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6914A - 포제 처리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제 처리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6914A
KR20150036914A KR20130115933A KR20130115933A KR20150036914A KR 20150036914 A KR20150036914 A KR 20150036914A KR 20130115933 A KR20130115933 A KR 20130115933A KR 20130115933 A KR20130115933 A KR 20130115933A KR 20150036914 A KR20150036914 A KR 20150036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accharide
green tea
ginseng
comparative exampl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5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1648B1 (ko
Inventor
이옥찬
김동현
황경환
염명훈
조준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30115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648B1/ko
Publication of KR20150036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6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4Aftersun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제 처리한 인삼 및 녹차의 추출물로부터 추출한 각각의 다당체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미백효과, 자외선 차단 효과 및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제 처리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whitening and UV protection containing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rocessed Panax ginseng and Green tea}
본 발명은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제 처리한 인삼 및 녹차의 추출물로부터 추출한 각각의 다당체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미백효과, 자외선 차단 효과 및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활동성, 혈관의 분포, 피부의 두께 및 카로티노이드 및 빌리루빈 등 인체 내외의 색소 함유 유무와 같은 여러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며 그 중 멜라노사이트에서 타이로시나제 등의 여러 효소가 작용하여 생성되는 멜라닌이라는 흑색 색소가 가장 중요하다. 멜라닌 색소의 형성에는 유전적 요인, 호르몬 분비 및 스트레스 등과 관련된 생리적 요인 및 자외선 조사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멜라닌은 피부에 존재하여 자외선 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멜라닌이 과잉 생산됨으로써 기미 또는 주근깨 등을 형성할 뿐 아니라 피부노화를 촉진하며 피부암 유발에도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미, 주근깨 또는 색소침착 등과 같은 피부색소 이상침착 증상과 자외선 노출 등에 의해 발생된 과도한 멜라닌색소 침착을 치료 또는 경감시켜주기 위해서 이전부터 아스코르빈산, 코지산, 알부틴, 하이드로퀴논, 글루타치온 또는 이들의 유도체, 타이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가진 물질들을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 사용하여 왔는데, 이들은 불충분한 미백효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 문제, 화장료에 배합시 제형 및 안정성 문제 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태양광에 포함된 자외선은 피부에 과도하게 조사되는 경우 홍반 형성이나 피부세포 내의 멜라닌색소 생성을 촉진시켜 기미나 잡티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표피에 분비되는 피지와 반응하여 과산화지질을 생성함으로써 피부트러블을 발생시키기도 할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피부암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자외선은 그 파장에 따라 UV-A(320~400nm), UV-B(280~320nm) 및 UV-C(200~280nm)로 나누며, 짧은 파장인 UV-C로 갈수록 에너지가 크지만 짧은 파장의 자외선은 대기 중에서 대부분 흡수되므로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자외선은 UV-A와 UV-B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 차단제는 일정한 피부 부위에 특수한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제제를 말하는데, 자외선의 차단효과는 자외선 차단지수(SPF; Sun Protection Factor)라는 단위를 사용하여 그 제품의 차단 정도를 표기한다. 자외선 차단지수는 FDA(미국식품의약품안전청)의 공식에 의해 계산되는데,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지 않은 상태에서의 UV-B의 최소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 MED)과 자외선 차단제를 바른 후의 UV-B의 최소홍반량의 비를 나타낸다. 즉, 자연 상태의 피부가 자외선을 차단하는 정도에 대한 배수로서, 자외선 차단지수의 수치가 높을수록 햇빛 차단의 효과는 좋지만, 피부에 대한 착용감이 나빠지고 부작용 또한 높아질 확률이 크다.
자외선 차단제는 크게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와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로 분류되고 있다. 자외선의 화학적 흡수를 메커니즘으로 하는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는 신남산계, 살리실산계 및 벤조페논계 등의 유기차단제가 잘 알려져 있으며, 자외선의 물리적 산란 및 차폐를 메커니즘으로 하는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과 같은 무기차단제가 잘 알려져 있다.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있으나 적용되는 파장범위가 좁고, 끈적이고 번들거려 사용감이 나쁘며 분자형태로 피부에 흡수될 수 있어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 자외선을 반사하고 산란시켜 투과 자외선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주로 초미립자 형태의 무기 화합물이 사용되며, 이러한 물질은 광굴절률이 매우 높은 특징이 있고, 유기물질 자외선 차단제에 비해 내열성이 우수하다. 피부자극은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지만 무거운 사용감과 백화 현상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어 미용적으로 적절하지 못하다(공개특허 제2003-0046103호).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와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와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 형태는 현재 자외선 차단용 제품에 대부분 적용되고 있는 방법이지만 전술한 근본적인 단점은 존재한다. 또한, 무기물이나 고분자 입자 표면에 무기차단제인 이산화티탄을 흡착시키거나 입자 내부에 유기차단제를 함유하는 형태는 피부안전도 측면에서는 보완을 하였으나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자외선 차단 효율이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이산화티탄이나 산화아연과 같은 무기물을 초미립자로 제조하여 기존 무기차단제의 단점을 보완하고 고효율의 차단효과를 갖는 형태가 있으나, 이는 백화현상을 완전히 감소시킬 수 없으며 입자 크기가 작아질수록 사용감이 나빠지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화학 물질을 재료로 한 유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그 부작용이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에, 인체에 전혀 무해한 천연 자외선 차단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천연 자외선 차단제에 관한 선행발명의 예를 보면, 천연의 히드록시안트라센 폴리글리코시드가 자외선 차단제로 보고되어 있으며 (Bader et al., Cosmetics&Toiletries, 96(10), pp67, 1981), 자외선 차단제로서의 커피유의 사용이 프랑스 특허 제2-479-688호에 보고되어 왔다. 이와 유사하게, 안트라퀴논 유도체를 함유하는 알로에, 프랑굴라, 센나 및 카스카라 천연 추출물도 역시 유용한 자외선 차단제로서 보고되어 있다(Fox et al., Cosmetics & Toiletries, 102(3), pp41, 1987).