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625A -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625A
KR20150025625A KR20130103438A KR20130103438A KR20150025625A KR 20150025625 A KR20150025625 A KR 20150025625A KR 20130103438 A KR20130103438 A KR 20130103438A KR 20130103438 A KR20130103438 A KR 20130103438A KR 20150025625 A KR20150025625 A KR 20150025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schedule
scheduled
medical care
appoin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3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8481B1 (ko
Inventor
노동영
최진욱
이혁준
이철희
박기한
박수범
임태호
이규언
곽인자
전은주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30103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481B1/ko
Publication of KR20150025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병원정보서버는 검사 일정이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약검사 항목을 환자별로 저장하고 관리하고, 스마트진료 서버는 환자별 진료일정의 조회 요청일에 해당하는 예약검사 항목을 병원정보 서버에서 검색하고, 상기 환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예약검사 항목의 검사 일정을 예약검사 항목의 고정된 검사 일정의 전후에 배치한 진료일정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Smart medical treat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검사 일정 등이 예약되지 아니한 피검사, 소변 검사 등과 같은 비예약검사의 진료 일정을 비롯한 병원 내 전체 일정을 보다 명료하게 안내해 줄 수 있는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자들은 CT(Computed Tomography) 또는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등에 대해 검사 일정을 예약한 후 그 예약일에 병원에 방문하여 검사와 진료를 받는다.
그러나 CT, MRI 등 외에 미리 검사일정 등이 정해지지 않은, 피검사, 소변검사, 심전도 검사 등과 같은 많은 비예약검사에 대해서는 의료진이 종이에 각각의 검사 항목과 검사 장소를 체크하거나 수기로 표시하여 줌으로써 환자는 어떤 검사를 어디에서 언제 받아야 할지 잘 모를 뿐 아니라, 이러한 비예약검사에 대한 내용이 실시간 시스템을 통해 조회되지 아니하므로 의료진에게 문의하여도 제대로 된 안내를 받기 어렵다.
특허공개번호 제2006-0003795호 특허공개번호 제2001-0089056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예약검사를 비롯한 병원 내 일정을 보다 명료하게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진료 시스템의 일 예는, 검사 일정이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약검사 항목을 환자별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병원정보 서버; 환자별 진료일정의 조회 요청일에 해당하는 예약검사 항목을 상기 병원정보 서버에서 검색하고, 상기 환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예약검사 항목의 검사 일정을 상기 검색된 예약검사 항목의 고정된 검사 일정의 전후에 배치한 진료일정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마트진료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진료 방법의 일 예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스마트진료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진료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진료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환자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환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약검사 항목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환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예약검사 항목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비예약검사 항목의 검사 일정을 상기 예약검사 항목의 고정된 검사 시간의 전후에 배치한 진료일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진료일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는 예약검사에 대한 안내뿐만 아니라 비예약검사를 비롯한 수납, 외래약국 등 병원 내 모든 일정에 대한 순서와 장소를 명확하게 안내받을 수 있다. 의료진 또한 환자식별정보를 기초로 해당 환자의 진료일정을 용이하게 조회가능하므로 환자의 문의에 대해 언제 어디서나 용이하게 안내해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진료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예약검사의 일정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료일정을 동선을 고려하여 설정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진료 방법의 일 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진료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진료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스마트진료서버(110), 병원정보서버(130)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간호사 등을 비롯한 의료진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일반 컴퓨터 또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각종 무선 단말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진료서버(110)와 병원정보서버(130)는 직접 연결되거나 두 서버 사이에 인터페이스 서버(120)를 두어 인터페이스 서버(120)가 병원진료서버(130)를 실시간 조회하여 필요한 정보를 스마트진료서버(110)에 제공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병원정보서버(130)는 환자별 예약검사 항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여기서, 예약검사는 CT나 MRI 등 특정 검사 장비와 검사 시간이 소요되어 하루 검사할 수 있는 환자 수에 한계가 있어 미리 환자별 검사일정 및 시간이 정해져 있는 검사이다. 이에 반해, 비예약검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혈, X-Ray, 심전도 검사 등 미리 검사 일정이 예약되지 아니하고 환자가 예약검사 또는 진료를 위해 병원에 왔을 때 진료 전에 손쉽게 진행할 수 있는 검사이다. 예약검사 및 비예약검사의 항목은 고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과 장소를 예약한 후 진행하는 검사를 예약검사라 하고, 미리 검사 일정의 예약 없이 진행되는 나머지 모든 검사를 모두 비예약검사라 한다.
