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4428A -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4428A
KR20150034428A KR20130114490A KR20130114490A KR20150034428A KR 20150034428 A KR20150034428 A KR 20150034428A KR 20130114490 A KR20130114490 A KR 20130114490A KR 20130114490 A KR20130114490 A KR 20130114490A KR 20150034428 A KR20150034428 A KR 20150034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ctile feedback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area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4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731B1 (ko
Inventor
김지환
김종호
천시내
조은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4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731B1/ko
Priority to US14/150,332 priority patent/US9086729B2/en
Priority to EP14848449.6A priority patent/EP3049896B1/en
Priority to CN201480052050.2A priority patent/CN105556429B/zh
Priority to PCT/KR2014/000252 priority patent/WO2015046671A1/en
Publication of KR20150034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60Rotation of a whole image or par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4Force feedback applied to GUI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지털 이미지를 회전시키는 제1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하는 단계,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이 시작되는 때 제1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의 제1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터치 영역의 제2 영역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단계,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일 때, 제1 비율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 및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일 때, 제2 비율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비율 및 제2 비율은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이고, 제2 비율은 제1 비율을 초과할 수 있다.

Description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Device generating Tactile feedback}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 특히 택타일 피드백을 포함한 디지털 이미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것이다.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보급되면서 사용자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표면을 터치하여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를 제어하고 터치 인풋이 디텍팅된 영역에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터치된 디지털 이미지의 영역이 어떠한 텍스쳐를 갖는지 촉감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디지털 이미지의 텍스쳐에 대한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받으면서 디지털 이미지를 제어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제어 상황(control state)을 사용자에게 택타일 피드백으로 인폼하기 어렵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제어 상황을 택타일 피드백을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는, 택타일 피드백을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제어 상황에 대한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컨트롤 인풋을 센싱하는 센서 유닛,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택타일 피드백 유닛, 및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디지털 이미지를 회전시키는 제1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하고,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이 시작되는 때 제1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의 제1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터치 영역의 제2 영역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일 때, 제1 비율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일 때, 제2 비율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비율 및 제2 비율은 각각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이고, 제2 비율은 제1 비율을 초과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지털 이미지를 회전시키는 제1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하는 단계,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이 시작되는 때 제1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의 제1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터치 영역의 제2 영역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단계,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일 때, 제1 비율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 및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일 때, 제2 비율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비율 및 제2 비율은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이고, 제2 비율은 제1 비율을 초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제어 상황을 사용자에게 인폼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제어 상황을 택타일 피드백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가 회전됨에 따라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고 각각의 영역에 서로 다른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제어 상황에 따라 터치 영역에 포함된 제1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에 따라 택타일 피드백을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밀도 또는 발생 영역을 변경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에 따라 터치 영역에 포함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경계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2차원 디지털 이미지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3차원 디지털 이미지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3차원 디지털 이미지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택타일 피드백의 경계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지털 이미지의 평행 이동에 따른 택타일 피드백 발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뮤직 플레이어, 스마트 테이블, 모니터, 리모컨 또는 텔레비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2차원 디지털 이미지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2차원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2차원 디지털 이미지는 디지털 이미지의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2차원 디지털 이미지는 디지털 이미지로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하고,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제어 상황(control state)에 따라 발생된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 유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 유닛(12)을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1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의 전면(frontside)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13)의 전면의 텍스쳐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13)를 제어하는 컨트롤 인풋(14)을 디텍팅할 수 있다. 컨트롤 인풋은 터치 인풋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14)이 디텍팅된 영역에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발생된 택타일 피드백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14)의 텍스쳐를 느낄 수 있다.
도 1의 좌측 상단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에 의해 컨트롤 인풋(14)이 디텍팅되고 디지털 이미지가 제어되기 전의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제어의 일 실시예로써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회전을 설명한다. 도 1의 좌측 상단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15)에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1에서 터치 영역(15)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터치된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서 터치 영역(15)은 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타원형이 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15)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15)을 제1 영역(16) 및 제2 영역(17)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14)의 이동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제1 영역(16)으로 설정하고 컨트롤 인풋(14)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제2 영역(17)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에서 컨트롤 인풋(14)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의 좌측 영역을 제1 영역(16)으로써 설정하고 우측 영역을 제2 영역(17)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16)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17)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13)를 터치하는 컨트롤 인풋(14)에 대응하여 터치 영역(15)의 제1 영역(16) 및 제2 영역(17)에 각각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14)의 터치 영역에 대응하는 디지털 이미지(13)의 영역의 텍스쳐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14)이 디텍팅되고 디지털 이미지가 회전되기 전인 경우, 제1 영역에 100 퍼센트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에 100 퍼센트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10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오리지널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와 동일한 세기 또는 밀도를 갖는 택타일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10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영역의 전체 영역에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유닛(12)에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13)를 터치한 컨트롤 인풋(14)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13)의 전면의 텍스쳐를 느낄 수 있다.
