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8647A -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8647A
KR20150028647A KR20130107547A KR20130107547A KR20150028647A KR 20150028647 A KR20150028647 A KR 20150028647A KR 20130107547 A KR20130107547 A KR 20130107547A KR 20130107547 A KR20130107547 A KR 20130107547A KR 20150028647 A KR20150028647 A KR 20150028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over window
concave portion
bonded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7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훈
김성호
이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7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8647A/ko
Priority to JP2013233804A priority patent/JP2015053023A/ja
Priority to US14/080,303 priority patent/US20150070598A1/en
Publication of KR20150028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6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20Uniting glass pieces by fusing without substantial resha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5/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ther in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ther inorganic material
    • C03C17/23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1/00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 C03C21/001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in liquid phase, e.g. molten salts, solutions
    • C03C21/002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in liquid phase, e.g. molten salts, solutions to perform ion-exchange between alkali 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8/00Methods for coating glass
    • C03C2218/10Deposition methods
    • C03C2218/11Deposition methods from solutions or suspensions
    • C03C2218/119Deposition methods from solutions or suspensions by pr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8/00Methods for coating glass
    • C03C2218/30Aspects of methods for coating glass not covered above
    • C03C2218/34Mas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4Integrated protective display lid, e.g. for touch-sensitive display i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 Y10T428/2462Composite web or sheet with partial filling of valleys on outer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는 제1 글라스; 상기 제1 글라스의 일면의 오목부에 형성되는 인쇄부; 및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일면과 접합되는 제2 글라스;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COVER WINDOW,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OUCH PANE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등과 같은 접촉 감지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입력 장치로서, 최근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제한된 폼팩터에서 다양한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의 채용 비율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휴대용 기기에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은 상대적으로 수명이 길고 다양한 입력 방법과 제스처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그 적용 비율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정전용량 방식은 저항막 방식에 비해 멀티 터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가 용이하여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 폭넓게 적용된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일정한 패턴을 갖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터치 입력에 의해 정전용량 변화가 생성되는 복수의 노드가 상기 복수의 전극에 의해 정의된다. 2차원 평면에 분포하는 복수의 노드는, 터치 입력에 의해 자체 정전용량(Self-Capacitance) 또는 결합 정전용량(Mutual-Capacitance) 변화를 생성하며, 복수의 노드에서 생성되는 정전용량 변화에 가중 평균 계산법 등을 적용하여 터치 입력의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 채용되는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 받기 위한 활성 영역과 배선 전극 등을 시각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베젤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베젤 영역은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커버 윈도우에 소정의 인쇄 영역을 증착하여 형성된다. 다만, 커버 윈도우 상에 소정의 인쇄 영역이 증착되는 경우 단차가 발생하여, 커버 윈도우에 접착되는 접착층에 기포가 발생하고, 커버 윈도우 상에 형성되는 전극이 단선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 중 특허문헌 1은 터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커버 렌즈에 형성되는 데코레이션 영역에 의한 단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커버 렌즈를 일부 식각하고, 식각된 영역에 데코레이션 영역을 형성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나, 제조 공정에 따라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오차에 따른 단차를 제거하고자 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지 못하다.
한국 공개특허 공보 KR 10-2013-0061252 A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유리 기판의 일면에 매립하여 인쇄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하나의 유리 기판의 일면과 또 다른 유리 기판을 접합하여 제조 공정에 따라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오차에 의한 단차를 제거할 수 있는 커버 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제1 글라스; 상기 제1 글라스의 일면의 오목부에 형성되는 인쇄부; 및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일면과 접합되는 제2 글라스; 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를 제안한다.
상기 오목부와 상기 인쇄부는 두께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일면과 상기 제2 글라스는 열 융합(thermal fusion)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일면과 상기 제2 글라스는 550℃에서 열 융합(thermal fusion)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일면과 상기 제2 글라스는 비산방지 필름(Anti-shattering flim)을 이용하여 양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글라스의 일면을 소정의 마스크 패턴에 따라 에칭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글라스의 일면을 불산 수용액에 의해 에칭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된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강화 처리하여 형성되는 강화층;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화층은, 상기 접합된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의 표면을 550℃에서 KNO3를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강화 처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전극이 형성되는 기판의 일면 또는 그 대향면 중 어느 하나의 면과 접합되는 상기 커버 윈도우; 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3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 윈도우; 상기 커버 윈도우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1 전극과 절연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전극; 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4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제1 글라스의 일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오목부에 소정의 인쇄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글라스의 일면과 제2 글라스를 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글라스에 소정의 포토 레지스트를 증착하는 단계; 상기 포토 레지스트의 소정의 영역을 노광하여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 패턴에 따라 상기 제1 글라스를 에칭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글라스를 에칭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글라스를 불산 수용액을 이용하여 에칭할 수 있다.
