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6939A - 배리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리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6939A
KR20150036939A KR20130116005A KR20130116005A KR20150036939A KR 20150036939 A KR20150036939 A KR 20150036939A KR 20130116005 A KR20130116005 A KR 20130116005A KR 20130116005 A KR20130116005 A KR 20130116005A KR 20150036939 A KR20150036939 A KR 20150036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film
substrate
protective film
barri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6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3441B1 (ko
Inventor
이일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6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441B1/ko
Publication of KR20150036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필름은 제1 보호필름, 상기 제1 보호필름 상에 위치하며,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된 배리어층들, 상기 배리어층 상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접착제, 및 상기 배리어층과 상기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보호필름과 합착된 제2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리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BARRIER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원장 기판에 배리어 필름을 부착하기 용이한 배리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RT : 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의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방출표시장치(FED : 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DP : 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유기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하게 하는 자발광형 표시장치이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에서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아 경량박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저온 제작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1ms 이하로서 고속의 응답속도를 가지며, 낮은 소비 전력, 넓은 시야각 및 높은 콘트라스트(Contrast) 등의 특성을 나타낸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유기물로 이루어진 발광층을 포함하고 있어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공급받는 정공과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받은 전자가 발광층 내에서 결합하여 정공-전자쌍인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다시 여기자가 바닥상태로 돌아오면서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하게 된다.
최근 들어,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내열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무거운 유리기판을 대체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특히 노트북, PDA,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유리기판은 무겁고 잘 깨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무기질 기판을 가볍고 연속공정(roll-to-roll process)이 가능하며 유연성이 있는 플렉서블 기판(flexible substrate)으로 대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플렉서블 기판을 이용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어 지지 기판인 원장 기판(mother glass) 상에 플렉서블 기판이 형성된 후, 플렉서블 기판 상에 유기발광소자가 각각 구비된 복수의 셀들이 형성된다. 이후, 각각의 셀들에 형성된 유기발광소자를 밀봉하기 위해 배리어 필름이 각각 부착된다.
도 1은 종래 배리어 필름의 부착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장 기판(MG) 상에 복수의 셀들(CA)이 형성된다. 복수의 셀들(CA)은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DA)와 구동신호가 인가되는 패드부(PA)를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셀들(CA)의 표시부(DA)에 배리어 필름(film)을 부착하게 되는데, 이때, 패드부(PA)는 구동IC가 부착되야 하기 때문에 배리어 필름(film)이 부착될 수 없는 부착 금지영역(FNA)이 된다. 따라서, 복수의 셀들(CA)의 표시부(DA)에 각각 배리어 필름(film)을 개별적으로 하나씩 부착한다. 이어 복수의 셀들(CA)을 커팅(cutting)하여 표시장치가 제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배리어 필름의 부착 방법은 복수의 셀들에 개별적으로 배리어 필름을 부착해야 함으로써, 공정 시간이 오래 걸리고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리어 필름의 부착 시 표시부와 배리어 필름의 얼라인이 틀어져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원장 기판에 배리어 필름을 부착하기 용이한 배리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필름은 제1 보호필름, 상기 제1 보호필름 상에 위치하며,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된 배리어층들, 상기 배리어층 상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접착제, 및 상기 배리어층과 상기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보호필름과 합착된 제2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배리어층들의 전체 표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리어층들 사이에 위치하는 더미패턴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배리어층들과 상기 접착제의 두께의 합에 해당하는 두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원장 기판 상에 각각 유기발광소자를 형성하여 복수의 셀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원장 기판 상에 제1 보호필름과 제2 보호필름 사이에 개재된 배리어층과 접착제를 포함하는 배리어 필름을 정렬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와 인접한 상기 제2 보호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 원장기판과 상기 배리어 필름을 합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복수의 셀들을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장 기판과 상기 배리어 필름은 각각 얼라인 키들이 위치하여, 상기 얼라인 키들을 통해 상기 원장 기판과 상기 배리어 필름을 합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셀들은 표시부와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리어층들은 상기 패드부를 제외한 상기 표시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셀들을 