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128A -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26128A KR20150026128A KR20130104523A KR20130104523A KR20150026128A KR 20150026128 A KR20150026128 A KR 20150026128A KR 20130104523 A KR20130104523 A KR 20130104523A KR 20130104523 A KR20130104523 A KR 20130104523A KR 20150026128 A KR20150026128 A KR 201500261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tain
- door
- connecting rod
- door trim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커튼을 상부 커튼부와 하부 커튼부로 분할하고, 각 커튼부를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 커튼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도어 트림를 탈거할 필요없이 도어 트림에서 커튼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가 소개된다.
이로 인해, 도어 커튼의 교체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고, 작업 시간도 감소되며, 도어 커튼을 누구나 쉽게 교체가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커튼을 교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어 커튼의 교체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고, 작업 시간도 감소되며, 도어 커튼을 누구나 쉽게 교체가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커튼을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 트림 내부에 장착되어 도어 글라스로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커튼에 관한 것으로, 커튼의 손상 및 이물질에 의해 교체가 필요할 경우 커튼을 도어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 글라스는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투명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햇빛과 같은 강한 빛이 글라스를 통해 실내에 그대로 조사된다. 이처럼, 도어 글라스는 투명한 유리로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 외부에서 내부를 누구든지 자유롭게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차량에는 도어 글라스에 커튼을 설치하여 강한 빛이 차량 실내로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차량 실내를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하여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 커튼은 도 1 내지 2에서 볼 수 있듯이, 도어트림(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일정 공간에 설치되는 커튼하우징(20)과, 커튼하우징(20)의 내부에 권취롤(30)에 연결되어 롤 형태로 감져진 커튼(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커튼(40)은 도어 트림(10) 내측에서 인출하여 상방으로 전개한 후 도어 프레임(50)의 상단에 고정시킴으로써 도어 글라스를 덮도록 구성된다. 커튼(40)의 미사용시에는 커튼(40)을 도어 프레임(50)에서 이탈시키면 권취롤(30)의 복원력에 의해 롤 형태로 감기면서 원복된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 커튼은 햇빛을 가리는 것을 주목적으로 사용되기에, 커튼은 초기 제작시 검은색 및 공급자가 지원한 패턴으로 디자인이 결정된다. 이로 인해, 어린이가 있는 가정의 경우 밝은 색 또는 캐릭터가 있는 디자인의 커튼을 사용하고자 하고, 계절별, 색상 변경 등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커튼에 오염 및 손상이 발생되어 커튼을 교체해야할 경우 커튼이 도어 트림 내측에 설치된 권취롤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임의로 도어 커튼을 변경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커튼의 손상 및 이물질의 발생시 사용자가 도어 커튼을 임의로 쉽게 교체 가능한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는 도어 트림 내부에 설치된 권취롤에 연결되어 감김 및 풀림에 따라 도어 트림의 상단으로 인입 및 노출되는 커튼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튼은 권취롤에 연결된 하부 커튼부와 인출시 도어 글라스를 덮도록 형성된 상부 커튼부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부 커튼부의 하단과 하부 커튼부의 상단을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커튼의 상부 커튼부에는 도어 트림 상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손잡이부는 도어 상단 프레임에 형성된 후크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는 상부 커튼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축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봉과 하부 커튼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슬라이드봉을 감싸도록 형성된 연결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의 연결봉은 축방향의 양끝단이 개통되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드 봉이 연결봉의 축방향으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봉의 양끝단에는 개통된 부분을 덮도록 형성된 고정 캡이 마련되어 슬라이드봉이 연결봉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슬라이딩을 제한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 캡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연결봉의 끝단에는 고정 캡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는 도어 커튼을 상부 커튼부와 하부 커튼부로 분할하고, 각 커튼부를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 커튼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도어 트림를 탈거할 필요없이 도어 트림에서 커튼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어 커튼의 교체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고, 작업 시간도 감소되며, 도어 커튼을 누구나 쉽게 교체가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커튼을 교체할 수 있다.
