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4431A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4431A
KR20150034431A KR20130114498A KR20130114498A KR20150034431A KR 20150034431 A KR20150034431 A KR 20150034431A KR 20130114498 A KR20130114498 A KR 20130114498A KR 20130114498 A KR20130114498 A KR 20130114498A KR 20150034431 A KR20150034431 A KR 20150034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ignal
contact
pressur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4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1726B1 (ko
Inventor
고재용
Original Assignee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4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726B1/ko
Publication of KR20150034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돌출부를 가지며, 압력이 가해지면 베이스에 위치한 고정 접점과 접촉하여 제1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버튼과 제1버튼과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며, 돌출부로부터 압력을 받으면 제2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버튼을 포함하는 스위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위치{SWITCH APPARATUS}
본 발명은 각종 전기기기에 사용하기 적합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전기기기의 기능 제어를 위하여 스위치가 이용된다. 전기기기의 제어를 위한 스위치의 종류는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텍트 스위치(Tact Switch), 슬라이드 스위치(Slide Switch), 누림 스위치(Push Switch), 다방향 스위치(Multiway Switch) 등이 있다.
다양한 기능 제어를 위하여 전기기기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전기기기에 구비된 스위치의 종류는 스위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기능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이 향상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스위치는 돌출부를 가지며, 압력이 가해지면 베이스에 위치한 고정 접점과 접촉하여 제1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버튼;과 제1버튼과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며, 돌출부로부터 압력을 받으면 제2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는 압력이 가해져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면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버튼은 고정 접점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된 이동 접점을 구비하고, 고정 접점과 이동 접점이 접촉되면 제1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2버튼 내부에는 복수 개의 내부 접점이 마련되어 있고, 제2 버튼이 돌출부로부터 압력을 받아 복수 개의 내부 접점이 접촉되면 제2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 버튼은 베이스 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스커트부와 스커트부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스커트부는 제1 버튼에 압력에 가해지면 구부러져 제1 버튼이 아래도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제1 버튼에 압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제2 버튼은 돌출부로부터 압력을 받으면 베이스 방향으로 압축되고, 압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에서 제1 신호와 제2 신호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으며, 제1 신호와 제2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입력 신호를 한번만 발생시킬 수도 있다.
양상에 따른 스위치는 돌출부와 압력이 가해지면 베이스에 위치한 고정 접점과 접촉하여 제1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동 접전을 구비한 제1 버튼;과 제1버튼과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며, 돌출부로부터 압력을 받으면 제2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버튼을 포함하고, 압력이 가해져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면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버튼은 고정 접점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이동 접점을 구비한 연장부;와 연장부의 외각에서 베이스 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스커트부;와 스커트부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입력 신호를 한번만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버튼은 스커트 버튼이고, 제2 버튼은 텍트 버튼일 수 있다.
한번의 입력으로 복수 개의 신호를 발생시키고, 복수 개의 신호 중 하나의 신호라도 입력되면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를 제공함으로써, 내구성 높은 스위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스위치를 A-B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버튼을 설명하기 위한 스위치의 분해도이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스위치의 분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제2 버튼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버튼의 절단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위치가 눌러진 때의 A-B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선택적으로 기재된 양상이나 선택적으로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들은 비록 도면에서 단일의 통합된 구성으로 도시되었다 하더라도 달리 기재가 없는 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술적으로 모순인 것이 명백하지 않다면 상호간에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스위치란 다양한 전자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 받는 장치로, 예를 들어, 스위치는 초음파 영상 장치에 구비되어 초음파 영상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스위치의 제1 버튼(100)은 하우징(200) 내부에 존재한다. 여기서, 제1 버튼(100)의 일부는 하우징(2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또, 제1 버튼(100)은 사용자가 누르면 하우징(20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1 버튼(100)이 하우징(200) 내부로 이동하여 이격되어 있던 접점이 결합되면, 스위치는 입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한편, 사용자가 누르고 있던 제1 버튼(100)을 놓으면, 압력이 제거되어 하우징(200) 내부로 이동한 제1 버튼(100)은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하우징(200) 외부로 돌출된다.
