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659A -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659A
KR20150029659A KR20150009311A KR20150009311A KR20150029659A KR 20150029659 A KR20150029659 A KR 20150029659A KR 20150009311 A KR20150009311 A KR 20150009311A KR 20150009311 A KR20150009311 A KR 20150009311A KR 20150029659 A KR20150029659 A KR 20150029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control unit
lock
pad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09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7703B1 (ko
Inventor
유영배
Original Assignee
유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배 filed Critical 유영배
Priority to KR1020150009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703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5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유모차의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작옹하고, 유모차를 끄는 보호자가 손잡이를 잡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브레이크가 자동 해제되어 이동이 가능하게 제어됨으로써 보호자가 유모차를 끄는 과정에서 유모차를 놓침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Baby Carriage Brake System}
본 발명은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유모차의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작옹하고, 유모차를 끄는 보호자가 손잡이를 잡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브레이크가 자동 해제되어 이동이 가능하게 제어됨으로써 보호자가 유모차를 끄는 과정에서 유모차를 놓침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보행이 어려운 영유아가 탑승하여 이동하는 수단으로 보호자가 뒤에서 유모차를 밀면서 이동하게 된다.
종래의 유모차는 내리막길이나 이동 중 장애물이 있는 경우 또는 내리막길에서 유모차를 잠시 세워두는 경우 유모차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브레이크가 장착된 유모차가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자전거 브레이크와 같이 보호자가 발이나 손을 이용하여 별도로 브레이크를 잠그는 경우에만 브레이크가 작동하기 때문에 내리막길 이동시 보호자가 갑작스럽게 유모차를 놓친 경우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이므로 멈추지 않고 이동하여 유모차에 탑승한 영유아에게 심각한 피해를 유발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자가 유모차의 손잡이를 잡지 않은 상태에서는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작동하고, 보호자가 유모차의 손잡이를 잡은 경우에만 이를 감지하여 브레이크가 자동 해제되어 이동이 가능하게 제어됨으로써 보호자가 유모차를 놓칠 경우 바로 브레이크가 동작하기 때문에 유모차를 놓침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유모차 바퀴에 형성된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브레이크는 평상시 잠금 상태로 있다가 보호자가 유모차 손잡이를 잡을 경우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병에 따른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보호자가 유모차의 손잡이를 잡지 않은 상태에서는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작동하고, 보호자가 유모차의 손잡이를 잡은 경우에만 이를 감지하여 브레이크가 자동 해제되어 이동이 가능하게 제어됨으로써 보호자가 유모차를 놓칠 경우 바로 브레이크가 동작하기 때문에 유모차를 놓침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브레이크 잠금 또는 해제에 따른 동작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도, 도 6은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속도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유모차 바퀴에 형성된 브레이크(20)와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10)는 보호자가 수동적으로 브레이크 해제 및 잠금을 제어하는 스위칭 부재(120)와 일단이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위칭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부재에 작용한 힘을 전달하여 브레이크에 전달하는 연결부재(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스위칭 부재(120)를 잡지 않은 상태에서는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있다가 상기 스위칭 부재(120)를 잡아 당긴 경우에만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 해제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 부재(120)를 잡은 상태로 이동해야만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로 유모차가 이동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브레이크 잠금 또는 해제에 따른 동작도이다.
