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6878A - Critical current measuring devices of superconductor wire - Google Patents

Critical current measuring devices of superconductor w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6878A
KR20150036878A KR20130115853A KR20130115853A KR20150036878A KR 20150036878 A KR20150036878 A KR 20150036878A KR 20130115853 A KR20130115853 A KR 20130115853A KR 20130115853 A KR20130115853 A KR 20130115853A KR 20150036878 A KR20150036878 A KR 20150036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ogenic
electrode
superconducting wire
pressing
f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58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4411B1 (en
Inventor
박병준
한영희
김혜림
양성은
김희선
유승덕
한상진
이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30115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411B1/en
Publication of KR20150036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8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4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12Measuring magnetic properties of articles or specimens of solids or fluids
    • G01R33/1238Measuring superconductive properties
    • G01R33/1246Measuring critical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2Measuring rate of chan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itical current measuring device of superconductor wi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ritical current measuring device of superconductor wire that is able to measure critical current using pressure-applying method without damaging the surface of superconductor wire and without noise by forming a knurling joining part at the contact point with the superconductor wire.

Description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 측정장치{CRITICAL CURRENT MEASURING DEVICES OF SUPERCONDUCTOR WIR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erconducting wire,

본 발명은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전도 선재와 접촉하는 부분에 널링 접합부를 형성하여 가압방식에 따른 임계전류 측정에도 선재표면이 손상되지 않고 노이즈 없이 측정할 수 있는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critical current of a superconducting wire,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easuring a critical current according to a pressing method by forming a nulling joint at a portion contacting the superconducting wire, To a device for measuring critical current of a superconducting wire.

임계전류란 초전도체에 저항없이 흘릴 수 있는 전류의 최대값으로, 초전도체는 극저온 상태일 때 저항이 0이지만 일정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저항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초전도 응용 분야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성으로 평가된다.The critical current is the maximum value of a current that can flow without resistance to a superconductor. The superconductor has a resistance of zero when it is at a cryogenic temperature, but it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in superconducting applications because the resistance increases greatly when a current exceeding a certain level flows.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를 측정하는 방식은 크게 측정지그에 선재를 고정하고 액체냉매를 부어서 직접냉각하는 방식의 비연속형 측정방식과 롤투롤방식을 이용하여 선재 표면과 접촉하여 측정하는 연속형 측정방식이 있다.The method of measuring the critical current of a superconducting wire is largely divided into a discontinuous measurement method in which a wire rod is fixed to a measuring jig and a liquid coolant is poured thereon and a continuous type measurement method in which the wire is contacted with the wire surface using a roll- .

비연속형은 초전도 선재를 전극에 완전히 접착되버리는 문제가 있고, 교체가 불편하며 여러 개의 지그를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측정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non-continuous type has a problem that the superconducting wire is completely adhered to the electrode, and the replacement is inconvenient, and a plurality of jigs must be installed, which results in a long measurement time.

상기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도 1과 같은 연속형 측정방식이 사용되었으며, 초전도 선재(10)를 상면에서 가압장치(100)를 이용하여 극저온 전극(200)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극저온 전극(200)은 초전도 선재(10)와의 접촉부위에 별도의 구성없이 가압하여 초전도 선재(10)의 표면을 손상시켰고, 극저온 전극(200)과 전압탭(140)이 접지되지 않도록 별도의 가압장치(130)에 전압탭(140)을 연결하여 극저온 전극(200)과 독립적으로 초전도 선재(10)를 접촉시키는 방식이었다.1 is used and the superconducting wire 10 is measured by pressing the superconducting wire 10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cryogenic electrode 200 by using the pressurizing device 100. As a result, In addition, the cryogenic electrode 200 is pressurized without touching the surfac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so as to damage the surfac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and the cryogenic electrode 200 and the voltage tap 140 are separately grounded The voltage tap 140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device 130 of the cryogenic electrode 200 so that the cryogenic electrode 2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perconducting wire 10 independently.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4-0056597호에서는 초전도 선재를 필요에 따라 가압하여 전극과 접촉하는 측정방식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선재 중간에 극부열에 의한 선재의 손상이 발생되고 노이즈가 유발되어 측정결과의 신뢰성이 낮다는 한계점이 있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4-0056597 discloses a measuring method in which a superconducting wire is pressed as necessary to contact with an electrode. However,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damage of the wire rod due to the extreme heat is generated in the middle of the wire rod and the noise is generat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result is low.

따라서, 측정시간이 짧으며 선재의 표면에 손상이 없고 노이즈가 유발되지 않아 측정결과의 신뢰성이 높은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 측정장치에 대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a critical current measuring apparatus for a superconducting wire having a short measuring time, no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wire, and no noise, thereby providing high reliability of measurement results.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초전도 선재와 접촉하는 부분에 널링 접합부를 형성하여 가압방식에 따른 임계전류 측정에도 선재표면이 손상되지 않고 노이즈 없이 측정할 수 있는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perconducting wire, And to provide a measuring devic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 측정장치는 가압로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가압장치, 가압로드의 하면에 결합된 극저온 전극, 극저온 전극의 하면에 형성된 널링 접합부를 포함하고, 널링 접합부는 하향 돌출된 돌기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apparatus for measuring critical current of a superconducting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ing device for moving a pressing rod up and down, a cryogenic electrod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a pressing rod, and a knurling joint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ryogenic electrode, The knurled joint portion is constituted by at least one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이 때, 널링 접합부는 가압에 따라 변형되는 소프트 금속 및 합금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knurled joint portion may be composed of a soft metal and an alloy material deformed by pressing.

이 때, 널링 접합부는 인듐, 납, 우드 메탈(wood? metal), 로즈 메탈(rose? metal), 비듐을 함유한 필드 메탈(field? metal), 켈로 합금(CS ALLOYS SAFE LOW 136, 1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knurled joint is made of indium, lead, wood metal, rose metal, field metal containing a metal, kallo alloy (CS ALLOYS SAFE LOW 136, 117) And at least one of them may be included.

이 때, 돌기부는 사각뿔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constituted by a quadrangular prism.

이 때, 돌기부는 반구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composed of a hemispherical shape.

이 때, 돌기부는 육면체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a hexahedron.

이 때, 극저온 전극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절연소재로 구성된 포그절연부 및 상기 포그절연부에서 상기 초전도 선재 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결합된 포그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it may further comprise a fog insulator,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ryogenic electrode, and is compos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a fog pin that is mounted on the fog insulator so as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superconducting wire.