도 1의 좌측 상단에서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은 1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가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100 퍼센트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아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가 기울어질수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의 우측 상단은 디지털 이미지(13)가 좌측으로 제1 각도로 회전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14)의 이동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1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은 3차원 회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14)에 대응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디지털 이미지에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인 경우,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13)를 제1 각도만큼 기울여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각도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2 각도 미만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13)의 회전 각도인 제1 각도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일 때, 제1 비율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비율이란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일 때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16) 및 제2 영역(17) 중 디지털 이미지(13)가 회전하는 방향에 위치한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을 상대적으로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15)에 포함된 제1 영역(16)에 40 퍼센트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17)에 80퍼센트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4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오리지널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의 40 퍼센트에 해당하는 세기 또는 밀도를 갖는 택타일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4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영역의 40 퍼센트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에만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8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오리지널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의 80 퍼센트에 해당하는 세기 또는 밀도를 갖는 택타일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8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영역의 80 퍼센트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에만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의 우측 상단에서 디지털 이미지가 좌측으로 제1 각도로 회전된 경우,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제1 비율은 2가 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가 제1 택타일 피드백을 40 퍼센트로 발생하고, 제2 택타일 피드백을 80 퍼센트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위에서 설명한 수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인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영역(15)에 포함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발생되는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회전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변경함으로써 디지털 이미지의 컨트롤 상황을 사용자에게 인폼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를 3차원 회전시킴에 있어서, 터치 영역과 디지털 이미지와의 거리에 따라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의 우측 상단과 같이 디지털 이미지가 좌측으로 제1 각도로 회전하는 경우 터치 영역 중 제1 영역(16)과 디지털 이미지와의 거리는 제2 영역(17)과 디지털 이미지와의 거리를 초과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가 디스플레이 공간 내에서 디지털 이미지(13)의 전면을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16)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제2 영역(17)의 제2 택타일 피드백보다 더 큰 비율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변경된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2)에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13)가 컨트롤 인풋(14)에 의해 좌측으로 회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상대적으로 택타일 피드백의 밀도 또는 세기가 감소한 방향으로 디지털 이미지(13)가 회전되고 있음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의 텍스쳐를 유지하면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의 밀도 또는 세기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디지털 이미지의 제어 상황을 인폼할 수 있다.
도 1의 우측 하단은 디지털 이미지(13)가 제2 각도로 회전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14)의 이동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13)를 제2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은 3차원 회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인 경우,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13)를 제2 각도만큼 기울여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각도는 위에서 설명한 제1 각도를 초과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13)의 회전 각도인 제2 각도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일 때, 제2 비율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비율이란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일 때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16) 및 제2 영역(17) 중 디지털 이미지(13)가 회전하는 방향에 위치한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을 상대적으로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15)에 포함된 제1 영역(16)에 10 퍼센트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17)에 50퍼센트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1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오리지널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의 10 퍼센트에 해당하는 세기 또는 밀도를 갖는 택타일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1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영역의 10 퍼센트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에만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5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오리지널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의 50 퍼센트에 해당하는 세기 또는 밀도를 갖는 택타일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5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영역의 50 퍼센트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에만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의 우측 하단에서 디지털 이미지가 제2 각도로 회전된 경우,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제2 비율은 5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가 제1 택타일 피드백을 10 퍼센트로 발생하고, 제2 택타일 피드백을 50 퍼센트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디지털 이미지는 제1 각도를 초과하는 제2 각도로 회전되었기 때문에 제2 비율은 제1 비율을 초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위에서 설명한 수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인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영역(15)에 포함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발생되는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회전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변경함으로써 디지털 이미지의 컨트롤 상황을 사용자에게 인폼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를 3차원 회전시킴에 있어서, 터치 영역과 디지털 이미지와의 거리에 따라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의 우측 하단과 같이 디지털 이미지가 좌측으로 제2 각도로 회전하는 경우 터치 영역 중 제1 영역(16)과 디지털 이미지와의 거리는 제2 영역(17)과 디지털 이미지와의 거리를 초과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16)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제2 영역(17)의 제2 택타일 피드백보다 더 큰 비율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변경된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2)에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13)가 컨트롤 인풋(14)에 의해 좌측으로 더 회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택타일 피드백이 상대적으로 더 감소한 영역이 위치한 방향으로 디지털 이미지(13)가 회전되고 있음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의 텍스쳐를 유지하면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의 밀도 또는 세기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디지털 이미지의 제어 상황을 인폼할 수 있다.
도 1의 좌측 하단은 디지털 이미지(13)의 회전이 완료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14)의 이동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1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은 3차원 회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회전 각도가 180도인 경우, 전면이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13)를 회전시켜 디지털 이미지의 후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13)의 회전이 완료됨에 따라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14)이 터치했던 디지털 이미지의 전면이 회전에 의해 후면으로 변경됨에 따라 터치 영역에 대한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14)이 디텍팅되고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이 완료된 경우, 제1 영역에 0 퍼센트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에 0 퍼센트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오리지널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의 0 퍼센트에 해당하는 세기 또는 밀도를 갖는 택타일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으로부터 택타일 피드백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디지털 이미지의 후면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에 100 퍼센트의 제3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에 100 퍼센트의 제4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택타일 피드백 및 제4 택타일 피드백은 디지털 이미지(13)의 후면의 텍스쳐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일 수 있다. 또한 10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오리지널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와 동일한 세기 또는 밀도를 갖는 택타일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유닛(12)에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13)를 터치한 컨트롤 인풋(14)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13)의 후면의 텍스쳐를 느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영역(15)에 포함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발생되는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회전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변경함으로써 디지털 이미지의 컨트롤 상황을 사용자에게 인폼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변경된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2)에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13)의 회전이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의 전면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을 터치 영역에서 제거하거나, 후면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디지털 이미지의 제어 상황을 인폼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3차원 디지털 이미지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3차원 디지털 이미지는 복수의 사이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하고,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제어 상황에 따라 발생된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 유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 유닛(12)을 이용하여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제1 사이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의 제1 사이드의 텍스쳐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를 제어하는 컨트롤 인풋(22)을 디텍팅할 수 있다. 컨트롤 인풋은 터치 인풋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22)이 디텍팅된 영역에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발생된 택타일 피드백을 통해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의 텍스쳐를 느낄 수 있다.