상기 인쇄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오목부에 스크린 인쇄법 또는 잉크젯 인쇄법을 이용하여 상기 인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글라스의 일면과 제2 글라스를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글라스의 일면과 상기 상기 제2 글라스를 열 융합(thermal fusion) 접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일면과 상기 제2 글라스는 550℃에서 열 융합(thermal fusion)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글라스의 일면과 제2 글라스를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일면과 상기 제2 글라스를 비산방지 필름(Anti-shattering flim)을 이용하여 양면 접착할 수 잇다.
상기 접합된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강화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유리 기판의 일면에 매립하여 인쇄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하나의 유리 기판의 일면과 또 다른 유리 기판을 접합하여 제조 공정에 따라 발생하는 오차에 의한 단차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제작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10), 입력부(120), 음성 출력을 위한 오디오부(130) 등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10)와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장치 내에 터치 패널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 같은 경우 터치스크린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터치스크린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이 투과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빛 투과율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장치는 투명한 기판에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영역에는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전극과 연결되는 배선 전극이 배치되며, 배선 전극은 베젤 영역에 의해 시각적으로 차폐된다.
터치스크린 장치는 정전용량 방식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가정하므로, 소정의 패턴을 갖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극에서 생성되는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정전용량 감지 회로와, 정전용량 감지 회로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판단하는 연산 회로 등이 터치스크린 장치에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정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200)는 기판(210), 기판(210) 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전극(220, 230) 및 기판(210)의 전면에 부착되는 커버 윈도우(100)를 포함한다. 이 때, 기판(210)과 커버 윈도우(100)를 접착하는 접착층(250)은 광학투명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극(220, 230) 각각은 배선 및 본딩 패드를 통해 기판(210)의 일단에 부착되는 연성 회로 기판(260)의 배선 전극(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260)에는 컨트롤러 집적회로(270)가 실장되어 복수의 전극(220, 230)에서 생성되는 감지 신호를 검출하고, 그로부터 터치 입력을 판단할 수 있다.
기판(210)은 복수의 전극(220, 230)이 형성되기 위한 투명한 기판일 수 있다. 따라서 기판(21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I(polyimide), PMMA(PolymethlymethAcrylate), COP (Cyclo-Olefin Polymers) 등의 필름, 소다 글라스(Soda glass) 또는 강화 글라스(tempered glass)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220, 230)은 기판(2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 2에서 마름모, 또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패턴을 갖는 복수의 전극(220, 230)이 도시되었으나, 이 외에 직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양한 다각형 형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도성을 가지는 복수의 전극(220, 230)은 ITO(Indium-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탄소 나노 튜브(CNT, Carbon Nano Tube), 또는 그라핀(Graphene)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Ag, Al, Cr, Ni, Mo, 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을 불가시성의 도전체 세선(細線)으로 구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220, 230)은 X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전극(220)과, Y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전극(230)을 포함한다. 제1 전극(220)과 제2 전극(230)은 기판(210)의 양면에 마련되거나(도 3), 기판(210)의 일면에 모두 마련되는 경우(도 4 및 도 5)에는 제1 전극(220)과 제2 전극(230)의 교차 지점에 부분적으로 소정의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위와 달리 서로 다른 기판(210)에 마련되어 교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복수의 전극(220, 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장치는, 터치 입력에 의해 복수의 전극(220, 230)에서 생성되는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하고 그로부터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제1 전극(220)은 컨트롤러 집적 회로에서 D1~D8로 정의되는 채널에 연결되어 소정의 구동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으며, S1~S8로 정의되는 채널은 제2 전극(230)에 연결되어 제1 전극(220)과 제2 전극(230) 사이에서 형성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러 집적 회로(270)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신호로써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달리, 커버 윈도우(100) 상에 복수의 전극(220, 230)이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커버 윈도우(100)의 일면에 복수의 전극(220, 230)이 마련되는 경우 제1 전극(220)과 제2 전극(230)의 교차 지점에 부분적으로 소정의 절연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극(230)을 덮도록 소정의 절연층(215)이 형성되고, 절연층(215)의 일면에 제1 전극(220)이 마련될 수 있다. 절연층(215)은 SiO2, Al2O3, Ta2O5, Nb2O5, Si3N4, 및 TiO2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기물, PGMEA 및 Acryl 중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물, 또는 PET, PC, PES, PI, PMMA 및 COP 중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한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전극(220, 230)과 연결되는 배선 전극(240)이 마련되는 영역에 대해서는 통상 불투명한 금속 물질로 형성되는 배선 전극(240)을 시각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소정의 인쇄 영역이 커버 윈도우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를 나타내는 도이다.