이 때, 포그핀은 1단 및 2단의 절접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1단과 상기 2단 사이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1단에 복원력을 인가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og pin may be constituted by the first and second troughs, and a spring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roughs to apply a restoring force to the first trough.

이 때, 극저온 전극은 전기 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구성된 몸체부로 구성되고, 몸체부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ryogenic electrode may be constituted by a body portion composed of a material ha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one or more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이 때, 극저온 전극은 전기 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구성된 몸체부로 구성되고, 몸체부의 측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ryogenic electrode may be constituted by a body portion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ay be formed with one or more through holes passing through a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이 때, 극저온 전극은 전기 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구성된 몸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만곡부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ryogenic electrode may be constituted by a body portion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 curved portion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 측정장치는 가압로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가압장치, 가압로드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로드의 상하이동에 따라 초전도 선재를 가압 또는 감압시키는 가압부, 가압부의 하면에 위치하는 상기 초전도 선재를 하면에서 접촉하는 널링 접합부, 널링 접합부의 하면에 형성된 극저온 전극을 포함하고, 널링 접합부는 상향 돌출된 돌기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measuring critical current of a superconducting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ressing device for moving a pressing rod up and down, a pressing part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rod for pressing or depressurizing the superconducting wire according to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pressing rod, And a cryogenic electrod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knurled joint, wherein the knurled joint has at least one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대상인 초전도 선재에 접합부분에 널링 접합부를 형성하여 초전도 선재의 표면에 손상없이 임계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critical current without damaging the surfac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by forming a knurled joint portion at the joint portion to the superconducting wire to be measured.

또한, 널링 접합부로 인해 초전도 선재와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에 따라 접촉저항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노이즈 발생을 억제하여 임계전류 측정의 신뢰성을 향상시켰다.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superconducting wire due to the knurled joint, the contact resistance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by suppressing noise generation and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critical current measurement.

또한, 극저온 전극의 다양한 형상으로 초전도 선재와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임계전류 측정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켰다.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 of the critical current measurement is improved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superconducting wire in various shapes of the cryogenic electrode.

또한, 스프링이 장착된 포그핀을 구성하여 스프링의 압축여부로 가압정도를평가할 수 있어, 초전도 선재의 과도한 가압을 방지하여 선재 표면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 fog pin equipped with a spring to evaluate the degree of pressurization due to the compression of the spring,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pressing of the superconducting wir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wire surface.

도 1은 종래의 초전도 선재의 연속형 임계전류 측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의 연속형 임계전류 측정장치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널링 접합부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널링 접합부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널링 접합부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극저온 전극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극저온 전극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극저온 전극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의 연속형 임계전류 측정장치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측정장치와 본 발명의 측정장치의 임계전류 측정결과를 비교한 실험데이터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ontinuous critical current measuring apparatus for a superconducting wi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continuous critical current measuring apparatus for a superconducting wir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knurled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knurled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knurled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yogenic electrod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yogenic electrod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yogenic electrod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continuous critical current measuring apparatus for a superconducting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experimental data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of the critical current of the conventional measuring apparatus and the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 repeated description, a known function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의 연속형 임계전류 측정장치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continuous critical current measuring apparatus for a superconducting wi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크게 가압장치(100)와 가압로드(110)로 연결된 극저온 전극(200), 극저온 전극(200)의 하면에 형성된 널링 접합부(300), 초전도 선재(10)를 밑에서 받치는 지지부(400)로 구성되어 있다.2,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ughly includes a cryogenic electrode 200 connected by a pressurizing device 100 and a pressing rod 110, a knurling joint 300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ryogenic electrode 200, And a supporter 400 for supporting the superconducting wire 10 from below.

가압장치(100)는 가압로드(110)를 상하단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로 극저온 전극(200)이 초전도 선재(10)를 가압 또는 감압하도록 하는 장치이다.The pressurizing device 100 is a device for moving the pressurizing rod 110 to the upper and lower ends. The cryogenic electrode 200 presses or depressurizes the superconducting wire 10.

가압로드(110)의 하단으로 극저온 전극(200)이 결합되어 있다. 극저온 전극(200)은 가압로드(110)와 단단히 고정되어 가압장치(100)의 상하작동에도 가압로드(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The cryogenic electrode 20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rod 110. The cryogenic electrode 200 is firmly fixed to the pressing rod 110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pressing rod 110 even when the pressing device 100 is vertically moved.

극저온 전극(200)은 전류가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저항이 낮은 Cu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극저온 전극(200)의 하면에 널링 접합부(300)가 형성되어 있다. 널링 접합부(300)는 매쉬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소프트 금속으로 구성되어 극저온 전극(200)과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다.The cryogenic electrode 200 is preferably composed of Cu having a low resistance so that current can flow smoothly. A knurled joint 30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ryogenic electrode 200. The knurled joint 300 is formed of a soft metal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ryogenic electrode 200.

극저온 전극(200)은 종래의 극저온 전극보다 초전도 선재(10)와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되어 장착될 수 있다. 극저온 전극(200)의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열방출이 용이하고, 극저온으로 유지하는데 유리한 구조를 가진다.The cryogenic electrode 200 may be modified and mounted in various embodiment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superconducting wire 10 than the conventional cryogenic electrode. By increasing the surface area of the cryogenic electrode 200, it is easy to dissipate heat and has a structure advantageous for keeping it at a cryogenic temperature.

극저온 전극(200)의 일면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도록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연결부(210)가 형성되어 있다.On one side of the cryogenic electrode 200, a power connection part 210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so that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널링 접합부(300)는 가공이 용이하고 산화반응이 적은 인듐, 납이나 합금재질의 우드 메탈(wood? metal), 로즈 메탈(rose? metal), 비듐을 함유한 필드 메탈(field? metal), 켈로 합금(CS ALLOYS SAFE LOW 136, 117)과 같은 소프트 금속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knurled joint 300 is made of indium, lead or alloy wood metal, rose metal, field metal having low oxidation reaction, and metal oxide, Alloy (CS ALLOYS SAFE LOW 136, 117).

