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700B1 -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700B1
KR102099700B1 KR1020190003882A KR20190003882A KR102099700B1 KR 102099700 B1 KR102099700 B1 KR 102099700B1 KR 1020190003882 A KR1020190003882 A KR 1020190003882A KR 20190003882 A KR20190003882 A KR 20190003882A KR 102099700 B1 KR102099700 B1 KR 102099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unit
smart clothing
cloth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부형
정보성
민창기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3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스마트의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의류 제어 시스템은 아두이노방식으로 자가온도조절 및 충격감지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의류; 및 상기 스마트의류와 무선통신으로 연동되어 상기 스마트의류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마트의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사용자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 {SYSTEM FOR CONTROLLING OF MULTI-FUNCTIONAL SMART GARMENT}
본 발명은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두노이와 연결된 온도감지센서가 의류에 부착되어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체온 및 외기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정보를 분석하여 의류에 부착된 발열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기설정된 온도 영역에서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의류(Smart Wear)는 섬유제품 내에 신호 전달성 섬유 신기술을 적용하고 각종 디지털 장치들을 내장시켜서, 언제 어디에서나 디지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 및 개발된 것으로,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원격진단이 가능한 헬스케어 의복, 디지털 군복 등의 다양한 의류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스마트 의류는 발열선을 내장하고 발열선에 전기를 통전시켜서 발열기능을 갖는 스마트 의류가 가장 대표적인 형태의 발열 의류로 상용화되어 있으나, 이러한 발열 의류는 발열선이 신축성이 없는 동선이나 탄소 섬유사로 이루어져 착용시 무겁고 불편하여 충분한 활동성과 착용감을 확보할 수 없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도성 물질인 전도성 고분자를 원단에 증착하여, 별도의 발열선을 구비하지 않고도 전기가 흐르며, 이에 의해 발열할 수 있는 스마트 의류인 발열 의류가 연구 및 개발되었다.
또한, 발열 의류와 같이 전도성 고분자를 원단에 증착하여 제조되는 제품으로, 시트(seat), 장갑 또는 방석과 같이 다양한 제품을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발열 의류의 경우에는 인체에 착용하는 것이므로,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매우 중요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발열 의류에 전기를 공급하여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는 온도제어 장치가 발열 의류의 일부분 또는 주머니 등에 내장된다.
종래의 온도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입력버튼을 구비하거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온도제어 장치와 연결된 리모컨을 구비하여, 발열 의류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게 형성된다.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09-0006659는 발열기능을 구비한 의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의류의 등판과 주머니 부분에 발열원단을 구비하고, 상기 의류의 내측 포켓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와 발열원단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발열원단과는 커넥터로 연결되어 분리가능한 전원공급선을 포함한다.
또한, 부가적으로 무선 리모콘이 구비되어 편리하게 온/오프와 온도조절이 가능한 발열기능을 구비한 의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공개실용신안(제20-2009-000665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제어 장치가 입력버튼을 구비한 경우라서 발열 의류를 착용한 사용자가 입력버튼을 찾아서 누르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함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온도제어 장치와 연결된 리모컨을 구비한 경우에는, 발열 의류를 착용한 사용자가 리모컨을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발생시키며, 리모컨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 등이 형성됨에 따라 무게가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온도제어 장치는 발열 의류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발열 의류의 온도가 현재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거나, 온도제어 장치에 발생한 이상 상태에 대한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었고, 단지 온도를 올리거나 내리는 단순한 기능만을 제공하므로, 상기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의류에 착용자의 체온을 감지하거나 외기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온도 정보를 전송받아 분석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기설정된 온도범위에 따라 의류에 착용된 발열부가 작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와 무선통신으로 연동되는 사용자단말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고 상기 의류의 전반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및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편의를 줄 수 있는 자가온도조절이 가능한 안전 의류 및 상기 안전 의류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쓰러지거나 넘어지는 낙상사고가 자주 발생하여 보호가 필요한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및 장애인에게 착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충격 및 기울어짐을 감지하도록 하는 외부충격감지센서 및 자이로센서등이 구비됨으로써 발열 기능 이외에도 충격을 감지하고 사고발생을 즉각적으로 인식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감지기능이 