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193A -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 - Google Patents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193A
KR20150039193A KR20150040788A KR20150040788A KR20150039193A KR 20150039193 A KR20150039193 A KR 20150039193A KR 20150040788 A KR20150040788 A KR 20150040788A KR 20150040788 A KR20150040788 A KR 20150040788A KR 20150039193 A KR20150039193 A KR 20150039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vent
water tank
odor
activated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40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설희
주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50040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9193A/ko
Publication of KR20150039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1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01Filters in combination with devices for the removal of gas, air purg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는 정수탱크(1)에 형성된 에어벤트용 구멍(4)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이루어진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 및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를 통과한 공기로부터 냄새유발 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와 연결되는 냄새 제거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냄새 제거부(300)는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에 포함되는 방지부 본체(21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며 공기유로(311)가 형성된 제거부 본체(310)와, 상기 공기유로(311)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냄새유발 물질을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활성탄이 포함되며 상기 공기유로(311)에 구비되는 활성탄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AIR VENT BEING ABLE TO REMOVE ODOR FOR STORAGE TANK USED IN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에 유입된 원수는 정수기에 구비된 여러 가지 정수필터를 거치면서 여과되어 정수로 된다. 이러한 정수는 정수탱크에 모아져서 저장되고 정수탱크에 저장된 정수는 정수탱크에 연결된 콕크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정수탱크에는 정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서 에어벤트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벤트용 구멍을 통해서 공기가 유입되어 정수탱크에서 사용자로의 정수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에어벤트용 구멍을 통해서 공기가 유입될 때 공기뿐만 아니라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물질 뿐만 아니라 공기에 포함되어 냄새, 특히 악취를 유발할 수 있는 VOC(Volatile Organic Compound) 등과 같은 냄새유발 물질도 함께 유입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냄새유발 물질은 정수에 포함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수를 음용할 때 정수에 포함된 냄새유발 물질에 의해서 발생하는 냄새, 특히 악취에 의해서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탱크용 에어벤트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정수탱크에 형성된 에어벤트용 구멍을 통해 공기와 함께 유입될 수 있는 냄새유발 물질을 이물질과 함께 공기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사용자가 정수를 음용할 때 정수에서 나는 냄새에 의해서 불쾌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서로 교체주기가 다를 수 있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부직포와 공기에서 냄새유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활성탄이 포함된 활성탄 부재를 각각 별도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는 정수탱크에 형성된 에어벤트용 구멍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이루어진 이물질 유입 방지부; 및 이물질 유입 방지부를 통과한 공기로부터 냄새유발 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물질 유입 방지부와 연결되는 냄새 제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냄새 제거부는 이물질 유입 방지부에 포함되는 방지부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며 공기유로가 형성된 제거부 본체와, 공기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냄새유발 물질을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활성탄이 포함되며 공기유로에 구비되는 활성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방지부 본체; 및 공기유로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공기유로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차단하는 부직포; 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냄새 제거부는 활성탄 부재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부직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탱크에 형성된 에어벤트용 구멍을 통해 공기와 함께 유입될 수 있는 냄새유발 물질을 이물질과 함께 공기에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정수를 음용할 때 정수에서 나는 냄새에 의해서 불쾌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교체주기가 다를 수 있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부직포와 공기에서 냄새유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활성탄이 포함된 활성탄 부재를 각각 별도로 교환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4는 에어벤트용 구멍이 정수탱크 커버에 