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977A - 포지셔닝 장치와, 이 포지셔닝 장치를 포함한 환자 지지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 - Google Patents

포지셔닝 장치와, 이 포지셔닝 장치를 포함한 환자 지지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977A
KR20150026977A KR20140114450A KR20140114450A KR20150026977A KR 20150026977 A KR20150026977 A KR 20150026977A KR 20140114450 A KR20140114450 A KR 20140114450A KR 20140114450 A KR20140114450 A KR 20140114450A KR 20150026977 A KR20150026977 A KR 20150026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positioning device
unit
patient
strip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4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본 칸디두스
다니엘 드리멜
후베르투스 피셔
볼프강 크라우스
토마스 쿤트너
마르틴 치간
슈테판 칭크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50026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5Mechanical aspects of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85Inflatable rests for lifting of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92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using markers or indicia for aiding patient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02Adjustable operating tables; Controls therefor
    • A61G13/08Adjustable operating tables; Controls therefor the table being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지지 장치 상에서의 환자의 지지 및/또는 포지셔닝을 보조하도록 설계된 포지셔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포지셔닝 장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유닛과, 환자 지지 장치에 포지셔닝 장치를 고정하도록 설계된 고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유닛은 2개 이상의 베어링 영역을 포함하며, 이때 제1 베어링 영역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제2 베어링 영역의 위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세팅될 수 있다.

Description

포지셔닝 장치와, 이 포지셔닝 장치를 포함한 환자 지지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POSITIONING APPARATUS AND PATIENT SUPPORT APPARATUS AND MEDICAL IMAGING APPARATUS WITH THE POSITION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포지셔닝 장치와, 이 포지셔닝 장치를 포함한 환자 지지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자의 의료 영상 진단은 상대적으로 한 시간 이상의 더 긴 시간이 요구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상기 기간 동안, 환자는 환자 지지 장치 상의 진단 위치에서 누운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동시에 최대한 움직임이 적어야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환자의 누운 자세의 재현성(reproducibility)을 유지하면서 환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더 안락감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을 통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환자 지지 장치 상에서 환자의 지지 및/또는 포지셔닝을 보조하도록 설계된 포지셔닝 장치를 기초로 하며, 상기 포지셔닝 장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유닛과, 환자 지지 장치에 포지셔닝 장치를 고정하도록 설계된 고정 유닛을 포함한다.
본원의 제안에 따라서, 베어링 유닛은 2개 이상의 베어링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제1 베어링 영역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제2 베어링 영역의 위치를 기준으로 세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 지지 장치 상에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의 안락감은, 바람직하게 포지셔닝 장치에 의해 베어링 영역들의 위치가 세팅될 수 있음으로써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방식으로 환자의 신체 구조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세팅이 조정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환자의 안락감도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영역들의 세팅이 가능함으로써, 세팅의 바람직한 재현성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포지셔닝 장치, 특히 포지셔닝 장치의 베어링 영역들은, 환자 다리를 포지셔닝하고, 그리고/또는 지탱하도록 설계된다. 오래 누워 있는 동안 및/또는 긴 진단 시간 동안 환자 다리를 쭉 뻗은 상태에서 지지하고, 그리고/또는 포지셔닝하는 것보다, 다리를 높게 올린 상태 및/또는 구부린 상태에서 환자는 더욱 편안하고 안락하다고 느낀다. 이를 위해, 포지셔닝 장치는 바람직하게, 환자 지지 장치 상에서, 특히 환자의 다리를 지지하기 위한 영역에서, 침상 또는 침상의 지지면 상에 포지셔닝됨으로써 환자, 특히 환자의 다리를 편안한 자세에서, 특히 높게 올린 자세 및/또는 구부린 자세에서 지지 및/또는 포지셔닝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설계된다.
추가로 제안되는 점에 따라서, 베어링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영역은 최대 1㎝의 두께를 가진 하나 이상의 베어링 부재(bearing element)를 포함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부재가 최대 5㎜,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의 두께를 보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환자 지지 장치의 침상의 예컨대 지지면과 하나 이상의 베어링 부재 사이에 실질적으로 단차가 없는 전환부가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포지셔닝 장치의 하나 이상의 베어링 부재는 침상의 지지면 상에 바람직하게 지지됨으로써, 그에 따라 환자가 누워있을 때 바람직하게 높은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지셔닝 장치는, 포지셔닝 장치의 2개 이상의 베어링 영역이 각각 하나 이상의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또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베어링 영역이 하나의 공통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외에, 포지셔닝 장치, 특히 베어링 부재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자기 공명 진단을 위해 침상 내부에 통합된 고주파 수신 유닛과 환자 사이의 이격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포지셔닝 장치를 이용하여 원하지 않는 신호 감쇠가 바람직하게 방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서 제안되는 점에 따라, 베어링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베어링 영역은, 평면 직물 구조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 부재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베어링 부재의 평면 직물 구조물에 의해, 하나 이상의 베어링 부재가 환자에 대해, 특히 환자의 다리 부위의 윤곽 및/또는 그 신체 구조에 맞게 바람직하게 조정될 수 있다. 그 외에, 상기 구현예를 통해, 환자를 지지하고, 그리고/또는 포지셔닝하기 위한 특히 얇고 가벼운 베어링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평면 직물 구조물이란, 특히 예컨대 천 및/또는 합성 직물, 및/또는 그물망, 및/또는 부직포와 같은 직물, 그리고/또는 당업자가 합당하다고 여기는 다른 평면 직물 구조물을 의미한다.