포함되는 안전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의류 제어 시스템 역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온도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발열부의 제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착용자의 낙상에 의한 외부 충격이나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위급상황을 인지하고 보호자에게 위급상황을 알리는 알람기능이 구비되는 다기능 스마트 의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KR 20-2009-0006659 (공개 일자 2009년 07월 02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두노이와 연결된 온도감지부에서 측정한 체온 및 외기온도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온도정보를 분석하고 발열부를 작동하여 의류의 발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충격감지센서 및 기울기센서에 의해 감지된 충격 감지 정보를 인식하고 전송하여 낙상사고와 같은 위급상황을 외부나 보호자에게 알려주도록 하는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은 아두이노방식으로 자가온도조절 및 충격감지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의류; 및 상기 스마트의류와 무선통신으로 연동되어 상기 스마트의류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마트의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사용자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의류가직물로 이루어져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부 및 직물로 이루어져 인체측에 밀착되는 내피부로 이루어진 의류부재; 상기 의류부재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체온 및 외기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상기 의류부재에 내장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부; 상기 의류부재에 내장되어 외력에 의한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 상기 충격감지부에서 감지된 측정값이 기설정된 안전 범위를 넘어선 위급상황으로 산출되는 경우 상기 위급상황을 음성정보로 제공하는 충격알람부; 상기 온도감지부 및 충격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스마트의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무선통신모듈과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기설정된 사용자단말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스마트의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온도감지부가상기 내피부 내측에 복수개 장착되어,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센서; 및상기 외피부 외측에 복수개 장착되어,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온도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충격감지부가상기 의류부재에 복수개 장착되어, 외력에 의한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및상기 의류부재에 복수개 장착되어, 상기 의류부재의 기울어짐에 따른 회전각을 감지하는 기울기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온도감지부 및 충격감지부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받아들여 분석하고 출력값을 제어하는 아두이노를 기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측정된 착용자의 체온 및 외기 온도를 분석하여 상기 발열부에 제공할 적정 온도를 산출하여 상기 발열부가 상기 적정 온도에 기인하여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충격감지부에서 감지한 측정값이 기설정된 안전 범위를 넘어선 위급 상황임을 산출하고, 산출된 위급상황 정보를 상기 충격알람부에 전송하여 알람이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단말에 활성화 되는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이 구비된 어플활성화부; 착용자를 보호하고 관리하는 보호자들의 연락처를 저장 및 확인하는 연락처저장부; 상기 스마트의류의 온도감지부 및 발열부의 작동을 확인 및 제어하는 자가온도조절확인부; 및 상기 스마트의류의 충격감지부가 감지한 정보를 확인 및 제어하는 충격감지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연락처저장부가 기 저장된 보호자들의 연락처를 확인할 수 있는 창을 실행하도록 하는 연락처확인버튼; 및 추가 연락처를 저장할 수 있도록 실행하는 추가연락처저장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은 자가온도조절확인부가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측정된 체온 및 외기온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온도확인창; 상기 발열부에서 작동하는 발열 정도를 단계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발열강도확인창; 사용자 요구에 맞게 상기 스마트의류의 온도를 수동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온도설정버튼; 및 상기 발열부의 작동을 수동으로 중지시키기 위한 발열중지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충격감지확인부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충격감지부에서 감지한 측정값을 분석하여 산출한 위급상황 정보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위급상황알림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착용자의 체온 및 외기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정보를 제어부가 분석하여 기설정된 온도범위에 맞게 발열부를 제어하여 자동 온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별다른 노력이나 조작없이도 자가 온도 조절이 가능하여 착용자 및 착용자의 보호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 온도 조절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발열을 제어하도록 하는 리모컨이나 작동모듈을 구비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리모컨이나 작동모듈에 의한 무거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보관 및 분실에 따른 불편함을 없애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격감지센서 및 기울기센서를 구비하여 몸의 균형 유지 기능이 저하되어 거동이 불편하거나 어려운 노약자 및 장애인에게 착용하도록 하여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이 쓰러지거나 넘어지는 낙상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외부에서 작용하는 충격 및 몸의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보호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즉각적이고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충격감지 