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808A -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낭충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얼굴 세안용 발포성 과립 - Google Patents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낭충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얼굴 세안용 발포성 과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808A
KR20150030808A KR20130109585A KR20130109585A KR20150030808A KR 20150030808 A KR20150030808 A KR 20150030808A KR 20130109585 A KR20130109585 A KR 20130109585A KR 20130109585 A KR20130109585 A KR 20130109585A KR 20150030808 A KR20150030808 A KR 20150030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rysanthemum
cosmetic composition
dandelion
flower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6917B1 (ko
Inventor
박선기
조현대
차영권
김형교
최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to KR20130109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917B1/ko
Publication of KR20150030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낭충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의 모낭충 제거에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얼굴 세안용 기능과 다양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체타입 및 고체 타입의 일반 세정용 비누보다 우수한 발포성 과립 및 정제에 관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발포성 기제 10~40% 중량, 당류 10~43% 중량, 전분 10~40% 중량, 유기산 1~30% 중량 및 추출물 0.1~50.0% 중량, 향성분 0.1~20.0% 중량을 첨가하여 기존 발포정에서 발생하는 침전물이 생성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투명하게 발포용해 되는 세안용 발포성 과립 및 발포성 정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낭충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얼굴 세안용 발포성 과립 { Cosmetics Composite and Producing Method }
본 발명은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낭충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낭충(Demodex)은 라틴어의 지방(Demo)과 벌레(Dex)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는데, 1963년에 Akbulatova는 D. folliculorum longus와 D. folliculrum brevis의 모낭충을 발견하였다. (Akbulatova, 1963). 그 후, Desch와 Nutting은 Demodex folliculorum을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을 Demodex folliculorum, Demodex brevia의 두 종류로 정립하였다. 전자는 몸체가 길고 끝이 둥근 형태로 주로 모낭에 기생하고, 몸체가 짧고 끝이 예리한 후자는 피지선에 존재한다. (Nutting, 1976)
모낭충은 피부 어느 곳에서도 기생하지만 피지분비가 많은 얼굴에 특히 많고 밤에 잠자는 동안 기어 나와 날카로운 발톱으로 얼굴 위를 돌아다니며 그 흔적을 남겨놓고 다시 피부 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아침에 일어나며 얼굴이 푸석푸석한 경우가 많이 있다.
모낭충은 진피층에 살며 진피층의 조직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갉아먹으며 살고 있다. 또한 모낭충은 진피층에 얽혀 있는 실핏줄을 갉아먹어 모세혈관을 파괴시켜 피부의 자생력을 약화시키기도 한다.
모낭충은 피부속에서 영양분을 섭취하고 실핏줄 세포조직을 자극시켜 피부를 악화시키는 쪽으로 유도한다. 여드름, 기미, 주근깨, 반점, 모공의 확대 등은 피부의 악화 결과로서 모낭충은 피부 악화작용에 상승작용을 일으킨다.
피지성에 기생하는 피부 속 진드기 Demodex brevis는 피지선의 영양을 빼앗아 먹고, 가려움과 염증의 원인이 되고 있다. 가려움증과 염증을 반복하여 일으키면 피부결이 거칠게 되고, 투명감과 윤기마저도 잃어버리고 만다.
여드름은 오염물이나 피지 등이 모공에 쌓여 생기지만 특히 중년 이후의 여성에게 모낭충이 원인이 되어 생기는 여드름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화농으로써 농포성 좌창 등이 되면 피부표면의 요철들이 심하게 일어나고 추하게 변형되어 버린다.
성인의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알레르기의 원인을 찾기 위해서 패치테스트(Patch Test)한 겨로가 50% 이상의 사람이 진드기에 대해서 양성(Positive) 반응을 나타내었다. (Qu Kuizum, 1982)
사람의 피부도 피부속에 영양분과 수분이 충분히 있으면, 피부가 탄력 있고 매끈하지만 영양분과 수분이 부족할 때에는 잔주름이 생기기 시작한다. 모낭충은 생존하기 위하여 피부속에 있는 모든 영양분 및 수분을 섭취하여 종족을 보존해가고 모근과 피하 등 피부 표면 보다는 보다 깊은 부위에 기생하고 있다.
