, 양 팔 또는 양 다리에 착용되며,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수갑부;
    상기 수갑부 및 상기 수갑부 주변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변화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정보로부터 착용자의 안전자세 또는 위협자세를 판단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착용자의 위협자세로 판단될 경우 제압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안전자세로 판단될 경우 제압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제1 송수신부; 및
    상기 전송된 제압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착용자를 제압할 수 있도록 구동되는 제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전자 수갑 장치 제어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제1 송수신부에 상기 전자 수갑 장치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기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상기 변화 정보, 상기 제압 명령 및 상기 제압 해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변화 정보, 상기 제압 명령 및 상기 제압 해제 명령으로부터 상기 제어기의 안전상태 또는 위험상태를 판단하는 제어기 연산부; 및
    상기 제어기 연산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제어기의 위험상태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에 상기 제어기 제압 명령을 전송하고, 안전상태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에 상기 제어기 제압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제2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이고,
    중력 센서, 회전 센서, 지자기 센서, 힘 센서, 온도 센서, 전자기 센서, 충격 센서, 광 센서 및 소리 센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압부는 상기 제압 명령에 따른 시각적, 청각적 또는 진동의 알람이 발생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갑 장치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원을 더 포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어기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전자 수갑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기 표시부; 및
    상기 제압 명령 및 상기 전자 수갑 장치 제어 정보에 따른 시각적, 청각적 또는 진동의 알람이 발생되는 제어기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 주변의 변화 정보를 측정하는 제어기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연산부는 상기 제어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변화 정보를 제어기 변화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제어기 변화 정보로부터 상기 제어기의 안전상태 또는 위험상태를 판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이고, 중력 센서, 회전 센서, 지자기 센서, 온도 센서, 전자기 센서, 충격 센서, 광 센서 및 소리 센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어기의 모션 정보 및 그에 따른 전자 수갑 장치 제어 정보가 입력되는 모션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연산부는 상기 제어기의 모션 정보와 상기 제어기 변화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어기의 모션 정보에 따른 전자 수갑 장치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상기 잠금 장치는 물리적으로 동작되는 물리 잠금 장치 및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전자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의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전자 잠금 장치의 제어 정보가 입력되는 전자 잠금 장치 제어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제1 송수신부의 전파 출력 세기의 유효 범위를 지정하고, 상기 유효 범위내로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전파울타리를 생성하는 전파울타리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울타리는,
    상기 전파 출력 세기의 최소값을 설정하고, 이보다 큰 범위로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제1 전파울타리; 및
    상기 전파 출력 세기의 최대값을 설정하고, 이보다 작은 범위로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제2 전파울타리를 포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전자 수갑 장치를 연동하여 수갑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수갑 그룹을 제어하는 페어링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페어링 모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페어링 모드는 페어링 모드 제어 정보,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손상 여부, 상기 안전자세, 상기 위협자세, 상기 제어기의 손상 여부, 안전상태, 위험상태, 상기 전파울타리 범위 이탈 또는 진입 여부에 따라 동작 또는 해제되는 전자 수갑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갑 그룹은 제1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그룹인 제1 수갑 그룹 및 제2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그룹인 제2 수갑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페어링 모드부는 상기 수갑 그룹별, 상기 제1 수갑 그룹별 또는 상기 제2 수갑 그룹별로 상기 전자 수갑 장치의 동작을 연동시키는 전자 수갑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갑 시스템은,
    상기 전자 수갑 장치가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자동 모드;
    상기 전자 수갑 장치 및 상기 제어기가 연동되어 동작되는 반자동 모드; 및
    상기 제어기의 조작에 의해서만 상기 전자 수갑 장치가 동작되는 수동 모드를 제공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
KR1020180001003A 2018-01-04 2018-01-04 전자 수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 KR102025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003A KR102025627B1 (ko) 2018-01-04 2018-01-04 전자 수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003A KR102025627B1 (ko) 2018-01-04 2018-01-04 전자 수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399A KR20190083399A (ko) 2019-07-12
KR102025627B1 true KR102025627B1 (ko) 2019-09-26

Family

ID=67254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003A KR102025627B1 (ko) 2018-01-04 2018-01-04 전자 수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6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440B1 (ko) 2006-11-09 2008-07-10 정구관 전자충격기능을 부가한 수갑
US20120298119A1 (en) * 2009-11-04 2012-11-29 Scottsdale Inventions, Llc Apparatus and system for augmented detainee restraint
KR101532696B1 (ko) * 2013-10-02 2015-07-02 주식회사 영일전자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
CN105629839A (zh) 2016-03-15 2016-06-01 深圳市前海安益智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手铐及其远程管理系统
KR101686883B1 (ko) * 2015-03-16 2016-12-16 정구관 전자수갑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1845A (ko) * 2016-02-02 2017-08-10 권정수 위치 추적 수단을 구비한 수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440B1 (ko) 2006-11-09 2008-07-10 정구관 전자충격기능을 부가한 수갑
US20120298119A1 (en) * 2009-11-04 2012-11-29 Scottsdale Inventions, Llc Apparatus and system for augmented detainee restraint
KR101532696B1 (ko) * 2013-10-02 2015-07-02 주식회사 영일전자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
KR101686883B1 (ko) * 2015-03-16 2016-12-16 정구관 전자수갑
CN105629839A (zh) 2016-03-15 2016-06-01 深圳市前海安益智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手铐及其远程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399A (ko) 2019-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3737B1 (en) Notifications to a wrist device
TWI647631B (zh) 工地管理系統及其穿戴裝置
US10470971B2 (en) Garment with remote controlled vibration array
US20180106636A1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JP5896240B2 (ja) 運動支援装置、運動支援方法及び運動支援プログラム
US9113841B2 (en) Biological information notifying apparatus, biological information notify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biological information notifying program stored thereon
KR20090077823A (ko) 넘어짐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넘어짐을 방지하는 방법
US20170106277A1 (en) Interactive movement tracking system applicable to articles of clothing
CN101522101A (zh) 肢体运动监视系统
CN209514833U (zh) 手环
JP2014057129A (ja) 携帯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携帯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4059824A (ja) 機能駆動装置、機能駆動方法および機能駆動プログラム
CN206462538U (zh) 拐杖
KR102099700B1 (ko)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
CN104866789A (zh) 利用体感控制装置防止智能电子设备丢失的警示方法
KR20160006408A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차량 제스쳐 인식 장치와 제스쳐 인식 방법 및 이를 위한 웨어러블 기기
KR102073213B1 (ko) 웨어러블 사용자 위험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025627B1 (ko) 전자 수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수갑 시스템
US11138857B2 (en) Sensor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falls
JP738415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端末装置、端末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432665B2 (ja) 運動装置、腕降り角度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73995A (ko) 레저용 스틱을 구비하는 사용자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54274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50056123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세 인식 장치
TWM558957U (zh) 工地管理系統及其穿戴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