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5056A -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 - Google Patents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5056A
KR20150035056A KR20130115178A KR20130115178A KR20150035056A KR 20150035056 A KR20150035056 A KR 20150035056A KR 20130115178 A KR20130115178 A KR 20130115178A KR 20130115178 A KR20130115178 A KR 20130115178A KR 20150035056 A KR20150035056 A KR 20150035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shing water
tray
heating coil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5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준희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5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5056A/ko
Publication of KR20150035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8Purification of waste water by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63J2002/125Heating; Cooling making use of waste energ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1Build in apparatus for autonomous on board water supply and wastewater treatment (e.g. for aircrafts, cruiseships, oil drilling platforms, railway trains, space s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에 관한 것으로,
전면 하단부에 개구부가 마련된 함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오염 세척수를 가열, 증발시키는 히팅 코일;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통해 본체에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염 세척수 증발과정에서 남게 되는 슈트나 이물질을 저장하는 트레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트레이 도아;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본체 내부의 트레이에 쌓인 슈트 및 이물질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폐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 { DISTILLATE TANK FOR VESSEL SOOT WATER DISTILLATING APPARATUS }
본 발명은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디스틸레이트 탱크 내부의 오염 세척수가 증발된 후 남은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200)는 선박 내부의 보일러(201) 및 배기가스 파이프(202)를 세척하고 난 후에 세척에 사용된 물이 저장되는 슈트 수집탱크(210), 상기 슈트 수집탱크(210)의 물을 선박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유로(211), 상기 슈트 수집탱크(210)의 물을 밸러스트 이덕터(220, BALLAST EDUCTOR)나 빌지 홀딩 탱크(230, BILGE HOLDING TANK)로 이송하는 이송유로(212)를 포함한다.
상기 종래의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는 선박 내부의 보일러(201) 및 배기가스 파이프(202)를 세척하고 난 후에 세척에 사용된 물이 슈트 수집탱크(210)에 저장되고, 슈트 수집탱크(210)의 저장된 물이 배출유로(211)를 통해 선박 외부로 배출되거나 이송유로(212)를 통해 밸러스트 이덕터(220)나 빌지 홀딩 탱크(230)로 이송되어 처리된다.
그러나 최근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선박으로부터 오염 방지를 위한 국제협약(MARPOL;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Marine Pollution from Ships) 등에서는 선박 내부에서 발생되는 슈트(SOOT)의 선박 외부 배출을 금지하는 규제에 대해서 논의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운항중인 선박 및 건조중인 선박은 향후 슈트(SOOT)의 선박 외부 배출이 금지되며, 선박 내부에서 처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선박 세척수(SOOT WATER)를 빌지 홀딩 탱크로 이송하는 경우에는 빌지 워터 세퍼레이터(BILGE WATER SEPARATOR)를 사용하여 슈트를 분리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선박 세척수 처리방법은 빌지 워터 세퍼레이터에 장착된 필터의 이물질 여과량이 많게 되므로 필터 교환주기가 짧아지게 되어 필터 교체 비용의 증가 등 부가적인 비용 발생을 야기하게 된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선박용 폐열회수장치 세척수의 저장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선박용 폐열회수장치 세척수의 저장 시스템은 폐열회수장치의 유로를 세척 후 유출되는 세척수를 저장하고, 상기 세척수로부터 그을음(soot)을 제거하는 여과탱크와, 상기 여과탱크에서 그을음(soot)이 제거된 상기 세척수가 저장되는 제 1 저장탱크와, 상기 세척수를 상기 제 1 저장탱크로 안내하는 제 1 배수라인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2에는 선박의 오폐수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선박의 오폐수 처리장치는 유입된 오폐수가 채움, 접촉, 침전, 분리 및 휴지단계에 의해 처리되어 상등수와 슬러지로 분리되는 반응조, 상기 반응조 내의 처리된 오폐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 상기 상등수와 상기 슬러지가 구분되는 경계층의 위치를 감지하는 고액분리센서, 상기 반응조 내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위 센서 및 상기 고액분리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수위 및 상기 경계층의 위치에 상응하여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상등수를 거르는 침지식 분리막, 상기 반응조의 외면에서 상기 반응조를 일정부분 둘러싸는 구조로 위치하여 상기 침지식 분리막에 의해 걸러진 상등수를 살균하는 살균조를 포함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기술은 기술 구성이 복잡하여 시공이 어려울 뿐 아니라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 즉, 필터 교체 비용 등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관계하는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100)는 선박 내부의 보일러 및 배기가스 파이프를 세척하고 난 후에 세척에 사용된 물을 저장하는 슈트 수집탱크(110); 상기 슈트 수집탱크(110)에 접속되어 슈트 수집탱크(110)에 저장된 물을 밸러스트 이덕터(120, BALLAST EDUCTOR)나 빌지 홀딩 탱크(130, BILGE HOLDING TANK)로 이송하는 제1이송유로(112); 상기 제1이송유로(112)에 접속되어 상기 슈트 수집탱크(110)에 저장된 물을 디스틸레이트 탱크(140)로 이송하는 제2이송유로(113); 상기 제2이송유로(113)를 통해 이송된 물을 증발시키는 디스틸레이트 탱크(140);를 포함한다.