도 1 내지 2는 종래의 도어 커튼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5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의 연결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의 고정 캡의 조립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의 커튼 및 연결기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5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의 연결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의 고정 캡의 조립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의 커튼 및 연결기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5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의 연결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의 고정 캡의 조립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의 커튼 및 연결기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는 도어 트림 내부에 설치된 권취롤(30)에 연결되어 감김 및 풀림에 따라 도어 트림(10)의 상단으로 인입 및 노출되는 커튼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커튼(100)은 권취롤(30)에 연결된 하부 커튼부(120)와 인출시 도어 글라스를 덮도록 형성된 상부 커튼부(140)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부 커튼부(140)의 하단과 하부 커튼부(120)의 상단을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기구(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커튼(100)은 도어 트림(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일정 공간에 설치되는 커튼하우징(20)과, 커튼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된 권취롤(30)에 연결되어 롤 형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커튼(100)은 도어 트림(10) 내부에 설치된 권취롤(30)에 연결되는 하부 커튼부(120)와 커튼 전개시 도어 글라스를 덮도록 형성된 상부 커튼부(140)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상부 커튼부(140)와 하부 커튼부(120)를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기구(20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튼(100)의 전개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상부 커튼부(140)가 될 수 있으며, 하부 커튼부(120)는 도어 트림(10) 내측에 권취롤(30)에 연결되어 일반적인 커튼(100) 전개시에는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 커튼부(140)와 하부 커튼부(120) 중 실질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은 상부 커튼부(140)로서,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어 디자인을 변경하거나 이물질 및 손상에 의해 커튼(100)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상부 커튼부(140)를 교체하도록 구성된다.
즉, 하부 커튼부(120)는 권취롤(30)에 연결되어 상부 커튼부(140)가 인입 및 노출되도록 하는 연결수단으로 작용하고, 상부 커튼부(140)는 외부로 노출되어 햇빛 차단기능을 수행하는 차광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커튼(100)의 상부 커튼부(140)에는 도어 트림(10) 상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 손잡이부(142)가 구비되고, 손잡이부(142)는 도어 상단 프레임(50)에 형성된 후크(도 1의 도면부호:60)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어 트림(1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은 상부 커튼부(140)이며, 상부 커튼부(140)는 전개된 후 도어 상단 프레임에 걸리도록 구성하여 전개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부 커튼부(140)에는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42)가 마련되고, 손잡이부(142)는 도어 트림 상단에 노출되도록 한다. 한편, 도어 상단 프레임에는 전개된 상부 커튼부(140)가 걸리어 전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후크(60)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상부 커튼부(140)의 손잡이부(142)를 잡고 상방을 향해 당겨주면 도어 트림 내부에 설치된 권취롤(30)에 감겨진 상부 커튼부(140) 및 하부 커튼부(120)가 풀리면서 도어 트림(10) 상측으로 인출되고, 상부 커튼부(140)의 손잡이부(142)를 도어 상단 프레임의 후크(60)에 걸어줌으로써 상부 커튼부(140)의 전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튼(100)의 전개시 도어 글라스를 덮도록 노출되는 부분은 상부 커튼부(140)이며, 하부 커튼부(120)는 권취롤(30)에 아직 감겨져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즉, 커튼(100)을 도어 트림(10)의 상방으로 하부 커튼부(120)이 감겨져 있는 만큼 더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부 커튼부(140)의 하단과 하부 커튼부(120)의 상단을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기구(200)는 하부 커튼부(120)와 함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되 상부 커튼부(140)가 전개된 상태에서 더 당겨주는 동작을 통해 귄취롤(30)에 감겨진 하부 커튼부(120)가 풀리어 인출되면서 하부 커튼부(120)와 함께 도어 트림(10)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외부로 노출된 연결기구(200)를 통해 상부 커튼부(140)와 하부 커튼부(120)를 분리함으로써 도어 커튼(100)의 교체가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연결기구(200)의 구조에 관해서는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여기서, 연결기구(200)를 통한 상부 커튼부(140)와 하부 커튼부(120)의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커튼(100)이 최대로 전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어 프레임의 상단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설치할 수 있으며, 상부 커튼부(140)와 분리된 하부 커튼부(120)가 권취롤(30)에 탄성 복귀력에 의해 도어 트림(10)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 트림(10)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들은 후크, 걸림쇠 등 다양한 기구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어 커튼(100)의 상부 커튼부(140)와 하부 커튼부(120)를 연결하는 연결기구(2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연결기구(200)는 상부 커튼부(140)의 하단에 연결되어 축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봉(240)과 하부 커튼부(120)의 상단에 연결되고 슬라이드봉(240)을 감싸도록 형성된 연결봉(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기구(200)의 연결봉(220)은 축방향 양끝단이 개통되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드 봉(240)이 연결봉(220)의 축방향으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단, 연결봉(220)은 슬라이드봉(240)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슬라이드봉(240)에 연결된 상부 커튼부(140)와 일정 갭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봉(240)은 연결봉(220)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이탈시킴으로써 상부 커튼부(140)와 하부 커튼부(120)를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는데, 연결봉(220)이 슬라이드봉(240)에 연결된 상부 커튼부(140)까지 감싸 잡아주도록 형성될 경우 슬라이드봉(140)의 슬라이딩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부 커튼부(140)와 슬라이드봉(240)의 연결 및 하부 커튼부(120)와 연결봉(220)의 연결시 본딩, 열융착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상기의 연결봉(220)과 슬라이드봉(240)은 상부 커튼부(140)와 하부 커튼부(120)의 분리가 필요하지 않은 일상적인 상태에서는 슬라이드봉(240)이 연결봉(240)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제한해야 하는바, 상기 연결봉(220)의 양끝단에는 개통된 부분을 덮도록 형성된 고정 캡(260)이 마련하도록 한다.
