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292A - 선박의 장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장비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장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장비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292A
KR20150030292A KR20130108302A KR20130108302A KR20150030292A KR 20150030292 A KR20150030292 A KR 20150030292A KR 20130108302 A KR20130108302 A KR 20130108302A KR 20130108302 A KR20130108302 A KR 20130108302A KR 20150030292 A KR20150030292 A KR 20150030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error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8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구
김성엽
김상준
오형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8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0292A/ko
Publication of KR2015003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내 장비에 장착된 LED 송신기로부터 해당 장비의 에러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장비의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제공받아 신속하게 장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선박의 장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장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내 위치되는 장비의 에러정보별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저장 및 관리하는 장비 관리 서버; 및 상기 장비 관리 서버와 통신 접속을 이루며, 선박내 위치되는 장비의 에러정보를 LED 송신기를 거쳐 수신하고 수신된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상기 장비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의 장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장비 관리 방법{SYSTEM FOR MANAGING EQUIPMENT OF VESSEL AND METHOD FOR MANAGING EQUIPMENT OF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의 장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장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내 장비에 장착된 LED 송신기로부터 해당 장비의 에러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장비의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제공받아 신속하게 장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선박의 장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장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이 복잡하고 정교화되어 필요한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자동화 장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화 장비는 제어기, 센서 등 전자 장비로 구성되어 있다.
자동화 장비는 마킹, 절단 등 생산라인의 자동화로부터 선박의 AMS(Alarm and Monitoring System), BMS((Burner Management System) 그리고 나아가서는 해양 플랫폼의 ICSS(통합 통신 통제 시스템)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생산 뿐만 아니라 프로세스 제어, 상태 감시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자동화 장비는 점점 복잡해지고 있으며, 그에 비례하여 구성되는 전자장비의 개수와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조선해양분야에서 또한 선박에서 플랫폼으로 갈수록 관리해야 할 전자 장비의 종류와 개수가 증가하게 된다. 예를 들면 FPSO의 경우에는 대략 2만개 이상의 자동화 장비(자동 밸브 개폐장치, 센서, 인디케이터 등)가 있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각 장비마다 메뉴얼을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숙련된 작업자가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그 노하우가 전수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해당 작업자의 이직, 은퇴 이후에 동일한 문제가 생기면 그 문제에 대한 해결을 위해 담당 작업자는 다시 새로운 경험을 축적해야 한다.
따라서, 자동화 장비의 문제 발생시 장비에 대한 신속한 문제 해결 메뉴얼 또는 노하우를 제공받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60750호(2013.06.10.)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선박 장비 데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내 장비에 장착된 LED 송신기로부터 해당 장비의 에러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장비의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제공받아 신속하게 장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선박의 장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장비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내 위치되는 장비의 에러정보별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저장 및 관리하는 장비 관리 서버; 및 상기 장비 관리 서버와 통신 접속을 이루며, 선박내 위치되는 장비의 에러정보를 LED 송신기를 거쳐 수신하고 수신된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상기 장비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장비의 에러정보는 에러코드, 장비명, 장비 메이커 및 사내의 장비 등록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LED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장비의 에러정보를 수신하는 LED 수신부; 및 상기 LED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장비의 에러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장비의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상기 장비 관리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장비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제공받아 미리 정해진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장비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장비의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는 다운로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LED 수신부는 상기 다운로드부에 의해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제공된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LED 송신기로부터 가시광 무선 통신 방식으로 송신된 장비의 에러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비에 대한 문제 해결이 이루어진 후 해당 장비의 문제 원인, 증상 및 해결 방법을 포함하는 장비이력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장비이력정보와 해당 장비의 에러정보를 함께 상기 장비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비 관리 서버는 상기 장비의 에러정보별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장비의 에러정보에 대한 해당 장비의 문제 해결 