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612A - 울금 중의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울금 중의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612A
KR20150037612A KR20140130070A KR20140130070A KR20150037612A KR 20150037612 A KR20150037612 A KR 20150037612A KR 20140130070 A KR20140130070 A KR 20140130070A KR 20140130070 A KR20140130070 A KR 20140130070A KR 20150037612 A KR20150037612 A KR 20150037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bisacuron
amount
biscarr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0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4696B1 (ko
Inventor
료스케 이시다
레이코 스즈키
나오히로 무카이다
김연희
코우타로 오니시
모모카 탄지
신타로 이데
코이치 타오카
Original Assignee
하우스 쇼쿠힝 그룹 혼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우스 쇼쿠힝 그룹 혼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우스 쇼쿠힝 그룹 혼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7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2Curcumin, turmer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과제]최소 유효량의 비스아쿠론(Bisacurone) 함유량을 오래 유지할 수 있는, 비스아쿠론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pH가 3.2 미만의 범위인, 비스아쿠론 함유 용기 포장 음료의 제조방법으로서, 1 음료 당 0.46 mg 이상이 되는 양의 비스아쿠론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Description

울금 중의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Method of producing a drink containing a component in turmeric}
본 발명은, 최소 유효량의 비스아쿠론(Bisacurone) 함유량을 오래 유지할 수 있는, 비스아쿠론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울금은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세계 중의 열대·아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는 생강과 울금속의 식물이다. 독특한 향기와 풍미를 가지는 것으로부터 향신료로서, 또는 생약으로서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근경에 포함된 커큐민(curcumin)에 항염증, 항종양, 간기능개선, 숙취의 방지 등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이 보고되어, 울금은, 건강식품으로서 주목되고 있다.
오늘날, 울금의 유용성에 착안하여, 울금 성분을 배합하여 다양한 음식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울금 성분을 배합한 산성 음료는 울금의 독특한 흙 냄새 또는 쓴맛이 억제되어, 마시기 쉽고, 인기가 높다.
본 발명자들은 이제까지, 울금이 가져오는 효과의 유효성분의 하나로서 비스아쿠론(Bisacurone)을 동정하여, 비스아쿠론이, 에탄올에 의해 유발되는 간세포의 상해 및 간 장해의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 또는, 혈중 에탄올 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 및 숙취의 증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제까지, 비스아쿠론은 수용액 중, 특히 산성수용액 중에서 비정상적으로 불안정하여, 비스아쿠론을 음료 등에 포함한 경우에는 바로 분해를 일으켜, 그 양이 두드러지게 감소해버려 비스아쿠론이 가져오는 소정의 효과가 두드러지게 감쇠해버리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자들은 수용액 중 비스아쿠론의 분해를 억제하는 것이 당연하여, 화합물의 일반적인 분해 방지제(산화 방지제 또는 킬레이트제 등)을 비스아쿠론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 첨가해 보던 중, 해당 분해 방지제에는 비스아쿠론의 분해를 충분히, 또는 완전히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은, 비스아쿠론을 함유하는 음료의 보관, 유통, 및 판매의 과정에서, 비스아쿠론의 분해가 일어난다고 해도, 비스아쿠론 섭취에 의한 효과(예를 들어 숙취의 증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실감할 수 있는 최소 유효량의 비스아쿠론 함유량을 오래 유지할 수 있어, 비스아쿠론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심히 연구한 결과, 비스아쿠론(Bisacurone) 섭취에 의한 효과(예를 들면 숙취의 증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실감할 수 있는 최소 유효량이 0.15 mg인 것, 또한, 상온 하에서, pH가 3.2 미만의 범위에 있는 음료 중의 비스아쿠론의 감쇠 속도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기반으로, pH가 3.2 미만의 범위에 있는 비스아쿠론 함유 음료를 일반적으로 제품이 처리하여 얻는 상온 조건 하에서 오래(반년 정도) 보관하여 비스아쿠론의 감쇠가 진행된다고 해도, 최소 유효량인 0.15 mg의 비스아쿠론 함유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해당 음료 중에 포함해야하는 최소필요량의 비스아쿠론 함유량(0.46 mg)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징을 가진다.
