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7383A - 송풍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송풍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7383A
KR20150027383A KR20130104680A KR20130104680A KR20150027383A KR 20150027383 A KR20150027383 A KR 20150027383A KR 20130104680 A KR20130104680 A KR 20130104680A KR 20130104680 A KR20130104680 A KR 20130104680A KR 20150027383 A KR20150027383 A KR 20150027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sensor
humidity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4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호
권기환
권순철
최선묵
백오현
이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4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7383A/ko
Publication of KR20150027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 for cooling th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주변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쾌적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송풍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송풍장치는 흡입구가 마련되고, 회전가능한 제 1하우징,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되는 제 2하우징,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2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마련되는 송풍팬 및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 1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풍장치 및 그 제어방법{BLOW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송풍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쾌적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송풍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풍기는 전동기의 회전축에 날개를 붙이고 이를 돌려 바람을 일으키는 기계로써, 일반적으로 프로펠러형 날개를 사용하여 공기를 순환시키고, 시원한 바람을 일으켜 쾌적함을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선풍기는 바닥면에 대하여 본체 전체를 지지하고 직립한 연장부를 가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모터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전방에 설치되어 바람을 일으키는 팬어셈블리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선풍기의 러닝타임, 풍속, 풍향 등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는 베이스부에 설치된다. 또한, 선풍기를 들고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는 팬어셈블리의 상부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흡입구와 토출구의 방향이 고정되어 있거나, 일정 범위 내에서만 변환이 가능하므로, 한정된 공간의 공기만을 순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풍기는 실내공기의 온도 편차 또는 습도 편차와 관계없이, 놓여진 위치에 따라 공기를 송풍 시키는 수동적인 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0003235호(2013.05.3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주변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쾌적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송풍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놓여진 위치에 관계없이 쾌적한 공기를 효율적으로 송풍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송풍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송풍장치는 흡입구가 마련되고, 회전가능한 제 1하우징,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되는 제 2하우징,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2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마련되는 송풍팬 및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 1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하우징은 내부에 마련되는 제 1톱니, 상기 제 1톱니가 회전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1톱니에 연결되는 제 1구동장치 및 상기 제 1톱니에 맞물려 움직이도록 내주면을 따라 마련되는 제 1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하우징은 내부에 마련되는 제 2톱니, 상기 제 2톱니가 회전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2톱니에 연결되는 제 2구동장치 및 상기 제 2톱니에 맞물려 움직이도록 내주면을 따라 마련되는 제 2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송풍장치는 상기 온도감지센서가 감지한 주변 공기의 온도를 기초로 최적위치를 선정하여 상기 흡입구가 상기 최적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제 1구동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시간 및 각도를 변수로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온도감지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제 1톱니에 맞물려 움직이는 상기 제 1랙기어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제 1하우징과 별개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2톱니에 맞물려 움직이는 상기 제 2랙기어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내부에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2하우징이 별개로 회전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송풍장치는 상기 제 1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온도감지센서와 일체로 회전하고,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습도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흡입구와 인접하도록 상기 제 1하우징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2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는 지면과 마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송풍장치는 상기 지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2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송풍장치는 상기 제 2하우징에 마련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감지센서는 상기 토출구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 2하우징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송풍장치는 흡입구가 마련되고, 회전가능한 제 1하우징,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흡입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제 1하우징과 결합하는 제 2하우징,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2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마련되는 송풍팬,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 1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제 1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온도감지센서와 일체로 회전하고,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제 2하우징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결합되어 상기 토출구와 멀어지는 제 1방향 또는 상기 토출구와 가까워지는 제 2방향을 향하여 움직이는 제 1케이싱 및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 1케이싱 내부에 마련되는 제 2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습도감지센서는 상기 흡입구에 근접하도록 상기 제 2케이싱에 마련되고, 상기 제 2케이싱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는 상기 흡입구가 상기 제 2케이싱과 일체로 회전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 2하우징 내부에는 제 1구동장치에 연결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제 1톱니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케이싱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홀 및 상기 복수의 홀을 구획하고, 상기 제 2하우징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복수의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격벽부 중 하나에는 상기 제 1케이싱이 상기 제 