상황을 보호자 및 주위 사람들에게 알려주는 알람기를 구비하여 착용자가 외상을 입거나 다치는 상황을 황급히 대처하여 착용자의 위급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사용자단말 및 그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을 이용하여 발열 의류의 온도를 착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조절할 수있는 온도 설정 기능을 구비함으로, 사용자가 평상 시 휴대한 사용자단말을 통해 발열 의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사용자단말에 의하면, 사용자단말이 온도감지부에서 측정한 온도정보를 전송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스마트의류의 온도 정보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의류 제어 시스템은 노약자들의 한겨울 저체온증으로 인한 사망을 방지하고, 산악지대와 같은 위험지역이나 사고가 빈번한 작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의류 제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 전면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 후면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의 발열부 및 충격감지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에서 활성화된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의 어플활성화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에서 활성화된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의 연락처저장부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의 자가온도조절확인부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의 충격감지확인부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의류 제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의류 제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온도조절 및 충격감지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의류(100)와 상기 스마트의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200a)이 활성화되는 사용자단말(200)이 무선통신으로 연동되어 상기 스마트의류(100)에서 측정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200)로 송수신하고 상기 스마트의류(100)의 작동을 상기 사용자단말(200)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의류 제어 시스템이다.
따라서, 상기 다기능 스마트의류 제어 시스템(1)은 스마트의류(100) 및 사용자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 전면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 후면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의 발열부 및 충격감지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의류 제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스마트의류(100)는 도 2(a) 내지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온도조절 및 충격감지 기능이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단말(200)과 연동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며 상기 사용자단말(200)에서 상기 스마트의류(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의류(100)는 자가온도조절이 가능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의류이면서 착용자가 넘어지거나 외부충격을 받을 경우 충격 및 기울어짐을 측정하여 외부 충격을 감지하고 위급상황을 산출해낼 수 있도록 구성된 의류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의류(100)는 열을 발생시키는 의류로서, 의류 내부의 온도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으로 조절되도록 발열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의류이다.
이에, 상기 스마트의류(100)는 의류부재(110), 온도감지부(120), 발열부(130), 충격감지부(140), 충격알람부(150), 제어부(160), 무선통신부(170) 및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부재(110)는 직물로 이루어져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부 및 직물로 이루어져 인체측에 밀착되는 내피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부재(110)는 조끼, 가디건, 점퍼, 바람막이, 등산복 등과 같은 일반적인 의류일 수 있으며, 병원이나 요양원에서 사용하는 보호 및 관리가 필요한 환자에게 착용하는 환자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부재(110)의 외피부는 폴리에스테르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어텍스 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의류부재(110)의 내피부는 폴리에스테르 소재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메쉬소재가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의류부재(110)는 소재의 제한은 없으며 다양하게 적용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부재(110)는 발열 의류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후술할 발열부(130)에서 발산되는 열을 신속하게 흡수하고 장기간 보유하는 성질을 가져 발열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감지부(120)는 상기 의류부재(110)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체온 및 외기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감지부(120)는 상기 의류부재(110)에 장착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내피부의 내측에 복수개 장착된 체온측정센서(121) 및 상기 외피부의 외측에 복수개 장착된 외기온도측정센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온측정센서(121)는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는 상기 내피부의 내측에 복수개 구비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온측정센서(121)는 착용자의 겨드랑이 주위와 같이 착용자의 체온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착용자의 체온은 외부 활동에 의해 일정 범위 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온측정센서(121)는 착용자의 체온을 감지하여 정상 범주 안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정상범위보다 낮은 체온을 유지하는 경우 상기 발열부(130)를 작동시켜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체온측정센서(121)는 