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076B1 -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076B1
KR102167076B1 KR1020190118344A KR20190118344A KR102167076B1 KR 102167076 B1 KR102167076 B1 KR 102167076B1 KR 1020190118344 A KR1020190118344 A KR 1020190118344A KR 20190118344 A KR20190118344 A KR 20190118344A KR 102167076 B1 KR102167076 B1 KR 102167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nsor
stroller
mot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완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이재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완 filed Critical 이재완
Priority to KR1020190118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30Trolle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프레임에 구비되어 프레임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모듈, 프레임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모터의 구동에 따라 주행 또는 제동이 가능한 모터가 구비된 유모차의 상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조작 신호 및 센서모듈에서 측정한 센서값에 기초하여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SPEED CONTROL APPARATUS OF STROLLER USING IoT SENSOR}
본 발명은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를 구비한 유모차의 속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 또는 사용자와 유모차 사이의 거리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는 아이를 싣고 다니기 위한 이동 수단으로, 보호자가 뒤에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오르막길을 오르거나 유모차가 무거운 상황에서, 사용자가 유모차를 미는 힘을 줄이기 위해 모터를 구비한 전동 유모차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 유모차는 브레이크를 조작하는 부분과 모터를 제어하는 부분이 별도로 설치되어, 주변 도로 상황과 아이를 신경 써야 하는 상황에서 직관적인 조작이 어려우며, 유모차를 잡지 않은 상태로 전동 유모차를 구동하는 경우 돌발 상황에 대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72770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73830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7442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호자의 조작이 용이한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는 프레임, 프레임에 구비되어 프레임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모듈, 프레임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모터의 구동에 따라 주행 또는 제동이 가능한 모터가 구비된 유모차의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조작 신호 및 센서모듈에서 측정한 센서값에 기초하여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의 프레임은 외면에 노출단이 형성되고, 노출단으로 센서모듈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센서모듈이 프레임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감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의 프레임은 일측 단부에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제1 프레임의 결합부에 끼워지는 삽입부가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센서모듈이 설치되는 제2 프레임, 일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제2 프레임을 수용하는 내부 수용부가 형성되고, 외면에 노출단을 형성하여 제2 프레임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고, 타측 단부에 결합부가 형성되는 바디 프레임 및 바디 프레임의 결합부에 끼워지는 체결부가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입력부가 설치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의 프레임은 제1 프레임에 내측으로 삽입되고, 제2 프레임 및 바디 프레임을 관통하여 제3 프레임에 삽입되는 회전축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는, 바디 프레임의 결합부에는 자석이 설치되고, 바디 프레임은 회전축 프레임에 끼워져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한 것이며, 입력부는 자석과 대응되는 홀센서를 구비하여, 홀센서가 바디 프레임의 회전에 따른 자력 변화를 감지하고, 홀센서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조작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의 입력부는 사용자가 제3 프레임을 파지하면 제1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입력부, 자석과 대응되는 홀센서를 구비하여, 홀센서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제2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입력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1 조작 신호가 발생하면, 제2 조작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조작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센서부에서 측정한 값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는 유모차 프레임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 또는 사용자와 유모차 사이의 거리에 따라 모터를 구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는 프레임에 노출단을 형성하여, 프레임 내에 구비된 센서가 사용자와 유모차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는 다수의 프레임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조작함에 따른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가 적용된 전동 유모차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의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의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바디 프레임의 우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의 제어부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10)는 프레임, 프레임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모터의 구동에 따라 주행 또는 제동이 가능한 모터가 구비된 유모차의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1, 2), 프레임에 구비되어 프레임하는 센서모듈(3), 조작 신호 및 센서모듈에서 측정한 센서값에 기초하여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10)의 센서모듈(3)은 거리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유선/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3)에서 측정된 센서값을 통신부를 통해 무선으로 외부에 전송이 가능하는 것일 수 있다. 통신부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다른 예에서는 인터넷과 연결도 가능하다.