커팅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셀들이 커팅됨과 동시에 상기 배리어 필름도 셀 단위로 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리어 필름은 하나의 원장 기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리어 필름을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원장 기판과 대응하는 크기의 배리어 필름에 스트라이프 형상의 배리어층과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한번의 라미네이션 공정으로 원장 기판과 배리어 필름을 간단하게 접착하여 공정 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원장 기판과 배리어 필름에 각각 얼라인 키를 형성하여 얼라인하고 나중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배리어 필름을 절삭함으로써, 배리어 필름과 셀의 얼라인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배리어 필름의 부착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필름을 나타낸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B-B'에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장치(100)는 지지 기판(105)에 부착된 연성 기판(115), 연성 기판(115) 상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TFT), 박막트랜지스터(TFT)에 연결된 유기발광소자(OLED), 및 유기발광소자(OLED)를 밀봉하는 배리어 필름(190)을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 지지 기판(105)은 연성 기판 상에 소자를 형성하기 위해 연성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으로 글라스(glass)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지지 기판(105) 상에 연성 기판(115)이 감압접착제(110)를 통해 접착된다. 연성 기판(115)은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가진 기판으로 폴리이미드(PI)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연성 기판(115) 상에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캐패시터(Cst)가 위치한다. 박막트랜지스터(TFT)는 반도체층(121), 게이트 전극(124) 및 소스/드레인 전극(128, 127)을 포함하며, 반도체층(121)과 게이트 전극(124)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122)이 위치하고, 게이트 전극(124)과 소스/드레인 전극(128, 127) 사이에 층간 절연막(126)이 위치한다. 캐패시터(Cst)는 게이트 절연막(122)을 사이에 두고 캐패시터 하부전극(123)과 캐패시터 상부전극(125)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게이트 전극(124)이 반도체층(121)의 상부에 위치하는 탑-게이트(Top-Gate)형 박막트랜지스터를 예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게이트 전극(124)이 반도체층(121) 하부에 위치하는 바텀-게이트(Bottom-Gate)형 박막트랜지스터도 적용가능하다.
한편,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캐패시터(Cst)가 형성된 연성 기판(115) 상에 오버코트층(129)이 위치한다. 오버코트층(129)은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캐패시터(Cst)를 보호하며 박막트랜지스터(TFT)에 의한 단차를 평탄화한다. 오버코트층(129) 상에 제1 전극(130)이 위치한다. 제1 전극(130)은 애노드 전극으로,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CO(Indium Cerium Oxide) 또는 ZnO(Zinc Oxide)와 같은 일함수가 높고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도전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130)은 오버코트층(129)을 관통하여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127)을 노출하는 비어홀을 통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127)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전극(130) 상에 뱅크층(131)이 위치한다. 뱅크층(131)은 제1 전극(130)의 일부를 노출하여 화소를 정의하는 화소정의막일 수 있다. 뱅크층(131) 및 노출된 제1 전극(130) 상에 유기발광층(135)이 위치한다. 유기발광층(135)은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빛을 발광하는 층으로, 유기발광층(135)과 제1 전극(130) 사이에 정공주입층 또는 정공수송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기발광층(135) 상에 전자수송층 또는 전자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층(135)이 형성된 연성 기판(115) 상에 제2 전극(137)이 위치한다. 제2 전극(137)은 캐소드 전극으로 일함수가 낮은 마그네슘(Mg), 칼슘(Ca), 알루미늄(Al), 은(Ag)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유기발광층(135)으로부터 발광하는 빛이 연성 기판(115) 방향으로 방출되는 배면발광형과, 유기발광층(135)으로부터 발광하는 빛이 제2 전극(137) 방향으로 방출되는 전면발광형일 수 있다. 여기서, 배면발광형 표시장치일 경우, 제1 전극(130)은 빛을 투과하도록 이루어지고, 제2 전극(137)은 빛을 반사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두께로 이루어진다. 반면, 전면발광형 표시장치일 경우, 제1 전극(130)은 하부에 알루미늄(Al), 은(Ag) 또는 니켈(Ni)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전극(137)은 빛이 투과될 수 있을 정도로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Å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극(137)이 형성된 연성 기판(115) 상에 제2 전극(137)의 상부를 덮는 캡핑층(capping layer, 140)이 위치한다. 캡핑층(140)은 하부의 소자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투명한 고분자로 이루어진다. 캡핑층(140)이 형성된 연성 기판(115) 상에 유기발광소자(OLED)를 덮는 제1 보호막(150)이 위치한다. 제1 보호막(150)은 하부의 소자들을 보호하고 유기발광층(135)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보호막(150)은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및 산화알루미늄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단층 또는 이들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보호막(150) 상에 유기절연막(160)이 위치한다. 유기절연막(160)은 유기발광층(135)의 광이 방출되어 화상이 구현되는 영역을 덮으며, 발광층(135)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투과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기절연막(160)은 수분이나 산소의 차단 효과가 우수한 에폭시계 모노머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에폭시계, 실록산계, 아크릴계, 우레탄계 모노머 및 이들의 조합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기절연막(160)은 하부의 제1 보호막(150) 또는 제2 전극(137) 등의 무기막에서 이물에 의한 갭(gap)이 발생하였을 경우, 액상으로 형성되는 유기절연막(160)이 갭을 채우게 되어 제2 보호막(155)이 균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표시장치(100)의 발광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하기 때문에, 표시장치(100)의 외곽으로부터 침투되는 수분과 산소를 차단하는 댐과 같은 역할을 한다.