그 밖에도, 2개 이상의 베어링 영역은, 베어링 부재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중간 영역에 하나 이상의 홈을 가진 공통 베어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홈에 의해, 두 베어링 영역이 180°미만의 각도를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 베어링 영역과 제2 베어링 영역 사이에 평평하고 특히 모서리 없는 전환부가 달성됨으로써,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높은 안락감을 갖게 된다. 이를 위해, 하나 이상의 홈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베어링 영역과 제2 베어링 영역 사이의 전환 영역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를 위해, 공통 베어링 부재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가장자리 영역들에 배치되는 2개의 홈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홈 또는 홈들은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베어링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베어링 영역은 측면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스트립 부재를 가지며, 이 2개 이상의 스트립 부재는 베어링 영역의 서로 상이한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스트립 부재 사이에 베어링 부재가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포지셔닝 장치, 특히 포지셔닝 장치의 베어링 부재의 바람직한 안정성이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립 부재들은 프로파일 스트립 부재들로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당업자가 합당하다고 여기는 다른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유닛은, 양 스트립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버팀 부재(bracing element)를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특히 베어링 유닛이 하중을 받을 때, 두 스트립 부재 상호 간 상대 위치 및/또는 이격 간격의 바람직한 안정화가 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버팀 부재는 바람직하게 양 스트립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크로스 멤버의 형태를 갖는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버팀 부재는 포지셔닝 장치의 종방향 연장부의 방향으로 베어링 영역들의 중간 영역에 배치된다.
추가로 제안되는 점에 따라서, 버팀 부재는 연질 외피(soft sheathing)를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포지셔닝 장치 상에 포지셔닝 및/또는 지지 시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높은 안락감을 느낄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바람직하게는, 버팀 부재가 베어링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베어링 영역에서 지지면의 반대쪽 면에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환자의 지지 및/또는 포지셔닝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연질 외피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성 변형성을 보유함으로써, 환자를 지지할 때 환자의 무게 하중이 탄성 변형의 형태로 흡수될 수 있고, 환자가 포지셔닝 장치를 이탈하면 버팀 부재가 다시 초기 형상을 취하게 하는 버팀 부재의 외피를 의미한다. 예컨대 연질 외피는 발포재 및/또는 당업자가 합당하다고 여기는 다른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제안되는 점에 따라서, 베어링 영역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스트립 부재를 포함하고, 상이한 베어링 영역들의 스트립 부재들은 베어링 유닛의 동측에 상기 스트립 부재들의 종방향 연장부의 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된다. 이와 같이, 포지셔닝 장치의 개별 베어링 영역들 상호 간의 바람직한 상대 운동 및/또는 상대 세팅과, 그에 따라 환자의 신체 구조 및/또는 다리 위치에 맞춘 포지셔닝 장치의 조정이 매우 간단하게 달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유닛은 하나 이상의 피벗 베어링 유닛을 포함하며, 연이어 배치된 스트립 부재들 중 2개 이상의 스트립 부재가 상기 피벗 베어링 유닛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피벗 베어링 유닛은 피벗 조인트를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마찬가지로 포지셔닝 장치의 개별 베어링 영역들 상호 간에 바람직한 상대 운동 및/또는 상대 세팅과, 환자의 신체 구조 및/또는 다리 위치에 맞춘 포지셔닝 장치의 매우 간단한 조정이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그 외에도, 피벗 베어링 유닛에 의한 연결을 바탕으로 2개 이상의 베어링 영역의 위치가 동시에 세팅될 수 있음으로써, 하나 이상의 제1 베어링 영역의 위치의 세팅 시, 동시에 하나 이상의 제2 베어링 영역의 위치도 결정되며, 그에 따라 특히 의료 영상 진단을 위해 환자를 준비시키는 동안 매우 짧은 포지셔닝 시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서, 스트립 부재들 중 2개 이상의 스트립 부재는, 각각의 타측 스트립 부재의 반대편 단부에 각각의 일 단부 영역을 가지며, 제2 베어링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제1 베어링 영역의 상대 위치를 세팅하기 위해, 스트립 부재들의 양 단부 영역 사이의 이격 간격이 세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예컨대 두 베어링 영역이 환자 지지 장치의 눕는 면과 함께 삼각형 면을 에워쌈으로써, 2개 이상의 베어링 영역의 베어링 위치가 세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이한 스트립 부재들의 단부 영역들 사이의 이격 간격이 짧을수록, 환자 지지 장치의 침상의 지지면과 베어링 영역들 사이의 각도는 더 가파르게 되고, 그리고/또는 두 베어링 영역이 형성하는 각도는 더 작아진다.
상이한 스트립 부재들이, 이들의 단부 영역들 사이의 이격 간격이 최대일 때, 180°미만의 각도를 형성한다면,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작동 케이블에 의해, 베어링 영역들 상호 간 상대 위치의 경제적인 세팅이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베어링 부재의 지지면 반대쪽에 놓이는, 베어링 영역의 면에 배치되는 버팀 부재들에 의해, 환자의 지지 및/또는 포지셔닝의 방해도 바람직하게 방지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180°미만의 각도로 인해 환자 지지 장치의 눕는 면과 베어링 영역들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어, 이 공간 내에서 바람직하게 버팀 부재들이 베어링 영역들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추가의 제안에 따라서, 베어링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제2 베어링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제1 베어링 영역의 위치의 상대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세팅 유닛을 포함하며, 이 세팅 유닛은 공압식 세팅 유닛, 및/또는 전기식 세팅 유닛, 및/또는 기계식 세팅 유닛, 및/또는 유압식 세팅 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환자의 다리 부위의 지지 위치가 매우 간단하게 세팅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의료장비 조작자, 특히 의사 등은 환자 지지 장치, 특히 환자 지지 장치의 침상에서의 환자 지지 과정 및/또는 포지셔닝 과정 동안 보조를 받을 수 있다. 그 외에도, 포지셔닝 장치와 함께 세팅 유닛을 이용하여, 특히 환자의 다리 부위의 세팅된 지지 위치의 바람직한 재현성이 달성될 수 있다. 