스키와 같은 운동이나 등산 중 착용자가 조난을 당해 착용자의 체온이 장시간 정상범위보다 낮게 측정되는 경우 착용자의 사고 및 위급상황을 보호자 및 관리자가 예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기온도측정센서(122)는 상기 외피부 외측에 복수개 장착되어,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감지부(120)는 상기 체온측정센서(121) 및 외기온도측정센서(122)에서 센싱된 값을 상기 무선통신부(170)를 통해 후술할 사용자단말(200)의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200a)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160)에서는 체온 및 외기온도를 분석하여 상기 스마트의류(100)의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온측정센서(121) 및 외기온도측정센서(122)는 상기한 목적을 실행할 수 있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열부(130)는 상기 온도감지부(120)에서 감지된 온도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의류부재(110)의 보온을 위해 발열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부(130)는 상기 의류부재(110)의 외피부와 내피부 사이에 내장되어 상기 스마트의류(100)에 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전원공급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18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부(13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면상으로 형성되는 기저원단(미도시)과, 상기 기저원단(미도시) 상에 형성되는 발열패턴(미도시), 상기 발열패턴을 커버하는 절연보호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저원단(미도시)은 상기 발열패턴(미도시)이 형성되는 바탕(base)이 되는 원단으로, 합성섬유, 재생섬유, 천연섬유 등 그 소재나 제조방법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패턴(미도시)은 통전이 가능한 도전사를 이용하여 상기 기저원단의 상면 및 하면에 박음선 또는 자수 형태로 패턴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18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발열패턴(미도시)에 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발열패턴(미도시)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발열부재와 전원선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열부재(미도시)는 기 설정된 형상의 발열패턴이 박음선 또는 자수 형태로 형성되어 전원 공급시 열을 발생시켜 주위를 따뜻하게 하고, 전원선(미도시)은 발열부재의 양쪽 단부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전원공급부(180)와 직접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원공급부(18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발열부재로 전달한다.
상기 절연보호층(미도시)은 상기 발열패턴(미도시)을 외부 환경과 차단하여 쇼트나 감전 등의 전기적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기저원단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발열패턴 전체를 커버하도록 기저원단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보호층(미도시)은 절연성 물질,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PVC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보호층(미도시)은 내마모성 재료의 원단으로 형성되며 표면이 방수 및 발수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연보호층(미도시)은 심 테이프 또는 라미네이팅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감지부(140)는 상기 의류부재(110)에 내장되어 외력에 의한 충격을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격감지부(140)는 착용자가 예상치못한 사고나 조난을 당한 경우 사고를 감지하여 사고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의류부재(110)에 복수개 내장되어 충격을 감지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격감지부(140)는 외력에 의한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141) 및 착용자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기울기센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감지센서(141)는 상기 의류부재(110)에 복수개 장착되어, 외력에 의한 충격을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충격감지센서(141)는 측정한 측정값을 제어부로 전송함으로서, 상기 제어부가 안전 범위 이상의 측정값이 검출되는지를 분석하여 위급상황여부를 판단하고 도출한 후 충격알람부(150) 및 사용자단말(200)로 상기 위급상황 정보를 전송하여 알람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격감지센서(141)는 센서가 충격을 감지하면 디지털 값을 출력하는 센서로서, 충격의 민감도를 조정할 수 있는 충격 감도조정 볼륨을 포함하고 있는 모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충격감지센서(141)는 상기 제어부(160)의 아두이노와 연결되어 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감지센서(141)는 센서 안에 스프링이 충격을 감지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충격여부를 측정하는 진동센서일 수도 있다.
상기 기울기센서(142)는 상기 의류부재(110)에 복수개 장착되어, 상기 의류부재(110)의 기울어짐에 따른 회전각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울기센서(142)는 상기 의류부재(110)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낙상사고 또는 조난사고가 발생할 경우 보호자 또는 관리자가 즉각적으로 상황을 판단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울기센서(142)는 측정한 측정값을 제어부로 전송함으로서, 상기 제어부(160)가 안전 범위 이상의 측정값이 검출되는지를 분석하여 위급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도출한 후 상기 충격알람부(150) 및 사용자단말(200)로 상기 위급상황 정보를 전송하여 알람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울기센서(142)는 지구중력을 기준으로 물체의 경사각을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센서가 기울어졌는지를 내부의 작은 공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공이 핀이 있는 쪽으로 이동하면 전기를 통하게 하고, 그렇지 않으면 전기가 통하지 않게 하여 디지털 값을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울기센서(142)는 상기한 바와 같은 원리로 구성되는 기울기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효과를 내는 공지의 다양한 기울기센서를 적용실시할 수 있다.