유모차는 제조사에 따라 형상이나 구조가 상이하지만 손잡이와 바퀴의 이동축이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라는 점에서 본 발명은 모든 유모차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유모차 바퀴에 형성된 브레이크(20)와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브레이크(20)는 평상시 잠금 상태로 있다가 보호자가 유모차 손잡이를 잡을 경우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10)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손잡이를 자연스럽게 잡는 힘으로 브레이크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일반 보호자가 손잡이에 손을 자연스럽게 올렸을 때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여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10)는 보호자가 손잡이를 잡았음을 감지하는 스위칭 부재(120)와 일단이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위칭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부재에 작용한 힘을 분배하여 브레이크에 전달하는 연결부재(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 부재(120)와 연결부재(110)는 일체 또는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보호자가 유모차를 이동시키기 위해 손잡이를 편안하게 잡았을 때 일반적으로 약 3cm 정도의 변위가 발생하며, 상기 스위칭 부재(120)는 상기 변위를 분배하여 브레이크에 전달시키기 위해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힘을 브레이크에 전달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칭 부재(120)는 힘을 배분하는 받침점이 형성되어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되, 손잡이 부분에서 이어지는 제 1 부분(A)과 나머지 제 2 부분(B) 사이의 거리의 비를 조절하여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부재에서 가해지는 변위가 3cm 인 경우 브레이크에는 3mm의 변위만으로 브레이크를 동작시킬 수 있는 경우 제 1 부분과 나머지 제 2 부분 사이의 거리의 비가 10 : 1이 되도록 받침점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를 잡는 작은 힘에 의해 브레이크가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10)는 유모차 중심 축으로부터 바퀴 방향으로 연장되어 브레이크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110)는 스위칭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부재(120)와 연결 부재(110)는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위칭 부재(120)는 지렛대 원리를 구현하기 위해 강성의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연결 부재(110)는 스위칭 부재와 동일한 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지만,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케이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브레이크(20)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바퀴를 가압하거나 해제하여 브레이크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패드부(220)와 상기 패드의 개방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전달된 힘에 따라 상기 패드부를 동작시키는 브레이크 제어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드부(220)는 바퀴 축과 결합된 드럼과 접촉되거나 이격되어 브레이크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패드(221)와 상기 패드를 일체로 감싸고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개방된 패드 제어부(222)와 상기 패드 제어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210)는 상기 패드 제어부의 개방된 타단에 삽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의 편심영역에 연결부재(110)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210)는 장변과 단변을 가지는 대략 타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대략 타원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회동에 따라 개방부의 면적을 증가시켜 패드(221)를 드럼으로부터 이격시켜 브레이크를 해제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110)에 힘이 전달되면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를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브레이크 제어부(210)가 회동하고 이에 따라 패드 제어부의 개방된 타단이 벌어지면서 패드(221)가 드럼으로부터 이격되어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즉, 보호자가 손잡이를 잡아서 스위칭 부재(120)가 3cm 변위가 발생하면, 상기 변위가 지렛대 원리에 의해 3mm로 배분되어 연결부재(110)에 전달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된 브레이크 제어부(210)를 3mm 만큼 회동시켜 패드 제어부(222)를 개방시켜 패드(221)가 드럼으로부터 분리되어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따라서, 변위 3cm 이상의 힘을 가하기만 하면 브레이크는 해제된다.
이어서, 보호자가 손잡이에서 손을 떼면 변위가 제거되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가 원위치로 반대 회동하여 패드 제어부가 닫히고 패드가 드럼에 접촉하여 다시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전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10)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브레이크를 해제 또는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스위칭 부재(140)와 일단이 상기 스위칭 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이 브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부재의 동작에 따라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 부재(140)는 손잡이 부분에 형성되고 브레이크 해제를 위해 스위칭 부재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손잡이에 형성된 홈에 결착되어 고정되고, 반대로 브레이크 잠금을 위해서는 스위칭 부재(140)을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스위칭 부재(14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홈에 결착시키면 연결부재는 잡아당기는 장력이 발생하고, 상기 장력에 의해 연결부재가 브레이크 제어부(210)를 회동시켜 패드가 드럼으로부터 이격하여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상기 연결부재(130)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는 복수 개의 도르레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적은 힘으로 스위칭 부재를 슬라이딩하기 위해 복수 개의 움직 도르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칭 부재(140)를 슬라이딩 하는 힘이 f이고, 연결부재(130)에 전달되는 힘이 w라고 가정할 때, 그 사이에 연결된 도르레의 수가 n인 경우 다음과 같은 공식에 의해 힘이 계산될 수 있다.
f = 1/2n·w
따라서, 연결된 도르레의 수(n)가 증가할수록 브레이크를 동작시키기 위해 스위칭 부재에 슬라이딩 시키기 위해 가해지는 힘이 감소된다.