널링 접합부(300)를 소프트 금속으로 구성함으로써 초전도 선재(10)의 접촉면에 따라 변형이 되어 접촉면적을 최적화 시킬 수 있다. 즉, 접촉면적을 극대화 시킴으로써 접촉저항을 감소시키고, 기존의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 측정장치에서 발생되었던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를 발휘한다. 국부적인 면접촉으로 인하여 실험 결과의 한계가 있던 점을 개선하는 점에서 본 발명은 임계전류 측정의 실험데이터에 신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실험의 폭 역시 넓힐 수 있는 기술이다.The knurled joint 300 is made of soft metal, so that it can be deformed along the contact surfac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to optimize the contact area. That is, by maximizing the contact area, the contact resistance is reduced, and the noise generated in the critical current measuring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superconducting wire is not generated.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experimental data of the critical current measurement and broadens the width of the experiment in that it has the limitation of the experimental result due to the local surface contact.

널링 접합부(300)에 형성된 돌기부 각각은 사각뿔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육면체 또는 반구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든 형상은 측정대상인 초전도 선재(10)와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초전도 선재(10)의 표면에 손상없이 임계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측정환경에 따라 일부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다.Each of the protrusions formed on the knurled joint 300 may have a quadrangular pyramid shape, but it may be a hexahedral or hemispherical shape. All of these shapes are configured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superconducting wire 10 to be measured and to measure the critical current without damaging the surfac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and can be partially modifi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environment.

가압로드(110)는 절연체로 구성되어 전기적인 안정성을 높이고, 극저온 전극(200)의 하강에 따른 초전도 선재(10)의 가압에도 극저온 전극(200)이 흔들리지 않도록 가압장치(100)에 고정된다.The pressing rod 110 is composed of an insulator so as to improve the electrical stability and is fixed to the pressing device 100 so that the cryogenic electrode 200 is not shaken even when the superconducting wire 10 is pressed by the falling of the cryogenic electrode 200.

극저온 전극(200)의 일측면에는 포그절연부(500)가 결합될 수 있다. 포그절연부(500)는 극저온 전극(200)으로부터 전기가 흐르지 않도록 절연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극저온 전극(200)의 일측면에 흔들리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A fog insulator 500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ryogenic electrode 200. The fog insulator 500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o that electricity does not flow from the cryogenic electrode 200 and is firmly fixed to one side of the cryogenic electrode 200.

극저온 전극(200)의 일측면에는 전류가 인가되는 전원연결부(210)가 형성되어 있다.The cryogenic electrode 200 has a power connection part 210 to which a current is applied.

포그절연부(500)는 포그핀(600)과 극저온 전극(200)간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절연소재로 구성되며 동시에 포그핀(600)이 극저온 전극(200)의 상하 이동과 동시에 움직일 수 있도록 극저온 전극(200)의 측면에 결합되고, 하면으로 포그핀(600)이 장착되어 있다.The fog insulator 500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o that the fog pin 600 is in contact with the cryogenic electrode 200 to prevent current from flowing therethrough and at the same time the fog pin 600 moves along with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cryogenic electrode 200 Temperature electrode 200, and a fog pin 600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ryo-electrode 200. FIG.

포그핀(600)은 전압측정을 위하여 형성된 구성으로, 전기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포그핀(600)이 종래의 측정장치의 절연탭 역할을 수행하여, 초전도 선재(10)의 전류세기에 따른 급작스런 저항발생시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og pin 60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electric conductivity and is formed for measuring a voltage. Therefore, the fog pin 600 serves as an insulation tab of the conventional measuring device, and the voltage can be measured when a sudden resistance occurs according to the current intensity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포그핀(600)은 2단의 절첩식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스프링(630)이 장착되어 있다. 가압장치(100)의 가압정도에 따라 포그핀(600)의 1단(610)이 2단(620)의 내부로 절첩된다. 포그핀(600)의 내부에는 스프링(630)이 장착되어 있어, 1단(610)이 다시 외부로 복원될 수 있으며, 스프링(630)의 압축정도에 따라 가압정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장착되어 있다.The fog pin 600 is composed of a folding type of two stages and has a spring 630 mounted therein. The first stage 610 of the fog pin 600 is folded into the second stage 620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ssing of the pressurizing device 100. A spring 630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fog pin 600 so that the first stage 610 can be restored to the outside and a senso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pressing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ression of the spring 630 is mounted .

스프링(630)의 압축정도가 과도하여 초전도 선재(10)의 표면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기설정된 가압수준으로 사용자가 이를 제어할 수 있다.The user can control the compression level of the spring 630 to a predetermined pressure level so as not to damage the surfac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임계전류 측정시 초전도 선재(10)에 갑작스런 저항이 발생되므로, 이를 측정하기 위해 종래에는 극저온 전극이외 전압탭을 별도의 가압장치에 연결하였다.Sudden resistance occurs in the superconducting wire 10 when measuring the critical current. To measure this, a voltage tap other than the cryogenic electrode was conventionally connected to a separate pressure device.

하지만, 본 발명은 극저온 전극(200)의 일 측면에 포그핀(600)과 포그절연부(500)를 연결하여 별도의 가압장치 없이 종래의 전압탭 역할을 발휘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가압장치만으로 초전도 선재(10)의 임계전류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면에서도 저렴하며, 포그핀(600)을 2단의 절첩식 구조로 하여 과도한 가압없이 임계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g pin 600 and the fog insulator 500 can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ryogenic electrode 200, so that a conventional voltage tap function can be exerted without a separate pressure device. That is, since the critical current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can be measured using only one pressurizing device, it is also inexpensive in terms of manufacturing cost, and the fog pin 600 has a two-step folding structure and the critical current is measured without excessive pressure .

도 3은 본 발명의 널링 접합부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널링 접합부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널링 접합부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할 때, 널링 접합부(300)는 복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돌기부는 베이스부(320)로부터 초전도 선재(10)를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각각의 돌기부는 도 3과 같이 사각뿔(311)이거나, 도 4와 같이 반구형(312)이거나, 도 5와 같이 육면체(313)로 형성될 수 있다.3 to 5, the knurled joint 3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each of the protrusions protrudes from the base 320 toward the superconducting wire 10, 3, a quadrangular pyramid 311 as shown in FIG. 4, a hemispherical shape 312 as shown in FIG. 4, or a hexahedron 313 as shown in FIG.