메뉴얼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에러정보에 해당하는 문제 해결 메뉴얼을 검색하고 검색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보여지도록 변환하여 전송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비 관리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장비이력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에러정보와 연관지어 저장 및 관리하는 이력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내 위치되는 장비별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관리하는 장비 관리 서버와, 상기 장비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의 장비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선박내 위치되는 장비의 에러정보를 LED 송신기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수신된 장비의 에러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장비의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상기 장비 관리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장비 관리 서버로부터 장비의 에러정보와 연관지어 저장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제공받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의 장비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비 관리 시스템의 장비 관리 방법은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장비의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제공된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LED 송신기로부터 가시광 무선 통신 방식으로 송신된 장비의 에러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비 관리 시스템의 장비 관리 방법은 상기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해당 장비의 문제 원인, 증상 및 해결방법을 포함하는 장비이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수신된 장비이력정보와 해당 장비의 에러정보를 함께 상기 장비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비 관리 시스템의 장비 관리 방법은 상기 요청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장비 관리 서버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에러정보에 해당하는 문제 해결 메뉴얼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장비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검색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보여지도록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내에 위치하는 장비에 장착되어, 해당 장비의 에러를 나타내는 에러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장비의 에러정보를 LED송신기를 통해 가시광 무선 통신 방식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장비컨트롤러; 선박내 위치하는 장비별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저장 및 관리하는 장비 관리 서버; 및 상기 장비 관리 서버와 통신 접속을 이루며, 선박내 위치되는 장비의 에러정보를 상기 LED 송신기를 거쳐 수신하고 수신된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상기 장비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내 장비에 장착된 LED 송신기로부터 해당 장비의 에러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장비의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제공받아 신속하게 장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비의 문제 해결 이후 장비의 문제 원인, 증상 및 해결방법을 포함하는 장비이력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함에 따라 장비의 문제 해결에 대한 노하우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장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비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장비 관리 시스템의 장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장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비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비 관리 시스템은 장비의 에러정보별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저장 및 관리하는 장비 관리 서버(30)와, 장비 관리 서버(30)와 통신접속을 이루어 선박 내 위치되는 장비의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제공받는 휴대 단말 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선박은 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가지면서 유동이 발생하는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구조물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ffloading)나 Oil FPSO,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해상 플랜트뿐만 아니라 LNG 수송선이나 유조선, LNG RV(LNG Regasification Vessel)와 같은 선박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휴대 단말 장치(20)는 선박내 위치하는 장비에 장착된 장비 컨트롤러(10)에서 자가 진단을 통하여 결정된 장비의 에러정보를 LED 송신기(15)를 거쳐 수신한다.
LED 송신기(15)는 장비 컨트롤러(10)의 제어에 따라 장비의 에러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가시광 무선 통신 방식으로 송신한다. 이러한 LED 송신기(15)는 선박 내의 장비에 설치된다. 해당 장비의 문제 또는 이상 또는 고장을 나타내는 에러정보는 장비 컨트롤러(10)의 자가 진단 또는 외부의 진단을 통해 결정된다.
이와 같은 장비 컨트롤러(10)는 해당 장비의 에러정보를 광원으로 표현할 수 있는 송신신호를 생성하여 LED 송신기(15)를 거쳐 송신되도록 제어한다.
장비의 에러정보는 에러코드, 장비명, 장비 메이커 및 사내의 장비 등록코드 등을 포함한다.
휴대 단말 장치(20)는 LED 송신기(15)를 거쳐 수신된 장비의 에러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장비의 에러정보 중 사내의 장비 등록 코드, 또는 에러코드, 장비명 및 장비 메이커를 장비 관리 서버(30)에 전송하여 장비 관리 서버(30)로부터 검색된 해당 장비의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제공받아 표시한다.
휴대 단말 장치(20)와 장비 관리 서버(30)는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선박 내 작업 위치에서 즉각적인 장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휴대 단말 장치(20)와 장비 관리 서버(30)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 장치(20)는 LED 수신부(21) 및 제어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LED 송신부(15)로부터 송신된 에러정보는 휴대 단말 장치(20)에 구비된 LED 수신부(21)를 통하여 수신된다. LED 수신기(21)는 카메라일 수 있다.
제어부(22)는 LED 수신기(21)로부터 수신된 장비의 에러정보를 분석하여 어떤 장비의 에러인지를 나타내는 장비의 에러코드, 장비명, 장비 메이커 및 사내의 장비 등록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장비 관리 서버(30)에 검색 요청하여 장비이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제공받아 화면상에 표시한다.
더 자세하게 제어부(22)는 다운로드부(221), 분석부(222), 요청부(223), 표시처리부(224) 및 이력정보 전송부(225) 등을 포함한다.