상기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100)는 선박 내부의 보일러(101) 및 배기가스 파이프(102)를 세척하고 난 후에 세척에 사용된 물을 그대로 배출하지 않고 디스틸레이트 탱크(140)에서 증발시켜 제거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필터 소모나 별다른 유지관리가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오염 세척수 처리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서 미설명부호 114는 전자밸브, 160은 히팅 코일, 162는 벤트 블로워, 170은 수위조절스위치, 180은 제어유니트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0377호(2011년 11월 4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3695호(2010년 12월 22일 공개)
그런데 상기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100)를 통해 장기간 오염 세척수를 증발 배출시키게 되면 디스틸레이트 탱크(140)의 내부 하단에 슈트나 이물질이 계속 축적된다.
따라서, 내부 하단에 축적된 슈트나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틸레이트 탱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정을 감안한 것으로, 오염 세척수를 증발 배출하는 과정에서 내부 하단에 축적되는 슈트나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는 전면 하단부에 개구부가 마련된 함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오염 세척수를 가열, 증발시키는 히팅 코일;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통해 본체에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염 세척수 증발과정에서 남게 되는 슈트나 이물질을 저장하는 트레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트레이 도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는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오염 세척수 유입관과 증기 배출관이 설치되고, 하단 각 모서리에 지지다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는 상기 본체의 전면 일측에 투시창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는 상기 히팅 코일이 선박 내부에서 발생되는 폐기 스팀(WASTE STEAM)이 통과되는 스팀 히팅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는 상기 히팅 코일이 별도의 제어수단에 의해 작동 제어되는 전열 히팅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는 상기 트레이의 전면에 손잡이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는 상기 트레이 도아가 다수의 체결볼트를 통해 본체 전면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는 상기 트레이 도아가 힌지부재를 통해 본체에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는 상기 트레이 도아와 본체 사이에 세척 오염수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씰링부재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에 의하면, 본체 내부에서 오염 세척수가 가열, 증발, 배출된 후 남은 슈트 및 이물질을 간편하게 폐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에 의하면, 슈트 및 이물질 폐기에 따른 작업인력 및 처리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에 의하면, 작업자가 본체 내부로 진입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보다 안전하게 슈트 및 이물질 폐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관계하는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의 사시도,
도 4는 동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의 트레이 인출 과정의 사시도,
도 5는 동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의 트레이 손잡이 부위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동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의 트레이 인출 과정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300)는 본체(310), 히팅 코일(320), 트레이(330), 트레이 도어(340)를 포함한다.
본체(310)는 사방이 밀폐된 함형으로, 증발 배출될 오염 세척수가 저장된다.
상기 본체(310)는 전면 하단부에 후술할 트레이(330)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311)가 마련되고, 상단부에 오염 세척수 유입관(411)과 증기 배출관(41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310)의 하단 각 모서리에는 지지다리(312)가 마련되고, 본체(310)의 전면 일측에는 투시창(313)이 마련된다.
히팅 코일(320)은 상기 본체(310)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오염 세척수를 가열, 증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히팅 코일(320)은 선박 내부에서 발생되는 폐기 스팀(WASTE STEAM)이 통과되는 스팀 히팅 코일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제어수단에 의해 작동 제어되는 전열 히팅 코일을 사용할 수도 있다.
트레이(330)는 상부가 개구된 서랍형으로, 상기 본체(310)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어 오염 세척수 증발과정에서 남게 되는 슈트나 이물질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트레이(330)는 상기 본체(310)의 전면에 마련된 개구부(311)를 통해 상기 본체(310)에 인출 및 수납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도 5는 동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의 트레이 손잡이 부위의 평면도이다.
도 5와 같이 상기 트레이(330)의 전면에는 손잡이(331)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다.
트레이 도아(340)는 상기 본체(310)의 개구부(311)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트레이 도아(340)는 다수의 체결볼트(341)를 통해 본체(310) 전면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트레이 도아(340)와 본체(310) 사이에는 세척 오염수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씰링부재(미도시)가 개재된다.