도 3과 같이 돌기부가 단면이 삼각형인 사각뿔(311)로 형성되어 극저온 전극과 초전도 선재와 접촉면적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돌기부를 반구(312)로 형성하여 보다 많은 접촉면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임계전류 측정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열침입을 방지하고, 접촉저항을 감소시켜 노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사각뿔(311)은 초전도 선재와 접촉하는 부분이며, 가압 정도에 따라 변형된다. 다시 말해, 가압장치(100)가 극저온 전극(200)을 하강시켜 초전도 선재(10)의 표면으로 널링 접합부(300)를 가압할 경우, 사각뿔(311)이 초전도 선재(10)의 표면에 따라 변형되므로 최대의 접촉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접촉면적의 증가로 접촉저항을 감소시켜 노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protrusion is formed of a triangular pyramid 311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thereby maximiz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ryogenic electrode and the superconducting wire. Since the protrusions are formed by the hemispheres 312 to have more contact surfac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rusion of heat from the outside when measuring the critical current, and to reduce the contact resistance and suppress the noise generation. The quadrangular pyramid 311 made of a deformable material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uperconducting wire and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ssing. In other words, when the pressurizing device 100 lowers the cryogenic electrode 200 and presses the knurled joint 300 onto the surfac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the quadrangular pyramid 311 deforms along the surfac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The maximum contact area can be obtained. The increase of the contact area reduces the contact resistance and suppresses noise generation.

또 다른 실시예로 도 4와 같이 돌기부가 단면이 반원인 반구형(312)으로 형성하여 극저온 전극과 초전도 선재와 접촉면적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는 초전도 선재와 닿는 부분을 완만하게 하여 돌기부가 형성된 널링 접합부의 가압에도 초전도 선재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는다. 돌기부를 반구(312)로 형성하여 보다 많은 접촉면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임계전류 측정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열침입을 방지하고, 노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사각뿔(311)은 초전도 선재와 접촉하는 부분이며, 가압 정도에 따라 변형된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hemispheres 312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to maximize the contact area with the cryogenic electrode and the superconducting wire. This is because the surfac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is not damaged even when the knurled joint where the protrusions are formed is pressed. Since the protrusions are formed by the hemispheres 312 to have more contact surfac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rusion of heat from the outside when measuring the critical current and suppress the generation of noise. The quadrangular pyramid 311 made of a deformable material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uperconducting wire and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ssing.

다시 말해, 돌기부(312)를 반구형으로 형성할 경우 사각뿔(311)보다 많은 접촉면을 유지하면서 초전도 선재(10)의 표면에 대응하여 변형되므로, 돌기부가 사각뿔(311)인 경우보다 접촉면 증가에 따른 접촉저항 감소의 효과가 크므로, 노이즈 발생억제에 보다 유리한 구조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protrusion 312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the protrusions 312 are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while maintaining more contact surfaces than the quadrangular pyramids 311, Since the effect of reducing the resistance is large, it is more advantageous in suppressing noise generation.

또 다른 실시예로 도 5와 같이 돌기부가 단면이 사각형인 육면체(313)로 형성하여 극저온 전극과 초전도 선재와 접촉면적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는 초전도 선재와 닿는 부분을 평탄하게 하여 다른 실시예들보다 가장 초전도 선재의 표면에 주는 집중하중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부가 형성된 널링 접합부의 가압에도 초전도 선재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는다. 돌기부를 육면체(313)로 형성하여 보다 많은 접촉면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임계전류 측정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열침입을 방지하고, 접촉면 증가에 따른 접촉저항 감소로 노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사각뿔(311)은 초전도 선재와 접촉하는 부분이며, 가압 정도에 따라 변형된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by a hexahedron having a quadrangular cross section to maximize a contact area between the cryogenic electrode and the superconducting wire. This makes it possible to avoid a concentrated load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more than other embodiments by flattening the portion contacting the superconducting wire. Therefore, the surfac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is not damaged even when the knurled joint portion formed with the protruding portion is pressed. Since the protrusions are formed by the hexahedron 313 to have more contact surfac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rusion of heat from the outside when measuring the critical current, and to suppress the noise generation due to the reduction of the contact resistance as the contact surface increases. The quadrangular pyramid 311 made of a deformable material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uperconducting wire and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ssing.

널링 접합부(300)는 초전도 선재(10)의 접촉 표면에 따라 변형될 수 있는 소프트 금속으로 구성된다.The knurled joint 300 is composed of a soft metal that can be deformed along the contact surfac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다시 말해, 널링 접합부(300)는 널링 처리가 가능하고 극저온 전극(800)에 접합이 용이하며 대기온도에서 산소와 접촉하여도 산화반응이 적은 인듐, 납과 같은 소프트 금속으로 구성된다. 또한, 우드 메탈(wood? metal), 로즈 메탈(rose? metal), 비듐을 함유한 필드 메탈(field? metal), 켈로 합금(CS ALLOYS SAFE LOW 136, 117)과 같은 합금소재를 사용하여도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e knurled joint 300 is composed of a soft metal such as indium and lead, which can be knurled and easily joined to the cryogenic electrode 800, and which has little oxidation even when brought into contact with oxygen at ambient temperatur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lloy materials such as wood metal, rose metal, field metal with metal, and Kallo alloy (CS ALLOYS SAFE LOW 136, 117). Do.

이와 같은 소프트 금속이나 합금소재의 널링 접합부(300)를 구성함으로써 장기간의 임계전류 측정에 따른 초전도 선재(10)의 표면 변형에도 접촉을 극대화할 수 있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전극의 가공 및 교체공정 없이 초전도 선재(10)의 임계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By configuring the knurled joint 300 of such a soft metal or alloy material,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ontact with the surface deformation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due to the long-term critical current measurement and to use it semi-permanently, And the critical current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can be measured without replacement.

또한, 널링 접합부(300)가 변형될 수 있는 특성상 접촉면 증가에 따른 접촉저항을 감소시켜 노이즈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위치 재현성이 있는 측정이 가능하여 신뢰성있는 실험결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that the knurled joint 300 can be deformed, the contact resistance due to the increase of the contact surface is reduced to suppress noise generation, and the positional reproducibility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thereby obtaining reliable experimental results.

상기 실시예의 형상뿐 아니라, 다각형 구조의 돌기부(3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매쉬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Not only the shape of the embodiment but also the protrusion 310 having a polygonal structure may be formed in a mesh shape.

널링 접합부(300)는 극저온 전극(200)의 하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되어 별도의 조립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널링 접합부(300)가 마모되거나, 하자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극저온 전극(200) 전체의 교체가 아닌 널링 접합부(300) 만의 교체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The knurled joint 30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ryogenic electrode 200, or may be separately formed into a separate assembly. That is, if the knurled joint 300 is worn or defective, the user can solve the problem by replacing only the knurled joint 300, not replacing the entire cryogenic electrode 200.