도 2의 좌측 상단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에 의해 컨트롤 인풋(22)이 디텍팅되고 3차원 디지털 이미지가 제어되기 전의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제어의 일 실시예로써 3차원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회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의 좌측 상단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23)에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서 터치 영역(23)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터치된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에서 터치 영역(23)은 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타원형이 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23)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23)을 제1 영역(24) 및 제2 영역(25)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22)의 이동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제1 영역(24)으로 설정하고 컨트롤 인풋(22)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제2 영역(25)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에서 컨트롤 인풋(22)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의 좌측 영역을 제1 영역(24)으로써 설정하고 우측 영역을 제2 영역(25)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24)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25)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를 터치하는 컨트롤 인풋(22)에 대응하여 터치 영역(23)의 제1 영역(24) 및 제2 영역(25)에 각각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22)의 터치 영역에 대응하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의 영역의 텍스쳐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22)이 디텍팅되고 3차원 디지털 이미지가 회전되기 전인 경우, 제1 영역에 100 퍼센트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에 100 퍼센트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10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오리지널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와 동일한 세기 또는 밀도를 갖는 택타일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10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영역의 전체 영역에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유닛(12)에 디스플레이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를 터치한 컨트롤 인풋(22)을 통해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의 제1 사이드의 텍스쳐를 느낄 수 있다.
도 2의 좌측 상단에서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은 1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가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100 퍼센트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아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가 기울어질수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의 우측 상단은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가 좌측으로 제1 각도로 회전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22)의 이동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은 3차원 회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인 경우, 디스플레이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를 제1 각도만큼 회전시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회전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의 제2 사이드를 제1 사이드와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의 회전 각도인 제1 각도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일 때, 제1 비율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비율이란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일 때,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24) 및 제2 영역(25) 중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가 회전하는 방향에 위치한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을 상대적으로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23)에 포함된 제1 영역(24)에 40 퍼센트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25)에 80퍼센트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4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오리지널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의 40 퍼센트에 해당하는 세기 또는 밀도를 갖는 택타일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4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영역의 40 퍼센트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에만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8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오리지널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의 80 퍼센트에 해당하는 세기 또는 밀도를 갖는 택타일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8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영역의 80 퍼센트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에만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의 우측 상단에서 3차원 디지털 이미지가 제1 각도로 회전된 경우,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제1 비율은 2가 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가 제1 택타일 피드백을 40 퍼센트로 발생하고, 제2 택타일 피드백을 80 퍼센트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위에서 설명한 수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인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영역(23)에 포함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발생되는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회전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변경함으로써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컨트롤 상황을 사용자에게 인폼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를 3차원 회전시킴에 있어서, 터치 영역과 3차원 디지털 이미지와의 거리에 따라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도 2의 우측 상단과 같이 3차원 디지털 이미지가 좌측으로 제1 각도로 회전하는 경우 터치 영역 중 제1 영역(24)과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제1 사이드와의 거리는 제2 영역(25)과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제1 사이드와의 거리를 초과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가 디스플레이 공간 내에서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의 제1 사이드를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24)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제2 영역(25)의 제2 택타일 피드백보다 더 큰 비율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변경된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2)에 디스플레이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가 컨트롤 인풋(22)에 의해 좌측으로 회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택타일 피드백이 상대적으로 더 감소한 영역이 위치한 방향으로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가 회전되고 있음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의 텍스쳐를 유지하면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의 밀도 또는 세기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제어 상황을 인폼할 수 있다.
도 2의 우측 하단은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가 제2 각도로 회전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22)의 이동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를 제2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은 3차원 회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인 경우, 디스플레이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를 제2 각도만큼 회전시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이 진행됨에 따라 제1 사이드의 경사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회전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의 제2 사이드를 제1 사이드와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의 회전 각도인 제2 각도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일 때, 제2 비율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비율이란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일 때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24) 및 제2 영역(25) 중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가 회전하는 방향에 위치한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을 상대적으로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23)에 포함된 제1 영역(24)에 10 퍼센트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25)에 50퍼센트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1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오리지널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의 10 퍼센트에 해당하는 세기 또는 밀도를 갖는 택타일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1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영역의 10 퍼센트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에만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5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오리지널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의 50 퍼센트에 해당하는 세기 또는 밀도를 갖는 택타일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5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영역의 50 퍼센트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에만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의 우측 하단에서 3차원 디지털 이미지가 제2 각도로 회전된 경우,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제2 비율은 5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가 제1 택타일 피드백을 10 퍼센트로 발생하고, 제2 택타일 피드백을 50 퍼센트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3차원 디지털 이미지는 제1 각도를 초과하는 제2 각도로 회전되었기 때문에 제2 비율은 제1 비율을 초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위에서 설명한 수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인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영역(23)에 포함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발생되는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회전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변경함으로써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컨트롤 상황을 사용자에게 인폼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를 3차원 회전시킴에 있어서, 터치 영역과 3차원 디지털 이미지와의 거리에 따라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도 2의 우측 하단과 같이 3차원 디지털 이미지가 좌측으로 제2 각도로 회전하는 경우 터치 영역 중 제1 영역(24)과 제1 사이드와의 거리는 제2 영역(25)과 제1 사이드와의 거리를 초과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23)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제2 영역(25)의 제2 택타일 피드백보다 더 큰 비율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변경된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2)에 디스플레이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가 컨트롤 인풋(22)에 의해 좌측으로 더 회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택타일 피드백이 상대적으로 더 감소한 영역이 위치한 방향으로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가 더 회전되고 있음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의 텍스쳐를 유지하면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의 밀도 또는 세기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제어 상황을 인폼할 수 있다.
도 2의 좌측 하단은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의 회전이 완료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22)의 이동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은 3차원 회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회전 각도가 180도인 경우, 제1 사이드가 디스플레이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를 회전시켜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제2 사이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의 회전이 완료됨에 따라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22)이 터치했던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제1 사이드가 회전에 의해 제2 사이드로 변경됨에 따라 터치 영역에 대한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22)이 디텍팅되고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이 완료된 경우, 제1 영역에 0 퍼센트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에 0 퍼센트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오리지널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의 0 퍼센트에 해당하는 세기 또는 밀도를 갖는 택타일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으로부터 택타일 피드백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제2 사이드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에 100 퍼센트의 제3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에 100 퍼센트의 제4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택타일 피드백 및 제4 택타일 피드백은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의 제2 사이드의 텍스쳐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일 수 있다. 또한 10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오리지널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와 동일한 세기 또는 밀도를 갖는 택타일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10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영역의 전체 영역에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유닛(12)에 디스플레이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를 터치한 컨트롤 인풋(22)을 통해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의 제2 사이드의 텍스쳐를 느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영역(23)에 포함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발생되는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회전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변경함으로써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컨트롤 상황을 사용자에게 인폼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변경된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2)에 디스플레이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21)의 회전이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제1 사이드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을 터치 영역에서 제거하거나, 제2 사이드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제어 상황을 인폼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3차원 디지털 이미지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3차원 디지털 이미지는 복수의 사이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하고, 컨트롤 인풋이 디텍팅된 사이드를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제어 상황에 따라 발생된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 유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 유닛(12)을 이용하여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제1 사이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의 제1 사이드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에 택타일 피드백(34)을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발생된 택타일 피드백을 통해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의 제1 사이드의 텍스쳐를 느낄 수 있다.