공압식 세팅 유닛은, 예컨대 공압 실린더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압식으로 구동되는 세팅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유압식 세팅 유닛은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식 세팅 유닛은, 작동 케이블 및/또는 당업자가 합당하다고 여기는 다른 기계식 세팅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식 세팅 유닛은, 예컨대 전기식 세팅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팅 유닛이 하나 이상의 작동 케이블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포지셔닝 장치 내부에서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도 공간을 절약하는 세팅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포지셔닝 장치는 특히 바람직하게, 자기 공명 장치를 이용한 자기 공명 진단을 포함하는 의료 영상 진단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기계식 세팅 유닛, 특히 작동 케이블 유닛에 의해 인가된 자계의 원하지 않는 감쇠가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기계식 세팅 유닛, 특히 작동 케이블 유닛이 자기 공명 호환 방식으로(magnetic resonance-compatible)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서 제안되는 점에 따라서, 세팅 유닛은, 제2 베어링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제1 베어링 영역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 부재(locking element)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베어링 영역 및/또는 제2 베어링 영역의 세팅 위치가 바람직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예컨대 상이한 의료 영상 진단들에서 항시 동일한 환자 진단 위치가 제공된다. 이 경우, 잠금 부재는, 잠금을 위해, 포지셔닝 장치의 하나 이상의 스트립 부재와의, 그리고/또는 당업자가 합당하다고 여기는, 포지셔닝 장치의 추가 유닛들 또는 부재들과의 래칭 결합(latching connection) 및/또는 클램핑 결합(clamping connection)에 관여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잠금 부재는 세팅 유닛의 내부에서 잠금 부재의 종방향 연장부의 방향으로, 그리고 잠금 부재의 종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잠금 부재의 간단한 고정 및/또는 잠금이 달성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잠금 부재는, 포지셔닝 장치의 세팅 부재 및/또는 미끄럼 베어링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제안되는 점에 따라서, 고정 유닛은 하나 이상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환자 지지 장치, 특히 환자 지지 장치의 침상에 포지셔닝 장치를 간단하고 직접적인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를 위해, 고정 유닛이 2개 이상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럼으로써 환자 지지 장치, 특히 환자 지지 장치의 침상에 포지셔닝 장치가 양측에 고정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매우 확실한 고정이 달성될 수 있다. 미끄럼 베어링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환자 지지 장치, 특히 환자 지지 장치의 침상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예컨대 침상이, L자형 횡단면을 갖는 슬라이딩 레일을 보유한 미끄럼 베어링 부재를 포함한다면, 포지셔닝 장치의 하나 이상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도 마찬가지로 L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포지셔닝 장치의 하나 이상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를 L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방식으로 포지셔닝 장치가 환자 지지 장치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그리고/또는 추락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추가로, 하나 이상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는, 스트립 부재들의 단부 영역들 중 하나에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매우 컴팩트한 포지셔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장치가 4개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를 가지며, 이들 미끄럼 베어링 부재 각각은 스트립 부재들 중 하나의 스트립 부재의 단부 영역에 배치된다. 이 경우, 미끄럼 베어링 부재들은, 제2 베어링 영역(203)의 반대편을 향하는, 제1 베어링 영역(202)의 스트립 부재들(205, 206)의 단부 영역들과, 제1 베어링 영역(202)의 반대편을 향하는, 제2 베어링 영역(203)의 스트립 부재들(205, 206)의 단부 영역들에 배치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의료 영상 장치의 내부에서의 의료 영상 진단을 위해 환자를 지지하도록 설계된 환자 지지 장치를 기초로 하며, 상기 환자 지지 장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을 구비한 침상과, 환자 지지 장치 상에서의 환자의 지지 및/또는 포지셔닝을 보조하도록 설계된 포지셔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포지셔닝 장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유닛과, 환자 지지 장치 상에 포지셔닝 장치를 고정하도록 설계된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유닛은 2개 이상의 베어링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제1 베어링 영역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제2 베어링 영역의 위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세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포지셔닝 장치에 의해 베어링 영역들의 위치가 세팅될 수 있음으로써, 환자 지지 장치 상에서 환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느끼는 안락감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세팅은 환자 개개인의 신체 구조에 맞추어 조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환자의 안락감이 증대될 수 있다. 추가로, 베어링 영역들의 세팅 가능성을 통해, 세팅의 바람직한 재현성이 가능하다.
환자 지지 장치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서, 침상은 포지셔닝 장치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를 포함한다. 그 결과, 환자 지지 장치, 특히 환자 지지 장치의 침상에 대한 포지셔닝 장치의 간단하면서도 직접적인 고정이 달성될 수 있다.
침상의 하나 이상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가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할 때, 포지셔닝 장치가 침상에 매우 간단하게 삽입 및/또는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하나의 슬라이딩 레일이 침상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며, 이 경우 슬라이딩 레일은 침상의 종방향 연장부의 방향으로 침상에 배치된다. 이 경우, 슬라이딩 레일은 L자형 횡단면을 갖는 그루브 형태의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은, 의료 영상 장치의 내부에서의 의료 영상 진단을 위해 환자를 지지하도록 설계된 환자 지지 장치를 구비한 의료 영상 장치도 포함하며, 상기 환자 지지 장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을 구비한 침상과, 환자 지지 장치 상에서의 환자의 지지 및/또는 포지셔닝을 보조하도록 설계된 포지셔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포지셔닝 장치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유닛과, 환자 지지 장치 상에 포지셔닝 장치를 고정하도록 설계된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유닛은 2개 이상의 베어링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제1 베어링 영역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제2 베어링 영역의 위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세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포지셔닝 장치에 의해 베어링 영역들의 위치가 세팅되고, 그리고/또는 환자 개개인의 신체 구조에 맞추어 조정될 수 있음으로써, 환자가 환자 지지 장치 상에 누운 상태에서 느끼는 안락감이 증대될 수 있다. 추가로, 베어링 영역들의 세팅 가능성을 통해, 세팅의 바람직한 재현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 장점들, 특징들 및 상세 내용은 하기에 기술된 실시예로부터, 그리고 도면에 따라서 제시된다.
