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2808A -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2808A
KR20150032808A KR20140124809A KR20140124809A KR20150032808A KR 20150032808 A KR20150032808 A KR 20150032808A KR 20140124809 A KR20140124809 A KR 20140124809A KR 20140124809 A KR20140124809 A KR 20140124809A KR 20150032808 A KR20150032808 A KR 20150032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image
environment
chan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4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6279B1 (ko
Inventor
리에 고미야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2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2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pensation contr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Shutter-Related Mechanism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촬상 장치(100)는 촬상부(3)에 의해 촬상이 실행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촬상 환경의 변화를 특정하는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와, 특정된 촬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노광 조건을 고정으로 할지 추종시킬지를 설정하는 촬상 조건 설정부(43)와, 이 촬상 조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내용으로 촬상부에 대해, 소정의 기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정지 화상을 촬상시키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41) 및 제 2 제어부(44)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록 매체{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16599호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촬상한 정지 화상을 프레임 화상으로 한 타임 랩스 동화상을 생성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타임 랩스 동화상용의 정지 화상을 촬상할 때에, 예를 들면, AF(자동 초점 맞춤 처리), AE(자동 노출 처리), AWB(자동 화이트 밸런스) 등의 촬상 조건을 고정시킨 상태로 함으로써, 타임 랩스 동화상의 재생시에 화면의 깜빡거림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16599호의 기술의 경우, 예를 들면, 촬상 환경이 서서히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면, AE를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헐레이션이나 흑화로 거의 아무것도 확인할 수 없는 정지 화상이 촬상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결과적으로 타임 랩스 동화상 재생시에, 화면 전체가 헐레이션이나 흑화된 프레임 화상이 표시되어 버려, 유저에 의한 열람에 지장을 초래하는 바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촬상 환경이 변화해도 유저에 의한 열람에 차질을 초래하기 어려운 정지 화상을 촬상할 수 있는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촬상 수단과, 이 촬상 수단이 촬상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촬상 환경의 변화를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이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촬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노광 조건을 고정으로 할지 추종시킬지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이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내용으로, 상기 촬상 수단에 대해 소정의 기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정지 화상을 촬상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촬상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촬상 환경의 변화를 특정하는 특정 스텝과, 이 특정 스텝에서 특정된 촬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노광 조건을 고정으로 할지 추종시킬지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이 설정 스텝에서 설정된 내용으로, 소정의 기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정지 화상을 촬상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촬상 장치가 갖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해당 컴퓨터를, 촬상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촬상 환경의 변화를 특정하는 특정 수단, 이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촬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노광 조건을 고정으로 할지 추종시킬지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 이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내용으로 소정의 기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정지 화상을 촬상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 환경이 변화해도 유저에 의한 열람에 차질을 초래하기 어려운 정지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 1의 촬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촬상 장치에 의한 촬상 처리에 관한 촬상 씬 테이블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촬상 장치에 의한 촬상 처리에 관한 동작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 2의 촬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촬상 장치에 의한 촬상 처리에 관한 동작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이용해서 구체적인 양태를 설명한다. 단, 발명의 범위는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 1의 촬상 장치(1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촬상 장치(100)는 구체적으로는 중앙제어부(1)와, 메모리(2)와, 촬상부(3)와, 촬상 제어부(4)와, 화상 처리부(5)와, 기록 매체 제어부(6)와, 표시부(7)와, 조작 입력부(8)를 구비하고 있다.
또, 중앙제어부(1), 메모리(2), 촬상부(3), 촬상 제어부(4), 화상 처리부(5), 기록 매체 제어부(6) 및 표시부(7)는 버스 라인(9)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중앙제어부(1)는 촬상 장치(100)의 각 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중앙제어부(1)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구비하고, 촬상 장치(100)용의 각종 처리 프로그램(도시 생략)에 따라 각종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메모리(2)는 예를 들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에 의해 구성되며, 중앙제어부(1), 촬상부(3), 촬상 제어부(4), 화상 처리부(5) 등에 의해서 처리되는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또, 메모리(2)는 타임 랩스 동화상의 촬상시의 촬상 씬마다 각종 촬상 조건이 규정되어 있는 촬상 씬 테이블(21)(도 2 참조)을 기록하고 있다.
촬상 씬 테이블(2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 씬마다 촬상 간격과, 촬상 계속 시간과, 포커스 위치의 내용과, 화이트 밸런스의 내용이 대응지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촬상 씬으로서는 표준적인 타임 랩스 동화상의 촬상인 「스탠다드」, 구름을 피사체로서 촬상하는 「구름」, 야경을 피사체로서 촬상하는 「야경」, 일몰을 피사체로서 촬상하는 「일몰」, 탈것을 피사체로서 촬상하는 「탈것」, 거리를 피사체로서 촬상하는 「거리」 등을 들 수 있다.
또, 촬상 씬이 「스탠다드」인 경우, 촬상 간격으로서 「0.5초」, 촬상 계속 시간으로서 「5분」, 포커스 위치의 내용으로서 「1개째 촬상시에 측정하고, 그 결과로 고정」, 화이트 밸런스의 내용으로서, 그 촬상 타이밍에서 촬상 환경을 파악하고, 필요하면, 그 촬상 환경에 맞춰 촬상 조건을 변경하는 것을 나타내는 「추종」이 대응지어져 있다.
또, 촬상 씬이 「구름」인 경우, 촬상 간격으로서 「5초」, 촬상 계속 시간으로서 「30분」, 포커스 위치의 내용으로서 「무한원으로 고정」, 화이트 밸런스의 내용으로서 「1개째 촬상시에 측정하고, 그 결과로 고정」이 대응지어져 있다.
또, 촬상 씬이 「야경」인 경우, 촬상 간격으로서 「3초」, 촬상 계속 시간으로서 「30분」, 포커스 위치의 내용으로서 「1개째 촬상시에 측정하고, 그 결과로 고정」, 화이트 밸런스의 내용으로서 「추종」이 대응지어져 있다.
