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980A -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 - Google Patents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980A
KR20150033980A KR20130113970A KR20130113970A KR20150033980A KR 20150033980 A KR20150033980 A KR 20150033980A KR 20130113970 A KR20130113970 A KR 20130113970A KR 20130113970 A KR20130113970 A KR 20130113970A KR 20150033980 A KR20150033980 A KR 20150033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lug
pancake
lug piece
heli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3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6302B1 (ko
Inventor
구정본
하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엔케이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엔케이,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3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302B1/ko
Publication of KR20150033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헬리데크의 운반 또는 턴오버를 위해 팬케익 지지부에 마련되는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가 소개된다.
이 리프팅 러그는 팬케익 지지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에 제 1 체결홀이 형성된 제 1 러그편과, 제 1 체결홀의 중심과 동일 선상에 중심이 위치되는 제 2 체결홀과, 리프팅을 위한 인양홀이 형성되는 제 2 러그편과, 인양홀을 통해 펜케익부를 리프팅할 때 제 2 러그편이 회전될 수 있도록, 제 1 체결홀과 제 2 체결홀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회전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LIFTING LUG OF HELI-DECK}
본 발명은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헬리데크의 테두리부를 안정적으로 리프팅할 수 있는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릴쉽(Drill ship)이나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등과 같은 해양 구조물(Offshore plant) 또는 해상에서 오랜 시간을 체류해야 하는 선박들은 인원 이동을 위해서 헬리콥터(Helicopter)를 운용해야 하고, 이로 인해 선수 또는 선미에 헬리데크(Helideck)의 설치를 필요로 한다.
헬리데크는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데크 플로어(deck floor)를 형성하는 팬케익(pancake)부와 팬케익부를 지지하는 팬케익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팬케익부는 헬리콥터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플랭크(plank)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팬케익 지지부는 팬케익부를 지지할 수 있는 H형 빔(beam)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케익부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알루미늄 소재의 플랭크가 다수 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팬케익 지지부는 플랭크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플랭크의 하측에 배치되어 팬케익부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알루미늄 H빔과, 알루미늄 H빔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알루미늄 H빔의 하측에 배치되어 알루미늄 H빔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스틸 H빔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헬리데크는 지상에서 제작하고, 제작된 헬리데크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부유식 구조물 내지 선체에 적치되어 조립될 수 있다. 예컨대, 지상에서 제작된 헬리데크는 크레인의 후크장치를 통해 들어 올려진 후, 이동되어 선체의 선수, 선미에 적치된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크레인의 인양케이블을 이용하여 헬리데크를 들어 올리는 경우, 헬리데크에 별도 설치된 러그에 후크장치를 연결하여 헬리데크를 리프팅하거나, 헬리데크에 후크장치를 직접 체결하여 헬리데크를 리프팅할 수 있다.
그런데 헬리데크를 턴오버하기 위해서는 헬리데크의 상면과 하면에 리프팅을 위한 러그를 각각 설치해야 하고, 헬리데크를 턴오버한 이후에는 러그를 헬리데크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이 요구되는 등 이들 작업을 위한 인원과 작업 시간이 소요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품질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특허문헌: 국내 특허등록 10-0149662 (1998.06.09.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헬리데크를 균형있고 안정적으로 리프팅할 수 있는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헬리데크의 운반 또는 턴오버를 위해 팬케익 지지부에 마련되는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로서, 상기 팬케익 지지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에 제 1 체결홀이 형성된 제 1 러그편; 상기 제 1 체결홀의 중심과 동일 선상에 중심이 위치되는 제 2 체결홀과, 리프팅을 위한 인양홀이 형성되는 제 2 러그편; 및 상기 인양홀을 통해 상기 펜케익부를 리프팅할 때 상기 제 2 러그편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체결홀과 상기 제 2 체결홀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회전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러그편의 상단부는 상기 팬케익 지지부가 지지하는 팬케익부와 간섭 방지를 