커버 윈도우(100)는 터치 패널의 최외측에 구비되어, 손가락 등의 접촉 물체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는 제1 글라스(110), 제1 글라스(110)에 매립되어 형성되는 인쇄부(130) 및 상기 제1 글라스(110)와 접합되는 제2 글라스(15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강화층(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글라스(110) 및 제2 글라스(150)의 강화 유리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 투명한 물질 또는 불가시성의 물질로 구성되는 복수의 전극과 달리 불투명한 금속 물질로 형성되는 배선 전극을 시각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소정의 인쇄 영역이 커버 윈도우에 마련될 수 있다.
인쇄영역은 통상적으로 5~10㎛의 두께로 형성되는데, 인쇄 영역이 커버 윈도우에 매립되지 않고 커버 윈도우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인쇄 영역과 커버 윈도우 사이에서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인쇄 영역을 덮도록 커버 윈도우 상에 소정의 접착층 또는 절연층이 형성되는 경우, 단차로 인하여 접착층에 기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인쇄 영역의 두께를 덮도록 절연층을 다수 인쇄함에 있어서, 인쇄 품질이 저하되고, 탁도가 증가하여 광학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인쇄 영역이 커버 윈도우 내에 매립되어 형성되어, 커버 윈도우와 소정의 인쇄 영역 사이에서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글라스(110)는 일면에 오목부(115)가 마련될 수 있는데, 오목부(115) 내에 인쇄부(130)가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인쇄부(130)로 인한 단차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목부(115) 는 인쇄부(130)의 두께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115)는 사각형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오목부(115)의 형상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인쇄부(130)의 색상은 검정색, 흰색, 금색, 적색, 초록색, 노랑색, 회색, 보라색, 갈색, 청색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인쇄부(130)를 상술한 각각의 색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카본계 물질(Graphene Oxide, DLC: Diamond Line Carbon), 크롬계 산화물(CrO, CrO2), 구리계 산화물 (CuO), 망간계 산화물(MnO2), 코발트계 산화물(CoO), 황화물(CoS2, Co3S4), 니켈계 산화물(Ni2O3), HgTe, YBa2Cu3O7, MoS2, RuO2, PdO, InP, SnO, TaN 또는 TaS2 등을 이용하면, 인쇄부(130)를 검정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티탄계 산화물(TiO2), 알미늄계 산화물(Al2O3), 마그네슘계 산화물(MgO), 나트륨계 산화물(Na2O), 리튬계 산화물(Li2O), 벨릴리윰계 산화물(BeO), 마그네슘계 황화물(MgS), MgF2, MgCo3, ZnO, ZnS, KNO3, KCl, KOH, Ga2O3, RbCl, RbF, BaTiO3, BaSO4, BaCl2, BaO, Ba(NO3)2, BaCO3, BaOH, BaB2O4, SrTiO3, SrCl2, SrO, Y2O3, YCl3, YF3, ZrO2, ZrCl4, ZrF4, Nb2O5, NbOCl3, Mo(CO)6, CdCl2, InCl3, SnO2, Sb2O3, CsI, CsCl, CsF, Ta2O5, TaCl5 또는 TaF5 등을 이용하면, 인쇄부(130)를 흰색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티탄계 질화물(TiN) 등을 이용하면, 인쇄부(130)를 금색으로 형성할 수 있고, 구리계 산화물(Cu2O), 철계 산화물(Fe2O3), ZnTe, Tris(bipyridine)ruthenium chloride, PdCl2 또는 CdSe 등을 이용하면, 인쇄부(130)를 적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크롬계 산화물(Cr2O3), MnO, NiO, MoCl5 또는 BiI3 등을 이용하면, 인쇄부(130)를 초록색으로 형성할 수 있고, 나트륨계 산화물(Na2O2), K2O, CaO, V2O5, ZnSe, GaN, GaP, Rb2O, NbCl5, CdS, CdI2, In2O3, Sb2O5, Cs2O, WO3 또는 Bi2O3 등을 이용하면, 인쇄부(130)를 노랑색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MgB2, Si3N4, RbOH, BaO2, ZrC, NbO, MoSi2, WC 또는 Bi2Te3 등을 이용하면, 인쇄부(130)를 회색으로 형성할 수 있고, Ru(acac)3 등을 이용하면, 인쇄부(130)를 보라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Pd(O2CCH3)2, CdO, InSb 또는 Tantalum carbide 등을 이용하면, 인쇄부(130)를 갈색으로 형성할 수 있고, WCl6 등을 이용하면, 인쇄부(130)를 청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물질들을 조합하면, 인쇄부(130)를 검정색, 흰색, 금색, 적색, 초록색, 노랑색, 회색, 보라 색, 갈색, 청색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제1 글라스(110)에 오목부(115)를 형성하여 인쇄부(130)를 오목부(115)에 매립하는 경우에도 제조 공정상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오차에 따라 미세한 단차가 생길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오목부(115)가 형성되는 제1 글라스(110)의 일면을 제2 글라스(170) 접합하여 미세한 단차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제1 글라스(110)의 일면은 제2 글라스(170)와 열 융합(thermal fusion) 접합될 수 있는데, 상기 열 융합 접합은 550℃에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글라스(110) 및 제2 글라스(170)는 비산방지 필름(Anti-shattering flim)을 이용하여 양면 접착될 수 있다.
