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772B1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772B1
KR101896772B1 KR1020160125048A KR20160125048A KR101896772B1 KR 101896772 B1 KR101896772 B1 KR 101896772B1 KR 1020160125048 A KR1020160125048 A KR 1020160125048A KR 20160125048 A KR20160125048 A KR 20160125048A KR 101896772 B1 KR101896772 B1 KR 101896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slider
fitting
elastic support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5054A (ko
Inventor
임윤택
공성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772B1/ko
Publication of KR20180035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버튼; 상기 푸시버튼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위치유닛;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 APPARATUS}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 유입 내지 빙결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푸시버튼의 유동을 방지하여 푸시버튼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는 전기회로의 개폐 또는 접속상태의 변경 등을 위한 것으로, 푸시버튼스위치, 회전스위치, 나이프스위치, 변환스위치 등이 있다.
한편, 차량에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가 내장되어 있고, 이러한 전자기기의 전기회로의 개폐를 위하여 다양한 구조의 스위치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도어 개폐, 차량의 트렁크 개폐 등을 위하여 록킹기구가 설치되며, 이러한 도어 록킹기구에 스위치 장치가 연결되어 록킹기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스위치 장치 중에서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는 가니쉬(garnish)의 개구 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 버튼과, 푸시 버튼의 이동에 의해 전기적 접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유닛과, 푸시 버튼과 스위치유닛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고무재질의 연결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는 외관미를 고려하여 푸시버튼의 표면에 크롬 도금 등을 적용하고, 가니쉬의 개구 내측에 푸시버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크롬 도금의 적용으로 인해 푸시버튼, 연결부재 및 스위치유닛을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푸시버튼이 가니쉬의 가이드구조에 의해 가이드됨에 따라 푸시버튼과 가이드구조 사이의 틈새로 수분, 이물질 등이 쉽게 유입될 수 있고, 푸시버튼의 이동경로가 길어져 빙결에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푸시버튼의 작동 시에 푸시버튼의 좌우방향 유동을 규제하지 못하여 푸시버튼의 작동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다른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 장치는 푸시버튼, 연결부재 및 스위치유닛을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한 구조가 있다. 이와 같이, 푸시버튼이 연결부재를 통해 스위치유닛에 일체형으로 연결됨에 따라 가니쉬의 개구 내측에 푸시버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별도의 가이드구조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빙결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지만, 푸시버튼, 연결부재 및 스위치유닛이 일체형으로 인서트 사출됨에 따라 푸시버튼의 표면에 크롬 도금을 적용할 수 없으므로 그 외관미가 저하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분 유입 내지 빙결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푸시버튼의 이동 시에 푸시버튼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함을 방지하여 푸시버튼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 장치는, 푸시버튼; 상기 푸시버튼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위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일단에는 상기 푸시버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에는 끼움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끼움결합부에는 상기 푸시버튼이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에는 보스가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끼움결합부가 상기 보스의 내부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의 일단부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끼움결합부, 상기 탄성지지부 및 상기 바디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에는 상기 탄성지지부의 이면과 접촉하는 접촉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에는 내측결합부가 돌출하고, 상기 끼움결합부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결합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버튼은 누름면 및 상기 바디 측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결합부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홈에 스냅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스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냅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스냅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분 유입 내지 빙결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푸시버튼의 이동 시에 푸시버튼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함을 방지하여 푸시버튼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 장치는, 푸시버튼(10)과, 푸시버튼(10)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디(20)와, 바디(20)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30)와, 슬라이더(30)의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푸시버튼(10)은 가니쉬(15)의 개구 측에 설치될 수 있고, 푸시버튼(10)은 가니쉬(15)의 개구 외측으로 노출되는 누름면(11) 및 누름면(11)의 반대측에 위치한 결합부(12)를 가질 수 있다.