[1] pH가 3.2 미만의 범위인, 비스아쿠론(Bisacurone) 함유 용기 포장 음료의 제조방법으로서, 1 음료 당 0.46 mg 이상이 되는 양의 비스아쿠론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비스아쿠론(Bisacurone)을 함유하는 음료의 보관, 유통, 및 판매의 과정에서, 비스아쿠론의 분해가 일어난다고 해도, 비스아쿠론 섭취에 의한 효과(예를 들면 숙취의 증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실감할 수 있는 최소 유효량의 비스아쿠론 함유량을 오래 유지할 수 있는, 비스아쿠론을 함유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1]도1은 비스아쿠론(Bisacurone)의 섭취에 의한 혈중 에탄올 농도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2]도2는 비스아쿠론 및 커큐민(curcumin)의 섭취에 의한 혈중 에탄올 농도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3]도3은 비스아쿠론(0.15 mg) 및 커큐민의 섭취에 의한, 숙취 증상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4]도4는 pH 값이 다른 용기 포장 음료 중의 비스아쿠론에 대한 보존실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5]도5는 pH 3.1의 용기 포장 음료 중 비스아쿠론 양의, 다른 온도 조건 하에 있어서 경시적(經時的) 변화를 나타낸다.
[도6]도6은 pH 3.1의 용기 포장 음료 중 비스아쿠론 양의, 상온 하에 있어서 경시적 변화를 나타낸다.
1. 비스아쿠론( Bisacurone )
본 발명에 있어서 "비스아쿠론"은, 비스아볼란(Bisabolane) 형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 류로 분류되는 화합물로서, 하기의 평면구조식을 가지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의미한다. 비스아쿠론은 평면구조식 중 * 인으로 표시된 위치에 비대칭 탄소가 있어, 이에 의해 많은 종류의 광학이성질체가 존재하나, 본 명세서에 따른 비스아쿠론은 이들 중 어떠한 것의 광학이성질체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한다.
Figure pat00001
비스아쿠론은 식물 원료로부터 추출 또는 정제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인위적으로 합성된 것으로 해도 좋지만, 안전성의 관점에서 식물 원료에서 추출 또는 분획/정제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 원료로서는, 생강과 식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커큐마 롱가(Curcuma longa)(울금), 커큐마 아로마티카(Curcuma aromatic), 커큐마 제도아리아(Curcuma zedoaria), 커큐마 파에오카울리스(Curcuma phaeocaulis), 커큐마 쾅시엔시스(Curcuma kwangsiensis), 커큐마 원유진(Curcuma wenyujin), 커큐마 잔토르리자(Curcuma xanthorrhiza)가 바람직하다. 식물 원료의 근경 등 적당한 위치를 원형 그대로, 또는 적당한 길이 또는 형상으로 자른 형태로, 또는 분쇄물의 형태로, 비스아쿠론의 제조를 위해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원료는 적당 건조된 것이 좋다.
식물 원료로부터 비스아쿠론의 추출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물,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디에틸에테르, 석유 에테르, 헥산, 아세톤, 아세노니트릴, 초산 에틸(ethyl acetate), 동식물유지, 또는 이들 용매의 2 종 이상의 혼합물 등의, 비스아쿠론을 용해 가능한 용제를 이용하여, 식물 원료로부터 용해 가용성분을 추출한다. 추출 용제로서는, 알코올 등의 친수성 추출 용제 및/또는 물이 바람직하다. 알코올로서는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알코올과 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혼합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중량비로 10:90~90: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0:80~50:50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수득되는 식물 원료의 추출물을 필요에 대해 추가로, 용매분획, 크로마토그래피(컬럼 크로마토그래피,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등) 및/또는 재결정 등의 정제 수단에 추가하여, 비스아쿠론을 분리 또는 정제하는 것도 좋다. 예를 들면, 비스아쿠론은 울금을 식물 원료로 하는 메탄올 추출물을 얻어, 해당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에 메탄올 및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용출시켜,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커큐민(curcumin),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curcumin), 비스디메톡시커큐민(bisdemethoxycurcumin)의 혼합물) 보다도 높은 극성의 분획으로부터 분취(分取)용 HPLC 컬럼을 사용하여 분리 또는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1 음료 당" 이라는 것은, 용기 포장 음료의 1 병 분의 용량을 의미한다. 용기 포장 음료의 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어있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 회에 경구 섭취되는 양, 또는 짧은 시간 간격(예를 들면 1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5 분 이하의 시간)에 있어서 연속적이게 복수회로 경구 섭취되는 총 양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 용기 포장 음료의 한 병 분의 용량이라는 것은, 예를 들면 50 ml~500 ml(전형적으로는 50 ml, 100 ml, 150 ml, 200 ml, 250 ml, 300 ml, 350 ml, 400 ml, 450 ml 또는 500 ml)를 들 수 있다. 이하에도 "1 음료 당" 이라는 것은 이러한 의미에서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0.46 mg 이상이 되는 양의 비스아쿠론" 이라는 것은, 본 발명에 관계된 용기 포장 음료의 제조 완료일(즉, 제조일, 또는 소비 기한 또는 상미기한(賞味期限)의 기산일(起算日))에 있어서, 해당 용기 포장 음료가 비스아쿠론을 0.46 mg 이상 함유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용기 포장 음료 중의 비스아쿠론의 양은, 해당 음료를 초산 에틸(ethyl acetate)과 혼합하고,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등액으로부터 초산 에틸을 감압류거한 후, 아세토니트릴에 용해한 액을 분석 시료(sample)로 하여,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가하는 것으로부터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용기 포장 음료의 pH 값은, 3.2 미만, 바람직하게는, 3.1 또한 그 이하이다. pH 값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경구 섭취 가능한 일반적인 음료의 pH 값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2.3 이상, 2.9 이상, 또는, 3.0 이상일 수 있다. 용기 포장 음료의 pH 값이 낮을 수록, 음료에 포함된 비스아쿠론 양의 감소 속도 및 감소량이 커진다.