또, 촬상 씬이 「일몰」인 경우, 촬상 간격으로서 「10초」, 「촬상 계속 시간으로서 「60분」, 포커스 위치의 내용으로서 「무한원으로 고정」, 화이트 밸런스의 내용으로서 「추종」이 대응지어져 있다.
또, 촬상 씬이 「탈것」인 경우, 촬상 간격으로서 「1초」, 촬상 계속 시간으로서 「20분」, 포커스 위치의 내용으로서 「1개째 촬상시에 측정하고, 그 결과로 고정」, 화이트 밸런스의 내용으로서 「추종」이 대응지어져 있다.
또, 촬상 씬이 「거리」인 경우, 촬상 간격으로서 「0.5초」, 촬상 계속 시간으로서 「5분」, 포커스 위치의 내용으로서 「1개깨 촬상시에 측정하고, 그 결과로 고정」, 화이트 밸런스의 내용으로서 「추종」이 대응지어져 있다.
또한, 촬상 씬 테이블(21)의 내용은 일예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촬상부(촬상 수단)(3)는 소정의 피사체(예를 들면, 사람 등)를 촬상하여 프레임 화상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촬상부(3)는 렌즈부(31)와, 전자 촬상부(32)와, 렌즈 구동부(33)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부(31)는 예를 들면, 줌 렌즈나 초점 렌즈 등의 복수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 촬상부(32)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이미지 센서(촬상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 촬상부(32)는 렌즈부(31)의 각종 렌즈를 통과한 광학상을 2차원의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렌즈 구동부(33)는 예를 들면 도시는 생략하지만, 줌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줌 구동부, 포커스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초점 맞춤 구동부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촬상부(3)는 렌즈부(31), 전자 촬상부(32) 및 렌즈 구동부(33)에 부가해서, 렌즈부(31)를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도시 생략)를 구비해도 좋다.
촬상 제어부(4)는 촬상부(3)에 의한 피사체의 촬상을 제어한다.
즉, 촬상 제어부(4)는 도시는 생략하겠지만, 타이밍 발생기, 드라이버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촬상 제어부(4)는 타이밍 발생기, 드라이버에 의해 전자 촬상부(32)를 주사 구동하여, 렌즈부(31)를 통과한 광학상을 전자 촬상부(32)에 의해 소정 주기마다 2차원의 화상 신호로 변환시키고, 해당 전자 촬상부(32)의 촬상 영역으로부터 1화면씩 프레임 화상을 읽어내어 화상 처리부(5)에 출력시킨다.
또, 촬상 제어부(4)는 AF(자동 초점 맞춤 처리), AE(자동 노출 처리), AWB(자동 화이트 밸런스) 등의 피사체를 촬상할 때의 조건의 조정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촬상 제어부(4)는 제 1 제어부(41)와,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와, 촬상 조건 설정부(43)와, 제 2 제어부(44)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제어부(41)는 촬상부(3)에 의한 타임 랩스 동화상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의 촬상을 제어한다.
즉, 제 1 제어부(41)는 소정의 촬상 조건에서 소정의 기간, 촬상부(3)에 의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정지 화상을 촬상시키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제어부(41)는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8)의 소정 조작에 의거하여 지정된 원하는 촬상 씬(예를 들면 「일몰」 등)에 대응하는 각종 촬상 조건을 촬상 씬 테이블(21)로부터 읽어내어 취득하고, 해당 각종 촬상 조건에 따라, 소정의 노광 조건(예를 들면, ISO 감도나 셔터 스피드 등)으로 촬상부(3)에 의해 일정한 촬상 간격(예를 들면,「10초」 등)으로 정지 화상을 소정의 촬상 계속 시간(소정의 기간에 상당, 예를 들면,「60분」 등) 촬상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타임 랩스 동화상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의 촬상시의 노광 조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는 정지 화상의 촬상시에 있어서의 촬상 환경의 변화를 특정한다.
즉,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특정 수단)(42)는 촬상부(3)에 의해 촬상이 실행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촬상 환경의 변화를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는 촬상 씬 테이블(21)로부터 각종 촬상 조건을 취득하여, 해당 각종 촬상 조건 중, 촬상 계속 시간(소정의 시간)의 길이를 기준으로 해서, 정지 화상의 촬상시에 있어서의 촬상 환경의 변화의 유무를 특정한다. 예를 들면, 정지 화상의 촬상 개시전에,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는 촬상 계속 시간이 소정 시간(예를 들면,「20분」 등)보다 긴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는 촬상부(3)에 의해 촬상된 소정 수의 정지 화상의 밝기를 취득하고, 취득된 밝기에 의거하여 촬상 환경의 변화를 특정한다.
예를 들면, 정지 화상의 촬상이 개시되면,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는 촬상부(3)에 의해 소정 시간내에 촬상된 소정 수의 정지 화상의 각각의 밝기(휘도값)를 메모리(2)로부터 취득하고, 취득된 밝기의 대표값(예를 들면, 평균값 등)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는 산출된 밝기의 대표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넘었는지(예를 들면, 소정 이상으로 어두워졌는지 등)의 여부를 판정하고, 소정의 임계값을 넘었다고 판정되면, 촬상 환경이 변화했다고 특정한다.
여기서,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는 소정 수의 정지 화상의 밝기의 대표값을 임계값과 비교 판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촬상순으로 순차 메모리(2)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 수 분의 정지 화상의 밝기의 대표값끼리를 비교함으로써, 촬상 환경의 변화를 특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는 「1」~「n」개째의 정지 화상의 밝기의 대표값과, 「2」~「n+1」개째의 정지 화상의 밝기의 대표값을 비교하여, 밝기가 변화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해당 판정 처리를,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는 비교 대상으로 되는 소정 수 분의 정지 화상의 범위가 촬상순으로 1개씩 어긋나도록 +1 인크리먼트하여 반복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촬상 환경의 변화의 특정에는 촬상부(3)에 의해 소정 시간내에 촬상된 모든 정지 화상을 이용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메모리(2)의 버퍼량 등을 고려하여 소정의 비율로 솎아내어 이용해도 좋다.