스마트진료서버(110)는 비예약검사 항목을 포함한 병원 내 전체 일정을 제공한다. 즉, 스마트진료서버(110)는 의료진이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환자식별정보의 입력과 함께 진료일정 조회를 요청하면, 환자식별정보를 토대로 예약검사 항목, 비예약검사 항목을 파악하고 또한 외래약국이나 수납 등 병원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일정을 파악한다.
먼저, 스마트진료서버(110)는 병원정보서버(130)를 통해 미리 저장된 예약검사 항목을 조회하여 파악한다.
다음으로, 스마트진료서버(110)는 환자의 비예약검사 항목을 파악한다. 환자별 비예약검사 항목은 환자의 진료과에 따라 결정되거나 환자의 예약검사 항목에 따라 결정되거나 또는 환자의 상태나 병명에 따라 결정되는 등 환자별로 상이한 항목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병원 방문 전에 미리 그 항목이 고정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예를 들어, 진료과의 특성에 따라 채혈이나 소변검사 등 최소한의 항목이 고정될 수는 있으나, 초진인지 재진인지에 따라 그 항목이 달라질 수 있고, 또한 진료 중 다른 의심되는 증상에 따라 추가적인 비예약검사가 이루어지거나 다른 진료과를 통한 추가 진료를 위한 비예약검사가 추가되는 등 환자의 병문 방문 전에 고정되기 어렵다.
따라서 스마트진료서버(110)는 의료진이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조회하는 시점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환자의 비예약검사 항목뿐만 아니라 실시간 입력되는 비예약검사 항목을 파악한다.
또한, 스마트진료서버(110)는 예약검사나 비예약검사 외에 수납이나 외래약국 등의 기타 일정도 함께 파악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진료서버(110)는 환자별 파악된 예약검사나 비예약검사 항목 중 검사와 관련하여 수납이나 외래약국에서의 약 발급 등의 필요 여부 등을 함께 파악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진료서버(110)는 각 검사와 관련된 수납이나 다른 기타 필요사항에 대한 정보를 미리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스마트진료서버(110)는 예약검사 항목, 비예약검사 항목, 기타 병원 내 일정 항목을 최적의 시간 순으로 배치한 진료일정을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이때 예약검사 항목은 미리 검사시간이 정해져 있으므로, 스마트진료서버는 고정된 예약검사의 검사시간을 중심으로 비예약검사 항목을 그 전후에 배치하고 또한 기타 병원 내 일정의 선후를 고려하여 함께 배치한 병원 내 전체 진료일정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예약검사와 비예약검사의 진료일정은 다음 조건을 고려하여 배치할 수 있다.
첫째, 비예약검사의 검사 일정은 진료나 예약 검사가 진행되는 일자로 정해지고, 예약 검사의 정해진 검사 시간의 전후에 배치된다. 이때 비예약검사의 검사부터 결과가 나올 때까지의 검사소요시간을 고려하여 진료 전에 모든 검사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검사 일정을 배치한다. 예를 들어, A 비예약검사의 검사 후 결과가 나올 때까지 30분의 시간이 소요된다면, 진료 시간 30분 이전에 A 비예약검사가 이루어지도록 일정을 배치한다.