센서모듈(3)은 제어부(4)에 무선으로 센서값을 전송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가 적용된 전동 유모차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의 프레임의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의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의 프레임은 제1 프레임(100), 제2 프레임(200), 바디 프레임(300), 제3 프레임(400), 회전축 프레임(500), 제1 핸들프레임(600), 제2 핸들프레임(7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00)에는 일측 단부에 내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어 결합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0)에는 소정 깊이의 이동홈(11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동홈(111)은 결합부(110)의 테두리에서, 주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00)에는 결합부(110) 내측으로 결합부(110)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고 소정 깊이로 함몰된 고정부(1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20)에는 고정부(120)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어느 하나의 축 또는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00)의 타측 단부에는 삽입단(130)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단(130)은 삽입단(130)을 수용 가능한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제1 프레임(100)이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삽입단(130)에는 센서, 버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00)은 센서모듈이 설치되는 몸체(210)와 몸체(2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모듈은 프레임과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를 구비하고 무선 통신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센서모듈은 거리 센서에서 측정한 센서값을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해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거리 센서로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몸체(210)는 측면이 일부 함몰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210)는 측면에 칩 수용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칩 수용부(212)에는 센서모듈(3, 211)이 구비될 수 있다. 칩 수용부(212)에는 제어부(4, 21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200)은 칩 수용부(212)에 칩 수용부(212)에 설치되는 센서모듈(211)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고 돌출 형성되는 보호턱(2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보호턱(213)은 칩 수용부(212)에 설치된 센서모듈(211)을 보호하는 것일 수 있다.
삽입부(220)는 제1 프레임(100)의 결합부(110)에 끼워져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삽입부(220)는 제2 프레임(200)의 몸체(210)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고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20)의 외면에는 걸림턱(22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221)은 제1 프레임(100)의 이동홈(111)에 끼워질 수 있다. 이동홈(111)에 걸림턱(221)이 끼워짐으로써, 제1 프레임(100)과 결합된 제2 프레임(20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제2 프레임(200)에는 제2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으로 제2 프레임(200)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공부(2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230)는 몸체(210)와 삽입부(220)를 제2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일 수 있다.
중공부(230)의 지름은 제1 프레임(100)의 고정부(120)의 지름과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 프레임(300)의 일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제2 프레임(200)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수용부(310)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결합부(320)가 형성된다.
내부 수용부(310)는 제2 프레임(200)의 몸체(210)보다 큰 지름을 가지고 소정 깊이 함몰되어 제2 프레임(200)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200)의 몸체(210) 외면에는 소정 깊이의 고정홈(213)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바디 프레임(300)의 내부 수용부(310)에는 고정홈(213)에 끼워져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3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00)의 고정홈(213)이 바디 프레임(300)의 고정돌기(311)와 대응하도록 제2 프레임(200)을 바디 프레임(300)에 삽입함으로써, 고정홈(213)과 고정돌기(311)를 결합시키고, 제2 프레임(200)이 바디 프레임(300)의 내부 수용부(310)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고정홈(213)과 고정돌기(311)를 결합시킴으로써, 제2 프레임(200)과 바디 프레임(300)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바디 프레임(300)의 외면에는 노출단(3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노출단(312)은 내부 수용부(310)에 수용된 제2 프레임(200)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노출단(312)은 내부 수용부(310)에 수용된 제2 프레임(200)의 센서모듈(211)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한다. 노출단(312)을 통해 외부에 노출된 센서모듈(211)은 사용자와 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바디 프레임(300)의 결합부(320)는 결합홈(321)과 제한턱(322)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결합홈(321)은 바디 프레임(300) 일측 단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소정 깊이의 홈일 수 있다. 제한턱(322)은 결합홈(321)에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바디 프레임(300)에는 바디 프레임(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을 관통하는 중공부(3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330)는 내부 수용부(310) 및 결합부(320)를 관통한다. 여기서, 바디 프레임(300)의 중공부(330)는 제1 프레임(100)의 고정부(120), 제2 프레임(200)의 중공부(230)와 동일한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중공부(330)와 결합홈(321) 사이에는 배선홀(3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배선홀(313)은 결합부(320)를 관통하는 중공부(330) 주변에 형성된 구멍으로 필요에 따라 전선의 통로로 이용할 수 있다.
제3 프레임(400) 일측 단부에는 체결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410)는 바디 프레임(300)의 일측 단부가 내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된 바디 프레임(300) 일측 단부의 둘레를 따라 소정 높이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체결부(410)는 바디 프레임(300)의 결합부(320)에 끼워져 제3 프레임(400)과 바디 프레임(300)이 결합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체결부(4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홈(411)은 주변보다 낮은 높이의 소정 길이의 홈일 수 있다. 이동홈(411)은 바디 프레임(300)의 제한턱(322)에 끼워지는 것일 수 있다.
이동홈(411)에 제한턱(322)을 끼움으로써 제3 프레임(400)과 결합시킨 바디 프레임(300)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제한턱(322)은 이동홈(411)에 끼워져 제3 프레임(400)과 결합시킨 바디 프레임(300)이 소정 각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체결부(410)의 내측으로는, 체결부(410)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고정부(4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420)는 제1 프레임(100)의 고정부(120), 제2 프레임(200)의 중공부(230), 바디 프레임(300)의 중공부(330)와 동일한 지름을 가질 수 있다.