1방향 또는 상기 제 2방향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 1톱니에 맞물려 움직이는 제 1랙기어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격벽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 2하우징의 내주면에 함몰형성되는 가이드를 따라 움직이는 돌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2케이싱과 이격되는 상기 제 1케이싱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2케이싱이 회전하도록 원동력을 제공하는 제 2구동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 2구동장치에 일 단부가 결합하는 구동축의 다른 단부는 상기 제 2케이싱이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2케이싱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송풍장치는 상기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습도감지센서가 주변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도록 제 1구동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온도감지센서가 감지한 주변 공기의 온도 및 상기 습도감지센서가 감지한 주변 공기의 습도를 기초로 최적위치를 선정하여 상기 흡입구가 상기 최적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제 2구동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시간 및 각도를 변수로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온도감지주기 및 상기 습도감지센서의 습도감지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송풍장치의 제어방법은 흡입구가 형성된 제 1하우징과 함께 온도감지센서가 회전하도록 제 1구동장치를 제어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를 기초로 상기 흡입구가 위치되어야 할 흡입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흡입구가 상기 흡입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제 1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 1하우징을 회전시키고, 상기 흡입위치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제 2하우징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송풍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 2하우징에 설치되는 동작감지센서가 회전하도록 제 2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 2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 2하우징에 형성되는 토출구가 상기 동작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위치를 향하게 하고, 사용자를 향하여 공기가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송풍장치의 제어방법은 습도감지센서가 상기 제 1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 1구동장치를 제어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습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습도를 기초로 상기 흡입구가 위치되어야 할 흡입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흡입구가 상기 흡입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제 1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 1하우징을 회전시키고, 상기 흡입위치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 2하우징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송풍장치의 제어방법은 제 1하우징에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가 작동하도록 제 1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 1하우징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케이싱이 제 2하우징에 마련되는 토출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흡입구가 형성된 제 2케이싱과 함께 상기 온도감지센서가 회전하도록 제 2구동장치를 제어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를 기초로 상기 흡입구가 위치되어야 할 흡입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흡입구가 상기 흡입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제 2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 2케이싱을 회전시키고, 상기 흡입위치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송풍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 1하우징에 설치되는 습도감지센서가 작동하도록 상기 제 1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 1하우징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제 1케이싱이 상기 제 2하우징에 마련되는 상기 토출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제 2케이싱과 함께 상기 온도감지센서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 2구동장치를 제어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습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습도를 기초로 상기 흡입구가 위치되어야 할 흡입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흡입구가 상기 흡입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제 2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 2케이싱을 회전시키고, 상기 흡입위치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흡입구 및 토출구의 방향이 변할 수 있으므로 놓여진 위치에 관계없이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는 능동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온도감지센서 및 습도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쾌적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고, 동작감지센서가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를 향하도록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에 마련된 이동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a 및 1b에 도시된 송풍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6a,6b 및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a,7b 및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일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6a,6b 및 6c에 도시된 송풍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에 마련된 이동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장치(1)는 제 1하우징(10), 제 2하우징(20), 송풍팬(30) 및 온도감지센서(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하우징(10)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흡입구(11)가 마련되고, 제 2하우징(20)에는 흡입구(11)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토출구(21)가 마련된다. 흡입구(11)는 제 1하우징(10)과 일체로 움직이고, 토출구(21)는 제 2하우징(20)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제 1하우징(10) 및 제 2하우징(20)은 각각 별개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하우징(10)에 마련되는 흡입구(11) 및 제 2하우징(20)에 마련되는 토출구(21)의 방향은 각각 별개로 변환 가능하다. 제 1하우징(10)의 내주면에는 제 1하우징(10)의 둘레를 따라 랙기어(18)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하우징(10)은 제 1하우징(10)이 회전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17)의 구동축(17a)에 연결되는 톱니(19)가 랙기어(18)에 맞물려 움직임으로써, 회전할 수 있다. 톱니(19)는 제 1하우징(10)의 바닥면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하우징(20)의 내주면에는 제 2하우징(20)의 둘레를 따라 랙기어(28)가 설치될 수 있다. 제 2하우징(20)은 제 2하우징(20)이 회전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27)의 구동축(27a)에 연결되는 톱니(29)가 랙기어(28)에 맞물려 움직임으로써, 회전할 수 있다. 톱니(29)는 제 2하우징(20)의 천장면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하우징(10) 및 제 2하우징(20)이 각각 별개로 회전하는 방법은 상기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송풍팬(30)은 흡입구(11)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구(21)로 토출되도록 제 1하우징(10) 및 제 2하우징(2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30)은 회전가능하도록 모터축(31)에 연결된다. 송풍팬(3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모터(32)가 구비되어야 하고, 모터(32)의 내부에는 회전자(미도시) 및 고정자(미도시)가 구비된다.