이 후, 접합된 제1 글라스(110) 및 제2 글라스(150)은 화학적으로 강화처리 되어 접합된 제1 글라스(110) 및 제2 글라스(150)의 표면에 강화층(17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강화층(170)은 제1 글라스(110) 및 제2 글라스(150)를 550℃에서 KNO3를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강화 처리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커버 윈도우(100)의 전면에 강화층(170)이 형성됨으로써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제작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 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제작 공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글라스(110)의 일면에 포토 레지스트(PR)를 증착하고(도 9(a)), 노광을 실시하여 마스크 패턴(MP)을 형성한다(도 9(b)). 이 후, 마스크 패턴(MP)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글라스(110)의 일면을 불산(hydrofluoric acid) 수용액을 이용하여 에칭함으로써 제1 글라스(110)의 일면에 오목부(115)를 형성한다(도 9(c)). 이 때, 도 9(c)에는 오목부(115)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후, 제1 글라스(110)의 일면에 잔존하는 마스크 패턴(MP)을 스트리퍼 등을 이용하여 박리하고(도 9(d)), 제1 글라스(110)에 형성된 오목부(115) 내에 스크린 인쇄법 또는 잉크젯 인쇄법 등의 인쇄 방식을 이용하여 오목부(115)의 두께와 동일하게 인쇄부(130)를 형성한다(도 9(e)). 이 때, 제1 글라스(110)와 인쇄부(130)에 제조 공정상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오차에 따라 미세한 단차가 생길 수 있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제1 글라스(110)의 일면과 제2 글라스가 접합된다(도 5(f)). 접합된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50)는 화학적으로 강화 처리되어 표면에 강화층(170)이 형성된다(도 5(g)).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커버 윈도우
110; 제1 글라스
115: 오목부
130: 인쇄부
150: 제2 글라스
170: 강화층
210: 기판
215: 절연층
220: 제1 전극
230: 제2 전극
240: 패턴 전극
250: 접합층
260: 연성 회로 기판
270: 컨트롤러 집적회로

Claims (19)

  1. 제1 글라스;
    상기 제1 글라스의 일면의 오목부에 형성되는 인쇄부; 및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일면과 접합되는 제2 글라스; 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와 상기 인쇄부는 두께가 동일한 커버 윈도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일면과 상기 제2 글라스는 열 융합(thermal fusion) 접합되는 커버 윈도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일면과 상기 제2 글라스는 550℃에서 열 융합(thermal fusion) 접합되는 커버 윈도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일면과 상기 제2 글라스는 비산방지 필름(Anti-shattering flim)을 이용하여 양면 접착되는 커버 윈도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글라스의 일면을 소정의 마스크 패턴에 따라 에칭하여 형성되는 커버 윈도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글라스의 일면을 불산 수용액에 의해 에칭하여 형성되는 커버 윈도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된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강화 처리하여 형성되는 강화층; 을 더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층은,
    상기 접합된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의 표면을 550℃에서 KNO3를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강화 처리하여 형성되는 커버 윈도우.