모낭충의 활동은 수면 중 일 때 활발하며 취침 중 일 때 피지선과 모근 부분으로부터 기어 나와, 피부 표면을 배설물이나 죽은 잔해로 오염시킨다. 그리고 피부 표면에 남아있는 화장찌꺼기와 오염된 물질을 묻힌 그대로 다시 피부속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모낭충이 살지 못하게 깨끗한 피부 환경을 만드는 일이 중요하다.
모낭충에 의한 이물질이 피부 내에 쌓이게 되면 표면으로 돌출되어 붉은 반점, 검은 반점 등이 나타나고, 모낭염, 반구진, 서양반진, 외도염, 안검염, 안면 모낭충염과 지체 만성피부염 등의 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 모두가 모낭충이 일으키는 피부병으로 모낭충성 피부병으로 통칭하며, 모낭충성 딸기코(Demodetic Acne Rosacea)도 이에 포함된다. 또한, 피부염 또는 주사(Acne Rosacea)란 피부과에서 미용을 해치는 피부병으로 흔히 볼 수 있는 병이다. 이 병은 천천히 진행되며 대부분 코를 중심으로 시작되어 주변으로 확산되면서 동시에 위, 아래, 턱, 뺨과 입 부위로 발진이 나타난다. 발진 초기에는 피부에 만성 출혈성 홍조반응이 나타났다 없어졌다 하다가 자극을 받으면 심해지고 더욱 발전 되면 붉은코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정도가 심하지 않기 때문에 부주의하게 되며 이에 환자 스스로도 병원게 가서 치료를 받는 사람은 아주 적다.
모낭충과 세균의 혼합형 피부염은 비교적 흔히 보는 질환이다. 대부부 이 모낭충이 모낭을 출입하면서 표피상의 세균이 함께 피부 내에 묻혀 들어가서 일으키는 속발성 감염으로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모낭충을 억제하고 피부탄력과 미용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예방하는 것이다. 보통 감염의 원인은 사람이 출생한 후 서로 피부 접촉을 통해서 모낭충에 감염되기 때문인데, 그 중에서도 가정은 사람들 사이에서 피부가 가장 밀접하게 접촉하는 장소이다. 그러므로 모낭충은 가정 전염성 기생충이라 하며, 이에 따라 모낭충과 미용예방은 가정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백두옹은 할미꽃(Pulsatilla koreana Nakai) 뿌리를 일컫는 생약명으로, 이명으로는 동두할미, 노고초 라고도 부른다. 할미꽃은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곧고 높이는 30~40㎝ 정도로 자라며, 잎은 2번 깃겹잎이고 봄철에 붉은보라색 꽃이 핀다. 꽃받침의 끝은 뒤로 젖혀져 있다. 전국 각지의 산과 들에서 자란다. 열매이삭은 긴 흰 털이 모인 머리 모양을 하고 있어, 할미꽃 또는 백두옹이라 한다.
뿌리(백두옹)는 가을에 캐어 물에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가는할미꽃, 세잎할미꽃, 분홍할미꽃의 뿌리도 백두옹이라 하여 동의치료에 사용한다. 성분으로는 뿌리에 아네모닌과 타닌질이 있으며, 신선한 뿌리에는 프로토아네모닌의 형태로 들어 있으며, 공기 속에서 2분자가 중합되어 아네모닌으로 된다. 또한 헤데라게닌을 비당부분으로 한 4가지 사포닌이 분리되었다.
