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887A -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 - Google Patents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887A
KR20150029887A KR20130108863A KR20130108863A KR20150029887A KR 20150029887 A KR20150029887 A KR 20150029887A KR 20130108863 A KR20130108863 A KR 20130108863A KR 20130108863 A KR20130108863 A KR 20130108863A KR 20150029887 A KR20150029887 A KR 20150029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group
laser pointing
laser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8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6795B1 (ko
Inventor
이정은
유병묵
임거산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8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795B1/ko
Priority to PCT/KR2014/008307 priority patent/WO2015037870A1/ko
Publication of KR20150029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G06F1/1609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to support filters or len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2011/0009Roller-band displays
    • G09F2011/0027Roller-band displays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표시장치의 시인측 표면 전방에 설치되며, 광 루미네선스층이 형성된 투명 기재를 포함하는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는 레이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에 포인팅하는 경우에 설치하여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미사용시에는 탈착하여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 {Laser Poin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에 포인팅하는 경우에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의 전방에 설치되는 광 루미네선스층을 포함하는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의나 발표회 등에서의 프레젠테이션에서는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자료 화상을 스크린이나 벽에 투영하는 것이 많이 행해져 왔다. 이때, 발표자는 프레젠테이션 화상 상의 어느 장소에 레이저광을 투사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여, 스크린 등을 가리키면서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프로젝터를 사용한 스크린 투영의 경우, 투영되는 화상에 있어서는, 콘트라스트가 저하되거나 화질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가 70 인치를 초과하는 대형화가 진행되고 있어, 프로젝터 투영이 아니라, 이들 디스플레이 자체에 직접 화상을 표시하게 하여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에 의한 직접 표시로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하는 경우, 디스플레이가 자발광이기 때문에, 레이저 포인터에 의한 레이저광 투사가 잘 보이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자체의 표시 품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표면에 있어서의 방현성이 향상되면, 레이저 포인터의 투사광의 반사도 억제되기 때문에,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최근에는 일본 공개특허 제2001-23618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상에서 화면 지시 조작을 행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로서 사용할 가능성도 있어, 그 시인성은 더욱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1-23618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목적은 레이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에 포인팅하는 경우에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의 전방에 설치되는 광 루미네선스층을 포함하는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광 루미네선스층이 형성된 투명 기재를 포함하는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는 광 루미네선스층이 형성된 투명 필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는 광 루미네선스층이 형성된 투명 플렉서블 필름을 롤러 부재의 주위에 감아서 형성되는 롤 스크린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는 광 루미네선스층이 형성된 투명 필름 및 상기 투명 필름이 점착제를 통해 부착된 투명 기판을 포함하는 투명 플레이트이다.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는 디스플레이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광 루미네선스층을 포함하여, 레이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에 포인팅하는 경우에 설치하여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미사용시에는 탈착하여 보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의 실시형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는 광 루미네선스층이 형성된 투명 기재를 포함한다.
상기 광 루미네선스층은 광 루미네선스 물질을 포함하여 광에 의한 자극으로 발광하므로, 레이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에 포인팅하는 경우에 레이저 포인터의 빛에 의해 해당 부위가 발광하여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는 화상표시장치의 시인측 표면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광 루미네선스층은 광 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 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은 광 루미네선스 물질, 투광성 수지, 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광 루미네선스 물질이란 빛에 의해 자극 받아 스스로 빛을 내는 물질을 말한다.
상기 광 루미네선스 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광 루미네선스 안료, 광 루미네선스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 루미네선스 안료는 예를 들면 유기형광안료, 무기형광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 루미네선스 염료는 예를 들면 스틸벤 유도체계 염료, 이미다졸 유도체계 염료, 벤조이미다졸계 염료, 쿠마린 유도체계 염료, 벤지딘계 염료, 벤조자졸계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쿠마린 유도체계 염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쿠마린 7, 쿠마린 102, 쿠마린 152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 루미네선스 안료 및 염료는 고상, 액상, 파우더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파우더일 수 있다.