도 6은 본 발명의 극저온 전극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극저온 전극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극저온 전극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yogenic electrod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ryogenic electrod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of Korea.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할 때, 극저온 전극(200)은 종래의 극저온 전극보다 표면적을 증가시켜 열교환에 유리한 구조이다. 따라서, 극저온 상태로 유지하기 유리하며, 초전도 선재(10)의 임계전류 측정결과에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6 to 8, the cryogenic electrode 200 has a structure which is advantageous for heat exchange by increasing the surface area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ryogenic electrode.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to maintain the cryogenic temperature stat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the critical current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can be increased.

도 6을 참조하면, 극저온 전극의 제1 실시예(220)는 상면에 가압로드(110)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120)에 가압로드가 삽입고정되어 극저온 전극(200)이 가압로드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6,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ryogenic electrode 220, the coupling groove 120 into which the pressing rod 110 can be insert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pressure ro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coupling groove 120 so that the cryogenic electrode 200 is firmly fixed to the pressure rod.

극저온 전극의 제1 실시예(220)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며, 최대한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몸체부(222)에 돌출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극저온 전극의 제1 실시예(220)의 측면은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embodiment 220 of the cryogenic electrode is formed to be bilaterally symmetrical, and a protrusion 221 is formed on the body portion 222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as much as possible. In other words,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mbodiment 220 of the cryogenic electrode is formed with irregularities.

종래의 극저온 전극은 육면체 형상이었으나, 본 발명과 같이 돌출부(221)를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극저온 전극의 표면적을 증가시켰다. 이와 같은 구조로 극저온 유지에 유리하며, 임계전류 측정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험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극저온 전극의 측면을 돌출 및 함몰되게 구성하여 종래의 극저온 전극과 같은 중량의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표면적이 더 넓어 극저온을 유지하는데 유리한 효과를 발휘한다.Although the conventional cryogenic electrode has a hexahedron shape, the protruding portion 221 is additionally provid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cryogenic electrode. With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xperimental environment that is advantageous in maintaining the cryogenic temperature and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 of the critical current measurement. In addition, since the side surface of the cryogenic electrode is protruded and depressed, the surface area is wider even when the same weight material as the conventional cryogenic electrode is used, which is advantageous in maintaining the cryogenic temperature.

돌출부(221)는 극저온 전극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초전도 선재와 닿는 하면은 최대한 길도록 연장 형성되어 초전도 선재(10)와의 접촉을 넓게 한다.The protrusions 221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yogenic electrode, and the lower surface contacting with the superconducting wire is extended as far as possible to widen the contact with the superconducting wire.

설명의 편의상 도 6의 극저온 전극의 제1 실시예는 몸체부(222)에 돌출부(221)를 4개 형성하고 있으나, 극저온 전극의 표면적을 최대한 넓히기 위해 개수를 달리하여 변형실시할 수 있다.For the sake of simplicity,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ryogenic electrode shown in FIG. 6 has four protrusions 221 formed on the body 222. However, in order to maximize the surface area of the cryogenic electrode, the number of protrusions 221 may be varied.

도 7을 참조하면, 극저온 전극의 제2 실시예(230)는 상면에 가압로드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120)에 가압로드가 삽입고정되어 극저온 전극이 가압로드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7, in the second embodiment 230 of the cryogenic electrode, a coupling groove 120 into which a pressing rod can be insert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pressure ro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coupling groove 120 so that the cryogenic electrode is firmly fixed to the pressure rod.

극저온 전극의 제2 실시예(230)는 육면체의 몸체부(232)에 측면을 관통하는 하나이상의 관통홀(2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관통홀(231)을 형성함으로써 극저온 전극의 제2 실시예의 표면적을 극대화 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열교환에 유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230 of the cryogenic electrode, one or more through holes 231 penetrating the side surface of the hexahedron body portion 232 are formed. By forming the through holes 231 as described above, the surface area of the cryogenic electrode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maximized, and accordingly, a structure favorable for heat exchange can be obtained.

다시 말해, 각각의 관통홀(231)은 내주면이 표면적의 증가분이 되어, 극저온 전극의 표면적을 증가시켰다.In other words, each of the through-holes 231 has an increased inner surface area as the surface area, thereby increasing the surface area of the cryogenic electrode.

설명의 편의상 도 7의 극저온 전극의 제1 실시예는 몸체부(232)에 관통홀(231)을 2개 형성하고 있으나, 극저온 전극의 표면적을 최대한 넓히기 위해 개수를 달리하여 변형실시할 수 있다.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ryogenic electrode of FIG. 7 has two through holes 231 formed in the body portion 232, but 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231 may be varied to maximize the surface area of the cryogenic electrode.

도 8을 참조하면, 극저온 전극의 제3 실시예(240)는 극저온 전극의 제3 실시예(240)는 상면에 가압로드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120)에 가압로드가 삽입고정되어 극저온 전극(200)이 가압로드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8, in the third embodiment 240 of the cryogenic electrode, the third embodiment 240 of the cryogenic electrode is formed with the coupling groove 120 into which the pressing rod can be inserted. The pressure ro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coupling groove 120 so that the cryogenic electrode 200 is firmly fixed to the pressure rod.

극저온 전극의 제3 실시예(240)는 몸체부(242)의 측면이 만곡지게 형성되고, 만곡지지 않은 측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241)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242)는 상부(243) 또는 하부(245)의 수평단면넓이가 중부(244)의 수평단면넓이보다 크고, 중부(244)에서부터 상부(243) 또는 하부(245)로 갈수록 수평단면넓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어있다. 즉, 몸체부(242)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부에 만곡부(246)가 형성되어 중부(244)에서 상부(243) 또는 하부(245)로 갈수록 변의 길이가 증가하는 형상이다.In the third embodiment 240 of the cryogenic electrode,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42 is curved,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241 penetrating the uneven surface is formed. The body section 242 has a horizontal sectional width of the upper portion 243 or the lower portion 245 larger than a horizontal sectional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244 and a horizontal sectional width from the central portion 244 to the upper portion 243 or the lower portion 245 Is increased. That is, the curved portion 246 is formed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242 facing each other, and the length of the side portion increases from the middle portion 244 toward the upper portion 243 or the lower portion 245.