상기 충격알람부(150)는 상기 충격감지부(140)에서 감지된 측정값이 기설정된 안전 범위를 넘어선 위급상황으로 산출되는 경우 상기 위급상황을 음성정보로 제공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격알람부(150)는 상기 충격감지부(140)에서 감지된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160)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160)에서 상기 측정값을 분석하여 위급상황여부를 도출해내고 이렇게 도출된 위급상황 정보를 착용자의 보호자, 관리자 또는 주변인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구비되는 알람기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격알람부(150)는 착용자의 스마트의류(100)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160)에서 도출해낸 위급상황을 주변에게 음성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경보음이나 경보음성메서지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충격알람부(150)는 착용자의 낙상사고 및 조난사고 발생 후 주의에 즉각적으로 위급상황을 알려줌으로써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충격알람부(150)는 경보음 또는 경보음성메세지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로 구성된 공지의 알람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위험상황을 알려주는 조명이나 빛에 의한 발광 신호가 더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온도감지부(120) 및 충격감지부(140)에서 감지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스마트의류(1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온도감지부(120) 및 충격감지부(14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받아들여 분석하고 출력값을 제어하는 아두이노를 기반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온도감지부(120)에서 측정된 착용자의 체온 및 외기온도를 분석하여 상기 발열부(130)에 제공할 적정 온도를 산출하여 상기 발열부(130)가 상기 적정온도에 기인하여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충격감지부(140)에서 감지된 측정값이 기설정된 안전 범위를 넘어선 위급상황임을 산출하고, 산출된 위급상황 정보를 상기 충격알람부(150)에 전송하여 알람이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단말(200)에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200a)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아두이노를 기반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온도감지부(120)에서 측정한 측정값 및 상기 충격감지부(140)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분석하여 위험 및 위급 상황을 판단 및 도출하고, 상황에 맞도록 적절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온도감지부(120)에서 측정한 온도값을 분석하여 상기 발열부(130)의 작동의 제어 및 정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충격감지부(140)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분석하여 상기 충격알람부(150)의 알람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스마트의류(100)는 착용자의 별도의 수동 조작없이도 작동이 실행될 수 있거나 작동이 정지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스마트의류(100)에서 측정되고 분석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전송받아 상황에 따른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마트의류(100)는 별도의 조작기 및 리모콘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이는 상기 조작기 및 리모콘의 보관 및 분실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더러 상기 조작기 및 리모콘을 구비하지 않아 상기 스마트의류(100)의 무게를 가볍게 하여 착용자에서 안락함을 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70)는 무선통신모듈과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기설정된 사용자단말(2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통신부(170)는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170)는, 예로,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 지그비, NFC,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 라디오 프리퀀시,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루투스(Bluetooth)는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으로 반경 10∼100m안에서 각종 전자·정보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 제어하고, 245㎓ 주파수를 이용해 일정 범위 안에서 각종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지그비(Zigbee)는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로서, 가정·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10∼20m 내외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는 무선접속장치(AP)가 설치된 곳의 일정 거리 안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망으로 전파나 적외선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80)는 상기 스마트의류(1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공급부(180)는 상용 교류전원, 배터리,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답터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발열의류, 즉, 몸에 착용하는 조끼나 복대 등에 사용하는 때에는 휴대하고 다니면서 장소에 구애 없이 사용 가능하고, 교체 가능하고,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전원공급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때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는 소형이면서 용량이 큰 리튬 이온 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얇으면서 외력이 가해질때 휘어질 수 있는 유연 배터리를 사용하여,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주지 않고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에서 활성화된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상기 사용자단말(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의류(100)와 무선통신으로 연동되어 상기 