뿌리 달인액은 혈압내림작용, 아메바원충을 죽이는 작용이 있다. 전초 달인액은 말초혈관 확장작용과 떼낸 심장의 수축작용을 강화시킨다. 아네모닌은 센 심장독으로 적은 양에서 심장의 수축진폭을 줄이고 많은 양에서는 심장박동을 멎게 한다.
동의 치료에서 뿌리를 염증약, 수렴성 피멎이약, 설사멎이약, 장의 열을 내리고 독풀이약으로 설사, 치질출혈, 대장염, 적리에 10~15g을 달여서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또한 배아픔, 이아픔, 뼈아픔 등에도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전초를 열내림약, 오줌내기약으로 심장과 콩팥의 질병으로 인한 부기에 쓴다. 또한 관절아픔에 아픔멎이약으로 쓴다. 전초가루는 농피증, 궤양 등 여러 가지 피부병에 바른다. 신선한 전초즙은 녹내장에 쓴다 신선한 꽃즙은 관절염에 붙인다. 아메바성 적리에도 쓰는데 부작용이 있으므로 쓰는 양에 주의하여야 한다. 세균성 적리에 대해서는 술파닐아미드 제제보다 좋고 효과가 클로르마이신보다 약하다는 실험 자료가 있다. 백두옹탕, 백화고, 할미꽃이질알약을 만드는 처방에 들어간다.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e Endlicher)는 높이 30~40m 되는 사철푸른 나무이다. 작은 잎이 비늘처럼 가지에 붙는다. 열매는 작은 솔방울 모양이다. 잎에는 정유가 1.16%가 있으며, α-피넨, 리모넨(50%), α-보르닐아세타트(12%), α-테르피닐아세타트(12%), 세스쿠이테르펜, 세스쿵이테르펜알코올(25%) 등으로 이루어졌다. 목부의 정유(약 1%)는 ι-카디넨, d- α-캄펜, 보르네올, 캠퍼, 히노퀴닌(쿠베비놀라드), 히노키올, 히노퀴논, 히노키티올 등으로 이루어졌다.
국화(Chrysanthemum morifolium Ramart)는 들국화와 비슷하나 잎과 꽃이 크다. 꽃이삭의 가장자리에 있는 혀 모양의 꽃은 들국화에서 외겹이지만 단국화에서는 여러 겹이고 관 모양의 꽃은 가운데에 조금 있다. 전국 각지에서 약초 또는 꽃 보기 식물로 심는다. 단국화는 약 300년 전에 들국화와 흰 꽃이 피는 조선들국화(C. zawadskii Herbich var. latifolium Kitamura)를 교배하여 만든 원예식물로 생각하고 있다. 꽃이 흰색, 노란색, 가지색인 것, 맛이 쓴 것과 단 것 등 여러 품종이 있다. 약으로는 흰색 또는 노란색 꽃을 쓰며 맛이 단 것이 좋다고 한다. 한편 맛이 쓴 것을 약으로 쓰고 단 것은 약으로 쓰지 않고 채소로 먹는다는 견해도 있다. 가을에 핀 꽃을 따서 그늘에 말린 것을 감국 이라고 한다.
꽃은 정유 0.13%(2,2,4-트리메틸시클로헥센-3-1-카르복시산, 보르네올, 보르닐아세타트, 크리산테논), 아카세틴-7-람노글루코시드, 아케세틴-7-글루코시드, 코스모신, 아피게닌-글루코시드, 디오스메틴-7-글루코시드, 아데닌, 콜린, 탄수화물(과당, 포도당, 자당, 아라비노오스, 갈락토오스, 람노스, 리보오스)이 있다. 잎에는 초산, 프로피온산, 안식향산, 벤즈알데히드, 아니스알데히드, 보르네올, 노르닐아세타트, 캠퍼, α-투용, 스타키드린, 크리산테논이 있다.
꽃 우린액은 동물의 체온을 약하게 낮추며 많은 양에서 센 열내림작용이 있다. 또한 흰생쥐에게서 모세혈관의 저항성을 높이는 작용이 있다. 꽃 알코올 우린액은 동물실험에서 혈압내림작용이 있다.