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삼과 녹차를 포제 처리하고 이로부터 다당체를 추출하면, 포제 처리하지 않은 인삼 또는 녹차에 비하여 다당체를 보다 고수율로 수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얻은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동시에 사용하게 되면 상승 효과에 의하여 이들 다당체를 각각 사용하는 경우보다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 및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피부에 대한 자극은 작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포제 처리한 인삼 및 녹차 추출물로부터 추출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 및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제 처리한 인삼 및 녹차의 추출물로부터 추출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제 처리한 인삼과 녹차의 추출물로부터 다당체를 추출함으로써 고수율로 다당체의 수득이 가능하며, 또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동시에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제공하고,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인삼 다당체 및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기미, 주근깨와 같은 색소 침착 증상을 감소시키고, 피부색을 균일하고 밝게 보일 수 있게 하며, 자외선 차단 효과가 매우 뛰어나고,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어 피부 외용제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며, 상기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는 한방 가공 기술인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한 인삼 및 녹차로부터 추출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다당체는 분자량이 34,600인 펙틴(pectin) 유사물질로서, 갈락투론산(galacturonic acid)이 60% 정도를 차지하고, 그 외 아라비노스, 람노오스, 글루코스 및 갈락토오스 등이 측쇄를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삼은 오가피과 인삼 속에 속하는 식물로서, 본 발명에서 인삼은 그 종류 및 연근(年根)에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며, 말리거나 말리지 않은 인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삼은 그 부위에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인삼의 뿌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녹차(Green tea) 다당체는 녹차로부터 유래한 것으로서, 다른 식물에서 발견되는 다당체와는 달리 산성 다당체군이며,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진 당 성분과 아미노산이 결합되어 생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녹차는 그 종류 및 재배 일수에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며, 말리거나 말리지 않은 녹차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녹차는 그 부위에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녹차의 잎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제(匍制)는 한방이론에 근거하여 약재를 가공처리 함으로써 약재 본래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제약기술을 의미한다. 포제는 약재의 독성을 감소시키거나, 약재의 약성 보존, 약성 증진, 약재의 복용 편리성 증진을 위해 삶거나, 찌거나, 불에 볶거나, 불에 굽거나 달구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포제법은 예컨대, 약재를 볶는 초(炒)법, 약재를 일정량의 액체 보조재료와 함께 볶음으로써 보조재료가 약물조직 내에 스며들게 하는 자(炙)법, 약재 각 품목의 포제 규정에 따라 액체 보조재료를 넣고 섞어서 적당한 용기 안에서 가열하여 찌거나, 일정한 정도가 될 때까지 쪄서 말리는 증(蒸)법 등이 있다.
또한, 포제법은 불의 세기, 사용하는 보료에 따라 더 세분화되는데, 그 몇 가지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청초(淸炒)법은 문화(文火: 불꽃이 약한 불) 또는 무화(武火: 불꽃이 강한 불)로 규정된 정도가 될 때까지 약재를 볶는 방법이다. 주자(酒炙)법은 약 15%의 주정을 사용하여 약재를 볶는 방법이고, 주증(酒蒸)법은 약 15%의 주정을 사용하여 약재를 찌는 방법이다. 동일한 약용식물이라 하여도 생재와 숙재는 성질이 같지 않거나 작용에서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생재와 숙재를 적절히 조합한 복합처방은 각 약재의 약효를 서로 상승시키거나 독성을 상쇄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포제 처리는 상기 기술한 포제법에 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기 전에 인삼 또는 녹차를 선처리하는 공정을 의미하며, 인삼 또는 녹차 추출물 내에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다당체의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인삼 또는 녹차를 포제 처리하여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녹차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는 38~42℃에서 물로 인삼 뿌리 또는 녹차 잎 추출물을 제조한 후에 이를 농축하고, 이를 필터로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여기에 에탄올을 적가하고 열풍 건조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각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각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9.5중량%, 0.01~9중량%, 0.03~8.5중량%, 0.05~8중량%, 0.07~7.5중량%, 0.09~7중량%, 0.1~6.5중량%, 0.3~6중량%, 0.5~5.5중량% 또는 0.7~5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는 중량비로 0.1~10:1의 범위로 혼합하여 사용된다. 또한, 상기 두 성분의 병용에 따른 상승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중량비로 0.5~9.5:1, 1~9:1 또는 1.5~8.5:1의 범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미백용 및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방지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 특히 화장료 조성물로서 제형화될 수 있으며,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고체, 겔, 분말, 페이스트, 포말(foam)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중량%, 구체적으로 0.01~3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효성분에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제 혹은 비경구 투여제로 제형화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으로서는 정제, 환제, 과립제, 캡슐제, 산제, 세립제, 분제, 유탁제, 시럽제, 펠렛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으로는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법에 따라 실시함으로써, 유효성분을 용이하게 제형화할 수 있으며, 이 때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 성분의 투여 용량은 투여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병리 상태 및 그 심각도,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당한 용량의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1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mg/kg/일 내지 50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비교예 1-1] 증법포제 인삼 다당체의 제조
건조하지 않은 수삼을 고압증숙기에 넣고 95~100℃ 온도로 약 3~4시간 동안 고압 증숙한 다음, 상기 공정 단계를 완료한 증숙된 수삼을 열풍건조기에서 60~70℃의 온도로 건조시켰다. 증법포제로 가공된 인삼 1kg을 믹서기로 분쇄한 뒤 정제수 10ℓ를 넣고, 38~42℃ 온수로 24시간 교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정제수 양의 1/10까지 감압 농축하였다. 여기에 농축된 양의 4배수의 에탄올을 적가하고 열풍 건조시켜 포제 한방 가공 기술인 포제를 활용하여 증법 가공된 인삼 다당체 70g을 얻었다.
[비교예 1-2] 증법포제 녹차 다당체의 제조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증법 가공된 녹차 다당체 70g을 얻었다.
[실시예 1-1] 증법포제 인삼 및 녹차 다당체의 제조(1:3의 중량비로 혼합)
건조하지 않은 수삼 25중량%와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75중량%를 고압증숙기에 넣고 95~100℃ 온도로 약 3~4시간 동안 고압 증숙한 다음, 상기 공정 단계를 완료한 증숙된 수삼을 열풍건조기에서 60~70℃의 온도로 건조시켰다. 증법포제로 가공된 인삼 및 녹차 혼합물 1kg을 믹서기로 분쇄한 뒤 정제수 10ℓ를 넣고, 38~42℃ 온수로 24시간 교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정제수 양의 1/10까지 감압 농축하였다. 여기에 농축된 양의 4배수의 에탄올을 적가하고 열풍 건조시켜 포제 한방 가공 기술인 포제를 활용하여 증법 가공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혼합물 78g을 얻었다.
