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6209A - 연료 레일 조립체 - Google Patents

연료 레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6209A
KR20150036209A KR20157002069A KR20157002069A KR20150036209A KR 20150036209 A KR20150036209 A KR 20150036209A KR 20157002069 A KR20157002069 A KR 20157002069A KR 20157002069 A KR20157002069 A KR 20157002069A KR 20150036209 A KR20150036209 A KR 20150036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rail
elements
fuel
support element
in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2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코 메치
다니엘 마르크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36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2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02M55/025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2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several injectors fed by a common pumping element, or having several pumping elements feeding a common injecto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cutting-out pumps, pumping elements, or injectors;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variably interconnecting pumping elements and injectors alternatively
    • F02M63/0225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a common rail feeding several injectors ; Means for varying pressure in common rails; Pumps feeding common rails
    • F02M63/0275Arrangement of 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4Arrangements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s; Mounting of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5Mount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 F02M2200/855Mount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using clamp elements or fastening means, e.g. bolts or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5Mount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 F02M2200/856Mount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ounting injector to fuel or common rail, or vice vers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5Mount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 F02M2200/857Mount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ounting fuel or common rail to eng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 기관(22)용 연료 레일 조립체(40)로서, 연료 레일(18); 복수의 연료 분사기 컵(42A, 42B) - 연료 분사기 컵(42A, 42B)은 연소 기관(22)의 실린더 헤드(24)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설계되며, 직접 또는 관 요소(44A, 44B)를 통해 연료 레일(18)에 유압식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결합됨 - ; 및 실린더 헤드(24)에 확고하게 결합되도록 설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46A, 46B)를 포함하는 연료 레일 조립체(40)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46A, 46B)는 분사기 컵(42A, 42B) 중 2개에 또는 분사기 컵(42A, 42B)에 결합되는 관 요소(44A, 44B) 중 2개에 확고하게 결합된다.

Description

연료 레일 조립체{FUEL RAIL ASSEMBLY}
본 발명은 연소 기관용 연료 레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연소 기관용 연료 레일 조립체는 특히 내연 기관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연료는 연료 레일에 의해 연료 분사기를 통해 내연 기관에 공급될 수 있다. 연료 레일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실린더 헤드에 결합될 수 있다.
내연 기관의 작동 중에 압력 변동을 매우 낮은 수준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내연 기관에는 연료 분사기가 그것에 연결되는 그리고 비교적 큰 체적을 갖는 연료 어큐뮬레이터(fuel accumulator)가 제공된다. 그러한 연료 어큐뮬레이터는 흔히 커먼 레일(common rail) 또는 연료 레일로 지칭된다. 알려진 연료 레일은 연료 분사기 컵 형태의 요홈을 갖춘 중공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연료 분사기 컵은 관에 의해 연료 레일에 결합될 수 있다. 연료 분사기는 연료 분사기 컵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히 제조되고 연료 레일과 실린더 헤드 사이의 신뢰성 있고 정확한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연소 기관용 연료 레일 조립체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 형태가 종속항에 주어진다.
연소 기관용 연료 레일 조립체가 명시된다. 연료 레일 조립체는 연료 레일과 복수의 연료 분사기 컵을 포함한다. 연료 분사기 컵은 특히 연소 기관의 실린더 헤드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구성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연료 분사기 컵은 직접 연료 레일에 유압식으로(hydraulically) 그리고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연료 분사기 컵 각각은 각각의 관 요소를 통해 연료 레일에 유압식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연료 레일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개수의 연료 분사기 컵과 관 요소를 구비하며, 이때 관 요소 각각은 연료 분사기 컵 중 정확히 하나에 할당된다.
바람직하게는, 연료 레일 조립체는 적어도 4개의 연료 분사기 컵을 구비한다. 연료 분사기 컵의 개수는 연소 엔진의 실린더의 개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레일 조립체는 2개의 제1 분사기 컵 및 2개의 제1 분사기 컵과 상이한 2개의 제2 분사기 컵을 구비한다. 하나의 개발에서, 연료 레일 조립체는 2개의 제1 관 요소 및 2개의 제1 관 요소와 상이한 2개의 제2 관 요소를 구비한다. 2개의 제1 관 요소는 2개의 제1 연료 분사기 컵에 결합되고, 2개의 제2 관 요소는 2개의 제2 연료 분사기 컵에 결합된다.