도 1은, 환자 지지 장치를 포함한 의료 영상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포지셔닝 장치를 포함한 환자 지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추가 지지 위치에서의 포지셔닝 장치를 포함한 환자 지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추가 지지 위치에서의 포지셔닝 장치를 포함한 환자 지지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의료 영상 장치는 본 실시예에서 자기 공명 장치(10)로 형성된다. 그 대안으로, 의료 영상 장치는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PET 장치, C-암 장치, 및/또는 당업자가 합당하다고 여기는 의료 영상 장치의 또 다른 구성들도 포함할 수 있다.
자기 공명 장치(10)는 강력하면서도 특히 일정한 주 자계(13)를 생성하기 위한 주 자석(12)을 구비한 자석 유닛(11)을 포함한다. 그 외에도, 자기 공명 장치(10)는 환자(15)를 수용하기 위한 환자 수용 영역(1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환자 수용 영역(14)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자석 유닛(11)에 의해 원통형으로 에워싸인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원통형이 아닌 다른 형상의 환자 수용 영역(14)도 고려해볼 수 있다. 환자(15)는 자기 공명 장치의 환자 지지 장치(100)에 의해 환자 수용 영역(14) 내로 이동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자석 유닛(11)은, 영상 생성 동안 공간 부호화를 위해 이용되는 자계 경사를 생성하기 위한 경사 코일 유닛(16)을 포함한다. 경사 코일 유닛(16)은 자기 공명 장치(10)의 경사 자계 제어 유닛(17)에 의해 제어된다. 그 밖에도, 자석 유닛(11)은 고주파 안테나 유닛(18)과, 주 자석(12)에 의해 생성된 주 자계(13) 내에 설정된 분극을 여기하기 위한 고주파 안테나 제어 유닛(19)을 포함한다. 고주파 안테나 유닛(18)은 고주파 안테나 제어 유닛(19)에 의해 제어되며, 실질적으로 환자 수용 영역(14)에 의해 형성된 진단 공간 내로 고주파 자기 공명 시퀀스를 조사한다.
경사 자계 제어 유닛(17)의 주 자석(12)의 제어를 위해, 그리고 고주파 안테나 제어 유닛(19)의 제어를 위해, 자기 공명 장치(10)는 컴퓨터 유닛에 의해 형성된 제어 유닛(20)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20)은, 예컨대 사전 결정된 영상 경사 에코 시퀀스의 실행처럼, 자기 공명 장치(10)를 중앙에서 제어한다. 그 외에도, 제어 유닛(20)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분석 유닛도 포함한다. 예컨대 영상 매개변수와 같은 제어 정보 및 재구성된 자기 공명 영상들은, 자기 공명 장치(10)의 디스플레이 유닛(21), 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니터 상에 조작자를 위해 표시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자기 공명 장치(10)는, 측정 과정 중에 조작자가 정보 및/또는 매개변수를 입력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입력 유닛(22)을 포함한다.
환자 지지 장치(100)는 환자(15)의 지지 및/또는 포지셔닝을 위해 지지면(102)을 갖는 침상(101)을 포함한다. 침상(101)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에 따라, 환자(15)는 침상(101)에 의해 자기 공명 장치(10)의 환자 수용 영역(14) 내로 진입될 수 있다. 그 외에도, 환자 지지 장치(100)는 베이스 유닛(103)을 포함하며, 이 경우 침상(101)이 베이스 유닛(103)과 관련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를 위해, 환자 지지 장치(100)는, 베이스 유닛(103)과 관련하여 침상(101)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미끄럼 베어링 유닛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유닛(103)은 환자 수용 영역(14)을 에워싸는 자석 유닛(11)의 하우징 내부에 통합된다.
그 외에도, 환자 지지 장치(100)는, 환자(15)의 자기 공명 진단 중에 자기 공명 신호들을 검출하도록 설계되어 침상(101)의 내부에 통합된 고주파 안테나 수신 유닛(106)을 포함한다.
추가로, 환자 지지 장치(100)는, 환자 지지 장치(100) 상에서 환자(15)의 지지 및/또는 포지셔닝을 보조하도록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셔닝 장치(200)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포지셔닝 장치(200)는 침상(101) 위에, 특히 침상(101)의 지지면(102) 상에 배치된다. 도 2 내지 도 4에는, 포지셔닝 장치(200)와 함께 환자 지지 장치(100)의 침상(101)이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포지셔닝 장치(200)는, 환자(15)를 지탱하도록 설계된 베어링 유닛(201)을 포함한다. 베어링 유닛(201)은 본 실시예에서, 특히 환자(15)의 다리를 지탱하도록 설계된 2개의 베어링 영역(202, 203)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포지셔닝 장치(200)는 침상(101)의 지지면(102)의 다리 영역에 배치된다(도 2 내지 도 4). 기본적으로, 포지셔닝 장치(200)의 베어링 유닛(201)은 2개보다 많은 베어링 영역(202, 20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두 베어링 영역(202, 203) 모두, 여기서는 평면 직물 구조물을 보유한 하나의 공통 베어링 부재(204)를 포함한다. 평면 직물 구조물은 직물, 및/또는 그물망, 및/또는 편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통 베어링 부재는, 천 또는 헝겊으로 형성된 직물을 포함한다. 또한, 공통 베어링 부재(204)는 1㎝, 바람직하게는 5㎜, 더 바람직하게는 2.5㎜, 특히 바람직하게는 1㎜의 최대 두께를 보유하며, 그럼으로써 침상(101), 특히 침상(101)의 지지면(102)과 베어링 부재(204) 사이에 최대한 단차가 적은 전환부가 존재하게 된다(도 2 내지 도 4). 또한, 베어링 부재(204)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자기 공명 진단을 위해 침상(101) 내부에 통합된 고주파 안테나 수신 유닛(106)과 환자(15) 사이의 이격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포지셔닝 장치(200)를 이용하여 원하지 않는 신호 감쇠가 바람직하게 방지된다.