[실시예 1-2] 증법포제 인삼 및 녹차 다당체의 제조(1:1의 중량비로 혼합)
건조하지 않은 수삼 50중량%와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50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증법 가공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혼합물 75g을 얻었다.
[실시예 1-3] 증법포제 인삼 및 녹차 다당체의 제조(3:1의 중량비로 혼합)
건조하지 않은 수삼 75중량%와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증법 가공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혼합물 70g을 얻었다.
[비교예 2-1] 인삼 염자(鹽炙) 다당체의 제조
건조한 인삼을 소금물(2~3%)과 잘 혼합시킨 후 밀폐시켜 완전히 흡수 되도록 방치하고, 소금물이 완전히 흡수된 인삼을 100~180℃에서 초제 용기에 넣은 다음 10분~1시간 동안 볶은 후 그늘에 말렸다. 이렇게 말린 인삼에 정제수 10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정제수 양의 1/10까지 감압 농축하였다. 여기에 농축된 양의 4배수의 에탄올을 적가하고 열풍 건조시켜 염자 가공된 인삼 다당체 73g을 얻었다.
[비교예 2-2] 녹차 염자 다당체의 제조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2-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염자 가공된 녹차 다당체 76g을 얻었다.
[실시예 2-1] 인삼 및 녹차 염자 다당체의 제조(1:3의 중량비로 혼합)
건조한 인삼 25중량%와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7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2-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염자 가공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혼합물 72g을 얻었다.
[실시예 2-2] 인삼 및 녹차 염자 다당체의 제조(1:1의 중량비로 혼합)
건조한 인삼 50중량%와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50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2-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염자 가공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혼합물 70g을 얻었다.
[실시예 2-3] 인삼 및 녹차 염자 다당체의 제조(3:1의 중량비로 혼합)
건조한 인삼 75중량%와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2-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염자 가공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혼합물 75g을 얻었다.
[비교예 3-1] 인삼 초탄(炒炭) 다당체의 제조
건조한 인삼을 230~300℃에서 외부를 탄화시켜 흑색이 되면 가열을 중지하고 상온에서 식혀 이렇게 얻은 인삼 1kg에 정제수 10ℓ를 넣은 후,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정제수 양의 1/10까지 감압 농축하였다. 여기에 농축된 양의 4배수의 에탄올을 적가하고 열풍 건조시켜 초탄 가공된 인삼 다당체 72g을 얻었다.
[비교예 3-2] 녹차 초탄 다당체의 제조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3-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초탄 가공된 녹차 다당체 72g을 얻었다.
[실시예 3-1] 인삼 및 녹차 초탄 다당체의 제조(1:3의 중량비로 혼합)
건조한 인삼 25중량%와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7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3-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초탄 가공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혼합물 75g을 얻었다.
[실시예 3-2] 인삼 및 녹차 초탄 다당체의 제조(1:1의 중량비로 혼합)
건조한 인삼 50중량%와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50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3-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초탄 가공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혼합물 71g을 얻었다.
[실시예 3-3] 인삼 및 녹차 초탄 다당체의 제조(3:1의 중량비로 혼합)
건조한 인삼 75중량%와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3-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초탄 가공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혼합물 70g을 얻었다.
[비교예 4-1] 인삼 초자(醋炙) 다당체의 제조
건조한 인삼에 식초 200~300g을 충분히 흡수시킨 후 100~160℃에서 10분~1시간 동안 볶은 후 그늘에 말렸다. 이렇게 얻은 인삼 1kg에 정제수 10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정제수 양의 1/10까지 감압 농축하였다. 여기에 농축된 양의 4배수의 에탄올을 적가하고 열풍 건조시켜 초자 가공된 인삼 다당체 71g을 얻었다.
[비교예 4-2] 녹차 초자 다당체의 제조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4-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초자 가공된 녹차 다당체 73g을 얻었다.
[실시예 4-1] 인삼 및 녹차 초자 다당체의 제조(1:3의 중량비로 혼합)
건조한 인삼 25중량%와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7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4-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초자 가공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혼합물 76g을 얻었다.
[실시예 4-2] 인삼 및 녹차 초자 다당체의 제조(1:1의 중량비로 혼합)
건조한 인삼 50중량%와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50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4-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초자 가공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혼합물 74g을 얻었다.
[실시예 4-3] 인삼 및 녹차 초자 다당체의 제조(3:1의 중량비로 혼합)
건조한 인삼 75중량%와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4-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초자 가공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혼합물 74g을 얻었다.
[비교예 5-1] 인삼 주증(酒蒸) 다당체의 제조
건조한 인삼을 일정량의 황주에 축축해지도록 담가 두고 이것을 찜기에 담아 30분~2시간 동안 찐 다음 그늘에 말렸다. 이렇게 얻은 인삼 1kg에 정제수 10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정제수 양의 1/10까지 감압 농축하였다. 여기에 농축된 양의 4배수의 에탄올을 적가하고 열풍 건조시켜 주증 가공된 인삼 다당체 77g을 얻었다.
[비교예 5-2] 녹차 주증 다당체의 제조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5-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주증 가공된 녹차 다당체 75g을 얻었다.
[실시예 5-1] 인삼 및 녹차 주증 다당체의 제조(1:3의 중량비로 혼합)
건조한 인삼 25중량%와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7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5-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주증 가공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혼합물 74g을 얻었다.
[실시예 5-2] 인삼 및 녹차 초자 다당체의 제조(1:1의 중량비로 혼합)
건조한 인삼 50중량%와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50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5-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주증 가공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혼합물 77g을 얻었다.
[실시예 5-3] 인삼 및 녹차 주증 다당체의 제조(3:1의 중량비로 혼합)
건조한 인삼 75중량%와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5-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주증 가공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혼합물 77g을 얻었다.