또한, 연료 레일 조립체는 실린더 헤드에 확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를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는 분사기 컵 중 2개에 또는 분사기 컵에 결합되는 관 요소 중 2개에 확고하게 결합된다. 본 맥락에서, 2개의 "확고하게 결합되는" 부분은 특히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는 또한 연료 레일에 인접할 수 있다. 특히, 그것은 또한 예를 들어 납접 또는 용접 접합에 의해 연료 레일에 확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연료 레일 조립체는 제1 지지 요소와 제2 지지 요소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지지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이격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제1 지지 요소는 2개의 제1 연료 분사기 컵에 또는 2개의 제1 관 요소에 확고하게 결합되고, 제2 지지 요소는 2개의 제2 연료 분사기 컵에 또는 2개의 제2 관 요소에 확고하게 결합된다.
하나의 개발에서, 제1 지지 요소는 특히 납접 또는 용접 접합에 의해 제1 연료 분사기 컵에 또는 제1 관 요소에 확고하게 결합되고, 제2 연료 분사기 컵으로부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제2 관 요소로부터 이격된다. 제2 지지 요소는 특히 납접 또는 용접 접합에 의해 제2 연료 분사기 컵에 또는 제2 관 요소에 확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1 연료 분사기 컵으로부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제1 관 요소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연료 레일 조립체는 연료 레일과 분사기 컵 또는 관 요소 사이의 기계적 하중이 작게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는 분사기 컵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생성되는 모멘텀(momentum) 사이의 평형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연료 레일 조립체의 구성요소의 크기가 작게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료 레일 조립체의 비용이 낮을 수 있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는 2개의 인접한 분사기 컵에 또는 2개의 인접한 관 요소에 확고하게 결합된다. 이는 지지 요소가 2개의 인접한 분사기 컵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생성되는 모멘텀 사이의 힘의 평형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2개의 제1 연료 분사기 컵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고, 2개의 제2 연료 분사기 컵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2개의 제1 관 요소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고, 2개의 제2 관 요소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연료 레일은 종축을 따라 연장된다. 제1 및 제2 관 요소는 만곡되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특히, 그것들은 특히 장착 방향을 따른 평면도에서 연료 분사기 컵과 지지 요소가 종축에 대해 측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만곡되거나 구부러진다. 장착 방향은 특히 연료 레일의 종축에 수직한 방향이다. 유리하게도, 지지 요소는 이러한 방식으로 연료 레일 조립체의 장착 및 장착해제(unmounting)를 위해 쉽게 접근가능하다.
예를 들어, 관 요소 각각은, 특히 제1 및 제2 관 요소 각각은 장착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즉 장착 방향에 평행한 유체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과 그것의 상류에 있는, 장착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또는 만곡되어 연장되는 또 다른 부분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지지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장착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또는 만곡되어 연장되는 또 다른 부분의 하류에 있는, 장착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각각의 제1 및 제2 관 요소의 부분에 고정된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는 2개의 분사기 컵 사이에 또는 2개의 관 요소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지지 요소는 2개의 제1 분사기 컵 사이에 또는 2개의 제1 관 요소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지지 요소는 2개의 제2 분사기 컵 사이에 또는 2개의 제2 관 요소 사이에 배치된다.