포지셔닝 장치(200)의 베어링 유닛(201), 특히 두 베어링 영역(202, 203)은, 베어링 영역들(202, 203)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들에 위치한 가장자리 영역들(207)에 배치된 2개의 스트립 부재(205, 206)를 각각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립 부재들(205, 206)은 프로파일 스트립들로 형성된다. 각각의 베어링 영역(202, 203)의 두 스트립 부재(205, 206) 사이에는 베어링 부재(204)가 배치되며, 이때 베어링 부재(204)는 스트립 부재들(205, 206)에 고정된다(도 2 내지 도 4).
그 외에도, 베어링 유닛(201)은 2개의 버팀 부재(208)를 포함하며, 이때 각각의 베어링 영역(202, 203)이 하나씩의 버팀 부재(208)를 포함한다(도 4). 베어링 영역들(202, 203) 각각의 두 스트립 부재(205, 206) 사이에는 버팀 부재(208)가 배치됨으로써, 베어링 영역들(202, 203)이 서로 상이한 위치에 있을 때에도, 그리고/또는 예컨대 환자(15)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이 서로 상이할 때에도, 두 스트립 부재(205, 206) 사이의 이격 간격은 항시 동일하게 유지된다. 버팀 부재들(208)은, 베어링 영역들(202, 203)의 두 스트립 부재(205, 206) 사이에서, 베어링 부재(204)의 지지면(209) 반대쪽 면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버팀 부재(208)는 연질 외피를 포함한다. 연질 외피는, 예컨대 발포재를 함유한 외피 및/또는 당업자가 합당하다고 여기는 다른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버팀 부재(208)의 외피가 자기 공명 호환 방식으로 형성된다.
의료 영상 진단 동안 환자(15)의 안락감을 증대시키기 위해, 2개의 베어링 영역(202, 203)이 서로에 대해 세팅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1 베어링 영역(202)의 위치는 제2 베어링 영역(203)의 위치를 기준으로 세팅될 수 있다. 제1 베어링 영역(202) 및 제2 베어링 영역(203)의 각각의 스트립 부재(205, 206)는 베어링 유닛(201)의 동측에 배치되며, 이때 두 스트립 부재(205, 206)는 이들 스트립 부재(205, 206)의 종방향 연장부(210)의 방향으로 연달아 배치된다. 연달아 배치된 두 스트립 부재(205, 206)는 베어링 유닛(201)의 피벗 베어링 유닛(211)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이를 위해 베어링 유닛(201)은 2개의 피벗 베어링 유닛(211)을 포함한다. 피벗 베어링 유닛들(211)은 제1 베어링 영역(202)의 각각의 스트립 부재(205, 206)와 제2 베어링 영역(203)의 각각의 스트립 부재(205, 206) 사이에 배치되며, 하나의 피벗 조인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피벗 베어링 유닛(211)은, 제1 베어링 영역(202)의 스트립 부재(205, 206)의 제2 베어링 영역(203)쪽 단부 영역과, 제2 베어링 영역(203)의 스트립 부재(205, 206)의 제1 베어링 영역(202)쪽 단부 영역에 배치된다(도 2 내지 도 4).
베어링 부재(204)는, 베어링 유닛(201)의 종방향 연장부(212)의 방향으로 중간 영역에 2개의 홈(213)를 포함한다. 상기 두 홈(213)는 본 실시예에서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베어링 부재(204)의 가장자리 영역(207)에 배치된다. 이 경우, 홈들(213)은, 베어링 유닛(201)의 영역 중 피벗 베어링 유닛들(211)이 배치되어 있는 곳에 배치된다.
추가로, 포지셔닝 장치(200)는, 환자 지지 장치(100)에 포지셔닝 장치(200)를 고정하도록 설계된 고정 유닛(214)을 포함한다. 고정 유닛(214)은, 침상(101)에, 특히 침상(101)의 지지면(102) 상에 포지셔닝 장치(2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21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유닛(214)은, 각각의 스트립 부재(205, 206)에 배치되는 4개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215)를 포함한다. 이 경우, 미끄럼 베어링 부재들(215)은, 스트립 부재들(205, 206) 각각의 일측 단부 영역으로서, 스트립 부재들(205, 206)의 종방향 연장부(210)의 방향으로 피벗 베어링 유닛(211)을 포함하는 스트립 부재들(205, 206)의 단부 영역 반대편에 놓인 단부 영역에 배치된다.
미끄럼 베어링 부재들(215)을 이용하여, 포지셔닝 장치(200)가 침상(101)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들(104) 내에 삽입되며, 이 경우 포지셔닝 장치(200)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들(215)은 침상(101)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들(104)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침상(101)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들(104)은, L자형 횡단면을 가진 그루브 형태로 형성된 2개의 슬라이딩 레일로 형성된다. 슬라이딩 레일들은 침상(101)의 종방향 연장부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침상(101) 지지면(102)의 각각의 가장자리 영역(105)에 배치된다. 그 외에도, 포지셔닝 장치(200)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들(215)은 L자형 웨브를 포함함으로써, 바람직한 슬라이딩 및 그와 더불어 고정 유닛(214)을 이용한 포지셔닝 장치(200)의 이탈 방지가 제공된다(도 2).
베어링 유닛(201)의 각각의 동일한 단부 영역에 제공된 미끄럼 베어링 부재들(215)은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축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또한, 개별 미끄럼 베어링 부재들(215)이 각각의 피벗 베어링 유닛에 의해 스트립 부재들(205, 206)에 지지됨으로써, 포지셔닝 장치(200)가 침상(101)에 지지된 위치에서 개별 베어링 영역들(202, 203)의 기울기 세팅이 가능하다. 그 외에도, 고정 유닛(214)은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이 고정 부재는 바람직하게 미끄럼 베어링 부재들(215) 중 하나에 배치되고, 환자 지지 장치(100), 특히 환자 지지 장치(100)의 침상(101)에 대한 포지셔닝 장치(200)의 상대 위치를 고정한다.