또,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는 제 2 제어부(44)에 의한 제어하에서 촬상부(3)에 의해 새로운 촬상 조건으로 촬상이 실행될 때에, 촬상 환경의 변화를 특정한다. 즉, 후술하는 촬상 조건 설정부(43)에 의해 새로운 촬상 조건이 설정된 후, 제 2 제어부(44)에 의한 제어하에서 해당 새로운 촬상 조건으로 촬상부(3)에 의해 촬상이 실행될 때에,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는 예를 들면, 새로운 촬상 조건으로 촬상된 소정 수의 정지 화상의 밝기에 의거하여, 촬상 환경의 변화를 특정한다.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촬상 조건을 설정한다.
즉,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메모리(2)에 기록되어 있는 촬상 씬 테이블(21)에 의거하여, 제 1 제어부(41)에 의한 제어하에서 촬상부(3)에 의해 촬상이 실행되었을 때의 각종 촬상 조건을 설정한다.
또, 촬상 조건 설정부(설정 수단)(43)는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에 의해 특정된 촬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노광 조건을 고정으로 할지 추종시킬지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에 의해 촬상 계속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길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노광 조건의 추종 동작 플래그를 「ON」으로 설정한다. 한편,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에 의해 촬상 계속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길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노광 조건의 추종 동작 플래그를 「OFF」로 설정한다. 즉, 타임 랩스 동화상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의 촬상 계속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시간 경과에 수반해서 해당 장치 본체의 주위의 밝기(촬상 환경)가 점차 변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촬상 환경에 맞추어 노광 조건을 추종하도록 설정한다.
한편, 촬상 계속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길지 않은 경우에는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촬상 환경에 맞추어 노광 조건을 고정으로 하도록 설정하고, 이 경우, 제 1 제어부(41)는 일단 설정된 노광 조건이 고정된 상태에서 소정의 기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촬상부(3)에 의해 정지 화상을 촬상시키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노광 조건의 고정은 일단 설정된 노광 조건을 촬상 종료까지 변경하지 않는 것을 말하고, 노광 조건의 추종은 각각의 촬상 타이밍에서 촬상 환경을 파악하고, 필요하면, 그 촬상 환경에 맞추어 노광 조건을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또,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예를 들면, 촬상 환경의 변화 후에 있어서의 촬상부(3)에 의한 정지 화상의 촬상시의 노광 조건을 새롭게 설정한다.
즉, 추종 동작 플래그가 「ON」으로 설정되어 있는(노광 조건을 추종시키는) 상태에서는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에 의해 촬상 환경의 변화가 특정될 때마다 제 1 제어부(41)에 의한 제어하에 있어서의 촬상부(3)에 의한 촬상에 있어서, 소정의 촬상 조건으로부터 특정의 방향으로만 추종시키도록 새로운 촬상 조건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정지 화상을 더욱 밝게 촬상하는 내용(예를 들면, 셔터 스피드의 저속화나 ISO 감도의 고감도화 등)의 노광 조건을 일단 설정한 경우에는 그 이후에 설정되는 노광 조건의 내용도 정지 화상을 더욱 밝게 촬상하는 내용으로 되도록 설정한다.
제 2 제어부(44)는 제 1 제어부(41)에 의한 제어에 계속해서, 촬상부(3)에 의한 타임 랩스 동화상의 촬상을 제어한다.
즉, 제 2 제어부(44)는 제 1 제어부(41)에 의한 제어하에 있어서의 촬상부(3)에 의한 촬상에 계속해서, 촬상 조건 설정부(43)에 의해 설정된 새로운 촬상 조건으로 촬상부(3)에 의해 촬상시키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에 의해 촬상 환경이 변화되었다고 특정되고, 촬상 조건 설정부(43)에 의해 새로운 촬상 조건(예를 들면, 노광 조건 등)이 설정되면, 제 2 제어부(44)는 해당 새로운 촬상 조건으로 계속해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촬상부(3)에 의해 정지 화상을 촬상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 1 제어부(41)는 촬상 환경이 변화하기 전에, 촬상 조건 설정부(43)에 의해 설정된 촬상 조건의 내용으로, 촬상부(3)에 대해 타임 랩스 동화상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을 촬상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 2 제어부(44)는 촬상 환경의 변화 후에, 촬상 조건 설정부(43)에 의해 설정된 새로운 촬상 조건의 내용으로, 촬상부(3)에 대해 타임 랩스 동화상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을 촬상시키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 1 제어부(41) 및 제 2 제어부(44)는 촬상 조건 설정부(43)에 의해 설정된 내용으로, 촬상부(3)에 대해 소정의 기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정지 화상을 촬상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화상 처리부(5)는 전자 촬상부(32)로부터 전송된 프레임 화상의 아날로그값의 신호에 대해 RGB의 색 성분마다 적절히 게인 조정한 후에, 샘플 홀드 회로(도시 생략)에서 샘플 홀드하여 A/D 변환기(도시 생략)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컬러 프로세스 회로(도시 생략)에서 화소 보간 처리 및 γ 보정 처리를 포함하는 컬러 프로세스 처리를 실행한 후, 디지털값의 휘도 신호 Y 및 색차 신호 Cb, Cr(YUV 데이터)을 생성한다.
또, 컬러 프로세스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휘도 신호 Y 및 색차 신호 Cb, Cr은 도시하지 않은 DMA 컨트롤러를 통해,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되는 메모리(2)에 DMA 전송된다.
