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945A -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945A
KR20150026945A KR20140113277A KR20140113277A KR20150026945A KR 20150026945 A KR20150026945 A KR 20150026945A KR 20140113277 A KR20140113277 A KR 20140113277A KR 20140113277 A KR20140113277 A KR 20140113277A KR 20150026945 A KR20150026945 A KR 20150026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touch
case
input
gl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3319B1 (ko
Inventor
장용석
오우연
Original Assignee
장용석
오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석, 오우연 filed Critical 장용석
Publication of KR20150026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면에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며, 하나 이상의 조작부를 갖는 이동단말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단말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의 후면이 안착되는 후면케이스와; 상기 후면케이스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케이스와; 상기 전면케이스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전면케이스가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부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는 투명창과; 상기 전면케이스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전면케이스로 수행되는 글로브 터치에 따른 입력이 이루어지는 터치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기에는 설정된 이벤트가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글로브 터치 기능을 활성화하며, 상기 글로브 터치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단말기의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이동단말기를 제어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글로브 터치 기능이 사용자가 의도한 상황에서만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글로브 터치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전면케이스를 개방하진 않은 상태로 전면케이스의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이동단말기의 각 기능을 수행하고, 그 결과 또는 이에 관련된 내용은 투명창을 통하여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전면케이스를 개방하지 않고도 이동단말기의 모든 기능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MOBILE DEVICE CASE COVER WITH GLOVE TOUCH FUNCTION}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글로브 터치 기능이 사용자가 의도한 상황에서만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글로브 터치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전면케이스를 개방하진 않은 상태로 전면케이스의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이동단말기의 각 기능을 수행하고, 그 결과 또는 이에 관련된 내용은 투명창을 통하여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전면케이스를 개방하지 않고도 이동단말기의 모든 기능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을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란,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PC와 같이 휴대형 전자기기를 통칭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컴퓨터와 근접한 기능 및 성능을 갖는 스마트폰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다.
상기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면의 거의 대부분을 디스플레이부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 디스플레이부는 입력과 출력이 같은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터치스크린 입력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디스플레이부의 대형화는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는 바람직하나, 외부로부터의 긁힘, 흠집, 파손에 대해 취약한 단점이 있으므로, 사용자들은 이를 위해 가죽, 압축종이,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케이스를 사용한다.
한편, 최근의 터치스크린은, 물리적인 압력에 의해 조작을 입력하던 감압 방식에서, 인체와의 접촉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조작을 입력하는 정전용량 방식, 그리고, 접촉이 아닌 근접 위치에서의 모션을 감지하여 조작을 입력하는 방식 등 그 기술이 다양하게 진화하는 추세에 있다.
한편, 최근에는 글로브 터치(Glove Touch)라 하여, 사용자가 장갑을 낀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글로브 터치는, 그 민감도를 낮게 설정하는 경우 글로브 터치 기능 자체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민감도를 높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의도하지 않은 동작에 의하여 사용자가 오히려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01923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한 이벤트가 실시되는 경우에 글로브터치 기능이 활성화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동작을 방지할수 있어 사용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글로브터치 기능이 동작할 때, 커버에 마련된 윈도우 창으로 출력이 스케일링되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커버를 젖히지 않고도 필요한 입력 및 기능을 수행 및 확인할 수 있는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 커버의 일측면에 입력부분을 한정하고, 이에 따른 입력공간을 인쇄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면에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며, 하나 이상의 조작부를 갖는 이동단말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단말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의 후면이 안착되는 후면케이스와; 상기 후면케이스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케이스와; 상기 전면케이스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전면케이스가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부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는 투명창과; 상기 전면케이스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전면케이스로 수행되는 글로브 터치에 따른 입력이 이루어지는 터치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기에는 설정된 이벤트가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글로브 