몸체부(242)의 만곡하지 않는 타 측면부는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241)이 형성되어 있다.The other non-curved side surfac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42 is formed flat and has at least one through hole 241 penetrating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이와 같이, 극저온 전극의 제3 실시예(240)는 몸체부(242)의 측면에 만곡부(246)를 형성하고, 만곡하지 않는 측면을 서로 관통하도록 관통홀(241)이 형성되어,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열교환에 유리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극저온 상태로 유지하기 용이하여, 초전도 선재(10)의 실험결과에 신뢰성을 높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embodiment 240 of the cryogenic electrode has the curved portion 246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42, and the through hole 241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non-curved side surfaces, Which is advantageous for heat exchange. Therefore, it is easy to maintain the cryogenic temperature condition, and an environment in which the reliability of the test result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can be enhanced is provided.

도 9는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의 연속형 임계전류 측정장치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continuous critical current measuring apparatus for a superconducting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크게 가압장치(100)와 가압로드(110)로 연결된 가압부(700), 초전도 선재(10)의 하면에서 접촉지지하는 널링 접합부(300), 널링 접합부(300)의 하면에 접합된 극저온 전극(200)으로 구성되어 있다.9,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ughly includes a pressing unit 700 connected to a pressurizing device 100 and a pressing rod 110, a knurled joint 300 And a cryogenic electrode 200 joi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knurled joint 300.

이 때, 극저온 전극(200)의 하면으로 넓은 평상의 지지부(400)가 결합되어 있고, 극저온 전극(200)의 일측면으로 포그핀(600)이 장착된 포그절연부(500)가 결합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wide flat support portion 40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ryogenic electrode 200, and the fog insulated portion 500 having the fog pin 600 mounted on one side of the cryogenic electrode 200 may be coupled hav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달리, 극저온 전극(200) 및 널링 접합부(300)가 초전도 선재(10)의 하면에 있고, 하나의 가압장치(100)를 이용하여 초전도 선재(10)를 가압하는 방식이므로, 포그절연부(500)가 반드시 극저온 전극(200)에 결합될 필요 없이 이격되어 지지부(400) 상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cryogenic electrode 200 and the knurled joint 300 ar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and the single superconducting wire 100 10, the fog insulator 5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er 400 without being necessarily coupled to the cryogenic electrode 200.

가압부(700)는 가압로드(110)와 단단히 고정되어 가압장치(100)의 상하작동에도 가압로드(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가압로드(110)는 절연체로 구성되어 전기적인 안정성을 높이고, 가압부(700)의 하강에 따른 초전도 선재(10)의 가압에도 극저온 전극(700)이 흔들리지 않도록 가압장치(100)에 고정된다.The pressing portion 700 is firmly fixed to the pressing rod 110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pressing rod 110 even when the pressing device 100 is vertically moved. The pressing rod 110 is composed of an insulator so as to enhance the electrical stability and is fixed to the pressing device 100 so that the cryogenic electrode 700 is not shaken even when the superconducting wire 10 is pressed down as the pressing portion 700 is lowered.

가압장치(100)는 가압로드(110)를 상하단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로, 가압로드(110)와 연결된 가압부(700)를 수직이동시켜 초전도 선재(10)를 가압 또는 감압하는 장치이다. 즉, 가압장치(100)의 작동에 따라 가압부(700)의 하강이동으로 초전도 선재(10)를 누르며, 초전도 선재(10)의 하면이 널링 접합부(300)에 접촉하도록 한다.The pressurizing device 100 is a device for moving the pressurizing rod 110 to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presses or depressurizes the superconducting wire 10 by vertically moving the pressurizing part 700 connected to the pressurizing rod 110. The lower surfac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knurled joint 300 by pressing down the superconducting wire 10 by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pusher 7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surizing device 100. [

널링 접합부(300)는 가공이 용이하고 산화반응이 적은 인듐, 납이나 합금재질의 우드 메탈(wood? metal), 로즈 메탈(rose? metal), 비듐을 함유한 필드 메탈(field? metal), 켈로 합금(CS ALLOYS SAFE LOW 136, 117)과 같은 소프트 금속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knurled joint 300 is made of indium, lead or alloy wood metal, rose metal, field metal having low oxidation reaction, and metal oxide, Alloy (CS ALLOYS SAFE LOW 136, 117).

널링 접합부(300)를 소프트 금속으로 구성함으로써 초전도 선재(10)의 접촉면에 따라 변형이 되어 접촉면적을 최적화 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널링 접합부(300)가 초전도 선재(10)의 하면형상에 따라 변형되어 초전도 선재(10)와 닿는 면적을 극대화시키는 구조이며, 그에 따른 접촉저항을 현저히 감소하여 노이즈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변형될 수 있는 소재로 널링 접합부(300)를 구성하여 초전도 선재(10)와 닿는 면적을 최대화 시켰으며, 접촉면을 증가시키기 유리한 구조로써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기존의 초전도 선재 임계전류 측정장치에서 존재하는 노이즈를 제거하여 측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knurled joint 300 is made of soft metal, so that it can be deformed along the contact surfac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to optimize the contact area. In other words, the knurled joint 300 has a structure that is de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lower surface shap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to maximize the area contacted with the superconducting wire 10, and thus the contact resistance is remarkably reduced to suppress noise genera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nurled joint 300 that can be deformed to maximize an area contacted with the superconducting wire 10 and is advantageous in increasing the contact surface, so that no noise is generated. Therefore, the conventional superconducting wire critical current measurement There is a feature that it can measure by removing the existing noise from the device.

널링 접합부(300)에 형성된 돌기부(310) 각각은 사각뿔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육면체 또는 반구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든 형상은 측정대상인 초전도 선재(10)와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초전도 선재(10)의 표면에 손상없이 임계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측정환경에 따라 일부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다.Each of the protrusions 310 formed in the knurled joint 300 may have a quadrangular pyramid shape, but it may be a hexahedral or hemispherical shape. All of these shapes are configured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superconducting wire 10 to be measured and to measure the critical current without damaging the surfac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and can be partially modifi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environment.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널링 접합부(300)는 상기 설시한 널링 접합부(300)의 실시예들로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knurled joint 300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knurled joint 300 described above.