동의치료에서 열내림, 독풀이, 아픔멎이, 항염증약으로 감기, 어지럼증, 머리아픔, 눈이 붉고 곪은 데, 부기, 부스럼 등에 쓴다. 요즘에는 금은화와 같이 동맥경화증과 과콜레스테롤혈증 치료에 쓴다. 속서근풀뿌리, 쇠무릎뿌리와 같이 고혈압, 협심증 치료에도 사용한다.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는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도시 주변이나 농춘의 길가와 공터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뿌리가 땅속 깊이 들어가고 줄기는 없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사방으로 퍼지며 타원 모양이고 끝이 예리하게 뾰족하며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3~9월에 황색으로 피고 잎이 없는 꽃대 끝에 두상화(頭狀花, 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 작은 꽃이 많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룬 꽃) 1개가 달린다. 두상화는 지름이 2~5㎝이고, 총포 조각은 줄 모양이며 녹색 또는 검은 색이 돌고 털이 없으며, 바깥쪽 포 조각은 뒤로 젖혀지고 안쪽 포 조각은 곧게 선다. 열매는 수과이고 갈색이며 편평하고 양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이며 길이가 2~4㎜이고 짧은 돌기가 있으며 끝이 부리처럼 길다. 관모는 흰색이고 부리 끝에서 우산 모양으로 퍼진다. 유럽에서는 잎을 샐러드로 먹고, 뉴질랜드에서는 뿌리를 커피 대용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 포함하고, 모낭충 제거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를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혼합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공지된 추출법에 의해 제조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의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건조물을 세절하고, 그 건조 중량의 1~15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된 추출용매를 부가하여 4∼30℃에서 3∼20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추출용매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수득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은 건조물을 분쇄하여 혼합하고, 그 건조 중량의 1~15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에틸아세테이트, 물,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며, 이어서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 콘덴서를 구비한 추출기로 30∼100℃에서 3∼48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거나 5∼30℃에서 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추출 용매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수득된다.
또한, 공지된 초음파 추출법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추출온도는 50 내지 100℃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액상 중량에 대하여 0.1중량%~10중량%의 양을 화장료에 첨가될 수 있고, 또한 화장료 조성물의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1∼3중량%의 양으로 화장료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의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 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모낭충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모낭충 제거에 효과가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 제조
채취하여 건조한 후 세절한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각각 50g의 시료에 증류수 2㎏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로 2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40~50℃의 온도에서 농축한 후 스프레이드라이어(BUCHI)를 이용하여 분말화시켰다.
< 실시예 2 내지 15> 추출 비율에 따른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추출물 제조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의 비율을 조절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 및 여과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 과 같다.
구 분 시료 혼합 비율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실시예 2 2 : 1 : 1 : 1
실시예 3 1 : 2 : 1 : 1
실시예 4 1 : 1 : 2 : 1
실시예 5 1 : 1 : 1 : 2
실시예 6 2 : 2 : 1 : 1
실시예 7 2 : 1 : 2 : 1
실시예 8 2 : 1 : 1 : 2
실시예 9 1 : 2 : 2 : 1
실시예 10 1 : 2 : 1 : 2
실시예 11 1 : 1 : 2 : 2
실시예 12 2 : 2 : 2 : 1
실시예 13 2 : 2 : 1 : 2
실시예 14 2 : 1 : 2 : 2
실시예 15 1 : 2 : 2 : 2
< 실시예 16 내지 27> 추출 용매에 따른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추출물 제조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의 추출 조성 비율은 실시예 7과 동일하고 다양한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실시예 16 내지 27 의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 후 여과 및 농축하여 분말을 얻었다. 결과는 하기 표 2 와 같다.