스마트의류(100)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마트의류(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200a)이 활성화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단말(200)에 활성화되는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200a)은 어플활성화부(210), 연락처저장부(220), 자가온도조절확인부(230) 및 충격감지확인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에서 활성화된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의 어플활성화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기 어플활성화부(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200)의 화면을 통해 상기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200a)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어플활성화부(210)를 작동시켜 상기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200a)을 활성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의 연락처저장부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상기 연락처저장부(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를 보호하고 관리하는 보호자들의 연락처를 저장 및 확인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연락처저장부(220)는 기 저장된 보호자들의 연락처를 확인할 수 있는 창을 실행하도록 하는 연락처확인버튼(221) 및 추가 연락처를 저장할 수 있는 창을 실행하도록 하는 추가연락처저장버튼(2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의 자가온도조절확인부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상기 자가온도조절확인부(2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의류(100)의 온도감지부(120) 및 발열부(130)의 작동을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가온도조절확인부(230)는 온도확인창(231), 발열강도확인창(232), 온도설정버튼(233) 및 발열중지버튼(2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확인창(231)은 상기 온도감지부(120)에서 측정된 체온 및 외기온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확인창(231)은 상기 체온측정센서(121)에서 측정된 체온값과 상기 외기온도측정센서(122)에서 측정된 외기 온도값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온도확인창(231)은 착용자 뿐 아니라 착용자를 보호하는 보호자 또는 관리자가 착용자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조난사고로 인한 저체온증상이 발생되는 경우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에 빠르게 사고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열강도확인창(232)은 상기 발열부(130)에서 작동하는 발열 정도를 단계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강도확인창(232)은 상기 스마트의류(100)의 발열부(130)가 작동되어 발열이 진행되고 있는지 또는 발열 정도가 어느정도 인지를 착용자 및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발열강도확인창(232)은 도시된 바와 같은 강, 중, 약 3단계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발열강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단계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온도설정버튼(233)은 사용자 요구에 맞게 스마트의류(100)와 온도를 수동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100)는 상기 아두이노에 의해 스마트의류(100)의 적정 온도가 연산되어 확정되고 이에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발열부(130)의 작동이 진행되도록 구성될 뿐 아니라, 착용자 및 보호자가 원하는 온도를 설정하도록하여 착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설정버튼(233)은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른 발열온도와 상이한 온도가 요구되는 경우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발열 온도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열중지버튼(234)은 상기 발열부(130)의 작동을 수동으로 중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발열중지버튼(234)은 상기 온도설정버튼(233)과 동일하게 상기 아두이노 및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자동으로 진행되는 발열 동작을 착용자 및 보호자의 요구에 따라 수동으로 중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증대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의 충격감지확인부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상기 충격감지확인부(2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의류(100)의 충격감지부(140)가 감지한 정보를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충격감지확인부(240)는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충격감지부(140)에서 감지한 측정값을 분석하여 산출한 위급상황 정보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알려주도록 위급상황알림창(241)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충격감지확인부(240)는 상기 충격알람부(150)와 동일하게 위급상황을 스마트의류 착용자를 보호하는 보호자 및 관리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급상황알림창(241)은 상기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200a)에 메세지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세지 정보와 함께 음성신호 즉, 경보음이나 음성메세지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착용자의 체온 및 외기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정보를 제어부가 분석하여 기설정된 온도범위에 맞게 발열부를 제어하여 자동 온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별다른 노력이나 조작없이도 자가 온도 조절이 가능하여 착용자 및 착용자의 보호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 온도 조절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발열을 제어하도록 하는 리모컨이나 작동모듈을 구비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리모컨이나 작동모듈에 의한 무거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보관 및 분실에 따른 불편함을 없애준다.