포그절연부(500)는 포그핀(600)과 극저온 전극(200)간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기위해 절연소재로 구성되며 동시에 포그핀(600)이 극저온 전극(200)의 상하 이동과 동시에 움직일 수 있도록 극저온 전극(200)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면으로 포그핀(600)이 장착되어 있다.The fog insulator 500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o that the fog pin 600 is in contact with the cryogenic electrode 200 to prevent current from flowing therethrough and at the same time the fog pin 600 moves along with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cryogenic electrode 200 Temperature electrode 200, and a fog pin 60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포그절연부(500)의 상면에 장착된 포그핀(600)은 전압측정을 위하여 형성된 구성으로, 전기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포그핀(600)이 종래의 측정장치의 절연탭 역할을 수행하여, 초전도 선재(10)의 전류세기에 따른 급작스런 저항발생시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The fog pin 60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g insulator 50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Therefore, the fog pin 600 serves as an insulation tab of the conventional measuring device, and the voltage can be measured when a sudden resistance occurs according to the current intensity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포그핀(600)은 2단의 절첩식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스프링(630)(630)이 장착되어 있다. 가압장치(100)의 가압정도에 따라 포그핀(600)의 1단(610)이 2단(620)의 내부로 절첩된다. 포그핀(600)의 내부에는 스프링(630)이 장착되어 있어, 1단(610)이 다시 외부로 복원될 수 있으며, 스프링(630)의 압축정도에 따라 가압정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장착되어 있다.The fog pin 600 is composed of a folding type of two stages and has springs 630 and 630 mounted therein. The first stage 610 of the fog pin 600 is folded into the second stage 620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ssing of the pressurizing device 100. A spring 630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fog pin 600 so that the first stage 610 can be restored to the outside and a senso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pressing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ression of the spring 630 is mounted .

스프링(630)의 압축정도가 과도하여 초전도 선재(10)의 표면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기설정된 가압수준으로 사용자가 이를 제어할 수 있다.The user can control the compression level of the spring 630 to a predetermined pressure level so as not to damage the surfac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임계전류 측정시 초전도 선재(10)에 갑작스런 저항이 발생되므로, 이를 측정하기 위해 종래에는 극저온 전극이외 전압탭을 별도의 가압장치에 연결하였다.Sudden resistance occurs in the superconducting wire 10 when measuring the critical current. To measure this, a voltage tap other than the cryogenic electrode was conventionally connected to a separate pressure device.

하지만, 본 발명은 지지부(500)의 상면에 포그핀(600)과 포그절연부(500)를 설치하여 극저온 전극(200)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게 함으로써, 추가적인 가압장치 없이 하나의 가압장치만으로도 종래의 전압탭 역할을 발휘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가압장치만으로 초전도 선재(10)의 임계전류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면에서도 저렴하며, 포그핀(600)을 2단의 절첩식 구조로 하여 과도한 가압없이 임계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g pin 600 and the fog insulator 500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er 500 to be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cryogenic electrode 200, so that only one pressurizer Can act as a voltage tap. That is, since the critical current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 can be measured using only one pressurizing device, it is also inexpensive in terms of manufacturing cost, and the fog pin 600 has a two-step folding structure and the critical current is measured without excessive pressure .

극저온 전극(200)의 일측면에는 전류가 인가되는 전원연결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극저온 전극은 육면체의 형상이었으나, 본 발명의 극저온 전극(200)은 상기 언급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같이 돌출부(221), 만곡부(246) 또는 관통홀(231)을 형성하여 액체냉매와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열교환이 유리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종래의 측장장치보다 극저온 상태를 유지하기 용이하며, 냉각에 필요한 냉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The cryogenic electrode 200 has a power connection part 210 to which a current is applied. The conventional cryogenic electrode has a hexahedron shape. However, the cryogenic electrod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protruding portion 221, the curved portion 246, or the through hole 231 as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heat exchange is advantageous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refrigerant. Therefore, it is easier to maintain the cryogenic temperature than the conventional measuring apparatus, and the refrigerant cost required for cooling can be reduced.

도 10은 종래의 측정장치와 본 발명의 측정장치의 임계전류 측정결과를 비교한 실험데이터이다. 즉, 본 실험데이터는 극저온 상태의 초전도 선재에 인가되는 전류를 점차 증가시켜 저항발생정도에 따라 전압을 측정하는 것으로, 0에 가까운 저항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흐를 수 있는 임계전류값을 검출해내는 데이터이다.10 is experimental data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of the critical current of the conventional measuring apparatus and the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present experimental data is to measure the voltage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resistance by gradually increasing the current applied to the superconducting wire in the cryogenic temperature state, and to measure the threshold current value that can flow in a state of maintaining a resistance close to 0 to be.

실험데이터 (A1)은 종래의 측정장치로 얻은 임계전류 시험결과로, 전류가 210A에서 감소하여 220A에서 무한대의 수치로 전압이 측정되었다. 또한, 실험데이터 (A2)는 종래의 측정장치로 얻은 임계전류 시험결과로, 이 역시 250A에서 무한대의 수치로 전압이 측정된다.Experimental data (A1) is the result of a critical current test obtained with a conventional measuring device. The current decreased at 210 A and the voltage was measured at an infinite value at 220 A. The experimental data (A2) is the result of the critical current test obtained by the conventional measuring apparatus, and the voltage is also measured at an infinite value at 250A.

이는 실제 전압과 달리 국부적인 접촉에 의해 노이즈가 발생된 결과이다. 즉, 초전도 선재의 표면형상을 고려하지 않고 극저온전극을 접촉시켜 측정하기 때문에, 접촉저항이 발생하여 신뢰성이 낮은 실험데이터를 얻을 수 밖에 없다.This is the result of noise generated by local contact, unlike actual voltage. That is, since the cryogenic electrod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without taking the surface shap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into consideration, contact resistance is generated and experimental data with low reliability can not be obtained.

실험데이터 (A3) 및 (A4)는 본 발명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같은 초전도 선재를 대상으로 임계전류를 측정한 결과이다. 종래의 실험데이터와 달리 전류를 증가시켜도 전압이 감소하는 구간이 발생하지 않으며 무한대의 수치를 발생하는 지점도 발생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The experimental data (A3) and (A4) are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ritical current for the same superconducting wire using the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experimental data, it can be seen that even if the current is increased, the section where the voltage decreases does not occur and the point where the infinity value is generated does not occur.