형성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의 일실시예를 에어벤트용 구멍에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에어벤트용 구멍이 정수탱크 본체에 형성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의 일실시예를 에어벤트용 구멍에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는 정수탱크(1)에 형성된 에어벤트용 구멍(4)을 통해서 정수탱크(1) 내로 공기와 함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와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를 통과한 공기로부터 냄새를 제거하며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와 연결된 냄새 제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방지부 본체(210)와 방지부 본체(210)에 구비되는 부직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방지부 본체(210)에는 공기유로(2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유로(211)에는 부직포(220)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유로(211)에 구비된 부직포(220)에 의해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져서 공기에서 제거됨으로써, 에어벤트용 구멍(4)을 통해 정수탱크(1) 내로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이러한 부직포(22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기는 통과하고 이물질은 통과하지 못하게 이루어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부직포(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지부 본체(2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대(212)에 의해서 지지되어 방지부 본체(210)의 공기유로(211)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부직포(220)가 방지부 본체(210)의 공기유로(211)에 구비되는 방법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부직포(220)를 방지부 본체(210)의 공기유로(211)에 구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의 상부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덮개(400)가 덮혀질 수 있다. 덮개(400)에는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공기유입 구멍(41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는 이러한 공기유입 구멍(411)을 통해서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덮개(400)에는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손잡이(4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410)를 통해서 사용자는 덮개(400)를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덮개(4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의 부직포(2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덮개(400)는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의 방지부 본체(21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덮개(400)가 방지부 본체(210)에 결합되는 방법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나사결합되는 것 이외에도 끼워맞추어서 결합되는 등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에 연결되는 냄새 제거부(3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의 방지부 본체(21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거부 본체(310)와 제거부 본체(310)에 구비되는 활성탄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거부 본체(310)는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방지부 본체(210)에 나사결합되는 방법으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거부 본체(310)가 방지부 본체(21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방법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거부 본체(310)를 방지부 본체(21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거부 본체(310)에는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공기유로(3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거부 본체(310)의 이러한 공기유로(311)에는 활성탄 부재(3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탄 부재(320)를 공기유로(311)에 구비시키기 위해서 제거부 본체(310)에는 복수개의 지지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거부 본체(310)의 공기유로(311)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대(312)에 활성탄 부재(320)가 위치하여 활성탄 부재(320)가 공기유로(311)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활성탄 부재(320)를 제거부 본체(310)의 공기유로(311)에 구비시키는 방법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활성탄 부재(320)를 제거부 본체(310)의 공기유로(311)에 구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거부 본체(31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그 외부의 상부와 하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정수탱크(1)에 형성된 에어벤트용 구멍(4)에는 상기 제거부 본체(310)에 형성된 수나산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거부 본체(310)가 정수탱크(1)의 에어벤트용 구멍(4)에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거부 본체(310)가 에어벤트용 구멍(4)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방법은 본 실시예와 같이 나사결합되는 방법 이외에도 제거부 본체(310)가 에어벤트용 구멍(4)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이와 같이 제거부 본체(310)가 정수탱크(1)의 에어벤트용 구멍(4)에 나사결합되고 전술된 바와 같이 제거부 본체(310)에 방지부 본체(210)가 나사결합되며 방지부 본체(210)에 덮개(400)가 나사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100)의 일실시예가 정수탱크(1)의 에어벤트용 구멍(4)에 설치될 수 있다.