용기 포장 음료의 pH 값은, 용기 포장 음료에 배합하는 산미료(하기)의 양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pH 값은 제품 온도 20℃에서 측정된 값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기 포장 음료의 제조는, 비스아쿠론과 물을 음료 원료로 혼합하고, 그 후, 가열 살균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비스아쿠론은 상기 식물 원료로부터 추출 또는 분리/정제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식물 원료의 추출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용기 포장 음료에는, 소정량의 비스아쿠론을 포함하는 식물 원료의 추출물을 배합할 수 있다.
제조 공정에 따른 비스아쿠론의 배합양은, 제조 완료일에 용기 포장 음료가 비스아쿠론을 0.46 mg 이상 함유한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조 공정(구체적으로 가열 살균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분해되는 비스아쿠론 양(또는 "제조 공정에 따른 비스아쿠론의 잔존율(%)")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조 공정에 있어서 최소 한도의 비스아쿠론의 배합양은, 하기의 식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에서, 제조 공정에 따른 비스아쿠론의 잔존율(%)은, 하기의 식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예를 들면, 제조 공정에 따른 비스아쿠론의 잔존률이 87.6%인 경우, 제조 공정에 따른 비스아쿠론의 배합량은, 0.46(mg)×100/87.6(%)=0.53(mg) 이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열 살균처리 공정은, 용기 포장 음료의 제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비스아쿠론과 물과 음료 원료를 혼합하여, 수득한 음료 조성물을 용기에 충전한 후에 가열 살균처리를 수행하여도 좋고, 해당 음료 조성물을 가열 살균한 후에 용기에 충전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열 살균처리 공정은, 해당 음료 조성물을 제품 온도 70~100℃에서, 0.1~600 초간, 바람직하게는 제품 온도 80~100℃에서, 0.1~100 초간 처리하는 것으로부터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용기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PET)제 용기, 소위 PET 병 또는, 금속기 용기 등을 들 수 있다. 용기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용기의 용량은 용기 포장 음료의 용량에 대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50 ml~500 ml(전형적으로는 50 ml, 100 ml, 150 ml, 200 ml, 250 ml, 300 ml, 350 ml, 400 ml, 450 ml 또는 500 ml), 바람직하게는 100 ml~200 ml로 할 수 있다. 음료 조성물을 용기에 수용하는 수단은 임의로 한다.
울금 색소는, 울금의 근경 부분으로부터, 따뜻한 에탄올로, 열을 가한 유지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로, 또는 실온~열을 가한 헥산 또는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수득한 것으로서, 이렇게 하여 수득된 울금 색소는 주로 커큐민(curcumin)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울금 색소의 양은 1 회의 경구 섭취량 당, 커큐민이 3~5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5~40 mg이 되는 양의 울금 색소가 배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음료원료"에는, 음식품이나 의약품 등의 최종적인 형태에 있어서 허용되는 성분으로서, 경구 섭취 가능한 성분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감미료, 산미료, 비타민류, 미네랄류, 증점제, 유화제,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색소, 향료, 보존료, 방부제, 가공제 등을 첨가하여도 좋다.