이는 2개의 분사기 컵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생성되는 모멘텀 사이의 평형이 매우 우수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유리한 개발에서, 지지 요소 또는 지지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거울 대칭(mirror symmetry)을 갖는다. 특히, 그것은 각각의 지지 요소가 그것에 확고하게 결합되는 2개의 인접한 관 요소 또는 분사기 컵 사이에서 연장되는 그리고 2개의 인접한 관 요소 또는 분사기 컵이 바람직하게는 그것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거울면(mirror plane)에 대해 거울 대칭을 갖는다. 특히, 거울면은 장착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하나의 개발에서, 제1 지지 요소는 2개의 제1 관 요소 또는 제1 분사기 컵 사이에서 연장되는 거울면에 대해 거울 대칭을 갖고, 제2 지지 요소는 2개의 제2 관 요소 또는 제2 분사기 컵 사이에서 연장되는 거울면에 대해 거울 대칭을 가지며, 이때 거울면은 특히 연료 레일 조립체의 장착 방향에 평행하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연료 레일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를 실린더 헤드에 확고하게 결합시키도록 설계되는 적어도 2개의 체결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연료 레일 조립체는 제1 지지 요소를 실린더 헤드에 확고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2개의 체결 요소와 제2 지지 요소를 실린더 헤드에 확고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2개의 추가의 체결 요소를 포함한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와 실린더 헤드 사이의 확고한 결합이 얻어질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연료 레일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를 실린더 헤드에 확고하게 결합시키도록 설계되는 하나의 체결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연료 레일 조립체는 제1 지지 요소를 실린더 헤드에 확고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나의, 단 하나의 체결 요소와 제2 지지 요소를 실린더 헤드에 확고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나의, 단 하나의 추가의 체결 요소를 포함한다. 이는 지지 요소를 실린더 헤드에 결합시키기 위해 실린더 헤드에서 단지 소수의 기계 가공 공정만이 수행되어야 하는 이점을 갖는다.
체결 요소와 추가의 체결 요소는 연료 레일 조립체의 장착 방향을 따른 평면도에서 연료 레일이 체결 요소 및 추가의 체결 요소와 중첩되지 않도록 연료 레일에 대해 측방향으로 변위된다. 장착 방향은 특히 체결 요소의 주 연장 방향이다. 유리하게도, 체결 요소는 이러한 방식으로 쉽게 접근가능하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체결 요소 또는 추가의 체결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스크류이다. 이는 체결 요소와 실린더 헤드 사이의 결합이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히 제조되고 연료 레일과 실린더 헤드 사이의 신뢰성 있고 정확한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연소 기관용 연료 레일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가 개략적인 도면의 도움으로 설명된다.
도 1은 내연 기관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연료 레일 조립체의 제1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연료 레일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연료 레일 조립체의 제2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상이한 도면에 존재하는 동일한 설계와 기능의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해 식별된다.
디젤 엔진 또는 가솔린 엔진일 수 있는 내연 기관(22)(도 1)에 연료 공급 장치(10)가 할당된다. 그것은 연료 펌프(14)와 유압식으로 연결되는 연료 탱크(12)를 포함한다. 연료 펌프(14)의 출력부는 연료 레일(18)의 연료 입구(16)에 연결된다. 연료 레일은 종축(L)을 따라 연장된다. 연료 레일(18)에서, 연료는 예를 들어 가솔린 엔진의 경우에 약 200 바 또는 디젤 엔진의 경우에 약 2,000 바의 압력 하에 저장된다.
복수의 연료 분사기(20)가 연료 레일(18)에 연결되고, 연료는 연료 레일(18)을 통해 연료 분사기(20)에 공급된다. 연료 분사기(20)는 내연 기관(22)의 실린더 헤드(24) 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연료 분사기(20)는 실린더 헤드(24)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연료 분사기(20)는 연료를 내연 기관(22)의 연소실(25) 내로 분사하기에 적합하다. 분사 모드에서, 연료는 연료 분사기(20)를 통해 유동할 수 있고, 연소실(25) 내로 분사될 수 있다. 비-분사 모드에서, 연료 분사기(20)를 통한 연료 유동과 연소실(25) 내로의 연료의 분사가 방지된다.