제거부 본체(310)의 공기유로(311)에 구비되는 활성탄 부재(320)에는 활성탄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활성탄은 공기 내에 포함된 냄새유발 물질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를 통과하여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 내에 포함된 냄새유발 물질은 냄새 제거부(300)의 활성탄 부재(320)를 통과하면서 이에 포함된 활성탄에 의해서 흡수되어 공기에서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활성탄이 포함된 활성탄 부재(320)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원통형일 수도 있으나 활성탄 알갱이가 모아진 형태일 수도 있다. 그러나, 활성탄 부재(320)의 형태나 구성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활성탄 부재(320)를 통과하는 공기 내에 포함된 냄새유발 물질을 흡수하여 공기에서 냄새유발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냄새 제거부(3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 부직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부직포(330)는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냄새 제거부(300)의 공기유로(311)에 구비된 활성탄 부재(320)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부직포(330)에 의해서 활성탄 부재(320)에 포함된 활성탄이 에어벤트용 구멍(4)을 통해 정수탱크(1)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1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탱크(1)의 정수탱크 커버(2)에 형성된 에어벤트용 구멍(4)에 설치될 수 있다. 정수탱크 커버(2)에 형성된 에어벤트용 구멍(4)에 본 발명에 따른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10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냄새제거부(300)의 제거부 본체(310)를 정수탱크 커버(2)의 아래에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부 본체(310)를 이의 상부에 형성된 수나사산을 이용하여 정수탱크 커버(2)의 아래에서 정수탱크 커버(2)에 형성된 에어벤트용 구멍(4)에 나사결합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거부 본체(310)의 공기유로(311)에 형성된 지지대(312) 위에 제2 부직포(330)를 위치시키고 제2 부직포(330) 위에 활성탄 부재(320)를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된 경우와 달리 제거부 본체(310)의 공기유로(311)에 제2 부직포(330)와 활성탄 부재(320)를 구비시킨 후에 제거부 본체(310)를 정수탱크 커버(2)에 형성된 에어벤트용 구멍(4)에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냄새 제거부(300)를 에어벤트용 구멍(4)에 설치하는 것이 끝나면, 제거부 본체(310)에 방지부 본체(210)를 결합하고 방지부 본체(210)의 공기유로(211)에 형성된 지지대(212) 위에 부직포(220)를 위치시킨다. 이 경우에도 부직포(220)를 먼저 방지부 본체(210)의 공기유로(211)에 구비시킨 후, 방지부 본체(210)를 제거부 본체(310)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를 냄새 제거부(300)에 설치한 후에, 덮개(400)에 형성된 손잡이(410)를 이용하여 덮개(400)를 방지부 본체(210)에 결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100)를 정수탱크 커버(2)에 형성된 에어벤트용 구멍(4)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5와 같이 에어벤트용 구멍(4)이 정수탱크 본체(3)에 형성된 경우에는 제거부 본체(310)를 정수탱크 본체(3)의 아래에서 설치할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거부 본체(310)의 하부에 형성된 수나사를 이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부 본체(310)를 에어벤트용 구멍(4)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100)를 정수탱크 본체(3)에 설치하는 나머지 과정은 전술된 바와 같다.
한편, 도4와 도5에서 정수탱크(1)는 전체가 도시되지 않고 그 일부만 보여지도록 도시되어 있다.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100)를 정수탱크(1)의 정수탱크 커버(2) 또는 정수탱크 본체(3)에 설치하게 되면, 공기는 덮개(400)의 공기유입 구멍(411)을 통해 유입되게 된다. 유입된 공기는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에 포함된 부직포(220)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걸려져서 제거된 상태로 냄새 제거부(300)로 유입된다.
냄새 제거부(300)에 유입된 공기는 냄새 제거부(300)에 포함된 활성탄 부재(320)를 통과하게 된다.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활성탄 부재(320)를 통과하면서 이에 포함된 냄새유발 물질이 활성탄 부재(320)에 포함된 활성탄에 흡수되어 냄새유발 물질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과 냄새유발 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정수탱크(1)의 에어벤트용 구멍(4)을 통해 정수탱크(1) 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정수탱크(1)에 저장된 정수에 냄새유발 물질이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정수를 음용할 때 정수에서 나오는 냄새에 의해서 불쾌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의 부직포(220)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덮개(400)를 방지부 본체(210)에서 분리시킨 후 부직포(220)를 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냄새 제거부(300)의 활성탄 부재(320)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덮개(400)를 분리할 필요없이 방지부 본체(210)를 제거부 본체(310)에서 분리시킨 후 활성탄 부재(320)를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교환주기가 다를 수 있는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의 부직포(220)와 냄새 제거부(300)의 활성탄 부재(320)를 별도로 교환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 : 정수탱크 2 : 정수탱크 커버