도 3의 좌측 상단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에 의해 컨트롤 인풋(32)이 디텍팅되고 3차원 디지털 이미지가 제어되기 전의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제어의 일 실시예로써 3차원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회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좌측 상단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사이드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을 설정할 수 있다.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은 제1 사이드와 동일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설정된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에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32)의 이동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하고 컨트롤 인풋(32)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에서 컨트롤 인풋(32)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의 좌측 영역을 제1 영역으로써 설정하고 우측 영역을 제2 영역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제1 영역의 텍스쳐와 제2 영역의 텍스쳐가 동일한 경우, 제1 택타일 피드백과 제2 택타일 피드백은 동일한 택타일 피드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32)이 디텍팅되고 3차원 디지털 이미지가 회전되기 전인 경우,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의 제1 영역에 100 퍼센트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에 100 퍼센트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10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오리지널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와 동일한 세기 또는 밀도를 갖는 택타일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10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영역의 전체 영역에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유닛(12)에 디스플레이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를 터치한 컨트롤 인풋(32)을 통해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의 제1 사이드의 텍스쳐를 느낄 수 있다.
도 3의 좌측 상단에서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은 1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가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100 퍼센트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아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가 기울어질수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의 우측 상단은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가 제1 각도로 좌측으로 회전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32)의 이동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은 3차원 회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인 경우, 디스플레이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를 제1 각도만큼 회전시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회전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의 제2 사이드를 제1 사이드와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의 회전 각도인 제1 각도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회전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의 제1 사이드의 영역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을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일 때, 제1 비율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비율이란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일 때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가 회전하는 방향에 위치한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을 상대적으로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택타일 피드백 영역(33) 중 좌측에 포함된 제1 영역에 40 퍼센트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우측에 포함된 제2 영역에 80 퍼센트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까지 단계적으로 택타일 피드백의 퍼센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한 영역에 50 퍼센트 및 6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여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4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오리지널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의 40 퍼센트에 해당하는 세기 또는 밀도를 갖는 택타일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4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영역의 40 퍼센트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에만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8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오리지널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의 80 퍼센트에 해당하는 세기 또는 밀도를 갖는 택타일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8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영역의 80 퍼센트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에만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의 우측 상단에서 3차원 디지털 이미지가 제1 각도로 회전된 경우,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제1 비율은 2가 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가 제1 택타일 피드백을 40 퍼센트로 발생하고, 제2 택타일 피드백을 80 퍼센트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위에서 설명한 수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인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에 포함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발생되는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회전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변경함으로써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컨트롤 상황을 사용자에게 인폼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를 3차원 회전시킴에 있어서,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뎁스에 따라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영역별 뎁스에 비례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의 우측 상단과 같이 3차원 디지털 이미지가 좌측으로 제1 각도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사이드 좌측 영역의 뎁스는 우측 영역의 뎁스를 초과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가 디스플레이 공간 내에서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의 제1 사이드를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의 제1 영역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제2 영역의 제2 택타일 피드백보다 더 큰 비율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변경된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2)에 디스플레이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가 컨트롤 인풋(32)에 의해 좌측으로 회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택타일 피드백이 상대적으로 더 감소한 영역이 위치한 방향으로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가 회전되고 있음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의 텍스쳐를 유지하면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의 밀도 또는 세기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제어 상황을 인폼할 수 있다.
도 3의 우측 하단은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가 제2 각도로 좌측으로 회전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32)의 이동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은 3차원 회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인 경우, 디스플레이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를 제2 각도만큼 회전시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회전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의 제2 사이드를 제1 사이드와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의 회전 각도인 제2 각도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2 각도만큼 회전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의 제1 사이드의 영역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을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일 때, 제2 비율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비율이란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일 때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가 회전하는 방향에 위치한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을 상대적으로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택타일 피드백 영역(33) 중 좌측에 포함된 제1 영역에 10 퍼센트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우측에 포함된 제2 영역에 50 퍼센트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까지 단계적으로 택타일 피드백의 퍼센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한 영역에 20 퍼센트, 30 퍼센트 및 4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여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1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오리지널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의 10 퍼센트에 해당하는 세기 또는 밀도를 갖는 택타일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1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영역의 10 퍼센트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에만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5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오리지널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의 50 퍼센트에 해당하는 세기 또는 밀도를 갖는 택타일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5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영역의 50 퍼센트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에만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의 우측 하단에서 3차원 디지털 이미지가 제2 각도로 회전된 경우,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제1 비율은 5가 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가 제1 택타일 피드백을 10 퍼센트로 발생하고, 제2 택타일 피드백을 50 퍼센트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위에서 설명한 수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인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에 포함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발생되는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회전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변경함으로써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컨트롤 상황을 사용자에게 인폼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를 3차원 회전시킴에 있어서,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뎁스에 따라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영역별 뎁스에 비례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의 우측 상단과 같이 3차원 디지털 이미지가 좌측으로 제2 각도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사이드 좌측 영역의 뎁스는 우측 영역의 뎁스를 초과할 수 있다. 또한 제2 각도로 회전된 제1 사이드의 좌측 영역의 뎁스는 제1 각도로 회전된 제1 사이드의 좌측 영역의 뎁스를 초과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가 디스플레이 공간 내에서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의 제1 사이드를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의 제1 영역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제2 영역의 제2 택타일 피드백보다 더 큰 비율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변경된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2)에 디스플레이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가 컨트롤 인풋(32)에 의해 좌측으로 회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택타일 피드백이 상대적으로 더 감소한 영역이 위치한 방향으로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가 회전되고 있음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의 텍스쳐를 유지하면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의 밀도 또는 세기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제어 상황을 인폼할 수 있다.