회전축 프레임(500)은 제1 프레임(100) 내측으로 삽입되고, 제2 프레임(200) 및 바디 프레임(300)을 관통하여 제3 프레임(400)에 삽입된다.
회전축 프레임(500)은 제1 프레임(100)의 고정부(120), 제2 프레임(200)의 중공부(230), 바디 프레임(300)의 중공부(330), 제3 프레임(400)의 고정부(420)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의 지름을 가질 수 있다.
회전축 프레임(500)은 제1 프레임(100)의 고정부(120)에 일측 단부가 삽입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제2 프레임(200)의 중공부(230)와 제3 프레임(300)의 중공부(330)를 관통하여, 제3 프레임(400)의 고정부(420)에 삽입 고정된다.
제2 프레임(200) 및 바디 프레임(300)은 회전축 프레임(500)에 끼워져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프레임(200) 및 바디 프레임(300)의 회전은 제1 프레임(100) 이동홈(111) 내에서 제2 프레임(200)의 걸림턱(221)의 이동 가능 범위 및 제3 프레임(400)의 이동홈(411) 내에서 바디 프레임(300)의 제한턱(322)의 이동 가능 범위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다른 예에서 회전축 프레임(500)의 양측 단부에는 회전축 프레임(500)의 길이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관통홀(501, 50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100)의 고정부(120)에는 회전축 프레임(500)의 관통홀(501)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프레임(200)의 길이와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121)이 더 형성되고, 제3 프레임(400)의 고정부(420)에는 회전축 프레임(500)의 관통홀(502)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3 프레임(200)의 길이와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42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의 프레임은 고정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고정수단은 회전축 프레임(500)의 관통홀(501) 및 제1 프레임(100)의 관통홀(121)을 관통하고, 회전축 프레임(500)의 관통홀(502) 및 제3 프레임(400)의 관통홀(421)을 관통하여, 회전축 프레임(500)에 제2 프레임(200)과 제3 프레임(4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수단은 나사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핸들프레임(600)은 일측 단부에 제1 프레임(100)이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제1 핸들프레임(600)은 일측 단부에 수용부(610)를 형성하여, 제1 프레임(100)의 삽입단(130)이 삽입 설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수용부(610)는 일측에 노출단(611)을 형성하여, 제1 프레임(100)의 삽입단(130)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한다.
제2 핸들프레임(700)은 일측 단부에 제3 프레임(400)이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제2 핸들프레임(700)은 일측 단부에 수용부(710)를 형성하여 제3 프레임(400)의 삽입단(430)이 삽입 고정되도록 하고, 수용부(710)는 일측에 노출단(711)을 형성하여, 삽입단(430)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한다.
입력부(1, 2)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동작에 따라 제1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입력부(1)와 홀센서를 구비하여 홀센서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제2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입력부(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입력부(1)는 제1 프레임(100)의 삽입단(130) 또는 제3 프레임(400)의 삽입단(430)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입력부(1)는 버튼, 거리센서 등의 파지 감지수단(131, 431)을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파지 감지수단(131, 141)은 제1 핸들프레임(600)의 노출단(611) 및 제2 핸들프레임(700)의 노출단(711)을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제1 입력부(1)는 사용자가 파지 감지수단(131, 141)을 파지하는 동작에 따라 제1 조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바디 프레임(300)의 결합홈(321) 안쪽으로는 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자석은 소정 길이의 원호 형태로 결합홈(321)과 중공부(3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입력부(2)는 제3 프레임(400)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입력부(2)의 홀센서(412)는 바디 프레임(300)에 설치되는 자석(323)과 대응하도록 제3 입력부(400)의 체결부(410)의 둘레 안쪽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홀센서(412)는 바디 프레임(300)의 회전에 따른 자력 변화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입력부(2)는 사용자가 바디 프레임(300)을 소정 각도 회전시킴에 따라 홀센서(412)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제2 조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홀센서(412)에서 감지되는 전압은 바디 프레임(300)을 회전시키지 않았을 때를 기준으로 바디 프레임(300)을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높아지는 것일 수 있다.