기록 매체 제어부(6)는 기록 매체 M이 착탈 자유롭게 구성되고, 장착된 기록 매체 M으로부터의 데이터의 읽어냄이나 기록 매체 M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기록 매체 제어부(동화상 생성 수단)(6)는 촬상부(3)에 의해 촬상된 각각의 정지 화상을 프레임 화상으로 하고, 서로 관련지어 기록 매체 M에 기록한다. 이들 프레임 화상은 촬상 간격(일정한 시간 간격)과는 다른 시간 간격으로 재생되는 타임 랩스 동화상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기록 매체 M은 예를 들면, 불휘발성 메모리(플래시) 등에 의해 구성되지만, 일예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표시부(7)는 표시 패널(71)과, 표시 제어부(72)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패널(71)은 표시 화면내에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 패널(71)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이나 유기 EL 표시 패널 등을 들 수 있지만, 일예이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제어부(72)는 메모리(2)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를 읽어내어, 화상 처리부(5)에 의해 복호된 소정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소정의 화상을 표시 패널(71)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72)는 VRAM(Video Random Access Memory), VRAM 컨트롤러, 디지털 비디오 엔코더 등(모두 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 비디오 엔코더는 화상 처리부(5)에 의해 복호되어 VRAM에 기록되어 있는 휘도 신호 Y 및 색차 신호 Cb, Cr을 VRAM 컨트롤러를 통해 VRAM으로부터 소정의 재생 프레임 레이트(예를 들면, 30fps)로 읽어내고, 이들 데이터를 토대로 비디오 신호를 발생하여 표시 패널(71)에 출력한다.
조작 입력부(8)는 해당 촬상 장치(100)의 소정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입력부(8)는 피사체의 촬상 지시에 관한 셔터 버튼, 촬상 모드나 기능 등의 선택 지시에 관한 선택 결정 버튼, 줌량의 조정 지시에 관한 줌 버튼 등(모두 도시 생략)의 조작부를 구비하고, 해당 조작부의 각 버튼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조작 신호를 중앙제어부(1)에 출력한다.
<촬상 처리>
다음에, 촬상 장치(100)에 의한 촬상 처리에 대해,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촬상 처리에 관한 동작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촬상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 입력부(8)의 선택 결정 버튼의 소정 조작에 의거하여, 메뉴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동작 모드 중에서 타임 랩스 동화상의 촬상 모드가 선택 지시된 경우에, 중앙제어부(1)의 제어하에서 해당 촬상 장치(100)의 각 부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8)의 지정 조작에 의거하여 지정된 원하는 촬상 씬(예를 들면, 「일몰」 등)에 대응하는 각종 촬상 조건을 메모리(2)의 촬상 씬 테이블(21)로부터 읽어내어 설정한다(스텝 S1).
다음에,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는 설정된 촬상 조건 중에서 촬상 계속 시간(예를 들면,「60분」 등)을 취득하고(스텝 S2), 이 촬상 계속 시간이 소정 시간(예를 들면,「20분」 등)보다 긴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
스텝 S3에 있어서, 촬상 계속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길다고 판정되면(스텝 S3; YES),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노광 조건의 추종 동작 플래그를 「ON」으로 설정한다(스텝 S4). 한편, 촬상 계속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길지 않다고 판정되면(스텝 S3; NO),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노광 조건의 추종 동작 플래그를 「OFF」로 설정한다(스텝 S5).
다음에, 제 1 제어부(41)는 설정된 촬상 조건에 의거하여, 피사체의 촬상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6).
여기서, 피사체의 촬상 타이밍이 아니라고 판정되면(스텝 S6; NO) 제 1 제어부(41)는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피사체의 촬상 타이밍인지의 여부의 판정 처리를 반복 실행한다.
스텝 S6에 있어서, 피사체의 촬상 타이밍이라고 판정되면(스텝 S6; YES), 제 1 제어부(41)는 촬상부(3)를 제어하여 피사체를 촬상시키고, 화상 처리부(5)는 피사체의 정지 화상의 화상 데이터(YUV 데이터)를 생성하여 취득한다(스텝 S7).
그리고, 화상 처리부(5)는 정지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되는 메모리(2)에 전송한다.
계속해서,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는 추종 동작 플래그가 「ON」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8).
스텝 S8에 있어서, 추종 동작 플래그가 「ON」이라고 판정되면(스텝 S8; YES),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는 소정의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 수 분의 정지 화상이 메모리(2)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9).
여기서, 소정 수 분의 정지 화상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스텝 S9; NO), 기록 매체 제어부(6)는 직전에 메모리(2)에 저장된 정지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록 매체 M에 기록시킨다(스텝 S10).
또, 스텝 S8에 있어서, 추종 동작 플래그가 「ON」이 아니라고(추종 동작 플래그가 「OFF」) 판정된 경우에도(스텝 S8; NO), 처리를 스텝 S10으로 이행하여, 기록 매체 제어부(6)는 직전에 메모리(2)에 저장된 정지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록 매체 M에 기록시킨다(스텝 S10).
이 때, 기록 매체 제어부(6)는 기록 매체 M에 기록되는 정지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타임 랩스 동화상을 구성하는 프레임 화상으로서 서로 관련지어 순차 기록한다. 또한, 정지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화상으로서 서로 관련지어 기록하는 처리는 기록 매체 제어부(6)가 기록 매체 M에 정지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할 때마다 실행되지만, 이후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 1 제어부(41)는 피사체의 촬상의 종료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 즉, 제 1 제어부(41)는 촬상 조건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촬상 계속 시간의 촬상이 종료하여, 피사체의 촬상의 종료 타이밍으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피사체의 촬상의 종료 타이밍이 아니라고 판정되면(스텝 S11; NO), 처리를 스텝 S6으로 돌리고, 제 1 제어부(41)는 피사체의 촬상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6).
그리고, 스텝 S6 이후의 각 처리는 스텝 S9에 있어서 소정 수 분의 정지 화상이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될 때까지(스텝 S9; YES) 반복 실행된다.