[비교예 6-1] 인삼 강자(薑炙) 다당체의 제조
신선한 생강을 마쇄한 후 두배의 물을 넣어 혼합하여 압착한뒤 즙을 짜내었다. 이를 2~3회 반복하여 수행하여 생강즙을 준비하고, 건조한 인삼에 인삼 중량 대비 10~15%의 생강즙을 뿌려 골고루 축인 후 생강즙이 스며들면 100~180℃에서 용기에 넣고 10분~1시간 동안 볶은 후 그늘에 말렸다. 이렇게 얻은 인삼 1kg에 정제수 10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정제수 양의 1/10까지 감압 농축하였다. 여기에 농축된 양의 4배수의 에탄올을 적가하고 열풍 건조시켜 강자 가공된 인삼 다당체 69g을 얻었다.
[비교예 6-2] 녹차 강자 다당체의 제조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6-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강자 가공된 녹차 다당체 73g을 얻었다.
[실시예 6-1] 인삼 및 녹차 강자 다당체의 제조(1:3의 중량비로 혼합)
인삼 25중량%와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7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6-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강자 가공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혼합물 71g을 얻었다.
[실시예 6-2] 인삼 및 녹차 강자 다당체의 제조(1:1의 중량비로 혼합)
인삼 50중량%와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50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6-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강자 가공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혼합물 70g을 얻었다.
[실시예 6-3] 인삼 및 녹차 강자 다당체의 제조(3:1의 중량비로 혼합)
인삼 75중량%와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6-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강자 가공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혼합물 70g을 얻었다.
[비교예 7-1] 인삼 밀자(蜜炙) 다당체의 제조
건조한 인삼에 인삼 중량 대비 20~30%의 꿀을 인삼에 충분히 흡수시킨 다음 100~160℃에서 10분~1시간 동안 볶은 후 그늘에 말렸다. 이렇게 얻은 인삼 1kg에 정제수 10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정제수 양의 1/10까지 감압 농축하였다. 여기에 농축된 양의 4배수의 에탄올을 적가하고 열풍 건조시켜 밀자 가공된 인삼 다당체 75g을 얻었다.
[비교예 7-2] 녹차 밀자 다당체의 제조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7-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밀자 가공된 녹차 다당체 76g을 얻었다.
[실시예 7-1] 인삼 및 녹차 밀자 다당체의 제조(1:3의 중량비로 혼합)
건조한 인삼 25중량%와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7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7-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밀자 가공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혼합물 74g을 얻었다.
[실시예 7-2] 인삼 및 녹차 밀자 다당체의 제조(1:1의 중량비로 혼합)
건조한 인삼 50중량%와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50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7-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밀자 가공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혼합물 75g을 얻었다.
[실시예 7-3] 인삼 및 녹차 밀자 다당체의 제조(3:1의 중량비로 혼합)
건조한 인삼 75중량%와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7-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밀자 가공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혼합물 74g을 얻었다.
[비교예 8-1] 인삼 생품에서 추출한 다당체의 제조
건조된 인삼 1kg을 믹서기로 분쇄한 뒤 여기에 정제수 10ℓ를 넣고, 38~42℃ 온수로 24시간 교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정제수 양의 1/10까지 감압 농축하였다. 여기에 농축된 양의 4배수의 에탄올을 적가하고 열풍 건조시켜 인삼 다당체 65g을 얻었다.
[비교예 8-2] 녹차 생품에서 추출한 다당체의 제조
1차 가공된(덖음 과정) 녹차 잎 1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8-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녹차 다당체 72g을 얻었다.
[비교예 8-3] 인삼 및 녹차 생품에서 추출한 다당체 혼합물의 제조(1:3의 중량비로 혼합)
상기 비교예 8-1과 비교예 8-2에서 제조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1:3의 비율로 단순 혼합하여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4] 인삼 및 녹차 생품에서 추출한 다당체 혼합물의 제조(1:1의 중량비로 혼합)
상기 비교예 8-1과 비교예 8-2에서 제조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1:1의 비율로 단순 혼합하여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5] 인삼 및 녹차 생품에서 추출한 다당체 혼합물의 제조(3:1의 중량비로 혼합)
상기 비교예 8-1과 비교예 8-2에서 제조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3:1의 비율로 단순 혼합하여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
티로시나제 효소는 버섯류(Mushroom)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먼저 기질인 티로신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0.3mg/ml의 용액으로 만들고 그 용액을 1.0ml씩 시험관에 넣은 다음, 여기에 포타슘-포스페이트 완충용액(0.1mol 농도, pH 6.8) 1.0ml 및 증류수 0.7ml를 첨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1 내지 7-3의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의 혼합물 또는 비교예 1-1 내지 8-5의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에탄올 용액에 적당한 농도로 혼합하여 준비한 시료액 0.2ml를 반응액에 넣은 다음 37℃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음성대조군(무첨가)으로는 각 시료액 대신 용매만을 0.2ml 넣은 것으로 준비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였다. 이 반응액에 2500유닛/ml의 티로시나제 용액 0.1ml씩을 넣고 다시 37℃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이 든 시험관을 얼음물 속에 넣어서 급냉시켜 반응을 중지시키고 광전분광분석계로 파장 47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는 하기 수학식 1로 산출하였다.
