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2550A -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2550A
KR20150032550A KR1020157000362A KR20157000362A KR20150032550A KR 20150032550 A KR20150032550 A KR 20150032550A KR 1020157000362 A KR1020157000362 A KR 1020157000362A KR 20157000362 A KR20157000362 A KR 20157000362A KR 20150032550 A KR20150032550 A KR 20150032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pair
mounting hole
base member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유키 카와카미
Original Assignee
파스칼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스칼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스칼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2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63Connecting non-slidable parts of machine tools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3Stationary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8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positioning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물품 팰릿의 수평방향 위치결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제 1, 제 2 기준 부재의 축심 간의 거리와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축심 간의 거리의 오차를 흡수 가능한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2) 상에 대상 물체(3)를 수평방향과 연직방향으로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키는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1)에 있어서, 고정 기구(9)에 의해 대상 물체(3)를 베이스 부재(2)에 가압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의 제 1, 제 2 테이퍼 걸림결합면(31a, 41a)이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의 탄성변형을 통해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동시에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의 제 1, 제 2 기저단 접촉면(34, 44)이 베이스 부재(2)에 접촉하고,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탄성변형을 통해 제 2 장착구멍(16)의 1쌍의 규제면(16a)에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1쌍의 피규제면(61b)이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OBJECT POSITIONING/FIXING DEVICE}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 상에 대상 물체를 수평방향과 연직(鉛直)방향으로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키는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수평방향의 위치결정 및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2개의 위치결정 기구의 축심(軸心) 간 오차를 허용가능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기계 가공에 제공하는 물품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물품 팰릿(work pallet)(대상 물체)과, 상기 물품 팰릿을 베이스 부재에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키는 물품 팰릿 위치결정 고정 장치가 널리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에 있어서는, 베이스 부재의 상면(上面)에 연직방향의 위치결정을 위한 기준 좌면(座面)이 형성되고, 베이스 부재의 대각(對角) 관계에 있는 1쌍의 코너부의 근방 부위에 수평방향의 위치결정을 위한 제 1, 제 2 기준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제 2 기준 부재의 각각은, 베이스 부재의 부착구멍에 수용되어 복수의 볼트로 고정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결합 볼록부와, 상기 걸림결합 볼록부의 외주면(外周面)에 형성된 테이퍼 걸림결합면과, 상기 걸림결합 볼록부에 형성된 볼트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기준 부재의 테이퍼 걸림결합면은, 걸림결합 볼록부의 외면(外面) 부분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지만, 제 2 기준 부재의 테이퍼 걸림결합면은, 걸림결합 볼록부의 외면 부분 중 제 1 기준 부재의 축심과 제 2 기준 부재의 축심을 잇는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對向)하는 2개의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1쌍의 테이퍼 걸림결합면 사이의 외면 부분에 1쌍의 원호형상의 얕은 홈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 기준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물품 팰릿에는, 바닥부(底部)측에 오목하게 설치한 부착구멍과, 상기 부착구멍에 이어지는 볼트 삽입통과구멍과, 상기 볼트 삽입통과구멍의 상부의 볼트 머리부를 수용하는 머리부 수용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착구멍에, 제 1, 제 2 기준 부재의 걸림결합 볼록부에 각각 밀착 상태로 걸림결합 가능한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에 있어서는, 베이스 부재 상에 물품 팰릿을 올려놓고, 이들 1쌍의 볼트 삽입통과구멍에 상방으로부터 볼트를 삽입통과시켜, 제 1, 제 2 기준 부재의 볼트구멍에 나사결합(螺合)시킴으로써, 물품 팰릿의 하면(下面)을 기준 좌면에 착좌시킨 상태로, 물품 팰릿의 1쌍의 코너부 근방부를 베이스 부재에 연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 중 상기 1쌍의 코너부와 다른 대각 관계에 있는 1쌍의 코너부에 볼트구멍을 각각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1쌍의 볼트구멍에 대응하는 1쌍의 볼트 삽입통과구멍을 물품 팰릿에 형성하고, 이들 1쌍의 볼트 삽입통과구멍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통과시킨 1쌍의 볼트를 대응하는 볼트구멍에 나사결합함으로써, 물품 팰릿의 다른 1쌍의 코너부 근방부를 베이스 부재에 고정시킨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1-251376호
그런데, 특허 문헌 1에서는, 제 1, 제 2 기준 부재의 축심 간의 거리와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축심 간의 거리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기준 부재(101)는 중심선(L)과 평행방향으로 대향하는 1쌍의 원호형상의 얕은 홈(101b)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110)의 중심선(L) 방향으로의 위치 편차를 허용하여,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110)를 제 2 기준 부재(101)에 대해 어긋난 상태로 걸림결합하게 된다(도 33의 이점쇄선(二點鎖線) 참조).
그러나, 상술한 각 축심 간 거리가 동일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품 팰릿을 베이스 부재(100)에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키면,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110)의 내주면(內周面)은 제 2 기준 부재(101)의 1쌍의 테이퍼 걸림결합면(101a)에 대해 면접촉하지 않고 일부만이 접촉한 국부 접촉 상태로 걸림결합되어 버린다. 이 상태에서 물품 팰릿의 탈부착을 반복적으로 실행하면, 제 2 기준 부재(101)의 테이퍼 걸림결합면(101a)이 마모되거나, 주저앉아 버리거나 하여, 수평방향으로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악화되어, 물품의 가공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에서는, 베이스 부재의 기준 좌면에 대한 1쌍의 걸림결합 볼록부의 연직방향 위치가 제작 오차에 의해 편차가 생기는 경우에는, 소기의 수평방향 위치결정 기능을 얻을 수 없다. 그러나, 제 1, 제 2 기준 부재의 플랜지 부재를 부착하는 부착구멍을 형성할 때의, 부착구멍의 깊이에 관한 가공 공차를 약 5㎛ 정도 이내로 억제하는 것은 도저히 곤란하기 때문에, 베이스 부재의 기준 좌면에 대한 제 1, 제 2 기준 부재의 걸림결합 볼록부의 높이 위치, 즉 테이퍼 걸림결합면의 높이 위치를 고정밀도로 설정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물품 팰릿을 베이스 부재의 기준 좌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정밀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에서는, 제 1, 제 2 기준 부재에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복수의 볼트에 의해 플랜지부를 부착구멍에 고정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 1, 제 2 기준 부재가 복잡한 구조의 대형 부재가 되어, 그 제작비(재료비와 가공비와 조립부착비)가 고가(高價)가 된다는 등의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 팰릿의 수평방향 위치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제 1, 제 2 기준 부재의 축심 간의 거리와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축심 간의 거리의 오차를 흡수 가능한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 제 1, 제 2 기준 부재의 구조를 간단화·소형화하여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 등이다.