광 루미네선스 파우더는 예를 들면 란타나이드 복합체, 유기형광체, 무기형광체, 광루미네선스 양자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란타나이드 복합체는 란타나이드계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로서, 란타나이드계 금속 원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유로피움, 터비움, 디스프로시움, 사마리움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로피움일 수 있다. 상기 유로피움 복합체로는, 예를 들면 트리스(다이벤조일메탄)모노(1,10-페난트롤린)유로피움(III)(이하, Eu(DBM)3Phen), 트리스(다이나프틸메탄)모노(1,10-페난트롤린)유로피움(III)(이하, Eu(DNM)3Phen), BaMgAl10O17:Eu,Mn, Sr10(PO4)6Cl2:Eu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광 루미네선스 물질은 다중방향족 탄화수소(polyaromatic hydrocarbon) 또는 헤테로시클릭 화합물이다.
상기 다중방향족 탄화수소의 구체적인 예로는, 나프탈렌(naphthalene), 안트라센(anthracene), 나프타센(naphthacene), 펜타센(pentacene), 페릴렌(perylene), 테릴렌(terrylene), 쿼터릴렌(quaterrylene), 페난트렌(phenanthrene), 피렌(pyrene)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헤테로시클릭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피리딘(pyridine), 퀴놀린(quinoline), 아크리딘(acridine), 인돌(indole), 트립토판(tryptophan), 카바졸(carbazole), 디벤조푸란(dibenzofuran), 디벤조티오펜(dibenzothiophen), 쿠마린(coumarin), 잔텐(xanthene), 로다민(rhodamine), 피로닌(pyronine), 플루오레세인(fluoresein), 에오신(eosin) Y, 에리트로신(erythrosine) Y, 옥사진(oxazine)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중방향족 탄화수소 및 헤테로시클릭 화합물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수소가 C1-C5의 알킬기, C2-C6의 알케닐기, C2-C6의 알키닐기, C3-C10의 시클로알킬기, C3-C1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C3-C10의 헤테로시클로알킬옥시, C1-C5의 할로알킬기, C1-C5의 알콕시기, C1-C5의 티오알콕시기, 아릴기, 아실기, 히드록시, 티오(thio), 할로겐, 아미노, 알콕시카보닐, 카복시, 카바모일, 시아노, 니트로 등으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광 루미네선스 물질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쿠마린 유도체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수소, 히드록시 또는 NR6R7이고,
R2는 수소, C1-C6의 알킬기, 또는 C1-C5의 할로알킬기이며,
R3은 수소, COOR8, COR9, 또는 아릴기이고,
R4는 수소, C1-C6의 알킬기, 또는 C1-C5의 할로알킬기이며,
R5는 수소, C1-C6의 알킬기, C1-C5의 할로알킬기, COOR8, COR9, 또는 아릴기이고,
R6, R7,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의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광 루미네선스 물질은 하기 화학식 3, 화학식 4 또는 화학식 5의 벤조자졸 유도체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화학식 4]
Figure pat00004
[화학식 5]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C1-C6의 알킬기이고,
R2는 수소, C1-C6의 알킬기, C3-C10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아릴기, CONHNHCOOR7 또는 COR7이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L은 아릴기 또는 C1-C6의 알킬기이며,
R5는 수소 또는 C1-C6의 알킬기이고,
R6은 수소 또는 PO(OR8)2이며,
X는 산소, 질소 또는 황이고,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C1-C6의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6개로 구성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n-펜틸, n-헥실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C3-C10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는 탄소수 3 내지 10개로 구성된 단순 또는 융합 고리형 탄화수소의 환 탄소 중 하나 이상이 산소, 황 또는 질소로 치환된 작용기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티아졸리디닐, 옥시라닐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C1-C5의 할로알킬기는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트리플로오로메틸, 트리클로로메틸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아릴기는 아로메틱기와 헤테로아로메틱기 및 그들의 부분적으로 환원된 유도체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아로메틱기는 5 내지 15각형으로 이루어진 단순 또는 융합 고리형이며, 헤테로아로메틱기는 산소, 황 또는 질소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아로메틱기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아릴기의 예로는 벤즈이미다졸릴(benzimidazolyl), 벤즈옥사졸릴(benzoxazoyl), 벤조티아졸릴(benzothiazolyl), 나프탈렌, 스틸벤, 티오펜, 피리딘, 쿠마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1-C6의 알킬기, C3-C10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C1-C5의 할로알킬기 및 아릴기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수소가 C1-C5의 알킬기, C2-C6의 알케닐기, C2-C6의 알키닐기, C3-C10의 시클로알킬기, C3-C1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C3-C10의 헤테로시클로알킬옥시, C1-C5의 할로알킬기, C1-C5의 알콕시기, C1-C5의 티오알콕시기, 아릴기, 아실기, 히드록시, 티오(thio), 할로겐, 아미노, 알콕시카보닐, 카복시, 카바모일, 시아노, 니트로 등으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광 루미네선스 물질의 최대 여기 파장은 레이저 포인터의 레이저 빛의 파장과 관련되며, 100nm 내지 45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빛의 파장이 100nm 미만이면, X선 영역의 광원이므로 광원이 인체에 노출되었을 경우 인체에 유해한 문제가 있으며, 450nm를 초과하면 가시광선 영역의 광원이므로 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오는 백라이트 빛으로도 발광이 발생하여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최대 여기 파장은 여기광의 파장을 변화시키면서 측정한 형광 스펙트럼에서 형광 강도가 가장 큰 값이 되는 여기광의 파장을 의미한다.