한편, 도 1에서 제1 버튼(100)이 원통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버튼(100)은 사각형, 타원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음 이해하여야 한다.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스위치를 A-B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치는 제1 버튼(100), 하우징(200), 베이스(300), 제2 버튼(40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버튼(100)을 누르면, 제1 버튼(100)에는 압력이 작용한다. 제1 버튼(100)에 압력이 가해지면 제1 버튼(100)은 하우징(200)의 내부로 이동한다. 압력에 의하여 베이스(300) 방향으로 이동한 제1 버튼(100)은 입력 신호를 생성시킨다. 아울러, 하우징(200) 내부로 이동한 제1 버튼(100)은 제2 버튼(400)에 압력을 전달한다. 이때, 압력을 받은 제2 버튼(400)은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300) 및 제1 버튼(100)에는 접점(121, 321)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력이 가해진 제1 버튼(100)이 복수 개의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스위치는 하나의 신호만 발생하더라도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는 높은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스위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제1 버튼을 설명하기 위한 스위치의 분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버튼(100)은 사용자가 누르면 하우징(200) 내부로 이동하여 입력 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하 도 2, 3을 참조하여 제1 버튼(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버튼(100)은 노출부(110), 연장부(120), 돌출부(130), 스커트부(140), 고정부(150), 걸림부(16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버튼(100)의 노출부(110), 연장부(120), 돌출부(130), 스커트부(140), 고정부(150), 걸림부(160)를 각각 나누어서 설명하나, 이는 제1 버튼(100)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버튼(10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노출부(110)는 하우징(200) 외부로 노출된다. 노출부(110)는 사용자가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누르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손가락)와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노출부(110)는 사용자의 촉감을 고려하여 실리콘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일 수 있다.
연장부(120)는 노출부(110)의 하부에 위치한다. 연장부(120)는 노출부(110)에서 베이스(30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120)는 노출부(110)의 가장자리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연장부(120)는 하나 이상의 이동 접점(12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연장부(120)는 이동 접점(121)이 고정 접점(321)과 소정거리(a)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접점(121)은 고정 접점(321)과 접촉하여 제1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접점(121)은 전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신호는 이동 접점(121)과 고정 접점(321)이 접촉하여 발생되는 전기 신호를 말한다.
한편, 제1 버튼(100)에 구비된 이동 접점(121)은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이동 접점(121)은 전도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고정 접점(321)은 부식성과 전도성을 가진 황동 또는 강도가 높고 전도성이 높은 인천동을 재질로 할 수 있다.
이동 접점(121)은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와 같이 연장부(120)에는 하나의 이동 접점(121)이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의 이동 접점(121a~121b)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이동 접점(121)은 베이스(300)에 마련된 고정 접점(321)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야 한다.
돌출부(130)는 제2 버튼(400)을 향해 돌출되어 제2 버튼(40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돌출부(13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노출부(110)의 중앙에서 제2 버튼(400)을 향해 원통형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돌출부(130)는 제2 버튼(400)에 압력을 받은 제2 버튼(400)이 제2 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제2 신호는 제2 버튼(400) 내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내부 접점(420, 430)이 접촉하여 발생하는 신호를 말한다. 한편, 돌출부(130)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제2 버튼(400)과 소정거리(d)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돌출부(130)는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버튼(400)과 밀착되어 제1 버튼(100)이 하우징(200)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스커트부(140)는 제1 버튼(100)에 탄성력을 가하여 제1 버튼(100)이 하우징(200)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더 구체적으로, 스커트부(140)는 연장부(120)의 외각에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베이스(300)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스커트부(140)는 제1 버튼(100)이 사용자에게 의하여 눌러지는 경우, 제1 버튼(100)이 하우징(200) 내부로 이동하면서 구부러질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스커트부(140)의 두께에 따라 제1 버튼(100)이 감도가 조절될 수 있다.
고정부(150)는 제1 버튼(100)을 고정한다. 더 구체적으로, 고정부(150)의 일면은 베이스(300)에 결합되고, 고정부(150)의 일부분은 스커트부(140)와 결합하여 스커트부(140)를 지지한다.