청구항 1의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는, 베이스 부재 상에 대상 물체를 수평방향과 연직방향으로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키는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연직방향 위치결정을 위한 기준 좌면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대상 물체는 상기 기준 좌면에 접촉 가능한 접촉면을 구비하며, 상기 대상 물체를 수평방향으로 위치결정 가능한 제 1 위치결정 기구와, 상기 제 1 위치결정 기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대상 물체가 제 1 위치결정 기구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제 2 위치결정 기구와, 상기 대상 물체를 베이스 부재에 가압하여 고정 가능한 고정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제 2 위치결정 기구는, 베이스 부재와 대상 물체 중 일방에 장착된 제 1, 제 2 기준 부재이며, 선단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제 1, 제 2 테이퍼 걸림결합면이 형성된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와, 상기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보다 직경이 작은 제 1, 제 2 끼움결합 통부(筒部)와, 상기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의 상기 제 1, 제 2 끼움결합 통부측의 기저단(基端)에 형성된 제 1, 제 2 기저단 접촉면을 구비한 제 1, 제 2 기준 부재와, 상기 제 1, 제 2 끼움결합 통부가 끼움결합되는 제 1, 제 2 끼움결합구멍과, 베이스 부재와 대상 물체 중 타방에 형성된 제 1, 제 2 장착구멍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가 걸림결합 가능한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장착구멍은, 상기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가 상기 제 1, 제 2 위치결정 기구의 축심끼리를 잇는 중심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중심선 방향에 평행한 1쌍의 규제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는, 상기 1쌍의 규제면에 밀착 가능한 1쌍의 피(被)규제면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 기구에 의해 대상 물체를 베이스 부재에 가압하여 고정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와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의 직경방향으로의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제 1, 제 2 테이퍼 걸림결합면이 상기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 1, 제 2 기저단 접촉면이 상기 베이스 부재와 대상 물체 중 일방에 접촉되고, 상기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환형 단면(端面)이 제 1, 제 2 장착구멍의 환형 받이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1쌍의 피규제면이 상기 1쌍의 규제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2의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는,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착구멍은, 상기 베이스 부재와 대상 물체 중 타방에 직접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의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는,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에 직경방향으로의 탄성변형 촉진용의 슬릿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의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는,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착구멍은, 상기 베이스 부재와 대상 물체 중 타방에 형성된 원통구멍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로 장착된 부시 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5의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는,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는, 상기 제 2 걸림결합 볼록부가 걸림결합되는 환형 본체부와, 상기 환형 본체부의 상기 일방과 반대되는 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일방과 반대되는 측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환형 본체부보다 직경이 작은 환형 소직경부(小徑部)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장착구멍은, 상기 환형 본체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본체 장착구멍과, 상기 본체 장착구멍에 연통되며 또한 상기 환형 소직경부가 상기 중심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소직경부 장착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1쌍의 규제면은, 상기 소직경부 장착구멍의 내주부에 상기 제 2 걸림결합 볼록부로부터 이격될수록 서로 접근하도록 경사진 1쌍의 테이퍼 규제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1쌍의 피규제면은, 상기 1쌍의 테이퍼 규제면에 밀착 가능하게 상기 환형 소직경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6의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는,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제 1, 제 2 기준 부재에 각각 형성된 제 1 볼트 삽입통과구멍과, 상기 제 1 볼트 삽입통과구멍에 대응하도록 대상 물체에 각각 형성된 제 2 볼트 삽입통과구멍과, 상기 제 1, 제 2 볼트 삽입통과구멍에 대응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각각 형성된 제 1 볼트구멍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대상 물체를 베이스 부재에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키는 경우, 고정 기구에 의해, 대상 물체를 베이스 부재측으로 가압하면,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와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의 직경방향으로의 탄성변형을 통해 제 1, 제 2 테이퍼 걸림결합면이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동시에, 제 1, 제 2 기저단 접촉면이 베이스 부재와 대상 물체 중 일방에 접촉하고,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환형 단면이 제 1, 제 2 장착구멍의 환형 받이면에 접촉하고,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탄성변형을 통해 1쌍의 피규제면이 1쌍의 규제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제 1, 제 2 기준 부재의 축심 간 거리와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축심 간 거리에 오차가 있는 경우라도,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가 제 2 기준 부재에 걸림결합할 때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가 중심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되고 나서 고정되므로, 제 2 기준 부재에 대한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위치 편차(피치간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축심 간 거리를 고정밀도로 설정하지 않더라도, 제 2 기준 부재의 제 2 테이퍼 걸림결합면에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내주면을 확실히 밀착시킨 상태로 하여 대상 물체를 베이스 부재에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킬 수 있어, 대상 물체의 수평방향으로의 위치결정 정밀도와 수평면 내에서의 회전을 규제하는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를 중심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였으므로, 제 2 기준 부재의 제 2 테이퍼 걸림결합면을 환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내주면에 밀착 상태로 확실히 걸림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 2 테이퍼 걸림결합면이 마모되거나 주저앉는 것을 방지하여, 제 2 위치결정 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의 제 1, 제 2 기저단 접촉면을 기준 좌면 또는 접촉면에 접촉시키므로, 기준 좌면 또는 접촉면에 대한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의 높이 방향 위치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대상 물체를 베이스 부재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제 1, 제 2 기준 부재의 제 1, 제 2 끼움결합 통부를 제 1, 제 2 끼움결합구멍에 끼움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제 1, 제 2 끼움결합 통부는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보다 작은 외경(外徑)을 가지는 것이므로, 제 1, 제 2 기준 부재의 구조를 간단화·소형화하여 제작비(재료비, 가공비, 조립부착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제 2 장착구멍은, 베이스 부재와 대상 물체 중 타방에 직접 형성되었으므로,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를 끼움결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기존의 장착구멍에 추가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피치간 공차를 흡수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에 직경방향으로의 탄성변형 촉진용의 슬릿을 형성하였으므로,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에 형성한 슬릿을 통해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탄성변형을 촉진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제 2 장착구멍은, 베이스 부재와 대상 물체 중 타방에 형성된 원통구멍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로 장착된 부시 부재에 형성되었으므로, 제 2 장착구멍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는, 환형 본체부와, 상기 환형 본체부보다 직경이 작은 환형 소직경부를 구비하며, 제 2 장착구멍은, 환형 본체부가 수용되는 본체 장착구멍과, 환형 소직경부가 수용되는 소직경부 장착구멍을 구비하며, 1쌍의 규제면은, 소직경부 장착구멍의 내주부에 제 2 걸림결합 볼록부로부터 이격될수록 서로 접근하도록 경사진 1쌍의 테이퍼 규제면으로 형성되고, 1쌍의 피규제면은, 1쌍의 테이퍼 규제면에 밀착 가능하게 환형 소직경부에 형성되었으므로,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를 끼움결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기존의 장착구멍에 추가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피치간 공차를 흡수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고정 기구는, 제 1, 제 2 기준 부재에 각각 형성된 제 1 볼트 삽입통과구멍과, 상기 제 1 볼트 삽입통과구멍에 대응하도록 대상 물체에 각각 형성된 제 2 볼트 삽입통과구멍과, 제 1, 제 2 볼트 삽입통과구멍에 대응하도록 베이스 부재에 각각 형성된 제 1 볼트구멍을 구비하였으므로, 제 1, 제 2 기준 부재에 볼트 체결력이 직접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 1, 제 2 끼움결합구멍에 대해 제 1, 제 2 기준 부재의 제 1, 제 2 끼움결합 통부가 이동할 우려가 없어, 제 1, 제 2 기준 부재에 의한 수평방향 위치결정 정밀도를 확보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도 1은, 실시예 1의 팰릿 위치결정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팰릿 위치결정 고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베이스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물품 팰릿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볼트가 분리된 상태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IX-I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X-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XII-X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XIII-X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 2 기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부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2에 따른 도 8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9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의 XIX-XI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제 2 장착구멍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실시예 3에 따른 도 8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9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3의 XXV-XX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1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1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제 2 장착구멍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실시예 4에 따른 팰릿 위치결정 고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부분 변경 형태에 따른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2는, 부분 변경 형태에 따른 팰릿 위치결정 고정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3은, 종래예에 따른 팰릿 위치결정 고정 장치의 제 2 기준 부재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위치결정한다는 것은, 수평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연직방향으로 위치결정한다는 것은, 연직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팰릿 위치결정 고정 장치(1)(이것이,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에 상당함. 이하에서는, 위치결정 고정 장치라 함)는, 베이스 부재(2) 상에 기계 가공에 제공할 물품을 유지(保持)시키기 위한 물품 팰릿(3)(이것이, 위치결정하여 고정되는 「대상 물체」에 상당함)을 수평방향과 연직방향으로 위치결정하여, 4개의 고정용 볼트(4, 4A)에 의해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위치결정 고정 장치(1)는, 베이스 부재(2)의 상면에 형성된 기준 좌면(5)과, 물품 팰릿(3)의 하면에 형성된 접촉면(6)과, 물품 팰릿(3)을 수평방향으로 위치결정 가능한 제 1 위치결정 기구(7)와, 상기 제 1 위치결정 기구(7)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물품 팰릿(3)이 제 1 위치결정 기구(7)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제 2 위치결정 기구(8)와, 물품 팰릿(3)을 베이스 부재(2)에 가압하여 고정 가능한 고정 기구(9)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부재(2)와 물품 팰릿(3)은, 각각,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두꺼운 강제(鋼製)의 평판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2)는, 예컨대 공작기계의 테이블 등의 위에 고정시킨 상태로 세트해 둔다. 물품 팰릿(3)에는, 도시하지 않은 클램프 장치나 볼트에 의해 하나 또는 복수의 물품(도시 생략)을 고정시키고, 그 물품 팰릿(3)을 베이스 부재(2) 상으로 반송하여, 수평방향과 연직방향으로 위치결정하고 또한 고정시키고 나서, 물품 팰릿(3) 상의 하나 또는 복수의 물품에 대해 기계 가공이 실시된다.