도 3의 좌측 하단은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의 회전이 완료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회전 각도가 180도인 경우, 제1 사이드가 디스플레이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를 회전시켜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제2 사이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의 회전이 완료됨에 따라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32)이 터치했던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제1 사이드가 회전에 의해 제2 사이드로 변경됨에 따라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에 대한 택타일 피드백(34)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32)이 디텍팅되고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이 완료된 경우,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의 제1 영역에 0 퍼센트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에 0 퍼센트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오리지널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의 0 퍼센트에 해당하는 세기 또는 밀도를 갖는 택타일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으로부터 택타일 피드백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제2 사이드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에 100 퍼센트의 제3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에 100 퍼센트의 제4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택타일 피드백 및 제4 택타일 피드백은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의 제2 사이드의 텍스쳐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일 수 있다. 또한 10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오리지널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와 동일한 세기 또는 밀도를 갖는 택타일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10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이란,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영역의 전체 영역에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유닛(12)에 디스플레이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를 터치한 컨트롤 인풋(32)을 통해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의 제2 사이드의 텍스쳐를 느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택타일 피드백 영역(33)에 포함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발생되는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회전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변경함으로써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컨트롤 상황을 사용자에게 인폼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변경된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2)에 디스플레이된 3차원 디지털 이미지(31)의 회전이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제1 사이드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을 택타일 피드백 영역에서 제거하거나, 제2 사이드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제어 상황을 인폼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서 디텍팅된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각 영역에 발생되는 택타일 피드백을 각각 다르게 변경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터치 영역에 있어서 각 영역별로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에 발생된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영역에 발생된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터치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디지털 이미지가 회전하는 방향에 위치한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을 상대적으로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제1 영역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의 상단은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41)에 발생되는 택타일 피드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상단에 도시된 세 개의 터치 영역(41)은 컨트롤 인풋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터치 영역(41)에 발생된 택타일 피드백의 변경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되는 면적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영역(41)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제1 영역(43)으로 설정하고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제2 영역(42)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의 상단에서 컨트롤 인풋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영역의 우측 영역을 제1 영역(43)으로써 설정하고 좌측 영역을 제2 영역(42)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43)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42)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4의 상단에서 좌측 도면은 컨트롤 인풋이 디텍팅되고 이동하기 전의 택타일 피드백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43)의 전체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42)의 전체 영역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 인풋이 이동하기 전에는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가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영역에 포함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전체 영역에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4의 상단에서 중앙 도면은 컨트롤 인풋이 디텍팅된 후 이동하여 디지털 이미지가 제1 각도만큼 회전된 때의 택타일 피드백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영역(42)의 전체 영역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1 영역(43)의 일부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43) 중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제1 택타일 피드백의 발생 영역에서 제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 중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인 우측 영역으로부터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4의 상단에서 우측 도면은 컨트롤 인풋이 디텍팅된 후 이동하여 디지털 이미지가 제2 각도만큼 회전된 때의 택타일 피드백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영역(42)의 전체 영역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1 영역(43)의 일부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43) 중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제1 택타일 피드백의 발생 영역에서 제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 중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인 우측 영역으로부터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제거할 수 있다. 디지털 이미지가 제2 각도만큼 회전된 때에 제1 영역에서 제1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되는 영역은 제1 각도만큼 회전된 때에 제1 영역에서 제1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되는 영역 미만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이 이동함에 따라, 또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1 영역에서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의 발생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택타일 피드백을 촉각으로 확인하고 디지털 이미지가 회전함을 알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택타일 피드백이 상대적으로 더 감소한 영역이 위치한 방향으로 디지털 이미지가 회전되고 있음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중단은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44)에 발생되는 택타일 피드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중단에 도시된 세 개의 터치 영역(44)은 컨트롤 인풋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터치 영역(44)에 발생된 택타일 피드백의 변경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되는 밀도를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영역(44)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제1 영역(46)으로 설정하고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제2 영역(45)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의 중단에서 컨트롤 인풋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영역의 우측 영역을 제1 영역(46)으로써 설정하고 좌측 영역을 제2 영역(45)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46)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45)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4의 중단에서 좌측 도면은 컨트롤 인풋이 디텍팅되고 이동하기 전의 택타일 피드백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46)의 전체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45)의 전체 영역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 인풋이 이동하기 전에는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가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영역에 포함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동일한 밀도의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10의 밀도를 갖는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4의 중단에서 중앙 도면은 컨트롤 인풋이 디텍팅된 후 이동하여 디지털 이미지가 제1 각도만큼 회전된 때의 택타일 피드백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영역(45)에서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밀도를 유지하고, 제1 영역(46)에서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의 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에 5의 밀도를 갖는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에 10의 밀도를 갖는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4의 중단에서 우측 도면은 컨트롤 인풋이 디텍팅된 후 이동하여 디지털 이미지가 제2 각도만큼 회전된 때의 택타일 피드백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영역(45)에서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밀도를 유지하고, 제1 영역(46)에서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의 밀도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에 2의 밀도를 갖는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에 10의 밀도를 갖는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이 이동함에 따라, 또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1 영역에서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의 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영역에서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밀도도 함께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밀도가 제1 택타일 피드백의 밀도를 초과하는 수치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46) 및 제2 영역(45) 중 디지털 이미지가 회전하는 방향에 위치한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의 밀도를 상대적으로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택타일 피드백을 촉각으로 확인하고 디지털 이미지가 회전함을 알 수 있다.