또한, 충격감지센서 및 기울기센서를 구비하여 몸의 균형 유지 기능이 저하되어 거동이 불편하거나 어려운 노약자 및 장애인에게 착용하도록 하여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이 쓰러지거나 넘어지는 낙상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외부에서 작용하는 충격 및 몸의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보호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즉각적이고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충격감지 상황을 보호자 및 주위 사람들에게 알려주는 알람기를 구비하여 착용자가 외상을 입거나 다치는 상황을 황급히 대처하여 착용자의 위급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사용자단말 및 그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을 이용하여 발열 의류의 온도를 착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조절할 수있는 온도 설정 기능을 구비함으로, 사용자가 평상 시 휴대한 사용자단말을 통해 발열 의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사용자단말에 의하면, 사용자단말이 온도감지부에서 측정한 온도정보를 전송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스마트의류의 온도 정보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의류 제어 시스템은 노약자들의 한겨울 저체온증으로 인한 사망을 방지하고, 산악지대와 같은 위험지역이나 사고가 빈번한 작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다기능 스마트의류 제어 시스템
100 : 스마트의류 110 : 의류부재
120 : 온도감지부 121 : 체온측정센서
122 : 외기온도측정센서 130 : 발열부
140 : 충격감지부 141 : 충격감지센서
142 : 기울기센서 150 : 충격알람부
160 : 제어부 170 : 무선통신부
180 : 전원공급부 200 : 사용자단말
200a :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 210 : 어플활성화부
220 : 연락처저장부 221 : 연락처확인버튼
222 : 추가연락처저장버튼 230 : 자가온도조절확인부
231 : 온도확인창 232 : 발열강도확인창
233 : 온도설정버튼 234 : 발열중지버튼
240 : 충격감지확인부 241 : 위급상황알람창

Claims (11)

  1. 아두이노방식으로 자가온도조절 및 충격감지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의류; 및
    상기 스마트의류와 무선통신으로 연동되어 상기 스마트의류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마트의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사용자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의류는,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부 및 인체측에 밀착되는 내피부로 이루어진 의류부재;
    상기 의류부재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체온 및 외기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의류부재에 내장되어 발열되는 발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감지부는,
    상기 내피부 내측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센서; 및
    상기 외피부 외측에 장착되어,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온도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체온측정센서는,
    외부 활동으로 변화하는 착용자의 체온이 상기 발열부의 작동에 기인하도록하고, 체온이 장시간 정상 범위보다 낮거나 높게 측정되어 착용자의 사고 및 위급상황 상태임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의류는,
    외력에 의한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
    상기 충격감지부에서 감지된 측정값이 기설정된 안전 범위를 넘어선 위급상황으로 산출되는 경우 상기 위급상황을 음성정보로 제공하는 충격알람부;
    상기 온도감지부 및 충격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스마트의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기설정된 상기 사용자단말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스마트의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의류 제어 시스템.
  3. 삭제
  4. 제 2항에 잇어서,
    상기 충격감지부는,
    상기 의류부재에 복수개 장착되어, 외력에 의한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및
    상기 의류부재에 복수개 장착되어, 상기 의류부재의 기울어짐에 따른 회전각을 감지하는 기울기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의류 제어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부 및 충격감지부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받아들여 분석하고 출력값을 제어하는 아두이노를 기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의류 제어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측정된 착용자의 체온 및 외기 온도를 분석하여 상기 발열부에 제공할 적정 온도를 산출하여 상기 발열부가 상기 적정 온도에 기인하여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의류 제어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감지부에서 감지한 측정값이 기설정된 안전 범위를 넘어선 위급 상황임을 산출하고, 산출된 위급상황 정보를 상기 충격알람부에 전송하여 알람이 발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의류 제어 시스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스마트의류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이 구비된 어플활성화부;
    착용자를 보호하고 관리하는 보호자들의 연락처를 저장 및 확인하는 연락처저장부;
    상기 스마트의류의 온도감지부 및 발열부의 작동을 확인 및 제어하는 자가온도조절확인부; 및
    상기 스마트의류의 충격감지부가 감지한 정보를 확인 및 제어하는 충격감지확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의류 제어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처저장부는,
    기 저장된 보호자들의 연락처를 확인할 수 있는 창을 실행하도록 하는 연락처확인버튼; 및
    추가 연락처를 저장할 수 있도록 실행하는 추가연락처저장버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의류 제어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자가온도조절확인부는,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측정된 체온 및 외기온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온도확인창;
    상기 발열부에서 작동하는 발열 정도를 단계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발열강도확인창;
    사용자 요구에 맞게 상기 스마트의류의 온도를 수동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온도설정버튼; 및
    상기 발열부의 작동을 수동으로 중지시키기 위한 발열중지버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의류 제어 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지확인부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충격감지부에서 감지한 측정값을 분석하여 산출한 위급상황 정보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위급상황알림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의류 제어 시스템.