브레이크가 동작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도, 도 5는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도 1 내지 3의 실시예와 같이 비전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전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보호자가 손잡이를 잡았음을 감지하는 센서부(30)와 상기 센서부를 통해 보호자가 감지된 경우 브레이크 해제 신호를 생성하여 브레이크 해제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제어부(40)와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브레이크 동작부(50) 및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와 브레이크 동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모차 손잡이 부분에는 도 3과 같이 배터리 잔량, 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30)는 보호자의 손이 손잡이에 위치하고 있음을 감지하기 위해 손잡이 부분에 형성된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 센서는 초음파 센서, 빛 감지 센서, 압력 센서 등 보호자의 손이 손잡이에 위치했음을 감지하는 모든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동작부(40)는 바퀴의 회전축에 형성되고 잠금부재 장착부(411)가 형성된 드럼(410)과 상기 드럼 상에 결합된 회동부재(420)와 상기 드럼의 잠금부재 장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는 잠금 부재(430)와 상기 회동부재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430)는 상기 회동부재와 맞물려 결합된 회동 기어(431)와 상기 회동 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동작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잠금바(432)와 상기 잠금바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잠금부재 장착부 상에서 상하 이동하는 잠금바 지지유닛(4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와 회동 기어는 기어 결합으로 결합되고, 회동부재는 장방향의 타원 형상으로 구성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장변이 상부에 위치할 경우 상기 잠금부재를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 기어는 제자리에서 회전만 하게 되지만, 회동부재의 장변이 상부에 위치하는 힘에 따라 잠금바를 상부로 밀어올리는 힘이 작용하고, 상기 잠금바와 일체로 결합된 잠금바 지지 유닛은 드럼의 잠금부재 장착부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잠금바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는 잠금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잠금부재 장착부와 이에 수용되는 잠금바 지지 유닛은 스프링에 의해 탄성 결합될 수 있고, 회동부재가 다시 회동하여 단변이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가 원위치인 하부로 이동하여 브레이크는 해제상태에서 잠금상태로 전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를 통해 보호자의 손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 즉 유모차 이동이 불필요한 상태에서는 잠금 부재가 드럼에 접촉하여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센서부를 통해 보호자의 손이 감지되면, 브레이크 제어부는 모터를 회전시켜 잠금 부재를 상부로 밀어올려 잠금 부재가 드럼으로부터 이격되어 브레이크가 잠금상태에서 해제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다시 센서부를 통해 보호자의 손 감지가 제거되면 상기 제어부는 다시 모터를 회전시켜 잠금 부재를 하부로 이동시켜 잠금 부재가 드럼에 접촉하여 브레이크가 해제상태에서 잠금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는 전동식으로 배터리가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구성이므로 전원 소모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으며, 브레이크가 해제 또는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만 전원이 소모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센서부를 통해 감지 변화가 있는 경우에만 전원이 활성화되고, 그외의 상황에서는 전원이 대기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속도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7a는 연결부재가 케이블로 형성된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고, 도 7b는 연결부재가 파이프로 형성된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브레이크가 해제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하는 경우 브레이크 잠금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속도 제어 장치(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리막길과 같이 유모차가 속도가 있는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해제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잠금 상태로 전환될 경우 관성에 의해 유모차가 전복하는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될 경우 속도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연결 부재에 속도 제어 장치(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속도 제어 장치는 프레임(810)과 프레임 내부에 실장된 공압 실린더(820)와 공기가 주입되고 배출되는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830)에 형성되어 상기 공압 실린더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 조절부(8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속도 조절부(840)는 상기 개구부(830)의 면적을 조절하는 조절 나사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의 면적이 증가하면 속도가 증가하고, 개구부의 면적이 감소하면 공기 배출 시간이 증가하므로 속도가 감소하므로 상기 조절 나사를 통해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속도 제어 장치의 프레임 내부에는 공기가 채워진 상태에 있다가 상기 브레이크가 해제되면 연결 부재가 원 위치로 이동하면서 프레임 내부의 공기가 빠지면서 공압 실린더가 이동하게 되고, 공기가 빠지는 시간에 비례하여 속도가 제어되어 공압 실린더가 완전히 이동되면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속도 제어 장치를 통해 브레이크가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갑작스럽게 전환되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전환되므로 갑작스런 브레이크 잠금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브레이크 20 :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