송풍팬(30)은 제 1하우징(10)을 향하는 프레임(33)과 제 2하우징(20)을 향하는 프레임(34)이 결합하여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프레임(33) 및 프레임(34)은 흡입구(11)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구(21)로 토출되도록 각각 제 1하우징(10)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제 1개구부(35) 및 제 2하우징(20)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제 2개구부(36)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33)은 제 1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되는 제 1지지축(12)의 일 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프레임(34)은 제 2하우징(20) 내부에 마련되는 제 2지지축(22)의 일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지지축(12) 및 제 2지지축(22)은 각각 프레임(33) 및 프레임(34)을 지지하여 송풍팬(30)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송풍팬(30)은 흡입구(11)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구(21)로 잘 불어나갈 수 있도록 토출구(21) 근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송풍팬(30)은 토출구(21)와 근접하도록 제 2하우징(2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송풍팬(30)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송풍장치(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팬(30)을 구비할 수 있다.
송풍팬(30)에는 디자인적 측면을 고려하여, 다양한 색채나 패턴이 표현될 수 있다.
온도감지센서(40)는 제 1하우징(10)에 마련될 수 있다. 온도감지센서(40)는 제 1하우징(10)과 일체로 회전함으로써, 쾌적지수에 부합하는 공기를 감지할 수 있다. 쾌적지수(comfort index)는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기후요인에 대한 사용자의 쾌감정도를 하나의 지수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온도감지센서(40)는 실내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온도가 낮은 공기를 감지하고, 실내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온도가 높은 공기를 감지하여 송풍장치(1)가 쾌적지수에 부합하는 공기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송풍장치(1)는 습도감지센서(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습도감지센서(50)는 온도감지센서(40)와 마찬가지로, 제 1하우징(10)과 일체로 회전함으로써, 쾌적지수에 부합하는 공기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습도감지센서(50)는 실내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습도가 낮은 공기를 감지하고, 실내 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습도가 높은 공기를 감지하여 송풍장치(1)가 쾌적지수에 부합하는 공기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습도감지센서(50)는 온도감지센서(40)와 함께 작동함으로써, 시너지(synergy)효과를 낼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온도감지센서(40) 및 습도감지센서(50) 중 어느 하나만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온도감지센서(40) 및 습도감지센서(50)는 서로 인접하도록 또는 서로 이격되도록 제 1하우징(10)에 마련될 수 있다.
송풍장치(1)는 동작감지센서(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감지센서(6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를 향해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동작감지센서(60)는 제 2하우징(20)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동작감지센서(60)는 제 2하우징(20)과 일체로 회전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작감지센서(60)는 토출구(21)에 인접하도록 제 2하우징(20)에 배치될 수 있으나, 동작감지센서(60)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1하우징(10) 및 제 2하우징(20) 내부에는 흡입구(11)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구(21)로 토출될 수 있도록 유로(80)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80)는 제 1하우징(10) 및 제 2하우징(20)이 각각 회전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유로(80a,80b)는 흡입구(11) 및 토출구(21)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흡입구(11) 및 토출구(21)가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30)은 유로(80)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하우징(10) 및 제 2하우징(20)은 제 1하우징(10) 및 제 2하우징(20) 중 적어도 하나가 지면과 마주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하우징(10) 및 제 2하우징(20)은 상하로 결합되거나, 좌우로 결합될 수 있다. 지면과 마주하는 제 1하우징(10) 또는 제 2하우징(20)은 각각 별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면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지면과 마주하는 제 1하우징(10) 또는 제 2하우징(20)은 받침부재(미도시)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하우징(10) 및 제 2하우징(20)은 좌우 길이 또는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송풍장치(1)는 이동부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70)는 지면과 마주하는 제 1하우징(10) 및 제 2하우징(2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부재(70)는 지면과 마주하는 제 1하우징(10) 및 제 2하우징(20)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부재(70)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장치(1)에 이동부재(70)가 설치됨에 따라, 송풍장치(1)는 더욱 광범위한 실내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와의 거리에 관계없이 사용자에게 쾌적한 공기를 전달할 수 있다.