상기 광 루미네선스 물질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광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9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5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광 루미네선스 물질의 함량이 0.01 내지 90중량부인 경우, 충분한 광 루미네선스 효과를 낼 수 있으며, 그 외 성분이 적정 함량으로 포함되어 적정의 경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수지는 광경화형 수지일 수 있으며, 상기 광경화형 수지는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또는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예를 들면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분자 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촉매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자 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개환 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1,4-디이소시아나토부탄,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8-디이소시아나토옥탄, 1,12-디이소시아나토도데칸, 1,5-디이소시아나토-2-메틸펜탄, 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트랜스-1,4-시클로헥센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6-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메틸-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2,6-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4,4'-옥시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되는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탄프로판올어덕트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광경화형 관능기로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의 불포화 기를 분자 내에 갖는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네오펜틸글리콜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1,2,4-시클로헥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헥사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네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예시한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광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수지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경도 향상을 도모하기 어렵고, 8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컬링이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개시제는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로는, 구체적으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온-1, 디페닐케톤 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2-메틸-1-페닐-1-온, 4-히드록시시클로페닐케톤, 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안트라퀴논,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크놀로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광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경화 속도가 늦고,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경화로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제는 알코올계(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메틸셀루소브, 에틸솔루소브 등), 아세테이트계(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메톡시펜틸아세테이트 등), 케톤계(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헥산계(헥산, 헵탄, 옥탄 등), 벤젠계(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용제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광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95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제가 상기 기준으로 10중량부 미만이면 점도가 높아 작업성이 떨어지고, 9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화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루미네센스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성분 외에도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경화제, 레벨링제, 밀착 촉진제, 산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 강도 보강용 나노 실리카, 무기 나노입자 및 포스(폴리헤드럴 올리고머릭 실세스퀴옥산); 대전 방지용 전도성 고분자, 나노입자 및 이온성액체; 방현성 부여용 유기 입자, 무기 입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기재는 투명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잘 볼 수 있도록 하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는 소재가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 아크릴판(acrylic panel),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AP,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고 경화하여 광 루미네선스층을 형성할 수 있는데, 경화에 앞서 필요에 따라 건조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기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파운틴 코팅법, 다이 코팅법, 스핀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팅법, 바 코팅법 등이 있다.