감미료로서는, 포도당, 과당, 자당, 유당, 맥아당, 팔라티노오스(palatinose), 트레할로오스(trehalose), 자일로스(xylose) 등의 단당이나 이당, 이성화당(포도당 과당액당, 과당포도당액당, 사당혼합이성화당 등), 당 알코올(에리트리톨(erythritol), 크실리톨(xylitol), 락티톨(lactitol), 파라치니트(parachinit), 소르비톨(sorbitol), 환원물엿(reduced sugar syrup) 등), 추가로, 고감미도 감미료(수크랄로스(Sucralose), 아세설팜칼륨(Acesulfame Potassium), 소마틴(thaumatin), 스티비아(stevia), 아스파탐(aspartame) 등) 등을 들 수 있다.
산미료로서는, 예를 들어, 구연산, 사과산(Mal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초산, 피드 산(phytic acid), 유산(lact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글루콘 산(gluconic acid) 등의 유기산, 인산(phosphoric acid) 등의 무기산, 또는 이들의 나트륨 염, 칼슘 염 또는 칼륨 염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 류로서는,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E, 니아신(niacin), 이노시톨(inositol) 등을 들 수 있다.
미네랄 류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아연, 철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로서는, 카라게넌(carrageenan), 젤란검(gellan gum), 크산탄 검(xanthan gum), 아라비아 검, 타마린드 검(tamarind gum), 구아 검(guar gum), 로카스 콩 검(locust bean gum), 카라야 검(karaya gum), 한천, 젤라틴(gelatine), 펙틴(pectin), 대두 다당류, 카복시메틸셀룰로스 (carboxymethyl cellulose)(CMC)등을 들 수 있다.
유화제로서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glycerin fatty acid ester),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sorbitan fatty acid ester), 레시틴(lecithin), 식물성 스테롤(sterol), 사포닌(saponin)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비타민 C, 토코페롤(tocopherol)(비타민 E), 효소 처리 루틴(rutin), 카테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타 성분은, 각각 당업자가 음료 등의 액상 조성물에 통상 채용하는 범위 내의 양에서 임의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 포장 음료에는, 숙취의 증상 억제에 유효한 공지의 성분(예를 들면, 간장 가수분해물, 알라닌(alani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 포장 음료는, 알코올 섭취 후 기상 시의 다양한 숙취 증상(특히, 두중감(頭重感), 구역질, 권태감, 위의 불쾌 증상)의 경감 작용을 가지는 음료 또는 액상 의약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에서 제조되는 비스아쿠론 함유 용기 포장 음료는, 제조 완료일에, pH가 3.2 미만의 범위인, 동시에, 0.46 mg 이상의 비스아쿠론을 함유한다. 해당 용기 포장 음료는 상온(또는 20℃~25℃) 하에서, 제조 완료일로부터 반년 가깝게 보존/보관되어, 함유하는 비스아쿠론 양의 감쇠가 일어난다고 해도, 그동안 적어도 0.15 mg의 비스아쿠론 함량은 유지하여 얻는다. 하기 실시예에서 상술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0.15 mg의 비스아쿠론을 섭취하는 것으로부터, 숙취 증상의 개선을 실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용기 포장 음료는, 비스아쿠론에서 유래하는 숙취 증상의 개선 효과를 장기에 걸쳐서 보관 유지하여 얻는다.
< 실시예 >
I.혈중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스아쿠론(Bisacurone)의 효과
비스아쿠론의 혈중 에탄올 농도에 대한 효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1.실험 동물
각 실험 대상물에 대해, 7 주령의 수컷 SD 랫트(7 마리)를 사용하였다.
2.실험 대상물
비스아쿠론: 울금(Curcuma longa)의 근경 부분의 근경 부분을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수득한 물 추출액을 메탄올로서 재추출하여, 수득한 메탄올 추출액으로부터 분취 컬럼을 이용하여 정제한 것을 사용하였다.
비스아쿠론은, 0.5w/v% 메틸 셀룰로오스(와코 순약공업)에 용해하였다.
3.실험 방법
실험 동물의 입하 때로부터 본 사육 개시 전일까지 1 주간, 예비 사육을 수행하여 순화하였다.
실험 대상물은 위 존데를 사용하여 하기 투여량이 되도록 강제 위내 투여하였다. 에탄올은 하기 투여량으로 하기 위해, 동시에 같은 경로로 투여하였다.