센서모듈(3, 211)은 제2 프레임(200)의 칩 수용부(212)에 구비될 수 있다. 센서모듈(3, 211)은 바디 프레임(300)의 노출단(3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바디 프레임(300)은 유모차를 끄는 사용자의 몸과 마주하도록 한다. 바디 프레임(300)의 노출단(312)을 통해 외부에 노출된 센서모듈(211)은 거리 센서를 구비하여 보호자와 유모차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4)는 제2 프레임(200)의 칩 수용부(212)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다른 예에서는 제1 입력부(1), 제2 입력부(2), 센서모듈(3)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는 제1 입력부(1), 제2 입력부(2), 센서모듈(3)와 연결 가능한 범위 내에서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4)는 제1 입력부(1)로부터 제1 조작 신호가 발생하면, 제2 입력부(2)에서 생성된 제2 조작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4)는 센서모듈(3)에서 측정한 센서값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4)에서 생성한 모터 제어 신호는 모터로 전달되어, 모터가 모터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는 센서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유모차가 이탈했다고 판단하고, 모터를 정지시키기 위한 이탈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의 제어부의 동작 순서를 설명해보도록 한다.
전술하여 설명한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에 대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일치시키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4)는 제1 입력부(1)에서 제1 조작 신호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고(S100), 제1 입력부(1)에서 제1 조작 신호가 발생하면, 제2 입력부(2)에서 제2 조작 신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20).
제2 입력부(2) 홀센서(412)에서 감지되는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는 제2 조작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 입력부(2)에서 제2 조작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는 S100 단계로 돌아가고 제2 조작 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는 제2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140).
제어부(4)는 유모차가 구비한 모터로 모터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S160), 모터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입력부(1)로부터 제1 조작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부(4)는 센서모듈(3)로부터 센서값을 수집한다(S110).
제어부(4)는 센서모듈로부터 수집한 센서값에 기초하여 유모차와 보호자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S130), 산출한 거리에 기초하여 이탈 신호를 생성한다(S150).
S150 단계와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해보면, 사용자가 유모차를 끌기 위해 유모차 핸들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접근하면 센서모듈(3, 211)은 거리 센서를 이용해 보호자와 유모차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제1 입력부(1)로부터 제1 조작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부(4)는 센서모듈(3)의 거리 센서에서 측정한 값을 이용해 보호자와 유모차 사이의 거리를 산출한다.
산출한 거리가 기설정된 보호자 인식 거리보다 작으면 제어부(4)는 보호자 인식 신호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보호자 인식 거리는 유모차에 접근한 사람이 유모차를 끄는 보호자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유모차와 보호자 사이의 최대 간격이 될 수 있다.
보호자 인식 신호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어부(4)는 센서모듈(3)로부터 센서값을 일정 주기마다 수신하여 센서값으로부터 보호자와 유모차 사이의 거리를 산출한다. 보호자와 유모차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보호자 이탈 거리보다 크면 제어부(4)는 보호자 인식 신호를 비활성화시킨다. 여기서 기설정된 보호자 이탈 거리는 유모차를 끄는 보호자가 유모차 근처를 이탈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유모차와 보호자 사이의 최소 간격이 될 수 있다.
즉 제어부(4)는 보호자 인식 신호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보호자와 전동 유모차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보호자 이탈 거리를 초과하면 보호자 인식 신호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4)는 보호자 인식 신호가 활성에서 비활성으로 바뀌는 시점에 기초하여 이탈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4)는 보호자가 전동 유모차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있으면 인식 신호를 활성화시키고, 소정 거리 외에 있으면 인식 신호를 비활성화시키며, 인식 신호가 비활성화되는 시점에 기초하여 이탈 신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 인식 거리가 30cm로 설정된 경우, 보호자 이탈 거리가 60cm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해보도록 한다. 제어부(4)는 센서모듈(3)를 통해 측정한 보호자와 유모차 사이의 거리가 30cm보다 작으면 보호자 인식 신호를 활성화시킨다. 제어부(4)는 지속적으로 센서모듈(3)를 통해 보호자와 유모차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보호자와 유모차 사이의 거리가 60cm를 초과하면 보호자 인식 신호를 비활성화시킨다. 제어부(4)는 보호자 인식 신호가 활성에서 비활성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기초하여 이탈 신호를 생성한다.