터치 기능을 활성화하며, 상기 글로브 터치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단말기의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이동단말기를 제어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조작부를 통한 설정된 패턴의 입력이나, 상기 이동단말기로 통화신호 또는 메시지(SMS 또는 MMS)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상기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터치가 수행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글로브 터치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체 출력화면을 상기 투명창에 대응하는 크기로 축소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글로브 터치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내용을 상기 투명창에 대응하는 위치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글로브 터치를 활성화시킨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조작화면을 추출하여 상기 투명창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명창으로 출력된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패턴이 상기 터치입력부에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입력패턴은 문자입력을 위한 키보드 패턴, 마우스 입력을 위한 마우스 패턴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소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 입력패턴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입력패턴이 수행되면, 상기 입력패턴에 대응하는 상기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에 의하면, 글로브 터치 기능이 사용자가 의도한 상황에서만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글로브 터치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전면케이스를 개방하진 않은 상태로 전면케이스의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이동단말기의 각 기능을 수행하고, 그 결과 또는 이에 관련된 내용은 투명창을 통하여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전면케이스를 개방하지 않고도 이동단말기의 모든 기능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설정된 이벤트가 수행되는 경우에 글로브 터치 기능이 활성화되므로, 글로브 터치의 민감도를 높여 입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의도하지 않는 입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 및 이동단말기의 구성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와, 이동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의 전면케이스 측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터치 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케이스(1)는, 이동단말기(100)의 후면이 안착되는 후면케이스(10)와, 후면케이스(10)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단말기(100)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케이스(30)와, 전면케이스(30)의 일측에 마련된 투명창(31)과, 전면케이스(30)의 타측에 마련된 터치입력부(35)를 포함하고, 이동단말기(100)에는 설정된 이벤트가 수행되는 경우 글로브 터치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글로브 터치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이동단말기(100)의 제어부(120)에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150)이 설치된다.
이하, 구성별로 설명한다.
이동단말기(100)는, 전면에 터치스크린(110)을 구비하여, 하나 이상의 조작부(130)를 갖는다.
이동단말기(100)는 글로브 터치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아이폰이나 갤럭시 등과 같이 스마트폰으로 마련될수도 있고, 아이패드 또는 갤럭시탭 등과 같은 태블릿 PC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동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10)은 반드시 전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일부영역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조작부(130)는 이동단말기(100)에 조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물리적인 버튼(또는 키)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의 on/off 버튼이나, 볼륨조절버튼, 일반적으로 이동단말기(100)의 전면 하단부에 마련되는 기본조작 버튼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단말기 케이스(1)는 후면케이스(10)와, 전면케이스(30)를 포함하며, 전면케이스(30)는 투명창(31)과, 터치입력부(35)를 포함한다.
후면케이스(10)는 이동단말기(100)의 후면이 안착된다.
후면케이스(10)는 전면케이스(30)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후면케이스(10)는 경질의 수지로 마련된다.
전면케이스(30)는 후면케이스(10)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단말기(100)의 전면을 개폐한다.
전면케이스(30)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전도성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글로브 터치에 의한 입력이 터치스크린(110)으로 전달 또는 감지될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너무 두껍지 않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창(31)은 전면케이스(30)의 일측에 마련되어 전면케이스(30)가 이동단말기(100)의 전면을 덮은 상태에서 터치스크린(110)의 일부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투명창(31)의 위치 및 크기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케이스(30)의 상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하부 일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투명창(31)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투명창(31)은 전면케이스(30)의 일측에 개구부의 형태로 마련되어 지며, 필요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투명재질로 차단할 수 있다.
터치입력부(35)는 전면케이스(30)의 타측에 마련되어 전면케이스로 수행되는 글로브 터치에 따른 입력이 이루어진다.
터치입력부(35)는 투명창(31)을 제외한 전면케이스(30)의 전부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케이스(30)의 일부영역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터치입력부(35)는, 도 2와 같이, 1개 영역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2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마련될수 있음은 물론이다.
터치입력부(35)는, 글로브 터치가 활성화된 경우, 글로브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영역으로, 사용자가 터치입력부(35)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전면케이스(30) 일측에 표시될 수 있다.