이렇게, 고정 캡(260)을 연결봉(220)의 양끝단에 끼움으로써 연결봉(220)의 내측에 조립된 슬라이드봉(240)의 슬라이딩을 제한하여 연결봉(2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고정 캡(26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262)이 형성되고, 연결봉(220)의 끝단에는 고정 캡(260)의 나사산(262)에 대응되는 나사산(2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캡(260)과 연결봉(220)에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222,262)을 형성하여 나사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 캡(260)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하며, 고정 캡(260)이 연결봉(220)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캡(26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캡(260)을 와이어와 같은 연결수단(224)을 이용하여 연결봉(220)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봉(240)이 연결봉(220)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 연결봉(220)의 양끝단에 걸쇠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두 부재 간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기술 수단이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는바, 슬라이드봉(240)과 연결봉(220)의 슬라이딩을 제한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일상적으로 도어 커튼(10)을 사용시 사용자가 상부 커튼부(140)의 손잡이부(142)를 이용해 상방으로 당겨주면 권취롤(30)의 풀림 동작을 통해 상부 커튼부(140)가 도어 트림(10)의 상방으로 인출된다.
이렇게, 상방을 향해 인출된 상부 커튼부(140)를 도어 프레임의 후크(60)에 걸어주어 상부 커튼부(140)의 전개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햇빛의 차단 및 외부에서 실내를 자유롭게 보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기구(200) 및 하부 커튼부(120)는 도어 트림(10)의 상단에 노출되는 않은 상태로 상부 커튼부(140) 만이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이물질 및 손상,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어 도어 커튼(100)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커튼(100)의 교체 작업에 대해서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부 커튼부(140)를 전개 상태보다 더 당겨줌으로써 권취롤(30)에 감긴 하부 커튼부(120)가 풀리어 도어 트림(10) 상측으로 노출된다. 이로 인해, 상부 커튼부(140)와 하부 커튼부(120)를 연결하는 연결기구(200)가 도어 트림(10) 상측으로 노출되고, 연길기구(200)의 연결봉(220) 양끝단에 체결된 고정 캡(260)을 탈거 후 슬라이드봉(240)을 축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연결봉(220)에서 분리하도록 한다.
이렇게 분리된 상부 커튼부(140)를 다른 커튼부로 교체 후 다시 슬라이드봉(240)을 연결봉(220)에 축방향으로 밀어 삽입하고, 연결봉(220)의 양끝단에 고정 캡(260)을 체결하는 동작을 통해 도어 커튼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커튼부(140)는 슬라이드봉(240)과 일체로 연결된 하나의 단품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부 커튼부(140)와 슬라이드봉(240)이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상부 커튼부(140) 만을 슬라이드봉(240)에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는 도어 커튼의 교체 작업시 도어 트림를 탈거할 필요없이 도어 트림에서 커튼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어 커튼의 교체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고, 작업 시간도 감소되며, 도어 커튼을 누구나 쉽게 교체가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커튼을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커튼 120:하부 커튼부
140:상부 커튼부 200:연결기구
220:슬라이드봉 240:연결봉
260:고정 캡
140:상부 커튼부 200:연결기구
220:슬라이드봉 240:연결봉
260:고정 캡
Claims (6)
- 도어 트림 내부에 설치된 권취롤에 연결되어 감김 및 풀림에 따라 도어 트림의 상단으로 인입 및 노출되는 커튼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커튼은 권취롤에 연결된 하부 커튼부와 인출시 도어 글라스를 덮도록 형성된 상부 커튼부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부 커튼부의 하단과 하부 커튼부의 상단을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튼의 상부 커튼부에는 도어 트림 상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손잡이부는 도어 상단 프레임에 형성된 후크에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상부 커튼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축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봉과 하부 커튼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슬라이드봉을 감싸도록 형성된 연결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의 연결봉은 축방향의 양끝단이 개통되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드 봉이 연결봉의 축방향으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양끝단에는 개통된 부분을 덮도록 형성된 고정 캡이 마련되어 슬라이드봉이 연결봉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 캡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연결봉의 끝단에는 고정 캡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4523A KR101988061B1 (ko) | 2013-08-30 | 2013-08-30 |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4523A KR101988061B1 (ko) | 2013-08-30 | 2013-08-30 |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6128A true KR20150026128A (ko) | 2015-03-11 |