이탈 신호는 모터로 전달(S170)되어 유모차가 정지되도록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1 프레임 110 : 결합부
120 : 고정부 130 : 삽입단
200 : 제2 프레임 210 : 몸체
220 : 삽입부 230 :중공부
300 : 바디 프레임 310 : 내부 수용부
320 : 결합부 400 : 제3 프레임
410 : 체결부 420 : 고정부
430 : 삽입단 500 : 회전축 프레임

Claims (6)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모듈;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모터의 구동에 따라 주행 또는 제동이 가능한 모터가 구비된 유모차의 상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상기 조작 신호 및 상기 센서모듈에서 측정한 센서값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일측 단부에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결합부에 끼워지는 삽입부가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모듈이 설치되는 제2 프레임과
    일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상기 제2 프레임을 수용하는 내부 수용부가 형성되고, 외면에 노출단을 형성하여 상기 제2 프레임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고, 타측 단부에 결합부가 형성되는 바디 프레임과
    상기 바디 프레임의 상기 결합부에 끼워지는 체결부가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력부가 설치되는 제3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 프레임 및 상기 바디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제3 프레임에 삽입되는 회전축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외면에 노출단이 형성되고,
    상기 노출단으로 상기 센서모듈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센서모듈이 상기 프레임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감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의 상기 결합부에는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바디 프레임은 상기 회전축 프레임에 끼워져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한 것이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자석과 대응되는 홀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홀센서가 상기 바디 프레임의 회전에 따른 자력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홀센서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가 상기 제3 프레임을 파지하면 제1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입력부, 상기 자석과 대응되는 홀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홀센서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제2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조작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2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조작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센서모듈에서 측정한 값에 따라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

KR1020190118344A 2019-09-25 2019-09-25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 KR102167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344A KR102167076B1 (ko) 2019-09-25 2019-09-25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344A KR102167076B1 (ko) 2019-09-25 2019-09-25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076B1 true KR102167076B1 (ko) 2020-10-16

Family

ID=73035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344A KR102167076B1 (ko) 2019-09-25 2019-09-25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07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608B1 (ko) * 2008-10-15 2010-12-28 주식회사 미래인도 무인 전동운반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408162B1 (ko) * 2013-02-12 2014-06-1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동 유모차
KR200474422Y1 (ko) 2013-03-18 2014-09-17 (주)한스이엔지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JP2015047944A (ja) * 2013-08-30 2015-03-16 船井電機株式会社 手動推進車両
KR101727703B1 (ko) 2015-01-20 2017-04-18 유영배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KR101738307B1 (ko) 2016-08-09 2017-05-19 이상민 전동 유모차
KR20170097870A (ko) * 2016-02-19 2017-08-2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
KR101996752B1 (ko) * 2018-02-13 2019-10-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유모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608B1 (ko) * 2008-10-15 2010-12-28 주식회사 미래인도 무인 전동운반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408162B1 (ko) * 2013-02-12 2014-06-1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동 유모차
KR200474422Y1 (ko) 2013-03-18 2014-09-17 (주)한스이엔지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JP2015047944A (ja) * 2013-08-30 2015-03-16 船井電機株式会社 手動推進車両
KR101727703B1 (ko) 2015-01-20 2017-04-18 유영배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KR20170097870A (ko) * 2016-02-19 2017-08-2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
KR101738307B1 (ko) 2016-08-09 2017-05-19 이상민 전동 유모차
KR101996752B1 (ko) * 2018-02-13 2019-10-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유모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9663B2 (ja) 電動立ち乗り車
EP2872375B1 (en) A device for automatically rocking a stroller
JP5161353B2 (ja) 電動車両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242460B1 (ko) 경사로/장애물 구간에서 편리하고 안전한 진행을 유도하는 보행 보조기
US20160202703A1 (en) Self-propelled electronic device
AU2005227366A1 (en) Mobile robot having body sensor
EP3362024A2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xoskeletons
JP2005524593A (ja) 知的補助器具で重いペイロードを操作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09183407A (ja) 歩行補助装置
KR20130096047A (ko) 자율 이동 청소기 및 이의 이동 방법
WO2016171112A1 (ja) 歩行補助車
WO2017039546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one or more vehicles
KR20150068598A (ko) 전동 보행보조장치
KR101850108B1 (ko) 안전 유모차
KR102167076B1 (ko)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
KR101841879B1 (ko) 전동식 스마트 유모차
KR102142145B1 (ko) 전동 유모차
KR101102845B1 (ko) 노약자용 전동 간이 이동 장치
WO2017029603A1 (en) Stroller rocker apparatus
KR20100053095A (ko) 진공 청소기
KR20180106351A (ko) 보행 보조를 위한 조향 제어장치
JP2004290662A (ja) 肩の動きを用いた脊椎損傷障害者用電動車椅子操縦センサ及びこれを用いた車椅子駆動制御装置
KR20180044342A (ko) 작동 손잡이
KR102506265B1 (ko) 시각장애인용 길안내장치
JP2007037757A (ja) 車輪駆動式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