덱스트린(대조군): 덱스트린 2010 mg/kg
비스아쿠론: 비스아쿠론 250 mg/kg+덱스트린 1760 mg/kg
에탄올: 2 g/kg
에탄올 투여 후, 10, 30, 60, 120, 180, 240 분 시점에 꼬리 정맥으로부터 헤파린 가채혈을 수행하고, F-킷트 에탄올(J.K.인터네셔널)을 제조원의 지시서에 따라, 각 시점의 혈중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4.실험 결과
결과를 도1에 나타낸다. 각 결과는 각 시점의 혈중 농도-시간곡선하면적(AUC)의 합계를 각각 나타낸다. 비스아쿠론을 투여하는 것으로부터, 혈중 에탄올 농도를 저감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II.혈중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스아쿠론 및 커큐민의 효과
비스아쿠론 및 커큐민의 혈중 에탄올 농도에 대한 효과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실험하였다.
1.실험 동물
각 실험 대상물에 대해, 7 주령의 수컷 SD 랫트(8 마리)를 사용하였다.
2.실험 대상물
대조군(control): 덱스트린(dextrin)(마츠타니 화학공업 주식회사)
커큐민: 터머릭 컬러(turmeric color) HJK (이나바타 향료 주식회사)
비스아쿠론: 상기 "I."의 "2.실험 대상물"에 기재된 것과 같은 것을 사용하였다.
커큐민 및 비스아쿠론은, 0.5w/v% 메틸 셀룰로오스(와코 순약공업)에 용해하였다.
3.실험 방법
상기 "I."의 "3.실험 방법"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형태로, 이하의 실험 대상물을 투여하였다.
에탄올은 하기 투여량이 되도록, 동시에 같은 경로로 투여하였다.
커큐민 만: 125 mg/kg
커큐민+비스아쿠론: 커큐민125 mg/kg+비스아쿠론20 mg/kg
에탄올: 2 g/kg
에탄올 투여 후, 10, 30, 60, 120, 180, 240 분 시점에 꼬리 정맥으로부터 헤파린 가채혈을 수행하고, F-킷트 에탄올(J.K.인터네셔널)을 제조원의 지시서에 따라, 각 시점의 혈중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4.실험 결과
결과를 도2에 나타낸다. 각 결과는 각 시점의 혈중 농도-시간곡선하면적(AUC)의 합계를 각각 나타낸다. 커큐민을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보다도, 커큐민 및 비스아쿠론의 혼합물을 투여하는 것으로부터, 혈중 에탄올 농도를 더욱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III.숙취 증상에 대한 효과
비스아쿠론의 숙취 증상에 대한 효과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실험하였다.
1.실험 음료
비스아쿠론 함유 실험 음료(실시예 A)는, 물 이외의 성분(분말 원료)를 혼합하고,그런 다음, 물을 첨가 용해하여 100 mL의 수용액으로 하여, 93℃에서 가열한 것을 금속캔에 온 포장(hot pack)하여 제작하였다. 비교예 a는 온 포장한 후, 추가로 40℃에서 1주간 보관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A와 동일한 양상으로 제작하였다. 각각의 실험 음료의 pH 값은 3.1로 하였다. 비스아쿠론은 산성 수용액 중에, 40℃에서 보관하는 것으로서 분해가 촉진되어, 실험 음료 중의 비스아쿠론을 소실시킬 수 있다.
울금 색소는, 울금(Curcuma longa)의 근경 부분을 아세톤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감압하여 아세톤을 휘발시키는 것으로부터 수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울금 색소에는 30 중량%의 커큐민이 함유되어, 각각의 실험 음료 중에는 커큐민이 30 mg 포함되었다.
비스아쿠론은 울금 추출물의 형태를 사용하였다. 즉, 비스아쿠론을 소정량 함유하는 울금 추출물을 각각의 실험 음료 중에 배합하였다. 울금 추출물은 울금(Curcuma longa)의 근경 부분의 근경 부분을 물을 이용하여 추출해 수득한 것이다. 각 실험 음료 중의 비스아쿠론의 양은, 각 실험 음료를 초산 에틸과 혼합하여, 원심분리해서 수득된 상등액으로부터 초산 에틸을 감압류거(減壓留去)한 후, 아세토니트릴에 용해한 액을 분석 시료로 하여,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가하는 것으로부터 구하였다. HPLC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칼럼: Thermo ODS HYPERSIL 250 mmxΦ4.6 mm
·이동상: 65%아세토니트릴(20분)⇒80%아세토니트릴(5 분)⇒65%아세토니트릴(10 분)
·유량: 0.7 mL/min
·온도: 40℃
·검출 파장: 242 nm
실시예 A 및 비교예 a는 이하의 조성을 가진다. 비스아쿠론은 실시예 A에는 0.15 mg, 비교예 a에는 비스아쿠론이 검출되지 않았다.