다운로드부(221)는 장비의 에러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장비의 문제 해결 매뉴얼을 제공받기 위한 미리 프로그램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장비 관리 서버(30)로부터 다운로드받는다.
LED 수신부(21)는 다운로드부(221)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제공된 화면에 표시되는 LED 송신기(15)로부터 가시광 무선 통신 방식으로 송신된 장비의 에러정보를 획득한다.
분석부(222)는 LED 수신부(21)를 통해 수신된 장비의 에러정보, 즉 영상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영상의 패턴별로 장비의 에러정보가 정해져 있는 경우, 분석부(222)는 LED 수신부(21)로부터 수신된 영상의 패턴을 분석하여 장비의 에러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요청부(223)는 분석부(222)를 통해 분석된 장비의 에러정보 중 사내의 장비 등록 코드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장비 관리 서버(30)에 요청하거나 장비의 에러정보 중 에러코드, 장비명 및 장비 메이커를 장비 관리 서버(30)에 요청한다. 이때 요청부(223)는 장비의 에러정보와 함께 휴대 단말 장치(20)의 단말정보도 함께 장비 관리 서버(30)에 전송한다. 여기서는 장비 관리 서버(30)에 휴대 단말 장치(20)의 단말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IP 주소 등 휴대 단말 장치(20)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라면 가능하다.
표시처리부(224)는 요청부(223)에 의해 요청된 장비의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제공받되, 장비의 에러정보와 연관지어 저장된 장비이력정보가 존재하면 장비이력정보도 함께 장비 관리 서버(30)로부터 제공받아 화면상에 표시한다. 장비 관리 서버(30)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장비 관리 서버(30)로부터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제공받은 후 장비에 대한 문제가 해결되면 이력정보 전송부(225)는 휴대 단말 장치(20)로부터 장비의 문제 원인, 증상 및 해결방법을 포함하는 장비이력정보와 장비의 에러정보를 수신하여 장비 관리 서버(3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장비의 문제에 대하여 문제 해결 메뉴얼을 통하여 장비의 문제 해결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이 이루어지면 장비이력정보와 장비의 에러정보를 함께 관리하여 선박내 장비에 대한 노하우를 작업자들이 공유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장비 관리 서버(30)는 수신부(31), 검색부(32), 정보제공부(33), 이력정보 관리부(34) 및 데이터베이스(35) 등을 포함한다.
수신부(31)는 휴대 단말 장치(10)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해 장비의 에러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수신부(31)는 휴대 단말 장치(10)로부터 사내의 장비 등록 코드만을 수신하거나 또는 에러코드, 장비명 및 장비 메이커만을 수신할 수도 있다.
검색부(32)는 데이터베이스(35)를 참조하여 수신부(31)에 의해 수신된 장비의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검색한다. 데이터베이스(35)는 장비의 에러정보별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35)에는 장비이력정보를 장비의 에러정보와 연관지어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문제 해결 메뉴얼과 장비이력정보를 함께 저장 및 관리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문제 해결 메뉴얼과 장비이력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정보 제공부(33)는 검색부(32)에 의해 검색된 문제 해결 메뉴얼을 휴대 단말 장치(20)의 사양 또는 규격에 맞게 변환하여 변환된 정보를 제공한다.
휴대 단말 장치(20)는 정보 제공부(33)로부터 제공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참고하여 장비의 문제가 해결된 경우 장비의 문제 원인, 증상 및 해결방법을 포함하는 장비이력정보를 입력받는다. 장비이력정보는 휴대 단말 장치(20)에 구비된 입력수단, 예를 들며 키패드 또는 터치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이력정보 관리부(34)는 휴대 단말 장치(20)로부터 수신된 장비이력정보를 장비의 에러정보와 연관지어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 및 관리된다. 장비이력정보는 장비의 에러정보와 연관지어 저장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장비의 에러정보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면 문제 해결 메뉴얼과 함께 장비이력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장비이력정보는 작업자가 장비의 문제해결시 발견한 노하우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장비 관리 시스템의 장비 관리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비 관리 시스템의 장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 장치(20)에 포함된 제어부(22)는 선박 내 장비에 장착된 LED 송신기(15)로부터 송신된 장비의 에러정보를 수신한다(S11). 장비의 에러정보는 장비 컨트롤러(10)에 구비된 LED 송신기(15)로부터 송신된다. 장비 컨트롤러(10)는 자가 진단 또는 외부 진단을 통해 장비의 에러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그 판단결과 장비의 어떤 에러인지를 결정하여 결정된 장비의 에러정보를 나타내는 송신신호를 LED 송신기(15)를 통해 송신한다.