  10.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전극이 형성되는 기판의 일면 또는 그 대향면 중 어느 하나의 면과 접합되는 제1항에 따른 커버 윈도우; 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11. 제1항에 따른 커버 윈도우;
    상기 커버 윈도우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1 전극과 절연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전극; 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12. 제1 글라스의 일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오목부에 소정의 인쇄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글라스의 일면과 제2 글라스를 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글라스에 소정의 포토 레지스트를 증착하는 단계;
    상기 포토 레지스트의 소정의 영역을 노광하여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 패턴에 따라 상기 제1 글라스를 에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라스를 에칭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글라스를 불산 수용액을 이용하여 에칭하는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오목부에 스크린 인쇄법 또는 잉크젯 인쇄법을 이용하여 상기 인쇄부를 형성하는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라스의 일면과 제2 글라스를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글라스의 일면과 상기 상기 제2 글라스를 열 융합(thermal fusion) 접합하는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일면과 상기 제2 글라스는 550℃에서 열 융합(thermal fusion) 접합되는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라스의 일면과 제2 글라스를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일면과 상기 제2 글라스를 비산방지 필름(Anti-shattering flim)을 이용하여 양면 접착하는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된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강화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KR20130107547A 2013-09-06 2013-09-06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KR2015002864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547A KR20150028647A (ko) 2013-09-06 2013-09-06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JP2013233804A JP2015053023A (ja) 2013-09-06 2013-11-12 カバーウィンドウ、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タッチパネル
US14/080,303 US20150070598A1 (en) 2013-09-06 2013-11-14 Cover window,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ouchscreen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547A KR20150028647A (ko) 2013-09-06 2013-09-06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647A true KR20150028647A (ko) 2015-03-16

Family

ID=5262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7547A KR20150028647A (ko) 2013-09-06 2013-09-06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070598A1 (ko)
JP (1) JP2015053023A (ko)
KR (1) KR201500286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212A (ko) 2017-12-14 2019-06-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20200073461A (ko) * 2018-12-14 2020-06-24 (주)엘지하우시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WO2020204553A1 (ko) * 2019-03-29 2020-10-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윈도우의 보호를 위한 코팅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46761A (zh) * 2016-12-14 2017-05-31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一种石墨烯玻璃及其制备方法
CN111710235B (zh) * 2020-04-24 2022-04-08 河北叁迪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针对倒扣曲面屏及其喷涂曝光工艺方法
CN111710234B (zh) * 2020-04-24 2022-04-08 河北叁迪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针对四面曲屏及其喷涂工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0632A1 (en) * 2010-04-15 2011-10-20 Ferro Corporation Low-melting lead-free bismuth sealing glasses
TWI588104B (zh) * 2010-12-14 2017-06-21 康寧公司 用於強化玻璃之熱處理
US20120313884A1 (en) * 2011-06-10 2012-12-13 Ping-Wen Huang Cover glass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212A (ko) 2017-12-14 2019-06-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20200073461A (ko) * 2018-12-14 2020-06-24 (주)엘지하우시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WO2020204553A1 (ko) * 2019-03-29 2020-10-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윈도우의 보호를 위한 코팅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073869B2 (en) 2019-03-29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coating for protection of window
US11485114B2 (en) 2019-03-29 2022-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coating for protection of wind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53023A (ja) 2015-03-19
US20150070598A1 (en)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245B1 (ko)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9483132B2 (en) Touch window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JP6185462B2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28647A (ko)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JP5942454B2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付表示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の製造方法
US20130147742A1 (en) Touch panel
US20140092324A1 (en) Transparent conductive substrate and touch panel having the same
US10852896B2 (en) Touch panel used as touch sensor to increase touch detection sensitivity, including conductive member and conductive sheet
KR20140057836A (ko)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TW201508587A (zh) 觸感電極及含此之觸控螢幕面板
JP2014146308A (ja) タッチパネル
KR20120134955A (ko) 시인성이 향상된 터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TW201510819A (zh) 觸碰感測電極以及含此之觸控螢幕面板
KR20110109119A (ko) 투명도전막 상에 금속인쇄층이 형성된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05468184B (zh) 透明电极层压体和包括该透明电极层压体的触摸屏面板
KR20170084627A (ko) 터치 윈도우
US20150103261A1 (en)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12675531U (zh) 触摸面板用电极部件、触摸面板及图像显示装置
JP2005028821A (ja) 透明導電性基材およびタッチパネル
KR20210000437A (ko)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KR20150057032A (ko) 터치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040086A (ko) 투명 전극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KR20150120169A (ko)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US11132093B2 (en) Touch sensor, touch panel, conductive member for touch panel, and conductive sheet for touch panel
KR20140034545A (ko) 터치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