누름면(11)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으로 누름이 용이하도록 형성되고, 결합부(12)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12a)을 가지며, 이러한 결합홈(12a)이 바디(20) 측에 스냅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버튼(10)의 표면에는 크롬 도금이 적용될 수 있고, 이에 푸시버튼(10)의 외관미가 개선될 수 있다.
바디(20)는 그 내부에 형성된 내측공간부(21)를 가질 수 있고, 내측공간부(21)에는 슬라이더(3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디(20)의 내벽면에는 슬라이더(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20)의 일단에는 푸시버튼(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25)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탄성지지부(25)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바디(20)의 일단부를 폐쇄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탄성지지부(25)는 금속재질 또는 비금속재질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바디(20)의 일단부를 폐쇄하는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바디(20)의 일단 가장자리에는 제1단턱부(23)가 형성될 수 있고, 탄성지지부(25)의 가장자리에는 제2단턱부(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탄성지지부(25)의 제2단턱부(26)가 바디(20)의 제1단턱부(23)에 정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지지부(25)는 바디(20)의 일단에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바디(20)의 제1단턱부(23)에 탄성지지부(25)의 제2단턱부(26)가 정확히 접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지지부(25)에는 끼움결합부(28)가 설치될 수 있고, 끼움결합부(28)에는 푸시버튼(10)이 끼움결합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25)의 중앙에는 보스(24)가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고, 끼움결합부(28)는 보스(24)의 내부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끼움결합부(28)의 일단에는 하나 이상의 스냅돌기(28a)가 형성되고, 끼움결합부(28)의 스냅돌기(28a)는 보스(24)의 외측단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스냅돌기(28a)는 푸시버튼(10)의 결합부(12)의 결합홈(12a)에 스냅결합될 수 있다.
끼움결합부(28)의 타단에는 보스(24)의 내측단에 지지되는 스토퍼(28b)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스토퍼(28b)에 의해 끼움결합부(28)는 탄성지지부(25)의 보스(24)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끼움결합부(28)가 탄성지지부(25)의 보스(24)에 끼움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끼움결합부(28)는 탄성지지부(25)의 보스(24)에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동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무재질의 탄성지지부(25)가 단턱부(26, 23)에 의해 바디(20)에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끼움결합부(28)가 탄성지지부(25)의 보스(24)에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끼움결합부(28), 탄성지지부(25) 및 바디(20)가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동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모듈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끼움결합부(28), 탄성지지부(25), 바디(20)가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동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가니쉬(15)의 개구 측에 푸시버튼(10)을 가이드하는 별도의 가이드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바디(20) 내로 수분 유입 내지 빙결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끼움결합부(28)의 내부에는 슬라이더(30)가 결합되는 결합홈(28c)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30)는 바디(20)의 내측공간부(21)에서 푸시버튼(10)의 누름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30)의 일단에는 탄성지지부(25)의 이면과 접촉하는 접촉부(31)가 마련되고, 접촉부(31)는 슬라이더(30)의 일단을 폐쇄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31)의 중앙에는 내측결합부(33)가 돌출하고, 접촉부(31)의 내측결합부(33)는 끼움결합부(28)의 결합홈(28c)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내측결합부(33)가 끼움결합부(28)의 결합홈(28c)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접촉부(31)는 탄성지지부(25)의 이면과 기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슬라이더(30)의 외측면에는 가이드부(34)가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더(30)의 가이드부(34)는 바디(20)의 가이드홈(22)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스위치유닛(40)은 슬라이더(30)의 내측에 위치하고, 이에 푸시버튼(10)의 누름에 의해 탄성지지부(25)가 눌려져 슬라이더(30)의 접촉부(31)가 스위치유닛(40)을 가압함으로써 전기접점이 온될 수 있다. 그리고, 푸시버튼(10)의 누름이 해제되면 탄성지지부(25)가 원위치로 복귀하고, 이에 슬라이더(30) 또한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스위치유닛(40)의 전기접점이 오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푸시버튼(10)의 누름에 의해 탄성지지부(25)를 통해 연결된 슬라이더(30)가 바디(20) 내에서 가이드됨에 따라 푸시버튼(10)은 슬라이더(30)의 이동방향 이외에 다른 방향으로 유동됨을 방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푸시버튼(10)의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푸시버튼 20: 바디