유기절연막(160)과 제1 보호막(150) 상에 유기절연막(160)과 제1 보호막(150)을 덮는 제2 보호막(155)이 위치한다. 제2 보호막(155)은 전술한 제1 보호막(15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하부의 소자들을 보호하며, 외부로부터 산소 및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보호막(155)이 형성된 연성 기판(115) 상에 배리어 필름(190)이 접착제(180)를 통해 합착된다. 여기서, 접착제(180)는 유기발광소자(OLED)가 형성된 연성 기판(115)과 배리어 필름(190)을 접착하며, 내부의 소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소자를 모두 덮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제(180)는 접착 특성이 우수하며, 빛의 투과율이 우수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180)는 열경화성 또는 광경화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에폭시계, 아크릴계, 이미드계 또는 실레인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리어 필름(190) 상에 편광판(200)이 위치한다. 편광판(200)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반사되는 반사광을 줄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편광판(200) 상에 UV수지층(210)이 위치하고, UV수지층(210) 상에 터치 필름(220)이 위치한다. 터치 필름(220)은 사용자의 터치(touch)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소자가 형성된 필름으로, 본 발명의 표시장치가 터치 표시장치일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터치 필름(220) 상에 커버 기판(230)이 위치하여 본 발명의 표시장치(100)를 구성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배리어 필름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필름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B-B'에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필름(250)은 제1 보호필름(300), 상기 제1 보호필름(300) 상에 위치하며,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된 배리어층들(310), 상기 배리어층(310) 상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접착제(320), 및 상기 배리어층(310)과 상기 접착제(3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보호필름(300)과 합착된 제2 보호필름(330)을 포함한다. 제1 보호필름(300)과 제2 보호필름(330)은 이들 사이에 개재된 배리어층(310)과 접착제(3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투명한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 보호필름(300)과 제2 보호필름(330)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보호필름(300)과 제2 보호필름(330) 사이에 개재된 배리어층(310)은 유기발광소자를 밀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플렉서블한 투명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다. 배리어층(310)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리어층(310)은 제1 보호필름(300) 상에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배리어층(310)은 제1 보호필름(300) 상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라인들이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즉, 배리어층(310)은 라인 바이 라인(line by line)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착제(320)는 배리어층들(310) 상에 위치하며, 배리어층들(310)과 대응되도록 위치한다. 접착제(320)는 배리어층들(310)과 동일하게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라인 바이 라인으로 형성된다. 즉, 접착제(320)는 배리어층들(310)의 전체 표면에 위치한다. 접착제(320)는 접착 특성이 우수하며, 빛의 투과율이 우수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320)는 열경화성 또는 광경화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에폭시계, 아크릴계, 이미드계 또는 실레인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호필름(300)과 제2 보호필름(330) 사이에 배리어층(310)과 접착제(320)가 형성된 배리어 필름(250)이 구성된다. 여기서, 배리어 필름(250)의 일면, 예를 들어, 제1 보호필름(300) 또는 제2 보호필름(330)의 일면에 제1 얼라인 키(350)가 위치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1 보호필름(300) 또는 제2 보호필름(330)의 일면의 적어도 둘 이상의 가장자리에 제1 얼라인 키(350)가 위치한다. 