도 2 내지 도 4는 제1 예시적 실시 형태(도 2와 도 3)에 따른 그리고 제2 예시적 실시 형태(도 4)에 따른 연료 레일 조립체(4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연료 레일 조립체(40)는 복수의 연료 분사기 컵(42A, 42B)을 포함한다. 연료 분사기 컵(42A, 42B)은 연료 분사기(20)와 맞물려 있다. 연료 분사기 컵(42A, 42B)은 연료 레일(18)에 유압식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연료 분사기 컵(42A, 42B)은 그것들이 연소 기관(22)의 실린더 헤드(24)를 향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연료 분사기 컵(42A, 42B)은 관(44A, 44B)에 의해 연료 레일(18)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유압식으로 결합된다. 연료 분사기 컵(42A, 42B) 각각은 관(44A, 44B) 중 하나에 결합되며, 예를 들어 그것은 관(44A, 44B)의 단부에 고정된다. 관(44A, 44B)은 연료 레일(18)로부터 연료 분사기 컵(42A, 42B)을 통한 각각의 연료 분사기(20)로의 유체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관(44A, 44B) 각각은 연료 레일 조립체(40)의 장착 방향(D)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곧은 부분(441)과 곧은 부분(441)의 상류에 있는 만곡된 부분(442)을 구비한다. 특히, 연료 분사기 컵(42A, 42B)은 각각의 만곡된 부분(442)의 대향측에서 각각의 곧은 부분(441)에 인접한다. 만곡된 부분(442)에 의해, 곧은 부분(441) - 따라서 연료 분사기 컵(42A, 42B) - 이 연료 레일(18)에 대해 측방향으로 변위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연료 분사기 컵(42A, 42B)은 연료 레일(18)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분사기 컵(42A, 42B)은 연료 레일(18)의 요홈 내에 배치된다.
연료 레일 조립체(40)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46A, 46B)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연료 레일 조립체(40)는 2개의 지지 요소, 즉 제1 지지 요소(46A)와 제2 지지 요소(46B)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지지 요소(46A, 46B)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연료 레일 조립체(40)는 또한 4개의 관, 즉 2개의 제1 관(44A)과 2개의 제2 관(44B)을 구비한다. 연료 레일 조립체(40)가 2개의 제1 관(44A)에 확고하게 결합되는 2개의 제1 연료 분사기 컵(42A)과 2개의 제2 관(44B)에 확고하게 결합되는 2개의 제2 연료 분사기 컵(42B)을 구비하도록 각각의 연료 분사기 컵(42A, 42B)이 관 각각에 고정된다.
지지 요소(46A, 46B)는 브라켓으로서 형상화된다. 지지 요소(46A, 46B)는 관(44A, 44B)에 직접 확고하게 결합된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46A, 46B)는 실린더 헤드(24)와 관(44A, 44B) 중 2개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 요소(46A)는 납접 또는 용접 접합에 의해 2개의 제1 관(44A)의 각각의 곧은 부분(441)에 확고하게 결합된다. 그것은 2개의 제2 관(44B)으로부터 그리고 2개의 제2 연료 분사기 컵(42B)으로부터 이격된다. 제2 지지 요소(46B)는 납접 또는 용접 접합에 의해 2개의 제2 관(44B)의 각각의 곧은 부분(441)에 확고하게 결합된다. 그것은 2개의 제1 관(44A)으로부터 그리고 2개의 제1 연료 분사기 컵(42A)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요소(46A, 46B)의 무게 중심이 연료 레일(18)에 대해 측방향으로 변위된다. 특히, 지지 요소(46A, 46B)는 종축(L)과 장착 방향(D)에 의해 한정되는 거울면(mirror plane)에 대해 거울 대칭(mirror symmetry)을 갖지 않는다.
특히, 제2 분사기 컵(42B)을 향하는 하나의 제1 분사기 컵(42A)과 제1 분사기 컵(42A)을 향하는 하나의 제2 분사기 컵(42B) 사이의 거리에 의해 종방향 갭(47)이 한정된다(도 3 참조). 종방향 갭(47)은 종방향(L)으로 제1 지지 요소(46A)와 제2 지지 요소(46B) 사이에 배치된다. 지지 요소(46A, 46B)는 특히 종방향 갭(47)과 중첩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지지 요소(46A)는 2개의 제1 관(44A)의 종방향 위치 사이의 종방향 위치에서 연료 레일(18)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지지 요소(46B)는 2개의 제2 관(44B)의 종방향 위치 사이의 종방향 위치에서 연료 레일에 인접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지지 요소(46A, 46B)는 분사기 컵(42A, 42B)에 직접 결합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46A, 46B)는 실린더 헤드(24)와 분사기 컵(42A, 42B) 중 2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및 제2 지지 요소(46A, 46B) 각각은 각각의 지지 요소(46A, 46B)로 고정되는 각각의 2개의 인접한 제1 또는 제2 관(44A, 44B) 사이에서 연장되는 각각의 (가상) 거울면(P)에 대해 거울 대칭을 갖는다(도 3 참조). 상기 2개의 인접한 관(44A, 44B)은 거울면에 대칭으로 배치된다. 거울면(P)은 종축(L)에 수직하게 그리고 제1 및 제2 관(44A, 44B)의 곧은 부분(441)에 평행한 장착 방향(D)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요소(46A, 46B)는 납접(brazing)에 의해 관(44A, 44B)에 또는 분사기 컵(42A, 42B)에 결합된다. 납접은 내연 기관(22)의 공간 조건 하에서 매우 우수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지지 요소(46A, 46B)는 용접에 의해 관(44A, 44B)에 또는 분사기 컵(42A, 42B)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형태에서, 지지 요소(46A, 46B)는 각각이 분사기 컵(42A, 42B) 중 하나에 유압식으로 결합되는 2개의 인접한 관(44A, 44B)에 확고하게 결합된다.