구 분 추 출 용 매
실시예 16 30% 함수 에탄올
실시예 17 50% 함수 에탄올
실시예 18 70% 함수 에탄올
실시예 19 30% 함수 메탄올
실시예 20 50% 함수 메탄올
실시예 21 70% 함수 메탄올
실시예 22 30% 함수 부틸렌글라이콜
실시예 23 50% 함수 부틸렌글라이콜
실시예 24 30% 함수 프로필렌글라이콜
실시예 25 50% 함수 프로필렌글라이콜
실시예 26 30% 함수 글리세린
실시예 27 50% 함수 글리세린
<비교 실시예 1>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수 제조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수(스킨로션)를 하기의 표 3 의 함량으로 하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1kg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 (실시예 18) 2.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글리콜 2.0
4 프로필렌글리콜 2.0
5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1.0
6 에탄올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8 방부제 미량
9 색소 미량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잔량
상기 표에서 11번 물질에 2, 3, 4, 8번 물질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 물질을 60℃ 정도로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이 후, 10번 물질을 투입하여 용해한 후 11번 물질에 투입하였다. 마지막으로 1, 6, 7, 9번 물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켜 표제의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비교 실시예 2>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 로션 제조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 (실시예 18)을 함유한 하이드로좀 영양로션을 하기의 표 4 의 함량으로 하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1kg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 (실시예 18) 2.0
2 밀납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4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5 유동 파라핀 1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8 스테아린산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11 카르복시폴리머 0.1
12 트리에탄올아민 0.2
13 방부제 미량
14 색소 미량
15 향료 미량
16 정제수 잔량
상기 표에서 10, 11, 13, 16번 물질을 혼합 교반 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2번 물질을 80 ~ 85℃사이로 가열 용해한 후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 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5번 물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4번 물질을 투입하고 35℃에서 1번 물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켜 표제의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비교 실시예 3>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 세럼 제조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 (실시예 18)을 함유한 하이드로좀 영양세럼을 하기의 표 5 의 함량으로 하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1kg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 (실시예 18) 2.0
2 잔탄검 0.02
3 부틸렌글리콜 10.0
4 포스포리피드 10.0
5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1
6 소디움히아루로네이트 5.0
7 정제수 잔량
상기 표에서 2, 3, 5번 물질을 혼합 교반 하면서 40 ~ 4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4, 6, 7번 물질을 제조부에 투입하고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 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1번 물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켜 표제의 영양 세럼을 제조하였다.
<비교 실시예 4>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 제조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하이드로좀 에센스를 하기의 표 6 의 함량으로 하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1kg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 (실시예 18) 2.0
2 시토 스테롤 1.7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4 세라마이드 0.7
5 스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마카다미아 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상기 표에서 2, 3, 4, 5 및 6번 물질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을 제조하였다. 이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1, 7, 8 및 14번 물질을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를 통과시키고 이어 9번 물질을 50 ~ 60℃로 가온하여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에 재차 통과시켰다. 그 후, 10, 11, 12, 13번 물질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켜 표제의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비교 실시예 5>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얼굴세안용 발포정 제조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얼굴 세안용 발포정을 하기의 표 7 의 함량으로 하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 (실시예 18) 0.50
2 유당 29.35
3 PEG-150 5.00
4 중조 30.00
5 구연산 30.00
6 PVP 5.00
7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10
8 비타민 B2 0.05
상기의 혼홉물을 온도 20 ~ 30℃, 상대습고 20 ~ 30% 에서 단발타정기로 타정하여 중량이 2g인 원형의 발포정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세포 무독성 및 세포 증식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 제조된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및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에 대하여 세포배양을 이용한 세포 증식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세포 독성 및 증식 실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배양하고 있는 세포(파이브로블라스트,3T3)를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5,000세포/웰로 분주하여 30분간 항온조에서 배양하고, 시료를 농도 별 각각 0.01, 0.05, 0.1, 0.5, 1.0(%,W/V))로 투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티아졸린 블루(Thiazoline blue)를 투여하고 4시간 동안 추가 배양을 하였다. 배양액을 모두 버리고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반응 정지액(acidic isopropanol)을 가하고 5분간 교반한 후,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주입량만큼 10 %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배지를 투여하여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으로 동시배양을 하였으며, 대조군의 세포증식을 100%로 하고 시료 투입 실험군의 세포 증식률을 계산하였다.