스텝 S9에 있어서, 소정 수 분의 정지 화상이 저장되어 있다고 판정되면(스텝 S9; YES),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는 소정 수 분의 정지 화상의 각각의 밝기(휘도값)를 메모리(2)로부터 취득하고, 취득된 밝기의 대표값(예를 들면, 평균값 등)을 산출한다(스텝 S12). 계속해서,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는 산출된 밝기의 대표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넘었는지(예를 들면, 어두워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3). 즉,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는 해당 장치 본체의 주위의 밝기(촬상 환경)가 소정의 밝기 이상 변화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3에 있어서, 밝기의 대표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넘었다(예를 들면, 어두워졌다)고 판정되면(스텝 S13; YES),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해당 촬상 처리에 있어서, 이전에 노광 조건을 변경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4).
여기서, 노광 조건을 변경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스텝 S14; NO),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촬상 환경의 변화 후에 있어서의 촬상부(3)의 노광 조건을 재설정한다(스텝 S15). 그 후, 처리를 스텝 S10으로 이행하여, 기록 매체 제어부(6)는 직전에 메모리(2)에 저장된 정지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록 매체 M에 기록시킨다(스텝 S10).
또, 스텝 S13에 있어서, 밝기의 대표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도(스텝 S13; NO) 처리를 스텝 S10으로 이행하여, 기록 매체 제어부(6)는 직전에 메모리(2)에 저장된 정지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기록 매체 M에 기록시킨다(스텝 S10).
스텝 S15에 있어서, 노광 조건이 재설정되면, 제 2 제어부(44)는 제 1 제어부(41)에 의한 제어에 계속해서, 설정된 새로운 노광 조건으로 촬상부(3)에 의해 촬상시키도록 제어한다.
그 후, 스텝 S14에 있어서, 노광 조건을 변경했다고 판정되면(스텝 S14; YES),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밝기의 대표값의 변화의 방향이 전회와 반대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6). 즉,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예를 들면, 전회는 밝기의 대표값이 어두워지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던 경우에, 금회는 밝기의 대표값이 밝게 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밝기의 변화의 방향이 전회와 반대가 아니라고 판정되면(스텝 S16; NO, 처리를 스텝 S15로 이행하고,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현재의 노광 조건으로부터 특정의 방향으로만 변화하도록 새로운 노광 조건을 설정한다(스텝 S15). 예를 들면,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새로운 촬상 조건으로서, 정지 화상을 더욱 밝게 촬상하는 내용(예를 들면, 셔터 스피드의 저속화나 ISO 감도의 고감도화 등)의 노광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지 화상을 더욱 밝게 촬상하는 내용의 노광 조건을 재설정한다.
그 후, 처리를 스텝 S10으로 이행하여, 기록 매체 제어부(6)는 직전에 메모리(2)에 저장된 정지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기록 매체 M에 기록시킨다(스텝 S10).
한편, 스텝 S16에 있어서, 밝기의 변화의 방향이 전회와 반대라고 판정되면(스텝 S16; YES), 스텝 S15의 처리를 스킵하고, 스텝 S10에 있어서, 기록 매체 제어부(6)는 직전에 메모리(2)에 저장된 정지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기록 매체 M에 기록시킨다(스텝 S10).
그리고, 스텝 S11에 있어서, 제 2 제어부(44)는 피사체의 촬상의 종료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
여기서, 피사체의 촬상의 종료 타이밍이 아니라고 판정되면(스텝 S11; NO), 처리를 스텝 S6으로 되돌리고, 제 2 제어부(44)는 피사체의 촬상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6).
상기의 각 처리는 스텝 S11에 있어서, 피사체의 촬상의 종료 타이밍이라고 판정될 때까지(스텝 S11; YES) 반복 실행된다.
스텝 S11에 있어서, 피사체의 촬상의 종료 타이밍이라고 판정되면(스텝 S11; YES), 해당 촬상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1의 촬상 장치(100)에 의하면, 촬상 환경의 변화를 특정하고, 특정된 촬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노광 조건을 고정으로 할지 추종시킬지를 설정하며, 설정된 내용으로 촬상부(3)에 대해, 소정의 기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정지 화상을 촬상시키도록 제어하므로, 타임 랩스 동화상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의 촬상에 있어서, 도중에 촬상 환경이 변화해도, 해당 촬상 환경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노광 조건으로 정지 화상의 촬상을 계속해서 실행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정지 화상의 촬상을 소정의 기간(촬상 계속 시간) 실행하는 경우에, 해당 장치 본체의 주위의 밝기에 따라 노광 조건을 새롭게 설정하여 촬상을 계속함으로써, 타임 랩스 동화상의 재생시에, 화면 전체가 헐레이션이나 흑화된 프레임 화상(정지 화상)을 표시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타임 랩스 동화상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의 촬상시에, 촬상 환경이 변화해도 유저에 의한 열람에 지장을 초래하기 어려운 정지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또, 제 2 제어부(44)에 의한 제어하에서 촬상부(3)에 의해 새로운 촬상 조건으로 촬상이 실행될 때에, 촬상 환경의 변화를 특정하므로, 일단 새로운 촬상 조건을 설정해도, 예를 들면, 촬상 계속 시간이 장시간으로 되어 촬상 환경이 재차 변화한 경우에는 변화된 촬상 환경에 따라 촬상 조건을 재차 설정할 수 있다. 특히, 노광 조건을 추종시키는 경우에, 새로운 촬상 조건을 소정의 촬상 조건으로부터 특정 방향으로만 변화하도록 설정하므로, 새롭게 설정되는 촬상 조건의 변화의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만 되고, 변화된 촬상 환경에 따라 촬상 조건을 재차 설정해도, 유저에 의한 열람에 지장을 초래하기 어려운 정지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또, 촬상 계속 시간의 길이를 기준으로 해서, 촬상 환경의 변화의 유무를 특정하므로, 타임 랩스 동화상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의 촬상 전에, 미리 촬상 환경의 변화의 유무를 특정할 수 있다. 또, 촬상부(3)에 의해 촬상된 소정 수의 정지 화상의 밝기를 취득하고, 취득된 밝기에 의거하여 촬상 환경의 변화를 특정하므로, 실제로 촬상된 정지 화상의 밝기로부터 촬상 환경(해당 장치 본체의 주위의 밝기)의 변화를 특정할 수 있다. 특히, 소정 수의 정지 화상의 밝기의 대표값을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화각내를 횡단한 동체에 의해 밝기가 크게 변화한 정지 화상이 있어도, 해당 정지 화상의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촬상 환경(해당 장치 본체의 주위의 밝기)의 변화를 적정하게 특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이하, 실시형태 2의 촬상 장치(200)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2의 촬상 장치(200)는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 이외의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 1의 촬상 장치(100)와 대략 마찬가지의 구성을 이루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 2의 촬상 장치(2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촬상 장치(200)는 중앙제어부(1), 메모리(2), 촬상부(3), 촬상 제어부(4), 화상 처리부(5), 기록 매체 제어부(6), 표시부(7), 및 조작 입력부(8)에 부가해서, 촬상 위치 특정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 위치 특정부(10)는 해당 장치 본체가 존재하는 촬상 위치를 측위(positioning)한다.