Figure pat00001
시험물질 티로시나제 저해율(%)
음성대조군(무첨가) 0
양성대조군(아스코르브산) 52
실시예 1-1 56
실시예 1-2 58
실시예 1-3 59
실시예 2-1 54
실시예 2-2 56
실시예 2-3 59
실시예 3-1 54
실시예 3-2 56
실시예 3-3 57
실시예 4-1 52
실시예 4-2 54
실시예 4-3 56
실시예 5-1 57
실시예 5-2 59
실시예 5-3 60
실시예 6-1 56
실시예 6-2 59
실시예 6-3 61
실시예 7-1 57
실시예 7-2 60
실시예 7-3 62
비교예 1-1 50
비교예 1-2 48
비교예 2-1 50
비교예 2-2 49
비교예 3-1 48
비교예 3-2 48
비교예 4-1 47
비교예 4-2 48
비교예 5-1 50
비교예 5-2 50
비교예 6-1 51
비교예 6-2 50
비교예 7-1 51
비교예 7-2 49
비교예 8-1 48
비교예 8-2 45
비교예 8-3 52
비교예 8-4 53
비교예 8-5 57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각각을 함유한 경우에는 티로시나제 억제 효과가 미비하지만, 이들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는 티로시나제 억제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포제 가공을 한 인삼 및 녹차로부터 추출한 다당체를 모두 함유하는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1-1 내지 7-3의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의 혼합물 또는 비교예 1-1 내지 8-5의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각각 0.1중량%로 함유한 시료를 시험물질로 하여 일정 농도로 B16/F10 멜라노마 세포(한국세포주은행)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3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다음 1N NaOH로 세포를 녹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험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세포를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에서의 멜라닌 함량과 비교하여 각 시험물질의 멜라닌 생성 저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멜라닌 생성 억제제로 알려진 코지산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시험물질 멜라닌생성 저해율(%)
음성대조군(무첨가) 0
양성대조군(코지산) 53
실시예 1-1 55
실시예 1-2 57
실시예 1-3 61
실시예 2-1 55
실시예 2-2 56
실시예 2-3 60
실시예 3-1 54
실시예 3-2 56
실시예 3-3 58
실시예 4-1 53
실시예 4-2 55
실시예 4-3 59
실시예 5-1 57
실시예 5-2 59
실시예 5-3 62
실시예 6-1 57
실시예 6-2 60
실시예 6-3 62
실시예 7-1 58
실시예 7-2 60
실시예 7-3 64
비교예 1-1 50
비교예 1-2 48
비교예 2-1 52
비교예 2-2 49
비교예 3-1 49
비교예 3-2 48
비교예 4-1 50
비교예 4-2 48
비교예 5-1 51
비교예 5-2 50
비교예 6-1 50
비교예 6-2 50
비교예 7-1 52
비교예 7-2 50
비교예 8-1 49
비교예 8-2 48
비교예 8-3 51
비교예 8-4 53
비교예 8-5 56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각각을 함유한 경우에는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미비하지만, 이들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는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포제 가공을 한 인삼 및 녹차로부터 추출한 다당체를 모두 함유하는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참조예 1] 제형예 및 비교제형예의 영양크림 제조
하기 표 3 내지 표 7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제형예
1-1 1-2 1-3 2-1 2-2 2-3 3-1 3-2 3-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시예 1-1 0.1 - - - - - - - -
실시예 1-2 - 0.1 - - - - - - -
실시예 1-3 - - 0.1 - - - - - -
실시예 2-1 - - - 0.1 - - - - -
실시예 2-2 - - - - 0.1 - - - -
실시예 2-3 - - - - - 0.1 - - -
실시예 3-1 - - - - - - 0.1 - -
실시예 3-2 - - - - - - - 0.1 -
실시예 3-3 - - - - - - - - 0.1
식물성 경화유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스테아린산 0.60 0.60 0.60 0.60 0.60 0.60 0.60 0.60 0.6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스테아릴 알코올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 베헤닐 알코올 &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틸에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PEG-100 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롤올레이트 &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성분 제형예
4-1 4-2 4-3 5-1 5-2 5-3 6-1 6-2 6-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시예 4-1 0.1 - - - - - - - -
실시예 4-2 - 0.1 - - - - - - -
실시예 4-3 - - 0.1 - - - - - -
실시예 5-1 - - - 0.1 - - - - -
실시예 5-2 - - - - 0.1 - - - -
실시예 5-3 - - - - - 0.1 - - -
실시예 6-1 - - - - - - 0.1 - -
실시예 6-2 - - - - - - - 0.1 -
실시예 6-3 - - - - - - - - 0.1
식물성 경화유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스테아린산 0.60 0.60 0.60 0.60 0.60 0.60 0.60 0.60 0.6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스테아릴 알코올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 베헤닐 알코올 &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틸에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PEG-100 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롤올레이트 &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성분 제형예 비교제형예
7-1 7-2 7-3 1-1 1-2 2-1 2-2 3-1 3-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시예 7-1 0.1 - - - - - - - -
실시예 7-2 - 0.1 - - - - - - -
실시예 7-3 - - 0.1 - - - - - -
비교예 1-1 - - - 0.1 - - - - -
비교예 1-2 - - - - 0.1 - - - -
비교예 2-1 - - - - - 0.1 - - -
비교예 2-2 - - - - - - 0.1 - -
비교예 3-1 - - - - - - - 0.1 -
비교예 3-2 - - - - - - - - 0.1
식물성 경화유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스테아린산 0.60 0.60 0.60 0.60 0.60 0.60 0.60 0.60 0.6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스테아릴 알코올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 베헤닐 알코올 &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틸에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PEG-100 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롤올레이트 &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성분 비교제형예
4-1 4-2 5-1 5-2 6-1 6-2 7-1 7-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비교예 4-1 0.1 - - - - - - -
비교예 4-2 - 0.1 - - - - - -
비교예 5-1 - - 0.1 - - - - -
비교예 5-2 - - - 0.1 - - - -