Claims (14)

  1. 유모차 바퀴에 형성된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브레이크는 평상시 잠금 상태로 있다가 보호자가 유모차 손잡이를 잡을 경우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는
    보호자가 손잡이를 잡았음을 감지하는 스위칭 부재와;
    일단이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위칭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부재에 작용한 힘을 분배하여 브레이크에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부재는
    상기 보호자가 손잡이를 잡았을 때 발생한 힘에 의한 변위를 분배하여 브레이크에 전달시키기 위해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힘을 분배하여 브레이크에 전달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부재는
    힘을 배분하는 받침점이 형성되어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되, 손잡이 부분에서 이어지는 제 1 부분(A)과 나머지 제 2 부분(B) 사이의 거리의 비를 조절하여 힘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브레이크를 해제 또는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스위칭 부재와;
    일단이 상기 스위칭 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이 브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부재의 동작에 따라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는 복수 개의 도르레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적은 힘으로 스위칭 부재를 슬라이딩하기 위해 복수 개의 움직 도르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바퀴를 가압하거나 해제하여 브레이크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패드부와;
    상기 패드의 개방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전달된 힘에 따라 상기 패드부를 동작시키는 브레이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바퀴 축과 결합된 드럼과 접촉되거나 이격되어 브레이크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패드와;
    상기 패드를 일체로 감싸고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개방된 패드 제어부와;
    상기 패드 제어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는
    상기 패드 제어부의 개방된 타단에 삽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의 편심영역에 연결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는 장변과 단변을 가지는 대략 타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대략 타원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회동에 따라 개방부의 면적을 증가시켜 패드를 드럼으로부터 이격시켜 브레이크를 해제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10. 보호자가 손잡이를 잡았음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통해 보호자가 감지된 경우 브레이크 해제 신호를 생성하여 브레이크 해제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제어부와;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브레이크 동작부 및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와 브레이크 동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동작부는
    바퀴의 회전축에 형성되고 잠금부재 장착부가 형성된 드럼과;
    상기 드럼 상에 결합된 회동부재와;
    상기 드럼의 잠금부재 장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는 잠금 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회동부재와 맞물려 결합된 회동 기어와;
    상기 회동 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동작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잠금바와;
    상기 잠금바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잠금부재 장착부 상에서 상하 이동하는 잠금바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와 회동 기어는 기어 결합으로 결합되고, 회동부재는 장방향의 타원 형상으로 구성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장변이 상부에 위치할 경우 상기 잠금부재를 상부로 밀어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가 해제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하는 경우 브레이크 잠금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속도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속도 제어 장치는 프레임과 프레임 내부에 실장된 공압 실린더와 공기가 주입되고 배출되는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압 실린더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조절부는