베이스 부재(2)의 상면의 거의 전역은, 물품 팰릿(3)을 올려놓고, 물품 팰릿(3)의 하면을 착좌시켜 물품 팰릿(3)을 연직방향으로 위치결정하기 위한 수평인 기준 좌면(5)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품 팰릿(3)의 바닥면(底面)의 거의 전역은, 기준 좌면(5)에 면접촉 상태로 접촉 가능한 수평인 접촉면(6)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는, 해당 베이스 부재(2)의 대각 관계에 있는 1쌍의 코너부의 근방 부위에 형성된 연직방향을 향해 있는 제 1, 제 2 끼움결합구멍(11, 12)과, 상기 제 1, 제 2 끼움결합구멍(11, 12)의 하단에 이어지는 연직방향을 향해 있는 1쌍의 제 1 볼트구멍(13)과, 베이스 부재(2)의 대각 관계에 있는 1쌍의 코너부(상기 1쌍의 코너부와는 다른 1쌍의 코너부)의 근방 부위에 형성된 연직방향을 향해 있는 1쌍의 제 2 볼트구멍(14)을 구비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팰릿(3)은, 물품 팰릿(3)의 대각 관계에 있는 1쌍의 코너부의 근방 부위에 형성된 연직방향을 향해 있는 제 1, 제 2 장착구멍(15, 16)과, 상기 제 1, 제 2 장착구멍(15, 16)의 상단에 이어지는 연직방향을 향해 있는 1쌍의 제 2 볼트 삽입통과구멍(18)과, 1쌍의 제 2 볼트 삽입통과구멍(18)의 상부의 머리부 수용구멍(18a)과, 베이스 부재(2)의 대각 관계에 있는 1쌍의 코너부(상기 1쌍의 코너부와는 다른 1쌍의 코너부)의 근방 부위에 형성된 연직방향을 향해 있는 1쌍의 제 3 볼트 삽입통과구멍(19)과, 1쌍의 제 3 볼트 삽입통과구멍(19)의 상부의 머리부 수용구멍(19a)을 구비하고 있다.
1쌍의 제 2 볼트 삽입통과구멍(18)은, 물품 팰릿(3)을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시켜 후술하는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의 축심과 평행하며 또한 동심형상(同心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1쌍의 제 3 볼트 삽입통과구멍(19)은, 물품 팰릿(3)을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시켜 제 2 볼트구멍(14)과 동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제 1 볼트 삽입통과구멍(17)은,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에 형성되어 있다(도 4∼도 6 참조).
머리부 수용구멍(18a, 19a)을 형성함으로써, 볼트(4, 4A)의 머리부의 상면은, 물품 팰릿(3)의 상면으로부터 미소한 거리만큼 낮은 위치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물품 팰릿(3)의 상면에 물품을 세트하는데 유리하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볼트 삽입통과구멍」은 볼트를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을 의미하며, 「볼트구멍」은 볼트를 나사결합시킬 수 있는 나사구멍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제 1, 제 2 위치결정 기구(7, 8)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제 2 위치결정 기구(7, 8)는, 베이스 부재(2)에 형성된 제 1, 제 2 끼움결합구멍(11, 12)과, 이들 제 1, 제 2 끼움결합구멍(11, 12)에 장착된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와, 물품 팰릿(3)에 형성된 제 1, 제 2 장착구멍(15, 16)과, 이들 제 1, 제 2 장착구멍(15, 16)에 장착된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 등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 1, 제 2 끼움결합구멍(11, 12)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도 13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제 2 끼움결합구멍(11, 12)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베이스 부재(2)의 기준 좌면(5)에 개구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 끼움결합구멍(11, 12)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平面視) 원형상으로 베이스 부재(2)에 각각 직접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에 대해 설명한다.
도 5∼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는,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32, 42)와, 상기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32, 42)에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32, 42)보다 직경이 작은 제 1, 제 2 끼움결합 통부(33, 43)와,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32, 42)에 일체로 형성된 제 1, 제 2 기저단 접촉면(34, 44)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수평방향의 위치결정을 위한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는 제 1, 제 2 끼움결합구멍(11, 12)에 각각 고정된다. 참고로, 제 2 기준 부재(41)는, 물품 팰릿(3)이 제 1 기준 부재(31)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 내에 있어서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규제(수평방향 위치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의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32, 42)의 외주에는 상방을 향해(물품 팰릿(3)측을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제 1, 제 2 테이퍼 걸림결합면(31a, 41a)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32, 42)의 상단의 외주부는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32, 42)의 제 1, 제 2 끼움결합 통부(33, 43)측의 기저단에, 기준 좌면(5)에 접촉하는 환형의 제 1, 제 2 기저단 접촉면(34, 44)이 형성되어 있다. 단, 제 1, 제 2 테이퍼 걸림결합면(31a, 41a)은 둘레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테이퍼 걸림결합면이어도 좋다.
참고로,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의 제 1, 제 2 기저단 접촉면(34, 44)이 기준 좌면(5)에 접촉된 고정 상태에서는, 제 1, 제 2 끼움결합구멍(11, 12)의 바닥면과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의 제 1, 제 2 끼움결합 통부(33, 43)의 하단면과의 사이에는, 작은 환형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는, 제 1, 제 2 끼움결합구멍(11, 12)에 압입(壓入)고정되어도 되고, 압입 이외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시켜도 된다.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의 중앙부에는, 연직방향을 향해 있는 제 1 볼트 삽입통과구멍(1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2)에는, 1쌍의 제 1 볼트 삽입통과구멍(17)에 대응하는 연직방향을 향해 있는 1쌍의 제 1 볼트구멍(13)이 동심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에 대응하는 물품 팰릿(3)의 부위에는, 제 1 볼트 삽입통과구멍(17)에 대응하는 제 2 볼트 삽입통과구멍(18)이 동심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물품 팰릿(3)측의 1쌍의 제 2 볼트 삽입통과구멍(18)과 베이스 부재(2)측의 1쌍의 제 1 볼트 삽입통과구멍(17)에 삽입한 2개의 볼트(4)를, 1쌍의 제 1 볼트구멍(13)에 각각 나사결합함으로써 물품 팰릿(3)이 베이스 부재(2)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제 1, 제 2 장착구멍(15, 16)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도 13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제 2 장착구멍(15, 16)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물품 팰릿(3)의 접촉면(6)에 개구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장착구멍(15)은, 물품 팰릿(3)에 상방에서 보았을 때 원형상으로 직접 형성되어 있다. 제 2 장착구멍(16)은, 물품 팰릿(3)에 형성된 원통구멍(21)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로 장착된 부시 부재(22)에 형성되어 있다(도 16 참조). 원통구멍(21)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 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장착구멍(15)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 또는 근소하게 큰 직경을 가지고 있다.