3 : 저장탱크 본체 4 : 에어벤트용 구멍
100 : 정수탱크용 에어벤트 200 : 이물질 유입 방지부
210 : 방지부 본체 211,311 : 공기유로
212, 312 : 지지대 220 : 부직포
300 : 냄새 제거부 310 : 제거부 본체
320 : 활성탄 부재 330 : 제2 부직포
400 : 덮개 410 : 손잡이
411 : 공기유입 구멍

Claims (3)

  1. 정수탱크(1)에 형성된 에어벤트용 구멍(4)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이루어진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 및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를 통과한 공기로부터 냄새유발 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와 연결되는 냄새 제거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냄새 제거부(300)는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에 포함되는 방지부 본체(21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며 공기유로(311)가 형성된 제거부 본체(310)와, 상기 공기유로(311)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냄새유발 물질을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활성탄이 포함되며 상기 공기유로(311)에 구비되는 활성탄 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200)는
    공기유로(211)가 형성된 방지부 본체(210); 및
    상기 공기유로(211)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공기유로(211)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차단하는 부직포(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 제거부(300)는 상기 활성탄 부재(320)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부직포(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
KR20150040788A 2015-03-24 2015-03-24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 KR201500391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40788A KR20150039193A (ko) 2015-03-24 2015-03-24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40788A KR20150039193A (ko) 2015-03-24 2015-03-24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528A Division KR20100046611A (ko) 2008-10-27 2008-10-27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193A true KR20150039193A (ko) 2015-04-09

Family

ID=53029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40788A KR20150039193A (ko) 2015-03-24 2015-03-24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91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729B1 (ko) * 2020-03-05 2020-04-03 박대근 주물 금형용 벤틸레이터 및 그 벤틸레이터를 구비하는 금형
KR102095732B1 (ko) * 2020-03-05 2020-04-03 박대근 벤틸레이터를 구비하는 금형 및 주물 금형용 벤틸레이터
KR102095727B1 (ko) * 2020-01-06 2020-05-15 박대근 내구성 향상과 교체가 용이한 주물 금형용 벤틸레이터 및 그 벤틸레이터를 구비하는 금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727B1 (ko) * 2020-01-06 2020-05-15 박대근 내구성 향상과 교체가 용이한 주물 금형용 벤틸레이터 및 그 벤틸레이터를 구비하는 금형
KR102095729B1 (ko) * 2020-03-05 2020-04-03 박대근 주물 금형용 벤틸레이터 및 그 벤틸레이터를 구비하는 금형
KR102095732B1 (ko) * 2020-03-05 2020-04-03 박대근 벤틸레이터를 구비하는 금형 및 주물 금형용 벤틸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4778B2 (en) Filter with magnet and protective bushing
KR20150039193A (ko)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
JP2011085374A (ja) 空気清浄機
US9139452B2 (en) Water filter assembly
JP6397888B2 (ja) 水ろ過システム、水ろ過デバイスおよび水ろ過方法
KR20110001637A (ko) 공기정화장치
EA026342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содержащее гравитационный фильтр
KR20170004786A (ko) 도시 수질 오염방지 구조물
KR20160071699A (ko) 카본 백필터
KR200491008Y1 (ko)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20070018151A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KR20140022713A (ko) 카본필터
JP2017197937A (ja) 水栓及び浄水カートリッジ
KR101510571B1 (ko) 정수기필터구조
KR102035216B1 (ko) 빗물 정화장치
KR101154027B1 (ko) 악취제거 흡착탑
KR20200115845A (ko) 미세 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100046611A (ko) 냄새제거 가능한 정수탱크용 에어벤트
KR101457792B1 (ko) 휴대용 정수기
KR20120004463U (ko) 정수기용 필터
JP5766676B2 (ja) 濾過装置
JP5266500B2 (ja) 油水分離装置
KR102256966B1 (ko) 가습형 공기청정기
KR20100137638A (ko) 정수필터장치
TWI361098B (en) Improved filter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