송풍장치(1)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온도감지센서(40)의 온도감지주기를 변경할 수 있고, 온도감지센서(40)가 감지하는 주변 공기의 온도를 기초로 쾌적지수에 부합하는 온도를 가지는 주변 공기의 위치를 최적위치로 선정하여 흡입구(11)가 최적위치를 향하도록 구동장치(17)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습도감지센서(50)의 습도감지주기를 변경할 수 있고, 습도감지센서(50)가 감지하는 주변 공기의 습도를 기초로 쾌적지수에 부합하는 습도를 가지는 주변 공기의 위치를 최적위치로 선정하여 흡입구(11)가 최적위치를 향하도록 구동장치(17)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토출구(21)가 동작감지센서(6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위치를 향하도록 구동장치(27)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온도감지센서(40) 및 습도감지센서(50)는 시간 및 각도를 변수로 온도감지주기 및 습도감지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제어부를 통해, 온도감지센서(40) 및 습도감지센서(50)가 마련되는 제 1하우징(10)은 1분에 60도씩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60)도 시간 및 각도를 변수로 동작감지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제어부를 통해, 동작감지센서(60)가 마련되는 제 2하우징(20)은 1분에 30도씩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1하우징(10) 또는 제 2하우징(20)에 제어패널(미도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직접 제어패널을 터치함으로써, 제어부를 작동시킬 수 있고, 리모컨 등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제어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토출구(21)가 형성되는 제 2하우징(20)은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송풍장치(1)는 냉방운전, 난방운전 및 습도조절운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송풍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의 입력 측에는 온도감지센서(40), 습도감지센서(50) 및 동작감지센서(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의 출력 측에는 송풍팬(30)을 구동시키는 모터(32), 흡입구(11)를 제 1하우징(10)과 일체로 회전시키는 구동장치(17) 및 토출구(21)를 제 2하우징(20)과 일체로 회전시키는 구동장치(27)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에는 온도감지센서(40)에서 감지되는 주변공기의 온도 값 및 습도감지센서(50)에서 감지되는 주변공기의 습도 값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저장부에는 동작감지센서(60)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위치변화 값도 저장될 수 있다.
송풍장치(1)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냉방운전을 선택하면, 흡입구(11)가 형성된 제 1하우징(10)과 함께 온도감지센서(40)가 회전하도록 구동장치(17)를 제어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복수의 위치에서 온도감지센서(40)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를 기초로 실내온도측정장치(미도시)에 의해 측정되는 실내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가지는 주변 공기의 위치를 흡입위치(최적위치)로 결정하고, 흡입구(11)가 흡입위치에 놓이도록 구동장치(17)를 제어하여 제 1하우징(10)을 회전시키고, 동작감지센서(60)가 제 2하우징(2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장치(27)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구동장치(27)를 제어하여 제 2하우징(20)에 형성되는 토출구(21)가 동작감지센서(6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위치를 향하게 하고, 흡입위치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제 2하우징(20)에 형성된 토출구(21)를 통해 사용자를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도록 송풍팬(3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난방운전을 선택하면, 흡입구(11)가 형성된 제 1하우징(10)과 함께 온도감지센서(40)가 회전하도록 구동장치(17)를 제어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복수의 위치에서 온도감지센서(40)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를 기초로 실내온도측정장치(미도시)에 의해 측정되는 실내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는 주변 공기의 위치를 흡입위치(최적위치)로 결정하고, 흡입구(11)가 흡입위치에 놓이도록 구동장치(17)를 제어하여 제 1하우징(10)을 회전시키고, 동작감지센서(60)가 제 2하우징(2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장치(27)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구동장치(27)를 제어하여 제 2하우징(20)에 형성되는 토출구(21)가 동작감지센서(6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위치를 향하게 하고, 흡입위치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제 2하우징(20)에 형성된 토출구(21)를 통해 사용자를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도록 송풍팬(3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습도조절운전을 선택하면, 흡입구(11)가 형성된 제 1하우징(10)과 함께 습도감지센서(50)가 회전하도록 구동장치(17)를 제어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고, 복수의 위치에서 습도감지센서(50)에 의해 감지되는 주변 공기의 습도를 실내습도측정장치(미도시)에 의해 측정되는 실내습도와 비교하여 실내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실내습도보다 낮은 습도를 가지는 주변 공기의 위치를 흡입위치(최적위치)로 결정하고, 실내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실내습도보다 높은 습도를 가지는 주변 공기의 위치를 흡입위치로 결정하고, 흡입구(11)가 흡입위치에 놓이도록 구동장치(17)를 제어하여 제 1하우징(10)을 회전시키고, 동작감지센서(60)가 제 2하우징(2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장치(27)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구동장치(27)를 제어하여 제 2하우징(20)에 형성되는 토출구(21)가 동작감지센서(6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위치를 향하게 하고, 흡입위치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제 2하우징(20)에 형성된 토출구(21)를 통해 사용자를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도록 송풍팬(3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도 6a,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일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a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장치(1a)는 제 1하우징(10a), 제 2하우징(20a), 송풍팬(30a), 온도감지센서(40a) 및 습도감지센서(5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하우징(10a)은 제 1케이싱(100) 및 제 2케이싱(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케이싱(100)은 제 2하우징(20a)에 형성되는 체결공(25a)에 결합되어, 토출구(21a)와 멀어지는 제 1방향(A) 또는 토출구(21a)와 가까워지는 제 2방향(B)을 향하여 수평 운동할 수 있다. 제 1케이싱(100)은 제 1방향(A)을 향하는 일 면이 막힌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방향(B)을 향하는 제 1케이싱(100)의 다른 일 면에는 제 1개구홀(120)이 형성될 수 있고, 제 1케이싱(100)의 측면에는 복수의 홀(120) 및 복수의 격벽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홀(120)은 제 1케이싱(100)의 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격벽부(110)에 의해 구획된다. 제 1케이싱(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120) 및 복수의 격벽부(110)는 제 1케이싱(100)이 제 2방향(B)을 향하여 제 2하우징(20a)에 형성되는 체결공(25a)에 삽입되는 경우, 제 2하우징(20a)의 내주면과 마주할 수 있다. 복수의 홀(120) 및 복수의 격벽부(110)는 제 1케이싱(100)과 일체로 제 1방향(A) 및 제 2방향(B)을 향하여 수평 운동할 수 있다.