부시 부재(22)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원통구멍(21)에 압입고정되어 있는데, 압입 이외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시켜도 된다. 부시 부재(22)에 형성된 제 2 장착구멍(16)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타원형상(후술하는 중심선(L)과 평행한 장축을 가짐)으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가 제 1, 제 2 위치결정 기구(7, 8)의 축심끼리를 잇는 중심선(L)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장착구멍(16)은, 중심선(L) 방향과 평행한 1쌍의 규제면(16a)과, 상기 1쌍의 규제면(16a) 간에 얕은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중심선(L) 방향으로 대향하는 외측으로 볼록한 1쌍의 부분 원통면(16b)을 구비하고 있다.
1쌍의 규제면(16a)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중심선(L)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1쌍의 규제면(16a)의 중심선(L)과 평행한 방향의 길이는, 제 2 장착구멍(16)의 둘레방향 길이의 약 1/6∼1/8 정도이다. 제 2 장착구멍(16)의 1쌍의 부분 원통면(16b)의 하측 부분에는,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원호형상 볼록부(16c)가 둘레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1쌍의 원호형상 볼록부(16c)에 의해, 후술하는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가 반송시나 진동 등에 의해 제 2 장착구멍(16)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부시 부재(22)의 하단이 접촉면(6)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부시 부재(22)의 높이 사이즈는, 원통구멍(21)의 깊이 사이즈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며, 부시 부재(22)의 상단은 원통구멍(21)의 상단 벽면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원통구멍(21)의 상단 벽면 중 부시 부재(22)의 내측 부분에서 제 2 장착구멍(16)의 환형 받이면(16d)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도 13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는,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32, 42)가 걸림결합 가능하며, 물품 팰릿(3)에 형성된 제 1, 제 2 장착구멍(15, 16)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제 1 환형 걸림결합 부재(51)는, 제 1 장착구멍(15)에 압입에 의해 끼움결합되어 고정되어 있지만, 압입 이외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시켜도 된다.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는, 제 2 장착구멍(16)에 여유를 가지고 장착되어 있다.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는,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의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32, 42)의 외측에 끼워지고 또한 볼트(4)의 체결력을 작용시킬 때 직경확대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며 또한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32, 42)의 제 1, 제 2 테이퍼 걸림결합면(31a, 41a)에 밀착 상태로 걸림결합 가능하게 각각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의 내주면이 제 1, 제 2 테이퍼 걸림결합면(31a, 41a)에 밀착 가능한 제 1, 제 2 테이퍼 접촉면(51a, 61a)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의 직경방향의 두께는, 수평방향의 위치결정에 필요한 강성(剛性)을 가지는 두께이면 된다.
다음으로,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제 1 환형 걸림결합 부재(51)와 상이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도 13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외주면에는, 1쌍의 규제면(16a)에 밀착 가능한 1쌍의 피규제면(61b)과, 제 2 장착구멍(16)의 1쌍의 부분 원통면(16b)에 대향하는 1쌍의 부분 원통면(61c)이 형성되어 있다. 1쌍의 피규제면(61b)의 상기 중심선(L)과 평행한 방향의 길이는,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둘레방향 길이의 약 1/6∼1/8 정도이다.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에는, 직경방향으로의 탄성변형 촉진용의 슬릿(61d)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슬릿(61d)은 생략해도 된다.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1쌍의 부분 원통면(61c)과 제 2 장착구멍(16)의 1쌍의 부분 원통면(16b) 사이에, 1쌍의 부분 원통형 틈새(25)가 형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1쌍의 부분 원통형 틈새(25)는, 제 2 위치결정 기구(8)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중심선(L)과 평행한 방향으로 ±50㎛ 정도의 틈새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특별히 상기 길이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하단이 접촉면(6)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높이 사이즈는, 제 2 장착구멍(16)의 깊이 사이즈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참고로,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가 제 2 기준 부재(41)에 걸림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하단은 부시 부재(22)의 1쌍의 원호형상 볼록부(16c)에 의해 걸림고정되고,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상단의 환형 단면(61e)과 제 2 장착구멍(16)의 상단 벽면을 형성하는 환형 받이면(16d)과의 사이에 근소한 환형 틈새가 형성되어, 1쌍의 피규제면(61b)과 1쌍의 규제면(16a) 사이에 미소한 틈새가 형성된다.
도 11∼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가 제 2 기준 부재(41)에 밀착 상태로 걸림결합된 상태에서는,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환형 단면(61e)은 제 2 장착구멍(16)의 환형 받이면(16d)에 밀착 상태로 접촉되고,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탄성변형을 통해 1쌍의 피규제면(61b)이 제 2 장착구멍(16)의 1쌍의 규제면(16a)에 밀착 상태로 접촉된다.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를 제 2 장착구멍(16)에 장착하는 경우, 부시 부재(22)를 원통구멍(21)에 끼움결합하여 고정시키기 전에,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를 1쌍의 피규제면(61b)이 1쌍의 규제면(16a)에 대해 평행 상태가 되도록 부시 부재(22)의 제 2 장착구멍(16)에 삽입하고,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하단을 1쌍의 원호형상 볼록부(16c)에 걸림고정시킨 상태로, 부시 부재(22)를 원통구멍(21)에 하방으로부터 끼움결합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제 1 환형 걸림결합 부재(51)에 있어서는, 제 1 환형 걸림결합 부재(51)의 하반부(下半部)의 외경은 상반부(上半部)의 외경보다 근소하게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제 1 환형 걸림결합 부재(51)의 하반부의 외주면과 제 1 장착구멍(15)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제 1 환형 걸림결합 부재(51)의 직경확대방향으로의 탄성변형을 촉진하기 위한 환형 틈새(63)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환형 걸림결합 부재(51)의 하단이 접촉면(6)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 1 환형 걸림결합 부재(51)의 높이 사이즈는, 제 1 장착구멍(15)의 깊이 사이즈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고, 제 1 환형 걸림결합 부재(51)의 상단의 환형 단면은 제 1 장착구멍(15)의 상단 벽면을 형성하는 환형 단면에 밀착 상태로 접촉하고 있다.
고정 기구(9)는,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의 제 1 볼트 삽입통과구멍(17), 물품 팰릿(3)에 형성된 1쌍의 제 2 볼트 삽입통과구멍(18)과 1쌍의 제 3 볼트 삽입통과구멍(19), 베이스 부재(2)에 형성된 1쌍의 제 1 볼트구멍(13)과 1쌍의 제 2 볼트구멍(14), 4개의 볼트(4, 4A)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의 위치결정 고정 장치(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베이스 부재(2)는 공작기계의 테이블 상에 미리 세트하여 고정되어 있다. 물품 준비 스테이지에 있어서, 물품 팰릿(3)에 하나 또는 복수의 물품을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물품 팰릿(3)을 베이스 부재(2)의 상방으로 반송하여, 베이스 부재(2)의 상면의 기준 좌면(5)에 근접한 상태로 올려놓는다.
이 상태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팰릿(3)측의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가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의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32, 42)에 가볍게 걸림결합한다.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에 있어서는, 제 1, 제 2 기저단 접촉면(34, 44)이 기준 좌면(5)에 접촉한 상태이며, 제 1 환형 걸림결합 부재(51)에 있어서는, 그 상단의 환형 단면이 제 1 장착구멍(15)의 환형 받이면에 접촉하고, 그 내주면의 테이퍼 접촉면(51a)이 제 1 기준 부재(31)의 제 1 테이퍼 걸림결합면(31a)에 가볍게 접촉한 상태이다.