터치입력부(35)는, 예를들어, 투명창(31)으로 출력된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패턴(35a, 35b, 35c)이 전면케이스(30)의 표면에 인쇄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패턴(35a, 35b, 35c)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입력을 위한 키보드 패턴(35a, 35b), 마우스입력을 위한 마우스 패턴(35c)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150)은, 글로브 터치가 활성화되면, 전면케이스(30)에 인쇄된 입력패턴(35a, 35b, 35c)에 대응하여, 각 입력위치에 글로브 터치가 수행되면 해당 입력패턴에 설정된 문자 또는 위치가 입력될 수 있도록 제어부(120)에 입력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문자(sms)를 작성하려고 하는 경우, 키보드패턴(35a)의 특정 위치를 글로브 터치하면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문자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여 해당 문자신호를 제어부(120)로 전달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입력패턴(35a, 35b, 35c)은 터치스크린(110) 자체에 형성되는 가변 키보드(문자입력시 노출되는 키보드)의 위치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150)은 이동단말기(100)에 결합되는 이동단말기 케이스(1)의 품번을 입력받으면, 해당 이동단말기(100)의 기종정보와 함께 터치입력부(35)에 인쇄된 입력패턴(35a, 35b, 35c)의 종류와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글로브 터치가 활성화되면 터치스크린(1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정보의 종류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50)은 이동단말기(100)에 설치되며, 이벤트가 수행되는 경우에 글로브 터치 기능을 활성화한다.
따라서, 글로브 터치의 민감도를 높여 입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의도하지 않는 입력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작부(130)를 통한 설정된 패턴의 입력이나, 이동단말기(100)로 통화신호 또는 메시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터치입력부(35)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터치가 수행되는 경우로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130)를 통한 이벤트는, 예를 들어, 볼륨키를 3초 이상 누르는 경우나, 빠르게 2번 누르는 경우, 볼륨키와 전원키를 같이 누르는 경우 등 하나의 조작부(130)에서의 패턴설정이나 2이상의 조작부(130)를 동시에 조작하는 방법 등으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벤트는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나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글로브 터치가 활성화될 수 있는 바, 이를 통해, 전면케이스(30)를 개방하지 않고도 통화 선택 또는 거부를 선택하거나, 수신된 문자를 확인하고 이에 대하여 답신을 하는 등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50)은 글로브 터치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이동단말기(100)의 제어부(120)로 전달하여 이동단말기(100)을 제어한다.
어플리케이션(150)은 통상 스마트폰에 다운 받아 설치하는 프로그램으로 마련되며, 이동단말기 케이스(1)는 적용되는 이동단말기(100)에 따라서 크기, 모양 및 투명창(31)과 터치입력부(35)의 모양이 달라지므로 이동단말기 케이스(1)의 품번 등에 따라 설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150)은 소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 입력패턴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후 터치입력부(35)를 통하여 상기 입력패턴이 수행되면, 상기 입력패턴(35a, 35b, 35c)에 대응하는 상기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150)을 구동한 상태에서 특정 패턴 예를 들어, '~'표시에 대하여는 '주소록' 열기 등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통상 특정 단축키에 대하여 특정 기능을 설정하는 절차와 유사하게 마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50)은 상기 글로브 터치가 활성화되는 경우, 터치스크린(110)의 전체 출력화면을 투명창(31)에 대응하는 크기로 축소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면케이스(30)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로 이동단말기(100)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것이므로, 입력은 터치입력부(35)를 통하여 입력하되, 입력에 따른 결과나 입력선택을 위한 내용 또한 전면케이스(30)가 닫힌 상태로 투명창(31)을 통하여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또는, 어플리케이션(150)은, 터치입력부(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내용을 투명창(31)에 대응하는 위치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 투명창(31)에 입력된 문자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마우스 입력패턴(35b)를 통해 필기체로 입력하는 경우에도, 그 입력결과는 투명창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150)은, 상기 글로브 터치를 활성화시킨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조작화면을 추출하여 투명창(31)에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발신자 정보에 대한 내용이 투명창에 표시되며, 터치입력부(35)를 통하여 수신선택을 하면 수신통화시간이 투명창(31)에 표시되도록 하고, 수신거절을 하는 경우, 수신거절 메시지가 투명창(31)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일차적으로 글로브 터치 기능이 사용자가 의도한 상황에서만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글로브 터치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전면케이스를 개방하진 않은 상태로 전면케이스의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이동단말기의 각 기능을 수행하고, 그 결과 또는 이에 관련된 내용은 투명창을 통하여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전면케이스를 개방하지 않고도 이동단말기의 모든 기능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실시예 이외에도 상기 요지에 해당하는 다양한 변형된 실시예들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둔다.