제 1케이싱(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부(110) 중 하나에는 랙기어(112)가 마련될 수 있다. 랙기어(112)가 제 2하우징(20a) 내부에 형성되는 톱니(300)에 맞물려 움직임으로써, 제 1케이싱(100)이 제 1방향(A) 및 제 2방향(B)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다.
제 1케이싱(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부(110) 중 다른 하나에는 돌기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11)는 제 2하우징(20a)의 내주면에 함몰형성되는 가이드(500)를 따라 제 1방향(A) 및 제 2방향(B)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다. 돌기부(111)는 랙기어(112)가 마련되는 복수의 격벽부(110) 중 하나와 마주보는 복수의 격벽부(11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케이싱(200)은 제 1케이싱(100)과 이격되도록 제 1케이싱(100) 내부에 마련된다.
제 2케이싱(200)은 제 1케이싱(10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제 1방향(A)을 향하는 일 면이 막힌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방향(B)을 향하는 제 2케이싱(200)의 다른 일 면에는 제 2개구홀(230)이 형성될 수 있고, 제 2케이싱(200)의 측면에는 흡입구(1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케이싱(200)에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11a)가 형성될 수 있고, 흡입구(11a)는 제 2케이싱(200)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다.
제 2케이싱(200)에는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40a) 및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50a)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감지센서(40a) 및 습도감지센서(50a)는 흡입구(11a)에 근접하도록 제 2케이싱(20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온도감지센서(40a) 및 습도감지센서(50a)는 제 2케이싱(200)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다. 온도감지센서(40a) 또는 습도감지센서(50a)만 설치할 수도 있다.
제 2케이싱(200)은 회전 가능하도록 제 1케이싱(100)과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방향(A)을 향하는 제 1케이싱(100)의 일 면 내주면에는 제 2케이싱(20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원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420)가 장착되는 장착부(400)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400)에 장착되는 구동장치(420)는 제 2방향(B)을 향해 돌출되는 구동축(410)과 결합된다. 구동축(410)의 일 단부는 구동장치(420)와 결합하고, 구동축(410)의 다른 단부는 제 1방향(A)을 향하는 제 2케이싱(200)의 일 면에 결합된다. 제 1방향(A)을 향하는 제 2케이싱(200)의 일 면에는 구동축(410)의 다른 단부가 결합할 수 있도록 제 2방향(B)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을 가지는 수용부(210)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케이싱(200)은 구동축(4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 2케이싱(200)과 일체로 회전하는 흡입구(11a)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제 1케이싱(100) 및 제 2케이싱(200)의 형상은 원통형에 한정하지 않고, 삼각기둥,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하우징(10a)은 제 2케이싱(200)에 형성되는 흡입구(11a)가 개폐될 수 있도록 제 2하우징(20a)의 체결공(25a)에 결합할 수 있고, 제 2하우징(20a)은 지면과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 2하우징(20a)은 프레임(520) 및 프레임(530)이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방향(A)을 향하는 프레임(520)의 일 면에는 제 1케이싱(100)이 결합되는 체결공(25a)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520)의 내측에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톱니(300)가 설치될 수 있다. 톱니(300)는 구동축(310)에 의해 톱니(3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원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320)와 연결된다.