또한,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에 있어서는, 제 2 기준 부재(41)의 걸림결합에 수반하여 상방으로 이동되어, 그 내주면의 테이퍼 접촉면(61a)이 제 2 기준 부재(41)의 제 2 테이퍼 걸림결합면(41a)에 가볍게 접촉하고, 그 외주면의 1쌍의 피규제면(61b)이 제 2 장착구멍(16)의 1쌍의 규제면(16a)에 가볍게 접촉 또는 근접하고, 그 상단의 환형 단면(61e)이 제 2 장착구멍(16)의 환형 받이면(16d)에 가볍게 접촉한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볼트(4)를 1쌍의 제 2 볼트 삽입통과구멍(18)으로부터 각각 삽입하여,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의 제 1 볼트 삽입통과구멍(17)을 각각 삽입통과시킨 상태에서 대응하는 제 1 볼트구멍(13)에 각각 나사결합하여 체결함으로써,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를 직경이 확대되는 측으로 탄성변형시키고, 이들의 내주면의 제 1, 제 2 테이퍼 접촉면(51a, 61a)을 제 1, 제 2 테이퍼 걸림결합면(31a, 41a)에 밀착 상태로 걸림결합시켜 고정한다. 제 1 위치결정 기구(7)에 있어서는, 물품 팰릿(3)의 수평방향 위치가 정해지고, 제 2 위치결정 기구(8)에 있어서는, 물품 팰릿(3)이 제 1 위치결정 기구(7)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한다.
이때, 제 2 위치결정 기구(8)의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에 있어서, 2개의 볼트(4)에 의해 물품 팰릿(3)을 베이스 부재(2)에 가압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가 직경확대방향으로 탄성변형하여 제 2 장착구멍(16)에 가압되고,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1쌍의 피규제면(61b)이 제 2 장착구멍(16)의 1쌍의 규제면(16a)에 밀착 상태로 걸림결합하며,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환형 단면(61e)이 제 2 장착구멍(16)의 환형 받이면(16d)에 밀착 상태로 접촉한다.
그런데, 모든 부재나 제 1, 제 2 끼움결합구멍(11, 12)이나 제 1, 제 2 장착구멍(15, 16) 등의 가공 오차(예컨대, 수 10㎛) 등에 의해,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의 축심 간 거리와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의 축심 간 거리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상기 위치결정 고정 장치(1)에 있어서,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는, 1쌍의 부분 원통형 틈새(25)를 통해 중심선(L)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1쌍의 규제면(16a)과 1쌍의 피규제면(61b)을 통해 중심선(L)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베이스 부재(2)의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의 축심 간 거리와, 물품 팰릿(3)의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의 축심 간 거리에 오차가 있는 경우, 제 1 환형 걸림결합 부재(51)에 대해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가 근소하게 중심선(L)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오차를 흡수하여 축심 간을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제 2 기준 부재(41)와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 및 기준 좌면(5)과 접촉면(6)의 2면(面) 구속에 더하여, 제 2 장착구멍(16)의 1쌍의 규제면(16a)과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1쌍의 피규제면(61b) 및 제 2 장착구멍(16)의 환형 받이면(16d)과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환형 단면(61e)의 2면 구속이 행해지므로, 물품 팰릿(3)을 베이스 부재(2)에 대해 수평방향과 연직방향으로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볼트(4A)를 제 3 볼트 삽입통과구멍(18)으로부터 각각 삽입하고, 베이스 부재(2)의 제 2 볼트구멍(14)에 각각 나사결합하여 체결함으로써, 물품 팰릿(3)의 1쌍의 코너부의 근방부가 베이스 부재(2)에 고정되어, 보다 강고하게 물품 팰릿(3)이 베이스 부재(2)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 1 환형 걸림결합 부재(51)의 제 1 테이퍼 접촉면(51a)이, 제 1 기준 부재(31)의 제 1 테이퍼 걸림결합면(31a)에 밀착하여 수평방향으로 위치결정되고,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제 2 테이퍼 접촉면(61a)이, 제 2 기준 부재(41)의 제 2 테이퍼 걸림결합면(41a)에 밀착하여 제 1 기준 부재(31)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하여 수평방향으로 위치결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물품 팰릿(3)을 베이스 부재(2)에 대해 연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결정하고 또한 수평면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결정 고정 장치(1)가 나타내는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의 축심 간 거리와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의 축심 간 거리에 오차가 있는 경우라도,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가 제 2 기준 부재(41)에 걸림결합할 때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가 중심선(L)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고 나서 고정되므로, 제 2 기준 부재(41)에 대한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위치 편차(피치간 공차, 예컨대 10∼100㎛ 정도)를 흡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의 축심 간 거리를 고정밀도로 설정하지 않더라도, 제 2 기준 부재(41)의 제 2 테이퍼 걸림결합면(41a)에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내주면을 확실히 밀착시킨 상태로 하여 물품 팰릿(3)을 베이스 부재(2)에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물품 팰릿(3)의 수평방향으로의 위치결정 정밀도와 수평면 내에서의 회전을 규제하는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를 중심선(L)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였으므로, 제 2 기준 부재(41)의 제 2 테이퍼 걸림결합면(41a)을 환형으로 형성할 수 있어,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내주면에 밀착 상태로 확실히 걸림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제 2 테이퍼 걸림결합면(41a)이 마모되거나 주저앉는 것을 방지하여, 제 2 위치결정 기구(8)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32, 42)의 제 1, 제 2 기저단 접촉면(34, 44)을 기준 좌면(5)에 접촉시키기 때문에, 기준 좌면(5)에 대한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32, 42)의 높이 방향 위치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물품 팰릿(3)을 베이스 부재(2)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의 제 1, 제 2 끼움결합 통부(33, 43)를 제 1, 제 2 끼움결합구멍(11, 12)에 끼움결합하여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여, 제 1, 제 2 끼움결합 통부(33, 43)는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32, 42)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기 때문에,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의 구조를 간단화·소형화하여 제작비(재료비, 가공비, 조립부착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고정 기구(9)는,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에 각각 형성된 제 1 볼트 삽입통과구멍(17)과, 상기 제 1 볼트 삽입통과구멍(17)에 대응하도록 물품 팰릿(3)에 각각 형성된 제 2 볼트 삽입통과구멍(18)과, 제 1, 제 2 볼트 삽입통과구멍(18)에 대응하도록 베이스 부재(2)에 각각 형성된 제 1 볼트구멍(13)을 구비하였으므로,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에 볼트 체결력이 직접 작용하지 않으므로, 제 1, 제 2 끼움결합구멍(11, 12)에 대해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의 제 1, 제 2 끼움결합 통부(33, 43)가 이동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에 의한 수평방향 위치결정의 정밀도를 확보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에 직경방향으로의 탄성변형 촉진용의 슬릿(61d)을 형성하였으므로,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에 형성한 슬릿(61d)을 통해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탄성변형을 촉진할 수 있다.
제 2 장착구멍(16)은, 물품 팰릿(3)에 형성된 원통구멍(21)의 내측에 끼워지는 상태로 장착된 부시 부재(22)에 형성되었으므로, 제 2 장착구멍(16)의 제작이 용이하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실시예 1의 위치결정 고정 장치(1)에 있어서의 제 2 위치결정 기구(8)의 제 2 장착구멍(16)을 부분적으로 변경한 실시예 2의 제 2 위치결정 기구(8A)의 제 2 장착구멍(16A)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로, 실시예 1의 제 2 장착구멍(16)은 원통구멍(21)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로 장착된 부시 부재(22)에 형성된 것이었으나, 실시예 2의 제 2 장착구멍(16A)은 물품 팰릿(3)에 직접 형성된 것이다.