1 :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
10 : 후면케이스
30 : 전면케이스 31 : 투명창
35 : 터치입력부
100 : 이동단말기
110 : 터치스크린 120 : 제어부
130 : 조작부

Claims (8)

  1. 전면에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며, 하나 이상의 조작부를 갖는 이동단말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단말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의 후면이 안착되는 후면케이스와;
    상기 후면케이스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케이스와;
    상기 전면케이스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전면케이스가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부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는 투명창과;
    상기 전면케이스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전면케이스로 수행되는 글로브 터치에 따른 입력이 이루어지는 터치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기에는 설정된 이벤트가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글로브 터치 기능을 활성화하며, 상기 글로브 터치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단말기의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이동단말기를 제어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조작부를 통한 설정된 패턴의 입력이나, 상기 이동단말기로 통화신호 또는 메시지(SMS 또는 MMS)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상기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터치가 수행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브 터치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체 출력화면을 상기 투명창에 대응하는 크기로 축소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브 터치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내용을 상기 투명창에 대응하는 위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글로브 터치를 활성화시킨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조작화면을 추출하여 상기 투명창에 출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
  6. 제3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으로 출력된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패턴이 상기 터치입력부에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패턴은 문자입력을 위한 키보드 패턴, 마우스 입력을 위한 마우스 패턴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소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 입력패턴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입력패턴이 수행되면, 상기 입력패턴에 대응하는 상기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
KR1020140113277A 2013-08-28 2014-08-28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 KR101593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154 2013-08-28
KR20130102154 2013-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945A true KR20150026945A (ko) 2015-03-11
KR101593319B1 KR101593319B1 (ko) 2016-02-11

Family

ID=53022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277A KR101593319B1 (ko) 2013-08-28 2014-08-28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3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7639A (ja) * 1995-04-26 1996-11-12 Nec Corp 携帯用電子機器
JP2003186613A (ja) * 2001-12-21 2003-07-04 Fujitsu Ltd 文字入力装置
JP2003216299A (ja) * 2002-01-21 2003-07-31 Hitachi Ltd 保護カバー付携帯情報端末
KR101201923B1 (ko) 2012-02-14 2012-11-15 김지웅 터치입력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용 보호커버
KR200464076Y1 (ko) * 2012-08-03 2012-12-10 주식회사 플래텍 터치 신호 전달이 가능한 투명창이 구비된 휴대폰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7639A (ja) * 1995-04-26 1996-11-12 Nec Corp 携帯用電子機器
JP2003186613A (ja) * 2001-12-21 2003-07-04 Fujitsu Ltd 文字入力装置
JP2003216299A (ja) * 2002-01-21 2003-07-31 Hitachi Ltd 保護カバー付携帯情報端末
KR101201923B1 (ko) 2012-02-14 2012-11-15 김지웅 터치입력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용 보호커버
KR200464076Y1 (ko) * 2012-08-03 2012-12-10 주식회사 플래텍 터치 신호 전달이 가능한 투명창이 구비된 휴대폰 보호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319B1 (ko)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56740B1 (en) Using touchscreen by pointing means
JP5676131B2 (ja) 携帯電子機器
KR101115467B1 (ko) 가상 키보드 제공 단말 및 그 방법
KR10177297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20060084482A1 (en) Electronic hand-held device with a back cover keypad and a related method
US201100505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aptive touch screen display
KR20110006180A (ko) 이동 단말기
JP2013238935A (ja) 入力装置、入力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EP2584427A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4406366U (zh) 具有触控按键的便携式电子装置
CN105744016A (zh) 保护套及应用该保护套的电子装置组件
US10126843B2 (en) Touch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120030840A (ko) 가상 키보드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
TW201741814A (zh) 視窗控制方法及行動終端
KR101140508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WO2019047930A1 (zh) 实体键盘输入系统、键盘输入方法及存储介质
KR101593319B1 (ko)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
KR20100054944A (ko) 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1851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0436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N104750364A (zh) 一种智能电子设备上的文字和信号输入方法及设备
JP201416771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180086U (ja) タッチパネル式小型端末用操作具
CN104615258A (zh) 一种键盘、电子设备及控制方法
KR20220064928A (ko) 커버 케이스 기반의 하이브리드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