도 4의 하단은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47)에 발생되는 택타일 피드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하단에 도시된 세 개의 터치 영역(47)은 컨트롤 인풋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터치 영역(47)에 발생된 택타일 피드백의 변경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되는 세기(intensity)를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영역(47)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제1 영역(49)으로 설정하고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제2 영역(48)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의 하단에서 컨트롤 인풋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영역의 우측 영역을 제1 영역(49)으로써 설정하고 좌측 영역을 제2 영역(48)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49)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48)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4의 하단에서 좌측 도면은 컨트롤 인풋이 디텍팅되고 이동하기 전의 택타일 피드백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49)에 하이-레벨의 세기를 갖는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48)에 하이-레벨의 세기를 갖는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 인풋이 이동하기 전에는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가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영역에 포함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동일한 세기의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4의 하단에서 중앙 도면은 컨트롤 인풋이 디텍팅된 후 이동하여 디지털 이미지가 제1 각도만큼 회전된 때의 택타일 피드백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영역(48)에서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를 유지하고, 제1 영역(49)에서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에 미드-레벨의 세기를 갖는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에 하이-레벨의 세기를 갖는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4의 하단에서 우측 도면은 컨트롤 인풋이 디텍팅된 후 이동하여 디지털 이미지가 제2 각도만큼 회전된 때의 택타일 피드백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영역(48)에서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를 감소시키고, 제1 영역(49)에서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의 밀도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에 로우-레벨의 세기를 갖는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에 미드-레벨의 세기를 갖는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이 이동함에 따라, 또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1 영역에서의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영역에서의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영역 내에서 부분별로 다르게 변경되는 택타일 피드백으로부터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가 컨트롤 인풋의 이동방향으로 회전되고 있음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택타일 피드백이 상대적으로 더 감소한 영역이 위치한 방향으로 디지털 이미지가 회전되고 있음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택타일 피드백의 경계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서 디텍팅된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복수의 영역 사이의 경계를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 사이의 경계를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터치 영역에 있어서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에 대응하여 각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의 좌측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 유닛(12)에 디지털 이미지(5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51)를 회전시키는 컨트롤 인풋(52)을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5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컨트롤 인풋(52)을 디텍팅할 수 있다. 도 5의 좌측에서 컨트롤 인풋의 초기 이동 방향(53)은 우측 방향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컨트롤 인풋(52)을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우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터치 영역(54)의 영역을 나눌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54)에 포함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사이의 경계(55)를 상하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의 중앙에서 컨트롤 인풋의 중기 이동 방향(53)은 우측 상향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우측 상향으로 이동하는 컨트롤 인풋(52)을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우측 상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좌측 상향 또는 우측 하향으로 터치 영역(54)의 영역을 나눌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54)에 포함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사이의 경계(55)를 좌측 상향 또는 우측 하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의 우측에서 컨트롤 인풋의 후기 이동 방향(53)은 상향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상향으로 이동하는 컨트롤 인풋(52)을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상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터치 영역(54)의 영역을 나눌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54)에 포함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사이의 경계(55)를 좌우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52)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터치 영역 내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의 경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을 촉감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지털 이미지의 평행 이동에 따른 택타일 피드백 발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가 회전이 아닌 평행 이동하는 경우 터치 영역에 발생된 택타일 피드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과 평행 이동을 구분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어떠한 컨트롤 인풋이 입력되고 있는지 및 디지털 이미지의 제어 상황을 인폼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 유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 유닛(12)을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6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의 전면(frontside)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61)의 전면의 텍스쳐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13)를 평행 이동시키는 컨트롤 인풋(62)을 디텍팅할 수 있다. 컨트롤 인풋은 터치 인풋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62)이 디텍팅된 터치 영역에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발생된 택타일 피드백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61)의 텍스쳐를 느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61)가 평행 이동되는 경우, 터치 영역(63)에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터치 영역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62)의 이동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제1 영역(64)으로 설정하고, 컨트롤 인풋(62)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제2 영역(65)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61)가 컨트롤 인풋(62)에 의해 평행 이동되는 경우, 컨트롤 인풋(62)의 터치 영역(63)에 발생된 택타일 피드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평행 이동이 시작되는 때부터 완료되는 때까지 터치 영역(63)에 발생된 택타일 피드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좌측 상단과 같이 컨트롤 인풋이 디텍팅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63)에 포함된 제1 영역(64) 및 제2 영역(64)에 10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61)가 도 6의 우측 상단과 같이 좌측으로 평행 이동된 경우에도 제1 영역(64) 및 제2 영역(64)에 10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61)가 도 6의 우측 하단과 같이 상향으로 평행 이동된 경우에도 제1 영역(64) 및 제2 영역(64)에 100 퍼센트의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61)가 평행 이동되는 경우, 터치 영역에 발생되는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는 도 1 내지 5에서 설명한 디지털 이미지가 회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하는 것과 구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컨트롤 인풋에 의해 디지털 이미지가 평행 이동되는지 또는 회전하는지를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101),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 센서 유닛(103) 및 컨트롤러(10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2차원 디지털 이미지는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2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전면 또는 후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디지털 이미지는 복수의 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복수의 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를 2차원 회전시키거나 3차원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디지털 이미지를 평행 이동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실시예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자잉크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유닛을 터치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은 택타일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택타일 피드백 유닛의 택타일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디지털 이미지의 텍스쳐에 대응하여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에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디지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면에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 및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방향에 기초하여 터치 영역에 발생되는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되는 영역, 밀도 또는 세기를 변경하여 디지털 이미지가 제어되거나 회전됨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이 사용자에게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미세 진동 액츄에이터 또는 초음파 진동 액츄에이터(actuator)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해 택타일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다.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진동 주파수 및 진동 크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에 전달되는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미세전류를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택타일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다.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전류의 세기, 발생 주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른 촉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초음파 공진을 사용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복수의 초음파를 발생하여, 이들을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공진시켜 사용자에게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공진 주파수의 크기, 공진을 발생시키는 주기를 조절하여 서로 다른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유닛(101)과 택타일 피드백 유닛은 실시예에 따라 택타일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통합되어 설계될 수도 있다.