30: 슬라이더 40: 스위치유닛

Claims (10)

  1. 푸시버튼;
    상기 푸시버튼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벽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가진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디의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부를 가진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위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푸시버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푸시버튼은 끼움결합부를 통해 상기 탄성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지지부는 외측으로 돌출한 보스를 가지며, 상기 탄성지지부의 보스에는 끼움결합부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끼움결합부는 상기 보스의 내측단에 지지되는 스토퍼를 가지는 스위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의 일단부를 폐쇄하는 스위치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부, 상기 탄성지지부 및 상기 바디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동일체로 형성되는 스위치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에는 상기 탄성지지부의 이면과 접촉하는 접촉부가 마련되는 스위치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에는 내측결합부가 돌출하고, 상기 끼움결합부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결합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스위치장치.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은 누름면 및 상기 바디 측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결합부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결합부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홈에 스냅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스냅돌기가 형성되는 스위치 장치.
KR1020160125048A 2016-09-28 2016-09-28 스위치 장치 KR101896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48A KR101896772B1 (ko) 2016-09-28 2016-09-28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48A KR101896772B1 (ko) 2016-09-28 2016-09-28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054A KR20180035054A (ko) 2018-04-05
KR101896772B1 true KR101896772B1 (ko) 2018-09-07

Family

ID=61977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048A KR101896772B1 (ko) 2016-09-28 2016-09-28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7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5573A (ja) 1999-11-29 2001-06-08 Yamashita Denki Kk スイッチ
JP2010044972A (ja) 2008-08-14 2010-02-25 Alps Electric Co Ltd 照光式スイッチ装置
JP2011249282A (ja) 2010-05-31 2011-12-08 Fujitsu Component Ltd キースイッチ装置およびキーボー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0666A (ko) * 2006-12-04 2008-06-10 박재우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
KR101624729B1 (ko) * 2014-05-28 2016-05-27 위너콤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안테나 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5573A (ja) 1999-11-29 2001-06-08 Yamashita Denki Kk スイッチ
JP2010044972A (ja) 2008-08-14 2010-02-25 Alps Electric Co Ltd 照光式スイッチ装置
JP2011249282A (ja) 2010-05-31 2011-12-08 Fujitsu Component Ltd キースイッチ装置およびキーボ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054A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8460B2 (en) Latch release operating apparatus
US4764648A (en) Switch assembly with actuator for sequentially activating two safety switches
JP2012204341A (ja) スライド式ボタン
JP2010080234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US6313420B1 (en) Slide switch
KR101896772B1 (ko) 스위치 장치
CN115206714A (zh) 开关装置
KR20080056130A (ko) 래치해제 조작장치
JP4607697B2 (ja) 防水型押釦スイッチ装置
KR200486134Y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US8158901B2 (en) Sliding key mechanism capable of being fastened tightly due to interference generated by elastic force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
JP2012138273A (ja) スイッチ
US8993906B2 (en) Vehicle switch
KR200460533Y1 (ko) 슬라이더 스위치 유니트
KR101919432B1 (ko) 스위치 장치
JP6604642B1 (ja) ロッカースイッチのスライド操作変換用アダプタ。
JP2004030935A (ja) 簡易防水型スイッチ
KR200365289Y1 (ko) 와이드 스위치의 가동부와 노브의 결합구조
JP4008648B2 (ja) 押釦スイッチ
KR101171651B1 (ko) 스위치 유니트
JP4532702B2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H0427066Y2 (ko)
CN114446690A (zh) 按键组件及电子设备
JP2011018601A (ja) 多方向スライド型電子部品
KR20090101776A (ko) 버튼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