배합량(g)
성분 실시예 A 비교예 a
비스아쿠론 0.00015 0
울금 색소 0.1 0.1
비타민 C 0.2 0.2
비타민 E 0.01 0.01
비타민 B6 0.001 0.001
니아신 0.01 0.01
과당포도당액당 6 6
구연산 0.3 0.3
덱스트린 0.4 0.4
증점다당류 0.05 0.05
수크로오즈 0.006 0.006
향료 0.1 0.1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2.실험 대상자
실험 대상자는, 알코올 음료를 마실 수 있는 20~65세의 남녀로부터 선발한 13 명으로 하였다. 알코올 음료를 마실 수 없는 사람(자기신고), 통원 중인 사람, 복약 중인 사람, 신장·간장질환의 질병이 있는 사람, 각종 과민증인 사람은 실험 대상자로부터 제외하였다.
3.실험 방법
각 실험 음료에 대하여 아래의 수순에 따라 숙취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다음의 내용의 실험은 1 주간을 간격으로 하여 2회 실시하였다.
실험 전일에 상기 실시예 A 또는 비교예 a를 섭취한 후, 2 시간에 걸쳐서 식사를 하면서 음주를 하였다. 개인에 따라 주량대로 식사의 메뉴 및 양을 관리하여, 2 회의 실험에서 거의 같은 주량 및 식사조건이 되도록 하였다.
음주 후에 취침하고, 7 시간을 목표로 하여 수면을 하였다. 음주 후 섭취할 수 있는 물의 양은 200 ml까지로 하였다. 기상 후의 숙취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하의 사항은 금지하였다.
숙취 개선 효과가 있는 의약, 식품의 섭취
4.실험 스케쥴
실험 대상자 5 명에 대하여, 실시예 A를 실험 음료로 하여 섭취하는 상기 실험(1 번째의 실험)을 수행하고, 다음에는 비교예 a에 대하여 상기 실험(2 번째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실험 대상자 중 남은 8 명에 대해서 비교예 a를 실험 음료로 하여 섭취하는 상기 실험(1 번째의 실험)을 수행하고, 다음에 실시예 A에 대하여 상기 실험(2 번째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5.설문조사에 따른 평가 항목
설문 조사는, 각 실험 대상자에게, 두통, 두중감, 구역질, 권태감, 알코올이 남은 느낌, 위의 불쾌 증상의 6 항목에 대해서 VAS 법에 따른 자기평가결과를 기입하게 하였다.
VAS(Visual Analog Scale)법이라는 것은, 자각적 증상의 정도를 산측화하여 평가하는 검사이다. 직선상에, 생각할 수 있는 최고의 상태를 우단, 최저를 좌단으로 하고 그 선분 상에 자신의 상태의 정도를 표시하게 하는 방법이다. 주관적인 평가를 위해서 임상 의학에서도 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동일한 피실험자간의 투여 전후 상태의 비교 등에 사용된다.
6.실험 결과
각 실험 음료를 섭취하는 실험에서의 각각의 평가 항목에 대해서, 피험자 전원의 VAS 기입값을 집계하여 평균값을 얻었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비스아쿠론 0.15 mg 및 커큐민 30 mg을 함유하는 실시예 A에는, 비스아쿠론을 포함하지 않고 커큐민 30 mg을 함유하는 비교예 a와 비교하여, 숙취 증상인 두통, 두중감, 구역질, 권태감, 알코올이 남은 느낌, 위의 불쾌 증상의 모든 항목에 대하여 억제가 나타나, 특히 "두중감"이나 "위의 불쾌 증상"을 억제하는 작용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적어도 0.15 mg의 비스아쿠론을 커큐민과 섭취하는 것에 의해서, 유효성분으로서 커큐민 만을 섭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높은 숙취 증상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이 명백하게 되었다.