도 17∼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위치결정 기구(8A)에 있어서, 제 2 장착구멍(16A)은, 물품 팰릿(3)의 접촉면(6)에 개구하도록 상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타원형상으로 물품 팰릿(3)에 직접 형성되어 있다. 제 2 장착구멍(16A)은,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가 제 1, 제 2 위치결정 기구(7, 8A)의 축심끼리를 잇는 중심선(L)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장착구멍(16A)은, 중심선(L) 방향에 평행한 1쌍의 규제면(16Aa)과, 중심선(L) 방향으로 대향하는 외측으로 볼록한 1쌍의 부분 원통면(16Ab)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1쌍의 부분 원통면(61c)과 제 2 장착구멍(16A)의 1쌍의 부분 원통면(16Ab) 사이에 1쌍의 부분 원통형 틈새(25A)가 형성되어 있다(도 19 참조).
1쌍의 규제면(16Aa)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중심선(L)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1쌍의 규제면(16Aa)의 중심선(L)과 평행한 방향의 길이는, 제 2 장착구멍(16A)의 둘레방향 길이의 약 1/6∼1/8 정도이다.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하단이 접촉면(6)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높이 사이즈는, 제 2 장착구멍(16A)의 깊이 사이즈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제 2 장착구멍(16A)의 1쌍의 규제면(16Aa)의 하측 부분에는, 멈춤 링(retaining ring; 46)의 장착이 가능한 1쌍의 수평 홈부(16Ae)가 형성되고, 상기 1쌍의 수평 홈부(16Ae)에 멈춤 링(46)의 중심선(L)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가 부분적으로 끼움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멈춤 링(46)에 의해,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가 반송시나 진동 등에 의해 제 2 장착구멍(16A)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가 제 2 기준 부재(41)에 걸림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하단은 제 2 장착구멍(16A)에 장착된 멈춤 링(46)에 의해 걸림고정되어,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상단의 환형 단면(61e)과 제 2 장착구멍(16A)의 환형 받이면(16Ad) 사이에 근소한 환형 틈새가 형성되고, 1쌍의 피규제면(61b)과 1쌍의 규제면(16Aa) 사이에 미소한 틈새가 형성된다.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가 제 2 기준 부재(41)에 밀착 상태로 걸림결합된 상태에서는,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환형 단면(61e)은, 제 2 장착구멍(16A)의 환형 받이면(16Ad)에 밀착 상태로 접촉하고,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의 탄성변형을 통해 1쌍의 피규제면(61b)이 제 2 장착구멍(16A)의 1쌍의 규제면(16Aa)에 밀착 상태로 접촉한다.
상기 제 2 장착구멍(16A)은, 물품 팰릿(3)에 직접 형성되었으므로,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를 끼움결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기존의 장착구멍에 추가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의 피치간 공차를 허용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
다음으로, 실시예 1의 위치결정 고정 장치(1)에 있어서의 제 2 위치결정 기구(8)의 제 2 장착구멍(16)과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를 부분적으로 변경한 실시예 3의 제 2 위치결정 기구(8B)의 제 2 장착구멍(16B)과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B)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 2 장착구멍(16B)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도 27 및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장착구멍(16B)은,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B)의 환형 본체부(8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본체 장착구멍(71)과, 상기 본체 장착구멍(71)에 연통하며 또한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B)의 환형 소직경부(82)가 중심선(L)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소직경부 장착구멍(72)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장착구멍(71)은, 물품 팰릿(3)의 접촉면(6)에 개구되며 또한 상방에서 보았을 때 원형상으로 직접 형성되어 있다. 본체 장착구멍(71)의 접촉면(6)측의 하단부에, 멈춤 링(46)의 장착이 가능한 환형 홈부(71a)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환형 홈부(71a)에 멈춤 링(46)이 끼움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멈춤 링(46)에 의해,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B)가 반송시나 진동 등에 의해 제 2 장착구멍(16B)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소직경부 장착구멍(72)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부에 형성되고 또한 제 2 걸림결합 볼록부(42)로부터 이격될수록 서로 접근하도록 경사진 1쌍의 테이퍼 규제면(72a)과, 상기 1쌍의 테이퍼 규제면(16a) 사이에 형성되고 또한 외측으로 볼록한 1쌍의 부분 원통면(72b)을 구비하고 있다. 1쌍의 테이퍼 규제면(72a)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중심선(L)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1쌍의 테이퍼 규제면(72a)의 중심선(L)과 평행한 방향의 길이는, 소직경부 장착구멍(72)의 둘레방향 길이의 약 1/6∼1/8 정도이다.
다음으로,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B)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B)는, 제 2 걸림결합 볼록부(42)가 걸림결합하는 환형 본체부(81)와, 상기 환형 본체부(81)의 일방과 반대되는 측의 단부로부터 일방과 반대되는 측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환형 본체부(81)보다 직경이 작은 환형 소직경부(82)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B)의 환형 본체부(81)의 외경은, 본체 장착구멍(7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환형 본체부(81)의 외주면과 본체 장착구멍(71)의 내주면 사이에는 원통형 틈새(85)가 형성되어 있다.
환형 본체부(81)는, 제 2 걸림결합 볼록부(42)의 외측에 끼워지고 또한 볼트(4)의 체결력을 작용시키면 직경확대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그 내주면이 제 2 걸림결합 볼록부(42)의 제 2 테이퍼 걸림결합면(41a)에 밀착 상태로 걸림결합 가능한 제 2 테이퍼 접촉면(81a)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형 본체부(81)의 직경방향의 두께는, 수평방향의 위치결정에 필요한 강성을 가지는 두께이면 된다.
환형 소직경부(82)의 중앙부에는, 연직방향을 향해 있는 볼트 삽입통과구멍(82a)이 형성되어 있다. 환형 소직경부(82)는, 그 외주면에 형성되고 또한 1쌍의 테이퍼 규제면(72a)에 밀착 가능한 1쌍의 테이퍼 피규제면(82b)과, 상기 1쌍의 테이퍼 피규제면(82b) 사이에 형성된 1쌍의 부분 원통면(82c)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B)의 1쌍의 부분 원통면(82c)과 제 2 장착구멍(16B)의 1쌍의 부분 원통면(72b) 사이에 1쌍의 부분 원통형 틈새(86)가 형성되어 있다(도 25 참조).