    상기 개구부의 면적을 조절하는 조절 나사로 구성되고, 개구부의 면적이 증가하면 속도가 증가하고, 개구부의 면적이 감소하면 공기 배출 시간이 증가하므로 속도가 감소하므로 상기 조절 나사를 통해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속도 제어 장치의 프레임 내부에는 공기가 채워진 상태에 있다가 상기 브레이크가 해제되면 연결 부재가 원 위치로 이동하면서 프레임 내부의 공기가 빠지면서 공압 실린더가 이동하게 되고, 공기가 빠지는 시간에 비례하여 속도가 제어되어 공압 실린더가 완전히 이동되면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150009311A 2015-01-20 2015-01-20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KR101727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311A KR101727703B1 (ko) 2015-01-20 2015-01-20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311A KR101727703B1 (ko) 2015-01-20 2015-01-20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659A true KR20150029659A (ko) 2015-03-18
KR101727703B1 KR101727703B1 (ko) 2017-04-18

Family

ID=5302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311A KR101727703B1 (ko) 2015-01-20 2015-01-20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70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342A1 (ko) * 2016-11-22 2018-05-31 유영배 유아동 이송수단용 브레이크 장치
CN110406584A (zh) * 2019-04-26 2019-11-05 天津益智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婴儿车锁
KR102173622B1 (ko) * 2020-04-23 2020-11-04 박구세 밀림 방지 퍼스널 모빌리티 및 밀림 방지 제어방법
KR102193735B1 (ko) 2019-07-31 2020-12-2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보강형 스마트 유모차
CN112590913A (zh) * 2021-01-04 2021-04-02 安徽小龙仔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带有自动刹车功能的婴儿车
CN114516361A (zh) * 2020-11-18 2022-05-20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童车车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076B1 (ko) 2019-09-25 2020-10-16 이재완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0362A (ja) 2001-09-18 2003-03-28 Akebono Brake Ind Co Ltd ブレーキ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342A1 (ko) * 2016-11-22 2018-05-31 유영배 유아동 이송수단용 브레이크 장치
CN109963764A (zh) * 2016-11-22 2019-07-02 刘荣培 幼儿移动工具用制动装置
US11110990B2 (en) 2016-11-22 2021-09-07 Young Bae YOU Brake system for baby or child vehicle
CN110406584A (zh) * 2019-04-26 2019-11-05 天津益智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婴儿车锁
KR102193735B1 (ko) 2019-07-31 2020-12-2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보강형 스마트 유모차
KR102173622B1 (ko) * 2020-04-23 2020-11-04 박구세 밀림 방지 퍼스널 모빌리티 및 밀림 방지 제어방법
CN114516361A (zh) * 2020-11-18 2022-05-20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童车车架
CN112590913A (zh) * 2021-01-04 2021-04-02 安徽小龙仔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带有自动刹车功能的婴儿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703B1 (ko)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703B1 (ko)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US10265228B2 (en) Motion assistance system for wheelchairs
EP2628654B1 (en) A hand-detecting brake system for baby stroller
KR101730879B1 (ko) 에너지 회수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KR101408162B1 (ko) 전자동 유모차
JP2023123541A (ja) ベビーカーフレームおよびベビーカー
TW201507913A (zh) 折疊式電動自行車及其控制方法
US20190291815A1 (en) Friction drive system for bicycle
KR101684320B1 (ko) 경사지 이동시 안전을 위한 스마트 브레이크 시스템
KR20160104300A (ko) 보행보조기 브레이크 시스템
KR101440447B1 (ko) 와전류 브레이크가 구비된 휠체어
KR101841879B1 (ko) 전동식 스마트 유모차
KR101102845B1 (ko) 노약자용 전동 간이 이동 장치
KR20100120527A (ko) 전동식 장비의 손잡이 겸용 조작핸들
KR101650023B1 (ko)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02465B1 (ko) 유모차의 자동 제동 장치
KR102344670B1 (ko) 보호 장치의 체결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전동식 휠체어
AU2013100166A4 (en) A hand-detecting brake system for baby stroller
KR101577142B1 (ko)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
KR20130107495A (ko) 경사면 이동에 적합한 전동 실버카
KR20190023367A (ko)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KR200382554Y1 (ko) 유모차
KR101935485B1 (ko) 전동 보조 방식의 유모차
JP2001103601A (ja) 小型電動車
KR20230150595A (ko) 안전성이 향상된 유모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