2) 실험결과
세포증식률은 하기 식1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농도(%) 세포 증식률(%)
대조군 0.1 0.5 1.0 2.0 5.0
실시예 1 100 101.6 101.0 100.8 99.4 98.6
실시예 2 100 101.2 100.7 100.5 100.8 97.8
실시예 3 100 102.9 101.4 100.1 99.5 99.8
실시예 4 100 101.6 101.8 100.9 100.4 99.6
실시예 5 100 102.4 101.3 99.8 99.7 100.1
실시예 6 100 103.4 102.4 101.0 100.7 100.5
실시예 7 100 104.7 104.2 103.3 102.2 100.5
실시예 8 100 102.9 100.4 102.0 101.0 99.9
실시예 9 100 101.3 100.8 101.4 99.8 100.2
실시예 10 100 100.2 99.4 100.3 100.0 98.7
실시예 11 100 102.0 101.3 100.5 101.6 100.3
실시예 12 100 103.4 102.8 102.5 101.3 100.5
실시예 13 100 101.7 100.4 99.7 101.0 99.6
실시예 14 100 104.2 103.3 101.9 102.0 100.3
실시예 15 100 100.9 101.5 100.8 99.9 98.9
농도(%) 세포 증식률(%)
대조군 0.1 0.5 1.0 2.0 5.0
실시예 16 100 102.1 101.5 100.8 100.0 99.9
실시예 17 100 101.9 101.7 100.9 100.4 101.0
실시예 18 100 105.8 103.2 102.1 101.7 101.0
실시예 19 100 101.2 101.1 100.3 100.5 100.9
실시예 20 100 102.4 101.6 100.7 100 99.8
실시예 21 100 102.9 102.0 101.5 99.9 100.2
실시예 22 100 103.7 102.9 101.3 100.3 100.0
실시예 23 100 102.4 102.0 100.0 101.6 100.8
실시예 24 100 104.6 103.0 100.9 100.6 100.1
실시예 25 100 103.0 102.4 101.6 100.8 100.0
실시예 27 100 104.2 102.8 101.4 101.0 99.9
실시예 27 100 104.8 102.4 101.0 99.7 100.3
표 8과 표 9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 성장 최적 조건에서의 세포 증식을 100%로 하였을 때,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 모두 세포 무독성이며, 세포 증식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 실험예 2> 제형 안정도 확인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교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제형에 대하여 실온, 4℃ 및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실내, 냉장고 및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 및 관찰(변색, 변취 및 분리)하며, 안정성을 확인 하였다.
온도
조건
안정성 확인 (변색, 변취 및 분리)
비교
실시예 1
비교
실시예 2
비교
실시예 3
비교
실시예 4
실온 0 0 0 0
4℃ 0 0 0 0
45℃ 0 0 0 0
<제형 안정 등급>
0 : 변화 없음, 1 : 미세한 변화, 2 : 변화, 3: 극심한 변화
표 10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 실시예 1 내지 4 제형 모두 실온, 4℃ 및 45℃ 온도 조건하에서 변색, 변취 및 분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안정하였다.
< 실험예 3> 모낭충 생존 억제 효과 확인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포함한 비교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제형에 대하여 모낭충 생존 억제 효과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전자현미경을 CCD 카메라에 부착한 후 컴퓨터에 연결한다. 그리고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모낭에서 모낭충을 얻은 후,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올려놓고 시료를 떨어뜨린 후, 3개의 전자현미경 아래에서 모낭충의 사멸에 필요한 시약을 떨어뜨리고 커버글라스를 직각으로 세운 다음 덮고 모낭충의 몸과 다리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이 때 전자현미경은 저배율을 이용하여 모낭충의 외형을 관찰한 후, 점점 고배율로 세부적인 모습을 관찰하면서 시간을 확인하고 생존 시간을 측정한다. 실험에서 생존 시간은 시료를 떨어뜨린 시간부터 모낭충의 몸이 점점 추하게 되고, 오그라들다가 움직임이 끝난 시간 까지를 의미한다.