센서 유닛(103)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입력되는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3)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터치하는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3)은 감압식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03)은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3)은 센싱된 컨트롤 인풋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104)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유닛(101)과 센서 유닛(103)의 터치 센서는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통합되어 설계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104)는 센서 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01) 및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하고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에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터치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터치 영역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하고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컨트롤 인풋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컨트롤러(104)는 터치 영역의 좌측 영역을 제1 영역으로써 설정하고 우측 영역을 제2 영역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제1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을 디텍팅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에 따라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일 때, 제1 비율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비율은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일 때의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에 위치한 제1 영역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제2 영역의 제2 택타일 피드백보다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일 때, 제2 비율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비율은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일 때의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가 기울어질수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2 비율은 제1 비율을 초과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04)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서 디텍팅된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복수의 영역 사이의 경계를 변경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 사이의 경계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04)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의 경계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변경된 경계에 따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재설정하고 제1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트롤 인풋이 이동하는 방향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에 따른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S10).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인 경우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을 제1 비율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인 경우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을 제2 비율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일 때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원본 세기의 40 퍼센트로, 제2 택타일 피드백을 원본 세기의 80 퍼센트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비율은 2가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일 때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원본 세기의 10 퍼센트로, 제2 택타일 피드백을 원본 세기의 50 퍼센트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비율은 5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회전 각도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이미지는 2차원 디지털 이미지 및 3차원 디지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2차원 디지털 이미지는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2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전면 또는 후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디지털 이미지는 복수의 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의 복수의 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를 회전시키는 제1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할 수 있다(S3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제1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컨트롤 인풋은 디지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터치하고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를 제어하는 터치 인풋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를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영역의 제1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터치 영역의 제2 영역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S40). 도 1, 도 3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영역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하고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컨트롤 인풋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영역의 좌측 영역을 제1 영역으로써 설정하고 우측 영역을 제2 영역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컨트롤 인풋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영역의 우측 영역을 제1 영역으로써 설정하고 좌측 영역을 제2 영역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의 속성 및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에 대응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텍스쳐를 나타내는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일 때, 제1 비율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S50). 도 1, 도 2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을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에 따라 택타일 피드백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가 기울어질수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일 때, 위에서 설정된 제1 비율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에 위치한 제1 영역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제2 영역의 제2 택타일 피드백보다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이미지가 회전되기 전에 100 퍼센트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되었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일 때 40 퍼센트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디지털 이미지가 회전되기 전에 100 퍼센트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되었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일 때 80 퍼센트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 및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차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촉각을 통해 택타일 피드백을 확인하고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 및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방향을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제어 상황을 인폼 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택타일 피드백이 상대적으로 더 감소한 영역이 위치한 방향으로 디지털 이미지가 회전되고 있음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일 때, 제2 비율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S60). 도 1, 도 2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일 때, 제2 비율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비율은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일 때의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을 의미하고, 제2 비율은 제1 비율을 초과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에 위치한 제1 영역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제2 영역의 제2 택타일 피드백보다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이미지가 제1 각도로 회전되었을 때 40 퍼센트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되었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일 때 10 퍼센트의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디지털 이미지가 제1 각도로 회전되었을 때 80 퍼센트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되었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일 때 50 퍼센트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 및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차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촉각을 통해 택타일 피드백을 확인하고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 및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방향을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제어 상황을 인폼 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택타일 피드백이 상대적으로 더 감소한 영역이 위치한 방향으로 디지털 이미지가 회전되고 있음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에 따라 터치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에 각각 발생되는 택타일 피드백을 차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차별적으로 변경되는 택타일 피드백을 촉각으로 확인하고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방향을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제어 상황을 알 수 있다.
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디스플레이 유닛
13: 디지털 이미지 14: 컨트롤 인풋
15: 터치 영역 16: 제1 영역
17: 제2 영역 53: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

Claims (20)

  1.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컨트롤 인풋을 센싱하는 센서 유닛;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택타일 피드백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센서 유닛, 상기 택타일 피드백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써,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회전시키는 제1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하고,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이 시작되는 때 상기 제1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의 제1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상기 터치 영역의 제2 영역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일 때, 제1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상기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고,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일 때, 제2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상기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고,