걸림부(160)는 제1 버튼(100)이 하우징(200)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때, 걸림부(160)는 노출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60)는 하우징(200)의 개구보다 넓게 형성되어 하우징(200)의 내벽에 접촉하여 제1 버튼(100)이 하우징(200)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00)는 베이스(300)과 결합되어 제1 버튼(100)이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200)는 제1 버튼(100)이 노출되기 위한 개구를 가진다. 이때, 개구는 제1 버튼(100)의 노출부(110)의 형상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200)와 베이스(300)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200)는 제1 버튼(100)과 상이한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00)는 플라스틱으로 제1 버튼(100)은 러버(Rubber)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스위치의 분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300)에는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300)는 회로기판일 있다. 여기서, 회로기판은 회로가 형성되기 위한 기판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화이버글라스 시트 코어(fiberglass sheat core) 및 에폭시 수지로 만들어진 기판에 하나 이상의 전기부품이 부착되고, 부착된 전기용품이 서로 접속된 형태 일 수 있다. 이하 도 2, 4을 참조하여 베이스(3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300)에는 고정 접점(321)이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300)에 마련된 고정 접점(321)은 이동 접점(121)과 접촉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있는 도전체를 말한다. 이때, 고정 접점(321)은 전도성 잉크로 베이스(300)에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접점(321)은 부식성과 전도성을 가진 황동 잉크 또는 강도가 높고 전도성이 높은 인천동 잉크로 베이스(300)에 인쇄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300)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 접점(32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와 하나의 고정 접점(321)이 베이스(300)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도 4(b)와 같이 복수 개의 고정 접점(321a- 321d)이 베이스(300)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고정 접점(321)의 위치는 제1 버튼(100)의 연장부(120)에 구비된 이동 접점(121)과 대응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고정 접점(321)은 이동 접점(121)이 아래로 이동하면 이동 접점(121)과 접촉 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제2 버튼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버튼의 절단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버튼(400)은 베이스(300)에 마련되어 있다. 제2 버튼(400)은 돌출부(130)에 의하여 압력을 받으면 일시적으로 제2 신호를 발생시키고, 압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형으로 복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버튼(400)은 케이스(410)와 내부 접점(420, 430)을 포함한다.
케이스(41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410)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 케이스(410)는 압력에 의하여 눌려졌다가 다시 복귀하기 위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410)의 외부는 계단의 형상을 케이스(410)의 내부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다.
내부 접점은(420, 430) 케이스 내부에 소정거리(b)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격된 내부 접점(420, 430)은 제2 버튼(400)에 압력이 가해지면 접촉되어, 제2 버튼(400)은 제2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제2 버튼(400)은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2 버튼(400)은 압력을 받아 제2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이면 치환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위치가 눌러진 때의 A-B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버튼(100)을 누리면 F와 같은 압력이 제1 버튼(100)에 작용한다. 압력이 작용하면, 제1 버튼(100)은 압력에 의하여 베이스(300)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버튼(100)에 압력이 가해지면 스커트부(140)가 구부러지면서 제1 버튼(100)이 베이스(3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연장부(120)와 돌출부(130)도 함께 베이스(3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연장부(120)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면 연장부(120)에 구비된 이동 접점(121)이 고정 접점(321)에 접촉하게 되어 제1 신호가 발생한다. 아울러, 베이스(3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돌출부(130)는 제2 버튼(400)에 상부에 압력을 전달하게 된다. 압력을 받은 제2 버튼(100)의 상부는 베이스(300)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제2 버튼(400)에 내장된 내부 접점(420, 430)이 접촉되어 제2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버튼(100)이 눌러짐에 따라 스위치에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가 발생하고, 스위치는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가 발생하면 입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입력 신호는 제1 버튼(100)이 눌러짐으로 발생하는 제어신호를 말한다. 따라서, 제2 버튼(400)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 접점이 접촉되지 않아 제2 신호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스위치는 이동 접점(121)과 고정 접점(321)이 접촉하여 발생되는 제1 신호에 따라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점(321)과 이동 접점(121)이 접촉되지 않아 제1 신호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스위치는 제2 버튼(400)에 내장된 내부 접점이 접촉하여 발생되는 제2 신호에 따라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버튼(100)에 가해지던 압력이 제거되면 스커트부(14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직선형으로 복원된다. 이때, 스커트부(140)는 실리콘 또는 러버와 같이 탄성력을 가진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구부러진 스커트부(14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원되려고 하는 탄성력을 가지며, 스커트부(1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버튼(100)은 다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200)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때, 스커트부(140)의 폭에 따라 복원력이 상이해 진다. 따라서, 스커트부(140)의 두께를 조절하여 제1 버튼(100)의 감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2 버튼(400)도 압력이 제거되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원된다. 이때, 제2 버튼(400)은 실리콘 또는 리버 등과 같은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일 수 있다. 아울러, 제2 버튼(400) 내부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탄성부재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원될 수도 있다. 