위해, 상기 팬케익 지지부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러그편에는 상기 제 1 러그편의 수직방향에 대한 구조 보강을 위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리브; 및 상기 제 1 러그편의 수평방향에 대한 구조 보강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리브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러그편은 쌍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러그편에는 마주보는 대향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리브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러그편에는 상기 제 2 러그편의 회전 각도를 일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팬케익부의 리프팅시 상기 제 2 러그편의 상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팬케익부의 상단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 경사 스토퍼면; 및 상기 팬케익부의 턴오버시 상기 제 2 러그편의 하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팬케익부의 하단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 경사 스토퍼면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헬리데크의 테두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러그를 통해, 헬리데크의 운반 또는 턴오버시, 헬리데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러그의 회전각도를 일정 각도로 제한함으로써, 인양케이블과 헬리데크의 테두리두 간의 간섭을 회피하고, 헬리데크의 리프팅시 러그에 연결된 인양케이블에 의해 헬리데크의 테두리부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러그가 헬리데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턴오버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러그에 의해 헬리데크의 양측부를 리프팅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프팅 러그에 의해 헬리데크의 일측부가 리프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프팅 러그에 의해 헬리데크의 타측부에서 인양케이블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프팅 러그에 의해 헬리데크의 타측부에 인양케이블을 결합하여 리프팅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프팅 러그에 의해 헬리데크가 턴오버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헬리데크는 데크플로어를 구성하는 팬케익부와, 팬케익부를 지지하는 팬케익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팬케익 지지부는 팬케익부를 지지할 수 있는 H형 빔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선체는 특수선(drillship, FPSO, War ship 등)일 수 있지만,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선박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특수선 외의 다른 종류의 선박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러그가 헬리데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는, 헬리데크의 운반 또는 턴오버를 위해 팬케익 지지부(12), 보다 상세하게는 플랭크의 하부에 설치된 H형 빔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팅 러그는, 제 1 러그편(100), 제 2 러그편(200) 및 회전핀(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러그편(100)은 팬케익 지지부(12)의 측벽에서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100a, 100b)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쌍의 제 1 러그편(100a),(100b)에는 연결 리브(43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리브(430)는 한 쌍의 제1 러그편(100a),(100b)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한 쌍의 제 1 러그편(100a),(100b) 사이에 용접되거나 접착되는 리브 형태일 수 있다.
제 1 러그편(100)에는 구조 보강을 위해, 수직 리브(420) 및 수평 리브(410)를 포함하는 보강 리브(400)가 마련될 수 있다. 수직 리브(420)는 제 1 러그편(100)의 외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일 수 있으며, 일정 두께를 갖도록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제 1 러그편(100)의 수직방향에 대해 구조 보강할 수 있다. 수평 리브(410)는 제 1 러그편(100)의 외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일 수 있으며, 일정 두께를 갖도록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제 1 러그편(100)의 수평방향에 대해 구조 보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 리브(400)는 제 1 러그편(100)의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태의 수직 리브(420) 또는 수평 리브(410)로 구성되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보강 리브(400)는 구조 보강을 위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리브(40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러그편(100)에는 회전핀(300)이 삽입되는 제 1 체결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러그편(100)의 기단부는 팬케익 지지부(12)의 측벽에 결합되고, 제 1 러그편(100)의 선단부에는 제 2 러그편(200)과의 연결을 위한 제 1 체결홀(110)이 형성된다. 제 1 체결홀(110)은 한 쌍의 제 1 러그편(100)에서 마주보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제 1 체결홀(110) 사이에는 제 2 러그편(200)의 제 2 체결홀(210)이 제 1 체결홀(110)과 동일 중심에 위치한다.