    상기 제1 비율 및 상기 제2 비율은 각각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상기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이고, 상기 제2 비율은 상기 제1 비율을 초과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이 완료되는 때 상기 제1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에서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상기 제2 택타일 피드백을 제거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터치 영역 중 상기 제1 컨트롤 인풋이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터치 영역 중 상기 제1 컨트롤 인풋이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비율 또는 상기 제2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및 상기 제2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비율 또는 상기 제2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영역 내에서의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되는 부분의 밀도 및 상기 제2 영역 내에서의 상기 제2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되는 부분의 밀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비율 또는 상기 제2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제1 비율 및 상기 제2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상기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단계적으로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제1 사이드 및 제2 사이드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3차원 이미지의 상기 제1 사이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컨트롤 인풋이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1 사이드를 상기 제2 사이드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2차원 이미지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여 상기 2차원 이미지를 상기 2차원 이미지에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이미지는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2차원 이미지의 상기 전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컨트롤 인풋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전면을 상기 후면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2차원 이미지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여 상기 2차원 이미지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평행 이동시키는 제2 컨트롤 인풋을 센싱하고,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평행 이동이 시작되는 때부터 완료되는 때까지 상기 제2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에 제3 택타일 피드백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의 텍스쳐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 인풋의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 양분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경계는 상기 제1 컨트롤 인풋의 이동방향에 의해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경계는 상기 제1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2 각도 미만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로부터 상기 제2 각도로 변경될 때,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 또는 밀도는 감소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뮤직 플레이어, 스마트 테이블, 모니터, 텔레비젼 또는 태블릿 컴퓨터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회전시키는 제1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이 시작되는 때 상기 제1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의 제1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상기 터치 영역의 제2 영역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일 때, 제1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상기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제2 각도일 때, 제2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상기 제2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으로써,
    상기 제1 비율 및 상기 제2 비율은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에 대한 상기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비율이고, 상기 제2 비율은 상기 제1 비율을 초과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1020130114490A 2013-09-26 2013-09-26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1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490A KR102201731B1 (ko) 2013-09-26 2013-09-26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4/150,332 US9086729B2 (en) 2013-09-26 2014-01-08 Display device generating tactile feedback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4848449.6A EP3049896B1 (en) 2013-09-26 2014-01-09 Display device generating tactile feedback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480052050.2A CN105556429B (zh) 2013-09-26 2014-01-09 生成触觉反馈的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PCT/KR2014/000252 WO2015046671A1 (en) 2013-09-26 2014-01-09 Display device generating tactile feedback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490A KR102201731B1 (ko) 2013-09-26 2013-09-26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428A true KR20150034428A (ko) 2015-04-03
KR102201731B1 KR102201731B1 (ko) 2021-01-12

Family

ID=5269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490A KR102201731B1 (ko) 2013-09-26 2013-09-26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86729B2 (ko)
EP (1) EP3049896B1 (ko)
KR (1) KR102201731B1 (ko)
CN (1) CN105556429B (ko)
WO (1) WO20150466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0173A (ja) * 2014-03-07 2015-09-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402981B2 (en) * 2017-08-11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visualizing contents as the display is rotated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73510B1 (ko) * 2017-08-11 2022-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회전함에 따라 컨텐츠를 시각화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9144393B (zh) * 2018-08-28 2020-08-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09508093B (zh) * 2018-11-13 2022-08-09 江苏视睿迪光电有限公司 一种虚拟现实交互方法及装置
US11422629B2 (en) * 2019-12-30 2022-08-23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waveform interruption
CN111782044B (zh) * 2020-06-30 2023-03-10 瑞声新能源发展(常州)有限公司科教城分公司 虚拟摇杆的动态触觉反馈实现方法及电子设备
US20230009427A1 (en) * 2021-07-08 2023-01-12 Hyundai Mobis Co., Ltd.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13715A1 (en) * 2011-11-07 2013-05-09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ressure Interaction on Touch-Sensitive Surfaces
US20130211418A1 (en) * 2012-02-10 2013-08-15 Samsung Electronics Ltd., Co. Apparatus and method for tactile feedback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3686B2 (en) * 2007-11-26 2012-08-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ointing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haptic feedback, and haptic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US8373549B2 (en) 2007-12-31 2013-02-12 Apple Inc. Tactile feedback in an electronic device
KR101498622B1 (ko) 2008-06-25 2015-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촉각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604364B2 (en) 2008-08-15 2013-12-10 Lester F. Ludwig Sensors, algorithms and applications for a high dimensional touchpad
KR101555055B1 (ko) 2008-10-10 2015-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KR101628782B1 (ko) 2009-03-20 201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복수의 진동자를 이용한 햅틱 기능 제공방법 및 장치
KR101602500B1 (ko) 2009-09-08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진동 패턴 제어 방법
CN107102721A (zh) * 2010-04-23 2017-08-29 意美森公司 用于提供触觉效果的系统和方法
US9007323B2 (en) * 2012-02-03 2015-04-1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Haptic feedback device, method for driving haptic feedback device, and drive program
US8854325B2 (en) 2012-02-29 2014-10-07 Blackberry Limited Two-factor rotation input on a touchscreen device
US9007318B2 (en) * 2013-02-01 2015-04-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in-vehicle function
US20140249927A1 (en) * 2013-03-04 2014-09-04 Michael De Angelo System and method for cyclic recognition-primed notifications and responsive situational awareness in an advertising display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13715A1 (en) * 2011-11-07 2013-05-09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ressure Interaction on Touch-Sensitive Surfaces
US20130211418A1 (en) * 2012-02-10 2013-08-15 Samsung Electronics Ltd., Co. Apparatus and method for tactile feedb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56429B (zh) 2019-04-16
US20150084878A1 (en) 2015-03-26
US9086729B2 (en) 2015-07-21
WO2015046671A1 (en) 2015-04-02
EP3049896A1 (en) 2016-08-03
CN105556429A (zh) 2016-05-04
EP3049896A4 (en) 2017-05-10
EP3049896B1 (en) 2018-03-07
KR102201731B1 (ko)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4428A (ko)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1093053B2 (en) Input device
US11221730B2 (en) Input device for VR/AR applications
TWI524218B (zh) 觸覺回饋式虛擬鍵盤之提供方法及其電子裝置
KR10195877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47689B1 (ko) 택타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미니-맵을 제공하는 터치 센서티브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10194636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62878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복수의 진동자를 이용한 햅틱 기능 제공방법 및 장치
KR102108062B1 (ko)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스마트 워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41006A (ko) 3차원 멀티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US9189088B2 (en) Electronic device and touch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4029673A (ja)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80048837A (ko) 촉각 피드백을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60104322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 display control signal and a method thereof
KR102201730B1 (ko)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2006114001A (ja) 入出力デバイス及び奥行き感知システム
KR102094886B1 (ko) 택타일 피드백 및 비주얼 피드백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6130583B1 (ja) 仮想空間内のオブジェクトを制御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実装方法
JP2006039635A (ja) 表示装置
JP5801604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5767378B1 (ja) 仮想空間内のオブジェクトを制御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実装方法
JP2019117634A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システム
KR102354559B1 (ko) 콘텐츠 제어용 다종 인터페이스 장치
JP6130550B2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40204020A1 (en) Interactive content control device based on l-shaped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