둘째, 예약검사 및 비예약검사의 검사장소 사이의 동선을 고려하여 진료일정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예약검사인 내시경(302)과, 비예약검사인 X-ray(304), 채혈검사(306), 심전도 검사(312)가 있고, 외래 진료(322)의 일정이 있는 경우에, 예약검사인 내시경(302)과 외래진료(322)는 그 검사의 장소가 각각 A 진료동(300)과 C 진료동(320)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마트진료서버(110)는 나머지 비예약검사 항목들(304,306,312)을 예약검사(302) 시간의 전후에 배치하되 그 경로가 최소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비예약검사 항목의 대부분은 그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소가 여러 곳일 수 있으므로, 만약 비예약검사인 심전도 검사(312)가 A 진료동(300)이나 C 진료동(32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면 그 검사 장소를 A 진료동(300)이나 C 진료동(3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검사 시간을 고려할 때 그 시간대에 A 진료동(300)이나 C 진료동(320)에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없다면 가장 최적의 동선을 고려하여 B 진료동(3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스마트진료서버(110)는 비예약검사 항목 A,B에 대한 각각의 검사 가능 장소가 각각 3군데가 존재하는 경우, 예약검사 항목의 장소를 기준으로 각각의 검사 가능 장소의 거리를 고려하여 최소의 거리를 가진 검사 순서 및 검사 장소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채혈실과 X-Ray 촬영실의 동선 중간에 CT 촬영실이 있다면, 스마트진료서버(110)는 채혈 - CT 촬영 - X-Ray 촬영의 진료일정을 생성하여 순서 및 동선이 최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셋째, 비예약검사는 검사 항목의 성격에 따라 그 검사 순서가 미리 정해져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 검사(예약 또는 비예약 검사) 이후 반드시 B 검사가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B 검사는 A 검사 이후에 진료일정이 배치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진료 방법의 일 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여 살펴보면, 의료진은 환자별 진료일정을 조회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환자식별정보를 입력한다. 스마트진료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환자식별정보를 수신하면(S400), 병원정보서버를 통해 환자의 예약검사 항목을 파악하고(S410), 또한 검사 일정 등이 미리 정해지지 않은 비예약검사 항목을 파악한다(S420).
스마트진료서버는 검사 시간 및 검사 장소 등이 고정된 예약검사의 일정의 전후에 비예약검사 항목의 검사 일정을 배치한 진료일정을 생성하고(S430), 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440). 의료진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조회된 진료일정을 프린터 등을 통해 출력하여 환자에게 제공한다.
환자에게 제공되는 진료일정은 각 진료 시간 및 장소에 대한 정보가 병원 내 지도와 함께 표시되어, 환자로 하여금 병원 내의 전체 일정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검사 일정이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약검사 항목을 환자별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병원정보 서버; 및
    환자별 진료일정의 조회 요청일에 해당하는 예약검사 항목을 상기 병원정보 서버에서 검색하고, 상기 환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예약검사 항목의 검사 일정을 상기 검색된 예약검사 항목의 고정된 검사 일정의 전후에 배치한 진료일정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마트진료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진료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진료 서버는,
    상기 비예약검사 항목의 검사 소요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진료일정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진료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진료 서버는,
    상기 환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약검사 항목과 비예약검사 항목의 검사 장소들을 파악하고, 상기 검사 장소들을 잇는 동선의 길이가 최소가 되는 동선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동선에 위치한 검사 장소들의 순서에 따라 상기 비예약 검사 항목의 검사 일정을 배치한 진료일정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진료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진료 서버는,
    상기 환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약검사 항목과 비예약검사 항목들 중 미리 정해진 검사 시행 순서가 있는지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검사 시행 순서를 기초로 진료일정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진료시스템.