연료 레일 조립체(40)는 또한 지지 요소(46A, 46B)와 맞물리는 체결 요소(48)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의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체결 요소(48)는 지지 요소와 실린더 헤드(24)의 간단한 결합을 허용하는 스크류이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체결 요소(48)는 또 다른 유형을 가질 수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지지 요소(46A, 46B) 각각은 2개의 관통 구멍(50)을 구비한다. 체결 요소(48) 각각은 각각의 지지 요소(46A, 46B) 내의 관통 구멍(50) 중 하나 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지지 요소(46A, 46B)가 실린더 헤드(24)에 확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장착 방향(D)은 특히 지지 요소(48)가 관통 구멍(50) 내에 수용될 때 지지 요소(48)의 주 연장 방향에 해당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지지 요소(46A, 46B) 각각은 체결 요소(48) 중 하나가 그것 내에 배치되는 단일 관통 구멍(50)을 구비한다.
양쪽 실시 형태에서, 체결 요소(48)는 연료 레일 조립체(40)의 장착 방향(D)을 따른 평면도에서 연료 레일(18)이 체결 요소(48)와 중첩되지 않는 방식으로 연료 레일(18)에 대해 측방향으로 변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체결 요소는 연료 레일(18) 옆에서 관통 구멍(50) 내로 쉽게 삽입될 수 있고, 연료 레일 조립체(40)를 실린더 헤드(24)에 고정시키기 위해 쉽게 접근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압력과 실린더 헤드(24)의 기계적 응력에 의해 유발되는 힘(F)이 연료 분사기 컵(42A, 42B)에 작용한다. 이들 힘(F)은 특히 관(44A, 44B)과 연료 레일(18) 사이의 접합부에 모멘텀(momentum)(M)을 유발할 수 있다. 모멘텀(M)은 도 3에 반원형 화살표에 의해 표현된다. 브라켓으로서 설계되는 지지 요소(46A, 46B)는 2개의 인접한 연료 분사기 컵(42A, 42B)에 작용하는 힘(F)에 의해 생성되는 모멘텀(M) 사이의 균형을 이룬 평형을 허용한다. 결과적으로, 연료 레일(18)과 관(44A, 44B) 또는 연료 레일(18)과 연료 분사기 컵(42A, 42B) 사이의 기계적 하중이 작게 유지될 수 있다.
지지 요소(46A, 46B)는 연료 레일 조립체(40)의 2개의 인접한 연료 분사기 컵(42A, 42B)에 작용하는 힘(F)에 의해 생성되는 자동-평형 모멘텀(M)을 생성한다. 따라서, 관(44A, 44B)과 연료 레일(18) 사이의 접합부의 비틀림 또는 굽힘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멘텀(M)이 회피될 수 있다. 특정 조건 하에서, 연료 레일(18)과 관(44A, 44B) 사이의 접합부에서의 힘이 유사한 하중 및 압력 조건을 고려할 때 약 40%만큼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지 요소(46A, 46B)는 기본적으로 전이력(transitional force)을 흡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료 레일(18)과 관(44A, 44B) 사이의 접합부의 높은 신뢰성이 얻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료 레일(18) 및 관 요소(44A, 44B)와 같은 연료 레일 조립체(40)의 구성요소의 크기가 작게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료 레일 조립체(40)에 대한 낮은 비용이 얻어질 수 있다.