한편, 눌러진 제2 버튼(400)이 복원되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제1 버튼(100)은 다시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200)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버튼(400)에 구비된 접점의 이격 거리(b)와 돌출부(130)와 제2 버튼(400)의 이격 거리(d)의 합이 이동 접점(121)과 고정 접점(321)의 이격 거리(a)와 동일한 경우, 제1 신호와 제2 신호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스위치의 빈번의 사용에 의하여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발생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가 일정한 시간 간격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 하나의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신호가t1[ms]에 제2 신호가 t2[ms]에 발생한 경우, 스위치는 t2[ms] -t1[ms]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하나의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두 개의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버튼
110: 노출부
120: 연장부
121: 이동 접점
130: 돌출부
140: 스커트부
150: 고정부
160: 걸림부
200: 하우징
300: 베이스
321: 고정 접점
400: 제2 버튼
410: 케이스
420, 430: 내부 접점

Claims (12)

  1. 돌출부를 가지며, 압력이 가해지면 베이스에 위치한 고정 접점과 접촉하여 제1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버튼; 및
    상기 제1버튼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돌출부로부터 압력을 받으면 제2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버튼을 포함하는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압력이 가해져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면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고정 접점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된 이동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이동 접점이 접촉되면 상기 제1 신호가 발생하는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버튼 내부에는 복수 개의 내부 접점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 버튼이 상기 돌출부로부터 압력을 받아 상기 복수 개의 내부 접점이 접촉되면 상기 제2 신호가 발생하는 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스커트부와 상기 스커트부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제1 버튼에 압력에 가해지면 구부러져 상기 제1 버튼이 아래도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1 버튼에 압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되는 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돌출부로부터 압력을 받으면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 압축되고, 상기 압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되는 스위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는 동시에 발생하는 스위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상기 입력 신호를 한번만 생성시키는 스위치.
  9. 돌출부와 압력이 가해지면 베이스에 위치한 고정 접점과 접촉하여 제1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동 접전을 구비한 제1 버튼; 및
    상기 제1버튼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돌출부로부터 압력을 받으면 제2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버튼을 포함하고,
    압력이 가해져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면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고정 접점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이동 접점을 구비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외각에서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스커트부; 및
    상기 스커트부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스위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상기 입력 신호를 한번만 생성시키는 스위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은 스커트 버튼이고, 상기 제2 버튼은 텍트 버튼인 스위치.
KR1020130114498A 2013-09-26 2013-09-26 스위치 KR102081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498A KR102081726B1 (ko) 2013-09-26 2013-09-26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498A KR102081726B1 (ko) 2013-09-26 2013-09-26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431A true KR20150034431A (ko) 2015-04-03
KR102081726B1 KR102081726B1 (ko) 2020-04-14

Family

ID=53031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498A KR102081726B1 (ko) 2013-09-26 2013-09-26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7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3114A (ja) * 2009-07-13 2011-02-03 Shin Etsu Polymer Co Ltd 感圧式入力装置
JP2011210403A (ja) * 2010-03-29 2011-10-20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押圧式電子部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3114A (ja) * 2009-07-13 2011-02-03 Shin Etsu Polymer Co Ltd 感圧式入力装置
JP2011210403A (ja) * 2010-03-29 2011-10-20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押圧式電子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726B1 (ko)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6223A (en) Cam-assisted switch
CA2503204C (en) Signaling pen
WO2010117005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20160364024A1 (en) Capacitive pointer
US9711302B2 (en) Operating member with switching mat
US5667061A (en) Linear cam-assisted plunger switch
CN109155218B (zh) 静电式开关
US11152170B2 (en) Input device
US20220102090A1 (en) Movable member and input device
US7518070B2 (en) Electrical switch
KR20150034431A (ko) 스위치
US9715976B2 (en) Keyboard device
US20180315561A1 (en) Rotary Switch Employing Keypad or Similar Mechanism for Position Indication
US20190035572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de Button Structure
CN107644751B (zh) 操作单元的组装结构
US96271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lide actuation on a device
KR100843824B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20090101776A (ko) 버튼 조립체
KR200404428Y1 (ko) 터치감을 개선한 휴대장치용 키패드
JP2007103285A (ja) スイ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リモコン送信機
KR101896772B1 (ko) 스위치 장치
JP5209688B2 (ja) スイッチ装置
JP6473961B2 (ja) スライドスイッチ、電子機器および楽器
KR20100007410U (ko) 로우 프로파일 멀티 방향 키 유닛 구조
JP2022112352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