환형 본체부(81)의 하단이 접촉면(6)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환형 본체부(81)의 높이 사이즈는, 본체 장착구멍(71)의 깊이 사이즈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고, 환형 소직경부(82)의 상단이 소직경부 장착구멍(72)의 상단 벽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환형 소직경부(82)의 높이 사이즈는, 소직경부 장착구멍(72)의 깊이 사이즈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B)가 제 2 기준 부재(41)에 걸림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환형 본체부(81)의 하단은 멈춤 링(46)에 의해 걸림고정되며, 환형 본체부(81)의 상단의 환형 단면(81b)과 본체 장착구멍(71)의 환형 받이면(71b)과의 사이에 근소한 환형 틈새가 형성되고, 환형 소직경부(82)의 1쌍의 테이퍼 피규제면(82b)과 소직경부 장착구멍(72)의 1쌍의 테이퍼 규제면(72a)과의 사이에 미소한 틈새가 형성된다.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B)가 제 2 기준 부재(41)에 밀착 상태로 걸림결합된 상태에서는, 환형 본체부(81)의 환형 단면(81b)은 본체 장착구멍(71)의 환형 받이면(71b)에 밀착 상태로 접촉하며,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B)의 탄성변형을 통해 1쌍의 테이퍼 피규제면(82b)은 소직경부 장착구멍(72)의 1쌍의 테이퍼 규제면(72a)에 밀착 상태로 접촉한다.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B)는, 환형 본체부(81)와, 상기 환형 본체부(81)보다 직경이 작은 환형 소직경부(82)를 구비하고, 제 2 장착구멍(16B)은, 환형 본체부(81)가 수용되는 본체 장착구멍(71)과, 환형 소직경부(82)가 수용되는 소직경부 장착구멍(72)을 구비하고, 상기 실시예 1, 2의 1쌍의 규제면(16a, 16Aa)에 상당하는 것이, 소직경부 장착구멍(72)의 내주부에 제 2 걸림결합 볼록부(42)로부터 이격될수록 서로 접근하도록 경사진 1쌍의 테이퍼 규제면(72a)으로 형성되고, 1쌍의 피규제면(61b)은, 1쌍의 테이퍼 규제면(72a)에 밀착 가능하게 환형 소직경부(82)에 형성되었으므로,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B)를 끼움결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기존의 장착구멍에 추가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B)의 피치간 공차를 흡수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기타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4]
다음으로, 실시예 1의 위치결정 고정 장치(1)를 부분적으로 변경한 실시예 4의 위치결정 고정 장치(1C)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로, 실시예 4의 위치결정 고정 장치(1C)는, 물품 팰릿(3C)측에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를 부착시키고, 베이스 부재(2C)측에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를 부착시킨 것이다.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결정 고정 장치(1C)에 있어서는, 제 1, 제 2 기준 부재(31C, 41C)를 물품 팰릿(3C)에 형성한 제 1, 제 2 끼움결합구멍(11C, 12C)에 장착하고,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C, 61C)를 베이스 부재(2C)에 형성한 제 1, 제 2 장착구멍(15C, 16C)에 장착하고 있다. 제 2 장착구멍(16C)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베이스 부재(2C)에 형성된 원통구멍(21C)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로 장착된 부시 부재(22C)에 형성되어 있다. 즉, 실시예 4의 제 1, 제 2 위치결정 기구(7C, 8C)는, 실시예 1의 것과 비교할 때, 역(逆)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제 2 기준 부재(31C, 41C)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물품 팰릿(3C)에는 제 2 볼트 삽입통과구멍(18)과, 그 머리부 수용구멍(18a)이 형성되고, 제 1, 제 2 기준 부재(31C, 41C)에는, 제 1 볼트 삽입통과구멍(17)이 형성되고, 베이스 부재(2B)에는, 제 1, 제 2 기준 부재(31C, 41C)의 제 1 볼트 삽입통과구멍(17)에 대응하는 제 1 볼트구멍(13)이 형성된다. 기타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제 2 장착구멍(16C)은, 베이스 부재(2C)에 형성된 원통구멍(21C)에 장착된 부시 부재(22C)에 형성되어 있지만,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제 2 장착구멍(16C)을 베이스 부재(2C)에 직접 형성해도 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1∼4를 부분적으로 변경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1] 상기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의 직경확대방향으로의 탄성변형을 촉진하기 위해,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D, 61D)의 예컨대 하반부에, 베이스 부재(2)측을 향해 개구되는 깊은 홈형상의 환형 홈(51b, 61b)을 형성하고,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D, 61D)의 환형 홈(51b, 61b)보다 내측 부분에 직경 확대측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환형 걸림결합 벽부(51c, 61c)를 형성한다. 참고로,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에 환형 홈(61b)을 형성하는 경우, 슬릿(61d)은 생략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D, 61D)의 외주면과 제 1, 제 2 테이퍼 접촉면(51a, 61a)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D, 61D)의 탄성변형을 촉진하기 위한 베이스 부재(2)측을 향해 개구된 환형 홈(51b, 61b)을 형성하였으므로,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D, 61D)에 형성한 환형 홈(51b, 61b)을 통해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D, 61D)의 탄성변형을 촉진시킬 수 있다. 참고로,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가 베이스 부재(2)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는, 물품 팰릿(3)측을 향해 개구된 환형 홈(51b, 61b)을 형성하면 된다.
[2] 상기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의 직경확대방향으로의 탄성변형을 촉진하기 위해,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의 둘레방향의 1개소(個所)를 분단(分斷)하는 분단부(실시예 1의 슬릿(61d)과 동일한 것), 또는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의 둘레방향의 복수 개소를 부분적으로 분단하는 부분 분단부를 형성해도 된다.
[3] 상기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에 상기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를 걸림결합시켜 볼트(4)를 체결했을 때,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를 직경축소측으로 탄성변형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51, 61)와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의 양방을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제 1, 제 2 기준 부재(31, 41)만을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4] 상기 기준 좌면(5)은, 반드시 베이스 부재(2)의 상면의 전역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베이스 부재(2)의 상면의 복수 부위에 형성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기준 좌면(5)에 접촉하는 접촉면(6)은, 반드시 물품 팰릿(3)의 하면의 전역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물품 팰릿(3)의 하면의 복수 부위에 형성해도 된다.
[5] 상기 볼트(4, 4A)의 머리부는, 머리부 수용구멍(18a, 19a)에 반드시 수용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 머리부 수용구멍(18a, 19a)을 생략하고, 물품 팰릿(3)의 상면으로부터 돌출시켜도 된다.
[6]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기준 부재(41E)와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61E)로 제 2 위치결정 기구(8E)를 구성하고, 상기 제 2 위치결정 기구(8E)와는 다른 위치에서, 물품 팰릿(3)에 볼트 삽입통과구멍(81)을 형성하는 동시에, 베이스 부재(2)에는 볼트 삽입통과구멍(81)에 대응하는 볼트구멍(82)을 형성하여, 볼트 삽입통과구멍(81)에 삽입통과시킨 고정용 볼트(83)를 볼트구멍(82)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물품 팰릿(3)을 베이스 부재(2)에 고정시킨다. 볼트 삽입통과구멍(81)과 볼트구멍(82)과 볼트(83)로 고정 기구(9E)가 구성되어 있다.
[7] 상기 대상 물체는, 물품 팰릿(3)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물품이나 부재나 공구 등을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키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물품 등을 고정시키는 바이스의 클로(claw) 부재(대상 물체)를 베이스 부재(2)에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키는 구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선반(旋盤)의 척 장치의 클로 부재(대상 물체)를 베이스 부재(2)에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키는 구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8] 기타,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는 일 없이, 상기 실시예에 다양한 변경을 부가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며, 본 발명은 그러한 변경 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는, 물품 팰릿, 바이스 장치, 척 장치 등에 관련된 기술 분야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 상에 대상 물체를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키는 다양한 기구에 적용할 수 있다.