10: 연료 공급 장치 12: 연료 탱크
14: 연료 펌프 16: 연료 입구
18: 연료 레일 20: 연료 분사기
22: 내연 기관 24: 실린더 헤드
25: 연소실 40: 연료 레일 조립체
42A, 42B: 연료 분사기 컵 44A, 44B: 관
46A, 46B: 지지 요소 47: 종방향 갭
48: 체결 요소 50: 관통 구멍
441: 곧은 부분 442: 만곡된 부분

Claims (11)

  1. 연소 기관(22)용 연료 레일 조립체(40)로서, 상기 연료 레일 조립체(40)는
    - 연료 레일(18),
    - 적어도 4개의 연료 분사기 컵(42A, 42B) - 연료 분사기 컵(42A, 42B) 각각은 연소 기관(22)의 실린더 헤드(24)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구성되며, 직접 또는 각각의 관 요소(44A, 44B)를 통해 연료 레일(18)에 유압식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결합됨 - ; 및
    - 각각이 실린더 헤드(24)에 확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지지 요소(46A, 46B)
    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지지 요소(46A, 46B)는 서로 이격되며,
    제1 지지 요소(46A)는 4개의 분사기 컵(42A, 42B) 중 2개의 제1 분사기 컵(42A)에 또는 각각 2개의 제1 분사기 컵(42A)에 결합되는 각각의 2개의 제1 관 요소(44A)에 확고하게 결합되고, 제2 지지 요소(46B)는 제1 분사기 컵(42A)과 상이한, 4개의 분사기 컵 중 2개의 제2 분사기 컵(42B)에 또는 제1 관 요소(44A)와 상이한 그리고 제2 분사기 컵(42B)에 결합되는 각각의 2개의 제2 관 요소(44B)에 확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레일 조립체(40).
  2.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제1 관 요소(44A)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고, 2개의 제2 관 요소(44B)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며, 제1 지지 요소(46A)는 납접 또는 용접 접합에 의해 2개의 제1 관 요소(44A)에 확고하게 결합되고 2개의 제2 관 요소(44B)로부터 그리고 2개의 제2 연료 분사기 컵(42B)으로부터 이격되며, 제2 지지 요소(46B)는 납접 또는 용접 접합에 의해 2개의 제2 관 요소(44B)에 확고하게 결합되고 2개의 제1 관 요소(44A)로부터 그리고 2개의 제1 연료 분사기 컵(42A)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레일 조립체(40).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관 요소(44A, 44B)는 장착 방향(D)을 따른 평면도에서 제1 및 제2 연료 분사기 컵(42A, 42B)과 제1 및 제2 지지 요소(46A, 46B)가 연료 레일(18)의 종축(L)에 대해 측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만곡되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레일 조립체(40).
  4. 제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지지 요소(46A, 46B)는 장착 방향(D)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리고 장착 방향(D)에 대해 비스듬히 또는 만곡되어 연장되는 각각의 제1 및 제2 관 요소(44A, 44B)의 부분(442)의 하류에 있는 각각의 제1 및 제2 관 요소(44A, 44B)의 부분(44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레일 조립체(40).
  5.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지지 요소(46A)는 2개의 제1 분사기 컵(42A) 사이에 또는 2개의 제1 관 요소(44A)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지지 요소(46B)는 2개의 제2 분사기 컵(42B) 사이에 또는 2개의 제2 관 요소(44B)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레일 조립체(40).
  6.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지지 요소(46A)는 2개의 제1 관 요소(44A) 또는 제1 분사기 컵(42A) 사이에서 연장되는 거울면(P)에 대해 거울 대칭을 갖고, 제2 지지 요소(46B)는 2개의 제2 관 요소(44B) 또는 제2 분사기 컵(42B) 사이에서 연장되는 거울면(P)에 대해 거울 대칭을 가지며, 거울면(P)은 특히 연료 레일 조립체(40)의 장착 방향(D)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레일 조립체(40).