제 1 러그편(100)에는 제 2 러그편(200)의 회전 각도를 일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50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500)에는 상부 경사 스토퍼면(510) 및 하부 경사 스토퍼면(520)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경사 스토퍼면(510)은 헬리데크의 상단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부 경사 스토퍼면(520)은 헬리데크의 하단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 경사 스토퍼(500)는 헬리데크의 리프팅시, 제 2 러그편(200)의 상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함으로써, 제 2 러그편(200)이 리프팅되는 헬리데크의 상측 테두리부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경사 스토퍼면(520)은 헬리데크의 턴오버시, 제 2 러그편(200)의 하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함으로써, 제 2 러그편(200)이 턴오버된 헬리데크의 상측 테두리부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러그편(100)에는 회전핀(300)을 매개로 제 2 러그편(20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 러그편(200)은 제 1 러그편(100)과 인양케이블(30)의 샤클(20) 사이를 연결하며, 샤클(20)의 리프팅 방향에 따라 일정 각도 회전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제 2 러그편(200)의 하단부에는 제 1 러그편(100)의 제 1 체결홀(110)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제 2 체결홀(210)이 형성되고, 제 2 러그편(200)의 상단부에는 리프팅을 위해 샤클(20)이 연결되는 인양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러그편(200)의 상단부는 헬리데크의 리프팅시 팬케익부(11)와 간섭 방지를 위해, 팬케익부(11)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되도록 일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회전핀(300)은 제 1 러그편(100)과 제 2 러그편(200)을 상호 핀결합하는 체결수단으로, 인양홀(220)을 통해 샤클(20)에 연결된 상태에서, 헬리데크가 리프팅될 때, 제 2 러그편(200)이 제 1 러그편(10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핀(300)이 제 1 체결홀(110) 및 제 2 체결홀(210)에 끼워지고, 와셔(310) 및 너트(320)에 의해 회전핀(300)의 체결이 마무리되는 구조이지만, 회전핀(300) 구성 이외에도, 제 1 러그편(100)과 제 2 러그편(200)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다양한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헬리데크의 테두리부인 팬케익 지지부에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한 리프팅 러그를 마련하는 경우, 인양케이블과 헬리데크의 테두리두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고, 헬리데크의 리프팅시 러그에 연결된 인양케이블에 의해 헬리데크의 테두리부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고, 팬케익 지지부에 보강 리브가 마련된 리프팅 러그를 설치하여 강도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를 사용한 헬리데크의 턴오버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턴오버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러그를 사용하여 헬리데크의 양측부를 리프팅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프팅 러그에 의해 헬리데크의 일측부가 리프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프팅 러그에 의해 헬리데크의 타측부에서 인양케이블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프팅 러그에 의해 헬리데크의 타측부에 인양케이블을 결합하여 리프팅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프팅 러그에 의해 헬리데크가 턴오버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데크는 인양케이블에 의해 리프팅될 수 있다. 이때, 크레인(미 도시)으로부터 연장된 일측 인양케이블(31) 및 타측 인양케이블(32)의 끝단은, 샤클(20) 등의 일반적인 커플링 수단을 이용하여 헬리데크의 팬케익 지지부(12) 양측에 마련된 본 발명의 리프팅 러그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된 헬리데크는 턴오버를 위해, 크레인(미 도시)으로부터 연장된 일측 인양케이블(31)을 하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타측 인양케이블(32)을 상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헬리데크는 일측 인양케이블(31) 및 타측 인양케이블(32)에 의해 안정되게 경사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데크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일측 인양케이블(31)을 헬리데크의 일측 테두리부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헬리데크는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회전된 상태일 수 있고, 타측 인양케이블(32)에 의해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미 도시)으로부터 연장된 일측 인양케이블(20)의 끝단을 샤클(20) 등의 일반적인 커플링 수단을 이용하여 헬리데크의 일측 테두리부에 연결할 수 있다. 이후, 크레인은 타측 인양케이블(32)을 정지 상태로 유지하는 대신, 헬리데크가 턴오버되는 방향으로 일측 인양케이블(31)을 당겨 헬리데크의 일측 테두리부를 상향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은 타측 인양케이블(32)을 하향으로 이동시키는 대신, 일측 인양케이블(31)을 상향으로 이동시켜서, 일측 인양케이블(31)과 타측 인양케이블(32)의 레벨을 서로 일치시킬 수 있다. 이로써, 헬리데크는 해당 상면과 하면이 턴오버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헬리데크의 테두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러그를 통해, 헬리데크의 운반 또는 턴오버시, 헬리데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러그의 회전각도를 일정 각도로 제한함으로써, 인양케이블과 헬리데크의 테두리두 간의 간섭을 회피하고, 헬리데크의 리프팅시 러그에 연결된 인양케이블에 의해 헬리데크의 테두리부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팬케익 11 :팬케익부
12 :팬케익 지지부 20 :샤클
30 :인양케이블 100 :제 1 러그편
110 :제 1 체결홀 200 :제 2 러그편
210 :제 2 체결홀 220 :인양홀
300 :회전핀 410 :수평 리브