제 1케이싱(100)에 형성되는 랙기어(112)는 톱니(300)에 맞물려 제 1방향(A) 또는 제 2방향(B)을 향하여 수평운동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랙기어(112)는 제 1방향(A)을 향하는 프레임(520)의 일 면에 형성되는 체결홈(510)을 통과하여 프레임(520) 내측에 설치되는 톱니(300)에 맞물린다. 톱니(3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랙기어(112)는 제 1방향(A)을 향하여 움직이고, 톱니(3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랙기어(112)는 제 2방향(B)을 향하여 움직인다.
제 1방향(A)을 향하는 프레임(520)의 일 면에는 제 1케이싱(100)에 마련되는 돌기부(111)에 상응하도록 함몰된 형상의 가이드(500)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530)의 내측에는 송풍팬(30a)이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30a)은 모터축(31a)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모터축(31a)에 의해 송풍팬(30a)이 회전할 수 있도록 원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2a)와 연결된다. 송풍팬(30a)과 마주하고, 제 2방향(B)을 향하는 프레임(530)의 일 면에는 토출구(21a)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30a)은 프레임(530) 내측에 적어도 하나 마련될 수 있다.
제 1하우징(10a) 및 제 2하우징(20a)은 흡입구(11a)로 유입된 공기가 제 1케이싱(100)에 형성되는 제 1개구홀(120) 및 제 2케이싱(200)에 형성되는 제 2개구홀(230)을 차례로 통과하여 토출구(21a)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내부에 유로(80c,80d)를 형성할 수 있다. 유로(80c,80d)는 흡입구(11a)가 제 2케이싱(200)과 일체로 회전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송풍장치(1a)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2케이싱(200)에 마련되는 온도감지센서(40a) 및 습도감지센서(50a)가 주변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도록 구동장치(320)를 작동시켜 제 2케이싱(200)이 제 1케이싱(100)과 함께 제 1방향(A)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온도감지센서(40a)의 온도감지주기 및 습도감지센서(50a)의 습도감지주기를 변경하고, 온도감지센서(40a)가 감지한 주변 공기의 온도 및 습도감지센서(50a)가 감지한 주변 공기의 습도를 기초로 최적위치를 선정하여 제 2케이싱(200)에 마련되는 흡입구(11a)가 최적위치를 향하도록 구동장치(420)를 작동시킨다.
제 1하우징(10a) 또는 제 2하우징(20a)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송풍장치(1a)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송풍장치(1a)는 냉방운전, 난방운전 및 습도조절운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도 6a,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송풍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의 입력 측에는 온도감지센서(40a) 및 습도감지센서(50a)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의 출력 측에는 송풍팬(30a)을 구동시키는 모터(32a), 제 1케이싱(100)을 제 1방향(A) 또는 제 2방향(B)을 향하여 수평 운동시키는 구동장치(320) 및 흡입구(11a)를 제 2케이싱(200)과 일체로 회전시키는 구동장치(4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에는 온도감지센서(40a)에서 감지되는 주변공기의 온도 값 및 습도감지센서(50a)에서 감지되는 주변공기의 습도 값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송풍장치(1a)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냉방운전을 선택하면, 제 1하우징(10a)에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40a)가 작동하도록 구동장치(320)를 제어하여 제 1하우징(10a)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케이싱(100)이 제 2하우징(20a)에 마련되는 토출구(21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흡입구(11a)가 형성되는 제 2케이싱(200)과 함께 온도감지센서(40a)가 회전하도록 구동장치(420)를 제어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복수의 위치에서 온도감지센서(40a)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를 기초로 실내온도측정장치(미도시)에 의해 측정되는 실내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가지는 주변 공기의 위치를 흡입위치(최적위치)로 결정하고, 흡입구(11a)가 흡입위치에 놓이도록 구동장치(420)를 제어하여 제 2케이싱(200)을 회전시키고, 흡입위치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제 2하우징(20a)에 형성되는 토출구(21a)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송풍팬(30a)을 구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난방운전을 선택하면, 제 1하우징(10a)에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40a)가 작동하도록 구동장치(320)를 제어하여 제 1하우징(10a)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케이싱(100)이 제 2하우징(20a)에 마련되는 토출구(21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흡입구(11a)가 형성되는 제 2케이싱(200)과 함께 온도감지센서(40a)가 회전하도록 구동장치(420)를 제어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복수의 위치에서 온도감지센서(40a)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를 기초로 실내온도측정장치(미도시)에 의해 측정되는 실내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는 주변 공기의 위치를 흡입위치(최적위치)로 결정하고, 흡입구(11a)가 흡입위치에 놓이도록 구동장치(420)를 제어하여 제 2케이싱(200)을 회전시키고, 흡입위치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제 2하우징(20a)에 형성되는 토출구(21a)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송풍팬(30a)을 구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습도조절운전을 선택하면, 제 1하우징(10a)에 설치되는 습도감지센서(50a)가 작동하도록 구동장치(320)를 제어하여 제 1하우징(10a)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케이싱(100)이 제 2하우징(20a)에 마련되는 토출구(21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흡입구(11a)가 형성된 제 2케이싱(200)과 함께 온도감지센서(40a)가 회전하도록 구동장치(420)를 제어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고, 복수의 위치에서 습도감지센서(50a)에 의해 감지되는 습도를 실내습도측정장치(미도시)에 의해 측정되는 실내습도와 비교하여 실내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실내습도보다 낮은 습도를 가지는 주변 공기의 위치를 흡입위치(최적위치)로 결정하고, 실내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실내습도보다 높은 습도를 가지는 주변 공기의 위치를 흡입위치로 결정하고, 흡입구(11a)가 흡입위치에 놓이도록 구동장치(420)를 제어하여 제 2케이싱(200)을 회전시키고, 흡입위치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21a)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송풍팬(30a)을 구동시킬 수 있다.