IV.보존 실험(1)
음료의 pH 값에 의한 비스아쿠론의 보존 안정성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에는 이하의 조성을 가지는 실시예 1-5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pH2.9 pH3.1 pH3.5 pH3.7 pH3.9
성분 배합량(g)
울금 색소 0.1 0.1 0.1 0.1 0.1
비스아쿠론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비타민 C 0.2 0.2 0.2 0.2 0.2
비타민 E 0.01 0.01 0.01 0.01 0.01
비타민 B6 0.001 0.001 0.001 0.001 0.001
니아신 0.01 0.01 0.01 0.01 0.01
과당포도당액당 4 4 4 4 4
구연산 0.4 0.3 0.3 0.3 0.3
구연산3Na 0 0 0.05 0.1 0.2
덱스트린 0.4 0.4 0.4 0.4 0.4
증점다당류 0.05 0.05 0.05 0.05 0.05
수크로오즈 0.008 0.008 0.008 0.008 0.008
향료 0.1 0.1 0.1 0.1 0.1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울금 색소는, 울금(Curcuma longa)의 근경 부분을 아세톤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감압하여 아세톤을 휘발시키는 것으로부터 수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울금 색소에는 30 중량%의 커큐민이 함유된다.
비스아쿠론은 울금 추출물의 형태를 사용하였다. 울금 추출물은 울금(Curcuma longa)의 근경 부분의 근경 부분을 물을 이용하여 추출해 수득한 것이다. 울금 추출물 중의 비스아쿠론의 양은, 상기 HPLC에 가한 것으로부터 구하였다.
각 음료의 pH 는 구연산 및/또는 구연산 3 나트륨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표 중의 pH 값은 온도 20℃에서 측정된 값을 가리킨다.
각 음료는 물 이외의 성분(분말 원료)를 혼합하고, 그런 다음, 물에 첨가 용해하여, 액체 원료를 투입한 100 mL의 수용액으로 하여, 93℃에서 가열한 것을 금속캔에 온포장하여 제작하였다. 각 음료에 대해 각각 4병 제작하였다.
각 실험 음료를, 보존 전, 또는, 40℃의 조건 하에서, 7일 간, 14일 간, 및 30 일 간 보존한 후, 각 음료중의 비스아쿠론의 양은, 음료를 초산 에틸과 혼합하여, 원심분리하고 얻은 상등액으로부터 초산 에틸을 감압류거한 후, 아세토니트릴에 용해한 액을 분석 시약으로하여, 상기 울금 추출물 중의 비스아쿠론 양의 측정 방법과 동일한 양상으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93℃ 가열 전 시료의 비스아쿠론 함량을 100%로 한 시간의, 각 시료의 비스아쿠론 함량을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음료의 pH 값이 높아지는 것에 따라, 음료 중의 비스아쿠론 양의 감쇠 속도(그래프 기울기)가 완만하게 되는 것이 나타났다.
V.보존 실험(2)
 pH3.1으로 하는 음료 중에 배합된 비스아쿠론의 보존 안정성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에는, 비스아쿠론의 함량이 0.46 mg인 점을 쫓아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조성을 가지는 실시예 6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2와 동일 양상으로 음료를 제작하였다(같은 조성의 것을 7 병 제작하였다).
각 실험 음료를, 보존 전, 또는, 10℃, 상온(및 20℃~25℃), 및 40℃ 조건의 조건 하에서, 14일 동안 및 28일 동안 보존한 다음, 각 음료 중의 비스아쿠론의 양을 상기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음료의 보존 온도가 높아지는 것에 따라, 음료 중의 비스아쿠론 양의 감쇠 속도(그래프 기울기)가 커지는 것이 나타났다.
VI.보존 실험(3)
pH3.1으로 하는 음료 중에 배합된 비스아쿠론의 보존 안정성에 대해서 이하와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에는, 비스아쿠론의 함량이 0.46 mg인 점을 따라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성을 가지는 실시예 7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음료를 제작하였다(동일한 조성의 것을 5 병 제작하였다).
각 실험 음료를, 보존 전, 또는, 상온(및 20~25℃) 조건의 조건 하에서, 14일간, 28일간, 40일간, 및 180일간 보존한 후, 각 음료 중의 비스아쿠론의 양을 상기 HPLC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의 실험 음료는, 상온 조건 하에서 반년 보존되어, 비스아쿠론 양이 감쇠된다해도, 숙취 증상억제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0.15 mg의 비스아쿠론 양을 유지하는 것이 나타났다.