즉, 촬상 위치 특정부(10)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장치 본체가 존재하는 촬상 위치를 측위하는 GPS 처리부 등으로 구성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촬상 위치 특정부(10)는 예를 들면, 지구 저 궤도에 발사된 복수의 GPS 위성(도시 생략)으로부터 송신되는 GPS 신호(예를 들면, 알마낙(Almanac)(개략 궤도 정보)나 이페메리스(Ephemeris)(상세 궤도 정보) 등)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하여, GPS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촬상 위치 특정부(10)는 생성된 GPS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측위 연산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장치 본체의 절대적인 3차원의 현재 위치(위도, 경도, 고도)를 측위하고 해당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예를 들면, 위도, 경도, 고도의 좌표 정보)를 생성한다(GPS 측위).
촬상 제어부(4)는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 대신에 제 2 환경 변화 특정부(45)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환경 변화 특정부(45)는 해당 장치 본체가 존재하는 위치 및 촬상부(3)에 의한 촬상의 시간대를 기준으로 해서, 촬상 환경의 변화의 유무를 특정한다. 즉, 제 2 환경 변화 특정부(45)는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8)의 소정 조작에 의거하여 소정의 촬상 씬(예를 들면, 「야경」이나 「일몰」 등)이 지정된 경우에, 해당 촬상 위치에서 현재의 시각부터 소정의 시간 촬상을 계속하면, 일조 시간에 의해 해당 장치 본체의 주위의 밝기(촬상 환경)가 변화될 우려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환경 변화 특정부(45)는 예를 들면, 촬상 위치 특정부(10)에 의해 특정된 해당 장치 본체가 존재하는 촬상 위치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현재의 시각에 의거하여 촬상의 시간대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제 2 환경 변화 특정부(45)는 취득된 촬상 위치의 위치 정보 및 촬상의 시간대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촬상 위치에서 현재의 시각부터 소정의 시간 촬상을 계속한 경우에, 시간 경과에 수반해서 해당 장치 본체의 주위의 밝기가 점차 변화할 우려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제 2 환경 변화 특정부(45)에 의한 판정의 결과, 해당 장치 본체의 주위의 밝기가 점차 변화될 우려가 있다고 판정되면,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노광 조건의 추종 동작 플래그를 「ON」으로 설정하는 한편, 해당 장치 본체의 주위의 밝기가 점차 변화될 우려가 없다고 판정되면,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노광 조건의 추종 동작 플래그를 「OFF」로 설정한다.
또한, 예를 들면, 위치 정보와 일출이나 일몰의 시간 정보가 대응지어진 테이블(도시 생략)을 촬상 장치(200)의 소정의 기록 수단(예를 들면, 메모리(2) 등)에 기록해 두고, 제 2 환경 변화 특정부(45)는 해당 테이블을 참조하여, 소정의 촬상 위치에 있어서 현재의 시각부터 소정의 시간 촬상을 계속한 경우에, 해당 장치 본체의 주위의 밝기(촬상 환경)가 변화될 우려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 제 2 환경 변화 특정부(45)는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와 대략 마찬가지로, 촬상부(3)에 의해 촬상된 소정 수의 정지 화상의 밝기를 취득하고, 취득된 밝기에 의거하여 촬상 환경의 변화를 특정한다.
또한, 제 2 환경 변화 특정부(45)는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와 대략 마찬가지로, 제 2 제어부(44)에 의한 제어하에서 촬상부(3)에 의해 새로운 촬상 조건으로 촬상이 실행될 때에, 촬상 환경의 변화를 특정한다.
<촬상 처리>
다음에, 촬상 장치(200)에 의해 촬상 처리에 대해,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촬상 처리에 관한 동작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실시형태 2의 촬상 장치(200)에 의한 촬상 처리는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 이외의 점에서, 상기한 실시형태 1의 촬상 장치(100)에 의한 촬상 처리와 대략 마찬가지이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8)의 소정 조작에 의거하여 지정된 원하는 촬상 씬(예를 들면,「일몰」 등)에 대응하는 각종 촬상 조건을 메모리(2)의 촬상 씬 테이블(21)로부터 읽어내어 설정한다(스텝 S1).