구분 시료
대조군
(마늘)
실시예 18 비교
실시예 1
비교
실시예 2
비교
실시예 3
비교
실시예 4
비교
실시예 5
생존
시간
30분
00초
15분 30초 19분
30초
20분
30초
25분
00초
28분
30초
18분
30초
표 11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8 과 비교 실시예 1 내지 4 제형 모두에서 모낭충 생존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5)

  1.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낭충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추출 용매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낭충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 및 추출 분말을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1 ~ 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낭충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화장료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영양세럼, 에센스, 팩의 제형을 갖는 것인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낭충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5.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 및 추출 분말을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1 ~ 5%를 포함하는 모낭충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로 구성된 얼굴세정용 발포성 과립.
KR20130109585A 2013-09-12 2013-09-12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낭충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얼굴 세안용 발포성 과립 KR101506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585A KR101506917B1 (ko) 2013-09-12 2013-09-12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낭충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얼굴 세안용 발포성 과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585A KR101506917B1 (ko) 2013-09-12 2013-09-12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낭충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얼굴 세안용 발포성 과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808A true KR20150030808A (ko) 2015-03-23
KR101506917B1 KR101506917B1 (ko) 2015-04-08

Family

ID=5302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9585A KR101506917B1 (ko) 2013-09-12 2013-09-12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낭충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얼굴 세안용 발포성 과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07586A (zh) * 2020-04-24 2023-01-17 珠海岐微生物科技有限公司 蒲公英及其单体化合物在杀螨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663B1 (ko) 2009-12-16 2012-09-05 이해민 탈모 예방 및 발모를 위한 천연 한방에센스의 제조방법
KR101296153B1 (ko) 2011-06-10 2013-08-20 (주)제주사랑농수산 제주 송이를 이용한 모공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07586A (zh) * 2020-04-24 2023-01-17 珠海岐微生物科技有限公司 蒲公英及其单体化合物在杀螨中的应用
JP2023522772A (ja) * 2020-04-24 2023-05-31 珠▲海▼岐▲微▼生物科技有限公司 ホコウエイ及びそのモノマー化合物のダニ殺滅への使用
EP4129314A4 (en) * 2020-04-24 2024-01-03 Smilebiotek Guangzhou Ltd USE OF SCALP AND MONOMER COMPOUNDS THEREOF FOR KILLING MI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917B1 (ko)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747B1 (ko) 항균, 항여드름, 피부진정, 보습 및 피지 조절 활성이 우수한 생약 혼합 추출물
KR102037030B1 (ko) 피토실리카(Phytosilica)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8361A (ko) 식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JP2006137690A (ja) 皮膚外用剤および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23792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477397B (zh) 一种制备石斛花提取液的方法及其应用
KR10192608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2100345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06917B1 (ko) 할미꽃, 서양민들레, 국화, 편백나무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낭충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얼굴 세안용 발포성 과립
KR20090059445A (ko) 한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이온/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베시클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모발 성장용 조성물
JP2010222273A (ja) 養毛剤組成物
KR20090107342A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138245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4105498B2 (ja) アトピー性疾患の症状の予防・緩和に有効な組成物
KR102480352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21422A (ko) 아토피와 각종 피부염증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품조성물
JP6061754B2 (ja) ノコギリヤシエキス配合製剤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6150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2088964B1 (ko) 지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40818B1 (ko) 발모촉진용 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101506912B1 (ko) 모과, 레몬밤 또는 오렌지블러썸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08482B1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