비교예 6-1 - - - - 0.1 - - -
비교예 6-2 - - - - - 0.1 - -
비교예 7-1 - - - - - - 0.1 -
비교예 7-2 - - - - - - - 0.1
식물성 경화유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스테아린산 0.60 0.60 0.60 0.60 0.60 0.60 0.60 0.6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스테아릴 알코올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 베헤닐 알코올 &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틸에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PEG-100 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롤올레이트 &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성분 비교제형예
8-1 8-2 8-3 8-4 8-5 9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비교예 8-1 0.1 - - - - -
비교예 8-2 - 0.1 - - - -
비교예 8-3 - - 0.1 - - -
비교예 8-4 - - - 0.1 - -
비교예 8-5 - - - - 0.1 -
식물성 경화유 1.50 1.50 1.50 1.50 1.50 1.50
스테아린산 0.60 0.60 0.60 0.60 0.60 0.6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스테아릴 알코올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 베헤닐 알코올 &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틸에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00 1.00 1.00 1.00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0 2.00 2.00 2.00 2.00 2.00
PEG-100 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롤올레이트 &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1.50 1.50 1.50
[시험예 3] 피부톤 개선 효과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의 피부톤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60명의 피험자를 10명씩 6개 군으로 나누고 각 군의 피험자에게 상기 제형예 1-1 내지 7-3, 비교제형예 1-1 내지 9의 영양크림을 각각 사용(저녁 1회/일 도포, 총 1주간)하도록 한 후, Facial Stage DM-3(Moritex, Japan) 기기를 활용하여 피부톤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피부톤 개선율은 피부의 명도 및 색채 측정값으로 피부의 명도 및 색채 변화 값으로 판단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명도 및 색채 변화값이 클수록 피부톤이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피부톤 개선율(%)
시험물질 명도(평균±표준편차) 색채(평균±표준편차)
제형예 1-1 13±2.46 12±2.37
제형예 1-2 14±2.24 13±2.25
제형예 1-3 15±2.41 14±2.75
제형예 2-1 13±2.05 12±2.65
제형예 2-2 14±3.41 13±2.05
제형예 2-3 15±2.83 14±2.86
제형예 3-1 13±3.01 12±1.98
제형예 3-2 14±2.68 13±2.96
제형예 3-3 15±3.03 14±2.82
제형예 4-1 13±2.57 12±2.80
제형예 4-2 14±3.10 13±2.31
제형예 4-3 15±2.76 14±2.54
제형예 5-1 13±2.22 12±2.40
제형예 5-2 14±2.42 13±2.54
제형예 5-3 15±2.53 14±2.49
제형예 6-1 13±2.82 12±2.87
제형예 6-2 14±2.56 13±2.71
제형예 6-3 15±2.61 14±2.05
제형예 7-1 13±2.19 12±2.72
제형예 7-2 14±2.95 13±2.91
제형예 7-3 15±3.25 14±2.53
비교제형예 1-1 12±2.26 11±2.51
비교제형예 1-2 11±2.84 10±2.29
비교제형예 2-1 12±2.60 11±2.12
비교제형예 2-2 11±2.03 10±2.95
비교제형예 3-1 12±3.20 11±2.18
비교제형예 3-2 11±2.54 10±2.32
비교제형예 4-1 12±2.64 11±2.71
비교제형예 4-2 11±1.95 10±2.02
비교제형예 5-1 12±2.39 11±2.77
비교제형예 5-2 11±2.82 10±2.56
비교제형예 6-1 12±2.69 11±2.23
비교제형예 6-2 11±2.40 10±2.35
비교제형예 7-1 12±2.27 11±2.41
비교제형예 7-2 11±2.46 10±2.39
비교제형예 8-1 11±2.02 10±2.18
비교제형예 8-2 10±2.38 9±2.16
비교제형예 8-3 12±3.04 11±1.89
비교제형예 8-4 13±2.95 13±2.12
비교제형예 8-5 15±3.25 13±2.03
비교제형예 9 5±2.34 5±2.05
상기 표 8의 결과에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각각을 함유한 경우에는 피부톤 개선 효과가 미비하지만, 이들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는 피부톤 개선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포제 가공을 한 인삼 및 녹차로부터 추출한 다당체를 모두 함유하는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피부톤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자외선 차단 지수 측정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들의 UVB차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외선 차단지수(SPF, Sun Protection Factor)를 문헌에 보고된 일반적인 방법(J. Soc. Cosmet. Chem., 40, pp127-133, 1989)에 따라 측정하였다.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솔라 시뮬레이터(Solar simulater) 램프로부터 시험 부위에 방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을 20-100mj/㎠로 조정하여 피시험자의 등 부위에 조사하였다. 시료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험자의 등에 2㎕/㎠의 두께로 시료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15분간 방치하여 건조하였다. 자외선 조사창을 상기 실시예 1-1 내지 7-3, 비교예 1-1 내지 8-5의 시료 도포 부위에 부착하여 고정시키고 조사창을 제외한 다른 부위를 피혁과 수건을 사용하여 자외선을 차단하며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을 조사하고 24시간 후 최소홍반량(MED)을 판정하고,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자외선 차단 효과를 계산하였다. UVB 차단 효과는 SPF로 나타내는데, 여기서 SPF란 무처리된 피부상에 MED를 생성시키는데 요구되는 자외선량에 대한 자외선 차단제가 처리된 피부상에 MED를 생성시키는데 요구되는 자외선량으로 정의되고, 하기 수학식 3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SPF가 높을수록 UVB 차단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방법에 의한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시험물질 자외선 차단지수 (SPF)
대조군 8
실시예 1-1 22
실시예 1-2 25
실시예 1-3 28
실시예 2-1 24
실시예 2-2 26
실시예 2-3 29
실시예 3-1 23
실시예 3-2 25
실시예 3-3 27
실시예 4-1 24
실시예 4-2 27
실시예 4-3 29
실시예 5-1 23
실시예 5-2 26
실시예 5-3 28
실시예 6-1 24
실시예 6-2 26
실시예 6-3 28
실시예 7-1 25
실시예 7-2 27
실시예 7-3 30
비교예 1-1 16
비교예 1-2 13
비교예 2-1 17
비교예 2-2 14
비교예 3-1 16
비교예 3-2 14
비교예 4-1 18
비교예 4-2 15
비교예 5-1 16
비교예 5-2 14
비교예 6-1 16
비교예 6-2 13
비교예 7-1 18
비교예 7-2 15
비교예 8-1 15
비교예 8-2 12
비교예 8-3 24
비교예 8-4 25
비교예 8-5 28
상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 각각을 함유한 경우보다 이들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 자외선 차단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참조예 2] 제형예 및 비교제형예의 영양화장수 제조