KR1020190003882A 2019-01-11 2019-01-11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 KR102099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882A KR102099700B1 (ko) 2019-01-11 2019-01-11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882A KR102099700B1 (ko) 2019-01-11 2019-01-11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700B1 true KR102099700B1 (ko) 2020-04-10

Family

ID=70291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882A KR102099700B1 (ko) 2019-01-11 2019-01-11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7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042B1 (ko) * 2021-01-13 2021-09-24 정선영 의류 및 그 판매 시스템
KR102412065B1 (ko) * 2021-12-07 2022-06-23 임문숙 우천시 착용이 용이한 반려동물 용품
KR20230126405A (ko) * 2022-02-23 2023-08-30 주식회사 자이로블 발열 장갑 내부온도 컨트롤 방법 및 그 장치
KR102580173B1 (ko) * 2023-02-28 2023-09-19 김영빈 발열의류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659U (ko) 2007-12-28 2009-07-0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발열기능을 구비한 의류
KR100941946B1 (ko) * 2009-07-20 2010-02-1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 개의 충격 완화용 에어 터널 파트를 구비한 스마트 웨어 시스템
KR20160110798A (ko) * 2015-03-12 2016-09-22 주식회사 블랙야크 스마트 발열 의류와 그의 발열제어 시스템
KR20180054384A (ko) * 2016-11-15 2018-05-2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위급환자 발생 감지용 스마트밴드 시스템을 이용한 위급환자정보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659U (ko) 2007-12-28 2009-07-0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발열기능을 구비한 의류
KR100941946B1 (ko) * 2009-07-20 2010-02-1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 개의 충격 완화용 에어 터널 파트를 구비한 스마트 웨어 시스템
KR20160110798A (ko) * 2015-03-12 2016-09-22 주식회사 블랙야크 스마트 발열 의류와 그의 발열제어 시스템
KR20180054384A (ko) * 2016-11-15 2018-05-2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위급환자 발생 감지용 스마트밴드 시스템을 이용한 위급환자정보 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042B1 (ko) * 2021-01-13 2021-09-24 정선영 의류 및 그 판매 시스템
KR102412065B1 (ko) * 2021-12-07 2022-06-23 임문숙 우천시 착용이 용이한 반려동물 용품
KR20230126405A (ko) * 2022-02-23 2023-08-30 주식회사 자이로블 발열 장갑 내부온도 컨트롤 방법 및 그 장치
KR102628749B1 (ko) * 2022-02-23 2024-01-23 주식회사 자이로블 발열 장갑 내부온도 컨트롤 방법 및 그 장치
KR102580173B1 (ko) * 2023-02-28 2023-09-19 김영빈 발열의류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700B1 (ko) 다기능 스마트 의류 제어 시스템
KR20140062890A (ko) 사용자의 상태를 관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 장치와 그 상태 관리 방법
US20130109997A1 (en) System for monitoring biological data
JP6682796B2 (ja) センシング型衣服及び管理システム
KR101747247B1 (ko) 스마트 발열 장갑과 이를 이용한 제어시스템
US20170135855A1 (en) Patient warming system
WO2014081276A1 (en) A medical monitoring system
EP2979260A1 (en) Emergency no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6874279B2 (ja) ウェアラブル機器における電波シールド装置
KR101617621B1 (ko) 건강 및 위험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24617B1 (ko) 스마트조끼
EP3315037B1 (en) Protective glove, especially for firefighters
JP6761765B2 (ja) 熱中症予防装置
KR101976092B1 (ko) 둥근 어깨 자세를 교정하는 자세교정시스템
US11857339B2 (en) Headgear-type device for hazardous air quality warning and air quality improvement
KR20200058837A (ko) 발열체를 구비한 방한 의류
JP2015020050A (ja) 心電計
KR20180072145A (ko) 넥밴드형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동알림 시스템
KR20090020183A (ko) 조난방지용 등산복
KR20110011195A (ko) 응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CN108780599B (zh) 挂件设备、方法和个人挂件监测系统
KR102064362B1 (ko) 패치형 센서모듈
KR100761458B1 (ko) 조난방지용 등산복
KR102170250B1 (ko) 생활약자 모니터링 및 건강기능 향상을 위한 스마트 의류
KR101857339B1 (ko) 자기 공명 구조의 휴대용 발열 패드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