제1 얼라인 키(350)는 추후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 원장 기판과 얼라인하기 위한 것으로, 십자형, 일자형, 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리어 필름(250)은 배리어층들(310) 사이에 위치하는 더미패턴(3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미패턴(315)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배리어층들(310)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보호필름(300)과 제2 보호필름(330) 사이의 갭(gap)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더미패턴(315)은 배리어층(310)들과 접착제(320)의 두께의 합에 해당하는 두께로 이루어져 배리어 필름(250)의 두께 편차를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더미패턴(315)은 제1 보호필름(300)과 제2 보호필름(330) 사이에 위치하여, 배리어 필름(250)의 두께 편차를 보상하고 제1 보호필름(300)과 제2 보호필름(330)의 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 지지 기판에 배리어 필름을 부착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는 지지 기판과 연성 기판을 모두 아울러 원장 기판으로 정의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유기발광소자가 각각 원장 기판(400)에 형성되어, 복수의 셀(410)들을 원장 기판(400) 상에 형성한다. 각각의 셀(410)들은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415)와 구동IC가 부착되는 패드부(4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장 기판(400)의 적어도 둘 이상의 모서리에는 제2 얼라인 키(420)가 구비된다. 제2 얼라인 키(420)는 앞에서 설명한 배리어 필름의 제1 얼라인 키와 얼라인(align)되기 위한 것으로 십자형, 일자형, 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어, 도 6b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배리어 필름(250)을 준비한다. 배리어 필름(250)은 제1 보호필름(300)과 제2 보호필름(330) 사이에 배리어층(310)과 접착제(320)가 형성된 것이다. 배리어 필름(250)의 적어도 둘 이상의 모서리에도 제1 얼라인 키(350)가 구비된다. 그리고, 배리어 필름(250)의 접착제(320)에 접한 제2 보호필름(330)을 박리하여, 다음 공정에서 원장 기판(400)과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도 6c를 참조하면, 원장 기판(400) 상에 배리어 필름(250)을 위치시킨 후, 배리어 필름(250)의 제1 얼라인 키(350)와 원장 기판(400)의 제2 얼라인 키(420)를 이용하여 원장 기판(400)과 배리어 필름(250)을 얼라인한다. 얼라인된 원장 기판(400)과 배리어 필름(250)을 라미네이션(lamination) 하여 접착시킨다. 이때, 배리어 필름(250)의 접착제(320)는 셀들(410)의 표시부(415)에 접착된다. 보다 자세하게, 도 6c에서 빗금으로 나타나는 부분이 접착제(320)와 배리어층(310)에 해당되는 것으로, 셀들(410)의 표시부(415)를 모두 덮고 원장 기판(400)의 장변과 나란한 라인(line) 형상으로 접착된다. 또한, 접착제(320)와 배리어층(310)은 셀들(410)의 패드부(417)에는 접착되지 않는다. 그리고, 원장 기판(400)과 배리어 필름(250)의 접착이 완료된 후 배리어층(310)에 인접한 제1 보호필름(300)을 박리하여 제거한다.
이어, 도 6d를 참조하면, 빗금으로 도시된 배리어층(310)은 접착제(320)를 통해 셀들(410)의 표시부(417)에 접착되어 있다. 다음, 복수의 셀(410)들을 분리하기 위한 커팅 공정이 수행된다. 커팅 공정은 레이저(laser)를 이용하여 원장 기판에 형성된 셀들(410)을 절삭하여 분리한다. 이때, 커팅 라인(CL)을 따라 원장 기판(400)에 조사된 레이저에 의해 셀들(410)을 절삭되고 이와 동시에 셀들(410)에 접착된 배리어 필름 즉, 배리어층(310)들도 함께 절삭된다. 따라서,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층(310)이 접착된 하나의 표시장치용 셀(410)이 제조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는 하나의 원장 기판과 하나의 배리어 필름을 접착하는 것을 개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하나의 원장 기판에 복수의 배리어 필름을 분할하여 접착할 수도 있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제조방법과 동일한 공정 및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셀(410)들이 형성된 원장 기판(400)이 준비된다. 원장 기판(400)의 적어도 둘 이상의 모서리에는 제2 얼라인 키(420)가 구비된다. 이어, 도 7b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두 매의 배리어 필름(252, 254)들을 준비한다. 배리어 필름(252, 254)들은 제1 보호필름(300)과 제2 보호필름(미도시) 사이에 배리어층(310)과 접착제(320)가 형성된 것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배리어 필름(252, 254)들의 적어도 둘 이상의 모서리에도 제1 얼라인 키(350)가 구비된다. 그리고, 배리어 필름(252, 254)들의 접착제(320)에 접한 제2 보호필름을 박리하여, 다음 공정에서 원장 기판(400)과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도 7c를 참조하면, 원장 기판(400) 상에 두 매의 배리어 필름(252, 254)을 위치시킨 후, 배리어 필름(252, 254)들에 각각 형성된 제1 얼라인 키(350)와 원장 기판(400)의 제2 얼라인 키(420)들를 이용하여 원장 기판(400)과 배리어 필름(252, 254)들을 얼라인한다. 그리고 얼라인된 원장 기판(400)과 배리어 필름(250)을 라미네이션(lamination) 하여 접착시킨다. 이때, 배리어 필름(250)들은 하나씩 순차적으로 라미네이션하여 접착되거나 동시에 라미네이션 될 수도 있다. 원장 기판(400)과 배리어 필름(250)의 접착이 완료된 후 배리어층(310)에 인접한 제1 보호필름(300)을 박리하여 제거한다.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셀(410)들을 커팅하여 표시장치용 셀(410)을 제조한다.