상술된 S11 단계 이전에 장비 관리 서버(30)와 통신 접속을 이룬 휴대 단말 장치(20)의 제어부(22)는 장비의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고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제공된 화면을 통하여 장비의 에러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LED 수신부(21)는 휴대 단말 장치(20)에 구비된 카메라로, 카메라를 통하여 LED 송신기(15)로부터 가시광 무선 통신 방식으로 송신된 송신신호, 즉 장비의 에러정보를 나타내는 영상을 획득한다.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은 제어부(22)에 전달된다.
제어부(22)는 LED 수신부(21)를 거쳐 수신된 장비의 에러정보를 분석한다(S13). 여기서 제어부(22)는 LED 수신부(21)를 거쳐 수신된 영상의 분석을 통해 수신된 영상이 내포하는 장비의 에러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22)는 장비의 에러정보에 대한 장비 문제 해결 메뉴얼의 검색을 장비 관리 서버(30)에 요청한다(S15). 장비 관리 서버(30)는 장비의 에러정보별 장비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35)를 참조하여 요청된 장비의 에러정보에 대한 장비 문제 해결 메뉴얼을 검색한다. 또한 장비 관리 서버(30)는 장비의 문제 원인, 증상 및 해결방법을 포함하는 장비이력정보가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 이에 따라 장비 관리 서버(30)는 장비의 에러정보에 연관지어 저장된 정보, 문제 해결 메뉴얼, 또는 장비이력정보, 또는 문제 해결 메뉴얼 및 장비이력정보를 휴대 단말 장치(20)에 제공한다.
제어부(22)는 장비 관리 서버(30)로부터 장비의 에러정보에 연관지어 저장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제공받아 화면상에 표시한다(S17). 이에 따라 장비의 문제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는 문제 해결 메뉴얼만 제공받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장비의 에러정보와 연관지어 장비이력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장비이력정보도 함께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때 문제 해결 메뉴얼과 장비이력정보는 미리 정의된 화면내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장비이력정보를 먼저 표시하고 문제 해결 메뉴얼을 표시하거나 또는 문제 해결 메뉴얼을 먼저 표시한 후에 장비이력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후 제어부(22)는 장비이력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9).
상기 S19 단계의 판단결과 장비이력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2)는 소정시간 대기상태를 유지하다가 어플리케이션의 종료가 선택되면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상기 S19 단계의 판단결과 장비이력정보가 수신된 경우 휴대 단말 장치(20)는 장비이력정보와 해당 장비의 에러정보를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되도록 장비 관리 서버(30)에 전송한다(S21). 이와 같이 문제를 해결한 다음에 장비이력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장비의 문제 해결에 따른 노하우를 관리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0 : 장비 컨트롤러 11 : LED 송신기
20 : 휴대 단말 장치 21 : LED 수신부
22 : 제어부 221 : 다운로드부
222 : 분석부 223 : 요청부
224 : 표시처리부 225 : 이력정보 전송부
30 : 장비 관리 서버 31 : 수신부
32 : 검색부 33 : 정보 제공부
34 : 이력정보 관리부 35 : 데이터베이스

Claims (12)

  1. 선박내 위치되는 장비의 에러정보별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저장 및 관리하는 장비 관리 서버; 및
    상기 장비 관리 서버와 통신 접속을 이루며, 선박내 위치되는 장비의 에러정보를 LED 송신기를 거쳐 수신하고 수신된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상기 장비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비의 에러정보는 에러코드, 장비명, 장비 메이커 및 사내의 장비 등록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LED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장비의 에러정보를 수신하는 LED 수신부; 및
    상기 LED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장비의 에러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장비의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상기 장비 관리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장비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제공받아 미리 정해진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장비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장비의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는 다운로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LED 수신부는 상기 다운로드부에 의해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제공된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LED 송신기로부터 가시광 무선 통신 방식으로 송신된 장비의 에러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비에 대한 문제 해결이 이루어진 후 해당 장비의 문제 원인, 증상 및 해결 방법을 포함하는 장비이력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장비이력정보와 해당 장비의 에러정보를 함께 상기 장비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비 관리 서버는
    상기 장비의 에러정보별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장비의 에러정보에 대한 해당 장비의 문제 해결 메뉴얼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에러정보에 해당하는 문제 해결 메뉴얼을 검색하고 검색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보여지도록 변환하여 전송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장비 관리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장비이력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에러정보와 연관지어 저장 및 관리하는 이력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8. 