피벗 베어링 유닛들(211) 및 미끄럼 베어링 부재들(215)에 의해, 제2 베어링 영역(203)의 위치에 대한 제1 베어링 영역(202)의 상대 위치와, 환자 지지 장치(100)의 침상(101)에 대한 제1 및 제2 베어링 영역(202, 203)의 상대 위치가 세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벗 베어링 유닛들(211) 및 미끄럼 베어링 부재들(215)을 이용하여 두 베어링 영역(202, 203) 사이의 각도가 세팅된다. 이 경우, 두 베어링 영역(202, 203)이 상호 형성하는 각도가 작을수록, 미끄럼 베어링 부재들(215)에 의해 침상(101)에 지지되는 스트립 부재들(205, 206)의 단부 영역들의 이격 간격도 작아진다. 미끄럼 베어링 부재들(215)에 의해 침상(101)에 지지되는 스트립 부재들(205, 206)의 단부 영역들의 이격 간격에 따라, 침상(101)의 지지면(102)이 베어링 영역들(202, 203)의 지지면(209)과 형성하는 각도도 좌우된다. 미끄럼 베어링 부재들(215)에 의해 침상(101)에 지지되는 스트립 부재들(205, 206)의 단부 영역들의 이격 간격이 작을수록, 침상(101)의 지지면(102)이 베어링 영역들(202, 203)의 지지면(209)과 형성하는 각도도 더 작아진다.
포지셔닝 장치(200)가 환자(15)의 다리를 구부리고, 그리고/또는 환자(15)의 다리를 높게 위치시키는 동작을 보조하는 위치에 있을 때, 두 베어링 영역(202, 203)은 상호 바람직하게 170°미만의 각도를 형성한다. 이 위치에서는, 베어링 부재(204)의 홈들이, 제1 베어링 영역(202)과 제2 베어링 영역(203) 사이의 전환부를 평평하게 만들어 모서리가 없도록 하며, 그럼으로써 환자에게 편안함 및/또는 안락감을 주는 지지 및/또는 포지셔닝이 달성된다.
제2 베어링 영역(203)의 위치에 대한 제1 베어링 영역(202)의 상대 위치의 세팅을 위해, 베어링 유닛(201)은 세팅 유닛(216)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세팅 유닛(216)은 작동 케이블 유닛(217)을 구비한 기계식 세팅 유닛(216)을 포함한다(도 2). 이를 위해, 제2 베어링 영역(203)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1 베어링 영역(202)의 스트립 부재들(205, 206)의 단부 영역들과, 제1 베어링 영역(202)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베어링 영역(203)의 스트립 부재들(205, 206)의 단부 영역들에, 각각 하나씩의 원통형 세팅 부재(218)가 배치되며, 상기 원통형 세팅 부재는 스트립 부재들(205, 206)의 베어링 부재(204) 반대편 측면에서 상기 스트립 부재들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또한, 포지셔닝 장치(200)의 각각의 측면에 배치된 원통형 세팅 부재들(218) 중 하나는 스트립 부재들(205, 20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양측 원통형 세팅 부재(218)는 케이블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이때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원통형 세팅 부재(218)의 회전을 통해 케이블이 세팅 부재(218)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길 수 있고, 그에 따라 양측 원통형 세팅 부재(218) 사이의 이격 간격과, 그에 따른 스트립 부재들(205, 206)의 양 단부 영역 사이의 이격 간격도 세팅될 수 있다(도 3 및 도 4).
본 발명의 한 대안적 실시예에서, 세팅 유닛(216)은, 공압식 세팅 유닛(216), 및/또는 전기식 세팅 유닛(216), 및/또는 유압식 세팅 유닛(216), 및/또는 기계식 세팅 유닛(216)의 대안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공압식 세팅 유닛(216)은 예컨대 공압 실린더, 및/또는 예컨대 세팅 암과 같은 공압 작동식 세팅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식 세팅 유닛(216)은 예컨대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식 세팅 유닛(216)은 예컨대 전기 작동식 세팅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기계식 세팅 유닛(216)의 대안적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계식 세팅 유닛이 포지셔닝 장치(200)의 상이한 측면들만 배치되는 2개의 작동 케이블 유닛(217)을 포함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이 경우, 공압식 세팅 유닛, 및/또는 전기식 세팅 유닛, 및/또는 유압식 세팅 유닛은, 피벗 베어링 유닛(211)의 영역 및/또는 스트립 부재들(205, 206)에 배치될 수 있다.
침상(101)에서 제2 베어링 영역(203)의 위치에 대한 제1 베어링 영역(202)의 상대 위치의 세팅을 위해, 작동 케이블 유닛들(217)을 이용하여, 제2 베어링 영역(203)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1 베어링 영역(202)의 스트립 부재들(205, 206)의 단부 영역들 사이와, 제1 베어링 영역(202)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베어링 영역(203)의 스트립 부재들(205, 206)의 단부 영역들 사이의 이격 간격이 세팅된다. 스트립 부재들(205, 206)의 상기 단부 영역들 사이의 이격 간격이 최대인 위치에서, 제1 베어링 영역(202)은 제2 베어링 영역(203)과 180°미만의 각도를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두 베어링 영역(202, 203)이 약 170°의 각도를 형성하며, 그럼으로써 버팀 부재들(208)이 환자(15)의 지지 및/또는 포지셔닝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스트립 부재들(205, 206)의 단부 영역들 사이의 이격 간격이 최대인 위치에서는, 세팅 유닛(216)의 원통형 세팅 부재들(218) 중 하나의 회전을 통해, 스트립 부재들(205, 206)의 단부 영역들 사이의 이격 간격의 축소만 가능하다. 스트립 부재들(205, 206)의 단부 영역들 사이의 이격 간격이 최대 이격 간격에 상응하지 않는 위치에서는, 세팅 유닛(216)의 원통형 세팅 부재들(218) 중 하나의 회전을 통해, 스트립 부재들(205, 206)의 단부 영역들 사이의 이격 간격이 축소될 수도 있고 확장될 수도 있으며, 이는 회전 방향에 따라 좌우된다.