  5.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스마트진료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진료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진료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환자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환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약검사 항목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환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예약검사 항목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비예약검사 항목의 검사 일정을 상기 예약검사 항목의 고정된 검사 시간의 전후에 배치한 진료일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진료일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료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일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예약검사 항목의 검사 소요 시간, 검사 장소, 미리 정해져 있는 검사 시행 순서를 기초로 상기 진료일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료 방법.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30103438A 2013-08-29 2013-08-29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38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438A KR101538481B1 (ko) 2013-08-29 2013-08-29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438A KR101538481B1 (ko) 2013-08-29 2013-08-29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625A true KR20150025625A (ko) 2015-03-11
KR101538481B1 KR101538481B1 (ko) 2015-07-22

Family

ID=5302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438A KR101538481B1 (ko) 2013-08-29 2013-08-29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48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7119A (zh) * 2017-07-26 2017-12-05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采集方法及系统
CN113077879A (zh) * 2021-03-26 2021-07-06 杭州京威盛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用户服务的智能导医系统
CN113096753A (zh) * 2021-03-25 2021-07-09 武汉明德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病患数据自动核验方法及装置
CN113256260A (zh) * 2021-06-02 2021-08-13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八医学中心 一种治疗检查项目综合处理方法及装置
CN113380395A (zh) * 2021-07-07 2021-09-10 北京京东拓先科技有限公司 线上诊疗数据的处理方法、装置、设备、系统及介质
CN117831191A (zh) * 2024-01-16 2024-04-05 广东群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医院的排队叫号管理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6195A (ko) 2022-05-30 2023-12-07 충남대학교병원 병원 진료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3804A (ja) * 2000-08-30 2002-03-12 Mitsubishi Electric Corp 病院受付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7119A (zh) * 2017-07-26 2017-12-05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采集方法及系统
CN113096753A (zh) * 2021-03-25 2021-07-09 武汉明德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病患数据自动核验方法及装置
CN113096753B (zh) * 2021-03-25 2024-02-23 武汉明德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病患数据自动核验方法及装置
CN113077879A (zh) * 2021-03-26 2021-07-06 杭州京威盛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用户服务的智能导医系统
CN113077879B (zh) * 2021-03-26 2024-02-09 杭州京威盛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用户服务的智能导医系统
CN113256260A (zh) * 2021-06-02 2021-08-13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八医学中心 一种治疗检查项目综合处理方法及装置
CN113380395A (zh) * 2021-07-07 2021-09-10 北京京东拓先科技有限公司 线上诊疗数据的处理方法、装置、设备、系统及介质
CN117831191A (zh) * 2024-01-16 2024-04-05 广东群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医院的排队叫号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481B1 (ko)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8481B1 (ko)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US8554480B2 (en) Treatment data processing and planning system
RU2554522C2 (ru) Рабочий процесс с обратной связью
US10943679B2 (en) Computer apparatus and method to identify healthcare resources used by a patient of a medical institution
WO2005122033A1 (ja) 医療総合情報装置及び医療総合情報システム
JP2013242745A (ja) 診療データ統合管理システム及びこの診療データ統合管理システムを連携した病診連携システム
JP2007011702A (ja) 病院の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診察券
US200600727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tructuring dynamic data
US90586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thology specimen collection
US20160239616A1 (en) Medical suppor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cal care
CN112582057A (zh) 分布式设置中的高级医学成像
JP6993425B2 (ja) 検査情報表示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75116B2 (ja) 検査システム
US20210005310A1 (en) Order creation support apparatus and order creation support method
US20210217511A1 (en) Adaptive scheduling for healthcare resources
WO2009128296A1 (ja) 地域医療連携システム、登録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2009134424A (ja) 医療検査支援システム及び医療検査支援方法
JP2019144746A (ja) 医用画像検査支援装置及び医用画像検査支援方法
JP201910167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89993A (ko) 검사 예약 방법 및 시스템
JP4951963B2 (ja) 空床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空床管理方法
JP5828546B2 (ja) 医療情報接続制御システム
Frichi et al. Elaboration of an association matrix of satisfaction factors in healthcare facilities and hospital logistics activities
US20090048873A1 (en) Method and system to manage coronary artery disease care
JP201910167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