냉방운전, 난방운전 및 습도조절운전 중 적어도 하나의 운전이 종료되면 구동장치(420)를 제어하여 제 1케이싱(100)을 토출구(21a)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1a) : 송풍장치 10(10a) : 제 1하우징
11(11a) : 흡입구 12 : 제 1지지축
20(20a) : 제 2하우징 21(21a) : 토출구
22 : 제 2지지축 25(25a) : 체결공
30(30a) : 송풍팬 31(31a) : 모터축
32(32a) : 모터 33,34,520,530 : 프레임
35 : 제 1개구부 36 : 제 2개구부
40(40a) : 온도감지센서 50(50a) : 습도감지센서
60 : 동작감지센서 70 : 이동부재
17,27,320,420 : 구동장치 80(80a,80b,80c,80d) : 유로
18,28,112 : 랙기어 19,29,300 : 톱니
17a,27a,310,410 : 구동축 100 : 제 1케이싱
110 : 격벽부 111 : 돌기부
120 : 홀 130 : 제 1개구홀
200 : 제 2케이싱 230 : 제 2개구홀
400 : 장착부 500 : 가이드
510 : 체결홈 210 : 수용부

Claims (27)

  1. 흡입구가 마련되고, 회전가능한 제 1하우징;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되는 제 2하우징;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2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마련되는 송풍팬; 및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 1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은,
    내부에 마련되는 제 1톱니;
    상기 제 1톱니가 회전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1톱니에 연결되는 제 1구동장치; 및
    상기 제 1톱니에 맞물려 움직이도록 내주면을 따라 마련되는 제 1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하우징은,
    내부에 마련되는 제 2톱니;
    상기 제 2톱니가 회전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2톱니에 연결되는 제 2구동장치; 및
    상기 제 2톱니에 맞물려 움직이도록 내주면을 따라 마련되는 제 2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센서가 감지한 주변 공기의 온도를 기초로 최적위치를 선정하여 상기 흡입구가 상기 최적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제 1구동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 및 각도를 변수로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온도감지주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제 1톱니에 맞물려 움직이는 상기 제 1랙기어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제 1하우징과 별개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2톱니에 맞물려 움직이는 상기 제 2랙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2하우징이 별개로 회전함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온도감지센서와 일체로 회전하고,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습도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흡입구와 인접하도록 상기 제 1하우징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2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는 지면과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2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하우징에 마련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감지센서는 상기 토출구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 2하우징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14. 흡입구가 마련되고, 회전가능한 제 1하우징;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흡입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제 1하우징과 결합하는 제 2하우징;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2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마련되는 송풍팬;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 1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제 1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온도감지센서와 일체로 회전하고,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제 2하우징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결합되어 상기 토출구와 멀어지는 제 1방향 또는 상기 토출구와 가까워지는 제 2방향을 향하여 움직이는 제 1케이싱; 및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 1케이싱 내부에 마련되는 제 2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습도감지센서는 상기 흡입구에 근접하도록 상기 제 2케이싱에 마련되고, 상기 제 2케이싱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는 상기 흡입구가 상기 제 2케이싱과 일체로 회전함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하우징 내부에는 제 1구동장치에 연결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제 1톱니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케이싱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홀; 및
    상기 복수의 홀을 구획하고, 상기 제 2하우징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복수의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격벽부 중 하나에는 상기 제 1케이싱이 상기 제 1방향 또는 상기 제 2방향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 1톱니에 맞물려 움직이는 제 1랙기어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격벽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 2하우징의 내주면에 함몰형성되는 가이드를 따라 움직이는 돌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케이싱과 이격되는 상기 제 1케이싱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2케이싱이 회전하도록 원동력을 제공하는 제 2구동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 2구동장치에 일 단부가 결합하는 구동축의 다른 단부는 상기 제 2케이싱이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2케이싱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습도감지센서가 주변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도록 제 1구동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온도감지센서가 감지한 주변 공기의 온도 및 상기 습도감지센서가 감지한 주변 공기의 습도를 기초로 최적위치를 선정하여 상기 흡입구가 상기 최적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제 2구동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 및 각도를 변수로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온도감지주기 및 상기 습도감지센서의 습도감지주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23. 흡입구가 형성된 제 1하우징과 함께 온도감지센서가 회전하도록 제 1구동장치를 제어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를 기초로 상기 흡입구가 위치되어야 할 흡입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흡입구가 상기 흡입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제 1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 1하우징을 회전시키고,