건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자연 건조, 열풍 건조, 가열 건조 등의 방법에 의할 수 있다.
경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 전리 방사선 경화 등의 방법에 의할 수 있다. 그 수단에는 각종 활성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자외선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에너지선원으로는, 예를 들어 고압 수은 램프,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질소 레이저, 전자선 가속 장치, 방사성 원소 등이 바람직하다. 에너지선원의 조사량은, 자외선 A영역에서의 적산 노광량으로서 50 내지 5000mJ/㎠가 바람직하다. 조사량이 50mJ/㎠ 이상이면 경화가 보다 충분해져, 형성되는 광 루미네선스층의 경도가 보다 충분한 것이 된다. 또한, 5000mJ/㎠ 이하이면, 형성되는 광 루미네선스층의 착색을 방지할 수 있어,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의 실시형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는 광 루미네선스층이 형성된 투명 필름(100)이다,
상기 투명 필름(100)은 화상표시장치(200)의 시인측 표면 전방에서 화상표시장치(200)의 시인측 표면에 부착되어 전방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포인팅을 시인할 수 있도록 설치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는 광 루미네선스층이 형성된 투명 플렉서블 필름(320)을 롤러 부재(310)의 주위에 감아서 형성되는 롤 스크린(300)이다,
상기 롤러 부재(310)는 화상표시장치(200)의 시인측 표면 전방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광 루미네선스층이 형성된 투명 플렉서블 필름(320)은 상기 롤러 부재(310)의 권회 방향에 따라서 화상표시장치(200)의 시인측 표면 전방을 커버하여 전방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포인팅을 시인할 수 있도록 설치되거나, 화상표시장치(200)의 시인측 표면 상부에 수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는 광 루미네선스층이 형성된 투명 필름(410) 및 상기 투명 필름이 점착제(420)를 통해 부착된 투명 기판(430)을 포함하는 투명 플레이트(400)이다.
상기 투명 플레이트(400)은 화상표시장치(200)의 시인측 표면 전방에서 화상표시장치의 시인측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며, 점착제, 테이프, 후크, 나사 등 다양한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제조예 1: 광 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14중량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SC2153) 14중량부, 3um 무정형 실리카 2중량부. 광 루미네선스 물질(Eu(DBM)3Phen) 0.5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 33.5중량부, 부틸아세테이트 33.5중량부, 광개시제(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중량부 및 레벨링제(BYK3530) 0.5중량부를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광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광루미네센스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광 루미네선스 물질로 쿠마린 15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광루미네센스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광 루미네선스 물질로 7-아미노-4-메틸쿠마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광루미네센스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광 루미네선스 물질로 1,4-비스(2-벤조자조릴)나프탈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투명 필름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내지 4에서 수득한 광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을 각각 두께 40um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우스 필름 상에 코팅한 후, 70℃에서 2분간 건조시켰다. 건조된 필름에 적산광량 400mJ/cm2로 UV를 조사하여 광루미네선스층을 형성하여 투명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8: 롤 스크린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수득한 투명 필름을 롤러 부재의 주위에 감아 롤 스크린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12: 투명 플레이트의 제조
유리 기판에 점착제(NCF)를 도포하고 실시예 1 내지 4에서 수득한 투명 필름을 접착하여 투명 플레이트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레이져 포인터 시인성 평가
실시예 1에서 내지 12에서 수득한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를 디스플레이에 설치한 후, 디스플레이를 화이트 모드로 전환하고, 405nm 레이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에 60도 각도에서 비추었을 때, 디스플레이 정면에서 레이져 포인터의 시인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에서 내지 12에서 수득한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가 설치된 경우에, 레이저 포인터의 빛이 밝게 인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410 : 투명 필름 200 : 화상표시장치
320 : 투명 플렉서블 필름 310 : 롤러 부재
300 : 롤 스크린 420 : 점착제
430 : 투명 기판 400: 투명 플레이트

Claims (7)