  7. 제6항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한 제1 및/또는 제2 관(44A, 44B) 또는 분사기 컵(42A, 42B)은 각각의 거울면(P)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레일 조립체(40).
  8.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료 레일 조립체(40)는 제1 지지 요소(46A)를 실린더 헤드(24)에 확고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2개의 체결 요소(48)와 제2 지지 요소(46B)를 실린더 헤드(24)에 확고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2개의 추가의 체결 요소(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레일 조립체(40).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료 레일 조립체(40)는 제1 지지 요소(46A)를 실린더 헤드(24)에 확고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나의, 단 하나의 체결 요소(48)와 제2 지지 요소(46B)를 실린더 헤드(24)에 확고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나의, 단 하나의 추가의 체결 요소(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레일 조립체(40).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체결 요소(48)와 추가의 체결 요소(48)는 연료 레일 조립체(40)의 장착 방향(D)을 따른 평면도에서 연료 레일(18)이 체결 요소(48) 및 추가의 체결 요소(48)와 중첩되지 않도록 연료 레일(18)에 대해 측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레일 조립체(40).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 요소(48) 또는 추가의 체결 요소(48) 중 적어도 하나는 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레일 조립체(40).
KR20157002069A 2012-07-23 2013-07-22 연료 레일 조립체 KR201500362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77448.3 2012-07-23
EP12177448.3A EP2690281A1 (en) 2012-07-23 2012-07-23 Fuel rail assembly
PCT/EP2013/065374 WO2014016231A1 (en) 2012-07-23 2013-07-22 Fuel rail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209A true KR20150036209A (ko) 2015-04-07

Family

ID=48808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2069A KR20150036209A (ko) 2012-07-23 2013-07-22 연료 레일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32282B2 (ko)
EP (2) EP2690281A1 (ko)
KR (1) KR20150036209A (ko)
CN (1) CN104471236B (ko)
WO (1) WO201401623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045A (ko) * 2015-07-23 2017-02-0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내연 엔진용 연료 레일 조립체
KR20170128112A (ko) * 2016-05-13 2017-11-2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내연 기관용의 연료 레일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90281A1 (en) * 2012-07-23 2014-01-2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Fuel rail assembly
KR101974292B1 (ko) * 2014-11-19 2019-04-30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내연 엔진용 연료 레일 조립체
EP3153698B8 (en) 2015-10-07 2019-12-18 CPT Group GmbH Fuel rail assembly
GB201603445D0 (en) * 2016-02-29 2016-04-13 Delphi Internat Operations Luxembourg S À R L Fuel rail clamping arrangement
DE102016212936A1 (de) * 2016-07-15 2018-01-18 Robert Bosch Gmbh Brennstoffeinspritzanlage und Anordnung für eine Brennstoffeinspritzanlage
JP7032121B2 (ja) 2017-12-19 2022-03-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配管
DE102019220377A1 (de) * 2019-12-20 2021-06-24 Robert Bosch Gmbh Fluidverteiler für eine Einspritzanlage, insbesondere Brennstoffverteilerleiste für eine Brennstoffeinspritzanlage für gemischverdichtende, fremdgezündete Brennkraftmaschinen
JP7033169B2 (ja) * 2020-07-07 2022-03-09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ヘッド構造
DE102020134014B3 (de) * 2020-12-17 2022-03-2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stoff-Rail eines Kraftstoffeinspritzsystems einer Brennkraft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4269A (en) * 1991-04-29 1991-12-24 Chrysler Corporation Anti-rotation fuel injector clip
US5680845A (en) * 1996-09-06 1997-10-2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lignment device of dual-spray injector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870995A (en) * 1997-06-10 1999-02-16 Caterpillar Inc. Space saving high pressure fluid supply clamp for a fuel injector
JP2000145580A (ja) * 1998-11-11 2000-05-26 Isuzu Motors Ltd インジェクタの固定構造
US6408827B1 (en) * 1999-11-12 2002-06-25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Stamped fuel rail with integrated mounting brackets
DE10121884A1 (de) 2001-05-05 2002-11-07 Bosch Gmbh Robert Brennstoffeinspritzanlage