본체(310) 내부의 트레이(330)에 축적되는 슈트나 이물질은 상당한 기간 동안 제거할 필요가 없게 되며, 그에 따라 트레이 도아(340)를 수시로 개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300)와 같이 체결볼트(341)를 통해 트레이 도아(340)를 본체(310)에 견고하게 설치하여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트레이 도아(340)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300)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도아(340)는 힌지를 사용한 회동 개폐 방식의 것이나 그 밖의 예측 가능한 다른 방식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300)는 본체(310)의 내부 하부에 설치된 히팅 코일(320)을 통해 오염 세척수가 가열, 증발되어 선박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남게 되는 슈트 및 이물질이 트레이(330)에 쌓이게 된다.
상기 트레이(330)이 쌓인 슈트 및 이물질의 양은 본체(310)의 전면에 마련된 투시창(313)을 통해 외부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300)에서 본체(310) 내부의 트레이(330)에 축적된 슈트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체결볼트(341)를 풀어 트레이 도어(340)을 본체(310)에서 분리하게 되면 본체(310)의 개구부(311)를 통해 트레이(330)를 본체(310)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체(310)에서 트레이(330)를 인출한 후에는 트레이(330)만을 이송하여 트레이(330)에 담긴 슈트 및 이물질을 정해진 장소에 안전하게 폐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300 : 디스틸레이트 탱크
310 : 본체
320 : 히팅 코일
330 : 트레이
340 : 트레이 도아

Claims (9)

  1. 전면 하단부에 개구부(311)가 마련된 함형의 본체(310);
    상기 본체(310)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오염 세척수를 가열, 증발시키는 히팅 코일(320);
    상기 본체(310)의 개구부(311)를 통해 본체(311)에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염 세척수 증발과정에서 남게 되는 슈트나 이물질을 저장하는 트레이(330);
    상기 본체(310)의 개구부(311)를 밀폐하는 트레이 도아(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10)는 상단부에 오염 세척수 유입관(411)과 증기 배출관(412)이 설치되고, 하단 각 모서리에 지지다리(312)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10)의 전면 일측에 투시창(313)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코일(320)은 선박 내부에서 발생되는 폐기 스팀(WASTE STEAM)이 통과되는 스팀 히팅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코일(320)은 별도의 제어수단에 의해 작동 제어되는 전열 히팅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330)의 전면에 손잡이(331)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도아(340)는 다수의 체결볼트(341)를 통해 본체(310) 전면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도아(340)는 힌지부재를 통해 본체(310)에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도아(340)와 본체(310) 사이에 세척 오염수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씰링부재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
KR20130115178A 2013-09-27 2013-09-27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 KR20150035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5178A KR20150035056A (ko) 2013-09-27 2013-09-27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5178A KR20150035056A (ko) 2013-09-27 2013-09-27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056A true KR20150035056A (ko) 2015-04-06

Family

ID=53030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5178A KR20150035056A (ko) 2013-09-27 2013-09-27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50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201A (ko) * 2018-03-16 2019-09-25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엔진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201A (ko) * 2018-03-16 2019-09-25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엔진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039B1 (ko) 원심분리시스템을 이용한 빌지수 정화처리 방법
KR101590551B1 (ko) 선박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1486882B1 (ko) 선박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1722590B1 (ko) 선박용 오염수 회수시스템
JP5945151B2 (ja) 再生油製造装置及び再生油製造方法
KR101437218B1 (ko) 선박의 빗물 재활용 시스템
CN107619122A (zh) 带集油回流装置的餐饮污水处理设备及其工作方法
US8343310B2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101511949B1 (ko) 해상 유출유류의 오염방지를 위한 유류 처리장치
JP2015073983A (ja) 船舶の機関室ビルジ処理システム
KR20150035056A (ko)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의 디스틸레이트 탱크
KR102076676B1 (ko) 선박 세척수 처리장치
KR20180132481A (ko) 선박 폐유수 이동식 처리 시스템
KR20180132480A (ko) 이동식 선박 폐유수 처리 시스템
CA2554471C (en) Self-powered settling and evaporation tank apparatus
JP2011045836A (ja) 油水分離システム
JP2014073819A (ja) 船舶の機関室ビルジ処理システム
US5637212A (en) Dry cleaning waste water treatment machine having recirculating arrangement
KR102003401B1 (ko) 유수 분리시스템 및 그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
JPH11293275A (ja) タービン油等のリサイクル方法
KR101259180B1 (ko) 코크스 오븐 상승관 실링워터 재활용 시스템
CN106966533A (zh) 一种生活污水再利用装置
KR20130002151U (ko) 찌꺼기 처리 장치
KR20150004386U (ko) 선박용 수트 처리 장치
KR20200084665A (ko) 오수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