하기 표 10 내지 표 14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밀크로션)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제형예
1-1 1-2 1-3 2-1 2-2 2-3 3-1 3-2 3-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시예 1-1 0.1 - - - - - - - -
실시예 1-2 - 0.1 - - - - - - -
실시예 1-3 - - 0.1 - - - - - -
실시예 2-1 - - - 0.1 - - - - -
실시예 2-2 - - - - 0.1 - - - -
실시예 2-3 - - - - - 0.1 - - -
실시예 3-1 - - - - - - 0.1 - -
실시예 3-2 - - - - - - - 0.1 -
실시예 3-3 - - - - - - - - 0.1
시토 스테롤 1.7 1.7 1.7 1.7 1.7 1.7 1.7 1.7 1.7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1.5 1.5 1.5 1.5 1.5 1.5 1.5 1.5
세라마이드 0.7 0.7 0.7 0.7 0.7 0.7 0.7 0.7 0.7
세테아레스-4 1.2 1.2 1.2 1.2 1.2 1.2 1.2 1.2 1.2
콜레스테롤 1.5 1.5 1.5 1.5 1.5 1.5 1.5 1.5 1.5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0.4 0.4 0.4 0.4 0.4 0.4 0.4
농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5.0 5.0
선플라워오일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0.2 0.2 0.2 0.2 0.2 0.2 0.2
잔탄검 0.3 0.3 0.3 0.3 0.3 0.3 0.3 0.3 0.3
방부제,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성분 제형예
4-1 4-2 4-3 5-1 5-2 5-3 6-1 6-2 6-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시예 4-1 0.1 - - - - - - - -
실시예 4-2 - 0.1 - - - - - - -
실시예 4-3 - - 0.1 - - - - - -
실시예 5-1 - - - 0.1 - - - - -
실시예 5-2 - - - - 0.1 - - - -
실시예 5-3 - - - - - 0.1 - - -
실시예 6-1 - - - - - - 0.1 - -
실시예 6-2 - - - - - - - 0.1 -
실시예 6-3 - - - - - - - - 0.1
시토 스테롤 1.7 1.7 1.7 1.7 1.7 1.7 1.7 1.7 1.7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1.5 1.5 1.5 1.5 1.5 1.5 1.5 1.5
세라마이드 0.7 0.7 0.7 0.7 0.7 0.7 0.7 0.7 0.7
세테아레스-4 1.2 1.2 1.2 1.2 1.2 1.2 1.2 1.2 1.2
콜레스테롤 1.5 1.5 1.5 1.5 1.5 1.5 1.5 1.5 1.5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0.4 0.4 0.4 0.4 0.4 0.4 0.4
농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5.0 5.0
선플라워오일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0.2 0.2 0.2 0.2 0.2 0.2 0.2
잔탄검 0.3 0.3 0.3 0.3 0.3 0.3 0.3 0.3 0.3
방부제,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성분 제형예 비교제형예
7-1 7-2 7-3 1-1 1-2 2-1 2-2 3-1 3-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시예 7-1 0.1 - - - - - - - -
실시예 7-2 - 0.1 - - - - - - -
실시예 7-3 - - 0.1 - - - - - -
비교예 1-1 - - - 0.1 - - - - -
비교예 1-2 - - - - 0.1 - - - -
비교예 2-1 - - - - - 0.1 - - -
비교예 2-2 - - - - - - 0.1 - -
비교예 3-1 - - - - - - - 0.1 -
비교예 3-2 - - - - - - - - 0.1
시토 스테롤 1.7 1.7 1.7 1.7 1.7 1.7 1.7 1.7 1.7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1.5 1.5 1.5 1.5 1.5 1.5 1.5 1.5
세라마이드 0.7 0.7 0.7 0.7 0.7 0.7 0.7 0.7 0.7
세테아레스-4 1.2 1.2 1.2 1.2 1.2 1.2 1.2 1.2 1.2
콜레스테롤 1.5 1.5 1.5 1.5 1.5 1.5 1.5 1.5 1.5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0.4 0.4 0.4 0.4 0.4 0.4 0.4
농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5.0 5.0
선플라워오일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0.2 0.2 0.2 0.2 0.2 0.2 0.2
잔탄검 0.3 0.3 0.3 0.3 0.3 0.3 0.3 0.3 0.3
방부제,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성분 비교제형예
4-1 4-2 5-1 5-2 6-1 6-2 7-1 7-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비교예 4-1 0.1 - - - - - - -
비교예 4-2 - 0.1 - - - - - -
비교예 5-1 - - 0.1 - - - - -
비교예 5-2 - - - 0.1 - - - -
비교예 6-1 - - - - 0.1 - - -
비교예 6-2 - - - - - 0.1 - -
비교예 7-1 - - - - - - 0.1 -
비교예 7-2 - - - - - - - 0.1
시토 스테롤 1.7 1.7 1.7 1.7 1.7 1.7 1.7 1.7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1.5 1.5 1.5 1.5 1.5 1.5 1.5
세라마이드 0.7 0.7 0.7 0.7 0.7 0.7 0.7 0.7
세테아레스-4 1.2 1.2 1.2 1.2 1.2 1.2 1.2 1.2
콜레스테롤 1.5 1.5 1.5 1.5 1.5 1.5 1.5 1.5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0.4 0.4 0.4 0.4 0.4 0.4
농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5.0
선플라워오일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0.2 0.2 0.2 0.2 0.2 0.2
잔탄검 0.3 0.3 0.3 0.3 0.3 0.3 0.3 0.3
방부제,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성분 비교제형예
8-1 8-2 8-3 8-4 8-5 9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비교예 8-1 0.1 - - - - -
비교예 8-2 - 0.1 - - - -
비교예 8-3 - - 0.1 - - -
비교예 8-4 - - - 0.1 - -
비교예 8-5 - - - - 0.1 -
시토 스테롤 1.7 1.7 1.7 1.7 1.7 1.7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1.5 1.5 1.5 1.5 1.5
세라마이드 0.7 0.7 0.7 0.7 0.7 0.7
세테아레스-4 1.2 1.2 1.2 1.2 1.2 1.2
콜레스테롤 1.5 1.5 1.5 1.5 1.5 1.5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0.4 0.4 0.4 0.4
농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선플라워오일 10.0 10.0 10.0 10.0 10.0 1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0.2 0.2 0.2 0.2
잔탄검 0.3 0.3 0.3 0.3 0.3 0.3
방부제,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시험예 5] 피부자극도 평가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의 피부안전성, 즉 피부반응의 관찰을 통해서 자극 또는 알레르기성 반응의 발생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청 기준 피부안전성 검사법에 따라 인체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시험자로 20~35세의 여성 30명을 선정하고 피시험자의 등 정중선을 피해 양쪽에 상기 제형예 1-1 내지 7-3, 비교제형예 1-1 내지 9의 영양화장수를 각각 도포하고, 1시간 동안 방치해 놓은 후 하기 판정 기준에 따라서 피부 자극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5 내지 표 19에 나타내었다.