    상기 흡입위치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제 2하우징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송풍장치의 제어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하우징에 설치되는 동작감지센서가 회전하도록 제 2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 2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 2하우징에 형성되는 토출구가 상기 동작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위치를 향하게 하고,
    사용자를 향하여 공기가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송풍장치의 제어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습도감지센서가 상기 제 1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 1구동장치를 제어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습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습도를 기초로 상기 흡입구가 위치되어야 할 흡입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흡입구가 상기 흡입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제 1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 1하우징을 회전시키고,
    상기 흡입위치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 2하우징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송풍장치의 제어방법.
  26. 제 1하우징에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가 작동하도록 제 1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 1하우징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케이싱이 제 2하우징에 마련되는 토출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흡입구가 형성된 제 2케이싱과 함께 상기 온도감지센서가 회전하도록 제 2구동장치를 제어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를 기초로 상기 흡입구가 위치되어야 할 흡입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흡입구가 상기 흡입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제 2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 2케이싱을 회전시키고,
    상기 흡입위치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송풍장치의 제어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에 설치되는 습도감지센서가 작동하도록 상기 제 1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 1하우징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제 1케이싱이 상기 제 2하우징에 마련되는 상기 토출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제 2케이싱과 함께 상기 온도감지센서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 2구동장치를 제어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주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습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습도를 기초로 상기 흡입구가 위치되어야 할 흡입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흡입구가 상기 흡입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제 2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 2케이싱을 회전시키고,
    상기 흡입위치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송풍장치의 제어방법.
KR20130104680A 2013-09-02 2013-09-02 송풍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27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4680A KR20150027383A (ko) 2013-09-02 2013-09-02 송풍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4680A KR20150027383A (ko) 2013-09-02 2013-09-02 송풍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383A true KR20150027383A (ko) 2015-03-12

Family

ID=53022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4680A KR20150027383A (ko) 2013-09-02 2013-09-02 송풍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73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397A (ko) * 2017-01-02 2018-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KR20190044718A (ko) * 2017-10-20 2019-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볼텍스 튜브를 이용한 공기 조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397A (ko) * 2017-01-02 2018-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KR20190044718A (ko) * 2017-10-20 2019-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볼텍스 튜브를 이용한 공기 조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3208B2 (en) A fan assembly
KR101558575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
CN105910158B (zh) 一种带有除湿功能的浴霸
US20110319009A1 (en) Ceiling mounted air conditioner
ES2370105T3 (es) Unidad interior de climatizador.
TWI445911B (zh) dehumidifier
JP2016205750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090043232A (ko) 공기조화기
WO2013114700A1 (ja) 除湿機
JP2009058145A (ja) 空気調和機
JP2015224603A (ja) 扇風機
JP2016176481A (ja) 扇風機
KR20150027383A (ko) 송풍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34058A (ko) 공기조화기
KR20090116299A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JP5658836B1 (ja) 扇風機
JP2013040708A (ja) 空気調和機
CN106287975B (zh)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KR200432444Y1 (ko) 욕실용 환기와 난방기능을 갖는 건조장치
KR20100083911A (ko) 공기조화기
KR20170077660A (ko) 공기조화장치
JP2010145059A (ja) 空気調和機
JP5493755B2 (ja) 送風装置
CN212536163U (zh) 循环扇
JP3854566B2 (ja) 低騒音型室内送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