다음에, 촬상 위치 특정부(10)는 예를 들면 GPS 측위에 의해, 해당 장치 본체가 존재하는 촬상 위치를 특정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21). 계속해서, 제 2 환경 변화 특정부(45)는 설정된 촬상 조건 중에서 촬상 계속 시간을 취득하여, 현재의 시각부터 촬상 종료까지 촬상 환경이 변화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2). 구체적으로는 촬상 위치 특정부(10)에 의해 특정된 해당 장치 본체가 존재하는 촬상 위치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현재의 시각에 관련된 촬상의 시간대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여, 해당 촬상 위치에 있어서 현재의 시각부터 소정의 시간 촬상을 계속한 경우에, 시간 경과에 수반해서 해당 장치 본체의 주위의 밝기가 점차 변화될 우려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스텝 S21 및 스텝 S22의 각 처리는 스텝 S1에 있어서, 유저가 원하는 촬상 씬이 소정의 촬상 씬(예를 들면, 「야경」,「일몰」 등)인 경우에만 실행되도록 해도 좋다.
스텝 S22에 있어서, 현재의 시각부터 촬상 종료까지 촬상 환경이 변화한다고 판정되면(스텝 S22; YES),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노광 조건의 추종 동작 플래그를 「ON」으로 설정한다(스텝 S4). 한편, 현재의 시각부터 촬상 종료까지 촬상 환경이 변화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스텝 S3; NO),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노광 조건의 추종 동작 플래그를 「OFF」로 설정한다(스텝 S5).
그 후, 처리를 스텝 S6로 이행하고, 그 이후의 각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스텝 S6 이후의 각 처리는 상기 실시형태 1의 촬상 처리와 대략 마찬가지이며, 제 2 환경 변화 특정부(45)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즉, 스텝 S8에 있어서, 제 2 환경 변화 특정부(45)는 추종 동작 플래그가 「ON」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8). 그리고, 스텝 S8에 있어서, 추종 동작 플래그가 「ON」이라고 판정되면(스텝 S8; YES), 제 2 환경 변화 특정부(45)는 소정 수 분의 정지 화상이 메모리(2)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9).
그리고, 스텝 S9에 있어서, 소정 수 분의 정지 화상이 저장되고 있다고 판정되면(스텝 S9; YES), 제 2 환경 변화 특정부(45)는 소정 수 분의 정지 화상의 밝기(휘도값)를 메모리(2)로부터 취득하고, 획득된 밝기의 대표값(예를 들면, 평균값 등)을 산출한다(스텝 S12). 계속해서, 제 2 환경 변화 특정부(45)는 산출된 밝기의 대표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3).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2의 촬상 장치(200)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 1의 촬상 장치(100)와 대략 마찬가지로, 타임 랩스 동화상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의 촬상에 있어서, 도중에 촬상 환경이 변화해도, 해당 촬상 환경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촬상 조건으로 정지 화상의 촬상을 계속해서 실행할 수 있고, 유저에 의한 열람에 지장을 초래하기 어려운 정지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장치 본체가 존재하는 위치 및 촬상의 시간대를 기준으로 해서, 촬상 환경의 변화의 유무를 특정하므로, 타임 랩스 동화상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의 촬상전에, 미리 촬상 환경의 변화의 유무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1, 2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을 실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 1, 2에 있어서는 촬상 조건으로서, 노광 조건을 새롭게 설정하는 경우를 예시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화이트 밸런스나 포커스 위치를 새롭게 설정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 1, 2에 있어서는 타임 랩스 동화상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의 촬상 전에, 미리 촬상 환경의 변화의 유무를 특정하도록 했지만, 일예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드시 해당 처리를 실행할 필요는 없다. 즉, 소정 수 분의 정지 화상의 촬상시에, 촬상 환경이 실제로 변화했는지의 여부를 특정하는 바와 같은 구성이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 2에 있어서는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정지 화상을 더욱 밝게(혹은 더욱 어둡게) 촬상하는 내용의 노광 조건을 일단 설정한 경우에는 그 이후에 설정되는 노광 조건의 내용도 정지 화상을 더욱 밝게(혹은 더욱 어둡게) 촬상하는 내용으로 설정하도록 했지만, 일예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촬상 조건 설정부(43)는 정지 화상을 더욱 밝게(혹은 더욱 어둡게) 촬상하는 내용의 노광 조건을 일단 설정한 경우에는 해당 노광 조건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이후의 정지 화상의 촬상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 1, 2에 있어서는 추종 동작 플래그의 「ON」,「OFF」의 설정을 촬상 조건 설정부(43)가 실행하도록 했지만, 일예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임의로 변경 가능하며, 예를 들면,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나 제 2 환경 변화 특정부(45)가 실행하는 바와 같은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 2에 있어서는 타임 랩스 동화상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의 촬상의 제어를, 노광 조건의 변경 전후에 제 1 제어부(41)와 제 2 제어부(44)가 분담해서 실행하도록 했지만, 일예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노광 조건의 변경 전후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제 1 제어부(제어 수단)가 모두 실행하는 바와 같은 구성이어도 좋다.
또, 촬상 장치(100, 200)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 1, 2에 예시한 것은 일예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 2에 있어서는 특정 수단, 설정 수단, 제어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중앙제어부(1)의 제어하에,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42)(제 2 환경 변화 특정부(45)), 촬상 조건 설정부(43), 제 1 제어부(41), 제 2 제어부(44)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제어부(1)에 의해서 소정의 프로그램 등이 실행되는 것에 의해 실현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프로그램 메모리(도시 생략)에, 특정 처리 루틴, 설정 처리 루틴, 제어 처리 루틴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해 둔다. 그리고, 특정 처리 루틴에 의해 중앙제어부(1)의 CPU를 촬상부(3)가 촬상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촬상 환경의 변화를 특정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설정 처리 루틴에 의해 중앙제어부(1)의 CPU를 특정된 촬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노광 조건을 고정으로 할지 추종시킬지를 설정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어 처리 루틴에 의해 중앙제어부(1)의 CPU를 설정된 내용으로 소정의 기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정지 화상을 촬상시키도록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도록 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동화상 생성 수단에 대해서도 중앙제어부(1)의 CPU에 의해서 소정의 프로그램 등이 실행되는 것에 의해 실현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각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ROM 및 하드 디스크 등 이외에,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 CD-ROM 등의 휴대가능형 기록 매체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회선을 통해 제공하는 매체로서는 캐리어 웨이브(반송파)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와 그 균등의 범위를 포함한다.