420 :수직 리브 430 :연결 리브
500 :스토퍼 510 :상부 경사 스토퍼면
520 :하부 경사 스토퍼면

Claims (7)

  1. 헬리데크의 운반 또는 턴오버를 위해 팬케익 지지부에 마련되는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로서,
    상기 팬케익 지지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체결홀이 형성된 제 1 러그편;
    상기 제 1 체결홀의 중심과 동일 선상에 중심이 위치되는 제 2 체결홀과, 리프팅을 위한 인양홀이 형성되는 제 2 러그편; 및
    상기 인양홀을 통해 상기 펜케익부를 리프팅할 때 상기 제 2 러그편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체결홀과 상기 제 2 체결홀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회전핀을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러그편의 상단부는
    상기 팬케익 지지부가 지지하는 팬케익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를 위해, 상기 팬케익 지지부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러그편에는
    상기 제 1 러그편의 수직방향에 대한 구조 보강을 위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리브; 및
    상기 제 1 러그편의 수평방향에 대한 구조 보강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리브가 마련되는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러그편은
    쌍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러그편에는
    마주보는 대향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리브가 마련되는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러그편에는
    상기 제 2 러그편의 회전 각도를 일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마련되는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팬케익부의 리프팅시 상기 제 2 러그편의 상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팬케익부의 상단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 경사 스토퍼면; 및
    상기 팬케익부의 턴오버시 상기 제 2 러그편의 하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팬케익부의 하단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 경사 스토퍼면이 마련되는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
KR1020130113970A 2013-09-25 2013-09-25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 KR101556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970A KR101556302B1 (ko) 2013-09-25 2013-09-25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970A KR101556302B1 (ko) 2013-09-25 2013-09-25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980A true KR20150033980A (ko) 2015-04-02
KR101556302B1 KR101556302B1 (ko) 2015-10-13

Family

ID=53031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970A KR101556302B1 (ko) 2013-09-25 2013-09-25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3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49832A (zh) * 2015-04-28 2018-03-27 福里克泰普网络公司 直升机平台的照明装置
CN109823467A (zh) * 2019-02-22 2019-05-31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橙汁船货仓甲板总段吊装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49832A (zh) * 2015-04-28 2018-03-27 福里克泰普网络公司 直升机平台的照明装置
CN109823467A (zh) * 2019-02-22 2019-05-31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橙汁船货仓甲板总段吊装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6302B1 (ko) 201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1330A (ko) 드릴쉽의 헬리데크 서포트
KR101335261B1 (ko) 탑 사이드 모듈을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의 건조방법
KR20180003214A (ko) 분리형 해상 구조물 설치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KR20110058310A (ko) 접철식 파이프 스토리지 랙이 구비된 해저 파이프 부설선
KR101556302B1 (ko)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
KR20150065442A (ko) 이동식 계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N211281408U (zh) 一种用于工程船舶异位落墩的辅助定位工装
WO2010096376A2 (en) Skid beam assembly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large structures
KR20160073096A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측방 계류 시스템을 위한 선체구조
KR100979145B1 (ko)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
KR100750893B1 (ko) 복수 구의 캐리어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 제작 공법
US9725137B2 (en) Semisubmersible with five-sided columns
CN206125353U (zh) 一种具有自航能力的码头桩基水下维修作业装置
CN104802932A (zh) 备锚基座及包括其的船舶
JP3229239U (ja) モジュール式オフショア多機能作業プラットフォーム及び一体式操作プラットフォーム
KR101540915B1 (ko) 헬리데크 리프팅 장치
KR20160005887A (ko) 해상 크레인의 리깅장치
JP3229239U6 (ja) モジュール式オフショア多機能作業プラットフォーム及び一体式操作プラットフォーム
KR101566522B1 (ko) 대형 블록 탑재 방법
KR101781205B1 (ko) 리그선 무어링 체인 탑재 방법
CN215323180U (zh) 一种集装箱导向装置
KR102657299B1 (ko) 선박용 폴딩 데크 유닛
KR101499162B1 (ko) 해양 구조물의 조립 방법
US20220266950A1 (en) Truss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for offshore platforms
KR101954716B1 (ko) 해상 크레인 및 그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