  1. 광 루미네선스층이 형성된 투명 기재를 포함하는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화상표시장치의 시인측 표면 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광 루미네선스층이 광 루미네선스 물질, 투광성 수지, 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광 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광 루미네선스 물질의 최대 여기 파장이 100nm 내지 45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광 루미네선스층이 형성된 투명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광 루미네선스층이 형성된 투명 플렉서블 필름을 롤러 부재의 주위에 감아서 형성되는 롤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광 루미네선스층이 형성된 투명 필름 및 상기 투명 필름이 점착제를 통해 부착된 투명 기판을 포함하는 투명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
KR1020130108863A 2013-09-11 2013-09-11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 KR101856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863A KR101856795B1 (ko) 2013-09-11 2013-09-11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
PCT/KR2014/008307 WO2015037870A1 (ko) 2013-09-11 2014-09-04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863A KR101856795B1 (ko) 2013-09-11 2013-09-11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887A true KR20150029887A (ko) 2015-03-19
KR101856795B1 KR101856795B1 (ko) 2018-05-10

Family

ID=5266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863A KR101856795B1 (ko) 2013-09-11 2013-09-11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6795B1 (ko)
WO (1) WO201503787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837B1 (ko) * 2016-01-21 2018-06-1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포인팅 표시장치
KR20180087959A (ko) * 2017-01-26 2018-08-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감응성 발광 조성물
KR20190062314A (ko) * 2017-11-28 2019-06-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5057A (ja) * 2008-02-29 2009-09-10 Fuji Xerox Co Ltd レーザ光投射装置
JP5005601B2 (ja) * 2008-03-31 2012-08-22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大型の液晶表示装置用レーザ・ポインティング装置
US8456092B2 (en) * 2008-09-05 2013-06-04 Ketra, Inc. Broad spectrum light source calibra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1643376B1 (ko) * 2010-04-02 201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센서를 이용한 리모트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리모트 터치 스크린 장치
KR101303411B1 (ko) * 2011-10-10 2013-09-05 (주)엘지하우시스 배면 투사 스크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837B1 (ko) * 2016-01-21 2018-06-1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포인팅 표시장치
KR20180087959A (ko) * 2017-01-26 2018-08-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감응성 발광 조성물
KR20190062314A (ko) * 2017-11-28 2019-06-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7870A1 (ko) 2015-03-19
KR101856795B1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171B1 (ko) 저반사 광학 적층체
KR102342178B1 (ko) 경화성 조성물
JP2016526174A (ja) 光学積層体
KR102431437B1 (ko) 컬러필터, 컬러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KR20150024548A (ko)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KR101856795B1 (ko)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
JP6816067B2 (ja)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これを含む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KR20140127675A (ko) 광학 적층체
JP2017021346A (ja) 硬化性組成物、硬化膜、ベゼル及び表示装置
KR20150045082A (ko) 광학 필름
KR20150109853A (ko) 광 루미네선스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 루미네선스 필름
TWI534534B (zh) 彩色濾光片用著色組成物、彩色濾光片及顯示元件
JP2024054869A (ja) 感光性組成物
JP7406983B2 (ja) 組成物および表示装置
KR102419207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화상표시장치
KR20150109854A (ko) 광 루미네선스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 루미네선스 필름
KR101788563B1 (ko) 패턴화 리타더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KR20150024549A (ko) 광 루미네선스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 루미네선스 필름
KR20150024547A (ko) 광 루미네선스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 루미네선스 필름
KR102433073B1 (ko) 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화상표시장치
KR20150086663A (ko) 광학 필름
CN111095104B (zh) 感光性着色组合物、固化物、黑色矩阵及图像显示装置
CN108807700B (zh) 透明显示膜
JP7401549B2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用ウィンドウフィルム
KR102297066B1 (ko) 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화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