100, 200; 촬상 장치 1; 중앙 제어부
2; 메모리 3; 촬상부
4; 촬상 제어부 41; 제 1 제어부
42; 제 1 환경 변화 특정부 43; 촬상 조건 설정부
44; 제 2 제어부 45; 제 2 환경 변화 특정부
10; 촬상 위치 특정부

Claims (9)

  1.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촬상 환경의 변화를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촬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노광 조건을 고정으로 할지 추종시킬지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내용으로, 상기 촬상 수단에 대해 소정의 기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정지 화상을 촬상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단은 또한,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한 제어하에서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이 실행될 때에, 상기 촬상 환경의 변화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단은 또한, 상기 소정의 시간의 길이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촬상 환경의 변화의 유무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단은 또한, 해당 장치 본체가 존재하는 위치 및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한 촬상의 시간대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촬상 환경의 변화의 유무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단은 또한,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소정 수의 정지 화상의 밝기를 취득하고, 취득된 밝기에 의거하여 상기 촬상 환경의 변화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또한, 상기 노광 조건을 추종시킨다고 설정했을 때, 특정의 방향으로만 추종시키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서 제어되고 촬상된 정지 화상을 프레임으로 하고, 상기 일정한 시간 간격과는 다른 시간 간격으로 재생되는 동화상을 생성하는 동화상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촬상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촬상 환경의 변화를 특정하는 특정 스텝과,
    상기 특정 스텝에서 특정된 촬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노광 조건을 고정으로 할지 추종시킬지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설정 스텝에서 설정된 내용으로, 소정의 기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정지 화상을 촬상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9. 촬상 장치가 갖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해당 컴퓨터를,
    촬상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촬상 환경의 변화를 특정하는 특정 수단,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촬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노광 조건을 고정으로 할지 추종시킬지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내용으로, 소정의 기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정지 화상을 촬상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 매체.
KR1020140124809A 2013-09-20 2014-09-19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606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95315 2013-09-20
JP2013195315A JP5892134B2 (ja) 2013-09-20 2013-09-20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808A true KR20150032808A (ko) 2015-03-30
KR101606279B1 KR101606279B1 (ko) 2016-03-24

Family

ID=5269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809A KR101606279B1 (ko) 2013-09-20 2014-09-19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20195B2 (ko)
JP (1) JP5892134B2 (ko)
KR (1) KR101606279B1 (ko)
CN (1) CN1044691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2443B2 (en) 2014-05-30 2018-06-05 Apple Inc. System and methods for time lapse video acquisition and compression
US9277123B2 (en) * 2014-05-30 2016-03-01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xposure metering for timelapse video
US9426409B2 (en) 2014-09-30 2016-08-23 Apple Inc. Time-lapse video capture with optimal image stabilization
CN107454344B (zh) * 2015-06-15 2019-05-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摄参数设置方法和用户终端
US10298852B2 (en) * 2015-10-27 2019-05-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JP6723092B2 (ja) * 2016-06-24 2020-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6498175B2 (ja) * 2016-12-16 2019-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949803B2 (ja) * 2017-02-14 2021-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CN110786005A (zh) * 2018-06-29 2020-02-1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延时摄影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成像系统及存储介质
CN114189605B (zh) * 2021-11-02 2023-10-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处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7397B2 (ja) * 2000-10-11 2007-04-18 富士通株式会社 映像監視装置
JP2004040725A (ja) * 2002-07-08 2004-02-05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ビデオカメラ
JP3952989B2 (ja) * 2003-04-30 2007-08-0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カメラ式車両感知器の露光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5176246A (ja) 2003-12-15 2005-06-30 Canon Inc 撮像方法、撮像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244040B2 (ja) * 2005-03-10 2009-03-25 任天堂株式会社 入力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入力処理装置
JP4379494B2 (ja) 2007-06-13 2009-12-09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CN101567966A (zh) * 2008-04-21 2009-10-28 敦煌天池股份有限公司 自带光源监视摄影装置
JP2010016599A (ja) 2008-07-03 2010-01-21 Victor Co Of Japan Ltd カメラ
JP5219730B2 (ja) * 2008-10-20 2013-06-26 三星電子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11040799A (ja) 2009-08-06 2011-02-24 Nikon Corp 撮像装置
JP2012032709A (ja) 2010-08-02 2012-02-16 Renesas Electronics Corp 撮影処理装置、撮影装置、及び撮影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20195B2 (en) 2016-08-16
KR101606279B1 (ko) 2016-03-24
CN104469136A (zh) 2015-03-25
JP2015061266A (ja) 2015-03-30
CN104469136B (zh) 2018-05-18
US20150086176A1 (en) 2015-03-26
JP5892134B2 (ja)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279B1 (ko)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519427B1 (ko) 촬상 장치 및 그 셔터 구동 모드 선택 방법
US8274598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8035727B2 (en) Image taking device which determines whether a taken image is backlit and controls exposure and method of controlling exposure for the same
US10462353B2 (e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423432B1 (ko)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록 매체
GB2534058A (en) Image pickup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JP6643109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US20180234610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US7945155B2 (en) Apparatus for capturing images, method of controlling exposure in the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US10401174B2 (en) Posture estimating apparatus for estimating posture, posture estima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643612B1 (ko) 촬영 방법 및 장치와 그 기록 매체
JP6758950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2015139025A (ja) 撮像装置
JP2011216976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217580A1 (en) Detecting apparatus for detecting subject
JP2020123837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565357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correction method
JP6606981B2 (ja) 出力制御装置、出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07622A (ja)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40177336A1 (en) Imag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20160057350A1 (en) Imag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6601062B2 (ja)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89672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5747599B2 (ja) 撮像装置、撮像補助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