선박내 위치되는 장비별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관리하는 장비 관리 서버와, 상기 장비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의 장비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선박내 위치되는 장비의 에러정보를 LED 송신기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수신된 장비의 에러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장비의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상기 장비 관리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장비 관리 서버로부터 장비의 에러정보와 연관지어 저장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제공받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의 장비 관리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장비의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제공된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LED 송신기로부터 가시광 무선 통신 방식으로 송신된 장비의 에러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의 장비 관리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해당 장비의 문제 원인, 증상 및 해결방법을 포함하는 장비이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수신된 장비이력정보와 해당 장비의 에러정보를 함께 상기 장비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의 장비 관리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장비 관리 서버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에러정보에 해당하는 문제 해결 메뉴얼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장비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검색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보여지도록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의 장비 관리 방법.
  12. 선박내에 위치하는 장비에 장착되어, 해당 장비의 에러를 나타내는 에러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장비의 에러정보를 LED송신기를 통해 가시광 무선 통신 방식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장비컨트롤러;
    선박내 위치하는 장비별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저장 및 관리하는 장비 관리 서버; 및
    상기 장비 관리 서버와 통신 접속을 이루며, 선박내 위치되는 장비의 에러정보를 상기 LED 송신기를 거쳐 수신하고 수신된 에러정보에 대한 문제 해결 메뉴얼을 상기 장비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KR20130108302A 2013-09-10 2013-09-10 선박의 장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장비 관리 방법 KR20150030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302A KR20150030292A (ko) 2013-09-10 2013-09-10 선박의 장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장비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302A KR20150030292A (ko) 2013-09-10 2013-09-10 선박의 장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장비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292A true KR20150030292A (ko) 2015-03-20

Family

ID=5302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8302A KR20150030292A (ko) 2013-09-10 2013-09-10 선박의 장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장비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02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501A (ko) * 2017-04-13 2018-10-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55990A (ko) 2017-11-16 2019-05-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Edr 장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501A (ko) * 2017-04-13 2018-10-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55990A (ko) 2017-11-16 2019-05-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Edr 장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1601B2 (ja) 統合資産保全性管理システム
US10096003B2 (e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for knowledge based maintenance
US10409268B2 (en) Field device management system
CN108141649B (zh) 通信适配器
GB2586192A (en) Context sensitive mobile control in a process plant
US20140136911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and recording mediums using the same
US10593086B2 (en) Augmented reality light beacon
EP30762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devices in an industrial automation environment
GB25139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mobile control device in a process plant
JP2004062675A (ja) 移動機械の部品情報管理システム、移動機械の部品情報管理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20150030292A (ko) 선박의 장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장비 관리 방법
US20160011578A1 (en) Engineering tool
KR101849512B1 (ko) 관리 시스템
US20230243689A1 (en) Tank level sensor and management system
JP2007241598A (ja) 現場保守支援システム、および現場保守支援方法
KR20150030842A (ko) 선박의 케이블 설치 작업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5183966A (ja) 給湯システム
KR20150129337A (ko) 맞춤형 시설물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관리방법
KR20150080052A (ko) 지그비 통신에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선박의 장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3187737A (ja) 分析装置用携帯端末及びそれを用いた分析システム
EP2963629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xt sensitive help for alarm system installation
JP2017181314A (ja) 変位計の測定結果を表示するプログラムおよび変位計
JP2010190687A (ja) 管理装置および管理システム
US20180101189A1 (en) Integrated wireless display and remote configuration transmitter
KR101997399B1 (ko) 발전설비용 주제어카드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