VII.결론
비스아쿠론은 단독으로 혈중 에탄올 농도를 저하시키는 것, 또는, 1 회의 경구 섭취 당, 0.15 mg의 양으로 숙취 개선 효과를 실감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pH3.1를 가지고, 0.46 mg의 비스아쿠론을 함유하는 용기 포장 음료는, 상온 조건하에서 반년 가깝게 보존된다고 해도, 상기 유효량인 것의 0.15 mg의 비스아쿠론 함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1 음료 당 0.46 mg 이상이 되는 양의 비스아쿠론을 배합하여, pH를 3.2 미만의 범위로 하는 것으로부터, 일반적인 제품이 처리되어 얻는 상온 조건 하에 있어서도, 비스아쿠론의 유효성을 오래 보존할 수 있는 비스아쿠론 함유 용기 포장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Claims (1)

  1. pH가 3.2 미만의 범위인, 비스아쿠론(Bisacurone) 함유 용기 포장 음료의 제조방법으로서, 1 음료 당 0.46 mg 이상이 되는 양의 비스아쿠론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140130070A 2013-09-30 2014-09-29 울금 중의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KR101584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05642 2013-09-30
JP2013205642A JP5543652B1 (ja) 2013-09-30 2013-09-30 ウコン中の有用成分を含有する飲料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646A Division KR20150122104A (ko) 2013-09-30 2015-10-13 울금 중의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612A true KR20150037612A (ko) 2015-04-08
KR101584696B1 KR101584696B1 (ko) 2016-01-21

Family

ID=514095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070A KR101584696B1 (ko) 2013-09-30 2014-09-29 울금 중의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KR1020150142646A KR20150122104A (ko) 2013-09-30 2015-10-13 울금 중의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646A KR20150122104A (ko) 2013-09-30 2015-10-13 울금 중의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543652B1 (ko)
KR (2) KR1015846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3526B2 (ja) * 2018-01-29 2019-02-20 ハウスウェルネスフーズ株式会社 ビサクロン抽出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0698A (ja) * 2010-05-31 2011-12-15 House Foods Corp 容器詰ウコン飲料
JP2011250709A (ja) * 2010-05-31 2011-12-15 House Foods Corp 容器詰ウコン飲料
CN103100028A (zh) * 2011-11-14 2013-05-15 甘肃创兴生物工程有限责任公司 有利于降低酒精性肝损伤危害的软胶囊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2056A (ja) * 2004-07-08 2006-01-26 I M B Kk 酒酔い防止剤
JP5764288B2 (ja) * 2009-09-24 2015-08-19 ハウス食品グループ本社株式会社 ウコン抽出物とガジュツ抽出物とを含有する組成物
JP5415360B2 (ja) * 2010-05-31 2014-02-12 ハウス食品グループ本社株式会社 容器詰ウコン飲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0698A (ja) * 2010-05-31 2011-12-15 House Foods Corp 容器詰ウコン飲料
JP2011250709A (ja) * 2010-05-31 2011-12-15 House Foods Corp 容器詰ウコン飲料
CN103100028A (zh) * 2011-11-14 2013-05-15 甘肃创兴生物工程有限责任公司 有利于降低酒精性肝损伤危害的软胶囊及其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sacurone inhibits adhesion of inflammatory monocytes or cancer cells to endothelial cells through down-regulation of VCAM-1 express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65953A (ja) 2015-04-13
KR20150122104A (ko) 2015-10-30
KR101584696B1 (ko) 2016-01-21
JP5543652B1 (ja)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080B1 (ko) 울금 추출물과 자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Nadeem et al. Nutritional and medicinal aspects of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L.) A review
KR101548598B1 (ko) 울금 중의 유용성분 및 울금 색소를 함유하는 액상 조성물
JP6773361B2 (ja) 気分状態改善剤
JP2019019143A (ja) Vcam−1発現抑制剤
KR101559130B1 (ko)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543655B1 (ja) ウコン中の有用成分を安定的に含有する飲料
KR101673264B1 (ko) 우콘 중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저수분계 조성물
JP5543656B1 (ja) ウコン中の有用成分を含有する組成物
JP5759047B1 (ja) ウコン中の有用成分を含有する低水分系組成物
KR101584696B1 (ko) 울금 중의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JP7452777B2 (ja) 生活の質改善又は維持用組成物
JP6316565B2 (ja) ウコンエキスと有機酸塩を含む組成物
JP2012051811A (ja) 免疫増強剤
JP7080880B2 (ja)
KR20170055366A (ko)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39623B1 (ko) 간세포 보호용 엉겅퀴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265919A (zh) 含有姜黄中的有用成分的饮料的制造方法
JP6261263B2 (ja) ウコンエキス含有飲料
KR20190035290A (ko) 콩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9995A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