L : 중심선
1, 1C : 팰릿 위치결정 고정 장치
2, 2C : 베이스 부재
3, 3C : 물품 팰릿
5 : 기준 좌면
6 : 접촉면
7, 7C : 제 1 위치결정 기구
8, 8A, 8B, 8C, 8E : 제 2 위치결정 기구
9, 9E : 고정 기구
11 : 제 1 끼움결합구멍
12 : 제 2 끼움결합구멍
13 : 제 1 볼트구멍
15, 15C : 제 1 장착구멍
16, 16A, 16B, 16C : 제 2 장착구멍
16a, 16Aa : 1쌍의 규제면
16d, 16Ad : 환형 받이면
17 : 제 1 볼트 삽입통과구멍
18 : 제 2 볼트 삽입통과구멍
21, 21C : 원통구멍
22, 22C : 부시 부재
31, 31C : 제 1 기준 부재
31a : 제 1 테이퍼 걸림결합면
32 : 제 1 걸림결합 볼록부
33 : 제 1 끼움결합 통부
34 : 제 1 기저단 접촉면
41, 41C, 41E : 제 2 기준 부재
41a : 제 2 테이퍼 걸림결합면
42 : 제 2 걸림결합 볼록부
43 : 제 2 끼움결합 통부
44 : 제 2 기저단 접촉면
51, 51C, 51D : 제 1 환형 걸림결합 부재
61, 61B, 61C, 61D, 61E :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
61a : 테이퍼 접촉면
61b : 1쌍의 피규제면
61d : 슬릿
61e : 환형 단면
71 : 본체 장착구멍
71b : 환형 받이면
72 : 소직경부 장착구멍
72a : 1쌍의 테이퍼 규제면
81 : 환형 본체부
81a : 테이퍼 접촉면
81b : 환형 단면
82 : 환형 소직경부
82b : 1쌍의 테이퍼 피규제면

Claims (6)

  1. 베이스 부재 상에 대상 물체를 수평방향과 연직방향으로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키는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연직방향 위치결정을 위한 기준 좌면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대상 물체는 상기 기준 좌면에 접촉 가능한 접촉면을 구비하며,
    상기 대상 물체를 수평방향으로 위치결정 가능한 제 1 위치결정 기구와, 상기 제 1 위치결정 기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대상 물체가 제 1 위치결정 기구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제 2 위치결정 기구와, 상기 대상 물체를 베이스 부재에 가압하여 고정 가능한 고정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제 2 위치결정 기구는, 베이스 부재와 대상 물체 중 일방에 장착된 제 1, 제 2 기준 부재이며, 선단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제 1, 제 2 테이퍼 걸림결합면이 형성된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와, 상기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보다 직경이 작은 제 1, 제 2 끼움결합 통부(筒部)와, 상기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의 상기 제 1, 제 2 끼움결합 통부측의 기저단(基端)에 형성된 제 1, 제 2 기저단 접촉면을 구비한 제 1, 제 2 기준 부재와, 상기 제 1, 제 2 끼움결합 통부가 끼움결합되는 제 1, 제 2 끼움결합구멍과, 베이스 부재와 대상 물체 중 타방에 형성된 제 1, 제 2 장착구멍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가 걸림결합 가능한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장착구멍은, 상기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가 상기 제 1, 제 2 위치결정 기구의 축심끼리를 잇는 중심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중심선 방향에 평행한 1쌍의 규제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는, 상기 1쌍의 규제면에 밀착 가능한 1쌍의 피(被)규제면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 기구에 의해 대상 물체를 베이스 부재에 가압하여 고정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걸림결합 볼록부와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의 직경방향으로의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제 1, 제 2 테이퍼 걸림결합면이 상기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 1, 제 2 기저단 접촉면이 상기 베이스 부재와 대상 물체 중 일방에 접촉되고, 상기 제 1,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환형 단면이 제 1, 제 2 장착구멍의 환형 받이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의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1쌍의 피규제면이 상기 1쌍의 규제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착구멍은, 상기 베이스 부재와 대상 물체 중 타방에 직접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에 직경방향으로의 탄성변형 촉진용의 슬릿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착구멍은, 상기 베이스 부재와 대상 물체 중 타방에 형성된 원통구멍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로 장착된 부시 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환형 걸림결합 부재는, 상기 제 2 걸림결합 볼록부가 걸림결합되는 환형 본체부와, 상기 환형 본체부의 상기 일방과 반대되는 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일방과 반대되는 측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환형 본체부보다 직경이 작은 환형 소직경부(小徑部)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장착구멍은, 상기 환형 본체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본체 장착구멍과, 상기 본체 장착구멍에 연통되며 또한 상기 환형 소직경부가 상기 중심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소직경부 장착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1쌍의 규제면은, 상기 소직경부 장착구멍의 내주부에 상기 제 2 걸림결합 볼록부로부터 이격될수록 서로 접근하도록 경사진 1쌍의 테이퍼 규제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1쌍의 피규제면은, 상기 1쌍의 테이퍼 규제면에 밀착 가능하게 상기 환형 소직경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제 1, 제 2 기준 부재에 각각 형성된 제 1 볼트 삽입통과구멍과, 상기 제 1 볼트 삽입통과구멍에 대응하도록 대상 물체에 각각 형성된 제 2 볼트 삽입통과구멍과, 상기 제 1, 제 2 볼트 삽입통과구멍에 대응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각각 형성된 제 1 볼트구멍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
KR1020157000362A 2012-07-04 2013-04-30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 KR201500325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50320A JP5946706B2 (ja) 2012-07-04 2012-07-04 物体位置決め固定装置
JPJP-P-2012-150320 2012-07-04
PCT/JP2013/062546 WO2014006966A1 (ja) 2012-07-04 2013-04-30 物体位置決め固定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550A true KR20150032550A (ko) 2015-03-26

Family

ID=4988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362A KR20150032550A (ko) 2012-07-04 2013-04-30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31390B2 (ko)
EP (1) EP2871023B1 (ko)
JP (1) JP5946706B2 (ko)
KR (1) KR20150032550A (ko)
CN (1) CN104321162B (ko)
TW (1) TWI575179B (ko)
WO (1) WO2014006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8609C2 (en) * 2015-01-20 2016-10-04 Sundström Erik Device for detachable and repeatable positioning of two objects in relation to each other
JP6829964B2 (ja) * 2016-08-04 2021-02-17 Dmg森精機株式会社 工作機械のベッド
CN113607292A (zh) * 2021-07-15 2021-11-05 广东超人节能厨卫电器有限公司 一种热电偶定位装置
JP2024062586A (ja) * 2022-10-25 2024-05-10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位置決め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26328C1 (de) * 1997-09-03 1999-11-25 Hohenstein Vorrichtungsbau Schnell-Paß-System für Bauteile von Werkzeugmaschinen
JP4762448B2 (ja) * 2001-07-24 2011-08-31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ワークパレット位置決め固定装置
JP2005096012A (ja) * 2003-09-24 2005-04-14 Kosmek Ltd 位置決め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クランピングシステム
ATE440696T1 (de) * 2003-10-09 2009-09-15 Kosmek Ltd Positioniervorrichtung und klemmsystem mit der vorrichtung
JP4954899B2 (ja) * 2005-12-27 2012-06-20 株式会社コスメック 位置決め装置および位置決めシステム
JP4799487B2 (ja) * 2007-06-19 2011-10-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ワークの位置決め方法、及び位置決め装置
WO2011105208A1 (ja) * 2010-02-23 2011-09-01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ワークパレット位置決め固定装置
JP5572449B2 (ja) 2010-06-03 2014-08-13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物体位置決め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31390B2 (en) 2017-08-15
CN104321162B (zh) 2017-06-06
CN104321162A (zh) 2015-01-28
EP2871023B1 (en) 2017-11-01
WO2014006966A1 (ja) 2014-01-09
TW201402982A (zh) 2014-01-16
JP5946706B2 (ja) 2016-07-06
EP2871023A1 (en) 2015-05-13
TWI575179B (zh) 2017-03-21
JP2014012304A (ja) 2014-01-23
EP2871023A4 (en) 2016-03-23
US20150321302A1 (en) 2015-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971B1 (ko)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
KR101800427B1 (ko) 공작물 팔레트 위치결정 고정장치
KR20130109957A (ko) 물체 위치결정 고정장치
US8613434B2 (en) Work pallet positioning and fixing device
JP4762448B2 (ja) ワークパレット位置決め固定装置
KR20150032550A (ko) 물체 위치결정 고정 장치
KR102515361B1 (ko)
JP2000126913A (ja) ダイヤフラムチャック
JP2015083332A (ja) クランプ装置
US9061387B2 (en) Article positioning mechanism
KR102026224B1 (ko) 공작기계용 더블 그립형 워크홀더장치
JP5996306B2 (ja) 物体位置決め固定装置
JPH04348835A (ja) パレットの位置決めクランプ装置
CN219724173U (zh) 校正装置
WO2024089983A1 (ja) 位置決め固定装置
KR950008799B1 (ko) 커플링 장치
HU226111B1 (en) Device for clamping workpie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