제형예
1-1 1-2 1-3 2-1 2-2 2-3 3-1 3-2 3-3
+++ 0 0 0 0 0 0 0 0 0
++ 0 0 0 0 0 0 0 0 0
+ 0 0 0 0 1 0 0 0 1
± 10 9 9 9 9 11 9 10 9
- 10 11 11 11 10 9 11 10 10
(+++: 강한 트러블, ++: 약한 트러블, +: 미약한 트러블, ±: 정상, -: 음성)
제형예
4-1 4-2 4-3 5-1 5-2 5-3 6-1 6-2 6-3
+++ 0 0 0 0 0 0 0 0 0
++ 0 0 0 0 0 0 0 0 0
+ 1 1 0 0 0 0 1 1 1
± 10 9 8 10 9 9 11 10 9
- 9 10 12 10 11 11 8 9 10
(+++: 강한 트러블, ++: 약한 트러블, +: 미약한 트러블, ±: 정상, -: 음성)
제형예 비교제형예
7-1 7-2 7-3 1-1 1-2 2-1 2-2 3-1 3-2
+++ 0 0 0 0 0 0 0 0 0
++ 0 0 0 0 0 0 0 0 0
+ 1 0 0 1 0 1 1 1 1
± 11 11 10 10 10 9 10 8 8
- 8 9 10 9 10 10 9 11 11
(+++: 강한 트러블, ++: 약한 트러블, +: 미약한 트러블, ±: 정상, -: 음성)
비교제형예
4-1 4-2 5-1 5-2 6-1 6-2 7-1 7-2
+++ 0 0 0 0 0 0 0 0
++ 0 0 0 0 0 0 0 0
+ 0 1 0 0 1 1 1 1
± 9 9 10 10 9 10 10 9
- 11 10 10 10 10 9 9 10
(+++: 강한 트러블, ++: 약한 트러블, +: 미약한 트러블, ±: 정상, -: 음성)
비교제형예
8-1 8-2 8-3 8-4 8-5 9
+++ 0 0 0 0 0 0
++ 0 0 0 0 0 0
+ 2 2 1 1 0 2
± 10 10 10 11 11 9
- 8 8 9 8 9 9
(+++: 강한 트러블, ++: 약한 트러블, +: 미약한 트러블, ±: 정상, -: 음성)
상기 표 15 내지 표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삼 다당체 및 녹차 다당체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는 피부 자극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자극을 일으키지 않고 안전하여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포제 처리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톤을 개선시키고, 자외선 차단에 효과적이며, 안정성 면에서도 우수하여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로서 유용한 원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연질캅셀제
비교예 1-1의 인삼 다당체 150mg, 비교예 1-2의 녹차 다당체 150mg, 팜유 2mg, 팜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6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캡슐당 400mg씩 충진하여 연질캅셀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
비교예 1-1의 인삼 다당체 150mg, 비교예 1-2의 녹차 다당체 150mg, 포도당 100mg, 홍삼추출물 50mg, 전분 96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4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40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로 타정하였다.
[제제예 3] 과립제
비교예 1-1의 인삼 다당체 150mg, 비교예 1-2의 녹차 다당체 150mg, 포도당 100mg, 홍삼추출물 50mg 및 전분 600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100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다음 포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1g으로 하였다.
[제제예 4]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 표 20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비교예 1-1의 인삼 다당체 0.1
비교예 1-2의 녹차 다당체 0.1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5]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 표 2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비교예 1-1의 인삼 다당체 0.5
비교예 1-2의 녹차 다당체 0.5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6] 영양크림
하기 표 2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비교예 1-1의 인삼 다당체 1.0
비교예 1-2의 녹차 다당체 1.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7] 마사지 크림
하기 표 2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비교예 1-1의 인삼 다당체 1.5
비교예 1-2의 녹차 다당체 1.5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4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바세린 3.0
파라핀 1.5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8] 팩
하기 표 2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비교예 1-1의 인삼 다당체 0.1
비교예 1-2의 녹차 다당체 0.1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노닐 페닐에테르 0.4
폴리솔베이트 60 1.2
에탄올 방부제 6.0적량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9] 연고
하기 표 2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비교예 1-1의 인삼 다당체 0.1
비교예 1-2의 녹차 다당체 0.1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포제 처리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는 각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는 중량비로 0.1~10:1의 비율로 혼합사용되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포제 처리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는 각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미백용 약학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는 중량비로 0.1~10:1의 비율로 혼합사용되는 미백용 약학 조성물.
  7. 포제 처리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는 각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는 중량비로 0.1~10:1의 비율로 혼합사용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10. 포제 처리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약학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는 각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자외선 차단용 약학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는 중량비로 0.1~10:1의 비율로 혼합사용되는 자외선 차단용 약학 조성물.
KR1020130115933A 2013-09-30 2013-09-30 포제 처리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061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933A KR102061648B1 (ko) 2013-09-30 2013-09-30 포제 처리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933A KR102061648B1 (ko) 2013-09-30 2013-09-30 포제 처리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138A Division KR102105820B1 (ko) 2019-08-16 2019-08-16 포제 처리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914A true KR20150036914A (ko) 2015-04-08
KR102061648B1 KR102061648B1 (ko) 2020-01-02

Family

ID=53032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933A KR102061648B1 (ko) 2013-09-30 2013-09-30 포제 처리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64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829B1 (ko) 2006-06-19 2007-10-30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유해 환경에서 유래되는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효능을 갖는 식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648B1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7468B1 (ko) 면역증강 및 보습 효능을 가지는 새싹채소 발효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6176259B (zh) 一种具有双重隔离和晒后修复作用的防晒霜
KR102086687B1 (ko)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
KR101474340B1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JPH11116492A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およびその用途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12137919B (zh) 竹荪蛋提取物在制备美容美肤外用品中的应用及基于其的美容外用品
KR20110109568A (ko) 맥주 효모를 이용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105820B1 (ko) 포제 처리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067698B1 (ko) 가공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106767B1 (ko) 가공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065913B1 (ko) 인삼 및 녹차의 발효물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016641B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61648B1 (ko) 포제 처리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20040090644A (ko) 곡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품
KR102106313B1 (ko) 인삼 및 녹차의 발효물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032969B1 (ko) 인삼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163882B1 (ko) 인삼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345225B1 (ko) 오수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0052B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07417B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508215B1 (ko) 삼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30679B1 (ko) 인삼 다당체 및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20040059004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