즉, 본 발명은 초전도 선재의 표면에 따라 변형이 가능한 소프트 금속이나 합금소재로 구성된 널링 접합부를 구성함으로써 초전도 선재와 최적의 접촉면을 형성하고, 접촉저항 감소에 따른 노이즈 발생을 억제하여 전류를 증가시킴에 따라 전압의 변화를 측정하여 신뢰성이 높은 임계전류 실험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knurled joint composed of a soft metal or an alloy material capable of deforming along the surfac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thereby forming an optimal contact surface with the superconducting wire, increasing the current by suppressing noise generation due to a decrease in contact resistanc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the threshold current test data by measuring the change of the voltag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가 결합된 자탄신관 격침해제용 리본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ibbons for disassembling the coin cask screen having the reinforcemen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modified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10: 초전도 선재 100: 가압장치
200: 극저온 전극 300: 널링 접합부
400: 지지부 500: 포그절연부
600: 포그핀 700: 가압부
10: Superconducting wire 100: Pressure device
200: Cryogenic electrode 300: Knurled joint
400: Support part 500: Fog insulated part
600: Fog pin 700:

Claims (12)

가압로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가압장치;
상기 가압로드의 하면에 결합된 극저온 전극;
상기 극저온 전극의 하면에 형성된 널링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널링 접합부는 하향 돌출된 돌기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 측정장치.
A pressing device for moving the pressing rod up and down;
A cryogenic electrod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rod;
And a knurled joint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ryogenic electrode,
Wherein the knurled joint comprises at least one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널링 접합부는 가압에 따라 변형되는 소프트 금속 및 합금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knurled joint is composed of a soft metal and an alloy material deformed by press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널링 접합부는 인듐, 납, 우드 메탈(wood? metal), 로즈 메탈(rose? metal), 비듐을 함유한 필드 메탈(field? metal), 켈로 합금(CS ALLOYS SAFE LOW 136, 1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knurled joint may be at least one of indium, lead, wood metal, rose metal, field metal containing metal, and a KELLO alloy (CS ALLOYS SAFE LOW 136, 117) Wherein the superconducting tape has a thickness of 1 mm or le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사각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rusion is a quadrangular pyrami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반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is a hemispherical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육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is a hexahedr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극저온 전극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절연소재로 구성된 포그절연부 및 상기 포그절연부에서 상기 초전도 선재 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결합된 포그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og pin coupled to one side of the cryogenic electrode, the fog insulator being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the fog pin being mounted on the fog insulator so as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superconducting wire.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포그핀은 1단 및 2단의 절접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1단과 상기 2단 사이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1단에 복원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og pin is constituted by an abutting type of one step and two steps, and a spring is mounted between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and a restoring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ste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극저온 전극은 전기 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구성된 몸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yogenic electrode comprises a body portion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t least one protrusion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극저온 전극은 전기 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구성된 몸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yogenic electrode comprises a body portion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penetrating a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극저온 전극은 전기 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구성된 몸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만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yogenic electrode comprises a body portion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 curved portion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가압로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가압장치;
상기 가압로드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로드의 상하이동에 따라 초전도 선재를 가압 또는 감압시키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하면에 위치하는 상기 초전도 선재를 하면에서 접촉하는 널링 접합부; 및
상기 널링 접합부의 하면에 형성된 극저온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널링 접합부는 상향 돌출된 돌기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 측정장치.
A pressing device for moving the pressing rod up and down;
A pressing portion that is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rod and presses or depressurizes the superconducting wire according to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pressing rod;
A knurled joint portion in which a bottom surfac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is in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And a cryogenic electrod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knurled joint,
Wherein the knurled joint includes at least one upward protruding protrusion.
KR1020130115853A 2013-09-30 2013-09-30 Critical current measuring devices of superconductor wire KR1020144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853A KR102014411B1 (en) 2013-09-30 2013-09-30 Critical current measuring devices of superconductor w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853A KR102014411B1 (en) 2013-09-30 2013-09-30 Critical current measuring devices of superconductor w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878A true KR20150036878A (en) 2015-04-08
KR102014411B1 KR102014411B1 (en) 2019-08-26

Family

ID=5303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853A KR102014411B1 (en) 2013-09-30 2013-09-30 Critical current measuring devices of superconductor w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41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4006A (en) * 1991-06-10 1992-12-16 Sumitomo Heavy Ind Ltd High temperature oxide superconducting current lead
JPH07272959A (en) * 1994-03-29 1995-10-20 Chubu Electric Power Co Inc Superconducting current limiter
JPH10239260A (en) * 1997-02-25 1998-09-11 Sumitomo Electric Ind Ltd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critical current value of superconductive wire
KR20040056597A (en) * 2002-12-24 2004-07-01 한국전기연구원 Continuous critical current measurement system for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tape
JP2005129658A (en) * 2003-10-22 2005-05-19 Seiko Epson Corp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mounting board and inspection method thereof
JP2009198238A (en) * 2008-02-20 2009-09-03 Totoku Electric Co Ltd Probe need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4006A (en) * 1991-06-10 1992-12-16 Sumitomo Heavy Ind Ltd High temperature oxide superconducting current lead
JPH07272959A (en) * 1994-03-29 1995-10-20 Chubu Electric Power Co Inc Superconducting current limiter
JPH10239260A (en) * 1997-02-25 1998-09-11 Sumitomo Electric Ind Ltd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critical current value of superconductive wire
KR20040056597A (en) * 2002-12-24 2004-07-01 한국전기연구원 Continuous critical current measurement system for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tape
JP2005129658A (en) * 2003-10-22 2005-05-19 Seiko Epson Corp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mounting board and inspection method thereof
JP2009198238A (en) * 2008-02-20 2009-09-03 Totoku Electric Co Ltd Probe need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411B1 (en) 201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04583B (en) Current sensing resisto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20110230105A1 (en) Composite contact assembly having lower contact with contact engaging points offset from each other
US20120129364A1 (en) Electric contact and socket for electrical parts
US20150285840A1 (en) Probe unit
JP2004296301A (en) Contact unit
JP4304189B2 (en) IC socket
JP4879655B2 (en) Socket contact terminal and semiconductor device
JP6491409B2 (en) Contact and semiconductor test equipment
KR20170000572A (en) Probe apparatus for test of electronic device
KR101138964B1 (en) Test socket
KR101767351B1 (en) Aluminum electric wire connection structure
US9831589B2 (en) Compressible pin assembly having frictionlessly connected contact elements
KR20150036878A (en) Critical current measuring devices of superconductor wire
JP2015169518A (en) contact probe
KR102004501B1 (en) Anisotropic conductive sheet
JP2007109414A (en) Socket for integrated circuit
JP3806433B2 (en) Anisotropic conductive sheet and semiconductor inspe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5332817A (en) Electric interconnection assembly
US9570828B2 (en) Compressible pin assembly having frictionlessly connected contact elements
CN114243341A (en) Multi-contact wire coil contact finger and connector using same
JP2009193883A (en) Connection terminal, connector, and semiconductor package
JP4215101B2 (en) Pressure contact type rectifier
JP2001217054A (en) Socket for electric parts
JP5579472B2 (en) Energization inspection device
JP2007285939A (en)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