한편, 도 7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리어 필름은 3매의 배리어 필름(252, 254, 256)으로 분할되어 원장 기판(400)에 각각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도 7e를 참조하면, 총 4매의 배리어 필름(252, 254, 256, 258)으로 분할되어 원장 기판(400)에 각각 접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하나의 원장 기판에 복수 개로 분할된 배리어 필름을 접착함으로써, 셀의 사이즈가 작은 소형 모델들에도 배리어 필름을 접착하기 용이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원장 기판과 대응하는 크기의 배리어 필름 또는 분할된 배리어 필름에 스트라이프 형상의 배리어층과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한번 또는 적은 횟수의 라미네이션 공정으로 원장 기판과 배리어 필름을 간단하게 접착하여 공정 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원장 기판과 배리어 필름에 각각 얼라인 키를 형성하여 얼라인하고 나중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배리어 필름을 절삭함으로써, 배리어 필름과 셀의 얼라인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50 : 배리어 필름 300 : 제1 보호필름
310 : 배리어층 320 : 접착제
330 : 제2 보호필름 350 : 제1 얼라인 키
400 : 원장 기판 410 : 셀
415 : 표시부 417 : 패드부
420 : 제2 얼라인 키

Claims (8)

  1. 제1 보호필름;
    상기 제1 보호필름 상에 위치하며,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된 배리어층들;
    상기 배리어층 상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접착제; 및
    상기 배리어층과 상기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보호필름과 합착된 제2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리어 필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배리어층들의 전체 표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리어 필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들 사이에 위치하는 더미패턴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배리어층들과 상기 접착제의 두께의 합에 해당하는 두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리어 필름.
  4. 원장 기판 상에 각각 유기발광소자를 형성하여 복수의 셀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원장 기판 상에 제1 보호필름과 제2 보호필름 사이에 개재된 배리어층과 접착제를 포함하는 배리어 필름을 정렬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와 인접한 상기 제2 보호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 원장기판과 상기 배리어 필름을 합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복수의 셀들을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장 기판과 상기 배리어 필름은 각각 얼라인 키들이 위치하여, 상기 얼라인 키들을 통해 상기 원장 기판과 상기 배리어 필름을 합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들은 표시부와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리어층들은 상기 패드부를 제외한 상기 표시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들을 커팅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셀들이 커팅됨과 동시에 상기 배리어 필름도 셀 단위로 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필름은 하나의 원장 기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리어 필름을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30116005A 2013-09-30 2013-09-30 배리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53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005A KR102053441B1 (ko) 2013-09-30 2013-09-30 배리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005A KR102053441B1 (ko) 2013-09-30 2013-09-30 배리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939A true KR20150036939A (ko) 2015-04-08
KR102053441B1 KR102053441B1 (ko) 2019-12-06

Family

ID=53033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005A KR102053441B1 (ko) 2013-09-30 2013-09-30 배리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4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1454B2 (en) 2018-11-22 2021-08-24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peeling mother protectiv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1487A (ko) * 2007-03-05 2008-09-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20093A (ko) * 2008-05-19 2009-11-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KR20100000126A (ko) * 2008-06-24 2010-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3059927A (ja) * 2011-09-14 2013-04-04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Inc 水蒸気バリアーフィルム、水蒸気バリアー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20130072968A (ko) * 2011-12-22 2013-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1487A (ko) * 2007-03-05 2008-09-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20093A (ko) * 2008-05-19 2009-11-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KR20100000126A (ko) * 2008-06-24 2010-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3059927A (ja) * 2011-09-14 2013-04-04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Inc 水蒸気バリアーフィルム、水蒸気バリアー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20130072968A (ko) * 2011-12-22 2013-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1454B2 (en) 2018-11-22 2021-08-24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peeling mother protectiv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441B1 (ko) 201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3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0043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7010639B2 (ja) 表示装置
JP4104489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0079366B2 (en) Plastic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971201B1 (ko) 양면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작 방법
US20150115235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938671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343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81826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70495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102911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03297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438446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00656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28301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KR20160119374A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2017208254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105977A (ja) 表示装置
KR20150137186A (ko) 벤더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US9608233B2 (en) Display device
US9666428B2 (en) Display device
KR2016007353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70112416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제조방법
KR10212792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