JP4032383B2 (ja) * 2002-09-25 2008-01-16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燃料レール及び燃料レール用主管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DE10314029A1 (de) 2003-03-28 2004-10-07 Deutz Ag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Speichereinspritzsystem
US7086385B2 (en) * 2004-07-15 2006-08-08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Unitary fuel injector module for fuel system
JP4199710B2 (ja) * 2004-08-03 2008-12-17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フュ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US20060162144A1 (en) * 2005-01-25 2006-07-27 Stieler David C Method of coupling fuel system components
US7263975B2 (en) * 2005-01-25 2007-09-04 Dana Corporation Plastic coated metal fuel rail
US20060163243A1 (en) * 2005-01-25 2006-07-27 Stieler David C Method of coupling fuel system components
DE102005009118A1 (de) * 2005-03-01 2006-09-14 Dr.Ing.H.C. F. Porsche Ag Zylinderkopf für eine direkteinspritzende Brennkraftmaschine
US7334572B1 (en) * 2007-01-30 2008-0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fuel injectors
EP1967728B1 (en) * 2007-03-08 2009-10-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Coupling device and fuel supply arrangement
WO2009039021A1 (en) * 2007-09-18 2009-03-26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Fuel injector assembly including fuel injector retention device
EP2042724A1 (en) 2007-09-26 2009-04-01 Magneti Marelli Powertrain S.p.A. Intake manifol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provided with metallic reinforcement brackets for fastening the fuel common rail
EP2148076A1 (en) * 2008-07-24 2010-01-27 Magneti Marelli Powertrain S.p.A. Integrated suction manifold provided with a fuel common rail
DE102008044923A1 (de) * 2008-08-29 2010-03-04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Kraftstoffverteiler
CN201461071U (zh) * 2009-07-22 2010-05-12 昆明理工大学 直喷式压缩空气燃油混合动力发动机
DE102009050337A1 (de) * 2009-10-22 2011-04-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Bauteileeinheit für ein Kraftstoff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sowie Brennkraftmaschine
DE102009051065B3 (de) * 2009-10-28 2011-01-20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Kraftstoffverteiler
JP5447138B2 (ja) * 2010-04-22 2014-03-19 マツダ株式会社 高圧燃料配管構造
DE102010064115A1 (de) * 2010-12-23 2012-06-28 Robert Bosch Gmbh Injektoranordnung, die vorzugsweise für Erdgas dient
EP2690281A1 (en) * 2012-07-23 2014-01-2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Fuel rail assembly
GB2546500B (en) * 2016-01-19 2019-07-24 Perkins Engines Co Ltd Reversible injector clam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045A (ko) * 2015-07-23 2017-02-0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내연 엔진용 연료 레일 조립체
KR20170128112A (ko) * 2016-05-13 2017-11-2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내연 기관용의 연료 레일 조립체
US10436163B2 (en) 2016-05-13 2019-10-08 Cpt Group Gmbh Fuel rail assembly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71236B (zh) 2019-03-01
EP2875233A1 (en) 2015-05-27
EP2875233B1 (en) 2018-11-14
US20150198128A1 (en) 2015-07-16
WO2014016231A1 (en) 2014-01-30
US10132282B2 (en) 2018-11-20
CN104471236A (zh) 2015-03-25
EP2690281A1 (en)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6209A (ko) 연료 레일 조립체
US8944031B2 (en) Mounting structure for a direct injection fuel rail
US20080216798A1 (en) Coupling device and fuel supply arrangement
JP4840391B2 (ja) 燃圧センサ搭載構造及び燃圧検出システム
EP3312408B1 (en) Structure of gdi fuel delivery pipe
CN107448336B (zh) 用于内燃机的燃料轨组件
US20170260945A1 (en) Fuel Rail
US10612507B2 (en) Mounting structure of fuel rail
KR20150048548A (ko) 차량용 연료레일
WO2006062549A1 (en) Fuel rail delivery system arrangement
US10393080B2 (en) Coupling device
US11248572B2 (en) Fuel distribu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P2204573A1 (en) Fuel supply system
JP6906599B2 (ja) 燃料噴射装置および燃料噴射装置用の装置
EP3464873A1 (en) Fuel injector cup, fuel injector cup assembly, fuel injector assembly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