제2 베어링 영역(203)의 위치에 대한 제1 베어링 영역(202)의 세팅된 상대 위치의 고정 및/또는 잠금을 위해, 세팅 유닛(216)은 잠금 부재(219)를 포함한다. 잠금 부재(219)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원통형 세팅 부재(218)에 배치되고, 상기 세팅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그 결과, 잠금 부재(219)는, 잠금 부재(219)의 종축을 중심으로 하는, 그리고 그에 따라 원통형으로 형성된 세팅 부재(218)의 종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다. 또한, 잠금 부재(219)는 스트립 부재(205, 206)에 대해 자신의 종방향 연장부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된다.
고정 및/또는 잠금을 위해 잠금 부재(219)가 예컨대 4각형 횡단면을 가짐으로써, 잠금 부재(219)의 회전을 통해 상기 잠금 부재는 스트립 부재(205, 206)와 압착 고정된다. 또한, 잠금 부재(219)와 스트립 부재들(205, 206) 사이의 클램핑 결합 및/또는 래칭 결합이 수행되는 잠금 부재(219)의 또 다른 실시예들도 항시 고려될 수 있다.
포지셔닝 장치(200)를 자기 공명 장치(1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포지셔닝 장치(200)는 자기 공명 호환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환자 지지 장치(100) 및 도시된 자기 공명 장치(10)가 환자 지지 장치들 및 자기 공명 장치들이 통상적으로 포함하는 추가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점은 자명하다. 또한, 자기 공명 장치 및 환자 지지 장치의 일반적인 작동 원리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인 구성 요소들의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상세히 도시되고 기술되었다 해도,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상기 실시예들로부터 다른 변형예들이 도출될 수 있다.

Claims (21)

  1. 환자 지지 장치(100)에서의 환자(15)의 지지와 포지셔닝 중 어느 하나 또는 이 둘 모두를 보조하도록 설계된 포지셔닝 장치이며, 환자(15)를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유닛(201)과, 환자 지지 장치(100)에 포지셔닝 장치(200)를 고정하도록 설계된 고정 유닛(214)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유닛(201)은 2개 이상의 베어링 영역(202, 203)을 포함하고, 이때 제1 베어링 영역(202)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제2 베어링 영역(203)의 위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세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 영역들(202, 203) 중 하나 이상의 베어링 영역은, 최대 1㎝의 두께를 가진 하나 이상의 베어링 부재(2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베어링 영역들(202, 203) 중 하나 이상의 베어링 영역은, 평면 직물 구조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 부재(204)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베어링 영역(202, 203)은 하나의 공통 베어링 부재(204)를 가지며, 이 공통 베어링 부재(204)는 자신의 가장자리 영역(207)에서 중간 영역에 하나 이상의 홈(21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베어링 영역들(202, 203) 중 하나 이상의 베어링 영역은 측면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스트립 부재(205, 206)를 가지며, 이때 상기 2개 이상의 스트립 부재(205, 206)는 베어링 영역(202, 203)의 서로 상이한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스트립 부재(205, 206)의 사이에 베어링 부재(204)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베어링 유닛(201)은, 양 스트립 부재(205, 206)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버팀 부재(20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버팀 부재(208)는 연질 외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베어링 영역들(202, 203) 각각은 하나 이상의 스트립 부재(205, 206)를 포함하고, 상이한 베어링 영역들(202, 203)의 스트립 부재들(205, 206)은 베어링 유닛(201)의 동측에 상기 스트립 부재들(205, 206)의 종방향 연장부(210)의 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베어링 유닛(201)은 하나 이상의 피벗 베어링 유닛(211)을 포함하며, 연이어 배치된 스트립 부재들(205, 206) 중 2개 이상의 스트립 부재가 상기 피벗 베어링 유닛(211)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스트립 부재들(205, 206) 중 2개 이상의 스트립 부재는, 각각의 타측 스트립 부재(205, 206)의 반대편 단부에 각각의 일 단부 영역을 가지며, 제2 베어링 영역(203)의 위치에 대한 제1 베어링 영역(202)의 상대 위치를 세팅하기 위해, 스트립 부재들(205, 206)의 단부 영역들 사이의 이격 간격이 세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이한 스트립 부재들(205, 206)은, 이들의 단부 영역들 사이의 이격 간격이 최대일 때, 180°미만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베어링 유닛(201)은, 하나 이상의 제2 베어링 영역(203)의 위치에 대한 제1 베어링 영역(202)의 상대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세팅 유닛(216)을 포함하며, 상기 세팅 유닛(216)은 공압식 세팅 유닛, 전기식 세팅 유닛, 기계식 세팅 유닛, 및 유압식 세팅 유닛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세팅 유닛(216)은 하나 이상의 작동 케이블 유닛(2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세팅 유닛(216)은, 제2 베어링 영역(203)의 위치에 대한 제1 베어링 영역(202)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잠금 부재(2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219)는, 상기 잠금 부재(219)의 종방향 연장부의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잠금 부재(219)의 종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장치.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 유닛(214)은 하나 이상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2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215)는 스트립 부재들(205, 206)의 단부 영역들 중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장치.
  18. 의료 영상 장치 내부에서의 의료 영상 진단을 위해 환자(15)를 지지하도록 설계된 환자 지지 장치이며, 환자(15)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102)을 구비한 침상(101)과,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포지셔닝 장치(200)를 포함하는 환자 지지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침상(101)은, 포지셔닝 장치(200)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215)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침상(101)의 하나 이상의 미끄럼 베어링 부재(104)는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지지 장치.