KR101988061B1 KR101988061B1 (ko) | 2019-06-11 |
Family
ID=53022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04523A KR101988061B1 (ko) | 2013-08-30 | 2013-08-30 |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806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78503A (zh) * | 2018-11-29 | 2019-01-29 |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汽车侧窗遮阳帘总成 |
US10272756B2 (en) * | 2016-03-10 | 2019-04-30 | Honda Motor Co., Ltd. | Vehicle door assembly,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
JP2021079768A (ja) * | 2019-11-15 | 2021-05-27 | 日本発條株式会社 |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及び車両のドア構造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4478A (ko) * | 2001-09-18 | 2003-03-26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쿼터 글래스용 차양장치 |
KR20050077707A (ko) * | 2004-01-28 | 2005-08-03 | 이광영 | 자동차 인스트르먼트 패널 햇빛반사 제어장치 |
KR20080023829A (ko) * | 2006-09-12 | 2008-03-17 | 한일이화주식회사 | 차량용 도어커튼 조립체 |
KR20090124490A (ko) * | 2008-05-30 | 2009-12-0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도어용 커튼장치 |
KR20100102067A (ko) | 2009-03-10 | 2010-09-20 |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 기판 처리 방법 |
-
2013
- 2013-08-30 KR KR1020130104523A patent/KR1019880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4478A (ko) * | 2001-09-18 | 2003-03-26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쿼터 글래스용 차양장치 |
KR20050077707A (ko) * | 2004-01-28 | 2005-08-03 | 이광영 | 자동차 인스트르먼트 패널 햇빛반사 제어장치 |
KR20080023829A (ko) * | 2006-09-12 | 2008-03-17 | 한일이화주식회사 | 차량용 도어커튼 조립체 |
KR20090124490A (ko) * | 2008-05-30 | 2009-12-0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도어용 커튼장치 |
KR20100102067A (ko) | 2009-03-10 | 2010-09-20 |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 기판 처리 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72756B2 (en) * | 2016-03-10 | 2019-04-30 | Honda Motor Co., Ltd. | Vehicle door assembly,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
CN109278503A (zh) * | 2018-11-29 | 2019-01-29 |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汽车侧窗遮阳帘总成 |
JP2021079768A (ja) * | 2019-11-15 | 2021-05-27 | 日本発條株式会社 |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及び車両のドア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88061B1 (ko) | 2019-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10186240A1 (en) | Roman curtain | |
US8186411B2 (en) | Window blind assembly | |
KR101988061B1 (ko) |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 | |
US20140048220A1 (en) | Window covering | |
US8794296B2 (en) | Window blind without using a lift cord | |
US20150101764A1 (en) | Window covering | |
KR20150130191A (ko) |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부착장치 | |
US20110308746A1 (en) | Window Shade Apparatus | |
KR101717702B1 (ko) | 원터치형 원단 탈부착이 가능한 모듈기반 롤블라인드 | |
JP6169959B2 (ja) | ブラインド | |
JP2019059351A (ja) |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 |
JP2011230705A (ja) | 車両用シェード装置 | |
KR101516305B1 (ko) | 자동차 햇빛 유입방지 프레임 | |
KR100816000B1 (ko) | 차량용 도어커튼 조립체 | |
KR200488639Y1 (ko) | 양면 사용 롤블라인드 | |
US20150368969A1 (en) | Non-drawstring type curtain retractor | |
KR100931447B1 (ko) | 도어용 커튼장치 | |
JP2010188819A (ja) | 自動車用サンシェード装置 | |
KR101136548B1 (ko) | 자동차 차광장치 | |
JP2009203617A (ja) | 建物開口部用サッシ枠に対するスクリーン枠の取付構造 | |
CN205728493U (zh) | 一种伞具开合装置 | |
WO2015178244A1 (ja) | ロールサンシェード装置 | |
KR20180054270A (ko) | 투과율 가변구조를 갖는 도어커튼 장치 | |
KR20110100561A (ko) | 차량용 블라인드장치 | |
KR101349250B1 (ko) | 램프 교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