  21. 제18항에 따른 환자 지지 장치(100)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
KR20140114450A 2013-09-03 2014-08-29 포지셔닝 장치와, 이 포지셔닝 장치를 포함한 환자 지지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 KR201500269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17536.1 2013-09-03
DE102013217536.1A DE102013217536A1 (de) 2013-09-03 2013-09-03 Positionierungsvorrichtung sowie eine Patientenlagerungsvorrichtung und eine medizinische Bildgebungsvorrichtung mit der Positionierungs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977A true KR20150026977A (ko) 2015-03-11

Family

ID=52470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14450A KR20150026977A (ko) 2013-09-03 2014-08-29 포지셔닝 장치와, 이 포지셔닝 장치를 포함한 환자 지지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065863A1 (ko)
KR (1) KR20150026977A (ko)
CN (1) CN104414640A (ko)
DE (1) DE1020132175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02918A1 (de) 2019-03-05 2020-09-10 Siemens Healthcare Gmbh Patientenlagerungs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3712A (en) * 1992-07-27 1993-08-10 David Jurus Pressure relief bed
BE1008249A6 (fr) * 1994-04-20 1996-02-27 Berthe Christian Table d'examen echocardiographique.
US5598592A (en) * 1995-11-13 1997-02-04 North America Rescue Products Easily decontaminated stretcher
US6615429B2 (en) * 1999-07-30 2003-09-09 Hill-Rom Services, Inc. Apparatus for positioning a patient-support deck
US6076210A (en) * 1999-05-14 2000-06-20 Modas Shing Company Mechanized foldable bed
DE20009909U1 (de) * 2000-06-02 2000-08-17 Schindler Rolf Lagerungshilfe zur tomographischen Funktionsuntersuchung der Lendenwirbelsäule
US6643873B2 (en) * 2001-04-27 2003-11-11 Hill-Rom Services, Inc. Patient support apparatus having auto contour
US20050059877A1 (en) * 2003-01-17 2005-03-17 Falbo Michael G. Imaging table support surface
US8195273B2 (en) * 2004-02-02 2012-06-05 Esaote S.P.A.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DE102004021972A1 (de) * 2004-05-04 2005-12-01 Siemens Ag Patientenliege und Verfahren zur reproduzierbaren Positionierung und Lagerung eines Patienten
US7520007B2 (en) * 2004-11-10 2009-04-21 Allen Medical Systems, Inc. Accessory rail clamp with latch and lock mechanisms
US20060236453A1 (en) * 2005-04-22 2006-10-26 Jao Chen-Chuan D R Equipment for moving patient without changing patient's pose
US7493667B2 (en) * 2006-06-01 2009-02-24 Ferko Iii Joseph G Foldable medical bed
JP2008131974A (ja) * 2006-11-27 2008-06-12 Showa Denko Kk 睡眠時呼吸障害等対応ベッド
US8282307B1 (en) * 2007-04-06 2012-10-09 Audubon Block Company Furniture joinery
KR100900878B1 (ko) * 2007-06-22 2009-06-04 한상욱 환자용 침대의 등판각도 조절장치
US7742562B2 (en) * 2007-06-27 2010-06-22 Accuray Incorporated Lower-torso assembly of a treatment couch useable in an X-ray environment
EP2182906B1 (en) * 2007-07-08 2011-11-09 Precision Automation and Robotics India Ltd. A wheel chair with commode for a patient that converts in to a bed
US8146599B2 (en) * 2008-06-17 2012-04-03 Civco Medical Instruments Co., Inc. Patient positioning system
CN201223400Y (zh) * 2008-07-28 2009-04-22 张保义 用于宫颈肿瘤电子束直接照射治疗的定位床
IT1391269B1 (it) * 2008-09-23 2011-12-01 Me Ber S R L Barella snodabile atraumatica
EP2186497B1 (en) * 2008-11-17 2013-05-08 Hill-Rom Services, Inc. Anthropometrically governed occupant support
US8893330B2 (en) * 2009-05-12 2014-11-25 Telestretch Ltd Foldable lightweight stretcher
US8513946B2 (en) * 2009-06-29 2013-08-20 Imris Inc. Movable table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DE102011007041B4 (de) * 2011-04-08 2016-07-21 Siemens Healthcare Gmbh Aufnahmeeinrichtung für ein Gelenk eines Menschen
AU2012318851B2 (en) * 2011-10-02 2018-06-07 Invacare Corporation Adjustable bed
KR101332019B1 (ko) * 2011-11-21 2013-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환자용 테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CN203059732U (zh) * 2013-01-21 2013-07-17 刘杰 摄片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217536A1 (de) 2015-03-05
US20150065863A1 (en) 2015-03-05
CN104414640A (zh)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tit et al. Functional anatomy of pursuit eye movements in humans as revealed by fMRI
US9848798B2 (en) Positioning apparatus
RU254015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здействия и/или детектирования магнитных частиц
RU2650413C2 (ru) Набор многозонных радиочастотных катушек для различающихся по размеру пациентов
EP2375976B1 (en) Arrangement with variable selection field orientation for magnetic particle imaging
JPH05228125A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JP5670407B2 (ja) Mri装置およびmri撮像方法
US9927502B2 (en) Respiration suppressing ma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JP4248434B2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US20200256937A1 (en) Radio-Frequency Coil Device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649779B1 (ko) 환자 지지 장치 및 환자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
KR20150026977A (ko) 포지셔닝 장치와, 이 포지셔닝 장치를 포함한 환자 지지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
US20060074305A1 (en) Patient multimedia display
Duenas et al. Neuroscience robotics to investigate multisensory integration and bodily awareness
US20210393219A1 (en) Complex spine-inspection support apparatus capable of multi posture correction
US20150061679A1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US20210059555A1 (en) MRI System Comprising Patient Motion Sensor
US11675032B2 (en) MR local coi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3202495U (ja) Mriデバイス向けの寸法調整可能な保護および固定スリーブ
KR102302646B1 (ko) 척추측만증을 예측 및 진단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50143633A1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and Medical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Patient Support Apparatus
JPH11113881A (ja) Mrイメージング装置
JP2001095772A (ja) 被検体用固定具、医用診断装置、及び核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Chen et al. Mechanical shear wave induced by piezoelectric ceramics for magnetic resonance elastography
JP2013198580A (ja) 診断用画像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